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980B1 - 카시트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카시트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980B1
KR101867980B1 KR1020160118276A KR20160118276A KR101867980B1 KR 101867980 B1 KR101867980 B1 KR 101867980B1 KR 1020160118276 A KR1020160118276 A KR 1020160118276A KR 20160118276 A KR20160118276 A KR 20160118276A KR 101867980 B1 KR101867980 B1 KR 101867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ans
locking
fixing
wire
fix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8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767A (ko
Inventor
정세훈
조현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쁘레베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쁘레베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쁘레베베
Priority to KR1020160118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980B1/ko
Priority to CN201610922045.3A priority patent/CN107813736B/zh
Publication of KR20180029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 B60N2/2893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coupled to the seat sub-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60N2/282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part of the base being supported by the seat sub-frame

Abstract

본 발명은 카시트의 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되면서 차량에 고정되는 제1고정몸체(50) 및 제2고정몸체(50')와, 상기 제1고정몸체(50) 및 제2고정몸체(50')의 일측을 각각 걸어 고정시키는 제1잠금수단(40) 및 제2잠금수단(40')과, 상기 제1잠금수단(40) 및 제2잠금수단(40')에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잠금수단(40) 및 제2잠금수단(40')을 동시에 작동시켜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구동레버(30)와, 상기 제1고정몸체(50) 및 제2고정몸체(50')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몸체(50) 및 제2고정몸체(50')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메인탄성부재(5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시트의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ISOFIX car seat}
본 발명은 카시트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이소픽스 규격이 적용된 카시트를 차량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카시트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시트(car seat)는 신생아 또는 유아 등의 연소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에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차량의 좌석에 장착되는 기구로서, 급제동, 급출발, 충돌 등이 발생할 경우 신생아나 유아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는 장치이다.
기존의 카시트는 차량의 성인용 무릎 및 대각 좌석 벨트(Lap and Kiagonal Seat Belt) 또는 단지 무릎 벨트만을 사용하여 차량 좌석에 장착되고 고정되도록 사용된다. 그러나 차량에 따라 각각 좌석 및 벨트의 모델이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카시트의 고정은 불안정하다.
이러한 불안정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의 좌석 일측에 앵커가 구비되고, 카시트의 일측에 앵커와 결합하는 래치가 구비된 아이소픽스(ISOFIX,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fixture) 방식을 이용한 카시트가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아이소픽스 방식은 카시트로부터 돌출되는 고정장치(래치)가 차량의 좌석 안쪽에 구비된 고정부(앵커)에 체결됨으로써 고정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비좁은 차량의 내부에서 카시트를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며, 시인성(視認性)에도 문제가 있다.
또한, 아이소픽스방식의 고정장치(래치)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이들 한 쌍의 고정장치(래치)를 각각 카시트로부터 돌출시켜 차량 좌석의 앵커에 고정해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많고 번거로운 면이 있다. 특히 차량의 문을 개방하고 외부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차량 안쪽에 위치한 고정장치(래치)를 조작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696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760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시트의 정면에 설치된 구동레버를 조작하여 한 쌍의 고정장치를 동시에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장치가 자동으로 돌출되면서 차량 좌석의 앵커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카시트의 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되면서 차량에 고정되는 제1고정몸체 및 제2고정몸체와, 상기 제1고정몸체 및 제2고정몸체의 일측을 각각 걸어 고정시키는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과, 상기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에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을 동시에 작동시켜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구동레버와, 상기 제1고정몸체 및 제2고정몸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몸체 및 제2고정몸체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메인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몸체와 제2고정몸체가 각각 카시트의 본체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메인탄성부재는 압축된 상태가 되도록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이 상기 제1고정몸체와 제2고정몸체를 걸어 고정한 상태가 상기 구동레버에 의해 해제되면 상기 메인탄성부재가 이완되면서 상기 제1고정몸체와 제2고정몸체를 각각 카시트의 본체 외부로 밀어낸다.
상기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는 한 쪽 끝은 각각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상기 구동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레버가 이동하면 상기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이 동시에 이동하면서 잠금상태를 해제한다.
상기 구동레버는 카시트의 본체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은 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는 상기 구동레버로부터 연장되다가 카시트의 본체에 구비된 회전베이스의 외면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아 연장된 방향이 바뀌어 상기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회전베이스는 그 외면이 상기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과 대응하는 위치를 갖도록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가 상기 회전베이스를 감아 연장되는 경로는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의 작동방향과 동일하다.
상기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은 각각, 잠금하우징과, 상기 잠금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가 결합되는 잠금몸체와, 상기 잠금몸체의 돌출된 끝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몸체 또는 제2고정몸체에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걸림헤드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헤드에는 상기 제1고정몸체 및 제2고정몸체가 돌출되는 후방을 향해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몸체 및 제2고정몸체가 본체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헤드의 경사면이 상기 잠금홀 가장자리에 눌려 상기 잠금몸체가 후퇴된다.
상기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의 잠금하우징에는 각각 잠금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잠금몸체를 상기 제1고정몸체 및 제2고정몸체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한다.
상기 구동레버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가 각각 통과하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레버에는 레버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탄성부재는 상기 구동레버를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한다.
삭제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카시트의 고정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시트 정면에 설치된 구동레버를 조작하면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한 쌍의 고정몸체가 동시에 돌출되면서 차량좌석에 설치되어 있는 앵커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두 고정몸체를 각각 조작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몸체가 자동으로 돌출되므로 카시트의 설치작업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고정장치 중에서 상대적으로 차량 내측에 위치하는 고정몸체를 사용자가 따로 조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좁은 차량 내부에서 카시트를 고정하는 작업이 더욱 편리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장치와 구동레버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와이어가 회전베이스를 감아 돌면서 잠금수단 방향으로 정확하게 안내되므로, 잠금수단을 조작하기 위한 힘이 상대적으로 적게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카시트의 고정장치 조작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장치를 카시트 본체 내측으로 다시 삽입시키는 작업은 구동레버를 비롯한 별도의 구성을 조작할 필요없이, 고정장치를 눌러줌으로써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것은 잠금수단에 구비된 경사면에 의한 것으로, 이를 통해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해야 하는 작업에서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한 작업이 가능해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카시트의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적용된 카시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고정장치가 돌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카시트의 고정장치가 잘 드러나도록 카시트 착석부를 삭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카시트의 고정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잠금수단의 주변구성을 상세하게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잠금수단의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카시트의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동작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카시트의 고정장치는 카시트를 차량의 좌석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국제규격인 ISOFIX(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fixture)가 적용된 유아용 카시트를 차량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고정장치가 적용된 유아용 카시트(이하 '유아용 카시트'라 함)에 대해 설명하면, 카시트의 골격을 카시트본체(12)가 형성한다. 카시트본체(12)에는 리바운드바(15)가 구비되어 등받이 쪽을 지지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체 카시트(10)의 구성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나, 유아가 착석하는 착석부(100) 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카시트본체(12)에서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부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착석부(100)는 도 1과 같이 리바운드바(15)를 향해 설치되거나 또는 반대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장치가 돌출되기 전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고정장치가 돌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1고정몸체(50)와 제2고정몸체(50')는 구동레버(30)의 조작을 통해 자동으로 돌출되는데,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 의한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고정몸체(50,50')와, 잠금수단(40,40')은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들 한 쌍의 고정몸체(50,50')와 잠금수단(40,40')은 동일한 구성이 대칭되게 설치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들 한 쌍의 고정몸체(50,50')와 잠금수단(40,40')에 서로 다른 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였다. 한 쌍의 고정몸체(50,50')는 제1고정몸체(50) 및 제2고정몸체(50')로 구별하였고, 잠금수단(40,40')은 제1잠금수단(40)과 제2잠금수단(40')으로 구별하였다. 그리고 그 세부적인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와 명칭을 부여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카시트본체(12)에 대해 설명하면, 카시트본체(12)는 카시트의 하부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한 쌍의 하우징(20)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하우징(20)의 내부에는 고정장치의 제1고정몸체(50) 및 제2고정몸체(50')가 각각 삽입되어 이동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1고정몸체(50) 및 제2고정몸체(50')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20)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직선이동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는 메인탄성부재(52)가 구비되는데, 상기 메인탄성부재(52)는 제1고정몸체(50) 및 제2고정몸체(5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탄성부재(52)는 그 한 쪽 끝이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고정되고, 다른 쪽 끝은 제1고정몸체(50) 및 제2고정몸체(50')에 연결된다. 참고로 도 4에는 하우징(20)이 제거되어 메인탄성부재(52)가 드러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메인탄성부재(52)의 한 쪽 끝이 자유단 형태로 분리되어 표현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상기 메인탄성부재(52)의 한 쪽 끝이 하우징(20) 내부에 고정된 상태이다.
고정장치에는 구동레버(3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레버(30)는 상기 고정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구동레버(30)를 카시트본체(12)의 바깥쪽으로 당기면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제1잠금수단(40) 및 제2잠금수단(40')이 작동하면서 제1고정몸체(50)와 제2고정몸체(50')를 걸고 있던 상태를 해제한다. 상기 구동레버(30)는 카시트본체(12)의 정면에 설치된다. 이는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인데, 이러한 구동레버(30)의 위치를 통해 사용자가 차량의 바깥에서도 구동레버(30)를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 구동레버(30)는 카시트본체(12)에 한 개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하나의 구동레버(30)만 조작하면 제1잠금수단(40) 및 제2잠금수단(40')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레버(30)는 카시트본체(12)의 정면 중앙에 하나만 설치되는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구동레버(30)에는 레버탄성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레버탄성부재는 상기 구동레버(30)를 원위치시키기 위한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레버(30)에 카시트본체(12) 방향으로 작동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물론, 상기 레버탄성부재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레버(30)의 일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31)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블록(31)은 상기 구동레버(3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를 안내한다.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블록(31)을 각각 통과하여 구동레버(30)에 결합됨으로써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가 일정한 경로를 따라 당겨지거나 원위치될 수 있다.
카시트본체(12)에는 회전베이스(33)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베이스(33)는 상기 카시트본체(12)의 바닥에서 돌출된 것으로, 착석부(10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회동어셈블리(도시되지 않음)가 회전베이스(3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회전베이스(33)는 착석부(100)의 회전중심이 되는 부분이다.
상기 회전베이스(33)는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의 이동경로를 형성한다.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는 상기 구동레버(30)와 아래에서 설명될 제1잠금수단(40) 및 제2잠금수단(40')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베이스(33)를 감싸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베이스(33)를 기준으로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의 이동경로가 바뀐다. 구동레버(30)를 시작으로 상기 회전베이스(33) 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는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는 회전베이스(33)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으면서 연장되어 각각 제1잠금수단(40) 및 제2잠금수단(40')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4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와이어(W1)는 회전베이스(33)를 반시계방향으로 감아 도면을 기준으로 하부로 연장되고, 제2와이어(W2)는 회전베이스(33)를 시계방향으로 감아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로 연장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베이스(33)는 그 외면이 제1잠금수단(40) 및 제2잠금수단(40')과 대응하는 위치를 갖는다. 도 4에서 보듯이, 회전베이스(33)의 한 쪽 끝(도면을 기준으로 가장 좌측)은 제1잠금수단(40) 및 제2잠금수단(40')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가 상기 회전베이스(33)를 감아 연장되는 경로가 제1잠금수단(40) 및 제2잠금수단(40')의 작동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에 가해지는 장력이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구동레버(30)를 작동시키기 위한 힘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카시트본체(12)에는 한 쌍의 설치가이드(37)가 구비된다. 상기 설치가이드(37)는 제1잠금수단(40) 및 제2잠금수단(40')의 설치를 위한 것으로, 카시트본체(12)에 대칭되게 구비된다. 상기 설치가이드(37)는 제1잠금수단(40) 및 제2잠금수단(40')을 각각 좌우에서 감싸는 구조를 갖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제1잠금수단(40) 및 제2잠금수단(40')을 완전히 감싸 차폐하는 구조일 수도 있으며,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카시트본체(12)에는 입출가이드(37)가 구비된다. 상기 입출가이드(37)는 제1고정몸체(50)와 제2고정몸체(50')가 이동되는 경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고정몸체(50)와 제2고정몸체(5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입출가이드(37)는 제1고정몸체(50)와 제2고정몸체(50')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설치가이드(37) 근처에는 와이어가이드(38)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가이드(38)는 상기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갈라진 부분을 통해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의 말단이 안내된다.
상기 카시트본체(12)에는 잠금수단(40,40')이 설치된다. 상기 잠금수단(40,40')은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잠금수단(40) 및 제2잠금수단(40')으로 구별하되, 도면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잠금수단(40,40')을 제1잠금수단(40)으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1잠금수단(40) 및 제2잠금수단(40')은 각각 구동레버(30)에 연결되어 동시에 작동된다. 제1잠금수단(40) 및 제2잠금수단(40')은 제1고정몸체(50)와 제2고정몸체(50')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1잠금수단(40) 및 제2잠금수단(40')은 각각 제1고정몸체(50)와 제2고정몸체(50')의 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고정몸체(50)와 제2고정몸체(50')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걸어 고정한다. 즉, 제1잠금수단(40) 및 제2잠금수단(40')은 구동레버(30)의 조작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잠금수단(40)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1잠금수단(40)은 잠금하우징(41)이 그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잠금하우징(41)은 도 5와 도 6에서 보듯이, 대략 직육면체 형태를 가지고, 앞서 설명한 설치가이드(37)에 고정된다. 상기 잠금하우징(41)의 내부에는 내부공간이 설치가이드(37)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하우징(41)에는 잠금몸체(43)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몸체(43)는 상기 잠금하우징(41)의 내부공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와이어(W1)에 연결되어 구동레버(30)의 조작을 받는 부분이다. 상기 잠금몸체(43)는 제1와이어(W1)에 의해 잠금하우징(4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고정몸체(50)를 선택적으로 걸어 고정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잠금몸체(43)는 대략 육면체 형상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면부호 42는 고정을 위한 고정돌부를 나타낸다.
상기 잠금몸체(43)에는 걸림헤드(45)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헤드(45)는 상기 잠금몸체(43)의 돌출된 가장 끝 부분에 형성된 것으로, 걸림헤드(45)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상기 걸림헤드(45)는 제1고정몸체(50)에 형성된 잠금홀(51')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헤드(45)는 상기 제1고정몸체(50)에 형성된 다수개의 잠금홀(51')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제1고정몸체(50)가 카시트본체(12)로부터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1고정몸체(50)는 압축된 메인탄성부재(52)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고 있는 상태이지만(도 7참조), 상기 잠금몸체(43)의 걸림헤드(45)가 잠금홀(51')에 삽입되어 제1고정몸체(50)를 걸고 있기 때문에 제1고정몸체(50)가 돌출될 수 없다.
이때, 상기 걸림헤드(45)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1고정몸체(50)가 돌출되는 카시트본체(12)의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으로 인하여, 상기 제1고정몸체(50)가 카시트본체(12)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걸림헤드(45)가 잠금홀(51')에 걸리지 않고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몸체(50)가 카시트본체(1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헤드(45)의 경사면이 잠금홀(51') 가장자리에 눌려 상기 잠금몸체(43)가 자연스럽게 후퇴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걸림헤드(45)가 잠금홀(51')로부터 빠져나온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고정몸체(50)는 상기 카시트본체(12)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1고정몸체(50)를 카시트본체(12) 내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구동레버(30)를 따로 조작할 필요가 없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잠금수단(40)에는 잠금탄성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탄성부재는 상기 잠금몸체(43)에 상기 제1고정몸체(50)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한다. 따라서 구동부재를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잠금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1잠금몸체(43)는 제1고정몸체(50) 방향으로 이동해서 걸림헤드(45)가 잠금홀(51')에 끼워진다.
다음으로 고정몸체(50,5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고정몸체(50,50')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고정몸체(50) 및 제2고정몸체(50')로 구별하되, 도면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한 고정몸체(50,50')를 제1고정몸체(50)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1고정몸체(50) 및 제2고정몸체(50')는 카시트본체(12)로부터 입출되면서 차량 좌석에 구비된 앵커에 걸어지거나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앵커는 차량의 뒷좌석 후방에 위치하여 평소에는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1고정몸체(50) 및 제2고정몸체(50')가 돌출되어 좌석 후방으로 어느 정도 삽입되어야만 앵커에 걸릴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레버(30)를 조작하여 제1고정몸체(50) 및 제2고정몸체(50')를 자동으로 돌출시킬 수 있어, 앵커에 고정하는 작업이 상대적으로 수월하다.
상기 제1고정몸체(50) 및 제2고정몸체(50')는 상기 카시트본체(12)에 구비된 하우징(2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카시트본체(12)에 구비된 입출가이드(37)를 통해 차량의 좌석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후퇴하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4에는 상기 하우징(20)이 생략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몸체(50)와 제2고정몸체(50')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제1고정몸체(5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고정몸체(50)는 바(bar)형태의 이동프레임(51)이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이동프레임(51)은 제1고정몸체(50)의 이동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상기 제1고정몸체(50)에는 카시트본체(12) 후방으로 돌출된 결합부(53)가 구비되고, 결합부(53)의 끝 부분에는 착탈단(55)이 구비된다. 상기 착탈단(55)은 앵커에 고정되는 부분인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랫치구조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앵커와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된다. 상기 랫치구조는 제1고정몸체(50)에 구비된 조작버튼(57)을 통해 조작될 수 있다. 랫치구조와 조작버튼(57)의 연동은 일반적인 구조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고정몸체(50)에는 메인탄성부재(52)가 연결된다. 상기 메인탄성부재(52)는 제1고정몸체(5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한 쪽 끝이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고정되고, 다른 쪽 끝은 제1고정몸체(50)에 연결된다. 상기 메인탄성부재(52)는 상기 제1고정몸체(50)가 카시트본체(12)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압축되어 있다가 제1잠금수단(40)이 제1고정몸체(5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면 이완되면서 제1고정몸체(50)를 강하게 밀어낸다.
상기 제1고정몸체(50)의 이동프레임(51)에는 다수개의 잠금홀(51')이 형성된다. 상기 잠금홀(51')은 상기 이동프레임(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가 구비되어, 제1고정몸체(50)가 돌출되는 정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카시트의 고정장치가 동작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카시트를 차량의 좌석에 안착시킨다. 카시트의 바닥, 즉 카시트본체(12)가 좌석의 상면에 닿도록 내려놓은 후에, 카시트본체(12)가 좌석의 중앙에 놓이도록 조절하는 과정이 이어진다. 이때, 상기 카시트의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제1고정몸체(50)와 제2고정몸체(50')는 모두 카시트본체(12) 안쪽으로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고, 메인탄성부재(52)는 압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레버(30)를 당기면, 구동레버(30)가 카시트본체(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도 4의 화살표①방향 참조). 이때 사용자는 레버탄성부재의 탄성력을 극복해야 하는데, 만약 제1잠금수단(40) 및 제2잠금수단(40')에도 각각 잠금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잠금탄성부재도 탄성변형시키면서 구동레버(30)가 당겨진다.
상기 구동레버(30)가 당겨지면, 상기 구동레버(30)에 연결된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가 구동레버(30) 방향으로 이동된다(도 4의 화살표②방향 참조). 상기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는 회전베이스(33)를 감아 연장방향이 바뀌는데, 이에 따라 제1와이어(W1)와 제2와이어(W2)의 반대쪽 끝부분(W1',W2')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도 4의 화살표③방향 참조)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가 상기 회전베이스(33)를 감아 연장되는 경로가 제1잠금수단(40) 및 제2잠금수단(40')의 작동방향과 일치하므로,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에 가해지는 장력이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구동레버(30)를 작동시키기 위한 힘이 줄어들 수 있다.
제1와이어(W1)와 제2와이어(W2)가 이동되면 상기 제1와이어(W1) 및 제2와이어(W2)에 각각 연결된 제1잠금수단(40)과 제2잠금수단(40')이 작동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잠금몸체(43)가 잠금하우징(41)으로부터 이동하면서 걸림헤드(45)가 잠금홀(51')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잠금수단(40)과 제2잠금수단(40')이 각각 제1고정몸체(50)와 제2고정몸체(50')를 걸어 고정한 상태가 동시에 해제된다.
그리고, 메인탄성부재(52)가 이완되면서 제1고정몸체(50)와 제2고정몸체(50')를 강하게 밀어 돌출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강하게 돌출된 제1고정몸체(50)와 제2고정몸체(50')는 좌석 내측의 앵커 방향으로 이동하여 앵커와 접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조작버튼(57)을 눌러 랫치구조를 작동시키면, 앵커에 제1고정몸체(50)와 제2고정몸체(50')의 착탈단(55)이 걸어져 강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카시트 정면에 설치된 구동레버(30)만 한번 조작하면 한 쌍의 고정몸체(50,50')가 동시에 돌출되면서 차량좌석에 설치되어 있는 앵커에 이르게 되므로 작업성이 크게 개선된다. 특히, 고정장치 중에서 상대적으로 차량 내측에 위치하는 고정몸체(50,50')를 사용자가 따로 조작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비좁은 차량 내부에서 카시트를 고정하는 작업이 더욱 편리해질 수 있다.
한편, 카시트를 차량의 좌석으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은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다시 조작버튼(57)을 눌러 랫치구조를 작동시키면 앵커로부터 착탈단(55)이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카시트 전체를 좌석으로부터 당기면 카시트가 좌석으로부터 분리된다.
사용자는 보관이나 이동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고정몸체(50)와 제2고정몸체(50')를 다시 카시트본체(12) 내부로 삽입할 수 있는데, 이러한 동작은 단순히 제1고정몸체(50)와 제2고정몸체(50')를 밀어넣음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메인탄성부재(52)의 탄성력은 극복하면서 상기 제1고정몸체(50)와 제2고정몸체(50')를 밀어넣어야 하지만, 구동레버(30)나 기타 다른 구성을 조작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상기 제1고정몸체(50)와 제2고정몸체(50')가 카시트본체(1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헤드(45)의 경사면이 잠금홀(51') 가장자리에 눌려 상기 잠금몸체(43)가 자연스럽게 후퇴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걸림헤드(45)가 잠금홀(51')로부터 빠져나오기 때문이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고정몸체(50)는 상기 카시트본체(12)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1고정몸체(50)와 제2고정몸체(50')를 충분히 밀어넣은 후에 힘을 제거하더라도, 잠금수단(40,40')을 구성하는 잠금몸체(43)의 걸림헤드(45)가 잠금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잠금홀(51')에 끼워지므로, 제1고정몸체(50)와 제2고정몸체(50')가 다시 돌출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례에서 메인탄성부재(52) 이외에 잠금탄성부재와 레버탄성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잠금탄성부재와 레버탄성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와이어(W1)와 제2와이어(W2)가 반드시 회전베이스(33)를 감은 상태로 연장될 필요는 없고, 별도의 가이드장치(미도시)를 따라 연장되거나, 직접 제1잠금수단(40) 및 제2잠금수단(40')에 연결될 수도 있다.
12: 카시트본체 15: 리바운드바
20: 하우징 30: 구동레버
31: 가이드블록 33: 회전베이스
37: 설치가이드 38: 와이어가이드
40,30': 잠금수단 41: 잠금하우징
43: 잠금몸체 45: 걸림헤드
50,50': 고정몸체 51: 이동프레임
51': 잠금홀 53: 고정부
55: 착탈단 57: 조작버튼
100: 착석부

Claims (10)

  1. 카시트의 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되면서 차량에 고정되는 제1고정몸체 및 제2고정몸체와,
    상기 제1고정몸체 및 제2고정몸체의 일측을 각각 걸어 고정시키는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과,
    상기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에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을 동시에 작동시켜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구동레버와,
    상기 제1고정몸체 및 제2고정몸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몸체 및 제2고정몸체가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메인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정몸체와 제2고정몸체가 각각 카시트의 본체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메인탄성부재는 압축된 상태가 되도록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이 상기 제1고정몸체와 제2고정몸체를 걸어 고정한 상태가 상기 구동레버에 의해 해제되면 상기 메인탄성부재가 이완되면서 상기 제1고정몸체와 제2고정몸체를 각각 카시트의 본체 외부로 밀어내는 카시트의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는 한 쪽 끝은 각각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상기 구동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레버가 이동하면 상기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이 동시에 이동하면서 잠금상태를 해제하는 카시트의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레버는 카시트의 본체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은 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는 상기 구동레버로부터 연장되다가 카시트의 본체에 구비된 회전베이스의 외면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아 연장된 방향이 바뀌어 상기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에 각각 연결되는 카시트의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베이스는 그 외면이 상기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과 대응하는 위치를 갖도록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가 상기 회전베이스를 감아 연장되는 경로는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의 작동방향과 동일한 카시트의 고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은 각각,
    잠금하우징과,
    상기 잠금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와이어 또는 제2와이어가 결합되는 잠금몸체와,
    상기 잠금몸체의 돌출된 끝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몸체 또는 제2고정몸체에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잠금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걸림헤드를 포함하는 카시트의 고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헤드에는 상기 제1고정몸체 및 제2고정몸체가 돌출되는 후방을 향해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몸체 및 제2고정몸체가 본체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헤드의 경사면이 상기 잠금홀 가장자리에 눌려 상기 잠금몸체가 후퇴되는 카시트의 고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의 잠금하우징에는 각각 잠금탄성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잠금몸체를 상기 제1고정몸체 및 제2고정몸체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카시트의 고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레버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가 각각 통과하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이 설치되는 카시트의 고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레버에는 레버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탄성부재는 상기 구동레버를 원위치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카시트의 고정장치.
  10. 삭제
KR1020160118276A 2016-09-13 2016-09-13 카시트의 고정장치 KR101867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276A KR101867980B1 (ko) 2016-09-13 2016-09-13 카시트의 고정장치
CN201610922045.3A CN107813736B (zh) 2016-09-13 2016-10-21 安全座椅的固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8276A KR101867980B1 (ko) 2016-09-13 2016-09-13 카시트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767A KR20180029767A (ko) 2018-03-21
KR101867980B1 true KR101867980B1 (ko) 2018-06-20

Family

ID=61601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8276A KR101867980B1 (ko) 2016-09-13 2016-09-13 카시트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67980B1 (ko)
CN (1) CN10781373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2262B2 (en) 2018-07-16 2021-07-27 Dong-In Entech Co., Ltd. Portable car seat
IT202200003344A1 (it) * 2022-02-23 2023-08-23 Artsana Spa Sistema di aggancio per un seggiolino aut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2251A (zh) * 2019-09-30 2021-03-30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安全带固定装置
CN114789683B (zh) * 2021-01-26 2024-04-09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安全座椅及其底座
CN115703384A (zh) * 2021-08-05 2023-02-17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连接插头的伸缩结构以及儿童安全座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431B1 (ko) * 2004-10-02 2006-08-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 장치
JP5666632B2 (ja) * 2012-02-06 2015-02-12 寶鉅兒童用品香港股▲ふん▼有限公司BP Children’s Products HK Co., Limited 子供安全椅子の固定機構
KR101571246B1 (ko) * 2014-06-17 2015-11-23 이지영 조작레버가 구비된 카시트 고정용 아이소픽스 베이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6840B2 (en) * 2010-06-10 2012-09-04 Britax Child Safet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a child safety seat to a vehicle seat
CN201769704U (zh) * 2010-08-24 2011-03-2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汽车座
KR101377600B1 (ko) 2012-08-06 2014-04-01 한재희 유아용카시트의 결착장치
KR101991252B1 (ko) * 2014-03-31 2019-06-24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 시트의 쿠션부 확장장치
KR101586960B1 (ko) 2014-12-05 2016-01-20 이지현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0431B1 (ko) * 2004-10-02 2006-08-0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 장치
JP5666632B2 (ja) * 2012-02-06 2015-02-12 寶鉅兒童用品香港股▲ふん▼有限公司BP Children’s Products HK Co., Limited 子供安全椅子の固定機構
KR101571246B1 (ko) * 2014-06-17 2015-11-23 이지영 조작레버가 구비된 카시트 고정용 아이소픽스 베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72262B2 (en) 2018-07-16 2021-07-27 Dong-In Entech Co., Ltd. Portable car seat
IT202200003344A1 (it) * 2022-02-23 2023-08-23 Artsana Spa Sistema di aggancio per un seggiolino auto
EP4234323A1 (en) * 2022-02-23 2023-08-30 Artsana S.p.A. Child car seat attach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13736B (zh) 2020-01-10
KR20180029767A (ko) 2018-03-21
CN107813736A (zh) 201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980B1 (ko) 카시트의 고정장치
KR101998715B1 (ko) 어린이 안전 시트
CN113910996B (zh) 侧撞保护装置及具有该侧撞保护装置的儿童安全座椅
JP5814672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US20180244178A1 (en) Child car seat for attaching to a motor vehicle seat
EP2664491B1 (en) Support base for a child safety seat
TW201714768A (zh) 兒童安全座椅
KR102430676B1 (ko) 아동용 안전 좌석
KR20060041979A (ko) 차일드 시트의 록 기구 및 유모차의 차일드 시트 고정 장치
EP3600954B1 (en) Adjustable connecting bar for a child restraint system
KR101575499B1 (ko) 차량용 시트의 폴딩 풀림 방지 장치
CA2847450A1 (en) Restraint harness assembly for a child safety seat
KR101586960B1 (ko) 아이소픽스 고정장치를 구비한 카시트
KR101570000B1 (ko) 카시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아이소픽스 베이스
KR101571246B1 (ko) 조작레버가 구비된 카시트 고정용 아이소픽스 베이스
JP2012061248A (ja) バックル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US20220219747A1 (en) Child stroller apparatus
KR101555437B1 (ko) 패널잠금 조절레버가 구비된 카시트 고정용 아이소픽스 베이스
JP5933024B2 (ja) スライドレール機構及び車両用シート
KR101642604B1 (ko) 카시트의 경사조절장치
JP2010006368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1868109B1 (ko) 리어 시트의 시트백 락킹장치
KR101555435B1 (ko) 연결기가 구비된 카시트 고정용 아이소픽스 베이스
KR101555436B1 (ko) 패널잠금 방식의 카시트 고정용 아이소픽스 베이스
KR20150040000A (ko) 차량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