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129B1 - 다중 초점 렌즈 - Google Patents

다중 초점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129B1
KR101868129B1 KR1020127030949A KR20127030949A KR101868129B1 KR 101868129 B1 KR101868129 B1 KR 101868129B1 KR 1020127030949 A KR1020127030949 A KR 1020127030949A KR 20127030949 A KR20127030949 A KR 20127030949A KR 101868129 B1 KR101868129 B1 KR 101868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zones
zone
section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7438A (ko
Inventor
베르너 피알라
마리오 게를라흐
Original Assignee
칼 짜이스 메디텍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짜이스 메디텍 아게 filed Critical 칼 짜이스 메디텍 아게
Publication of KR20130057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4Contact lenses for the eyes
    • G02C7/041Contact lenses for the eyes bifocal; multifocal
    • G02C7/044Annular configuration, e.g. pupil tune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2/00Generic opt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subgroups of G02C7/00
    • G02C2202/20Diffractive and Fresnel lenses or lens por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Prostheses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다중 초점 렌즈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n > 2 인 n개의 주요 도수 (principal power)들을 가진 다중 초점 렌즈 (13, 18, 24)에 관련되며,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주요 도수는 굴절성이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주요 도수는 회절성이며, 적어도 하나의 제1 환상 (annular) 구역 (6, 10, 19, 27, 28)을 구비한 제1 렌즈 부 (15, 16, 23, 25, 26)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 환상 구역 (6, 10, 19, 27, 28)을 구비한 제2 렌즈 부 (15, 16, 23, 25, 26)를 포함하며, 상기 구역들 (6, 10, 19, 27, 28)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메인 서브-구역 (7, 11, 20, 29, 31) 및 적어도 하나의 위상 서브-구역 (8, 12, 21, 30, 32)을 구비하며, 이 경우 n 개의 주요 도수들을 형성하기 위해 최대 n-1 개 렌즈 부들 (15, 16, 23, 25, 26)이 결합되며, 상기 제1 렌즈 부 (15, 16, 23, 25, 26)의 구역 (6, 10, 19, 27, 28)의 평균 굴절 도수 (refractive power)는 상기 제2 렌즈 부 (15, 16, 23, 25, 26)의 구역 (6, 10, 19, 27, 28)의 평균 굴절 도수와 동일하다.

Description

다중 초점 렌즈{Multifocal lens}
본 발명은 n > 2 인 n개의 주요 도수 (principal power)들을 가진 다중 초점 렌즈에 관련되며,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주요 도수는 굴절성이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주요 도수는 회절성이다. 상기 다중 초점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환상 (annular) 구역을 구비하는 제1 렌즈 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 환상 구역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 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역들은 각각 적어도 메인 서브-구역을 갖추고 그리고 적어도 위상 서브-구역을 갖추면서 형성된다.
굴절 도수 (refractive power) 및 회절 도수 (diffractive power)를 가진 다중 초점 렌즈는 특허 EP 1 194 797 B1 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 렌즈는 환상 구역들 (annular zones) 또는 원형-환상 구역을 구비하며, 이 경우 이 환상 구역들 각각은 하나의 메인 서브-구역 및 하나의 위상 서브-구역으로 각각 나누어진다. 상기 메인 서브-구역들의 체제는 두 개의 주요 도수들을 구비한 회절 렌즈를 나타낸다. 상기 위상 서브-구역들 내 굴절 도수들은, 전체 구역의 또는 전체 렌즈의 평균 굴절 도수가 상기 두 개의 주요 회절 도수들 중의 하나에 대응하도록 선택된다. 통상적인 회절 렌즈들에 대조적으로, EP 1 194 797 B1 특허에 따른 렌즈는 렌즈 표면상에 어떤 지형적인 또는 광학적인 스텝들도 가지지 않는다.
EP 1 194 797 B1 특허에서, 삼중 초점 렌즈들이 또한 설명되며, 그 경우에 평균 굴절 도수는 세 개의 주요 도수들의 평균과 같으며, 그 경우 가장 큰 주요 도수는 +1계 (+1st order)의 회절 도수로 주어지며, 그리고 그 경우 가장 작은 주요 도수는 -1계의 회절 도수로 주어진다.
상기 설명된 유형의 삼중 초점 렌즈는 상기 세 개의 주된 초점들 중의 가장 작은 것 그리고 가장 큰 것 둘 모두에서 세로 방향의 색수차들 (chromatic aberrations)을 가진다. 그런 렌즈들이 안과 렌즈들 (예를 들면, 콘택트 렌즈들, 안구 내 렌즈 (intraocular lens) 들)로서 채택된다면, 특히 상기 주요 도수들 중에서 가장 작은 도수에서 세로 방향의 색수차는 불편하다. 즉, 이 도수는 멀리 있는 물체들을 상을 비추기 위해서 사용되고 그리고 -1계 회절과 연관된 세로 방향 색수차가 특히 그런 사용에 있어서 불안하게 한다.
둘 보다 더 많은 주요 도수들을 가진 다중 초점 렌즈들은 그 렌즈들이 먼 거리에서, 중간 거리에서 그리고 독서하는 거리에서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안과의 영역에서는 특별히 필요하다. EP 1 194 797 B1 특허에 따른 삼중 초점 렌즈들 외에도, 다른 삼중 초점 렌즈들이 알려져 있다. US 5,344,447 특허에서는 삼중 초점 회절 렌즈들이 설명되며, US 5,760,871 특허에서는 추가의 삼중 렌즈가 또한 설명된다. 추가적인 삼종 초점 렌즈가 US 2008/0030677 A1 특허에서 설명된다.
US 5,344,447 특허에 따른 삼중 초점 렌즈는 세로 방향의 색수차를 가진 -1계 회절 도수와 동일한 최소의 주요 회절 도수를 가진다. 또한, 이 렌즈는 렌즈 표면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개는 굴절 렌즈들에 지형적인 또는 광학적인 스텝들을 가진다.
US 5,760,871 특허에 따른 삼중 초점 렌즈 역시 최소의 주요 회절 도수를 가지며, 이는 세로 방향의 색수차에 -1계 회절 (-1st diffraction order)에 대응한다.
US 2008/0030677 A1 특허에 따른 삼중 초점 렌즈는 최소의 주요 회절 도수를 가지며, 이는 0계 회절에 대응하며, 그리고 최대의 도수를 가지며, 이는 회절 렌즈의 1계 회절에 대응한다. 이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인접한 회절성 스텝들의 특정 설계에 의해서, 광이 이 도수들의 두 초점들 사이의 위치로 향한다. 통상적인 모든 회절 렌즈들처럼, 이 렌즈는 렌즈의 두 표면들 중 하나의 표면 위에 지형적인 스텝들 또는 광학적인 스텝들을 가진다.
렌즈 표면 상의 지형적인 스텝들은 여러 가지 이유들로 인해서 불편하다: 대개, 그런 스텝들은 필요한 정밀도로 생산하기 어렵거나 또는 생산할 수 없다. 또한, 그런 스텝들은 콘택트 렌즈들과 같은 안과 렌즈들에서는 안락함을 해치는 불리한 것이다.
회절 렌즈 또는 회절성 렌즈는, 각각이 동일한 면적을 가진 여러 원형-환상 렌즈 구역들로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 대개 그런 구역들은 프레넬 구역 (Fresnel zone)들로 불린다. 인접한 구역들 사이에, 스텝과 연관된 경로 길이 차이들 t인 스텝들이 대개는 제공되며, 그 경우에 이런 경로 길이 차이들은 설계 파장 λ보다 더 작은 것이 보통이다. 상기 구역들의 면적이나 크기는 렌즈의 회절 도수들 사이의 간격들을 결정하고, 이 경우에 그 간격들은 상기 구역들의 면적이 감소할수록 더 증가한다. 광학 경로 길이 차이 t는 개별 회절 도수들에서의 상대적인 최대 세기 (intensity)들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t = t = λ/2 에서, 두 개의 주요 회절 도수들이 존재하며, 이는 0계 회절 및 1계 회절에 대응하며, 그리고 둘 모두는
Figure 112012097708132-pct00001
= 40.5% 의 최대 세기를 가지며, 이 경우에 동일한 프레넬 구역들을 구비하지만, 그 구역들 사이에는 어떤 스텝들도 존재하지 않는, 회절로 한정된 렌즈의 최대 세기가 100%이다. 후자의 렌즈는 "보통의" 굴절 렌즈이다. 설계 파장의 반보다 절대적으로 더 작은 경로 길이 차이들에 대해서, 0계의 도수가 우세하며, abs(t) > λ/2 인 경우에는, 1계 회절의 도수가 가장 큰 상대적인 세기를 가진다.
굴절 도수가 회절 렌즈의 각 개별 프레넬 구역과 연관된다는 것에 주목하는 것이 극도로 중요하다; 이 굴절 도수는 스넬의 굴절 법칙의 응용을 이용하여 입사 광 빔의 굴절에 의해서 계산될 수 있다. 이 개별적인 프레넬 구역은 균일한 도수를 가질 수 있지만, 또한 그것은 굴절 도수가 상기 구역 표면에 따라서 변한다는 효과를 가지는 표면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그런 구역의 굴절 도수는 평균 도수이다.
인접하는 구역들 사이에 광학적인 스텝들을 가지는 통상적인 다중 초점 회절 렌즈들에서, 회절 도수들 중의 어떤 것도 상기 구역들의 굴절 도수들과 같지 않다. 특히, 이는 회절 렌즈의 0계 회절 도수에도 또한 적용된다.
회절 렌즈들에는 두 개의 기본적인 구성들이 존재한다. 첫 번째 구성에서, 첫 번째 구역과 두 번째 구역 사이의 경로 길이 차이 t는 두 번째 구역와 세 번째 구역 사이의 경로 길이 차이와 동일하며, 이하 마찬가지이다. 그런 회절 렌즈들의 실시예들은 주어진 굴절 인덱스를 갖추어서 제조된 렌즈의 두 개 표면들 중의 하나에 관해 톱니 (saw tooth) 프로파일을 가지는 것이 보통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절 렌즈들의 두 번째 기본적인 구성에서, 광학적인 경로 길이 차이들은 첫 번째 구역과 두 번째 구역 사이에서는 +t이며, 두 번째 구역 및 세 번째 구역 사이에서는 -t이며, 세 번째 구역과 네 번째 구역 사이에서는 +t 이며, 이하 동일하다. 그렇게 알려진 회절 렌즈들의 불리한 점은 EP 1 194 797 B1에서 설명된다.
EP 1 194 797 B1 특허에서, 렌즈들은 그 발명에 따라서 언급되며, 이는 렌즈 표면 상에 지형적인 그리고 광학적인 스텝들없이 형성된다. 이 환경에서, 삼중 초점 렌즈 역시 언급되며, 그 경우에 개별적인 구역들은 상이한 평균 도수들을 가지며, 그리고 더욱이 불리하게도 상기 세 개의 주요 도수들 중의 가장 작은 도수 및 가장 큰 도수 둘 모두에서 세로 방향의 색수차가 발생한다.
EP 1 194 797 B1 US 5,344,447 US 5,760,871 US 2008/0030677 A1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삼중 초점 렌즈를 제공하며, 그 렌즈는 가까운 범위 그리고 중간 범위 둘 모두에서 그리고 특히 먼 거리의 범위에서 개선된 시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특징들을 가진 다중 초점 렌즈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초점 렌즈는 적어도 n > 2 인 n개의 주요 도수들 (principal powers)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상기 다중 초점 렌즈는 적어도 삼중 초점 렌즈이다. 특히, 상기 주요 도수들 중 적어도 하나는 굴절성이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주요 도수는 회절성이다. 상기 다중 초점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환상 구역을 포함하는 제1 렌즈 부를 구비한다. 상기 다중 초점 렌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환상 구역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렌즈 부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렌즈 부들의 상기 구역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메인 서브-구역 (main sub-zone)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위상 서브-구역 (phase sub-zone)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 서브-구역 및 상기 위상 서브-구역 둘 모두는 또한 환상으로 형성된다. n개의 주요 도수들을 형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초점 렌즈에서, 최대 n-1 개 렌즈 부들이 결합된다. 렌즈 부의 구역의 평균 굴절 도수는 다른 렌즈 부의 구역의 평균 굴절 도수와 동일하다. 즉, 다중 초점 렌즈를 형성하는 렌즈 부들 모두는 동일한 평균 굴절 도수를 가진다. 렌즈가 예를 들어 두 개의 렌즈 부들로 구성되면, 그러면, 이 두 개의 렌즈 부들은 동일한 평균 굴절 도수를 가진다. 상기 렌즈가 예를 들어 세 개의 렌즈 부들로 구성되면, 그러면 그 세 개의 렌즈 부들은 동일한 평균 굴절 도수를 가진다. 다중 초점 렌즈의 그런 특정 구성에 의해서, 근거리 범위에서, 중간 거리 범위에서 그리고 특히 원거리 범위에서 렌즈를 이용한 이미징 (imaging) 그리고 또한 시력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인 파라미터의 면에서 상이하다. 예를 들면, 원거리 도수 (far power) 또는 근거리 도수 (near power) 또는 가입 도수 (addition power)와 같은 도수가 광학적인 파라미터들로서 언급될 것이다. 또한, 광학적인 파라미터는 예를 들면 원거리 세기 (far intensity) 또는 광학적인 표면의 크기일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렌즈 부에 의해서, 특히 렌즈의 원형 또는 원형-환상 (환상) 영역이 이해될 것이다. 렌즈 부는 렌즈의 여러 비-인접 원형 또는 원형-환상 영역들이나 구역들로 또한 구성될 수 있다.
주요 도수에 의해서, 특히 도수는 0.05 (5%) 보다 더 큰, 특히 0.07 (7%) 보다 더 크거나 같은 상대적인 세기 (relative intensity)로 이해된다.
특별히 유리한 방식에서, 상기 다중 초점 렌즈가 n 개의 주요 도수들 중 가장 작은 도수에서 어떤 회절성 세로 방향 색수차도 가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얻어진다. 이는 크게 개선된 이미징 특성을 보장하며 그래서 특히 원거리 범위에서 아주 더 나은 시력을 보장한다.
회절성 색수차에 관하여 작으며 -그리고 +1계 회절에 있어서 반대인-, 광학적인 재료의 분광으로 인한 굴절성 색수차는, 본 발명에 있어서 논쟁 대상은 아니다.
특히 이는 색 표현 및 이미지들을 인지하는 것에 관련해서는 두드러지게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구역의 평균 굴절 도수는 상기 다중 초점 렌즈의 주요 도수들 중 가장 작은 도수와 같다. 렌즈의 이런 특성에 의해서, 상기 주요 도수들 중의 가장 작은 도수에서 회절성 세로 방향 색수차를 억제하는 것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렌즈 부가 적어도 두 개의 구역들을 구비한다면, 이는 그 렌즈 부의 모든 구역들에 대해서 또한 형성된다. 특히, 렌즈 부의 구역들은 동일한 평균 굴절 도수를 가진다.
특히, n 개 도수들 중 가장 작은 도수는 회절성 세로 방향 색수차에서 자유롭다.
바람직하게는, 주요 도수들 중의 가장 작은 것이, 2보다 큰 상기 주요 도수들의 개수 n(n > 2 )에 독립적으로 세로 방향 색수차가 없도록 다중 초점 렌즈는 모습이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구역들 서로 간의 상대적인 위치가 형성된다. 그래서, 렌즈는 자신의 렌즈 부들 및 개별 연관 구역들을 갖추어서 또한 형성되어, 삼중 초점 렌즈에서만이 아니라 사중 초점 등의 렌즈에서도 주요 도수들 중에서 가장 작은 도수에서 회절성 세로 방향 색수차가 항상 없는 효과를 가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중 초점 렌즈의 n 개의 주요 도수들 중에서 가장 작은 도수는 첫 번째 구역의 메인 서브-구역의 굴절 도수가, 상기 메인 서브-구역 대 이 첫 번째 구역 전체 표면에 대한 면적 비율에 의해서 가중된 것에 종속적이며 그리고 이 첫 번째 구역의 위상 서브-구역의 굴절 도수가, 상기 위상 서브-구역 대 이 고려된 구역의 전체 면적에 대한 면적 비율에 가중된 것에 또한 종속적이다. 이는 특히 다중 초점 렌즈의 상기 구역들 각각에 적용되며, 이 경우 특히 렌즈의 주요 도수들 중 가장 작은 도수 D1 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적용된다:
Figure 112012097708132-pct00002
이 경우에 다음이 적용된다:
DG1 은 첫 번째 구역 (그리고 세 번째, 다섯 번째 ... 구역)의 메인 서브-구역 내 굴절 도수이며; DS1 은 상기 첫 번째 (그리고 세 번째, 다섯 번째 ... ) 구역의 위상 서브-구역의 굴절 도수이다. p1 은 상기 위상 서브-구역 대 첫 번째 (그리고 세 번째, 다섯 번째 ... ) 구역 전체의 면적 비율이다.
DG2 는 두 번째 구역 (그리고 네 번째, 여섯 번째, ... 구역)의 메인 서브-구역 내 굴절 도수이며; DS2 는 상기 두 번째 (그리고 네 번째, 여섯 번째 ...) 구역의 위상 서브-구역 내 굴절 도수이다. p2 는 상기 위상 서브-구역 대 두 번째 (그리고 네 번째, 여섯 번째 ...) 구역 전체의 면적 비율이다.
상기 제시는 두 개의 렌즈 부들을 가진 렌즈에 대해서 보여지며, 이 경우 홀수 번호 구역들은 제1 렌즈 부와 연관되며, 그리고 짝수 번호 구역들은 제2 렌즈 부와 연관된다. 상기 언급된 식은 또한 두 개의 렌즈 부들보다 더 많은 렌즈 부들을 가진 다중 초점 렌즈에도 또한 적용된다; 추가의 렌즈 부 j에 대해서, 다음이 적용된다.
Figure 112012097708132-pct00003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렌즈 부는 적어도 두 개의 구역들을 가지도록 제공되며, 상기 렌즈의 방사상 (radial) 방향으로 보이는 그 구역들 사이에 상기 제2 렌즈 부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이 배치된다. 그러므로, 이 구현에서의 구성은, 교번하는 링 배치에서 상기 제1 렌즈 부의 제1 구역이 형성되고 그리고 제2 렌즈 부의 구역이 뒤따르며 그리고 방사상 방향으로 보이며, 그러면 다시 상기 제1 렌즈 부의 추가의 제1 구역이 형성되도록, 그렇게 구성된다.
두 개보다 많은 렌즈 부들이 형성되면, 이 교번하는 배치는 상기 렌즈 부들 중의 하나의 렌즈 부의 연속하는 하나의 구역은 방사상 방향으로 보이면서 각각 배치되는 효과가 생기도록 적용되며, 그리고 각 렌즈 부로부터 환상 구역이 형성되면, 상기 제1 렌즈 부의 제1 구역이 다시 뒤따르며, 이하 마찬가지이다.
둘 보다 많은 렌즈 부들의 경우에 각 렌즈 부는 단 하나의 구역을 가지며, 그럼으로써 다중 초점 렌즈가 형성된다는 것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렌즈 부는 하나보다 많은 구역을 가진다는 것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렌즈 부의 제1 구역은 상기 제2 렌즈 부의 구역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그리고 이 두 구역들의 광학적인 표면들은 동일한 크기이도록 제공된다. 이는 두 상이한 렌즈 부들의 쌍들에서 각각 인접한 모든 구역들에 대해서 특히 사실이다.
상기 구역들의 광학적 표면들에 관련하여, 렌즈의 전면과 후면 둘 모두가 이런 면에서 고려될 수 있다. 다중 초점 렌즈가 이런 면에서 어떻게 구성되는가에 종속되어, 상기 전면은 상응하는 (corresponding) 표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후면도 상응하는 표면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면이 상응하여 구성되면, 그러면 상기 후면은 비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이 상응 표면 프로파일을 가진다면 그 반대도 성립한다.
조직된 프로파일 (환상 구역들을 가진 프로파일)을 가진 표면에 쌍이 되는 각 표면은 원환체 (toric) 또는 비구면-원환체 (aspherical-toric)로 형성되는 것 역시 제공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각막 비점 수차 (corneal astigmatism)를 교정하기 위한 단일-원환체 안구 내 렌즈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 렌즈 부들의 인접한 구역들로 형성된 전체 구역이 평균 굴절 도수 DG12 인 메인 서브-구역 또는 전체 메인 서브-구역 그리고 도수 DS2 인 위상 서브-구역을 가지는 것으로 제공된다. 도수 DS2 는 이미 상기에서 표시되었으며, 도수 DG12 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12097708132-pct00004
특히, 이런 관계들은 두 개의 렌즈 부들을 구비한 삼중 초점 렌즈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 렌즈 부들의 두 인접 구역들로 형성된 전체 구역은 전체 위상 서브-구역 또는 위상 서브-구역의 굴절 도수를 가지며, 이는 렌즈 부의 위상 서브-구역의 도수에 대응한다. 특히, 이것이 방사상으로 더 외부인 그 렌즈 부이며, 그래서 상기 방사상으로 더 외부인 위상 서브-구역은 DS2 의 도수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다중 초점 렌즈의 구현에 있어서, 제1 렌즈 부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의 상대적인 원거리 세기는 제2 렌즈 부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의 상대적인 원거리 세기보다 10% 보다 더 크며, 특히 적어도 30% 더 크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0% 상이하다. 원거리 세기들에 있어서 그런 특유한 차이에 의해서, 다중 초점 렌즈들의 이미징 (imaging) 특성은 특히 상기 렌즈의 주요 도수들 중에서 가장 작은 도수에 있어서 세로 방향 색수차를 억제하는 것에 관련하여 특별하게 긍정적인 방식으로 개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가 넘는 렌즈 부들을 가진 다중 초점 렌즈의 구현에 있어서, 쌍들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상대적인 원거리 세기들은 상이한 렌즈 부들의 구역들 사이에서 형성되도록 제공된다. 그래서, 상기 렌즈 부들 중에서 가장 작은 도수들 각각의 상대적인 세기들은 10%보다 더 큰 그와 같은 백분율 차이를 가지도록 특히 제공된다. 그래서, 세 개가 넘는 주요 도수들을 가진 특별한 다중 초점 렌즈들에서조차, 원거리 세기들의 그런 특성이 또한 존재한다.
특히 유익한 방식에서, 상기 렌즈는 삼중 초점 렌즈이며, 이는 두 개의 이중 초점 렌즈 부들로 구축된다. 그런 특정 렌즈는 특히 개선된 시야를 유리하게도 허용하며 그리고 주요 도수들 중 가장 작은 도수에서 특히 어떤 세로 방향 색수차도 가지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 부들은 서로에게 상대적으로 모습 그리고/또는 로컬 배치가 형성되어, 다중 초점 렌즈의 원거리 도수가, 상기 제1 렌즈 부의 구역들로만 독점적으로 또는 제2 렌즈 부의 구역들로만 독점적으로 형성된, 렌즈의 원거리 도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 부들은 서로에게 상대적으로 모습 그리고/또는 로컬 배치가 형성되어, 다중 초점 렌즈의 근거리 도수가, 상기 제1 렌즈 부의 구역들로만 독점적으로 또는 제2 렌즈 부의 구역들로만 독점적으로 형성된, 렌즈의 근거리 도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위상 서브-구역 대 한 구역의 광학적 표면의 전체 면적 비율의 백분율 면적 비율은 25%보다 더 작고,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7% 사이이다.
특히, 이중 초점 렌즈 부의 가입 도수 (addition powers)는 제2 렌즈 부의 가입 도수와 동일한 것으로 제공된다. 그러나, 다양한 렌즈 부들의 가입 도수들은 또한 상이할 수 있다.
유리한 구현에서, 상기 렌즈 부들의 더 작은 도수들 그리고 상기 렌즈 부들의 가입 도수들은 각각 동일하며, 그리고 특히 상기 렌즈 부들의 원거리 세기들 그리고/또는 근거리 세기들은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추가의 구현에서, 상기 렌즈 부들의 더 큰 도수들 그리고 상기 렌즈 부들의 가입 도수들은 각각 상이하며, 그리고 특히 상기 렌즈 부들의 원거리 세기들 그리고/또는 근거리 세기들은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렌즈 부들의 더 작은 도수들은 그러면 동일하다.
두 개의 이중 초점 렌즈 부들로 형성된 삼중 초점 렌즈로서의 다중 초점 렌즈의 구성에서, 상기 제1 이중 초점 렌즈 부의 더 작은 도수는 상기 제2 이중 초점 렌즈 부의 더 작은 도수와는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이중 초점 렌즈 부의 더 큰 도수는 상기 제2 이중 초점 렌즈 부의 더 큰 도수와는 상이하게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렌즈 부는 동일한 개수의 메인 서브-구역들 및 동일한 개수의 위상 서브-구역들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구역들을 구비하도록 제공된다. 특히, 각 구역은 단 하나의 메인 서브-구역 그리고 단 하나의 위상 서브-구역을 가지며, 이 경우에 상기 위상 서브-구역은 상기 메인 서브-구역보다 방사상으로 더 외부에 배치되고 그리고 방사상 밖 구역 가장자리에서 끝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렌즈 부들 둘 모두는 각각 복수의 구역들을 구비하며, 이것들은 상기 메인 서브-구역들 및 위상 서브-구역들의 개수에 관련하여 그리고/또는 한 구역 내 위상 서브-구역의 로컬 배치에 관련하여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또한 제공된다.
렌즈 부의 구역들 그리고/또는 다른 렌즈 부의 구역들은 그것들의 메인 서브-구역들의 개수에 관련하여 그리고/또는 그것들의 위상 서브-구역들의 개수에 관련하여 상이하게 형성되도록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유사하게, 한 구역 내 위상 서브-구역들의 로컬 위치들은 또한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렌즈 부의 구역은 다른 렌즈 부의 구역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그리고 그 구역들의 광학적 표면들은 동일한 크기이다. 특히, 렌즈 부의 모든 구역들의 광학적인 표면들은 동일한 크기이다. 그 대응 관계는 다른 렌즈 부의 모든 구역들의 광학적인 표면들에 특히 또한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렌즈 부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의 상대적인 원거리 세기는 상기 제2 렌즈 부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의 상대적인 원거리 세기보다 10% 더 크며, 특히 적어도 30% 더 크며, 특히 적어도 100%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 부들은 동일한 가입 도수들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n > 2 인 n 개 주요 도수들의 렌즈는 n-1 개 이중 초점 렌즈 부들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그것은 두 개의 이중 초점 렌즈 부들로 구성된 삼중 초점 렌즈일 수 있다. 사중 초점 렌즈 역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세 개의 이중 초점 렌즈 부들로 형성된다. 특히, 이 렌즈에 대해서, 동일한 가입 도수들 그리고/또는 10% 더 큰 상이한 원거리 세기들 및/또는 상기 렌즈 부들의 구역들과 동일한 크기의 광학적 표면들을 가진 구현들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n > 2 인 n개의 주요 도수들을 가진 렌즈로서 n-1 개의 이중 초점 렌즈 부들로 구축된 렌즈에서, 연속적인 초점 범위 및 도수 범위가 초점들 각각의 초점 깊이 범위들의 형태와 겹쳐서 형성되는 그런 구성이 제공된다. 이는 도수들 사이의 특정 도수 범위들에 대한 이미지 형성 실패 그리고 역 초점들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유리함을 가진다.
그것과는 다른 구현에서, n > 2 인 n개의 주요 도수들을 가진 렌즈로, 특히 사중 초점 렌즈가 n-1 개보다 작은 특히 두 개의 이중 초점 렌즈 부들로 구축되는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여기에서, 상기 제1 렌즈 부의 구역의 광학적 표면의 크기는 상기 제2 렌즈 부의 구역의 광학적 표면 크기와는 다르다는 것이 제공된다.
특히, 상기 제2 렌즈 부의 상기 광학적 표면은 상기 제1 렌즈 부의 상기 광학적 표면보다 적어도 50%, 특히 적어도 90% 더 크다. 그럼으로써, 사중 초점 렌즈들이 두 개의 이중 초점 부들로부터 또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구현들에서, 상기 두 렌즈 부들의 가입 도수들이 상이하다는 것이 특별히 제공된다.
이런 구현들에서, 상기 두 렌즈 부들은 동일한 상대적 원거리 세기들을 가지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50% 라는 것이 특히 제공된다.
특히, 상기 렌즈들의 광학적 표면들에는 지형적인 스텝들 그리고 광학적인 스텝들이 없다. 이는 상기 표면 윤곽 (contour)이 연속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렌즈 뒤의 웨이브 프론트 (wave front)가 연속적이라는 것, 즉, 렌즈 뒤의 상기 웨이브 프론트의 부분적인 부들 사이에 광학적인 경로 길이 차이들이나 광학적인 스텝들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또한 의미한다.
상기 렌즈의 바람직한 구현에서, 구역들을 구비한 구조의 렌즈의 표면이 형성되어, 그 렌즈는 렌즈의 이미징 특성에 관련하여 비점 수차 (astigmatic) 결과를 가지도록 한다. 특히, 그 구역들의 도수들은 경선 각도 (meridian angle) 그리고 경선의 위치, 특히 주 축 (principal axis)에 종속되어 상이하게 형성된다. 원환체 (toric) 렌즈에서, 두 경선들이 주 축들인 타원의 축들이다. 두 경선들에서 두 도수들의 차이는 실린더 (cylinder)로 언급된다. 상기 구역들로 조직된 상기 렌즈의 표면은 특히 원환체 또는 원환체-비구면 (toric-aspherical) 기반 몸체에 적용된다. 이로부터, 이중 원환체 (bitoric) 구성 변형의 결과가 생기며, 이 경우에 (조직된 그리고 비조직된) 양 측면들이 원환체 또는 비구면-원환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중 원환체의 유리한 점은 렌즈의, 전면 표면 및 후면 표면인 두 표면들 상의 원환체 광학적 효과가 분할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동일한 실린더 효과를 가진 단일 원환체 안구 내 렌즈 (monotoric intraocular lens)에 비교하면 양 표면들에 대한 주요 경선들 (principal meridians) 각각에서의 더 낮은 반경의 차이라는 결과가 된다. 이중 원환체 안구 내 렌즈들의 이미징 품질은 단일 원환체 안구 내 렌즈들에 비해서 더 양호하다. 그 때문에, 이중 원환체 안구 내 렌즈는 각막 비점 수차를 교정하기 위해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경선에서, 특히 각 경선에서, 상기 제1 렌즈 부의 구역의 평균 굴절 도수는 각각 상기 제2 렌즈 부의 구역의 평균 굴절 도수와 동일하다. 이는 특히 상이한 경선들에서도 또한 가능하다.
유리한 구현에서, n > 2 인 n 개의 주요 도수들을 가진 전체 렌즈들은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가진 최대 n-1 개 렌즈 부들로 구성되며, 그래서 추가적인 렌즈 부들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 환경에서, 삼중 초점 렌즈는 두 개의 이중 초점 렌즈 부들로 구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유사하게, 사중 초점 렌즈는 세 개의 렌즈 부들, 특히 세 개의 이중 초점 렌즈부들로 구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 밖의 추가의 렌즈 부들은 더 이상 제공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사중 초점 렌즈가 단 두 개의 상이한 렌즈 부들로, 특히 두 개의 상이한 이중 초점 렌즈부들로 구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그 밖의 추가의 렌즈 부들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언급된 특정 구현들 그리고 실증예들 모두는, n-1 개 렌즈 부들로, 특히 n-1 개 이중 초점 렌즈 부들로 구성된 그런 전체 렌즈들에 또한 적용된다.
추가의 구현에서, 그러나, n > 2 인 n 개의 주요 도수들을 가진 전체 렌즈들이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각각 가진 최대 n-1 개 렌즈부들로 설계되며, 그 적어도 하나의 구역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메인 서브-구역 및 적어도 하나의 위상 서브-구역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더욱이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렌즈 부를 가지는 것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 환경에서, 특히 사중 초점 렌즈로서 설계된 렌즈가 형성될 수 있다. 첫 번째 구현에 따르면, 이 사중 초점 렌즈는 두 개의 렌즈 부들로만 구성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두 렌즈 부들은 광학적인 파라미터의 적어도 하나의 값에 있어서 상이하다. 상기 두 개의 렌즈 부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가지며, 이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메인 서브-구역 그리고 하나의 위상 서브-구역을 가진다. 상기 제1 렌즈 부의 구역의 평균 굴절 도수는 상기 제2 렌즈 부의 구역의 평균 굴절 도수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렌즈 부의 가입 도수 (addition power)는 3.75 디옵터이며, 그리고 상기 제2 렌즈 부의 가입 도수는 3.1 디옵터인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렌즈의 직경은 4.245 mm이다. 특히, 상기 제1 렌즈 부의 상기 구역들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는 90%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렌즈 부의 상기 구역들 내 상대적 원거리 세기는 40%인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구역 내 메인 서브-구역의 면적 비율은 9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서브-구역의 이 백분율 면적 비율은 상기 구역들 모두에 있어서 동일하다.
상기 제1 렌즈 부의 구역들 및 홀수 번호 시퀀스로 번호가 매겨진 구역들의 광학적 면적들은 상기 제2 렌즈 부의 면적들 및 짝수 번호들로 번호가 매겨진 구역들의 광학적 면적들과는 크기에 있어서 상이하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홀수 번호가 매겨진 모든 환상 구역들은 동일한 평면 면적을 가진다. 추가로 짝수 번호가 매겨진 모들 환성 구역들은 동일한 표면 면적을 가지며, 이는 상기 홀수 번호가 매겨진 모든 환상 구역들의 표면 면적과는 다르다. 그러므로, 상기 구역들의 방사상 두께들은 상이하며 그리고 상기 렌즈의 반경에 따라서 감소한다.
추가의 구현에서, 이 사중 초점 렌즈는 광학적인 파라미터의 값에 있어서 다른 두 렌즈 부들로 구성되지 않았지만, 이 두 렌즈 부들에 추가하여, 제3 렌즈 부가 존재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사중 초점 렌즈는 세 개의 렌즈 부들로 구성되며, 이는 특히 세 개의 이중 초점 렌즈 부들이다. 특히, 그 경우에, 첫 번째 두 개의 렌즈 부들의 구역들은 서로에게 교번하여 방사상 방향으로 보이게 배치되며, 이 경우 이는 4.245 mm의 직경까지 특히 영향이 미친다. 그러면, 밖으로 방사상으로 인접하여, 상기 세 번째 렌즈 부는 인접하여 환상으로 형성된다. 이 세 번째 렌즈 부 역시 이중 초점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6 mm, 특히 5.888 mm의 전체 직경으로 확장된다. 이 세 번째 이중 초점 렌즈 부는 적어도 하나, 특히 복수의 구역들로 또한 형성되며, 이 경우 각 구역은 메인 서브-구역 그리고 위상 서브-구역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 번째 렌즈 부의 가입 도수는 3.33 디옵터이다. 이는 상기 처음 두 개의 렌즈 부들의 두 디옵터 값들인 3.75 및 3.1의 평균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 번째 렌즈 부의 구역들 내 상대적인 원거리 세기는 65%이다.
상기 언급된 특정 값들을 가진 추가적인 방사상으로 외부의 세 번째 렌즈 부를 가진 사중 초점 렌즈의 그런 구현은, 그 내부로 안구 내 렌즈가 삽입될 눈에 큰 동공 (pupil)이 존재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할 수 있을 것이다. 큰 동공들의 경우에 원거리 및 근거리 세기 및 보다 적은 중간 거리 세기가 중요하고 그리고 두드러지기 때문에, 세 번째 렌즈 부를 가진 그런 구성이 유리하다.
사중 초점 렌즈로서 언급될 수 있는 렌즈의 추가의 구현에서, 이 렌즈가 두 개의 렌즈 부들로 구성된 상기 언급된 구현에 대조적으로, 상대적 원거리 세기들은 90% 및 40%인 것이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85% 및 39.5%인 것으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그런 렌즈는 원거리 범위, 중간 거리 범위 및 근거리 범위에 대한 상대적 세기들이라는 면에서 50:20:30의 비율들에 대응한다.
여기에서 또한, 추가의 구현이 부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경우 추가의 제3 렌즈 부와 같은 것이 이전에 언급된 구현에서 설명된 것처럼 제공되며, 그 경우 여기에서는 특히 3.33 디옵터의 가입 도수 및 65%의 상대적인 원거리 세기가 또한 다시 제공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제3 렌즈 부의 구역들의 가입 도수는 3.33 디옵터라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추가의 구현에서, 상기 설명들에 따른 사중 초점 렌즈가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 파라미터의 값에 있어서 상이한 단 두 개의 렌즈 부들로 구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특정 설명들과 다르게, 여기에서, 가입 도수는 제1 렌즈 부에서는 다시 3.75 디옵터 그리고 제2 렌즈 부에서는 3.1 디옵터이지만, 상대적인 원거리 세기들은 상기 제1 렌즈 부에서는 82% 그리고 제2 렌즈 부에서는 41.75% 인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또한, 추가의 실시예는 상기 사중 초점 렌즈는 이런 두 개의 렌즈 부들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세 개의 렌즈 부들로 구성된다는 취지로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또, 여기에서 또한, 방사상 방향으로 내부로부터 외부로 교번하여 배치된 구역들을 가진 두 렌즈 부들에 추가로, 상기 제3 렌즈 부가 이 두 렌즈 부들에 인접하여 방사상 방향으로 외부로 형성되는 것이 다시 제공된다. 이것은 여러 구역들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여러 구역들은 파라미터 값들에 관련하여 동일하게 형성된다. 특히, 여기에서, 상기 상대적인 원거리 세기는 다시 65% 인 것으로 제공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가입 도수는 3.33 디옵터일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상기 언급된 사중 초점 렌즈들과 대조적으로, 사중 초점 렌즈가 다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두 개의 렌즈 부들로 구성된다. 그것들은 지금까지 언급되었던 실시예들과는 특히 상대적인 원거리 세기에 있어서 상이하며, 이 경우 상기 제1 렌즈 부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는 86.5%이며 그리고 상기 제2 렌즈 부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는 40%이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가입 도수들에 대한 값들은 이전에 언급된 실시예들과 유사하다.
여기에서 또한, 추가의 실시예가 부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경우에 제3 렌즈 부는 상기 처음의 두 렌즈 부들에 외부로 인접하여 상기 사중 초점 렌즈에 대한 이중 초점 렌즈 부로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이 제3 렌즈 부는, 광학적인 파라미터들의 값들에 관하여 동일한 복수의 구역들을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제3 렌즈 부의 구역들의 상대적인 원거리 세기는 65%이며, 특히 가입 도수는 또한 3.33 디옵터라는 것이 특히 제공될 수 있다.
세 개의 이중 초점 렌즈 부들을 가진 상기 이전에 언급된 모든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3 렌즈 부의 가입 도수는 3.33 디옵터가 아니며, 3.75 디옵터라는 것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첫 번째 두 개의 렌즈 부들의 평균 가입 도수가 3.33 디옵터이면 상기 제3 렌즈 부의 가입자 도수 값은 3.75 디옵터이다. 그 결과, 근거리 도수의 피크들의 세기들은 큰 동공들에 대해서는 더 작지만, 그러나 근거리 필드 내의 세기 분포는 더 넓어진다. 그러나, 이 근거리 도수의 전체 에너지는 그것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사중 초점 렌즈들에 대한 직전에 언급한 구현들에서, 상기 제1 렌즈 부는 7개의 구역들을 가지며 그리고 상기 제2 렌즈 부 역시 7개의 구역들을 가진다는 것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세 개의 이중 초점 렌즈 부들을 가진 사중 초점 렌즈의 구현들에서, 상기 제3 렌즈 부 구역들의 개수는 5보다 더 크며, 특히 10보다 더 큰 것으로 제공된다. 특히, 이는 동공의 직경에 종속된다.
특히, 다중 초점 렌즈는 눈 렌즈이며, 특히 콘택트 렌즈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안구 내 렌즈이다. 상기 문서들과 본 명세서에서 규정된 파라미터들의 특정 값들 그리고 파라미터들의 특성 및 상기 렌즈의 특정 특성들의 특징에 대해 서로에 대한 파라미터들의 비율 둘 모두는, 예를 들면, 측정 오류들, 시스템 오류들, DIN 공차 등으로 인한 본 발명의 변형들의 범위 내에서라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 것으로서 간주될 것이며, 그래서, 이 환경에서 도수들 (powers), 원거리 세기들, 위치 표시들, 치수 표시 및 유사한 것의 동일함에 관련된 표시들이 "실질적인" 표시 범위 내에서조차 동일한 것으로서 간주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은 청구범위, 도면들 및 도면들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다. 상기의 설명에서 언급된 특징들 및 특징들의 결합들 그리고 아래에서 도면들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그리고/또는 도면들 단독에서 보이는 특징들 및 특징들의 결합들은 각각의 규정된 결합에서만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벗어나지 않는 다른 결합들에서나 단독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본 명세서의 해당되는 부분들에 개별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개략적인 도면들에 의해서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EP 1 194 797 B1 특허에 따른 알려진 삼중 렌즈의 렌즈 횡-단면의 부분적인 섹션의 개략적인 모습으로, 이는 동일한 구역들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삼중 초점 렌즈의 렌즈 도수들의 상대적인 세기가 도시된 도면을 표시한 것이다.
도 3은 EP 1 194 797 B1 특허에 따른 이중 초점 렌즈의 개략적인 횡-단면 모습이며, 이 경우 두 도수들 중의 더 작은 도수의 상대적인 세기가 의도된 값을 가지도록 상기 렌즈의 동일한 구역들이 구성된다.
도 4는 EP 1 194 797 B1 특허에 따른 추가의 이중 초점 렌즈의 횡-단면의 부분적인 섹션의 개략적인 모습이며, 이 경우 두 도수들 중 더 작은 도수의 상대적인 세기가 도 3에 따른 도면에 비교하여 추가의 상이한 값을 가지도록 이 렌즈의 동일한 구역들이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초점 렌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면 내의 렌즈의 부분적인 섹션의 개략적인 모습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렌즈의 도수들의 상대적인 세기들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3 및 도 4에 따른 렌즈들의 메인 서브-구역들의 도수들이, 상기 메인 서브-구역들의 전체 구역에 대한 몇몇의 예시적인 비율들에 대해 그리고 4 디옵터의 가입 도수에 대해서 더 작은 도수 (원거리 도수)의 상대적인 세기의 함수로서 도시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 따른 렌즈의 주요 도수들의 상대적인 세기들이 표시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의 일 일시예의 전면의 섹션의 확대된 표현이며, 이 경우에 스텝이 없는 표현이 치수들 및 지형에 관련하여 실질적으로 크기가 맞추어져서 표현된다.
도 10은 가능한 사중 초점 렌즈로서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의 추가의 일 실시예의 부분적인 섹션의 개략적인 표현이며,
도 11은 도 10에 따른 렌즈의 주요 도수들의 상대적인 세기들이 표시된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에서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의 주요 도수들의 상대적인 세기들이 표시된 도면으로, 이 렌즈는 각각 상이한 가입 도수들 및 각각 상이한 상대적 원거리 세기들을 가진 두 개의 렌즈 부들의 구역들로 구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 뷰 (view)이다.
도 14는 도 13에 따른 렌즈의 개략적인 부분적인 섹션의 세로 방향 섹션 표현이다.
도 15는 도 16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의 주요 도수들의 상대적인 세기들이 표시되는 도면이며, 이 경우 이 사중 초점 렌즈는 각각 상이한 크기의 광학적인 표면들은 물론이며 각각 상이한 가입 도수들 및 각각 동일한 상대적 원거리 세기들을 가진 두 개의 렌즈 부들의 구역들로 구성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초점 렌즈들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횡단면 내 도 15에 따른 렌즈의 부분적 섹션의 개략적인 모습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의 추가의 실시예의 부분적인 섹션의 평면 뷰이다.
도 18은 도 17에 따른 렌즈의 주요 도수들의 상대적 세기들이 표현된 도면으로, 그 경우 이 사중 초점 렌즈는, 각각이 상이한 가입 도수들 및 각각이 상이한 상대적 원거리 세기들을 가진 세 개의 렌즈 부들로 구성된다.
상기 도면들에서, 유사한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참조 문자들로 제공된다.
도 1의 부분적인 표현에서, EP 1 194 797 B1 특허에 따른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회절 및 굴절 도수들을 가진 삼중 초점 렌즈 (1)의 일부가 도시된다. 상기 렌즈 (1)는 도 2에서 점선 커브와 같이 세 개의 주요 도수들 중에서 가장 작은 도수 및 가장 큰 도수 둘 모두에서 세로 방향 색수차를 가진다. 도 2에서, 수직 축 상에 상대적 세기가 그려지며, 수평 축 상에는 렌즈 도수가 디옵터 단위로 그려진다. 상기 세 개의 주요 도수들의 상대적으로 큰 세기들 IR은 명백하며, 이 경우 실선은 550 nm의 설계 파장에서 단색 광에 대해 표현하며, 그리고 상기 실선은 450 nm 및 650 nm 사이의 파장 범위에서 가우스 분포 (Gaussian distribution)를 가진 다색 광에 대한 기초 (basis)로서 여겨진다. 450 nm 및 650 nm에 대한 세기는 각각 550 nm에 대한 최대 세기의 20%이다.
EP 1 194 797 B1 특허에서 이런 구성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며, 도 1에 따른 렌즈 (1)는 면적이 같은 참조번호 2 및 2'의 구역들로 구성되며, 이것들은 환상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각각은 참조번호 3 및 3'의 메인 서브-구역들 3 및 3' 그리고 참조번호 4 및 4'의 위상 서브-구역들을 가진다. 중앙 축 (A)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보이며 그래서 도 1에 따른 표현에서 위로 향한 구역들 2 및 2' 은 자신들의 순서대로 실질적으로 번호가 매겨지며 그리고 홀수 구역들 (2)이 형성되어, 예를 들면 상기 회절 도수들 중의 더 작은 회절 도수가 참조번호 2의 구역들의 평균 굴절 도수에 대응하도록 한다. 그러면, 대조적으로, 짝수 구역들 2'의 평균 굴절 도수는 더 큰 회절 도수에 대응한다. 이 구성으로 인해서, 도 1에 따른 상기 렌즈 (1)는 상기 주요 도수들 중 가장 큰 도수 그리고 가장 작은 도수 둘 모두에서 세로 방향 색수차를 가지며, 이는 도 2에서도 또한 명백하다. 상기 렌즈 (1)의 반대 측면 상에서, 프로파일 또는 윤곽이 형성되어, 구역 2에서, 위상 서브-구역 (4)이 메인 서브-구역 (3)의 윤곽에 관하여 비스듬하게 뒤쪽으로 확장되도록 한다. 인접한 구역 2'에서, 이는 정확하게 반대여서, 그러면 위상 서브-구역 (4')의 윤곽은 상기 추가의 구역 2'의 메인 서브-구역 (3')에 관하여 비스듬하게 전방으로 다시 확장하도록 하고, 그리고 사실상 교대로 상승들 및 하강들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 3에서, EP 1 194 797 B1 특허에 따른 이중 초점 렌즈 (5)의 지형적인 프로파일이 부분적인 섹션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 렌즈 (5)는 주요 두 개 도수들 사이 주어진 상대적 세기 분포, 예를 들면, 더 작은 도수 (원거리 도수)에 대해 40%를 가진다. 상기 이중 초점 렌즈 (5)는 예시적으로 20 디옵터의 더 작은 도수 (원거리 도수) 그리고 24 디옵터의 더 큰 도수 (근거리 도수)를 가진다. 상기 렌즈 (5)의 가입 도수는 그래서 4 디옵터이다. 상기 렌즈 (5)는, 메인 서브-구역들 (7) 및 위상 서브-구역들 (8)로 분할되는, 동일한 구역들 (6)로 구성된다. 상기 서브-구역들 (7, 8) 내의 도수들은, 백분율 면적 비율들 p1 및 1 - p1 으로 각각 가중된 상기 구역 (6)의 평균 도수가 상기 렌즈 (5)의 두 개의 주요 도수들 중 더 작은 도수와 동일하도록, 선택된다.
도 4에서, EP 1 194 797 B1 특허에 따른 추가의 이중 초점 렌즈 (9)의 지형적 프로파일은 부분적인 섹션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 렌즈 (9)는 대응하는 메인 서브-구역들 (11) 및 위상 서브-구역들 (12)을 가진 동일한 구역들 (10)로 구성된다. 도 4에 따른 상기 이중 초점 렌즈 (9)는 도 3에 따른 렌즈 (5)와 동일한 주요 도수들을 예시적으로 가지지만, 상기 주요 도수들 중의 더 작은 도수와 더 큰 도수 사이에서 상이한 세기 분배를 가진다. 이는 상기 렌즈 (5)의 메인 서브-구역들 (7) 내 굴절 도수들이 상기 렌즈 (9)의 메인 서브-구역들 (11) 내 굴절 도수들과는 상이하며; 상기 위상 서브-구역들 (8, 12) 내 굴절 도수들 또한 각각 상이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5에서의 개략적인 표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초점 렌즈 (13)의 일 실시예를 통한 세로 방향 섹션이 도시되며, 이 경우 상기 렌즈 (13)의 섹션만이 도시된다. 상기 렌즈 (13)는 삼중 초점 렌즈이며 그래서 n=3인 세 개의 주요 도수들을 가진다. 상기 렌즈 (13)는 제1 렌즈 부 (15) 및 제2 렌즈 부 (16)를 가진다. 상기 제1 렌즈 부 (15)는 복수의 환상 (annular) 구역들 (6)로 구성된다. 각 환상 구역 (6)은 메인 서브-구역 (7) 및 위상 서브-구역 (8)을 가진다. 구역 (6)의 위상 서브-구역 (8)의 백분율 면적 비율 p1 그리고 그것의 광학적 표면 크기 그리고 그것의 개별적인 전체 환상 표면의 크기는 예를 들면 구역 (6)의 전체 면적의 8% 내지 17% 사이이다. 그러면, 이와는 대조적으로, 메인 서브-구역 (7)의 면적 비율 그리고 그것의 광학적 표면의 크기는 1-p1과 같다. 상기 면적 비율들에 관련하여, 이는 상기 렌즈 (13)의 전면 (14)에 관련하여 고려된다. 전체 광학적 표면 (151)은 구역 (6)의 환상 영역이며, 전체 광학적 표면 (161)과 유사하게 식별되며, 이는 또한 참조번호 10의 구역의 환상 영역이다.
상기 렌즈 (13)는, 상기 제2 렌즈 부 (16)가 복수의 동일한 환상 구역들 (10)을 가지며, 이 경우 여기에서도 또한 각 구역 (10)은 메인 서브-구역 (11) 및 위상 서브-구역 (12)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렌즈 (13)의 전면 (14)에 관하여, 위상 서브-구역 (12)에 대한 면적 비율 p2 그리고 메인 서브-구역 (11)에 대한 면적 비율 1-p2 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여기에서 또한, 상기 면적 비율 p2 는 상기 구역 (10)의 전체 면적의 8% 내지 17% 사이이다. 상기 표현에 따르면, 상기 렌즈 (13)의 방사상 방향에서 그리고 수평 축 A'에 관하여 도 5에 따른 표현에서 수직으로 위로, 상기 구역들 (6, 10)은 교대로 배치되며 그래서 교번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는 것이 인식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렌즈 (13)는, 인접하여 교번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그리고 서로에게 인접한 상이한 구역들 (6, 10)의 결합으로서 구축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각 구역 (6)은 각각 단 하나의 메인 서브-구역 (7) 그리고 각각 단 하나의 위상 서브-구역 (8)을 가지는 것이 제공되며, 그 경우 특히 상기 구역들 (6)의 위상 서브-구역들 (8)은 구역 (6)의 환상 형상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특히 구역 (6)의 외부 구역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외부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또한 제공된다. 유사한 구성이 상기 제2 렌즈 부 (16)의 구역들 (10)에 적용된다.
상기 제1 렌즈 부의 구역들 (6) 그리고/또는 상기 제2 렌즈 부의 구역들 (10)은 그것들의 메인 서브-구역들 (7 그리고/또는 11)의 개수에 관련하여 그리고/또는 그것들의 위상 서브-구역들 (8 그리고/또는 12)의 개수에 관련하여 상이하게 형성된다는 것 역시 제공될 수 있다. 유사하게, 참조번호 6 및 10의 구역 내 각각에서 참조번호 8 및 12의 위상 서브-구역들 각각의 로컬 위치들 또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렌즈 (13)의 전면 (14)은 지형적인 그리고 광학적인 스텝들 또는 불연속 한 부분들이 없이 형성되며, 이는 상기 전면 (14)의 윤곽이 연속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이, 스텝 없이 형성된 그런 렌즈 (13)는 그 렌즈 (13) 뒤의 웨이브 프론트 (wave front)가 연속적이라는 것을 또한 의미한다. 상기 전면 (14)의 윤곽은 이 실시예에서는, 구역 (6)의 위상 서브-구역 (8)의 윤곽 방향이 상기 렌즈 (13)의 후면 측 (17)으로 향하며 그리고 방사상으로 연속한 구역 (10)의 메인 서브-구역 (11)의 윤곽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동일한 것이 참조번호 6의 모든 구역들 및 참조번호 10의 모든 구역들에 적용된다.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모든 위상 서브-구역들 (8)의 윤곽 확장들은 각각 전방으로 향한다는 것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그것들 모두가 하나의 방향으로 방향이 정해진다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렌즈 (13)의 후면 (17)은 비구면으로 형성된다. 도 5에서의 표시에 따라서 상기 후면 (17)이 상기 전면 (14)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전면 (14)은 상기 후면 (17)의 비구면 구성에 대응하여 형성된다는 것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그래서, 방사상 순서에서, 상기 렌즈 (13)는 상기 제1 렌즈 부 (15)의 구역들 (6)에 대응하는 홀수 구역들로 그리고 상기 제2 렌즈 부 (16)의 구역들 (10)에 대응하는 짝수 구역들로 특히 구성된다. 참조번호 6의 구역의 광학적 표면 (151)은 참조번호 10 구역의 광학적 표면과 동일한 크기이다. 또한, 참조번호 6의 모든 구역들의 광학적 표면들 (151)은 동일한 크기이다. 그 대응 관계는 참조번호 10의 모든 구역들의 광학적 표면들 (161)에 적용된다.
도 9에서의 확대된 표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의 추가의 구현의 전면 (14)의 윤곽 또는 프로파일은 다른 크기 비율들에 관하여 크기 조절되어 도시된다. 스텝이 없는 구성이 예상될 수 있다.
도 6의 도면에서, 상대적 세기 IR 이 상기 렌즈 (13)의 도수 (D)의 함수로서 표현된다. 그래서, 도 6은 도 5에 따른 렌즈의 TFR 또는 축 (axial) PSF를 보여준다; 그 결과들은 6 mm 의 렌즈 직경에 적용된다. 도 5에 따른 렌즈 (13)의 홀수 구역들 (6)은 40%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를 가진 도 3과 유사한 렌즈에 따른 이중 초점 렌즈 부 (15)에 대응한다. 도 5에 따른 렌즈 (13)의 짝수 구역들 (10)은 50%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를 가진 도 4에 유사한 렌즈에 따른 이중 초점 렌즈 부 (16)에 대응한다. 명백하게, 도 5에 따른 상기 렌즈 (13)는 도 3 및 도 4에 따른 두 개의 렌즈들의 동일한 원거리 초점 (예: 20 디옵터) 그리고 동일한 근거리 초점 (예: 24 디옵터) 사이의 중앙에서 약한 세기 초점을 가진다. 굵은 커브 K1은 상기 렌즈 (13)의 주요 도수들의 상대적 세기를 확인시킨다. 커브 K2는 50%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를 가진 구역들 (6) (참조번호 15의 렌즈 부) 만을 가진 렌즈의 상대적 세기를 보여준다. 커브 K3은 40%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를 가진 구역들 (10) (참조번호 16의 렌즈 부)만을 가진 렌즈의 상대적 세기를 보여준다. 더 나은 이해를 위해, 상기 두 개의 이중 렌즈 부들 (15, 16)의 커브들 K2 및 K3는 각각 0.1 디옵터 및 0.2 디옵터로 대체된다.
EP 1 194 797 B1 특허에서, 상기 메인 서브-구역들의 도수들 DG 그리고 상기 위상-구역들의 도수들 DS 이 어떻게 더 작은 도수 (원거리 도수)의 원하는 상대적 세기에서 결정될 것인가에 대해서 설명된다. 설명되는 것처럼, 또한 이 도수들은 상기 위상 서브-구역들의 상기 렌즈의 전체 환상 구역들에 대한 면적 비율 p에 그리고 상기 메인 서브-구역들의 상기 렌즈의 전체 환상 구역들에 대한 면적 비율 (1-p)에 각각 종속된다.
도 7은 상기 메인 서브-구역의 굴절 도수 DG 와 전체 구역들 내 메인 서브-구역들의 예시적인 면적 비율들에 대한 그리고 4 디옵터의 예시적인 가입 도수에 대한 원거리 도수의 상대적 세기 IR 에 의존하는 희망했던 원거리 도수 사이의 연관을 디스플레이한다. 이 연관은 상기 메인 서브-구역들 대 상기 전체 환상 구역들의 면적 비율들에 대한 EP 1 194 797 B1 특허의 설명들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브 K4는 여기에서 4 디옵터의 가입 도수 및 95%라는 메인 서브-구역의 면적 비율에 대한 것이며, 커브 K5는 4 디옵터의 가입 도수 및 90%라는 메인 서브-구역의 면적 비율에 대한 것이며, 그리고 커브 K6은 4 디옵터의 가입 도수 및 85%라는 메인 서브-구역의 면적 비율에 대한 것이다. 커브 K7은 2 디옵터의 가입 도수 및 95%라는 메인 서브-구역의 면적 비율에 적용된다.
간략함 및 명쾌함을 위해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참조번호 6의 개별 구역 또는 참조번호 10의 구역은 굴절 도수들 및 회절 도수를 가진 렌즈 (13)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이 분명하다. 오히려, 굴절 도수들 및 회절 도수들을 가진 렌즈 (13)는 적어도 두 개의 구역들 (6 그리고 10)로 구성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략함을 위해서, 그것은 참조번호 6의 구역들 또는 참조번호 15의 이중 초점 렌즈 부 또는 참조번호 10의 구역들 또는 참조번호 16의 이중 초점 렌즈 부로 언급되며, 이것들은 더 큰 도수 및 더 작은 도수를 가진다.
도 8은 도 5에 따른 삼중 초점 렌즈의 축 PSF 또는 TFR을 보여주며, 그 경우 홀수 구역들 (6)은 86%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를 가지며 그리고 짝수 구역들 (10)은 40%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를 가진다. 명백하게, 이 렌즈 (13)에서, 중간거리 초점의 세기가 상당하다. 굵은 커브는 550 nm 파장의 단색 광에 대한 도수들의 세기 분포를 보여준다. 도 7은 점선 커브에 따라 450 nm 및 650 nm 사이의 파장 범위에서 가우스 분포에 따른 다색광에 대한 결과들을 또한 보여준다. 이것으로부터, 세 개의 주요 도수들 중의 가장 작은 것이 어떤 세로방향의 색수차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이 인정될 수 있다. 도 8의 결과들은 6 mm의 렌즈 직경에 적용된다.
도 9에서, 이미 상기에서 언급된 것처럼, 원거리 도수 20 디옵터의 안구 내 렌즈 (13)의 전면 (14)의 섹션이 크기에 맞추어 도시된다. 참조번호 6의 구역들 (홀수 구역들) 및 참조번호 10의 구역들 (짝수 구역들)의 메인 서브-구역 부들은 각각 85%이다. 참조번호 6의 구역들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는 86%이며, 참조번호 10의 구역들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는 40%이다. 상기 렌즈 (13)의 굴절 인덱스는 1.46이다. 도 9로부터 명백하듯이, 이 렌즈 (13)는 어떤 지형적인 스텝들도 가지지 않으며, 메인 서브-구역들 사이에 매끄럽고, 거의 감지할 수 없는 변이들만을 가진다; 이 변이들은 개별 위상 서브-구역들에 의해서 형성된다. 통상적인 회절 렌즈들과는 다르게, 본 발명의 렌즈들은 어떤 지형적인 스텝들도 가지지 않는다. 이 지형적인 스텝들은 개별 구역들의 웨이브 프론트들 사이의 광학적 경로 길이 차이들을 생성하기 위해서 회절 렌즈들에서 필요하다. 회절 렌즈 뒤의 웨이브 프론트는 그러므로 불연속적이며,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뒤의 웨이브 프론트는 연속적이다.
도 10은 세 개의 상이한 렌즈 부들, 특히 이중 초점 렌즈 부들 (15, 16, 23)로 구성된 사중 초점 렌즈 (18)의 구현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참조번호 15 및 16의 렌즈 부들 각각은 복수의 구역들 (6, 10)을 가지며, 이것들은 상기에서 이미 설명되었다. 제3 렌즈 부 (23)는 또한 복수의 구역들 (19)을 가지며, 이는 각각 메인 서브-구역 (20) 및 위상 서브-구역 (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렌즈 부들 (15, 16, 23)은 세 개의 상이한 상대적 원거리 세기들을 가진다. 상기 원거리 세기들은 10% 보다 더 큰 차이를 가진 쌍들로 형성된다. 도 10에 따른 렌즈 (18)에서, 방사상 순서로 1, 4, 7, ... (1+3*m)의 번호를 가진 구역들은 참조번호 6의 구역들이며, 또한 2, 5, 8, ... (2+3*m)의 번호를 가진 구역들은 참조번호 10의 구역들이며, 마지막으로 3, 6, 9, ... (3+3*m)의 번호를 가진 구역들은 서브-구역들 (20, 21)을 가진 참조번호 19의 구역들이다 (m=0,1,2,…). 이 세 개의 개별 이중 초점 렌즈 부들 (15, 16, 23) 각각은 상기 실시예에서 동일한 원거리 및 근거리 도수를 가진다. 이 세 렌즈 부들 (15, 16, 23) 중 적어도 두 개의 렌즈 부들 각각은 상이한 상대적 원거리 세기 및 근거리 세기를 각각 가진다. 백분율 면적 비율 p3 그리고 상기 위상 서브-구역 (21)의 광학적 표면의 크기는 특히 8% 내지 17%의 사이이다. 그래서, 상기 메인 서브-구역 (20)의 비율 1-p3은 83% 내지 92% 사이이다. 상기 구역들 (6, 10, 19)의 광학적 표면들 (151, 161, 191)은 동일한 크기이다. 참조번호 19의 구역들은 모두 동일한 크기의 광학적 표면들 (191)을 가지며, 이것들은 환형 표면들이다.
도 10에 따른 TFR 및 축 PSF는 도 11에 도시된다. 이 예에서, 1, 4, 7, ...의 번호를 가진 구역들 (6)은 86%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를 가지며, 2, 5, 8, ...의 번호를 가진 구역들 (10)은 75%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를 가지며, 그리고 3, 6, 9, ...의 번호를 가진 구역들 (19)은 9%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를 가진다. 도 11의 결과는 5.75 mm의 렌즈 직경에 적용된다. 굵은 커브는 550 nm 파장의 단일 광을 가진 도수들의 세기를 다시 나타내며, 이 경우 점선 라인은 450 nm 그리고 650 nm 사이의 다색 광의 세기를 보여준다 (가우스 분포).
상기 구역들 (6, 10, 19)의 다른 상대적 원거리 및 근거리 세기들 각각은 도 11의 네 개 최대치들에서 다른 상대적 세기들의 결과가 된다.
EP 1 194797 B1 특허에서 이미 설명된 것처럼, 더 큰 도수 D2 (근거리 도수) 및 더 작은 도수 D1 (원거리 도수) 사이의 차이
Figure 112012097708132-pct00005
, 즉, 적어도 하나의 메인 서브-구역 및 적어도 하나의 위상 서브-구역을 각각 가진 환상 구역들로 형성된 이중 초점 렌즈의 가입 도수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97708132-pct00006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12097708132-pct00007
는 설계 파장 (예를 들면, 550 nm)이며, N은 영역 또는 전체 구역들 내 동일한 환상 구역들의 개수이며, 그리고 B는 상기 환상 구역들이 위치한 렌즈의 직경이다. 직경 B 상에 각 FZ 의 영역과 면적에 있어서 동일한 N개 구역들이 있을 때에, 가입 도수
Figure 112012097708132-pct00008
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12097708132-pct00009
그래서, 상기 가입 도수는 상기 전체 구역들의 표면 면적 FZ 에 반비례한다. 상기 전체 구역들은 도수 프로파일을 가지며, 이는 EP 1 194 797 B1 특허에서 보이는 것처럼 메인 서브-구역들 내 굴절 도수 DG 그리고 상기 위상 서브-구역들 내 굴절 도수 DS 에 의해서 주어진다. 이 도수 프로파일이 상기 영역 FZ 의 각 구역 내에서 반복되기 때문에, 상기 도수 프로파일은 FZ 내에서 주기적인 것으로 불린다.
상대적 원거리 세기 I1 그리고 주어진 가입 도수를 가진 EP 1 194 797 B1 특허에 따른 렌즈의 구역들이 상대적 원거리 세기 I2 그리고 동일한 가입 도수를 가진 EP 1 194 797 B1 특허에 따른 렌즈의 구역들과 이제 교대로 결합된다면, EP 1 194 797 B1 특허에 따른 구역들 둘 모두는 평균 굴절 도수 D1 (원거리 도수)을 가진다. 그러나, 상이한 상대적 원거리 세기들로 인해서, 상기 두 구역들 각각은 메인 서브-구역들 및 위상 서브-구역들에서 상이한 도수들을 가진다. 도 7에서, 상대적 원거리 세기에 대한 상기 메인 서브-구역들 내 도수들의 의존성은 4 디옵터의 가입 도수를 가진 이중 초점 렌즈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상기 위상 서브-구역들 내 도수들은 상기 렌즈의 원거리 도수 (전체 구역들의 평균 도수에 대응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서브-구역들 내 도수들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EP 1 194 797 B1 특허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다음의 관계들이 평균 원거리 도수 Dav 그리고 굴절 도수들 DG 및 DS 에 적용된다:
Figure 112012097708132-pct00010
이 경우 p는 위상 서브-구역 대 전체 구역의 백분율 면적 비율이며, 그리고 DG 는 상기 메인 서브-구역의 굴절 도수이며, DS 는 상기 위상 서브-구역의 굴절 도수이다. 일 예로서, 상기 원거리 도수의 상대적 세기가 70%이며, 그리고 원거리 도수는 20 디옵터이며; 또한, 상기 위상 서브-구역의 비율 p는 0.15 또는 15%이며, 상기 메인 서브-구역의 비율은 그러면 85%일 것이 요청될 것이다. 도 7을 기초로 하여, 상기 메인 서브-구역 도수와 원거리 도수 사이의 차이가 1.8 디옵터의 값이라는 것을 얻는다. 그 때문에, 값 DG = 21.8 디옵터라는 값을 얻으며, 그리고 상기 수학식 3의 도움을 받아 DS = 9.8 디옵터라는 값을 얻는다. 유사한 방식에서, 70% 대신에 60%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에 대해서, DG = 22.2 디옵터 및 DS = 7.53 디옵터의 값들을 얻는다.
상기 상대적 원거리 세기들 I1 및 I2 의 차이들이 크지 않다면, 상기 메인 서브-구역들에서 그리고 상기 위상 서브-구역들에서의 각 차이들은 도 7 또는 이 예들로부터 명백할 만큼 작다. 이 경우들에서, 상대적 원거리 세기 I1을 가진 전체 구역들은 상대적 원거리 세기 I2를 가진 전체 구역들과는 약간 다르다. 그러므로, 상기 도수 프로파일의 주기성은 실질적으로 유지되며, 즉, 상기 도수들 사이의 차이는 서브-구역들 내에서 약간 상이한 도수들을 가진 개별 구역들의 면적 FZ 에 의해서 더 결정된다. I1 = 40% 인 구역들이 I2 = 50 % 인 구역들과 결합되는 렌즈에 적용되는 도 6은 그래서 상기 면적 FZ 에 대응하는 가입 도수를 가진 이중 초점 렌즈의 TFR 또는 축 PSF를 실질적으로 보여준다. 두 개의 연속적인 구역들 (6, 10)의 서브-구역들 내에서의 약간의 차이들은 이 렌즈의 특성에 있어서 약간의 변이들만에 영향을 준다.
그러나, 연속적인 구역들 내 상기 상대적 원거리 세기들 I1 및 I2 가 실질적으로 상이하면, 그러면, FZ 내에서 주기성에 대한 방해가 상당하다. 오히려, 두 인접한 구역들의 표면 면적에 의해서, 그래서 2*FZ 에 의해서 주어진 도수 프로파일의 주기성이라는 결과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상대적 원거리 세기들 I1 및 I2 각각이 실질적으로 상이한 전체 구역들로 구성된 참조번호 13 또는 18의 렌즈들은 다음의 식으로 주어지는 가입 도수를 가진다.
Figure 112012097708132-pct00011
두 개의 렌즈 부들 (15, 16)을 가진 예시의 렌즈 (13)에 대한 개별 도수들은 이제 다음과 같이 규정된다:
D1 은 상기 렌즈 (13)의 주요 도수들 중에서 가장 작은 도수 (원거리 도수)이다.
DG1 은 상기 첫 번째 구역 (6) (그리고, 세 번째, 다섯 번째, ... 구역)의 메인 서브-구역 (7) 내의 굴절 도수이며 그리고 DS1 은 상기 첫 번째 ( 그리고 세 번째, 다섯 번째, ...) 구역 (6)의 위상 서브-구역 (8) 내의 굴절 도수이다.
p1 은 전체적인 상기 위상 서브-구역 (8) 대 첫 번째 (그리고 세 번째, 다섯 번째 ...) 구역 (6)의 면적 비율이다.
DG2 는 상기 두 번째 구역 (10) (그리고 네 번째, 여섯 번째 ... 구역)의 메인 서브-구역 (11) 내 굴절 도수이며 그리고 DS2 는 상기 두 번째 (그리고, 네 번째, 여섯 번째, ...) 구역 (10)의 위상 서브-구역 (12) 내 굴절 도수이다.
p2 는 상기 위상 서브-구역 (11) 대 상기 전체 두 번째 (그리고 네 번째, 여섯 번째 ...) 구역 (10)의 면적 비율이다.
그러면 다음의 식이 적용된다.
Figure 112012097708132-pct00012
상기 두 개의 첫 번째 메인 서브-구역들 DG1 및 DG2 의 그리고 상기 첫 번째 렌즈 부 (15)의 구역 (6) 및 상기 두 번째 렌즈 부 (16)의 인접 구역 (10)으로 구성된 전체 구역 (22)의 위상 서브-구역 DS1 의 평균 굴절 도수 DG12 는 다음의 식으로 주어진다.
Figure 112012097708132-pct00013
도수 DG12 는 표면 면적 2*FZ 를 가진 전체 구역 (22)의 메인 서브-구역의 도수에 대응하며, 2*FZ 의 표면 면적을 가진 전체 구역의 위상 서브-구역의 도수는 DS2 이지만, 이 위상 서브-구역 대 2*FZ 의 표면 면적을 가진 전체 구역 (22)의 면적 비율은 이제 p12 이며, 이제 두 배의 면적 2*FZ 는 레퍼런스로서 취급되기 때문에 p12 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2097708132-pct00014
추가로, 두 상이한 렌즈 부들 (15, 16)의 각 동일한 평면 면적 FZ (동일한 크기의 광학적 표면들)의 두 구역들 (6, 10)을 결합함으로써, 표면 면적 2FZ를 가진 전체 구역들 (22)이 이제 생긴다. 이 구역들 (22)은 DG12 의 평균 메인 서브-구역 도수를 가지며, 이 결합된 구역들의 위상 서브-구역 도수는 DS2 이다. 이 위상 서브-구역은 상기 전체 구역 (22)에 대해 이제 p12 의 비율을 가진다. 이 전체 구역 (22)의 면적이 두 개의 개별 구역들 (6, 10)의 면적보다 두 배 크기 때문에, 수학식 2에 따라 이 결합된 구역들 (22)을 부가하는 것은 반감된다.
2*FZ 의 표면 면적을 가진 전체 구역 (22)은 그래서 메인 서브-구역 도수 DG12 를 가지며, 이는 수학식 6에 따른 평균 도수이다. 이 구역의 위상 서브-구역 도수는 DS2 이다. 상기 도수 DG12 가 균일한, 같은 도수이면, 2*FZ 의 표면 면적을 가진 상기 구역 (22)은 수학식 4에 따른 가입 도수
Figure 112012097708132-pct00015
을 가진 이중 초점 렌즈의 구역일 것이다.
FZ 의 표면 면적 그리고 DG1 및 DS1 의 도수들을 가진 구역들 (6)을 FZ 의 표면 면적 및 DG2 및 DS2 의 도수들을 가진 구역들 (10)과 결합함으로써, 세 개의 주요 도수들을 가진 렌즈를 얻으며, 그 도수들 중 가장 작은 도수는 세로방향 색수차가 없는 굴절 도수이다.
EP 1 194 797 B1 특허에 따른 렌즈의 더 작은 구역들 (참조번호 6의 구역들 또는 참조번호 10의 구역들)을 결합하는 것은 이중 초점 렌즈의 결과가 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각각 상이한 상대적 원거리 세기들을 가진 그리고 특히 10% 보다 더 큰 특정 원거리 세기 차이를 가진 구역들 (6, 10)을 결합하는 것은 삼중 초점 렌즈 (13)의 결과가 된다.
특히, 참조번호 6의 구역들 그리고 참조번호 10의 구역들은 서로 결합되어 그 결과인 렌즈 (13)가 참조번호 6의 구역들로만 구성된 또는 참조번호 10의 구역들로만 구성된 렌즈들과 동일한 원거리 도수 및 동일한 근거리 도수를 가지도록 한다. 참조번호 6의 구역들 및 참조번호 10의 구역들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들의 차이가 충분하게 크다면, 그 결과인 렌즈는 삼중 초점이며, 즉, 그것은 가입 중간거리 도수 (additional intermediate power)를 가진다. 이런 세 개의 주요 도수들 중 가장 작은 도수가 어떤 세로방향 색수차도 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참조번호 6 및 참조번호 10의 구역들의 평균 굴절 도수들은 이 가장 작은 도수와 동일해야만 한다. 유사한 사실들이 본 발명의 렌즈들에도 적용되며, 이 렌즈들은 세 개가 넘는 주요 도수들을 가진 렌즈, 예를 들면, 사중 초점 렌즈 (18) (도 10)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EP 1 194 797 B1 특허에 따른 삼중초점 렌즈의 구역들은 상이한 평균 굴절 도수들을 가진다.
각각 상이한 상대적 원거리 도수들 및 각각 동일한 평균 굴절 도수들을 가진 구역들이 이제 도 10에 따라서 결합되면, 사중 초점 렌즈 (18)의 구현을 얻게 된다. 상기 렌즈 (18)는 전면 (14')을 가지며, 이 경우 환상 구역들 (19)로 구성된 제3 렌즈 부 (23)에서, 위상 서브-구역 (21)은 참조번호 19의 구역의 전체 면적에 대해 백분율 면적 비율 p3을 가진다. 도 11에서, 그런 렌즈 (18)의 TFR 또는 축 PSF가 도시된다. 상대적 세기 IR 그리고 도수 D가 도시된다. 이 예에서, 세 개의 상이한 구역들 (6, 10, 19) 내 또는 렌즈 부들 (15, 16, 23) 내 상대적 원거리 강도들은 각각 86 %, 75 % 및 9 %이다. 도 11의 결과들은 5.75 mm 렌즈 직경에 적용된다. 굵은 커브는 다시 파장 550 nm의 단일색 광에 대한 것이며, 점선 커브는 450 nm 내지 650 nm 사이 (가오스 분포)의 다색 광에 대한 것이다.
상기 제1 렌즈 부 (15)의 참조번호 6의 구역의 방사상 위치에 따라서, 상기 면적 비율 p1 이 변하여 내부 구역 (6)에서 위상 서브-구역 (7)의 상기 비율 p1 이 추가의 외부 구역 (6) 내 비율 p1 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동일한 것이 상기 렌즈 부 (15)의 참조번호 10의 구역들에 적용되며, 참조번호 23의 렌즈 부의 구역들 (19)이 존재한다면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유사하게, 개별 구역들 (6, 10 또는 19)의 도수들 그리고 도수 프로파일은 연속적일 수 있고 또는 불연속할 수 있다. 이는 일정할 수 있고 또는 반경에 의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n개의 각각 상이한 상대적 원거리 세기들 I1, I2, …..In 그리고 각각 동일한 평균 구절 도수들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각각 구비한 n > 2 인 n개의 비슷하지 않은 구역들 또는 비슷하지 않은 렌즈 부들의 결합은 (n+1) 개의 주요 도수들을 가진 렌즈의 결과가 되며, 그 경우에 이 주요 도수들 중 가장 작은 도수는 어떤 세로방향 색수차도 가지지 않으며, 그리고 이는 상기 n개의 비슷하지 않은 구역들 모두의 평균 굴절 도수에 대응한다는 것이 적용된다.
n > 2 인 n 개의 주요 도수들 그리고 n-1 개 렌즈 부들을 가진 지금까지 설명된 모든 렌즈들에서, 개별 렌즈들 또는 렌즈 구역들의 원거리 도수들 및 가입 도수들은 동일했으며, 그 구역들의 상대적 원거리 및 근거리 세기들만이 각각 상이했다.
n > 2 인 n 개의 주요 도수들 그리고 n-1 개 렌즈 부들을 가진 렌즈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며, 이 렌즈들 각각은 상이한 상대적 원거리 세기들, 각각 동일한 평균 굴절 도수들을 가지지만, 그러나 상이한 가입 도수들을 가진다. 예로는 또한 참조번호 5의 렌즈에 따른 렌즈이며, 이는 도 3에 따른 홀수 구역들 (6)을 포함하며, 이 경우 원거리 도수는 20 디옵터이며, 가입 도수는 4 디옵터이고 그리고 상대적 원거리 세기는 40 %이다. 이 렌즈의 짝수 구역들 (10)은 도 4에 따른 렌즈의 구역들이며, 이는 20 디옵터의 원거리 도수, 2 디옵터의 가입 도수 및 60 %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를 가진다. 이 렌즈의 TFR 또는 축 PSF는 도 12에 도시된다. 450 nm 내지 650 nm 사이의 다색 광에 대한 결과들 (점선 커브)로부터, 주요 도수들 중의 가장 작은 도수는 어떤 세로방향 색수차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다시 알 수 있다. 굵은 커브는 550 nm의 파장의 단색 광에 대한 것이다. 그 결과들은 3.6 mm 렌즈 직경에 적용된다.
상기 설명된 렌즈들 모두에서, 다양한 도수들 중 가장 작은 도수 (원거리 도수)에는 세로방향 색수차가 없다는 사실이 강조된다. 이 사실은, 대응 함수들이 다색 광에 대해서 또한 도시된 도 8, 도 11, 도 12 및 도 15로부터 명백하다.
상기 렌즈들의 개별 도수들의 상대적 세기들은 개별 구역들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들을 대응하여 선택하는 것에 의해서 바뀔 수 있다. 개별 도수들 내 특정 상대적 세기들이 필요하면, 그것들은 상기 구역들의 개별적인 상대적 원거리 세기들 그리고 상기 구역들의 개별적인 가입 도수들과 같은 파라미터들의 체계적인 변경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다 ("시행착오법 (trial and error method)").
도 13에서, 렌즈 (13)의 개략적인 평면 뷰가 도 5에서 단면 라인 V-V에 따른 세로 방향 섹션으로 부분적으로 보이는 것과 같은 구역들 (6, 10)의 면적 크기들에 관하여 크기를 맞추지 않은 채로 도시된다. 상기 제1 렌즈 부 (15) 그리고, 그래서 도 13에 그 일부가 도시된 참조번호 6의 구역들의 합은 이중 초점 렌즈 부 (15)를 구성한다. 상응하여, 도 13에 따른 구현에서, 제2 렌즈 부 (16)는 복수의 구역들 (10)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이는 이중 초점 렌즈 부를 또한 구성한다. 세 개의 주요 도수들을 가진 상기 렌즈 (13)는 그러므로 두 개의 이중 초점 렌즈 부들 (15, 16)로 구성된다. 그것들 각각은 참조번호 6 및 10의 복수의 구역들을 각각 가진다. 그것들은 서로에게 교번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1 렌즈 부 (15)의 구역들 (6)은 모두 동일한 면적 FZ 를 가진다. 유사하게, 상기 제2 렌즈 부 (16)의 구역들 (10) 모두는 동일한 면적 FZ 를 가진다. 이는 상기 렌즈 (13)의 전면 (14)에 관한 면적 구성에 관하여 보여질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실시예에서, 두 인접한 구역들 (6, 10)은 동일한 면적들 FZ을 가진 두 상이한 이중 초점 렌즈 부들 (15, 16)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상이한 렌즈 부들 (15, 16)의 상기 두 인접한 구역들 (6, 10)은 전체 구역 (22)을 구성한다. 위상 서브-구역 도수에 관해서는 물론이며 메인 서브-구역 도수에 관한 그런 전체 구역 (22)의 평균 굴절 도수에 관하여, 상기에서 언급된 설명들을 참조한다. 도 14에서의, 추가의 부분적인 표면에서, 부분적인 섹션이 도시되며, 이 경우 전체 구역 (22)이 제시된다. 그런 전체 구역 (22)은 참조번호 6의 구역 내지 참조번호 10의 구역 사이의 상기 렌즈 (13)의 다른 위치들에서도 또한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따른 구성 그리고 이전에 설명된 수식 연관된 것들이 그러므로 참조번호 6의 구역 및 참조번호 10의 구역을 가진 모든 추가의 구역 쌍들에 또한 적용된다. 메인 서브-구역 (7, 11) 및 위상 서브-구역 (8)에 의해서, 상기 전체 구역 (22)의 전체 메인 서브-구역이 형성된다. 방사상으로 외부 서브-구역을 로컬로 나타내는 상기 위상 서브-구역 (12)은 상기 전체 구역 (22)의 전체 위상 서브-구역이다.
도 16에서, 본 발명에 따른 사중 초점 안구 내 렌즈 (intraocular lens)의 추가의 예가 도시된다. 이 렌즈 (24)는 그 구조에 있어서 도 13 및 도 14에 대응한다. 그러므로, 상기 렌즈 (24)는 두 개의 이중 초점 렌즈 부들 (25, 26)로만 구성된다. 참조번호 25의 렌즈 부는 여러 개의, 특히 두 개의 환상 구역들 (27)을 포함하며, 이것들은 평균 굴절 도수가 21 디옵터이며 그리고 두 도수들 중의 더 큰 도수가 24.5 디옵터이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가입 도수는 3.5 디옵터이다. 참조번호 26의 렌즈 부는 여러 개의, 특히 두 개의 환상 구역들 (28)을 포함하며, 이것들은 평균 굴절 도수가 또한 21 디옵터이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가입 도수는 1.75 디옵터이다. 상기 구역들 (27, 28) 모두에서, 상대적 원거리 세기는 50 %이다. 그래서 상기 이중 초점 렌즈 부들 (25, 26) 모두는 두 개의 주요 도수들에서 동일한 높은 세기들을 가진다. 상기 구역들 (27, 28)은 방사상 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치된다.
여기에서 또한, 전면 (14'')이 형성되며, 이는 상기 렌즈 (24)의 광학적 표면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참조번호 27 및 28의 구역들을 단 하나의 메인 서브-구역 (29 또는 31)을 각각 그리고 단 하나의 위상 서브-구역 (30 또는 32)을 각각 가진다. 상기 위상 서브-구역들 (30, 32)은 방사상으로 외부로 그리고 각 구역 (27 및 28) 내 각 외부 구역 가장자리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된다. 참조번호 27의 구역은 전체적인 광학적 표면 (251)을 가지며, 이 경우에 참조번호 28의 구역은 전체적인 광학적 표면 (261)을 가진다. 상기 광학적 표면들 (251, 261)은 상이한 크기이며, 이 경우 참조번호 261의 표면은 적어도 참조번호 251의 표면보다 적어도 50%, 특히 100% 더 크다. 방사상 방향 내 외부로 계산된 상기 홀수 구역들 (28)은 그러므로 상기 짝수 구역들 (27)보다 면적에서 있어서 실질적으로 더 크다. 상기 위상 서브-구역들 (30 및 32)의 백분율 면적 비율들 p4 및 p5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7% 사이이다.
이제, 이 렌즈는 4 mm의 안구 전방 깊이를 가진 43 디옵터의 도수인 단일 표면 각막 뒤에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상기 안구 전방 깊이는 각막 중앙과 안구 내 렌즈의 전면 사이의 거리이다). 상기 안구 내 렌즈 주위의 몰입 매체 (immersion medium)의 인덱스는 1.336 (표준 값)이다. 각막과 안구 내 렌즈로 구성된 시스템의 가변 도수는 도 15에 도시된다. 이 도수는 "시각" 도수 ("ocular" power)로서 또한 언급된다. 도 15로부터 명백한 것처럼, 각각이 동일한 원거리 도수들을 가지지만, 각각이 상이한 가입 도수를 가지며 특히 상이한 광학적 표면 크기들을 가지는 두 렌즈 부들 (25, 26)을 결합한 것은 사중 초점 안구 내 렌즈의 결과가 된다. 네 개의 도수들 중 가장 작은 도수는 상기 렌즈 부들 (25, 26)의 가장 작은 도수에 대응하며 그리고 세로 방향 색수차가 없으며, 상기 네 개의 도수들 중 가장 큰 도수는 참조번호 25의 렌즈 부의 두 도수들 중 더 큰 도수에 대응하며, 상기 네 도수들 중의 두 번째로 작은 도수는 참조번호 26의 렌즈 부의 두 개의 도수들 중의 더 큰 도수에 대응한다. 상기 네 개의 도수들 중의 가장 큰 도수와 가장 작은 도수 사이에 위치한 추가의 도수는 상기 렌즈의 모든 구역들 사이의 간섭 현상으로 인한 것이다. 도 15 및 도 16에 따른 상기 예는 그래서 단 두 개의 이중 초점 렌즈 부들 (25, 26)만의 결합에 의해서 사중 초점 렌즈가 또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렌즈들의 바람직한 구현들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추가의 실시예들이 존재한다는 것이 즉각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7 내 렌즈의 표현에 있어서, 두 개의 제1 렌즈 부들에 방사상 방향으로 인접한 외부의 제3 이중 초점 렌즈 부는 표시되지 않는다. 이 제3 렌즈 부는 복수의 구역들로 구성되며, 이 구역들 각각은 메인 서브-구역 및 위상 서브-구역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이 제3 렌즈 부의 구역들은 3.75 디옵터의 가입 도수를 가진다. 이 제3 렌즈 부 구역들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들은 바람직하게는 65 %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제3 렌즈 부는 전체 렌즈의 4.245 mm 내지 6 mm 사이의 직경 범위 내로 확장된다.
도 17에서, 각각이 메인 서브-구역으로 그리고 위상 서브-구역으로 구성된 상기 제1 렌즈 부의 구역들 (34) 및 상기 제2 렌즈 부의 구역들 (35)이 형성된다. 명백하듯이, 방사상 방향에서, 상기 제1 렌즈 부의 구역들 (34)은 상기 제2 렌즈 부의 구역들 (35)과 교번하여 배치된다. 도시된 구현에서, 상기 제1 렌즈 부는 일곱 개의 구역들 (34)로 구성되어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제2 렌즈 부 또한 일곱 개의 구역들 (35)로 구성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렌즈 부의 가입 도수는 3.75 디옵터이며 그리고 상기 제2 렌즈 부의 가입 도수는 3.1 디옵터이다. 상기 두 렌즈 부들은 상기 렌즈 (33) 내에서 4.245 mm의 직경까지 확장된다.
상기 제1 렌즈 부의 구역들 (34) 내 상대적 원거리 세기는 본 실시예에서 90 %이며, 이 경우 상기 제2 렌즈 부의 구역들 내 상대적 원거리 세기는 40 %이다. 모든 구역들의 평균 굴절 도수는 동일하다. 상기 메인 서브-구역의 광학적 표면의 면적 비율은 모든 구역들에서 90 %이다. 이는 상기 처음 두 개의 렌즈 부들 모두에 그리고 상기 제3 렌즈 부에 적용된다.
도 17 내 표시로부터 더욱이 분명한 것처럼, 상기 제1 렌즈 부의 제1 구역 (34)의 방사상 두께 d1은 상기 제2 렌즈 부의 다음의 구역 (35)의 방사상 두께 d2보다 더 크다. 추가의 방사상 두께들 d3 내지 d5가 도시되며, 이는 추가의 구역들 (34) 각각 (35)에 대응한다. 방사상 두께들 d1 내지 d5 그리고 기타 등등은, 참조번호 34의 모든 구역들이 동일한 표면 크기를 가지고 그리고 참조번호 35의 모든 구역들이 참조번호 34 구역들의 표면 크기와는 다른 동일한 표면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일반적 실시예에서, 참조번호 34의 모든 환상 구역들은 동일한 표면 크기를 가진다. 또한 참조번호 35의 모든 환상 구역들은 동일한 표면 그키를 가지며, 이는 참조번호 34의 환상 구역들의 표면 크기와는 다르다. 그러므로, 상기 방사상 두께들 d1 내지 d5 그리고 기타 등등은 상이하며 그리고 상기 렌즈의 반경에 따라서 감소한다.
도 17 내의 표현들을 기반으로 하여, 도 18에 따른 도면에서, 상대적 세기 IR 의 세기 분포가 도 17에 따른 렌즈의 네 개의 주요 도수들에 대해서 도시된다. 자신들의 상대적 세기 분포들을 가진 네 개의 실질적 최고점 또는 피크들이 도시된다.
도 17 내 표현들을 기반으로 하여, 사중 초점 렌즈가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외부의 제3 렌즈 부를 가지지 않으며 그래서 두 개의 첫 번째 렌즈 부들 만으로 구성된다. 그러면, 추가의 렌즈 부들은 제공되지 않는다.
도 17 내 표현들 그리고 각각이 이중 초점인 세 개의 렌즈 부들로 구성된 사중 초점 렌즈에 대한 설명을 기반으로 하여, 대응하는 렌즈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입 도수들에 대한 값들은 다시 3.75, 3.1 그리고 3.33 이며 또는 첫 번째 세 개의 렌즈 부들에 대해서 3.75이다. 상기 설명에 대조적으로, 여기에서, 상대적 원거리 세기들은 상기 제1 렌즈 부의 구역들 (34)에 대해서 85 %이며, 제2 렌즈 부의 구역들 (35)에 대해서는 39.5 %이며 그리고 상기 제3 렌즈 부의 구역에 대해서는 65 %이다. 여기에서 또한, 대안으로, 사중 초점 렌즈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단지 두 개의 제1 렌즈 부들로만 이루어진다.
다시 대조적으로, 사중 초점 렌즈에 대한 두 개의 추가적인 구현이 제공될 수 있으며, 그러면 그 경우에 상대적인 원거리 세기들에 있어서만 상이하여, 그 원거리 세기들은 제1 렌즈 부에 대해서는 82 %이며, 제2 렌즈 부에 대해서는 41.75 %이며 그리고 제3 렌즈 부에 대해서는 65 %이다. 여기에서 또한, 그러면 사중 초점 렌즈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첫 번째 두 개의 렌즈 부들로만 구성되어 형성된다.
추가적인 대안의 사중 초점 렌즈로서, 그런 렌즈가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이는 이전에 언급된 예에 비해서 원거리 세기들에서만 상이하다. 여기에서, 그러면 제1 렌즈 부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는 86.5 %이며 그리고 제2 렌즈 부의 상대적인 원거리 세기는 40 %이라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제3 렌즈 부가 존재하면, 그것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는 또 다시 특히 65 %이다.
모든 구현들에서, 첫 번째 렌즈 부의 가장 안쪽의 첫 번째 구역은 환상인 것으로 또한 언급된다.

Claims (17)

  1. n > 2 인 n개의 주요 도수 (principal power)들을 가진 다중 초점 렌즈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 환상 (annular) 구역을 구비한 제1 렌즈 부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제2 환상 구역을 구비한 제2 렌즈 부를 포함하는 최대 n-1 개의 렌즈 부들로, 상기 환상 구역들은 굴절 도수 (refractive power)들을 나타내는 각자의 메인 서브-구역들 그리고 굴절 도수들을 나타내며 위상 변이들을 제공하는 각자의 위상 서브-구역들을 포함하는, 렌즈 부들;
    적어도 하나의 회절성 도수를 제공하는 회절성 렌즈 부를 형성하는 상기 메인 서브-구역들의 결합부로서, 상기 회절성 도수는 상기 다중 초점 렌즈의 주요 도수들 중 하나인, 메인 서브-구역들의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인 파라미터들에서 서로 상이하며 그리고 결합되어 상기 n개의 주요 도수들을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제1 렌즈 부의 상기 제1 환상 구역의 평균 굴절 도수 (refractive power)는 상기 제2 렌즈 부의 상기 제2 환상 구역의 평균 굴절 도수와 동일한, 다중 초점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구역의 평균 굴절 도수는 상기 다중 초점 렌즈의 상기 주요 도수들 중 가장 작은 도수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초점 렌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 개의 주요 도수들 중 가장 작은 도수는 회절성 세로 방향 색 수차 (chromatic aberration)가 없으며,
    상기 렌즈는 상기 구역들의 모양 그리고/또는 상대적인 위치 내에 형성되어 상기 주요 도수들 중의 가장 작은 도수가 상기 주요 도수들의 개수 n (n > 2)에 독립적으로 세로 방향 색 수차가 없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초점 렌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부는 적어도 두 개의 구역들을 구비하며, 상기 렌즈의 방사 방향으로 보이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구역들 사이에 상기 제2 렌즈 부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이 배치되며,
    방사 방향으로 보이는, 상기 렌즈 부들의 상기 구역들은 교번하는 (alternating) 순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초점 렌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두 렌즈 부들의 두 개의 인접한 구역들 중의 하나로 형성된 전체 구역은 전체 메인 서브-구역의 평균 굴절 도수 DG12 를 가지며, 이는
    Figure 112017107325156-pct00035

    의 식에 따라서 결정되며,
    여기에서,
    DG1 은 첫 번째 구역의 메인 서브-구역 내 굴절 도수이며;
    DS1 은 상기 첫 번째 구역의 위상 서브-구역의 굴절 도수이이며,
    DG2 는 두 번째 구역의 메인 서브-구역 내 굴절 도수이며
    p1 은 상기 위상 서브-구역 대 첫 번째 구역 전체의 면적 비율이며, 그리고
    p2 는 상기 위상 서브-구역 대 두 번째 구역 전체의 면적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초점 렌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부의 구역은 상기 제2 렌즈 부의 구역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구역들의 광학 표면들은 동일한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초점 렌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부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 (far intensity)는 상기 제2 렌즈 부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의 상대적인 원거리 세기보다 10%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초점 렌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초점 렌즈는 두 개의 이중 초점 렌즈 부들로 구성된 삼중 초점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초점 렌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초점 렌즈는 세 개의 이중 초점 렌즈 부들로 구성된 사중 초점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초점 렌즈.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초점 렌즈는 두 개의 이중 초점 렌즈 부들로 구성된 사중 초점 렌즈이며,
    이 경우 상기 제1 렌즈 부의 구역의 광학 표면은 상기 제2 렌즈 부의 구역의 광학 표면과는 다른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초점 렌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 부의 광학 표면은 상기 제1 렌즈 부의 광학 표면보다 적어도 50%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초점 렌즈.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두 개의 렌즈 부들의 부가 도수들 (additional powers)은 상이하며 그리고/또는 그 두 렌즈 부들은 동일한 상대적 원거리 세기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초점 렌즈.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들로 구성된 렌즈의 표면은 자신의 이미징 (imaging) 특성에 관련하여 비점 수차 (astigmatic) 결과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구역의 도수들은 경선 각도 (meridian angle)에 따라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초점 렌즈.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렌즈의 경선 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상기 제1 렌즈 부의 구역의 평균 굴절 도수는 상기 제2 렌즈 부의 구역의 평균 굴절 도수와 각각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초점 렌즈.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부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는 상기 제2 렌즈 부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의 상대적인 원거리 세기보다 적어도 30%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초점 렌즈.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부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의 상대적 원거리 세기는 상기 제2 렌즈 부의 적어도 하나의 구역의 상대적인 원거리 세기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초점 렌즈.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 부의 광학 표면은 상기 제1 렌즈 부의 광학 표면보다 적어도 90%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초점 렌즈.
KR1020127030949A 2010-04-27 2011-04-26 다중 초점 렌즈 KR101868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18436.5A DE102010018436B4 (de) 2010-04-27 2010-04-27 Multifokale Augenlinse
DE102010018436.5 2010-04-27
PCT/EP2011/056552 WO2011134948A1 (en) 2010-04-27 2011-04-26 Multifocal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438A KR20130057438A (ko) 2013-05-31
KR101868129B1 true KR101868129B1 (ko) 2018-06-18

Family

ID=4412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949A KR101868129B1 (ko) 2010-04-27 2011-04-26 다중 초점 렌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223148B2 (ko)
EP (2) EP2564265B1 (ko)
JP (1) JP5964289B2 (ko)
KR (1) KR101868129B1 (ko)
CN (1) CN102947749B (ko)
AU (1) AU2011246531C1 (ko)
BR (1) BR112012027433B1 (ko)
DE (1) DE102010018436B4 (ko)
ES (2) ES2808329T3 (ko)
RU (1) RU2538935C2 (ko)
WO (1) WO20111349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35563B2 (en) 2012-08-31 2016-05-10 Amo Groningen B.V. Multi-ring lens, systems and methods for extended depth of focus
JP2014002342A (ja) * 2012-06-21 2014-01-09 Hoya Lense Manufacturing Philippine Inc セミフィニッシュレンズおよびセミフィニッシュレンズの設計方法
WO2014024745A1 (ja) * 2012-08-06 2014-02-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
JP5993950B2 (ja) * 2012-12-14 2016-09-21 株式会社メニコン 回折型多焦点眼用レンズとその製造方法
DE102013216015B4 (de) 2013-08-13 2021-01-28 Carl Zeiss Meditec Ag Multifokale Augenlinse mit zumindest teilweise um eine optische Hauptachse umlaufenden optischen Zonen
CN104127263B (zh) * 2013-12-19 2016-03-02 爱博诺德(北京)医疗科技有限公司 多焦点人工晶状体
CN105980915A (zh) * 2014-01-16 2016-09-28 兴和株式会社 复曲面眼用透镜
WO2015155842A1 (ja) * 2014-04-08 2015-10-15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光学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WO2015166539A1 (ja) * 2014-04-28 2015-11-05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光学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像装置
US9335564B2 (en) * 2014-05-15 2016-05-10 Novartis Ag Multifocal diffractive ophthalmic lens using suppressed diffractive order
US11000366B2 (en) 2014-05-15 2021-05-11 Alcon Inc. Multifocal diffractive ophthalmic lens
DE102014223341B4 (de) * 2014-11-14 2021-09-23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Optische Sehhilfe, Verwendung einer optischen Sehhilfe, Verfahren, Computerprogramm und System für das Ermitteln einer gesuchten Parametrisierung der dioptrischen Wirkung einer optischen Sehhilfe
EP3130314A1 (en) 2015-08-12 2017-02-15 PhysIOL SA Trifocal intraocular lens with extended range of vision and correction of longitudinal chromatic aberration
TR201808140T4 (tr) 2015-10-02 2018-07-23 Rayner Intraocular Lenses Ltd Çok odaklı mercek.
EP3150170B1 (de) * 2015-10-02 2017-12-06 Rayner Intraocular Lenses Limited Multifokale lins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CN105467617A (zh) * 2016-02-16 2016-04-06 侯绪华 离焦渐进式多焦点隐形眼镜
RU2644283C1 (ru) * 2016-06-22 2018-02-08 Рашид Адыгамович Ибатули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или лечения рефракционных нарушений зрения
JP6765064B2 (ja) * 2016-06-23 2020-10-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赤外線検出装置
DE202016105181U1 (de) 2016-09-16 2017-09-20 Carl Zeiss Meditec Ag Multifokale Augenlinse mit Ringzonen mit definiert unterschiedlichen gemittelten Brechkräften
DE202016105180U1 (de) 2016-09-16 2017-09-19 Carl Zeiss Meditec Ag Multifokale Augenlinse mit Ringzonen mit definiert unterschiedlichen gemittelten Brechkräften
DE102016117504B4 (de) * 2016-09-16 2018-05-30 Carl Zeiss Meditec Ag Multifokale Augenlinse mit Ringzonen mit definiert unterschiedlichen gemittelten Brechkräften
CN106405820A (zh) * 2016-10-14 2017-02-15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目镜
US10531950B2 (en) 2016-11-16 2020-01-14 Tatvum LLC Intraocular lens having an extended depth of focus
US10426599B2 (en) * 2016-11-29 2019-10-01 Novartis Ag Multifocal lens having reduced chromatic aberrations
EP3595584A1 (en) 2017-03-17 2020-01-22 AMO Groningen B.V. Diffractive intraocular lenses for extended range of vision
CN107037604B (zh) * 2017-06-07 2019-04-12 苏州科技大学 一种渐进多焦点眼用镜片及其设计方法
US11523897B2 (en) 2017-06-23 2022-12-13 Amo Groningen B.V. Intraocular lenses for presbyopia treatment
EP3639084A1 (en) 2017-06-28 2020-04-22 Amo Groningen B.V. Extended range and related intraocular lenses for presbyopia treatment
EP3646110A1 (en) 2017-06-28 2020-05-06 Amo Groningen B.V. Diffractive lenses and related intraocular lenses for presbyopia treatment
US11327210B2 (en) 2017-06-30 2022-05-10 Amo Groningen B.V. Non-repeating echelettes and related intraocular lenses for presbyopia treatment
CN108652789B (zh) * 2017-07-20 2020-04-21 东莞东阳光医疗智能器件研发有限公司 近距视力加强的全视程衍射人工晶体
EP3756043A1 (de) * 2018-01-14 2020-12-30 Carl Zeiss AG Brillenglas mit einer beugungsstruktur für licht
CN116636955A (zh) 2018-09-13 2023-08-25 哈尼塔镜片公司 多焦点人工晶状体
DE202019000174U1 (de) 2019-01-11 2019-03-14 an-vision GmbH Intraokularlinse für Tiere mit erweitertem Focus
EP4085293A1 (en) 2019-12-30 2022-11-09 AMO Groningen B.V. Achromatic lenses with zone order mixing for vision treatment
WO2021136617A1 (en) 2019-12-30 2021-07-08 Amo Groningen B.V. Lenses having diffractive profiles with irregular width for vision treatment
WO2021136616A1 (en) 2019-12-30 2021-07-08 Amo Groningen B.V. Achromatic lenses for vision treatment
US11963868B2 (en) 2020-06-01 2024-04-23 Ast Products, Inc. Double-sided aspheric diffractive multifocal lens,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WO2022039683A1 (en) 2020-08-21 2022-02-24 Vsy Biyoteknoloji Ve Ilac Sanayi A.S. A zonal diffractive ocular lens
EP4200664A1 (en) 2020-08-21 2023-06-28 VSY Biyoteknoloji Ve Ilac Sanayi Anonim Sirketi A zonal diffractive ocular lens
AU2021428508A1 (en) 2021-02-19 2023-10-05 Vsy Biyoteknoloji Ve Ilac Sanayi A.S. An adaptive multifocal diffractive ocular lens
EP4343414A1 (de) 2022-09-26 2024-03-27 Werner Fiala Multifokale lin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6275A (ja) * 2006-02-09 2009-07-16 アルコン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様々な面積を有する回折ゾーンを備えた擬調節iol
JP2009525840A (ja) * 2006-02-09 2009-07-16 アルコン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複数の回折パターンを有する擬調節iol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0391A (en) * 1977-09-14 1980-07-01 Cohen Allen L Multifocal zone plate
US5344447A (en) 1992-11-12 1994-09-0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iffractive trifocal intra-ocular lens design
US5760871A (en) 1993-01-06 1998-06-02 Holo-Or Ltd. Diffractive multi-focal lens
JP2000511292A (ja) * 1994-03-17 2000-08-29 ビフォコン・オプティクス・フォーシュングス−ウント・エントヴィックラングスゲーエムベーハー ゾーンレンズ
GB2295686B (en) * 1994-11-30 1998-05-06 Carle John Trevor De Bifocal contact lenses
US5652638A (en) * 1995-05-04 1997-07-29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Concentric annular ring lens designs for astigmatism
US6536899B1 (en) 1999-07-14 2003-03-25 Bifocon Optics Gmbh Multifocal lens exhibiting diffractive and refractive powers
US7922326B2 (en) * 2005-10-25 2011-04-12 Abbott Medical Optics Inc. Ophthalmic lens with multiple phase plates
RU2303961C1 (ru) * 2005-10-31 2007-08-10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ИнтраОЛ" Мультифокальная интраокулярная линз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7572007B2 (en) 2006-08-02 2009-08-11 Alcon, Inc. Apodized diffractive IOL with frustrated diffractive reg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6275A (ja) * 2006-02-09 2009-07-16 アルコン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様々な面積を有する回折ゾーンを備えた擬調節iol
JP2009525840A (ja) * 2006-02-09 2009-07-16 アルコン リサーチ, リミテッド 複数の回折パターンを有する擬調節iol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9-525840호(2009.07.16.) 1부. *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9-526275호(2009.07.16.)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0018436B4 (de) 2017-02-09
AU2011246531B2 (en) 2015-09-24
US20130050640A1 (en) 2013-02-28
EP3705930B1 (en) 2023-05-31
RU2538935C2 (ru) 2015-01-10
ES2953718T3 (es) 2023-11-15
WO2011134948A1 (en) 2011-11-03
DE102010018436A1 (de) 2011-10-27
KR20130057438A (ko) 2013-05-31
CN102947749A (zh) 2013-02-27
EP2564265B1 (en) 2020-06-17
AU2011246531A1 (en) 2012-11-08
US9223148B2 (en) 2015-12-29
JP2013528828A (ja) 2013-07-11
AU2011246531C1 (en) 2021-08-19
EP3705930A1 (en) 2020-09-09
BR112012027433B1 (pt) 2020-04-22
BR112012027433A2 (pt) 2018-06-05
CN102947749B (zh) 2014-07-02
RU2012150510A (ru) 2014-06-10
EP2564265A1 (en) 2013-03-06
JP5964289B2 (ja) 2016-08-03
ES2808329T3 (es) 2021-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129B1 (ko) 다중 초점 렌즈
US20210286196A1 (en) Multi-ring lens, systems and methods for extended depth of focus
CN110753528B (zh) 衍射式多焦点可植入透镜装置
EP2813881B1 (en) Diffraction-type multifocal ophtalmic le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7073906B1 (en) Aspherical diffractive ophthalmic lens
EP3358395A1 (en) Diffractive multi-focal ocular le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ffractive multi-focal ocular lens
AU2020203170B2 (en) High definition and extended depth of field intraocular lens
WO2000054094A1 (en) Multifocal lens article
KR20150130970A (ko) 초점 범위 내에서 광학 품질이 최적화된 굴절식 다초점 안내 렌즈 및 그것의 제조 방법
AU2014308014A1 (en) Multifocal eye lens with optical zones which at least partly encircle a main optical axis
JP2001235712A (ja) 一対の老視用レンズ、老視用レンズのレンジ及び一対の老視用レンズの処方法
RU2628462C2 (ru) Система линз для пресбиопов с разным уровнем зрения глаз
CN208110181U (zh) 具有定义不同平均折光力的环形区的多焦点眼睛镜片
US20230314838A1 (en) Diffractive multifocal small aperture ophthalmic lens
KR20230042299A (ko) 다초점 렌즈
MXPA96001680A (en) Designs of ring lens anular, concentrical for the astigmat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