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600B1 - 유아용카시트의 결착장치 - Google Patents

유아용카시트의 결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600B1
KR101377600B1 KR1020120085690A KR20120085690A KR101377600B1 KR 101377600 B1 KR101377600 B1 KR 101377600B1 KR 1020120085690 A KR1020120085690 A KR 1020120085690A KR 20120085690 A KR20120085690 A KR 20120085690A KR 101377600 B1 KR101377600 B1 KR 101377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chable
bar
rotating body
spring
ca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9144A (ko
Inventor
한재희
Original Assignee
한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재희 filed Critical 한재희
Priority to KR1020120085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600B1/ko
Publication of KR20140019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002/2815Adaptations for seat belts with additional belt accessories, e.g. a belt tension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뒷좌석에 고정된 고정고리에 착탈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유아용카시트의 하부커버(101)의 전면에 설치된 착탈장치(100)와,
상기 착탈장치(100)의 후면에 설치된 상부착탈장치(300)와, 상기 상부착탈장치(300)에 탈부착되는 유아용카시트하부(A)로 구성된 유아용카시트의 결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카시트의 결착장치{CLAMPING DEVICE of CHILD CAR SEAT}
본 발명은 유아용카시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차량 뒷좌석의 고정고리에 유아용카시트를 탈부착시키는 유아용 카시트 결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아 및 어린이 보호좌석 없이 유아 및 어린이가 차량에 탑승하거나, 또는 부모가 아이를 안고 탑승하는 경우, 부모와 차체 사이에 어린이가 끼어 사망하거나 안전벨트의 압박으로 유아 및 어린이가 심한 장기 손상을 입을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부모가 아동을 안고 차량에 탑승했을 경우, 사고가 발생하면 어른은 유아 및 어린이가 에어백 역할을 하게 되어 받는 충격이 70% 줄어들게 되지만, 유아 및 어린이는 7배에 달하는 충격을 받게 되는 것이다.
유아 및 어린이 보호좌석 장착은 지난 2006년 6월에 도로교통법이 개정되면서 모든 도로에서 6세미만 유아는 유아 및 어린이 보호좌석을 장착하고 좌석 안전띠를 매도록 의무화됐으며, 이를 위반할 경우 20만 원 이하의 벌금이나 구류 또는 과태료 어린이 좌석 안전장치인 CRS(child restraint system)는 자동차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안전장치인 이 장치를 이용하여 국제규격 ISOFIX(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fixture) 적용된 어린이 보호좌석(카시트)을 CRS와 연결(장착)하여 사용되는 어린이 안전장치이다.
종래에는 차량의 시트 상에 카시트를 설치시 시트에 측면으로 설치되는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카시트를 고정시켰었다.
즉, 상기 카시트의 후측부에 형성된 양측의 설치공으로 차량의 안전벨트를 끼워 넣은 뒤 안전벨트의 선단부를 반대 방향의 버클에 채워 놓는 것으로 카시트를 시트에 고정시켰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은 차량의 안전밸트가 카시트 후방으로 설치되는 설치공 하측부를 감싸면서 지지를 하였기 때문에 충돌시나 급정지시 카시트가 안전벨트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거나 전방으로 이동되는 결과를 초래하였었다.
최근에 판매되는 차량은 차량의 뒷좌석에 유아용카시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고리가 좌석과 등받이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뒷좌석 뒤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를 설치하여 뒷좌석의 고정고리와 뒷좌석 뒤의 고정고리를 이용하여 유아용 카시트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하여 안정성을 높였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544020000(20110624)호에는 자동차의 시트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내에 안착되는 소아용 캐리어와 상기 자동차의 시트에 고정되는 유아용 카시트가 공개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4389600000(20080306)호에는 앉음판(1)의 후방상측에 등받이(10)가 힌지식으로 설치되고, 등받이(10)의 상부에 머리받침대(20)가 설치된 유아용 카시트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10)는 상부가 개구된 중공형태로 형성되며,
등받이(10)의 전면판(12) 내벽면에는 다수개의 걸림돌기(13)가 상하방향 2줄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형성되고, 등받이(10)의 후면판(14) 내벽면에는 머리받침대(20)의 승하강 높이를 제한하는 상하부스토퍼(15,16)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등받이(10)의 내부 양측에는 머리받침대(20)의 목부(24)가 승하강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17)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받침대(20)의 하측에는 등받이(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출몰하는 목부(24)가 하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목부(24)의 전방에는 양측 걸림돌기(13)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전방가이드홈(25)이 전방과 하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머리받침대(20)의 후방에는 하단부가 전방가이드홈(25)의 상측과 통하는 후방홈(26)이 형성되고, 상기 목부(24)의 후방 하측에는 머리받침대(20)가 상하부스토퍼(15,16) 사이의 간격만큼의 높이로 승하강하게 하는 삼각걸림턱(27)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전방가이드홈(25)에는 등받이(10)의 내측에서 목부(24)가 클릭식으로 출몰되게 하는 착탈장치(30)가 설치되며, 상기 착탈장치(30)는 전방가이드홈(25)의 내벽면에 나사로서 고정되는 고정케이싱(34)과, 고정케이싱(34)의 전방측에 탄력적으로 승하강되게 설치되는 승하강대(40)와, 승하강대(40)의 베이스판(36)과 연결되어 승하강대(40)를 당길 수 있는 당김손잡이(42)로 이루어지는 유아용 카시트가 기재되어 있고,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844510000(20071204)호에는 차량 시트 상에 탑재되는 착석부(11)와, 착석부(11)에 대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백(12)을 구비한 유아용 카시트가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54402호 2.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3896호 3.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84451호
종래에는 차량의 시트 상에 카시트를 설치시 시트에 측면으로 설치되는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카시트를 고정시켰었다.
즉, 상기 카시트의 후측부에 형성된 양측의 설치공으로 차량의 안전벨트를 끼워 넣은 뒤 안전벨트의 선단부를 반대 방향의 버클에 채워 놓는 것으로 카시트를 시트에 고정시켰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은 차량의 안전밸트가 카시트 후방으로 설치되는 설치공 하측부를 감싸면서 지지를 하였기 때문에 충돌시나 급정지시 카시트가 안전밸트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거나 전방으로 이동되는 결과를 초래하였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카시트의 회전 또는 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어린이가 카시트로 부터 벗어나 다치는 일이 종종 발생하였기 때문에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들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자동차회사에서는 2011년부터 자동차 뒷좌석에 등판과 깔판사이에 고정고리(도9참조)를 설치하여 유아용 카시트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고자 하고 있어,
이에 맞는 유아요 카시트 결착장치를 개량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해결과제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뒷좌석에 고정된 고정고리(도9참조)에 유아용카시트 하부에 내장된 착탈장치를 전후진 시켜 착탈이 가능하게 하고, 후면에 간격조절장치와 상부에 상부착탈장치를 설치하여, 유아용카시트를 자동차뒷좌석과 전후진 시켜 원하는 간격으로 유도하도록 개량한 유아용카시트의 결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인 것이다.
본 발명은 유아용카시트를 뒷좌석에 설치된 고정고리에 전후진 시킴으로서 누구나 적은 힘으로 매우 간편하고 신속한 카시트의 설치 및 해체가 가능토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뒷좌석에 고정된 유아용카시트에 의해 유아 및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간격조절장치를 더 설치하여, 자동차 뒷좌석과 유아용카시트의 간격을 원하는 위치로 조절하는 편리한 효과와 상부에 유아용카시트를 상부결착장치에 의해 안전에게 결착시키고, 착탈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차량의 충돌시나 급정지시 유아용 카시트의 탈착되거나,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전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 본 발명의 유아용카시트의 결착장치 전체도
도2 본 발명의 유아용카시트의 결착장치 지지대 상세도
도3 및 도4 본 발명의 유아용카시트의 결착장치 상세도
도5 본 발명의 착탈장치 상세도
도6 본 발명의 간격조절장치 상세도
도7 본 발명의 상부착탈장치 상세도
도8 본 발명의 유아용카시트 하부 상세도
도9 2011년 이후 생산된 차량뒷좌석의 고정고리 상세도
고정고리 위치(9A), 국산차고정고리(9B), 외제차고정고리(9C)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뒷좌석에 고정된 고정고리에 착탈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유아용카시트의 하부커버(101)의 전면에 설치된 착탈장치(100)와, 상기 착탈장치(100)의 후면에 설치된 상부착탈장치(300)와, 상기 상부착탈장치(300)에 탈부착되는 유아용카시트하부(A)로 구성된 유아용카시트의 결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2011년 이후 생산된 차량의 뒷좌석에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내산은
형(도9B) 외국산은 (도9C) 형으로 깔판과 등판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신규차량의 차량 뒷좌석에 설치된 고정고리에 결착되는 유아용 카시트 결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아용보행기 하부(A)는 상부에 설치된 몸체(A-2)와, 상기 몸체(A-2)의 하부 중앙부에 전후로 형성된 홈(A-1)과, 상기 홈에 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 개의 고정봉(A-10)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착탈장치(100)의 착탈회전체(110)는 내부에 홈이 형성된 반원형형상의 회전체로서, 개방된 부분이 잠금장치의 전면홈과 일치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착탈회전체(110)의 상하회전을 원할 하게 하기 위하여 핀스프링이 착탈회전체(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본 발명은 착탈장치(100)의 후면에 간격조절장치(200)를 더 설치하여,
유아용카시트를 자동차뒷좌석과 전후진 시켜 원하는 간격으로 유도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간격조절장치(200)는 파이프 형상의 간격조절블럭(210)의 상부와 양측면에 걸쳐 스프링(220)에 의해 연결된 스토퍼(220)와, 상기 스토퍼(220)의 양측면은 간격조절제2연결바(282-1)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간격조절제2연결바(282-1)은 간격조절제1연결바(282)에 의해 버튼(280)과 연결되며,
스토퍼(220)의 하부 끝은 뾰족하게 형성되어 톱니안내가이드의 톱니사이에 결착되어 정지된 상태에서
버튼(280)을 누르면, 간격조절제1,제2연결바(282,282-1)이 전진됨과 동시에 약간 상승되어 톱니안내가이드에 결착된 스토퍼(220)의 하부가 톱니안내가이드에서 탈착되어 자유롭게 됨과 동시에 전면에 설치된 간격조절바스프링(550)의 수축되는 힘에 의해 간격조절장치(200)의 간격조절블럭(210)이 전진함과 동시에 간격조절블럭(210)에 연결된 착탈장치(100)도 함께 전진하며,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버튼(280)을 놓으면 스토퍼(220)의 하부가 하강하여 톱니안내가이드의 톱니에 결착되어 간격조절장치가 정지되도록 하는 장치인 것이다.
역동작일 경우에는 버튼(280)을 누른 상태에서 간격조절장치(200)에 연결된 착탈장치(100)를 수동으로 후진시킨 후 버튼(280)을 놓아 원하는 위치로 하도록 간격을 조절하는 장치인 것이다.
상기 상부착탈장치(300)는 두 개의 장치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한 쌍으로 설치되며,
상부착탈블럭(310)과, 상기 상부착탈블럭(310)의 후면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부착탈블럭(310)과 동일형상의 보조상부착탈블럭(310-1)과, 상기 상부착탈블럭(310)은 상부 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된 다른 상부착탈블럭(310)과 연결하는 상부착탈블럭연결대(315)와, 상기 각각의 상부착탈블럭(310)의 전면 상부에 설치된 상부착탈벌륵홈(311)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부착탈장치는 도7C와 같은 상태에서 도8의 유아용 카시트 하부(A)의 하부중앙홈(A-1)에 설치된 두 개의 고정봉(A-10)을 상부착탈블럭(310) 및 보조상부착탈블럭(310-1)의 상부착탈블럭홈(211)에 삽입시키면, 보조상부착탈블럭(310-1)은 단순히 하나의 고정봉(A-10)이 보조상부착탈블럭홈(311-1)에 삽입고정되며,상부착탈블럭(310)은 상부착탈블럭(310)의 상부착탈블럭홈(211)에 다른 고정봉(A-10)이 삽입되면, 상부착탈블럭(211)의 내측에 설치된 상부착탈제1회전체(320)의 내측면에 압력이 가해저 상부착탈제1회전체(320)이 회전됨과 동시에 상부착탈제1회전체와 맞물려 후면에 설치된 상부착탈제2회전체(330)이 회전되면서, 다른 고정봉(A-10)을 상부착탈블럭홈(311)의 내부에서 상부착탈제1회전체(320)이 감싸 다른 고정봉(A-10)을 내장시키도록 상부로 이동되어 (도7B참고) 고정시키고, 해체시에는 상기 역순으로 해체시키는 방법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발명의 유아용카시트의 결착장치 전체도, 도2 본 발명의 유아용카시트의 결착장치 지지대 상세도, 도3 및 도4 본 발명의 유아용카시트의 결착장치 상세도, 도5 본 발명의 착탈장치 상세도, 도6 본 발명의 간격조절장치 상세도, 도7 본 발명의 상부착탈장치 상세도, 도8 본 발명의 유아용카시트 하부 상세도, 도9 2011년 이후 생산된 차량뒷좌석의 고정고리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고정고리 위치(9A), 국산차고정고리(9B), 외제차고정고리(9C)를 도시한 것이며, 착탈장치(100), 커버(101), 커버전먼(102), 커버전면홈(103), 착탈회전체(110), 핀스프링고정 및 연결부(114), 푸싱턱(115), 착탈회전체정지턱(118), 핀스프링(120), 핀(125), 블럭(130), 스프링(140), 스프링정지봉(150), 버튼(180), 푸싱바(181), 간격조절장치(20), 간격조절블럭(210), 스토퍼(220), 스프링연결부(211,221, 스프링(230), 간격조절바고정부(250), 간격조절바안내통공(260), 버튼(280), 버튼스프링(281), 간격조절제1바(282),간격조절제2바(282-1), 간격조절바연결봉(283), 톱니안내가이드(290), 상부착탈장치(300), 상부착탈블럭(310,310-1), 상부착탈블럭홈(311), 상부착탈제1회전체(320), 상부착탈회전체스프링연결부(321), 상부착탈제2회전체(330), 푸싱바연결대(331), 스프링(340), 버튼(380), 버튼스프링(381), 푸싱바(382), 간격조절바(500, 착탈장치안내통공(510), 간격조절바스프링(550), 착탈장치연결바(600),유아용카시트하부(A)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유아용카시트 착탈장치는 도1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착탈장치(100)는 도1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카시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사각파이프형상의 커버(101)와, 상기 커버(101)의 전면에 설치된 커버전면부(102) 중앙에 설치된 전면홈(103)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 개가 한 쌍으로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커버(101) 중간 측면에 설치된 두 개의 버튼(180)과, 상기 각각의 버튼(180)에 연결된 푸싱바(181)와, 상기 푸싱바(181)에 전면 끝단부에 전면에 밀착 설치되는 푸싱턱(115)이 하부에 구비된 착탈회전체(110)와,
상기 착탈회전체(110)의 후면에 설치된 정지블럭(130)과 상기 정지블럭(130)의 하부에 내장된 스프링(140)과, 상기 정지블럭(130) 후면일측에 설치된 정지블럭고정봉(1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착탈회전체(110)는 두 개의 판체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중앙고정핀과, 상부에 설치된 핀스프링고정 및 연결부(114)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중앙고정핀에 의해 사각파이프내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며,
각 판체는 전면에 형성된 홈과, 하부에 설치된 푸싱턱(115)과, 상부에 설치된 핀스프링고정 및 연결부(114)와, 상기 핀스프링고정 및 연결부(114)의 후면에 설치된 착탈회전체정지턱(118)과, 중앙부에 설치된 핀통공(113)에 고정된 핀(125)과, 상기 핀(125)에 설치된 핀스프링(120)과,
상기 핀스프링(120)은 커버(101)의 전면부와 착탈회전체(110)의 핀스프링고정 및 연결부(114) 에 고정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도1 및 도4에 도시된바와 같이, 착탈장치(100) 후면에 설치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 개의 착탈장치(100)를 연결하는 착탈장치연결바(600)와, 상기 착탈장치연결바(600)의 저면에 설치되며 두 개의 착탈장치(100) 후면 중간부에 설치되어 착탈장치(100)가 삽입되어 전 후진되는 두 개의 착탈장치안내통공(510)이 양쪽 끝에 설치된 간격조절고정바(500)와, 상기 간격조절고정바(500) 후면과 착탈장치연결바(600)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결설치된 두 개의 간격조절바스프링(550과, 상기 착탈연결바(600)의 중앙부가 고정된 전후진되는 간격조절장치(200)의 간격조절블럭(210)와, 상기 간격조절고정바(500)의 중앙부가 관통되어 설치된 간격조절장치(200)의 간격조절바(250)로 구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간격조절장치(200)는 도1내지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형상의 간격조절블럭(210)과, 상기 간격조절블럭(210)의 상부와 양측면에 걸쳐 설치되며 하부끝단부가 톱니안내가이드(290)의 톱니에 안착되도록 뾰족하게 설치된 스토퍼(220)와,
상기 스토퍼(220)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간격조절제2연결바(282-1)에 연결되는 연결부(225)와, 상기 스토퍼(220)의 상부일측에 설치된 스프링연결부(221)과, 상기 간격조절간격조절블럭(210)의 전면에 설치된 스프링연결부(211)에 연결된 스프링(230)과, 상기 스토퍼(220)의 하부 끝단부가 안치되도록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 개의 톱니안내가이드(290)와, 상기 일측의 간격조절제2연결바(282-1)의 후면에 설치된 간격조절제1연결바(282)와, 상기 간격조절제1연결바(282-1)의 후면에 하부커버 칸막이를 관통하여 설치된 버튼(280)과, 상기 하부커버의 칸막이(정지가이드역할)와 버튼(280)사이에 설치된 버튼스프링(281)과, 상기 두개의 간격조절제2가이드(282-1)의 후면의 고리에 설치되어 두개의 간격조절제2가이드(282-1)을 연결하는 간격조절봉(283)과, 상기 간격조절봉(283)을 안내하는 간격조절바(250)의 간격조절바안내통공(2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착탈장치(300)는 도1내지 도4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의 바형태로 구성된 상부착탈블럭(310)과, 상기 상부착탈블럭(310)의 후면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형상의 바형태인 보조상부착탈블럭(310-1)과, 상기 각각의 상부착탈블럭(310,310-1)의 좌우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두 개의 판재가 상부로 연장된 형태이며, 상기 상부착탈블럭(310,310-1)의 상부 전면에 설치된 상부착탈블럭홈(311,311-1)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착탈블럭(310)은 동일형상의 두 개의 판체와 상기 두 개의 판체를 연결하는 상부착탈블럭연결대(315)와, 상기 각각의 상부착탈블럭홈(311)의 내측에 설치된 상부착탈제1회전체(320)와, 상기 상부착탈제1회전체(320)의 후면에 설치되며 스프링(340)에 의해 연결된 상부착탈제2회전체(330)와, 상기 상부착탈제1회전체(320)는 상부에 홈이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 설치된 스프링연결부(321)와, 상기 상부착탈제2회전체(330)의 하부일측에 설치된 푸싱바연결대(331)와, 상기 푸싱바연결대(331)의 상부에 설치된 스프링연결부와, 상기 하나의 푸싱바연결대(331)의 하부에 밀착 설치된 푸싱바(382)와, 상기 푸싱바(382)는 하부커버의 칸막이(일종의 정지가이드역할)를 관통하여 일측 끝단부에 설치된 버튼(380)과, 상기 버튼과 하부커버의 칸막이(일종의 정지가이드역할)사이에 설치된 버튼스프링(381)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유아용카시트 하부 상세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부에 설치된 몸체(A-2)와, 상기 몸체(A-2)의 하부 중앙부에 전후로 형성된 홈(A-1)과, 상기 홈에 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 개의 고정봉(A-10)으로 구성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사용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도5B 상태에서 착탈장치전면홈(103)에 차량시트에 고정된 고정고리를 삽입시키면, 도5A와 같은 상태로 고정되어 상부에 연결된 유아용카시트가 고정되며,
이때, 고정고리가 착탈회전체(110)의 홈내측에 압력을 가하면,
착탈회전체(110)의 전면부가 홈에 삽입된 고정고리를 감싸면서 하부로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착탈회전체(110)의 상부는 하부커버(101)의 상부테두리 전면부분과 핀스프링고정 및 연결부(114)가 가까워져 그 사이에 있는 핀스프링(120)이 수축되며, 핀스프링고정 및 연결부(114)의 후면에 설치된 착탈회전체정지턱(118)이 상승하여 하부커버(101)의 상부통공 테두리 후면부에 걸쳐 정지됨과 동시에,
푸싱바(181)의 전면부가 착탈회전체(110)의 후면부에 밀착되어 있다가 착탈회전체(11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 착탈회전체(110)에 의해 푸싱바(181)가 전진되어, 푸싱턱(115)에 밀착되어 더 이상 전진을 멈춤과 동시에 착탈회전체(110)의 회전을 멈추고, 이때 푸싱바(181)의 후면에 설치된 스프링(140)이 전진 팽창된 상태로 되어 고정고리에 결착되며,
유아용카시트의 해체는 버튼(180)을 후면으로 잡아당기면, 역으로,
푸싱바(181)가 후진되면서, 푸싱바(181)의 후면에 설치된 스프링(140)이 수축됨과 동시에, 착탈회전체정지턱(118)이 후면으로 하강하여(착탈회전체(110)은 회전되어, 착탈회전체(110)의 홈이 전면으로 되며,)
동시에 하부커버(101)의 상부통공 테두리 전면부와 핀스프링고정 및 연결부(114)가 밀착된 상태에서 핀스프링고정 및 연결부(114)가 후면으로 하강하여 그 사이가 벌어짐과 동시에 그사이에 수축된 스프링(120)이 팽창되어 도5A 에서 도5B로 되어 착탈회전체(110)의 홈에 삽입된 차량시트의 고정고리가 자유롭게되어 유아용 카시트를 후진 탈리시켜 유아용카시트를 해체하며
이때, 푸싱바(181)의 후면에 설치된 스프링(140)이 후진되어 수축된 상태로 되어 고정고리에서 탈착된 상태로 되는 것이다.
간격조절은 버튼(280)에 압력을 가하면, 도6B와 같이,
간격조절제1,제2(282,282-1)이 전면으로 밀리면서 끝단부에 설치된 푸싱바연결봉(283)이 간격조절바안내통공(260)의 전면상부로 이동되고, 간격조절제2바(282-1)에 연결된 스토퍼(220)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하부에 톱니안내가이(290)에서 자유롭게 되어, 스토퍼(220)에 고정된 간격조절블럭(210)또한 자유롭게되며, 간격조절블럭(210)에 연결된 착탈장치연결바(600)도 자유롭게 되어, 착탈장치연결바(600)와 전면에 고정된 간격조절바(500)에 연결된 간격조절바스프링(550)에 의해 전면에 설치된 간격조절바(500)쪽으로 착탈장치연결바(600)와 착탈장치연결바(600)에 연결된 착탈장치(100)가 전진되어,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압력이 가해진 버튼(280)에서 압력을 해제하면, 도6A와 같이 간격조절제1,제2바(282,282-1)이 간격조절바안내통공(260)의 하부로 이동되어, 간격조절제2바(282-1) 또한 하부로 이동되며, 간격조절제2바(282-1)에 연결된 스토퍼(220)가 하강하여, 하부의 톱니안내가이드(290)의 톱니에 안착되어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며,
반대일 경우, 즉 후진시킬 경우에는
버튼(280)을 누른 후 장치를 수동으로 하여 간격조절장치(200)에 연결된 착탈장치(100)를 후진시켜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버튼(280)을 눌러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방법인 것이다.
상부착탈장치는 도7C와 같은 상태에서 도8의 유아용 카시트 하부(A)의 하부중앙홈(A-1)에 설치된 두 개의 고정봉(A-10)을 상부착탈블럭(310) 및 보조상부착탈블럭(310-1)의 상부착탈블럭홈(211)에 삽입시키면, 보조상부착탈블럭(310-1)은 단순히 하나의 고정봉(A-10)이 보조상부착탈블럭홈(311-1)에 삽입고정되며,
상부착탈블럭(310)의 상부착탈블럭홈(311)에 다른 고정봉(A-10)이 삽입되면, 상부착탈블럭(211)의 내측에 설치된 상부착탈제1회전체(320)의 내측면에 압력이 가해저 상부착탈제1회전체(320)이 회전됨과 동시에 상부착탈제1회전체와 맞물려 후면에 설치된 상부착탈제2회전체(330)이 회전되면서, 다른 고정봉(A-10)을 상부착탈블럭홈(311)의 내부에서 상부착탈제1회전체(320)이 감싸 다른 고정봉(A-10)을 내장시키도록 상부로 이동되어 (도7B참고) 고정시키고,
해체시에는 버튼(380)을 누르면, 도3B와 같이, 상부착탈제2장치(330)의 하부일측에 설치된 푸싱바연결대(331)을 푸싱바(282)에의해 압력을 가하면,
상부착탈제2회전체(330)와 상부착탈제2회전체(330)의 전면에 스프링(321)에 의해 연결된 상부착탈제1,2회전체(320,330)이 함께 하부로 회전(원위치)되면서, 상부착탈제1회전체(320)에 내장된 다른고정봉(A-10)이 상부착탈블럭홈(311)의 일측이 개방되어,
유아용 카시트 하부를 이동시켜 두 개의 고정봉(A-10)이 상부착탈블럭홈(311) 및 보조상부착탈블럭홈(311-1)으로 부터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유아용카시트를 탈리 시켜 해체하는 방법인 것이다.
착탈장치(100), 커버(101), 커버전먼(102), 커버전면홈(103), 착탈회전체(110), 핀스프링고정 및 연결부(114), 푸싱턱(115), 착탈회전체정지턱(118), 핀스프링(120), 핀(125), 블럭(130), 스프링(140), 스프링정지봉(150), 버튼(180), 푸싱바(181), 간격조절장치(20), 간격조절블럭(210), 스토퍼(220), 스프링연결부(211,221, 스프링(230), 간격조절바고정부(250), 간격조절바안내통공(260), 버튼(280), 버튼스프링(281), 간격조절제1바(282),간격조절제2바(282-1), 간격조절바연결봉(283), 톱니안내가이드(290), 상부착탈장치(300), 상부착탈블럭(310,310-1), 상부착탈블럭홈(311,311-1), 상부착탈제1회전체(320), 상부착탈회전체스프링연결부(321), 상부착탈제2회전체(330), 푸싱바연결대(331), 스프링(340), 버튼(380), 버튼스프링(381), 푸싱바(382), 유아용카시트하부(A).

Claims (3)

  1. 유아용 카시트의 결착장치에 있어서, 유아용카시트의 하부커버(101)의 전면에 설치된 착탈장치(100)와, 상기 착탈장치(100)의 후면에 설치된 상부착탈장치(300)와, 상기 상부착탈장치(300)에 탈부착되는 유아용카시트하부(A)로 구성되며,
    상기 착탈장치(100)는 사각파이프형상의 커버(101)와, 상기 커버(101)의 전면에 설치된 커버전면부(102) 중앙에 설치된 전면홈(103)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 개가 한 쌍으로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커버(101) 중간 측면에 설치된 두 개의 버튼(180)과, 상기 각각의 버튼(180)에 연결된 푸싱바(181)와, 상기 푸싱바(181)에 전면 끝단부에 전면에 밀착 설치되는 푸싱턱(115)이 하부에 구비된 착탈회전체(110)와,
    상기 착탈회전체(110)의 후면에 설치된 정지블럭(130)과 상기 정지블럭(130)의 하부에 내장된 스프링(140)과, 상기 정지블럭(130) 후면일측에 설치된 정지블럭고정봉(1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착탈회전체(110)는 두 개의 판체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중앙고정핀과, 상부에 설치된 핀스프링고정 및 연결부(114)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중앙고정핀에 의해 사각파이프내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며,
    각 판체는 전면에 형성된 홈과, 하부에 설치된 푸싱턱(115)과, 상부에 설치된 핀스프링고정 및 연결부(114)와, 상기 핀스프링고정 및 연결부(114)의 후면에 설치된 착탈회전체정지턱(118)과, 중앙부에 설치된 핀통공(113)에 고정된 핀(125)과, 상기 핀(125)에 설치된 핀스프링(12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 결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착탈장치(300)는 형상의 바형태로 구성된 상부착탈블럭(310)과, 상기 상부착탈블럭(310)의 후면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형상의 바형태인 보조상부착탈블럭(310-1)과, 상기 각각의 상부착탈블럭(310,310-1)의 좌우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두 개의 판재가 상부로 연장된 형태이며, 상기 상부착탈블럭(310,310-1)의 상부 전면에 설치된 상부착탈블럭홈(311,311-1)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착탈블럭(310)은 동일형상의 두 개의 판체와 상기 두 개의 판체를 연결하는 상부착탈블럭연결대(315)와,상기 각각의 상부착탈블럭홈(311)의 내측에 설치된 상부착탈제1회전체(320)와, 상기 상부착탈제1회전체(320)의 후면에 설치되며 스프링(340)에 의해 연결된 상부착탈제2회전체(330)와, 상기 상부착탈제1회전체(320)는 상부에 홈이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 설치된 스프링연결부(321)와, 상기 상부착탈제2회전체(330)의 하부일측에 설치된 푸싱바연결대(331)와, 상기 푸싱바연결대(331)의 상부에 설치된 스프링연결부와, 상기 하나의 푸싱바연결대(331)의 하부에 밀착 설치된 푸싱바(382)와, 상기 푸싱바(382)는 하부커버의 칸막이(일종의 정지가이드역할)를 관통하여 일측 끝단부에 설치된 버튼(380)과,
    상기 버튼과 하부커버의 칸막이사이에 설치된 버튼스프링(381)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 결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카시트하부(A)는 상부에 설치된 몸체(A-2)와, 상기 몸체(A-2)의 하부 중앙부에 전후로 형성된 홈(A-1)과, 상기 홈에 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두 개의 고정봉(A-1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카시트 결착장치.
KR1020120085690A 2012-08-06 2012-08-06 유아용카시트의 결착장치 KR101377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690A KR101377600B1 (ko) 2012-08-06 2012-08-06 유아용카시트의 결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690A KR101377600B1 (ko) 2012-08-06 2012-08-06 유아용카시트의 결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144A KR20140019144A (ko) 2014-02-14
KR101377600B1 true KR101377600B1 (ko) 2014-04-01

Family

ID=5026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690A KR101377600B1 (ko) 2012-08-06 2012-08-06 유아용카시트의 결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9767A (ko) 2016-09-13 2018-03-21 주식회사 쁘레베베 카시트의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061A (ko) 2018-05-24 2019-12-04 현대위아 주식회사 유아용 통풍 카시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3823A1 (en) * 1999-11-09 2002-05-09 Hampton Lewis E. Infant's restraining seat
EP1849649A1 (en) * 2006-04-26 2007-10-31 SABELT S.p.A. Device for fastening a child seat to a fixed striker in a motor vehicle
JP2008296693A (ja) * 2007-05-30 2008-12-11 Takata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US8226162B2 (en) * 2009-09-11 2012-07-24 Campbell Corey A Child safety sea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3823A1 (en) * 1999-11-09 2002-05-09 Hampton Lewis E. Infant's restraining seat
EP1849649A1 (en) * 2006-04-26 2007-10-31 SABELT S.p.A. Device for fastening a child seat to a fixed striker in a motor vehicle
JP2008296693A (ja) * 2007-05-30 2008-12-11 Takata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
US8226162B2 (en) * 2009-09-11 2012-07-24 Campbell Corey A Child safety se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9767A (ko) 2016-09-13 2018-03-21 주식회사 쁘레베베 카시트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144A (ko) 201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6802B1 (en) Child safety seat
EP3142891B1 (en) Child restraint
JP5547119B2 (ja) 構造支持体を備えた安全チャイルドシート
US8496293B2 (en) Energy-dissipation system for juvenile vehicle seat
EP2756986B1 (en) Child safety seat assembly
EP2692574B1 (en) Base for child safety carrier
US8991919B2 (en) Child safety seat for vehicles
CN110603171B (zh) 用于车辆的儿童安全座椅
KR20140031142A (ko) 개선된 설치를 위한 벨트 텐셔닝기구를 구비한 차일드시트
KR101377600B1 (ko) 유아용카시트의 결착장치
WO2018148569A1 (en) Juvenile vehicle seat with adjustable headrest
JPH031171B2 (ko)
CN103587439A (zh) 用于倾斜骑倒式儿童座椅的碰撞指示系统
KR101362390B1 (ko) 성인 및 어린이 겸용 자동차시트
KR20120118893A (ko) 차량용 어린이 안전시트
KR101411841B1 (ko) 유아용카시트의 결착장치
CN115891787A (zh) 儿童安全座椅及其可调式头靠
ES2556029T3 (es) Silla de automóvil para un niño
CN201998836U (zh) 儿童汽车座角度调节结构
KR200406584Y1 (ko) 어린이용 카시트의 클램핑장치
CN106994920B (zh) 一种机动车成员用五点式安全约束装置的使用方法
GB2513212A (en) Child seat having an anchoring harness
CN216659667U (zh) 一种汽车儿童安全座椅安全带织带
CN102632815A (zh) 车载儿童汽车安全约束系统头靠调节装置
CN114526903B (zh) 一种安全座椅用安全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