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794B1 -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794B1
KR101867794B1 KR1020180000406A KR20180000406A KR101867794B1 KR 101867794 B1 KR101867794 B1 KR 101867794B1 KR 1020180000406 A KR1020180000406 A KR 1020180000406A KR 20180000406 A KR20180000406 A KR 20180000406A KR 101867794 B1 KR101867794 B1 KR 101867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light emitting
magnet
upper cover
tes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욱
Original Assignee
김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욱 filed Critical 김동욱
Priority to KR1020180000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16Elements for restraining, 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parts, e.g. for zero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3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는 본체와 상부커버로 구성되는 페인트통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페인트통이 놓이는 테이블을 포함하는 케이스모듈, 빛을 내는 발광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페인트통의 내부에 진입하여 발광하는 발광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케이스모듈의 외부로 빛이 새어나오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페인트통의 불량을 판단한다.

Description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Leak Test Apparatus for Paint Can}
본 발명은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빛을 이용하여 페인트통에 페인트가 새는 부분이 있는지 검사하는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페인트통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인트통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페인트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를 만드는 본체 형성 단계를 가진다. 본체형성단계에서는 롤 형태로 감겨있는 금속판을 원하는 폭으로 절개하고, 이를 원통형으로 용접한다. 그리고, 원하는 형상(예를 들면, 사각형, 원형)으로 밴딩한다.
이 후, 본체에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 형성 단계, 본체와는 별개로 뚜껑을 형성하는 뚜껑 형성 단계를 거친다.
그리고, 본체 및 뚜껑에 페인트사의 로고, 수용된 페인트의 컬러 정보, 페인트의 성분 등을 인쇄하는 인쇄 단계를 가진다.
본체 및 뚜껑에 인쇄가 완료되면 본체에 뚜껑을 결합하는 뚜껑 결합 단계, 페인트통을 포장하는 포장단계, 포장이 완료된 페인트통을 적재하는 적재단계가 수행된다.
그러나,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본체와 뚜껑이 제대로 결합되지 않아 페인트통에 수용된 페인트가 샐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현재 페인트통 제조 장비에는 페인트통의 불량을 테스트하는 장치가 마련되지 않아 페인트가 새는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94992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검사 방법이 간단한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 및 높이를 가지는 페인트통에 적용되어 불량을 검사할 수 있는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각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부커버로 구성되는 페인트통이 상부에 설치되는 테이블과, 상기 페인트통이 자력에 의하여 상기 테이블 상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페인트통이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 하측에 구비되는 제1자석 및 상기 페인트통의 상부커버 하측에 자력에 의하여 부착되는 발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광부는 발광하는 발광유닛과, 상기 상부커버 하측에 상기 발광유닛이 자력에 의하여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발광유닛에 구비되는 제3자석을 포함하는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케이스모듈은 상기 테이블에 상기 페인트통을 고정시키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은 상기 발광유닛을 상기 페인트통의 내부에 고정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페인트통에서 새어나오는 빛의 인식을 위하여 암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에 의하면 발광부 및 빛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페인트통에 페인트가 새는 부분이 있는지 검사함으로써 검사 방법이 매우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에 의하면 발광부의 이동이 가능하며, 빛감지센서가 사각형 및 원형으로 배치됨으로써 다양한 형상 및 높이를 가지는 페인트통에 적용되어 불량을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페인트통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의 제 2 자석이 상부커버와 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의 커버이동모듈에 의해 상부커버가 열리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의 발광부가 페인트통의 내부로 진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의 발광부가 페인트통의 내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에서 불량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에서 반사부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9는 상기 도 8에 적용된 반사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의 제 2 자석이 상부커버와 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의 커버이동모듈에 의해 상부커버가 열리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의 발광부가 페인트통의 내부로 진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의 발광부가 페인트통의 내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에서 불량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는 케이스모듈(100), 커버이동모듈(200), 발광모듈(300)을 포함한다.
케이스모듈(100)은 케이스(110)와 테이블(120)을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내부에 본체(12)와 상부커버(14)로 구성되는 페인트통(10)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페인트통(10)이 놓이는 테이블(120)이 마련될 수 있다. 테이블(120)의 하부에는 페인트통(10)의 본체(12)를 고정하기 위한 제 1 자석(122)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본체(12)는 제 1 자석(122)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테이블(120) 상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자석(122)으로는 전자석이 적용되어 테스트가 완료되면 전자석의 전원을 꺼 본체(12)의 분리를 원활히 할 수 있다.
제 1 자석(122)에는 제 1 자석(122)과 테이블(120)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완충부재(124)가 구비되어 자력에 의한 테이블(120) 또는 본체(1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120)의 상면에는 빛감지센서(126)가 설치될 수 있다. 빛감지센서(126)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커버이동모듈(200)은 페인트통(10)이 테이블(120)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페인트통(10)의 상부커버(14)를 오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부커버(14) 이동부와 제 2 자석(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커버 이동부(210)는 페인트통(10)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스톤(212)과, 피스톤(21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2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212)의 끝단에는 제 2 자석(220)이 결합되어 피스톤(212)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 2 자석(220)은 페인트통(10)의 상부커버(14)에 부착되는 것으로, 피스톤(212)이 아래로 이동하면 제 2 자석(220)과 상부커버(14)가 맞닿아 제 2 자석(220)이 상부커버(14)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자석(220)이 상부커버(14)에 부착된 상태로 피스톤(212)을 상부로 이동시키면, 제 2 자석(220)의 자력에 의해 본체(12)로부터 상부커버(14)가 분리되어 페인트통(10)의 내부공간이 오픈될 수 있다. 또는, 이 상태로 피스톤(212)을 하부로 이동시키면 페인트통(10)을 닫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자석(220)으로는 전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로써, 테스트가 완료되면 전자석의 전원을 꺼 제 2 자석(220)과 상부커버(14)를 원활하게 분리할 수 있다.
제 2 자석(220)의 하부에는 제 2 완충부재(222)가 구비되어 자력에 의한 상부커버(14)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이동모듈(200)의 실린더(214)는 케이스(110)의 외부에 설치되되 제 2 자석(220)은 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케이스(110) 내부의 상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커버 이동부(210)가 피스톤(212) 및 실린더(214)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부커버 이동부(210)는 제 2 자석(22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발광모듈(300)은 발광부(310) 및 발광이동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발광부(310)는 발광유닛(312), 제 3 자석(3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유닛(312)은 엘이디칩으로,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발광유닛(312)의 적어도 일면에는 제 3 자석(314)이 구비될 수 있다. 발광유닛(312)은 페인트통(10)의 내부에 수용되어 발광하는 것으로, 제 3 자석(314)에 의해 발광유닛(312)이 페인트통(10) 내부의 상면, 즉 상부커버(14)의 내부에 부착되어 발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유닛(312)의 양 면에 제 3 자석(314)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3 자석(314)은 전자석으로,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페인트통(10)에 부착되거나, 페인트통(10)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 3 자석(314)은 상부커버(14)와 이격된 상태에서 자력에 의해 상부커버(14) 측으로 이동하여 상부커버(14)에 부착되어야 하므로 자력이 매우 강한 자석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자석(314)의 외측면에는 제 3 완충부재(316)가 마련될 수 있다. 제 3 완충부재(316)에 의해 페인트통(10) 또는 발광부(3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발광부(310)는 페인트통(10)의 상부커버(14)가 열리기 전에는 페인트통(10)의 외부에 위치하다가, 상부커버(14)가 열리면 페인트통(10)의 내부로 진입하여 상부커버(14)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발광이동부(320)는 발광부(310)의 이동을 위한 것으로, 발광이동부(320)는 페인트통(10)의 상부커버(14)가 열리면 발광부(310)를 페인트통(10) 내부로 진입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발광이동부(320)는 실린더(322), 피스톤(324) 및 이동가이드(326)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322)는 피스톤(324)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324)의 끝단에는 발광부(310)가 부착되는 제 4 자석(328)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4 자석(328)에 발광부(310)의 하부에 마련된 제 3 자석(314)이 부착됨으로써 발광부(310)가 발광이동부(320)에 의해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4 자석(328)은 전자석으로,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광부(310)를 부착 또는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이동가이드(326)는 실린더(322)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실린더(322)는 이동가이드(326)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가이드(326)는 레일이 될 수 있다. 이로써, 다양한 높이 및 크기를 가지는 페인트통(10)의 내부로 발광부(310)를 진입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이동가이드(326)가 케이스(110)의 외부에 설치되고 제 4 자석(328) 및 발광부(310)가 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동가이드(326)는 케이스(110)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322), 피스톤(324) 이동가이드(326)가 제 4 자석(328)을 이동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발광이동부(320)는 상술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광부(310)를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120)에 설치된 빛 감지 센서(126)는 페인트통(10)으로부터 새어나온 불빛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빛감지센서(126)로부터 빛이 감지되었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검사자는 페인트통(10)의 불량을 인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빛감지센서(126)는 테이블(120) 상에 정사각형 및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자석(122)은 빛감지센서(126)가 배열된 정사각형 및 원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단면이 정사각형인 페인트통(10) 및 단면이 원형인 페인트통(10)을 모두 검사할 수 있다. 빛감지센서(126)가 페인트통(10)에서 새어나오는 작은 불빛도 감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110) 내부는 암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도 2 내지 조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의 작동 및 불량 테스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체(12)와 상부커버(14)로 구성된 페인트통(10)을 케이스(110) 내부의 테이블(120) 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때, 페인트통(10)의 중심이 빛감지센서(126)가 배열된 정사각형 또는 원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자석(122)에 전원을 인가하여 본체(12)를 테이블(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커버이동모듈(200)을 이용하여 제 2 자석(220)을 하부로 이동시켜 상부커버(14)와 맞닿도록 한 후, 제 2 자석(22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부커버(14)가 제 2 자석(220)과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부커버(14)와 제 2 자석(220)이 고정되면 다시 커버이동모듈(200)을 작동시켜 제 2 자석(220) 및 상부커버(14)를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본체(12)로부터 상부커버(14)가 분리되어 페인트통(10)의 내부공간이 오픈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이동부(320)를 작동시켜 발광부(310)를 페인트통(10)의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가이드(326)를 따라 실린더(322)를 본체(12)와 상부커버(14) 사이 높이에 위치시킨 후, 피스톤(324)을 연장하여 피스톤(324) 끝단에 부착되어 있는 발광부(310)를 본체(12)와 상부커버(14) 사이 공간으로 진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4 자석(328)의 전원을 오프하여 발광부(310)가 제 4 자석(328)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게 하면, 제 3 자석(314)의 자력에 의해 발광부(310)가 상부커버(14) 측으로 이동하여 상부커버(14)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다.
발광부(310)가 상부커버(14)에 부착되면 다시 커버이동부를 작동시켜 상부커버(14)를 닫아 페인트통(10)이 밀폐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페인트통(10)은 밀폐상태이므로 발광유닛(312)의 빛이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는 것이 정상이나, 페인트통(10)이 불량인 경우 발광유닛(312)의 빛이 페인트통(10)의 외부로 새어나올 수 있다. 빛감지센서(126)는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출력하고, 검사자는 빛감지센서(126)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바탕으로 페인트통(10)의 불량을 인지할 수 있다.
페인트통(10)의 검사가 완료되면 상기의 과정을 반대로 수행하여 페인트통(10)으로부터 발광부(310)를 분리하여 꺼내고, 다시 페인트통(10)의 상부커버(14)를 닫아 페인트통(10)을 출고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발광유닛(312) 하측으로 둘레부가 소정 절곡된 형태를 이루며 평면상 원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반사부(31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발광유닛(312)에서 공급되는 빛이 반사되어 상기 본체(12)와 상부커버(14) 사이로 빛이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반사부(318)의 양면 또는 일면은 빛의 반사가 용이한 재질이 적용된다.
또한, 상기 반사부(318)는 제 3 완충부재(316)가 하부로 노출되도록 중앙관통공(318a)이 구비되고 상기 중앙관통공(318a) 둘레를 따라서 반사갓부(318b)가 중앙관통공(318a)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단면상 하향 절곡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앙관통공(318a) 부위가 모두 폐쇄된 형태를 이루되 전체적으로 빛반사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 3 완충부재(316) 하부에 부착된 상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10: 페인트통 12: 본체
14: 상부커버 100: 케이스모듈
110: 케이스 120: 테이블
122: 제 1 자석 124: 제 1 완충부재
126: 빛감지센서 200: 커버이동모듈
210: 상부커버 이동부 212: 피스톤
214: 실린더 220: 제 2 자석
222: 제 2 완충부재 300: 발광모듈
310: 발광부 312: 발광유닛
314: 제 3 자석 316: 제 3 완충부재
320: 발광이동부 322: 실린더
324: 피스톤 326: 이동가이드
328: 제 4 자석

Claims (3)

  1. 각각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본체와 상부커버로 구성되는 페인트통이 상부에 설치되는 테이블과, 상기 페인트통이 자력에 의하여 상기 테이블 상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페인트통이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테이블 하측에 구비되는 제1자석 및 상기 페인트통의 상부커버 하측에 자력에 의하여 부착되는 발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광부는 발광하는 발광유닛과, 상기 상부커버 하측에 상기 발광유닛이 자력에 의하여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발광유닛에 구비되는 제3자석을 포함하는,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80000406A 2018-01-02 2018-01-02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 KR101867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406A KR101867794B1 (ko) 2018-01-02 2018-01-02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406A KR101867794B1 (ko) 2018-01-02 2018-01-02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794B1 true KR101867794B1 (ko) 2018-06-14

Family

ID=62629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406A KR101867794B1 (ko) 2018-01-02 2018-01-02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7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483A (ko) * 2000-12-29 2001-04-06 김성기 사각깡통의 기밀누설 테스트장치
JP3103220U (ja) * 2004-02-06 2004-07-29 ラサ工業株式会社 有害汚染物収納用密封容器
KR20160094992A (ko) 2013-12-05 2016-08-10 클라우스 유니온 게엠베하 앤드 씨오. 카게 캔 및 캔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483A (ko) * 2000-12-29 2001-04-06 김성기 사각깡통의 기밀누설 테스트장치
JP3103220U (ja) * 2004-02-06 2004-07-29 ラサ工業株式会社 有害汚染物収納用密封容器
KR20160094992A (ko) 2013-12-05 2016-08-10 클라우스 유니온 게엠베하 앤드 씨오. 카게 캔 및 캔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9880B2 (ja) 円筒状物体の外観検査装置
JPH07500289A (ja) 容器用連続作業検査機
EP0826954A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testing leakage of hollow member
JP2010117193A (ja) 漏洩検査装置
EP3818353A1 (en) Gas leak detector and a method for gas leak detecting
EP4088093A1 (en) Gas leak detector
KR101867794B1 (ko) 페인트통의 불량 테스트 장치
KR100832345B1 (ko) 진공용 공압 앵글밸브의 테스트 장치
JP4816931B2 (ja) 容器の気密性検査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られる容器の気密性検査システム
KR101744935B1 (ko) 타이로드용 더스트 커버의 링 검사장치
JPS62112027A (ja) 容器の漏洩検知方法
JP2008008627A (ja) ボトル容器の気密性検査装置及び方法
US5054311A (en) Fully automated leak testing apparatus
KR101291695B1 (ko) 초음파 누유 검출기
JP2018162991A (ja) カップ状容器の漏れ検出ユニット
JP2006298382A (ja) 充填用バルブユニットの不良部位検出用器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充填用バルブユニットの不良部位検出方法
KR102361185B1 (ko) 용기 검사장비용 노즐장치
JP4088560B2 (ja) 密閉包装容器のリーク検査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充填包装機
US4218913A (en) Apparatus for inspecting plastic containers
JP3141389U (ja) 蛍光探傷検査用基準見本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見本用容器
JP2008180536A (ja) ハウジングなどの漏れ検査装置及び漏れ検査方法
CN214251439U (zh) 一种油桶气密性检测设备
JPS63133034A (ja) 漏れ試験装置
US201100122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detection of holes in plastic containers
JP3165922U (ja) 樽の漏れ検査機用取付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樽の漏れ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