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208918A1 - 코의 형태 교정 보형물 - Google Patents

코의 형태 교정 보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208918A1
WO2014208918A1 PCT/KR2014/005277 KR2014005277W WO2014208918A1 WO 2014208918 A1 WO2014208918 A1 WO 2014208918A1 KR 2014005277 W KR2014005277 W KR 2014005277W WO 2014208918 A1 WO2014208918 A1 WO 201420891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mplant
shape
nose
prosthesi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527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현석
Original Assignee
You Hyun Seok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You Hyun Seok filed Critical You Hyun Seok
Priority to US14/901,68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60367393A1/en
Priority to CN201480035771.2A priority patent/CN105338929A/zh
Publication of WO201420891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20891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8Devices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nose ; Devices for enlarging the nostril, e.g. for breathing impr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 A61F2/186Nose par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sthesi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to correct the shape of the nose, and specifically, a core portion showing flexibility and an outer shell portion having greater flexibility than the core portion. It relates to the implant to include.
  • the nose is anatomically composed of the nose protruding from the face and the nasal cavity constituting the inside.
  • the basis of the shape of the nose is the frontal processes that are part of the fibula, the cartilage, and the maxilla.
  • the nasal bones are a pair of long, thin, thin bones that form the basis of the nasal muscles, lining the midline, covering the nasal cavity from the anterior chamber.
  • the lower edge of the fibula is connected to a pair of lateral non-cartilage, each having a flat triangular shape, forming a part of the anterior wall of the lower nose.
  • the lateral side of the fibula is combined with the frontal condyle of the maxilla, and a pair of non-condylar cartilage ( ⁇ ⁇ ⁇ ) in the lateral nasal cartilage wraps around the front of the nostril and nostril and forms the basis of the tip of the nose.
  • the nasal septum that divides the nasal cavity from side to side in the midline is the base of an indefinite septum cartilage.
  • the anterior margin of this cartilage extends to the left and right lateral non-cartilage when it extends to the back of the nose.
  • autologous cartilage such as ear cartilage or septal cartilage, which shows biocompatibility and proper physical properties, because the lower part of the nose is composed of cartilage for anatomical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of cost and additional surgery.
  • Korean Patent No. 0357454 discloses a nose molding machine consisting of a spring connecting the forming cap and the support cap to each other and a stretchable connecting rod and a spring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forming cap to pressurize the nose blade.
  • the conventional nose molding machine is inserted into the nose and is mounted in the form of continuously pushing the specific part of the nos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when worn for a long time, pain occurs in the specific part of the supporting part to give the wearer a feeling of rejection.
  • Patent Document 1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o. 1998-006360 (1998.2.19)
  • 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3411916 (2003.6.3)
  • 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1-167481 (2011.9.1)
  • Patent Document 4 Japanese Utility Model Model No. 1994-959516 (1994.4.19)
  • Patent Document 5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4-08008509 (1994.12.22)
  • Patent Document 6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5-0084734 (2005.8.29)
  • 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and tried to develop a prosthesis capable of correcting the shape of the nose while having a simple structure.
  • the prosthesis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re flexible skin member, it is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so that the core member is located in the nasal septum, and both ends of the skin member are lateral non-cartilage by elastic force.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discovering the ability to apply force to i) and correcting the shape of the nos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sthesis capable of correcting the shape of the nose, including the core portion and the outer shell portion having different flexibility.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sthesis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and corrects the shape of the nose, including a core part that exhibits flexibility and an outer skin part that is more flexible than the core part. It features.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hell portion completely surrounds the surface of the core portion, the thickness of the implant is kept constant to exhibit a plate shape.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ng portion for intranasal inse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hell material.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and can be located in the nasal septum, and both ends of the shell material can be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and located in the outer nasal cartilage. It is done.
  • Prosthesi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has a simple structure that is hardly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correcting the shape of the nose, by modifying the size, flexibility, etc. of the core member and the skin member to modify the correction form as desired can do.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imply correct the shape of the nose by inserting the implant without surgical operation, and the shape of the nasal cartilage is changed in the long-term use can also obtain the effect of a certain part of the molding.
  • the prosthesi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mall in overall size is easy to store and wash operations can always maintain a hygienic state.
  • the im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and the intranasal space,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a nasal breathing aid for sinusitis patients, nasal cold patients, snoring patients and the like.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sthesi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bending by applying force to both ends of the prosthesi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mplant with different overall thicknesse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osthesi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sthesi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sthesi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llustrates the shape in which the impla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 FIG. 8 is a view of the implant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bottom of the nose.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osthesis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rosthesis when a force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prosthesi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ross section which shows the curved shape of 100 is shown.
  • the impla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re portion 110 that exhibits flexibility and an outer shell portion 120 that is more flexible than the core portion.
  • the flexible refers to a property of bending when an object receives a rotational force from the outside, and in the case of the impla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bent when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to both ends.
  • the central portion of the implant 100 including the core portion 110 is less flexible, and the warpage appears weaker, but the core portion 110 is not included, and only the outer shell portion 120 is formed. Both ends of the prosthesis 100 may be more flexible because they are relatively flexible.
  • the outer shell part 120 is preferably a biocompatible polymer exhibiting flexibility because the implant 10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nasal cavity when the implant 100 is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corresponding to the space in the nos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T), polyvinyl chloride (PVC),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polystyrene (PS), polypropylene (PP), polyurethane (PU), plastic such as polysulfone, rubber, silicone, etc. may be used. .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VC polyvinyl chloride
  •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 PS polystyrene
  • PP polypropylene
  • PU polyurethane
  • plastic such as polysulfone, rubber, silicone, etc.
  • the core part 110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material exhibiting greater flexibility than the outer shell part 120, but preferably,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vinyl chloride (PVC), or polymethyl Plastics such as methacrylate (PMMA), polystyrene (PS), polypropylene (PP), polyurethane (PU), polysulfone, rubber, silicone and the like can be used.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PVC polyvinyl chloride
  • PU polyurethane
  • polysulfone rubber, silicone and the like
  • the shell member 120 is formed to surround the surface of the core member 110, a portion of the core member 11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but preferably the shell member 120 is the core member ( It is more advantageous in that it is formed so as to completely surround the surface of 110) in terms of appearance consistent design, ensuring adequate flexibility and reducing foreign object feeling when worn.
  • the core part 110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osthesis 100, and both ends of the prosthesis 100 may represent a symmetrical form consisting of only the outer shell part 120, but the core part 110 is the prosthesis 100.
  • the length of each end of only the outer shell portion 120 may be represented in a different asymmetrical form by being biased to one side without being located at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ross-section.
  • the core member 110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prosthesis 100 at an extreme, so that an end portion formed of only the shell member 120 may be formed at only one side.
  • the length of the core portion 110 is formed in the range of 1/2 to 1/5 of the length of the entire prosthesis 100 in that it is inserted in the nasal cavity can be stably supported and can apply an appropriate force to the septum desirable.
  • the shape of the impla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thicker thickness of the portion where the core portion 110 is formed, the thickness of the shape of the implant 100 is generally maintained to represent a plate-like shape It is more advantageous in the sense of foreign material felt by the wearer.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osthesi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osthesis 10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trip shape having a horizontal direction longer than the vertical direction, but each corner is formed to have a curved surface to prevent damage to the nasal epidermis. good.
  • the corner may be made of a separate coating treatment to prevent damage to the epidermis.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osthesi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osthesis 200 may be formed at both ends, that is, a portion formed only of the outer shell portion 220 so that the width thereof becomes narrower.
  • the overall shape of the prosthesis 200 may have a horizontal direction. It can be shaped as a long oval or otherwise deformed into an aesthetically pleasing design.
  •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mplant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ring portion 330 for intranasal insertion may be formed on a surface of the outer shell portion 320, and a pair of ring portions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implant 300. 330 is preferably formed.
  • the wearer or operator who inserts the implant 300 into the nasal cavity may easily insert or remove the implant into the nasal cavity by using a tool such as a forceps to the ring portion 330.
  •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hape in which the impla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 FIG. 8 is a view showing the lower part of the nose in the nasal cavity (the right circle portion is an enlarged left circle portion). )to be.
  • the shape of the nose may be corrected by completely inserting the implant 100 in a compressed state by applying force to both ends of the implant 100.
  • the core member 110 When the implant 100 is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the core member 110 is positioned in the septum corresponding to a wall forming a boundary in the left and right noses, and both ends of the shell member 120 are located outside. It is located in the non-cartilage ( ⁇ ⁇ ⁇ ). At this time, the force is appli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nasal septum by the elastic force of the outer shell member 120 showing flexibility, and the nose is naturally erected according to the force applied from the left and right of the nasal septum, thereby making a straight nose.
  • the core part 110 may also serve to fix the implant 100 to the nasal septum because it is relatively less flexible than the outer shell part 120.
  • both ends of the outer shell portion 120 may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o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inserted state in the nasal cavity.
  • the wear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implant 100 by applying an appropriate force from the outside of the nose by using a finger,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nasal septum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implant 100. You can also adjust the intensity.
  • the impla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the implant 100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thereby protecting the wearer's privacy.
  • the instrument such as the forceps is inserted into the ring portion 330, and is deformed into the C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thereby easily implanting the nasal cavity 300. I can make sure that it is in my proper position. On the other hand, put the mechanism such as forceps into the ring portion 330 of the implant 300 in the nasal cavity can be easily taken out of the nasal ca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강(鼻腔) 내 삽입되어 코의 형태를 교정하는 보형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가요성(可撓性)을 나타내는 심재부와, 상기 심재부보다 가요성이 더 큰 외피재부를 포함하는 보형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형물은 비강 내에 완전히 삽입되어 외부에 거의 노출되지 않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콧대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으며, 심재부 및 외피재부의 크기, 가요성 등을 조절하여 교정 형태를 원하는 대로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외과적 수술 없이 보형물의 삽입에 의하여 간단하게 코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 시에는 코 연골의 형태가 변화하여 일정 부분 성형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코의 형태 교정 보형물
본 발명은 비강(鼻腔) 내 삽입되어 코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는 보형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가요성(可撓性)을 나타내는 심재부와, 상기 심재부보다 가요성이 더 큰 외피재부를 포함하는 보형물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3년 6월 28일에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13-0075797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출원에 원용된다.
호흡기의 일부이며 동시에 후각을 담당하는 감각기관으로서의 코는 해부학적으로는 안면에서 돌출한 코(外鼻)와 그 내부를 구성하는 비강(鼻腔)으로 이루어져 있다. 코의 형상을 이루는 기본이 되는 것은 비골(鼻骨)·비연골(鼻軟骨)·상악골의 일부인 전두돌기로서 그밖에 비근과 피부가 이에 포함되어 있다. 비골은 1쌍이며, 비근의 기본이 되는 긴 사각형의 얇은 뼈로, 정중선에 접해서 늘어서며 비강을 상전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비골의 아랫가장자리에는 각각 편평한 삼각형 모양을 한 1쌍의 외측비연골(外側鼻軟骨)이 이어져서 코의 아래 전벽(前壁)의 일부를 이룬다. 비골의 외측면은 상악골의 전두돌기와 결합되어 있고, 외측비연골에서 1쌍의 대비익연골(大鼻翼軟骨)이 콧방울 및 콧구멍의 앞쪽을 싸며, 코끝의 기초가 된다. 비강을 정중선으로 좌우로 나누는 비중격(鼻中膈)은 그 앞쪽은 부정릉형의 비중격연골이 기본이 되고 있다. 이 연골의 앞가장자리는 콧등까지 뻗으면 좌우의 외측비연골에 이행한다.
최근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사회생활의 자신감을 갖고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외과적 수술을 통하여 외모를 변화시키고 보완하는 성형 수술이 성행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얼굴의 중심에 위치하는 코의 형상이 얼굴의 인상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코의 성형에 대한 관심이 높다. 최근에는 서양인들처럼 크고 높은 코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에 따라 융비술(隆鼻術, rhinoplasty)이 유행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융비술의 적용 시에는 코의 하부가 해부학적 구조상 연골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생체 적합성과 적절한 물성을 나타내는 귀 연골이나 비중격 연골 등의 자가 연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자가 연골을 채취하기 위하여 상당한 비용과 추가적인 수술이 필요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가격이 저렴하고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뼈의 모양에 잘 맞도록 세밀한 조각이 가능하며, 수술 후에도 크기나 모양의 변화가 없는 실리콘 보형물을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있으나, 실리콘 특유의 경도로 인하여 피부와 같은 쿠션감이나 탄력성을 지니지 못하므로 시술자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으며, 수술 후 실리콘에 의한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부작용이 발생하거나, 얼굴전체가 보기 흉해지는 사례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술 후에는 일정기간동안 외부활동이 제한되는 불편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외모의 변화를 타인이 쉽게 알아낼 수 있고, 수술의 실패나 부작용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이 수반되기 때문에 수술에 관심을 갖는 사람도 쉽게 결정을 내리기 어려운 점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외과적 수술을 하지 않고 코의 형태를 변형할 수 있는 보형물 또는 보형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일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0357454호에는 성형캡과 지지캡을 상호 연결하며 신축 가능한 연결봉 및 성형캡에 탄성력을 가하여 성형캡이 콧날을 가압하여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코 성형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코 성형기는 콧속에 삽입되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콧속의 특정부위를 지속적으로 미는 형태로 장착되므로, 장시간 착용하고 있게 되면 지지하는 특정부위에 통증이 발생하게 되어 착용자에게 거부감을 주게 되고, 코를 푼다거나 코를 만지는 등의 행동으로 쉽게 빠지게 되며, 외부의 충격으로 코에 상처를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코 성형기는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지므로, 제작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수개의 부품들 중 어느 하나를 분실하거나 파손할 경우에는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보다 단순하면서도 착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한 보형기 또는 보형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국제특허공보 제1998-006360호(1998.2.19)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보 제3411916호(2003.6.3)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 제2011-167481호(2011.9.1)
(특허문헌 4) 일본공개실용신안 제1994-029516호(1994.4.19)
(특허문헌 5) 한국실용신안공보 제1994-0008509호(1994.12.22)
(특허문헌 6) 한국공개특허 제2005-0084734호(2005.8.29)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 코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는 보형물을 개발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가요성(可撓性)을 나타내는 심재부와, 상기 심재부보다 가요성이 더 큰 외피재부를 포함하도록 보형물을 구성하는 경우, 비강(鼻腔) 내 삽입되어 상기 심재부는 비중격(鼻中膈)에 위치하고, 외피재부의 양 단부는 탄성력에 의하여 외측비연골(外側鼻軟骨)에 힘을 가할 수 있게 되어, 코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요성을 달리하는 심재부와 외피재부를 포함하여 코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는 보형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요성(可撓性)을 나타내는 심재부와, 상기 심재부보다 가요성이 더 큰 외피재부를 포함하여, 비강(鼻腔) 내 삽입되어 코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는 보형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피재부가 상기 심재부의 표면을 완전히 둘러싸며, 상기 보형물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판상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피재부의 표면에 비강 내 삽입을 위한 고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심재부가 비강 내 삽입되어 비중격(鼻中膈)에 위치할 수 있고, 외피재부의 양 단부가 비강 내 삽입되어 외측비연골(外側鼻軟骨)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형물은 비강 내에 완전히 삽입되어 외부에 거의 노출되지 않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콧대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으며, 심재부 및 외피재부의 크기, 가요성 등을 조절하여 교정 형태를 원하는 대로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외과적 수술 없이 보형물의 삽입에 의하여 간단하게 코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 시에는 코 연골의 형태가 변화하여 일정 부분 성형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형물은 전체적인 크기가 매우 작아 보관과 세척작업이 용이하여 항상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형물은 비강 내 공간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축농증 환자나 코감기 환자, 코골이 환자 등에 대한 코 호흡 보조기구로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의 양 단부에 힘을 가하여 휘어진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전체 두께를 달리한 보형물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이 비강 내 삽입된 형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이 비강 내 삽입한 형태를 코의 하부에서 본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보형물
110, 210, 310 : 심재부
120, 220, 320 : 외피재부
330 : 고리부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각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일부 영역의 두께 또는 크기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이하 본 발명의 코 형태 교정을 위한 보형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코의 형태 교정을 위한 보형물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10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100)의 양 단부에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보형물(100)의 휘어진 모양을 나타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형물(100)은 가요성(可撓性)을 나타내는 심재부(110)와, 상기 심재부보다 가요성이 더 큰 외피재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가요성(可撓性)이란 물체가 외부로부터 회전력을 받았을 때 휘는 성질을 말하며, 본 발명의 보형물(100)의 경우 양 단부에 일정한 힘이 가하여지면 휘어질 수 있게 된다. 다만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심재부(110)가 포함된 보형물(100)의 중심 부분은 가요성이 적어 휘어짐이 약하게 나타나나, 심재부(110)가 포함되지 않고 외피재부(120)만으로 이루어진 보형물(100)의 양 단 부분은 상대적으로 가요성이 크므로 더 잘 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외피재부(120)는 보형물(100)이 코 속의 공간에 해당하는 비강(鼻腔) 내 삽입되는 경우 비강 내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가요성을 나타내는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 폴리설폰 등의 플라스틱이나 고무, 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심재부(110)는 외피재부(120)보다 더 큰 가요성을 나타내는 물질이라면 그 종류가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우레탄(PU), 폴리설폰 등의 플라스틱이나 고무,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피재부(120)는 상기 심재부(110)의 표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심재부(11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피재부(120)가 상기 심재부(110)의 표면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외형상의 일관적인 디자인과 적절한 가요성의 확보 및 착용 시 이물감의 감소 면에서 보다 유리하다. 다만 심재부(110)는 보형물(100)의 길이 방향에서 중심부에 위치하고, 보형물(100)의 양 단부는 외피재부(120)만으로 이루어지는 대칭 형태를 나타낼 수 있으나, 심재부(110)가 보형물(100)의 길이 방향에서 중심에 위치하지 않고 한 쪽으로 치우쳐져 외피재부(120)만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단부의 길이가 서로 다른 비대칭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또한, 심재부(110)가 극단적으로 보형물(100)의 한 쪽끝에 형성되어 외피재부(120)만으로 이루어진 단부가 한 쪽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심재부(110)의 길이는 전체 보형물(100)의 길이의 1/2 내지 1/5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비강 내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비중격에 적절한 힘을 가할 수 있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형물(10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심재부(110)가 형성된 부분의 두께가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보형물(100)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판상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 착용자가 느끼는 이물감 면에서 보다 유리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1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형물(100)은 가로 방향이 세로 방향보다 긴 대략적인 직사각형의 스트립(strip)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각 모서리는 비강 내부 표피의 손상을 막기 위하여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모서리에는 별도의 코팅 처리 등이 이루어져 표피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2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형물(200)은 양 단부, 즉 외피재부(220)만으로 이루어진 부분은 그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밖에도 보형물(200)의 전체 형태가 가로 방향이 긴 타원형으로 나타나거나, 기타 심미감을 줄 수 있는 디자인으로 적절하게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300)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피재부(320)의 표면에는 비강 내 삽입을 위한 고리부(3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보형물(300)의 양 단에 한 쌍의 고리부(330)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보형물(300)을 비강 내 삽입하는 착용자 또는 시술자는 상기 고리부(330)에 집게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보형물을 용이하게 비강 내로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다.
보형물의 삽입에 따른 코의 형태 교정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을 비강 내 삽입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비강 내 코의 하부에서 본 것을 나타낸 도면(오른쪽 원 부분은 왼쪽 원 부분을 확대한 것임)이다.
상기 도 7 및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형물(100)의 양 단부에 힘을 가하여 압축시킨 상태에서 보형물(100)을 완전히 삽입하여 코의 형태를 교정할 수 있다.
상기 보형물(100)이 비강 내 삽입되면, 상기 심재부(110)는 좌우 코 안의 경계를 이루는 벽에 해당하는 비중격(鼻中膈)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외피재부(120)의 양 단부는 외측비연골(外側鼻軟骨)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가요성을 나타내는 외피재부(120)의 탄성력에 의하여 비중격의 내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게 되고, 비중격 좌·우에서 가해지는 힘에 따라 콧대가 자연스럽게 세워져 오똑한 코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심재부(110)는 외피재부(1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요성이 적어 비중격에 보형물(100)을 고정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한편, 착용자의 비강 크기 및 보형물(100)의 전체 길이에 따라, 비강 내 삽입된 상태에서 외피재부(120)의 양 단부가 서로 중첩될 수도 있고,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도 있다. 보형물(100)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착용자가 손가락을 사용하여 코의 외부에서 적절한 힘을 가함으로써 보형물(1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보형물(10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비중격에 가하여지는 힘의 세기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보형물(100)은 비강 내 완전히 삽입됨으로써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되므로 착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도 6에 나타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보형물의 경우, 집게 등의 기구를 고리부(330)에 넣고 C자 형태로 변형하여 비강 내 삽입하여, 보형물(300)이 용이하게 비강 내 적절한 위치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비강 내 삽입된 보형물(300)의 고리부(330)에 집게 등의 기구를 넣고 용이하게 비강 외로 빼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비강(鼻腔) 내 삽입되어 코의 형태를 교정하는 보형물에 있어서,
    가요성(可撓性)을 나타내는 심재부와
    상기 심재부보다 가요성이 더 큰 외피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형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부는 상기 심재부의 표면을 완전히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형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형물의 두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판상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형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부의 표면에는 비강 내 삽입을 위한 고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형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부는 비강 내 삽입되어 비중격(鼻中膈)에 위치할 수 있고, 외피재부의 양 단부는 비강 내 삽입되어 외측비연골(外側鼻軟骨)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형물.
PCT/KR2014/005277 2013-06-28 2014-06-17 코의 형태 교정 보형물 WO2014208918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01,682 US20160367393A1 (en) 2013-06-28 2014-06-17 Nasal implant for correction
CN201480035771.2A CN105338929A (zh) 2013-06-28 2014-06-17 鼻子的形态矫正假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797A KR101362100B1 (ko) 2013-06-28 2013-06-28 코의 형태 교정 보형물
KR10-2013-0075797 2013-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8918A1 true WO2014208918A1 (ko) 2014-12-31

Family

ID=5027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5277 WO2014208918A1 (ko) 2013-06-28 2014-06-17 코의 형태 교정 보형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367393A1 (ko)
KR (1) KR101362100B1 (ko)
CN (1) CN105338929A (ko)
WO (1) WO20142089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8196A (zh) * 2016-02-09 2018-11-09 法国医疗整形公司 一组鼻子塑造器具、制造方法和塑造鼻子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613B1 (ko) * 2016-09-27 2018-06-19 안태환 코 수술용 인공 삽입물
US10687945B2 (en) 2017-01-26 2020-06-23 Poriferous, LLC Channel implant
KR102129174B1 (ko) * 2018-09-06 2020-07-01 표경보 코의 비중격 교정장치
WO2020059967A1 (ko) * 2018-09-20 2020-03-26 주식회사 네오닥터 탄성 실 삽입기
CN111603292B (zh) * 2020-05-19 2023-04-28 河南大学 一种儿童鼻中隔偏曲矫正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509Y1 (ko) * 1991-12-10 1994-12-22 박명욱 코 보형물(nasal implant)
WO1998006360A1 (en) * 1996-08-08 1998-02-19 Biofarm S.R.L. Nasal dilator comprising a small number of components
JP3411916B2 (ja) * 1991-06-10 2003-06-03 クリエイティブ・インテグレーション・アンド・デザイ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鼻拡張器
KR20050084734A (ko) * 2004-02-24 2005-08-29 김민철 코성형보형물
JP2011167481A (ja) * 2010-02-16 2011-09-01 Kazumi Osada 鼻美容整形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39606A (en) * 1930-02-17 1932-01-05 George A Simmons Distender for nostrils
GB379243A (en) * 1932-03-24 1932-08-25 Pascual Aguirre Echanove A device for facilitating breathing
US2515756A (en) * 1947-08-30 1950-07-18 Bove Charles Nasal appliance
US3935859A (en) * 1974-09-16 1976-02-03 Doyle Donald E Surgical nasal splint
US4201201A (en) * 1976-09-27 1980-05-06 Vergara Ruben L Orthopedic device for propping and aligning the vertex end point of a sunken nose
KR830001638A (ko) * 1979-09-17 1983-05-18 에즈밀로 론도노 자라밀로 마리아 능비 미용구(陵鼻美容具)
JPH0733775Y2 (ja) * 1992-09-29 1995-08-02 信次郎 坂井 着脱式鼻高整形具
US6106541A (en) * 1997-05-16 2000-08-22 Hurbis; Charles G. Surgically implantable nasal dilator
JPH10323362A (ja) * 1997-05-26 1998-12-08 Katsunari Nishihara 鼻腔拡大矯正装置
US5931852A (en) * 1997-06-04 1999-08-03 Brennan; H. George Nose airway device
ES1040491Y (es) * 1998-05-22 1999-08-16 Guerra Navas Antonio Dispositivo anatomico nasal para ampliar la capacidad respiratoria.
TW406019B (en) * 1998-10-30 2000-09-21 Hong Seong Churl Nose-shaping device
US7381222B2 (en) * 2002-12-30 2008-06-03 Quiescence Medical, Inc. Stent for maintaining patency of a body region
US8491622B2 (en) * 2005-02-24 2013-07-23 Thomas Brown Multi-layer internal nasal dilator with tubular expanders and compound delivery protrusions
GB0607533D0 (en) * 2006-04-13 2006-05-24 James Lawrence C W Apparatus for assisting breathing through a persons nose
US20100042134A1 (en) * 2008-04-18 2010-02-18 Abraham Wien Nostril dilator
CH703013A2 (fr) * 2009-09-04 2011-10-31 Oscimed Sa Dilatateur nasal.
US9381332B2 (en) * 2009-10-30 2016-07-05 Brian Judd Nasal dilator
WO2011119084A1 (en) * 2010-03-23 2011-09-29 Sanda Hadziavdic Adjustable nasal impla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1916B2 (ja) * 1991-06-10 2003-06-03 クリエイティブ・インテグレーション・アンド・デザイ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鼻拡張器
KR940008509Y1 (ko) * 1991-12-10 1994-12-22 박명욱 코 보형물(nasal implant)
WO1998006360A1 (en) * 1996-08-08 1998-02-19 Biofarm S.R.L. Nasal dilator comprising a small number of components
KR20050084734A (ko) * 2004-02-24 2005-08-29 김민철 코성형보형물
JP2011167481A (ja) * 2010-02-16 2011-09-01 Kazumi Osada 鼻美容整形器具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8196A (zh) * 2016-02-09 2018-11-09 法国医疗整形公司 一组鼻子塑造器具、制造方法和塑造鼻子的方法
CN108778196B (zh) * 2016-02-09 2021-02-09 法国医疗整形公司 一组鼻子塑造器具、制造方法和塑造鼻子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38929A (zh) 2016-02-17
KR101362100B1 (ko) 2014-02-12
US20160367393A1 (en)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208918A1 (ko) 코의 형태 교정 보형물
EP2538877B1 (en) Nasal dilator
DE60219910D1 (de) Anatomisches Mundstück mit Halteflügeln
WO2017090930A1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TW200806260A (en)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correcting habits of an oral cavity
AU2021201983B2 (en) A nasal splint
CN109893317A (zh) 一种左右耳通用型外耳部整形器
US20200146891A1 (en) Corrective apparatus for deformed external ear
CA3063093A1 (en) Nasal dil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WO2012105736A1 (ko) 미세돌기가 형성된 의료용 보형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84734A (ko) 코성형보형물
JPH0733775Y2 (ja) 着脱式鼻高整形具
KR100817797B1 (ko) 콧구멍 보형물
GB2304579A (en) Ear splint
CN115192279A (zh) 接受腔内腔结构和假肢
WO2014081070A1 (ko) 가발 내피
CN216702736U (zh) 一种基于增材制造技术的个性化鼻矫形装置
CN214342230U (zh) 一种防护套
KR100955956B1 (ko) 코 성형보형물
Jindal et al. Prosthetic management of post surgical nasal skin graft contracture
FI118616B (fi) Harjoittelumalli
ATE343986T1 (de) Künstlicher kehlkopf
Chander et al. Prosthetic rehabilitation of bilateral external nasal valve area after nasal reconstruction for a congenitally missing nose: A clinical report
KR100791145B1 (ko) 코 보형물
WO2017135519A1 (en) Appliance for retaining expanded palatal wid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0035771.2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169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901682

Country of ref document: US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169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