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595B1 -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595B1
KR101868595B1 KR1020170101233A KR20170101233A KR101868595B1 KR 101868595 B1 KR101868595 B1 KR 101868595B1 KR 1020170101233 A KR1020170101233 A KR 1020170101233A KR 20170101233 A KR20170101233 A KR 20170101233A KR 101868595 B1 KR101868595 B1 KR 101868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tor
healing
terminal
us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경희
Original Assignee
(주)제이앤디힐링뮤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앤디힐링뮤직 filed Critical (주)제이앤디힐링뮤직
Priority to KR1020170101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8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7/3086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상에서 구현되는 앱을 통해 사용자에게 심리 치유 콘텐츠를 제공하는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맞춤형 심리 치유를 위한 음악 콘텐츠를 제공하는 심리 치유 관리 서버;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와 전용의 앱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사용자별 치유 이력을 저장하는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음악 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치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음악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하거나 내려받기 서비스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는, 상기 치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검색하여 상기 음악 콘텐츠를 테마별로 분류하여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테마별 음악 콘텐츠 선택화면을 제공하는 치유 음악 선택 모듈; 상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별 치유 이력에서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음악 테마를 추출하고, 상기 치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음악 테마 중 최신 업데이트 된 음악을 추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최신 테마 추천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음악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와 치유 여부를 질의하고 질의에 대한 응답을 회신하여 상기 치유 이력을 업데이트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치유 이력을 시계열적으로 제공하는 치유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마트폰 앱을 통해 익명성을 보장받는 상태에서 자신의 심리 상태에 맞는 치유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고, 멘토링 서비스를 통해 멘토의 상담 결과를 커뮤니티 공간을 통해 제공받는 동시에 멘토가 지정한 음악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치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 및 방법{PSYCHOLOGICAL HEALING SYSTEM AND METHOD USING APP}
본 발명은 스마트폰 앱(App)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앱을 통해 자연을 모티브로 한 뮤직 테라피(Music Therapy)와 맞춤형 멘토 연결에 의한 멘토링 서비스가 융합된 치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악이 치료의 도구로 사용된 역사는 성서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구약 성서에서 목동 다윗이 사울왕의 질병을 고치기 위해 하프를 연주할 때 악신이 떠나고 제정신이 들었다는 것이 그 예이다. 또한, 원시 시대의 주술사들 역시 음악과 춤을 통해 질병에 걸린 사람을 치료하거나 액운이 깃든 사람의 영혼을 치유하였다.
17세기에 이르러서는 많은 의사들이 음악의 치료 가치에 대하여 생리학적, 심리학적으로 논함으로써 음악의 치료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19세기에는 해부학, 세균학, 생화학, 신경정신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음악 치료를 통해 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임상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20세기에 들어서는 보다 체계화 되었는데, 특히 1차, 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재향군인병원을 중심으로 하나의 전문 분야로 발전하게 되었다.
최근 들어 음악 치료는 크게 교육적 영역, 심리치료 영역, 의료 및 재활 영역으로 구분되어 실시되고 있다. 교육적 영역은 주로 아동을 상대로 음악적 치료 및 교육적 도구로서 음악을 사용하며, 심리치료 영역은 치료 목표를 성취하는데 음악적 경험을 활용하며 음악 감상을 이용하는 수준에서 자기 통찰을 경함하는 수준까지 폭넓게 아우르고 있고, 의료 및 재활 영역은 클라이언트의 신체적 건강을 증진하는데 초점을 두어 물리치료 및 재활치료에 음악을 이용하며 면역성 증진과 통증 감소에도 음악을 적극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음악 치료는 병원이나 치료처에 직접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심리 치유를 받는다는 사실이 노출되는 데에 따르는 부담감이 존재하여, 쉽게 접근하기 어려웠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008949호는 이용자 측의 정보와 음악선곡의 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음악 치료를 수행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치료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동 선행문헌을 참조하면,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이용자 측의 심적 상태정보와 치료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치료자 측의 음악 선곡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양자가 매칭될 경우 치료를 확정한 후 수수료를 지급받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치료자 단말기로부터 음악 선곡정보를 수신하여 이용자 측의 심적 상태정보와 매칭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양의 음악 선곡정보를 필요로 하는데, 심리 치유 전문가의 부족으로 위와 같은 방대한 양의 음악 선곡정보를 구비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음악 선곡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서비스 이용자가 증가되기 어려운 악순환이 계속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008949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쉽게 심리 치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뮤직 테라피와 맞춤형 멘토링 서비스가 융합된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맞춤형 심리 치유를 위한 음악 콘텐츠를 제공하는 심리 치유 관리 서버;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와 전용의 앱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사용자별 치유 이력을 저장하는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음악 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치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음악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하거나 내려받기 서비스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는, 상기 치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검색하여 상기 음악 콘텐츠를 테마별로 분류하여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테마별 음악 콘텐츠 선택화면을 제공하는 치유 음악 선택 모듈; 상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별 치유 이력에서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음악 테마를 추출하고, 상기 치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음악 테마 중 최신 업데이트 된 음악을 추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최신 테마 추천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음악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와 치유 여부를 질의하고 질의에 대한 응답을 회신하여 상기 치유 이력을 업데이트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치유 이력을 시계열적으로 제공하는 치유 상태 확인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은, 상기 치유 음악 선택 모듈에 의해 상기 음악 콘텐츠를 테마별로 분류하는 것은 자연을 모티브로 한 주제별로 분류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은,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와 전용의 앱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멘토 단말을 더 포함하여,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는,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멘토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멘토 단말 간에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하는 멘토-멘티 매칭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은, 상기 멘토 단말은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음악 콘텐츠를 지정하고,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는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 지정된 음악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은,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의 상담 내역을 평가하는 멘토 평가 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작성된 멘토 평가 항목을 상기 치유 이력에 업데이트하는 멘토 평가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은,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는,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의 상담 내역 및 상기 멘토 평가 모듈에 의한 멘토 평가 항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시계열적으로 제공하는 멘토링 결과 확인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음악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음악 콘텐츠를 내려받기 서비스로 제공하는 다운로드 서버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서버가 복합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방법은, 사용자에게 맞춤형 심리 치유를 위한 음악 콘텐츠를 제공하는 심리 치유 관리 서버와,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와 전용의 앱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사용자별 치유 이력을 저장하는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상기 음악 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치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음악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하거나 내려받기 서비스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심리 치유 시스템 상에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인증하는 단계; (b)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에서 상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별 치유 이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음악 테마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에서 상기 치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음악 테마 중 최신 업데이트 된 음악 콘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d) 상기 단계(c)에서 추출된 음악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e) 상기 단계(d)에서 제공되는 음악 콘텐츠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지정하는 단계; 및 (f)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상기 단계(e)에서 지정된 음악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방법은, 사용자에게 맞춤형 심리 치유를 위한 음악 콘텐츠를 제공하는 심리 치유 관리 서버와,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와 전용의 앱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와 전용의 앱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멘토 단말과,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음악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하거나 내려받기 서비스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심리 치유 시스템 상에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인증하는 단계; (b)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멘토의 이력을 포함하는 멘토 정보를 멘토별로 나열하여 표시하는 멘토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멘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멘토를 선택하는 멘토 신청을 입력받는 단계; (d) 상기 단계(c)에서 선택된 멘토 단말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전송하여 멘티 승인 여부를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 멘티 승인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 및 (f) 상기 단계(e)에서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 멘티 승인이 결정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멘토 단말 간에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방법은, (g)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에서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 멘티별 음악 콘텐츠의 지정을 수신하는 단계; (h) 상기 단계(g)에서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 지정된 상기 멘티별 음악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및 (i)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상기 단계(h)에서 전달받은 음악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가 스마트폰 앱을 통해 익명성을 보장받는 상태에서 자신의 심리 상태에 맞는 치유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고, 멘토링 서비스를 통해 멘토의 상담 결과를 커뮤니티 공간을 통해 제공받는 동시에 멘토가 지정한 음악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치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치유 음악 선택 과정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최신 테마 추천 과정을 예시한 데이터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 맞춤형 치유 음악 제공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멘토링 커넥팅 서비스를 예시한 데이터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에 멘토 리스트를 제공하는 예를 보인 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멘토링 서비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가 설명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그 형상과 상대적인 척도는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중복되는 설명이나 당해 분야에서 자명한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되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기재된 구성요소 외에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은 심리 치유 관리 서버(100)와, 사용자 단말(200)과, 멘토 단말(300)과,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와, 치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500)와, 콘텐츠 제공 서버(600, 70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200)과 멘토 단말(300)은 심리 치유 관리 서버(100) 및 콘텐츠 제공 서버(600, 700)에 이동통신망(800)을 통해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이동통신 모듈을 구비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의 단말이다. 이동통신 모듈은 예컨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듈이거나 LTE(Long Term Evolution) 모듈이다.
사용자 단말(200)과 멘토 단말(300)에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심리 치유 시스템 및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 전용의 앱(App)이 설치된다. 사용자 단말 전용 앱(210)은 심리 치유 관리 서버(100) 및 콘텐츠 제공 서버(600, 7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전용의 앱으로서, 치유 음악의 선택, 추천, 스트리밍, 다운로드 등을 위한 앱이다. 멘토 단말 전용 앱(310)은 심리 치유 관리 서버(100)에 멘토링 상담 내역 등을 전송하고, 심리 치유 관리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커뮤니티 공간에서 사용자 단말(200)에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의 앱이다.
심리 치유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맞춤형 심리 치유를 위한 음악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심리 치유 서비스를 위해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400), 치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500), 콘텐츠 제공 서버(600, 700)와 인터넷(900)을 통해 연결된다. 인터넷(90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등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사용자별 치유 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버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연령, 성별, 간단한 신체정보, 병력 등의 개인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한다. 사용자별 치유 이력은 사용자가 선택한 치유 음악, 치유 음악을 듣고 난 후의 자체 평가, 사용자와 멘토 간의 상담 내역, 멘토에 대한 평가 등의 항목을 포함한다.
치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500)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음악 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서버이다. 음악 콘텐츠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되며, 심리 치유 관리 서버(100)는 치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500)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치유 음악을 지정한다.
콘텐츠 제공 서버(600, 700)는 심리 치유 관리 서버(100)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에 음악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스트리밍 서버(600)와 다운로드 서버(700)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서버가 복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버(600)는 사용자 단말(200)에 음악 콘텐츠를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제공하는 서버이며, 다운로드 서버(700)는 사용자 단말(200)에 음악 콘텐츠를 내려받기 서비스로 제공하는 서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심리 치유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치유 음악을 제공하는 뮤직 테라피를 위한 모듈(110, 120, 130)과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160, 170, 180)을 포함한다. 각 모듈은 심리 치유 관리 서버(100)에서 프로그래밍에 의해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 전용 앱(210)과 데이터를 주고받아 고유의 기능을 수행한다.
치유 음악 선택 모듈(110)은 치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500)를 검색하여 음악 콘텐츠를 테마별로 분류하여 추출하고, 사용자 단말(200)에 테마별 음악 콘텐츠 선택화면을 제공한다. 예컨대, 음악 콘텐츠를 비, 이슬, 꽃, 바람과 같은 자연을 모티브로 한 주제별로 분류하여 음악 콘텐츠 선택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최신 테마 추천 모듈(120)은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테마의 음악 중 최신 업데이트 된 음악을 추천하는 모듈이다. 최신 테마 추천 모듈(120)은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를 검색하여 사용자별 치유 이력에서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음악 테마를 추출한다. 그리고 치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500)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음악 테마 중 최신 업데이트 된 음악을 추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한다.
치유 상태 확인 모듈(130)은 사용자가 자신의 치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치유 상태 확인 모듈(130)은 사용자 단말(200)에 음악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와 치유 여부를 질의하고 질의에 대한 응답을 회신하여 치유 이력을 업데이트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전용 앱(210)을 통해 치유 이력을 시계열적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치유 만족도 및 치유 평가 항목을 시계열 그래프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본인에게 맞는 치유 음악이 어떤 것이고 어떤 형태로 심리 상태가 안정화되고 발전되는지를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멘토-멘티 매칭 모듈(160)은 멘토 단말(300)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0)에 멘토 리스트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 단말(200)과 멘토 단말(300) 간에 전용의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하여 멘토와 멘티를 매칭시키는 모듈이다. 멘토-멘티 매칭 모듈(160)에 의한 멘토링 서비스 제공 과정에 대하여는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멘토 평가 모듈(170)은 사용자 단말(200)에 멘토 단말(300)로부터의 상담 내역을 평가하는 멘토 평가 항목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작성된 멘토 평가 항목을 치유 이력에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복수 등급 중 하나로 선택하도록 하고, 멘토링 서비스 이후의 결과를 치유 이력에 업데이트 한다.
멘토링 결과 확인 모듈(180)은 멘토 단말(300)로부터의 상담 내역 및 멘토 평가 모듈(170)에 의한 멘토 평가 항목을 사용자 단말(200)에 시계열적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멘토링 서비스를 받아온 히스토리를 일목요연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멘토를 유지할 것인지 변경할 것인지를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멘토 평가 결과, 멘토링 서비스가 낮은 만족도를 기록하고, 그러한 기록이 누적될 경우 해당 멘토의 멘토 단말(300)에 대하여 주의, 경고, 퇴출 등의 알람을 단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멘토링 서비스가 높은 만족도를 기록할 경우 멘토에 대한 보상을 증가시키는 등으로 멘토링 서비스의 질적 안정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치유 음악 선택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200)로서 스마트폰을 예시하였으며, 사용자 단말(200)의 하단부 베젤에는 홈 키(222), 메뉴 키(224), 뒤로가기 키(226)가 터치 키(touch key)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물론, 사용자 단말(200)은 태블릿 PC 등의 단말로 대체될 수 있으며, 물리적인 터치 키(touch key)는 가상의 소프트 키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 전용 앱(210) 상의 디스플레이는 모두 터치 유저 인터페이스(TUI: Touch User Interface) 기반에서 앱이 실행되는 것을 예시한 것으로서, 각 디스플레이 상의 표시 항목들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실행되거나 입력 항목이 활성화되는 아이콘으로 기능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 상에서 전용 앱을 실행시킨 후 자동으로 로그인이 진행될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은 치유 음악 선택 페이지(240)가 메인 화면으로 나타날 수 있다. 메인 화면의 좌측 상단에는 메뉴 키(224)가 표시된다. 메뉴 키(224)가 입력될 경우 앱 상에서 구현되는 항목들이 드롭다운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치유 음악 선택 페이지(240) 상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실행 아이콘(242, 244, 246, 248, 252, 254, 256, 258)들이 배치된다.
치유 음악 선택 모듈(110)에 의해 테마별로 분류되는 음악 콘텐츠 선택 항목(242, 244, 246, 248)들은 각각 비와 함께 테마 항목(242), 이슬과 함께 테마 항목(244), 꽃과 함께 테마 항목(246), 바람과 함께 테마 항목(248)이다. 어느 하나의 음악 콘텐츠 선택 항목이 선택될 경우, 자연을 모티브로 한 테마의 음악 콘텐츠들이 나열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비와 함께 테마 항목(242)을 선택할 경우, 치유 음악 선택 모듈(110)은 비를 테마로 하는 음악 콘텐츠들을 나열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당해 테마 중 어느 하나의 음악 콘텐츠를 선택하면, 콘텐츠 제공 서버(600, 700)를 통해 선택된 음악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무료듣기 항목(252)은 비회원 사용자 또는 무료회원 사용자에게 치유 음악 서비스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무료듣기 항목(252)을 입력하면 샘플 음악이 소정 시간 동안 재생된다. 공지사항 항목(254)은 공지사항 게시판으로 연결되는 항목이며, 이용후기(256) 항목은 사용자들에 의해 작성된 이용후기 게시판으로 연결되는 항목이며, 회사소개(258) 항목은 심리 치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의 소개 페이지로 연결되는 항목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최신 테마 추천 과정을 예시한 데이터 흐름도로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게 최신 업데이트된 치유 음악 중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맞춤형 음악 콘텐츠를 추천하고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심리 치유 관리 서버(100)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접속을 인증하는 것으로 단계가 시작된다(단계 ①). 예를 들어, 사용자의 로그인이나 회원가입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을 식별하고 인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심리 치유 관리 서버(100)의 최신 테마 추천 모듈(120)은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400)를 검색하여 사용자별 치유 이력으로부터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음악 테마를 추출한다(단계 ②). 그리고 치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500)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음악 테마 중 최신 업데이트 된 음악 콘텐츠를 추출한다(단계 ③).
다음으로, 단계 ③에서 추출된 음악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0)에 추천한다(단계 ④).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전용 앱(210) 상에서 추천된 테마 중 하나 이상의 음악 콘텐츠를 선택하면(단계 ⑤), 콘텐츠 제공 서버(600, 700)에 사용자가 선택한 음악 콘텐츠를 지정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단계 ⑥). 이때 사용자 단말(200)에 음악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받을 것인지 내려받기 서비스로 제공받을 것인지를 질의하고, 단계 ⑥의 요청 시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식으로 음악 콘텐츠를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 다음으로 콘텐츠 제공 서버(600, 700)에서 지정된 음악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단계 ⑦).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 맞춤형 치유 음악 제공 예를 보인 도면으로, 사용자 단말 전용 앱(210) 상에서 추천 테마 표시 페이지(260)가 실행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사용자를 상대로 심리 치유 교육을 진행하는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추천 테마 표시 페이지(260)의 상부에는 연령 선택 항목(262), 교육월 선택 항목(264), 교육주차 선택 항목(266)이 표시될 수 있다. 각 항목(262, 264, 266)을 탭(tab, 터치 입력 제스처)으로 입력하면, 드롭다운 목록이 활성화 되고 드롭다운 목록 상에서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맞는 항목들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연령 선택 항목(262)을 통해 자신의 연령에 해당하는 항목을 입력할 수 있다. 심리 치유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사용자의 경우, 교육월 선택 항목(264) 및 교육주차 선택 항목(266)을 통해 교육이 진행중인 월과 주차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사항을 고객 정도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연령과 교육월 및 주차에 해당하는 테마를 순차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최신 테마 추천 모듈(120)이 사용자의 이전 치유 이력을 참조하여 사용자 맞춤형의 테마를 추천할 수도 있다. 추천 순위에 따라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과 함께 테마 항목(272), 꽃과 함께 테마 항목(274), 비와 함께 테마 항목(276), 이슬과 함께 테마 항목(278)이 순차로 나열되어 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멘토링 커넥팅 서비스를 예시한 데이터 흐름도로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게 멘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심리 치유 관리 서버(100)에서 사용자 단말(200)의 접속을 인증하는 것으로 단계가 시작된다(단계 ①). 예를 들어, 사용자의 로그인이나 회원가입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을 식별하고 인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멘토-멘티 매칭 모듈(160)은 멘토 단말(300)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0)에 멘토의 이력을 포함하는 멘토 정보를 멘토별로 나열하여 표시하는 멘토 리스트를 제공한다(단계 ②).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자 단말에 멘토 리스트를 제공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전용 앱(210) 상에서 멘토링 리스트 제공 페이지(280)가 표시된다. 멘토링 리스트 제공 페이지(280) 상에는 멘토 정보가 순차로 나열되어 표시되며, 멘토 정보는 멘티를 많이 보유한 멘토가 최상에 위치하는 순서로 표시될 수 있다.
각각의 멘토 정보는 멘토 이력 표시 항목(282), 멘토 사진 표시 항목(284), 멘티 수량 표시 항목(286), 게시글 수량 표시 항목(287)으로 구성된다. 멘토 이력 표시 항목(282)은 멘토의 이력을 표시하며, 멘토 사진 표시 항목(284)은 멘토의 사진 이미지를 표시한다. 멘티 수량 표시 항목(286)은 해당 멘토와 커넥팅되어 멘토링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멘티의 수량을 표시하며, 게시글 수량 표시 항목(287)은 해당 멘토가 올린 게시물의 수량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멘토링 리스트 제공 페이지(280) 상에서 멘토들의 정보를 확인하고 원하는 멘토에 대하여 멘토 신청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멘토 사진 표시 항목(284)을 입력하면 도 7에서와 같은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전용 앱(210) 상에서 멘토별 커넥트 페이지(290)가 활성화 된다. 멘토별 커넥트 페이지(290)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멘토의 사진을 표시하는 멘토 사진 표시 항목(292)이 표시된다. 멘토 사진 표시 항목(292)의 아래에는 해당 멘토의 이름이 같이 표시될 수 있다.
멘토 사진 표시 항목(292)의 아래에는 해당 멘토가 올린 자신의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요약 설명이 표시되는 멘토 코멘트 표시 항목(294)이 나타나며, 그 아래로는 멘토 신청 항목(296)과 멘토 상담 항목(298)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멘토 신청 항목(296)을 입력하는 것으로 해당 멘토에 대한 멘토 신청을 완료할 수 있다(단계 ③).
멘토 상담 항목(298)은 이미 멘토-멘티 커넥팅이 완료된 상태에서 해당 멘토에게 심리 상담 요청 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항목이다. 사용자가 멘토 상담 항목(298)을 입력할 경우 상담 내용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활성화 된다.
멘토별 커넥트 페이지(290)의 하단에는 해당 멘토와 사용자가 주고받은 상담 내역이 표시되는 상담 리스트 표시 항목(299)이 나타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멘토 신청이 접수된 이후, 심리 치유 관리 서버(100)는 멘토 단말(300)에 멘티 승인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④). 이때, 사용자 단말(200)에서 입력한 개인 정보 중 사용자가 공개를 허용한 정보들이 멘토 단말(300)로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다음으로, 멘토 단말(300)로부터 신청 대상 사용자(즉, 멘티)에 대한 승인 여부를 수신한다(단계 ⑤).
만약, 단계 ⑤에서 멘토 단말(300)로부터 승인으로 결정되면, 멘토-멘티 매칭 모듈(160)은 해당 사용자 단말(200)과 멘토 단말(300) 간에 전용의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하고, 멘토-멘티 매칭 이력을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400)에 업데이트 한다. 사용자 단말(200)과 멘토 단말(300)은 전용의 커뮤니티 공간 상에서 상담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단계 ⑥, 단계 ⑦).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멘토가 상담 내역을 기반으로 멘티에게 맞는 맞춤형 치유 콘텐츠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심리 상태에 적합한 음악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⑧에서 멘토 단말(300)은 심리 치유 관리 서버(100)에 멘티별 맞춤 치유 콘텐츠(예컨대, 상술한 음악 콘텐츠)를 지정할 수 있다. 심리 치유 관리 서버(100)는 멘토에 의해 지정된 음악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600, 700)에 전달한다(단계 ⑨). 그리고 콘텐츠 제공 서버(600, 700)에서 사용자 단말(200)에 지정된 치유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단계 ⑩), 멘토링 서비스와 연계된 사용자 맞춤형 치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개시된 발명은 기본적인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위의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실시예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에 따라 정해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에 한정된 구성요소를 균등물로 치환한 경우 이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심리 치유 관리 서버 110 : 치유 음악 선택 모듈
120 : 최신 테마 추천 모듈 130 : 치유 상태 확인 모듈
160 : 멘토-멘티 매칭 모듈 170 : 멘토 평가 모듈
180 : 멘토링 결과 확인 모듈 200 : 사용자 단말
210 : 사용자 단말 전용 앱 222 : 홈 키
224 : 메뉴 키 226 : 뒤로가기 키
230 : 메뉴 항목 240 : 치유 음악 선택 페이지
242 : 비와 함께 테마 항목 244 : 이슬과 함께 테마 항목
246 : 꽃과 함께 테마 항목 248 : 바람과 함께 테마 항목
252 : 무료듣기 항목 254 : 공지사항 항목
256 : 이용후기 항목 258 : 회사소개 항목
260 : 추천 테마 표시 페이지 262 : 연령 선택 항목
264 : 교육월 선택 항목 266 : 교육주차 선택 항목
272 : 바람과 함께 테마 항목 274 : 꽃과 함께 테마 항목
276 : 비와 함께 테마 항목 278 : 이슬과 함께 테마 항목
280 : 멘토링 리스트 제공 페이지 282 : 멘토 이력 표시 항목
284 : 멘토 사진 표시 항목 286 : 멘티 수량 표시 항목
287 : 게시글 수량 표시 항목 290 : 멘토별 커넥트 페이지
292 : 멘토 사진 표시 항목 294 : 멘토 코멘트 표시 항목
296 : 멘토 신청 항목 298 : 멘토 상담 항목
299 : 상담 리스트 표시 항목 300 : 멘토 단말
310 : 멘토 단말 전용 앱 400 :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
500 : 치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
600 : 콘텐츠 제공 서버(스트리밍 서버)
700 : 콘텐츠 제공 서버(다운로드 서버)
800 : 이동통신망 900 : 인터넷

Claims (10)

  1. 사용자에게 맞춤형 심리 치유를 위한 음악 콘텐츠를 제공하는 심리 치유 관리 서버;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와 전용의 앱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사용자 단말;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와 전용의 앱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멘토 단말;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 및 사용자별 치유 이력을 저장하는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
    상기 음악 콘텐츠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치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음악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하거나 내려받기 서비스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는,
    상기 치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검색하여 상기 음악 콘텐츠를 테마별로 분류하여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테마별 음악 콘텐츠 선택화면을 제공하는 치유 음악 선택 모듈;
    상기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별 치유 이력에서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음악 테마를 추출하고, 상기 치유 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검색하여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음악 테마 중 최신 업데이트 된 음악을 추천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최신 테마 추천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음악 콘텐츠에 대한 만족도와 치유 여부를 질의하고 질의에 대한 응답을 회신하여 상기 치유 이력을 업데이트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치유 이력을 시계열적으로 제공하는 치유 상태 확인 모듈; 및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멘토 정보를 멘토별로 나열하여 표시하는 멘토 리스트를 제공하되, 상기 멘토 정보 각각은 멘토의 이력을 표시하는 멘토 이력 표시 항목과, 멘토의 사진 이미지를 표시하는 멘토 사진 표시 항목과, 해당 멘토와 커넥팅되어 멘토링 서비스를 실시중인 멘티의 수량을 표시하는 멘티 수량 표시 항목과, 해당 멘토가 업로드 한 게시물의 수량을 표시하는 게시글 수량 표시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상기 멘토 사진 표시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입력되면 선택된 멘토와 관련된 멘토별 커텍트 페이지로 연결하되, 상기 멘토별 커넥트 페이지는 해당 멘토의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요약 설명을 표시하는 멘토 코멘트 표시 항목과,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멘토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는 멘토 신청 항목과, 해당 멘토에게 심리 상담 요청 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멘토 상담 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멘토 단말의 매칭이 이루어질 경우 전용의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하는 멘토-멘티 매칭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멘토 단말은 상기 앱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음악 콘텐츠를 지정하고,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는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 지정된 음악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유 음악 선택 모듈에 의해 상기 음악 콘텐츠를 테마별로 분류하는 것은 자연을 모티브로 한 주제별로 분류하는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의 상담 내역을 평가하는 멘토 평가 항목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작성된 멘토 평가 항목을 상기 치유 이력에 업데이트하는 멘토 평가 모듈을 더 포함하는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는,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의 상담 내역 및 상기 멘토 평가 모듈에 의한 멘토 평가 항목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시계열적으로 제공하는 멘토링 결과 확인 모듈을 더 포함하는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2항, 제5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음악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 및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음악 콘텐츠를 내려받기 서비스로 제공하는 다운로드 서버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의 서버가 복합적으로 구성된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
  8. 삭제
  9. 사용자에게 맞춤형 심리 치유를 위한 음악 콘텐츠를 제공하는 심리 치유 관리 서버와,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와 전용의 앱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와 전용의 앱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멘토 단말과,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의 요청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음악 콘텐츠를 스트리밍 서비스로 제공하거나 내려받기 서비스로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심리 치유 시스템 상에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인증하는 단계;
    (b)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멘토의 이력을 포함하는 멘토 정보를 멘토별로 나열하여 표시하는 멘토 리스트를 제공하되, 상기 멘토 정보 각각은 멘토의 이력을 표시하는 멘토 이력 표시 항목과, 멘토의 사진 이미지를 표시하는 멘토 사진 표시 항목과, 해당 멘토와 커텍팅되어 멘토링 서비스를 실시중인 멘티의 수량을 표시하는 멘티 수량 표시 항목과, 해당 멘토가 업로드 한 게시물의 수량을 표시하는 게시글 수량 표시 항모을 포함하도록 하여 상기 멘토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멘토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멘토 사진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멘토와 관련된 멘토별 커넥트 페이지로 연결하되, 상기 멘토별 커넥트 페이지는 해당 멘토의 멘토링 서비스에 대한 요약 설명을 표시하는 멘토 코멘트 표시 항목과,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멘토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는 멘토 신청 항목과, 해당 멘토에게 심리 상담 요청 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멘토 상담 항목을 포함하도록 멘토별 커넥트 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멘토 신청 항목이 입력되면 선택된 멘토 단말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전송하여 멘티 승인 여부를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 멘티 승인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
    (f) 상기 단계(e)에서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 멘티 승인이 결정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멘토 단말 간에 커뮤니티 공간을 제공하는 단계;
    (g) 상기 심리 치유 관리 서버에서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 멘티별 음악 콘텐츠의 지정을 수신하는 단계;
    (h) 상기 단계(g)에서 상기 멘토 단말로부터 지정된 상기 멘티별 음악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및
    (i)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상기 단계(h)에서 전달받은 음악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방법.
  10. 삭제
KR1020170101233A 2017-08-09 2017-08-09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 및 방법 KR101868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233A KR101868595B1 (ko) 2017-08-09 2017-08-09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233A KR101868595B1 (ko) 2017-08-09 2017-08-09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595B1 true KR101868595B1 (ko) 2018-06-18

Family

ID=62767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233A KR101868595B1 (ko) 2017-08-09 2017-08-09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5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602B1 (ko) * 2018-11-15 2020-04-24 김철수 맞춤형 소음제공 시스템
KR20210104298A (ko) * 2020-02-17 2021-08-25 이은희 스마트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지기능 훈련서비스 제공방법
KR102651143B1 (ko) * 2023-09-11 2024-03-25 주식회사 인프랩 인공지능 기반 멘토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20240061369A (ko) 2022-10-31 2024-05-08 주식회사 씨엘엠앤에스 심리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심리상담용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949A (ko) 2002-07-19 2004-01-31 이성진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치료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15310A (ko) * 2007-08-08 2009-02-12 (주)넷피온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한 심리진단결과에 기초한 진료 또는 상담의자동예약시스템 및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심리상담시스템
KR20140054491A (ko) * 2012-10-26 2014-05-09 한창연 사용자 맞춤형의 힐링 음악 제공 시스템 및 힐링 음악 제공 방법
KR20170075324A (ko) * 2015-12-23 2017-07-03 정병규 개인 생활 패턴 정보 기반의 심리 진단을 통한 심리 치유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949A (ko) 2002-07-19 2004-01-31 이성진 인터넷을 이용한 음악치료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15310A (ko) * 2007-08-08 2009-02-12 (주)넷피온시스템 네트워크를 통한 심리진단결과에 기초한 진료 또는 상담의자동예약시스템 및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심리상담시스템
KR20140054491A (ko) * 2012-10-26 2014-05-09 한창연 사용자 맞춤형의 힐링 음악 제공 시스템 및 힐링 음악 제공 방법
KR20170075324A (ko) * 2015-12-23 2017-07-03 정병규 개인 생활 패턴 정보 기반의 심리 진단을 통한 심리 치유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602B1 (ko) * 2018-11-15 2020-04-24 김철수 맞춤형 소음제공 시스템
WO2020101338A1 (ko) * 2018-11-15 2020-05-22 김철수 맞춤형 소음중계시스템
CN113039574A (zh) * 2018-11-15 2021-06-25 金哲洙 个性化噪音中继系统
KR20210104298A (ko) * 2020-02-17 2021-08-25 이은희 스마트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지기능 훈련서비스 제공방법
KR102301765B1 (ko) * 2020-02-17 2021-09-14 이은희 스마트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지기능 훈련서비스 제공방법
KR20240061369A (ko) 2022-10-31 2024-05-08 주식회사 씨엘엠앤에스 심리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심리상담용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기 위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51143B1 (ko) * 2023-09-11 2024-03-25 주식회사 인프랩 인공지능 기반 멘토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ulagain et al. An integrated behavioral model for medical tourism: An American perspective
KR101868595B1 (ko) 앱을 이용한 심리 치유 시스템 및 방법
Meyer et al.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people with dementia: A review of reviews
Liu Intimacy and intergenerational relations in rural China
JP6205270B2 (ja) ユーザカスタマイズ型コンテンツ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814706B1 (ko) 심리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Mountain et al. Developing and testing a telerehabilitation system for people following stroke: issues of usability
US201402291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and customized questionnaire generation
US20100205006A1 (en) Method, generator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system for generating medical advice
KR20140050352A (ko) 병원 추천 방법 및 시스템
Weerasuriya et al. Accessing green spaces within a healthcare setting: A mixed studies review of barriers and facilitators
US20140222455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healthcare information
US20100153287A1 (en) Method and system to transition a person from diagnosis to wellness
KR101887643B1 (ko) 머신 러닝 기반의 공공데이터 추천 장치 및 방법
Tu et al.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mobile health technology by older people in Guangzhou, China: a qualitative study
Bellamy et al. Development of the citizens measure into a tool to guide clinical practice and its utility for case managers
Branson A case for family coaching in early intervention
Liu et al. Understanding the reality of China’s health tourism and consumer demand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A cross-sectional study
Hashim et al. Online Blood Donation Reservation And Managementsystem In Jeddah
Martins et al. Web platform for serious games’ management
JP2005018653A (ja) リハビリメニュー提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介護サービス支援システム
Smock et al. Systemic interventions in substance-abuse treatment: past, present, and future
KR20010104856A (ko) 인터넷 의료상담 서비스방법
KR101816707B1 (ko) 셀프 및 상담 코칭 기반의 하이브리드 코칭 시스템, 그리고 셀프 및 상담 코칭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JP5674208B2 (ja) 賃貸物件検索サー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