KR101362100B1 - 코의 형태 교정 보형물 - Google Patents

코의 형태 교정 보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100B1
KR101362100B1 KR1020130075797A KR20130075797A KR101362100B1 KR 101362100 B1 KR101362100 B1 KR 101362100B1 KR 1020130075797 A KR1020130075797 A KR 1020130075797A KR 20130075797 A KR20130075797 A KR 20130075797A KR 101362100 B1 KR101362100 B1 KR 101362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implant
shape
prosthesis
nasal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석
Original Assignee
유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석 filed Critical 유현석
Priority to KR1020130075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100B1/ko
Priority to US14/901,682 priority patent/US20160367393A1/en
Priority to CN201480035771.2A priority patent/CN105338929A/zh
Priority to PCT/KR2014/005277 priority patent/WO20142089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8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ose ; Devices for enlarging the nostril, e.g. for breathing impr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 A61F2/186Nose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비강(鼻腔) 내 삽입되어 코의 형태를 교정하는 보형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가요성(可撓性)을 나타내는 심재부와, 상기 심재부보다 가요성이 더 큰 외피재부를 포함하는 보형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형물은 비강 내에 완전히 삽입되어 외부에 거의 노출되지 않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콧대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으며, 심재부 및 외피재부의 크기, 가요성 등을 조절하여 교정 형태를 원하는 대로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외과적 수술 없이 보형물의 삽입에 의하여 간단하게 코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 시에는 코 연골의 형태가 변화하여 일정 부분 성형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코의 형태 교정 보형물{Nasal implant for correction}
본 발명은 비강(鼻腔) 내 삽입되어 코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는 보형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가요성(可撓性)을 나타내는 심재부와, 상기 심재부보다 가요성이 더 큰 외피재부를 포함하는 보형물에 관한 것이다.
호흡기의 일부이며 동시에 후각을 담당하는 감각기관으로서의 코는 해부학적으로는 안면에서 돌출한 코(外鼻)와 그 내부를 구성하는 비강(鼻腔)으로 이루어져 있다. 코의 형상을 이루는 기본이 되는 것은 비골(鼻骨)·비연골(鼻軟骨)·상악골의 일부인 전두돌기로서 그밖에 비근과 피부가 이에 포함되어 있다. 비골은 1쌍이며, 비근의 기본이 되는 긴 사각형의 얇은 뼈로, 정중선에 접해서 늘어서며 비강을 상전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비골의 아랫가장자리에는 각각 편평한 삼각형 모양을 한 1쌍의 외측비연골(外側鼻軟骨)이 이어져서 코의 아래 전벽(前壁)의 일부를 이룬다. 비골의 외측면은 상악골의 전두돌기와 결합되어 있고, 외측비연골에서 1쌍의 대비익연골(大鼻翼軟骨)이 콧방울 및 콧구멍의 앞쪽을 싸며, 코끝의 기초가 된다. 비강을 정중선으로 좌우로 나누는 비중격(鼻中膈)은 그 앞쪽은 부정릉형(不正菱形)의 비중격연골이 기본이 되고 있다. 이 연골의 앞가장자리는 콧등까지 뻗으면 좌우의 외측비연골에 이행한다.
최근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사회생활의 자신감을 갖고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외과적 수술을 통하여 외모를 변화시키고 보완하는 성형 수술이 성행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얼굴의 중심에 위치하는 코의 형상이 얼굴의 인상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코의 성형에 대한 관심이 높다. 최근에는 서양인들처럼 크고 높은 코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에 따라 융비술(隆鼻術, rhinoplasty)이 유행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융비술의 적용 시에는 코의 하부가 해부학적 구조상 연골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생체 적합성과 적절한 물성을 나타내는 귀 연골이나 비중격 연골 등의 자가 연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자가 연골을 채취하기 위하여 상당한 비용과 추가적인 수술이 필요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가격이 저렴하고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뼈의 모양에 잘 맞도록 세밀한 조각이 가능하며, 수술 후에도 크기나 모양의 변화가 없는 실리콘 보형물을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나, 실리콘 특유의 경도로 인하여 피부와 같은 쿠션감이나 탄력성을 지니지 못하므로 시술자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으며, 수술 후 실리콘에 의한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부작용이 발생하거나, 얼굴전체가 보기 흉해지는 사례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술 후에는 일정기간동안 외부활동이 제한되는 불편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외모의 변화를 타인이 쉽게 알아낼 수 있고, 수술의 실패나 부작용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이 수반되기 때문에 수술에 관심을 갖는 사람도 쉽게 결정을 내리기 어려운 점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외과적 수술을 하지 않고 코의 형태를 변형할 수 있는 보형물 또는 보형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일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0357454호에는 성형캡과 지지캡을 상호 연결하며 신축 가능한 연결봉 및 성형캡에 탄성력을 가하여 성형캡이 콧날을 가압하여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코 성형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코 성형기는 콧속에 삽입되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콧속의 특정부위를 지속적으로 미는 형태로 장착되므로, 장시간 착용하고 있게 되면 지지하는 특정부위에 통증이 발생하게 되어 착용자에게 거부감을 주게 되고, 코를 푼다거나 코를 만지는 등의 행동으로 쉽게 빠지게 되며, 외부의 충격으로 코에 상처를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 성형기는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지므로, 제작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수개의 부품들 중 어느 하나를 분실하거나 파손할 경우에는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보다 단순하면서도 착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한 보형기 또는 보형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삭제
1. 국제특허공보 제1998-006360호(1998.2.19) 2. 일본특허공보 제3411916호(2003.6.3) 3. 일본공개특허 제2011-167481호(2011.9.1) 4. 일본공개실용신안 제1994-029516호(1994.4.19) 5. 한국실용신안공보 제1994-0008509호(1994.12.22) 6. 한국공개특허 제2005-0084734호(2005.8.29)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 코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는 보형물을 개발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가요성(可撓性)을 나타내는 심재부와, 상기 심재부보다 가요성이 더 큰 외피재부를 포함하도록 보형물을 구성하는 경우, 비강(鼻腔) 내 삽입되어 상기 심재부는 비중격(鼻中膈)에 위치하고, 외피재부의 양 단부는 탄성력에 의하여 외측비연골(外側鼻軟骨)에 힘을 가할 수 있게 되어, 코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요성을 달리하는 심재부와 외피재부를 포함하여 코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는 보형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요성(可撓性)을 나타내는 심재부와, 상기 심재부보다 가요성이 더 큰 외피재부를 포함하여, 비강(鼻腔) 내 삽입되어 코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는 보형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피재부가 상기 심재부의 표면을 완전히 둘러싸며, 상기 보형물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판상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피재부의 표면에 비강 내 삽입을 위한 고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심재부가 비강 내 삽입되어 비중격(鼻中膈)에 위치할 수 있고, 외피재부의 양 단부가 비강 내 삽입되어 외측비연골(外側鼻軟骨)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형물은 비강 내에 완전히 삽입되어 외부에 거의 노출되지 않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콧대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으며, 심재부 및 외피재부의 크기, 가요성 등을 조절하여 교정 형태를 원하는 대로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외과적 수술 없이 보형물의 삽입에 의하여 간단하게 코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 시에는 코 연골의 형태가 변화하여 일정 부분 성형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형물은 전체적인 크기가 매우 작아 보관과 세척작업이 용이하여 항상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형물은 비강 내 공간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축농증 환자나 코감기 환자, 코골이 환자 등에 대한 코 호흡 보조기구로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의 양 단부에 힘을 가하여 휘어진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전체 두께를 달리한 보형물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이 비강 내 삽입된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이 비강 내 삽입한 형태를 코의 하부에서 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각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일부 영역의 두께 또는 크기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이하 본 발명의 코 형태 교정을 위한 보형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코의 형태 교정을 위한 보형물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10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100)의 양 단부에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보형물(100)의 휘어진 모양을 나타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형물(100)은 가요성(可撓性)을 나타내는 심재부(110)와, 상기 심재부보다 가요성이 더 큰 외피재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가요성(可撓性)이란 물체가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받았을 때 휘는 성질을 말하며, 본 발명의 보형물(100)의 경우 양 단부에 일정한 힘이 가하여지면 휘어질 수 있게 된다. 다만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심재부(110)가 포함된 보형물(100)의 중심 부분은 가요성이 적어 휘어짐이 약하게 나타나나, 심재부(110)가 포함되지 않고 외피재부(120)만으로 이루어진 보형물(100)의 양 단 부분은 상대적으로 가요성이 크므로 더 잘 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외피재부(120)는 보형물(100)이 코 속의 공간에 해당하는 비강(鼻腔) 내 삽입되는 경우 비강 내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가요성을 나타내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 폴리설폰 등의 플라스틱이나 고무, 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심재부(110)는 외피재부(120)보다 더 큰 가요성을 나타내는 물질이라면 그 종류가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 폴리설폰 등의 플라스틱이나 고무,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피재부(120)는 상기 심재부(110)의 표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심재부(11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피재부(120)가 상기 심재부(110)의 표면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외형상의 일관적인 디자인과 적절한 가요성의 확보 및 착용 시 이물감의 감소 면에서 보다 유리하다. 다만 심재부(110)는 보형물(100)의 길이 방향에서 중심부에 위치하고, 보형물(100)의 양 단부는 외피재부(120)만으로 이루어지는 대칭 형태를 나타낼 수 있으나, 심재부(110)가 보형물(100)의 길이 방향에서 중심에 위치하지 않고 한 쪽으로 치우쳐져 외피재부(120)만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단부의 길이가 서로 다른 비대칭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또한, 심재부(110)가 극단적으로 보형물(100)의 한 쪽끝에 형성되어 외피재부(120)만으로 이루어진 단부가 한 쪽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심재부(110)의 길이는 전체 보형물(100)의 길이의 1/2 내지 1/5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비강 내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비중격에 적절한 힘을 가할 수 있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형물(10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심재부(110)가 형성된 부분의 두께가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보형물(100)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판상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 착용자가 느끼는 이물감 면에서 보다 유리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형물(100)은 가로 방향이 세로 방향보다 긴 대략적인 직사각형의 스트립(strip)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각 모서리는 비강 내부 표피의 손상을 막기 위하여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모서리에는 별도의 코팅 처리 등이 이루어져 표피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2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형물(200)은 양 단부, 즉 외피재부(220)만으로 이루어진 부분은 그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밖에도 보형물(200)의 전체 형태가 가로 방향이 긴 타원형으로 나타나거나, 기타 심미감을 줄 수 있는 디자인으로 적절하게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3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피재부(320)의 표면에는 비강 내 삽입을 위한 고리부(3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보형물(300)의 양 단에 한 쌍의 고리부(330)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보형물(300)을 비강 내 삽입하는 착용자 또는 시술자는 상기 고리부(330)에 집게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보형물을 용이하게 비강 내로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다.
보형물의 삽입에 따른 코의 형태 교정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을 비강 내 삽입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비강 내 코의 하부에서 본 것을 나타낸 도면(오른쪽 원 부분은 왼쪽 원 부분을 확대한 것임)이다.
상기 도 7 및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형물(100)의 양 단부에 힘을 가하여 압축시킨 상태에서 보형물(100)을 완전히 삽입하여 코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다.
상기 보형물(100)이 비강 내 삽입되면, 상기 심재부(110)는 좌우 코 안의 경계를 이루는 벽에 해당하는 비중격(鼻中膈)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외피재부(120)의 양 단부는 외측비연골(外側鼻軟骨)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가요성을 나타내는 외피재부(120)의 탄성력에 의하여 비중격의 내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고, 비중격 좌·우에서 가해지는 힘에 따라 콧대가 자연스럽게 세워져 오똑한 코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심재부(110)는 외피재부(1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요성이 적어 비중격에 보형물(100)을 고정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한편, 착용자의 비강 크기 및 보형물(100)의 전체 길이에 따라, 비강 내 삽입된 상태에서 외피재부(120)의 양 단부가 서로 중첩될 수도 있고,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보형물(100)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착용자가 손가락을 사용하여 코의 외부에서 적절한 힘을 가함으로써 보형물(1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보형물(10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비중격에 가하여지는 힘의 세기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보형물(100)은 비강 내 완전히 삽입됨으로써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되므로 착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도 6에 나타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의 경우, 집게 등의 기구를 고리부(330)에 넣고 C자 형태로 변형하여 비강 내 삽입하여, 보형물(300)이 용이하게 비강 내 적절한 위치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비강 내 삽입된 보형물(300)의 고리부(330)에 집게 등의 기구를 넣고 용이하게 비강 외로 빼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 보형물
110, 210, 310 : 심재부
120, 220, 320 : 외피재부
330 : 고리부

Claims (5)

  1. 비강(鼻腔) 내 삽입되어 코의 형태를 교정하는 보형물에 있어서,
    가요성(可撓性)을 나타내는 심재부와
    상기 심재부보다 가요성이 더 큰 외피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형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부는 상기 심재부의 표면을 완전히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형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판상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형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부의 표면에는 비강 내 삽입을 위한 고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형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부는 비강 내 삽입되어 비중격(鼻中膈)에 위치할 수 있고, 외피재부의 양 단부는 비강 내 삽입되어 외측비연골(外側鼻軟骨)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형물.
KR1020130075797A 2013-06-28 2013-06-28 코의 형태 교정 보형물 KR101362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797A KR101362100B1 (ko) 2013-06-28 2013-06-28 코의 형태 교정 보형물
US14/901,682 US20160367393A1 (en) 2013-06-28 2014-06-17 Nasal implant for correction
CN201480035771.2A CN105338929A (zh) 2013-06-28 2014-06-17 鼻子的形态矫正假体
PCT/KR2014/005277 WO2014208918A1 (ko) 2013-06-28 2014-06-17 코의 형태 교정 보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797A KR101362100B1 (ko) 2013-06-28 2013-06-28 코의 형태 교정 보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100B1 true KR101362100B1 (ko) 2014-02-12

Family

ID=5027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797A KR101362100B1 (ko) 2013-06-28 2013-06-28 코의 형태 교정 보형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367393A1 (ko)
KR (1) KR101362100B1 (ko)
CN (1) CN105338929A (ko)
WO (1) WO201420891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029A (ko) * 2016-09-27 2018-04-04 안태환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
KR20200028155A (ko) * 2018-09-06 2020-03-16 표경보 코의 비중격 교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7410A1 (fr) * 2016-02-09 2017-08-11 S E L A R L De Medecins Plasticiens Paris Ensemble d'instruments de modelage du nez, procede de realisation et procede de modelage du nez
US10687945B2 (en) 2017-01-26 2020-06-23 Poriferous, LLC Channel implant
WO2020059967A1 (ko) * 2018-09-20 2020-03-26 주식회사 네오닥터 탄성 실 삽입기
CN111603292B (zh) * 2020-05-19 2023-04-28 河南大学 一种儿童鼻中隔偏曲矫正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516U (ja) * 1992-09-29 1994-04-19 信次郎 坂井 着脱式鼻高整形具
WO1998006360A1 (en) 1996-08-08 1998-02-19 Biofarm S.R.L. Nasal dilator comprising a small number of components
JP3411916B2 (ja) * 1991-06-10 2003-06-03 クリエイティブ・インテグレーション・アンド・デザイ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鼻拡張器
JP2011167481A (ja) 2010-02-16 2011-09-01 Kazumi Osada 鼻美容整形器具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9606A (en) * 1930-02-17 1932-01-05 George A Simmons Distender for nostrils
GB379243A (en) * 1932-03-24 1932-08-25 Pascual Aguirre Echanove A device for facilitating breathing
US2515756A (en) * 1947-08-30 1950-07-18 Bove Charles Nasal appliance
US3935859A (en) * 1974-09-16 1976-02-03 Doyle Donald E Surgical nasal splint
US4201201A (en) * 1976-09-27 1980-05-06 Vergara Ruben L Orthopedic device for propping and aligning the vertex end point of a sunken nose
KR830001638A (ko) * 1979-09-17 1983-05-18 에즈밀로 론도노 자라밀로 마리아 능비 미용구(陵鼻美容具)
KR940008509Y1 (ko) * 1991-12-10 1994-12-22 박명욱 코 보형물(nasal implant)
US6106541A (en) * 1997-05-16 2000-08-22 Hurbis; Charles G. Surgically implantable nasal dilator
JPH10323362A (ja) * 1997-05-26 1998-12-08 Katsunari Nishihara 鼻腔拡大矯正装置
US5931852A (en) * 1997-06-04 1999-08-03 Brennan; H. George Nose airway device
ES1040491Y (es) * 1998-05-22 1999-08-16 Guerra Navas Antonio Dispositivo anatomico nasal para ampliar la capacidad respiratoria.
TW406019B (en) * 1998-10-30 2000-09-21 Hong Seong Churl Nose-shaping device
US7381222B2 (en) * 2002-12-30 2008-06-03 Quiescence Medical, Inc. Stent for maintaining patency of a body region
KR20050084734A (ko) * 2004-02-24 2005-08-29 김민철 코성형보형물
US8491622B2 (en) * 2005-02-24 2013-07-23 Thomas Brown Multi-layer internal nasal dilator with tubular expanders and compound delivery protrusions
GB0607533D0 (en) * 2006-04-13 2006-05-24 James Lawrence C W Apparatus for assisting breathing through a persons nose
US20100042134A1 (en) * 2008-04-18 2010-02-18 Abraham Wien Nostril dilator
CH703013A2 (fr) * 2009-09-04 2011-10-31 Oscimed Sa Dilatateur nasal.
US9381332B2 (en) * 2009-10-30 2016-07-05 Brian Judd Nasal dilator
WO2011119084A1 (en) * 2010-03-23 2011-09-29 Sanda Hadziavdic Adjustable nasal impla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1916B2 (ja) * 1991-06-10 2003-06-03 クリエイティブ・インテグレーション・アンド・デザイ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鼻拡張器
JPH0629516U (ja) * 1992-09-29 1994-04-19 信次郎 坂井 着脱式鼻高整形具
WO1998006360A1 (en) 1996-08-08 1998-02-19 Biofarm S.R.L. Nasal dilator comprising a small number of components
JP2011167481A (ja) 2010-02-16 2011-09-01 Kazumi Osada 鼻美容整形器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029A (ko) * 2016-09-27 2018-04-04 안태환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
KR101868613B1 (ko) * 2016-09-27 2018-06-19 안태환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
WO2018062700A3 (ko) * 2016-09-27 2018-08-09 안태환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
KR20200028155A (ko) * 2018-09-06 2020-03-16 표경보 코의 비중격 교정장치
KR102129174B1 (ko) 2018-09-06 2020-07-01 표경보 코의 비중격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67393A1 (en) 2016-12-22
CN105338929A (zh) 2016-02-17
WO2014208918A1 (ko)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100B1 (ko) 코의 형태 교정 보형물
US20120330345A1 (en) Nasal dilator
KR20060111375A (ko) 코 인공 삽입물
KR101785801B1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JP3213065U (ja) マスクホルダー
AU2021201983B2 (en) A nasal splint
US20160120689A1 (en) Nasal Dilator
KR100750833B1 (ko) 구두의 착용감이 향상되게 한 뒤꿈치 보형물 내 쿠션부재
ES2787209T3 (es) Dilatador nasal
US20210077292A1 (en) Nasal dil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KR20130084339A (ko) 미소형 입술라인 교정용 교정구
US20200146891A1 (en) Corrective apparatus for deformed external ear
KR200425370Y1 (ko) ePTFE 소재를 코팅한 실리콘 보형물
KR200459611Y1 (ko) 턱 성형용 보형물
KR20050084734A (ko) 코성형보형물
WO2012105736A1 (ko) 미세돌기가 형성된 의료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36751Y1 (ko) 신발의 뒤꿈치 보형물 내 쿠션부재
KR100955956B1 (ko) 코 성형보형물
JPH0629516U (ja) 着脱式鼻高整形具
KR100817797B1 (ko) 콧구멍 보형물
KR200389126Y1 (ko) 코 인공 삽입물
CN211156524U (zh) 硅胶直腿套
KR100791145B1 (ko) 코 보형물
Jindal et al. Prosthetic management of post surgical nasal skin graft contracture
US20210170677A1 (en) Nose bra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nose br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