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846B1 -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 - Google Patents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846B1
KR101866846B1 KR1020170159357A KR20170159357A KR101866846B1 KR 101866846 B1 KR101866846 B1 KR 101866846B1 KR 1020170159357 A KR1020170159357 A KR 1020170159357A KR 20170159357 A KR20170159357 A KR 20170159357A KR 101866846 B1 KR101866846 B1 KR 101866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waste paper
sorting
horizontal conveyor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택규
김정선
Original Assignee
한택규
김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택규, 김정선 filed Critical 한택규
Priority to KR1020170159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단하게 압축된 베일(bale) 폐지 혹은 수거해 온 파지 등을 해체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금기물, 협잡 이물질 등을 선별하고 다른 등급의 폐지를 선별하도록 하는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단단하게 압축된 베일(bale) 폐지 혹은 수거해 온 파지 등을 해체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금기물, 협잡 이물질 등을 선별하고 다른 등급의 폐지를 선별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즉, 제지사는 국내에서 수거된 폐지와 수입 폐지를 사용하는데 있어 선별 시스템을 통해 다량의 폐지를 선별하여 품질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국내 폐지는 종전 수거 프로세스에 의해 압축설비에서 바로 압축 사용했던 것을 본 발명의 선별시스템을 통해 금기물과 협잡 이물질 등을 선별하여 품질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수입 폐지는 종전 제지사에서 바로 사용했던 방식에서 벗어나 압축설비 또는 폐지 업체에서 단단하게 압축된 베일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금기물과 협잡 이물질 등을 선별하고, 다른 그레이드의 폐지를 선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Recycling waste sorting system}
본 발명은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단하게 압축된 베일(bale) 폐지 혹은 수거해 온 파지 등을 해체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금기물, 협잡 이물질 등을 선별하고 다른 등급의 폐지를 선별하도록 하는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는 재생 가능한 쓰레기와 재생 불가능한 쓰레기로 구분된다.
그리고, 쓰레기 처리시 쓰레기의 양을 줄이고 자원의 절약을 위해 일반 폐기물과 재생 가능한 쓰레기를 구별하여 처리하도록 유리류, 프라스틱류, 종이류, 기타류 등으로 분리 수거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 재활용 폐품만이 분리처리가 이루어지고, 아직까지 일반 쓰레기와 재활용 가능한 각종 폐품의 분리 처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분리 처리가 이루어지더라도 유리류, 캔류, 종이류, 플라스틱류, 기타류 등으로 대별되게 만 분류되고 재생시에는 다시 재생 용도별로 세분화된 선별작업을 해야 한다.
그 한 예로 종이류에도 신문지, 백상지(인쇄용지), 컴퓨터용지, 산업용지로 불리는 골판지등 색상과 무게, 두께, 강도등 용도에 따라 수많은 종류들로 분류된다.
이러한 수많은 재생 종이류는 크게 개략 A4 크기의 책지, A3 크기의 신문용지, A2 크기 이상의 골판지로 대별되어지며 폐신문지는 신문지 재생에, 폐책지는 판지재생에, 폐골판지는 골판지 원지로 재생된다.
즉, 종래에는 재생 종이류의 용도별 선별을 위해 각종 폐지를 싣고 인라인 방식으로 흐르는 컨베이어 옆에 다수의 인력이 투입되어 용도별로 일일이 선별 분리작업을 하여야 했다.
따라서, 대량의 폐지를 용도별로 선별하는 작업은 대다수가 작업환경의 악조건으로 인해 회피하여 인건비만 상승시켰으며, 이로 인한 인원의 감축으로 대량 유입되는 폐지의 선별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신문폐지에 골판지가 섞여 골판지 특유의 색상이 신문지에 포함되어 용지의 품질 저하를 유발하고 또한, 골판지에 신문용지가 섞여 골판지의 특성인 압축강도와 파열강도를 떨어뜨려 제품 보호기능을 갖는 골판지의 특성을 해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와 같이 품질저하를 가져오는 재생품은 사용자로 하여금 외면하게 만들고 있다.
한편, 국내 폐지 발생량은 연각 약 800~900만톤에 이르며, 수거율은 85% 수준으로 높은 편에 속한다.
폐지 수입은 연간 150만톤으로 총 사용량의 15%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로 70%가 신문 폐지이다.
최근 인터넷 구매로 인한 택배 활성화로 개별포장이 늘고 있으며, 농산물 종이 포장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국내 종이 사용량이 늘어나고, 폐지 수거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부족한 폐지는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 수입하여 사용하는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상승할 전망이다.
그리고 폐지를 선별하는 이유는 폐지 중 저급지는 대부분 아파트, 주택, 빌딩, 음식점 등에서 사람들이 이용하고 버린 종이류와 쓰레기 등이 나열할 수 없을 정도로 여러 가지가 포함되어 있고, 이 중에서 노끈, 철재류, 비닐류, 병류, 돌, 목재와 같은 일부는 제지 설비에 손상을 줄 위험이 있거나 종이 완제품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들이 혼합되어 있다.
수입 폐지는 품질이 좋은 것은 제지사에서 직접 투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품질이 떨어지거나 용도에 부적합한 폐지를 수입했을 경우에는 전문적으로 선별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고, 인력으로 수 작업하여 선별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설비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인건비가 높아 비용이 맞지 않아 클레임 처리하여 폐기하는 경우도 있다.
선별되지 않은 폐지와 혼합된 금기물은 생산 설비의 트러블을 유발하고 생산성을 떨어뜨리며, 2차 부수적인 기회 비용 발생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협잡 이물질은 생산수율을 떨어뜨리고 완제품의 품질에도 다소 영향을 끼치게 된다.
폐지 품질에 따라서 인쇄소나 소비자가 사용하는 완제품의 종이 품질이 향상될 뿐만아니라, 여러 가지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압축된 베일(bale) 폐지 혹은 수거해 온 파지 등을 해체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단단하게 압축된 베일(bale) 폐지 혹은 수거해 온 파지 등을 해체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금기물, 협잡 이물질 등을 선별하고 다른 등급의 폐지를 선별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인용문헌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270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단하게 압축된 베일(bale) 폐지 혹은 수거해 온 파지 등을 해체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금기물, 협잡 이물질 등을 선별하고 다른 등급의 폐지를 선별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수평콘베이어의 어느 일측에 해체장치를 형성하여 베일 또는 파지를 해체하여 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은,
베일 또는 파지를 투입하기 위한 제1호퍼다이(100)와,
상기 제1호퍼다이의 일측에 형성되어, 비닐 및 노끈을 1차적으로 선별하는 제1수평콘베이어(200)와,
상기 제1수평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비닐 및 노끈이 선별된 베일 또는 파지를 제2호퍼로 제공하기 위한 제1경사콘베이어(300)와,
상기 제1경사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경사콘베이어에 의해 제공된 베일 또는 파지를 2차적으로 투입하기 위한 제2호퍼(400)와,
상기 제2호퍼의 하측에 형성되어 박스류는 제2경사콘베이어로, 폐지류는 제2수평콘베이어로 선별하여 제공하기 위한 선별M/C(500)와,
상기 선별M/C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박스류를 압축설비용콘베이어로 제공하기 위한 제2경사콘베이어(600)와,
상기 선별M/C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폐지류를 제3경사콘베이어로 제공하기 위한 제2수평콘베이어(700)와,
상기 제2수평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폐지류를 제4수평콘베이어로 제공하기 위한 제3경사콘베이어(800)와,
상기 제3경사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폐지류를 선별하기 위한 제4수평콘베이어(900)와,
상기 제4수평콘베이어로부터 제공된 폐지류와 제2경사콘베이어를 통해 제공된 폐지류를 압축설비로 제공하기 위한 압축설비용콘베이어(1000)와,
상기 압축설비용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폐지류와 박스류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설비(11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은,
단단하게 압축된 베일(bale) 폐지 혹은 수거해 온 파지 등을 해체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금기물, 협잡 이물질 등을 선별하고 다른 등급의 폐지를 선별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즉, 제지사는 국내에서 수거된 폐지와 수입 폐지를 사용하는데 있어 선별 시스템을 통해 다량의 폐지를 선별하여 품질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국내 폐지는 종전 수거 프로세스에 의해 압축설비에서 바로 압축 사용했던 것을 본 발명의 선별시스템을 통해 금기물과 협잡 이물질 등을 선별하여 품질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수입 폐지는 종전 제지사에서 바로 사용했던 방식에서 벗어나 압축설비 또는 폐지 업체에서 단단하게 압축된 베일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금기물과 협잡 이물질 등을 선별하고, 다른 그레이드의 폐지를 선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제1수평콘베이어의 어느 일측에 해체장치를 형성하여 베일 또는 파지를 해체하여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우선 베일 또는 파지들을 선별하기 좋게 흐트러놓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의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의 선별M/C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의 제4수평콘베이어 주변에 형성된 선별투입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의 해체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은,
베일 또는 파지를 투입하기 위한 제1호퍼다이(100)와,
상기 제1호퍼다이의 일측에 형성되어, 비닐 및 노끈을 1차적으로 선별하는 제1수평콘베이어(200)와,
상기 제1수평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비닐 및 노끈이 선별된 베일 또는 파지를 제2호퍼(400)로 제공하기 위한 제1경사콘베이어(300)와,
상기 제1경사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경사콘베이어에 의해 제공된 베일 또는 파지를 2차적으로 투입하기 위한 제2호퍼(400)와,
상기 제2호퍼에 형성되어 박스류는 제2경사콘베이어(600)로, 폐지류는 제2수평콘베이어(700)로 선별하여 제공하기 위한 선별M/C(500)와,
상기 선별M/C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박스류를 압축설비용콘베이어(1000)로 제공하기 위한 제2경사콘베이어(600)와,
상기 선별M/C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폐지류를 제3경사콘베이어(800)로 제공하기 위한 제2수평콘베이어(700)와,
상기 제2수평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폐지류를 제4수평콘베이어(900)로 제공하기 위한 제3경사콘베이어(800)와,
상기 제3경사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폐지류를 선별하기 위한 제4수평콘베이어(900)와,
상기 제4수평콘베이어(900)로부터 제공된 폐지류와 제2경사콘베이어(600)를 통해 제공된 폐지류를 압축설비로 제공하기 위한 압축설비용콘베이어(1000)와,
상기 압축설비용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폐지류와 박스류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설비(1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은,
베일 또는 파지를 투입하기 위한 제1호퍼다이(100)와,
상기 제1호퍼다이의 일측에 형성되어, 비닐 및 노끈을 1차적으로 선별하는 제1수평콘베이어(200)와,
상기 제1수평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비닐 및 노끈이 선별된 베일 또는 파지를 제2호퍼(400)로 제공하기 위한 제1경사콘베이어(300)와,
상기 제1경사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경사콘베이어에 의해 제공된 베일 또는 파지를 2차적으로 투입하기 위한 제2호퍼(400)와,
상기 제2호퍼에 형성되어 박스류는 제2경사콘베이어(600)로, 폐지류는 제2수평콘베이어(700)로 선별하여 제공하기 위한 선별M/C(500)와,
상기 선별M/C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박스류를 압축설비용콘베이어(1000)로 제공하기 위한 제2경사콘베이어(600)와,
상기 선별M/C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폐지류를 제3경사콘베이어(800)로 제공하기 위한 제2수평콘베이어(700)와,
상기 제2수평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폐지류를 제4수평콘베이어(900)로 제공하기 위한 제3경사콘베이어(800)와,
상기 제3경사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폐지류를 선별하기 위한 제4수평콘베이어(900)와,
상기 제2경사콘베이어(600)를 통해 제공된 폐지류를 압축설비로 제공하기 위한 압축설비용콘베이어(1000)와,
상기 제4수평콘베이어(900)로부터 제공된 선별된 폐지류들을 각각 압축설비로 제공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 구성되는 폐지류별압축설비용콘베이어(3000)와,
상기 압축설비용콘베이어(1000) 및 폐지류별압축설비용콘베이어(30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폐지류와 박스류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설비(1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골판지 시장규모는 2014년에 3조 5000억원을 돌파하며 4년 전보다 약 1조원이 증가했다.(4년간 40% 성장, 매년 10% 성장 가능)
홈쇼핑, 온라인 상거래 등의 대중화로 상자 수요가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고 또한 건강한 식재료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상자포장을 한 식품들이 신선하다는 소비자의 인식도 골판지 수요 증가에 한 몫하고 있다.
선진국의 폐지 재활용 시스템은 분리배출, 수집, 자동선별, 압축 등 운송에서 부터 보관장소에 이르기까지 차량덮개, 비가림 시설, 보관장소 지붕 설치가 되어 있어 철저한 품질관리가 이루어지고 있고, 정부의 재활용 촉진 정책인 각종 관련 법규체계 정비, 폐지재활용 인증마크 제도 도입 등 폐지 수거 및 품질 고급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지원을 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폐지 분리배출 및 재활용 회수는 경제성을 중요시하는 민간 회수 의존도가 높고 유통 경로가 복잡해 이로 인한 단가 상승 및 품질관리가 열악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폐지 분리배출, 유통구조 개선, 수거업계 장비 및 시설 개선 등 전반에 거쳐 폐지 원료의 품질 고급화를 위한 노력과 정부 차원에서의 정책지원과 각종 관련 법규 체계 정비, 폐지 재활용 인증 마크 제도 도입 등 폐지의 품질향상을 위한 노력과 자원 재활용 및 회수율을 높이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당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본 발명에서는 하기와 같은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을 제안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의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전체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은,
베일 또는 파지를 투입하기 위한 제1호퍼다이(100)와,
상기 제1호퍼다이의 일측에 형성되어, 비닐 및 노끈을 1차적으로 선별하는 제1수평콘베이어(200)와,
상기 제1수평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비닐 및 노끈이 선별된 베일 또는 파지를 제2호퍼(400)로 제공하기 위한 제1경사콘베이어(300)와,
상기 제1경사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경사콘베이어에 의해 제공된 베일 또는 파지를 2차적으로 투입하기 위한 제2호퍼(400)와,
상기 제2호퍼에 형성되어 박스류는 제2경사콘베이어(600)로, 폐지류는 제2수평콘베이어(700)로 선별하여 제공하기 위한 선별M/C(500)와,
상기 선별M/C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박스류를 압축설비용콘베이어(1000)로 제공하기 위한 제2경사콘베이어(600)와,
상기 선별M/C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폐지류를 제3경사콘베이어(800)로 제공하기 위한 제2수평콘베이어(700)와,
상기 제2수평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폐지류를 제4수평콘베이어(900)로 제공하기 위한 제3경사콘베이어(800)와,
상기 제3경사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폐지류를 선별하기 위한 제4수평콘베이어(900)와,
상기 제4수평콘베이어로부터 제공된 폐지류와 제2경사콘베이어를 통해 제공된 폐지류를 압축설비로 제공하기 위한 압축설비용콘베이어(1000)와,
상기 압축설비용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폐지류와 박스류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설비(1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제1호퍼다이(100)는 베일 또는 파지를 투입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지게차 또는 집게차 또는 고정식 집게 등에 의해 베일 또는 파지를 투입하게 되면, 이를 제1수평콘베이어(200)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수평콘베이어(200)는 제1호퍼다이의 일측 예를 들어, 하측에 형성되어 비닐 및 노끈을 1차적으로 선별하는 영역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제1경사콘베이어(300)는 상기 제1수평콘베이어(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비닐 및 노끈이 선별된 베일 또는 파지를 제2호퍼(400)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수평콘베이어(200)와 제1경사콘베이어(300)를 구성하는 이유는 정량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콘베이어는 일정 간격으로 수평바를 구성하여 수평바와 수평바 사이에 폐지류들이 안착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호퍼(400)는 상기 제1경사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경사콘베이어에 의해 제공된 베일 또는 파지를 2차적으로 투입하게 된다.
제2호퍼를 통해 종이 선별이 용이하도록 해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1수평콘베이어(200)에는 정량 투입을 감지하기 위한 정량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사전에 미리 설정된 양만큼 투입되고 있는 지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설정된 양을 초과할 경우에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기 위한 기능이다.
그리고, 상기 선별M/C(500)는 제2호퍼에 형성되어 박스류는 제2경사콘베이어(600)로, 폐지류는 제2수평콘베이어(700)로 선별하여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의 선별M/C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별M/C(500)는,
상부와 하부가 오픈되어 있는 본체부(510);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동작시 회전하는 회전봉(520);과
상기 회전봉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투입되는 박스류를 제2경사콘베이어(600)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본체부(510)는 상부와 하부를 오픈시킨 형태로서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때, 회전봉(520)을 본체부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동작시 회전하게 된다.
회전봉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회전봉의 일측에는 구동설비를 구성하게 되며, 구동설비가 동작하게 되면 회전봉이 회전하게 된다.
구동설비와 회전봉 간의 연결은 체인을 통해 연결할 수 있거나, 회전봉마다 구동설비 예를 들어, 모터를 구성하여 회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회전봉의 회전 방식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어떠한 회전수단을 도입하여도 상관없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530)는 회전봉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투입되는 박스류를 제2경사콘베이어(60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부재의 형상을 삼각형으로 구성하고, 그 재질을 플라스틱류로 구성하였지만, 형상은 다각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박스류를 이동시키기 위한 재질을 플라스틱류로 굳이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를 본체부의 내부 끝단까지 설치 구성하지 않고, 박스류가 제2경사콘베이어(600)로 떨어지도록 일정 공간(540)을 남겨두어야 한다.
그리고,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본체부(510)의 하측에는 경사부(55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경사부를 통해 하측으로 이동되는 폐지류를 제2수평콘베이어(700)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경사콘베이어(600)를 선별M/C의 일측에 구체적으로 일정 공간(540)의 하측에 형성시킴으로써, 선별M/C로부터 제공된 박스류를 압축설비용콘베이어(1000)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압축설비용콘베이어(1000)의 일측에 압축설비(1100)를 구성하고 있는데, 제 1 실시예에서는 압축설비(1100)를 2개로 구성하는 예시를 보여주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압축설비(1100)를 한 개로 구성하고, 상기 박스류에 구성된 압축설비용콘베이어(1000)와 폐지류에 구성된 압축설비용콘베이어(1000)의 끝측이 압축설비까지 각각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현장 상황이나 비용에 따라 탄력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제2수평콘베이어(700)를 상기 선별M/C의 타측에 형성시킴으로써, 선별M/C로부터 제공된 폐지류를 제3경사콘베이어(800)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3경사콘베이어(800)를 제2수평콘베이어(700)의 일측에 형성시켜 폐지류를 제4수평콘베이어(900)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의 제4수평콘베이어 주변에 형성된 선별투입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때, 상기 제4수평콘베이어(900)를 상기 제3경사콘베이어(800)의 일측에 형성시킴으로써, 제3경사콘베이어(800)를 통해 제공된 폐지류를 선별하도록 한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제4수평콘베이어(900)의 주변에 폐지류를 종류별로 선별하여 하측에 위치한 적재부(950)로 투입시키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 선별투입부(9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선별투입부(930)를 4개로 형성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신문지, 백상지(인쇄용지), 컴퓨터용지, 산업용지 등을 선별하여 선별투입부(930) 투입하게 되면 하측에 설치 구성된 적재부(950)로 각각 선별되어 저장되게 된다.
이때, 적재부와 적재부 사이에는 격벽을 구성하여 선별된 폐지류가 섞어지 않도록 한다.
상기 선별작업은 작업자에 의해 선별하게 되며, 더 나아가 로봇머신을 구성하게 되면, 로봇머신에 의해 색상을 구분하여 선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설비용콘베이어(1000)는 상기 제4수평콘베이어(900)로부터 제공된 폐지류와 제2경사콘베이어(600)를 통해 제공된 폐지류를 압축설비로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이때, 압축설비(1100)를 압축설비용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시킴으로써, 제공된 폐지류와 박스류를 압축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의 해체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수평콘베이어(200)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베일 또는 파지를 해체하는 해체장치(2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해체장치(2000)는,
콘베이어지지대(250)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지지대(2100);와
상기 수직지지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회전축홈(2200);과
상기 회전축홈에 삽입되는 회전축(2300);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결합되는 모터부(2400);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나선형풀림바고정부(2500);와
상기 나선형풀림바고정부에 결합되어 있는 나선형풀림바(2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콘베이어지지대(250)의 양측에 수직지지대(2100)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수직지지대에 일정 간격으로 회전축홈(2200)을 형성하게 된다.
실시예에서는 3개의 회전축홈을 수직지지대에 각각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수직지지대에 형성된 회전축홈에 회전축(2300)이 삽입되게 되는데, 3개의 회전축을 삽입하게 된다.
이때, 회전축의 일측에 모터부(2400)를 구성하게 되는 것인데, 본 예시에서는 3개의 모터부를 구성하였다.
상기 모터부의 갯수는 3개보다 적을 수도 있고 많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나선형풀림바고정부(2500)를 상기 회전축에 결합하게 되는 것인데, 본 예시에서는 3개의 나선형풀림바고정부를 구성하였다.
이때, 나선형풀림바고정부에 나선형풀림바(2600)를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나선형풀림바는 예를 들어, S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양측에 2개를 구성하여 전체적인 형상이 장구형이 되도록 구성하였으나, 나선형풀림바를 이루는 간격으로 촘촘히 하게 되면 전체적인 형상이 염기서열 형상을 가지게 될 것이다.
한편, 나선형풀림바(2600)의 회전 방향을 달리하여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예시에서는 3층을 구성하게 되며, 맨 하측의 회전 방향을 반시계 방향으로, 중앙의 회전 방향을 시계 방향으로, 맨 상측의 회전 방향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하게 되면 나선형풀림바(2600)로 유입되는 폐지류를 눌러주면서 회전하게 되어 효과적으로 흐뜨러뜨릴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요약하자면, 제1수평콘베이어의 어느 일측에 해체장치를 형성하게 되면, 베일 또는 파지를 해체하여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우선 베일 또는 파지들을 선별하기 좋게 흐트러 놓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은,
베일 또는 파지를 투입하기 위한 제1호퍼다이(100)와,
상기 제1호퍼다이의 일측에 형성되어, 비닐 및 노끈을 1차적으로 선별하는 제1수평콘베이어(200)와,
상기 제1수평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비닐 및 노끈이 선별된 베일 또는 파지를 제2호퍼(400)로 제공하기 위한 제1경사콘베이어(300)와,
상기 제1경사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경사콘베이어에 의해 제공된 베일 또는 파지를 2차적으로 투입하기 위한 제2호퍼(400)와,
상기 제2호퍼에 형성되어 박스류는 제2경사콘베이어(600)로, 폐지류는 제2수평콘베이어(700)로 선별하여 제공하기 위한 선별M/C(500)와,
상기 선별M/C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박스류를 압축설비용콘베이어(1000)로 제공하기 위한 제2경사콘베이어(600)와,
상기 선별M/C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폐지류를 제3경사콘베이어(800)로 제공하기 위한 제2수평콘베이어(700)와,
상기 제2수평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폐지류를 제4수평콘베이어(900)로 제공하기 위한 제3경사콘베이어(800)와,
상기 제3경사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폐지류를 선별하기 위한 제4수평콘베이어(900)와,
상기 제2경사콘베이어(600)를 통해 제공된 폐지류를 압축설비로 제공하기 위한 압축설비용콘베이어(1000)와,
상기 제4수평콘베이어(900)로부터 제공된 선별된 폐지류들을 각각 압축설비로 제공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 구성되는 폐지류별압축설비용콘베이어(3000)와,
상기 압축설비용콘베이어(1000) 및 폐지류별압축설비용콘베이어(30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폐지류와 박스류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설비(1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압축설비용콘베이어(1000)와 폐지류별압축설비용콘베이어(3000)를 분리하여 구성하고, 여기에 각각 압축설비(1100)를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폐지류별압축설비용콘베이어(3000)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 구성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4수평콘베이어(900)로부터 제공된 선별된 폐지류들을 각각 압축설비로 제공하기 위하여 적재부(950)에 각각 설치 구성한 것이다.
본 예시에서는 4개의 적재부에 4개의 폐지류별압축설비용콘베이어(3000)를 설치 구성한 것이다.
이때, 압축설비용콘베이어(1000) 및 폐지류별압축설비용콘베이어(3000)의 일측에 폐지류와 박스류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설비(1100)를 각각 설치 구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표시한 화살표는 지게차 또는 집게차 또는 고정식 집게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콘베이어와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콘베이어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면, 단단하게 압축된 베일(bale) 폐지 혹은 수거해 온 파지 등을 해체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금기물, 협잡 이물질 등을 선별하고 다른 등급의 폐지를 선별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즉, 제지사는 국내에서 수거된 폐지와 수입 폐지를 사용하는데 있어 선별 시스템을 통해 다량의 폐지를 선별하여 품질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국내 폐지는 종전 수거 프로세스에 의해 압축설비에서 바로 압축 사용했던 것을 본 발명의 선별시스템을 통해 금기물과 협잡 이물질 등을 선별하여 품질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1호퍼다이
200 : 제1수평콘베이어
300 : 제1경사콘베이어
400 : 제2호퍼
500 : 선별M/C
600 : 제2경사콘베이어
700 : 제2수평콘베이어
800 : 제3경사콘베이어
900 : 제4수평콘베이어
1000 : 압축설비용콘베이어
1100 : 압축설비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에 있어서,
    베일 또는 파지를 투입하기 위한 제1호퍼다이(100)와,
    상기 제1호퍼다이의 일측에 형성되어, 비닐 및 노끈을 1차적으로 선별하는 제1수평콘베이어(200)와,
    상기 제1수평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비닐 및 노끈이 선별된 베일 또는 파지를 제2호퍼(400)로 제공하기 위한 제1경사콘베이어(300)와,
    상기 제1경사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경사콘베이어에 의해 제공된 베일 또는 파지를 2차적으로 투입하기 위한 제2호퍼(400)와,
    상기 제2호퍼에 형성되어 박스류는 제2경사콘베이어(600)로, 폐지류는 제2수평콘베이어(700)로 선별하여 제공하기 위한 선별M/C(500)와,
    상기 선별M/C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박스류를 압축설비용콘베이어(1000)로 제공하기 위한 제2경사콘베이어(600)와,
    상기 선별M/C의 타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폐지류를 제3경사콘베이어(800)로 제공하기 위한 제2수평콘베이어(700)와,
    상기 제2수평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폐지류를 제4수평콘베이어(900)로 제공하기 위한 제3경사콘베이어(800)와,
    상기 제3경사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폐지류를 선별하기 위한 제4수평콘베이어(900)와,
    상기 제4수평콘베이어(900)로부터 제공된 폐지류와 제2경사콘베이어(600)를 통해 제공된 폐지류를 압축설비로 제공하기 위한 압축설비용콘베이어(1000)와,
    상기 압축설비용콘베이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공된 폐지류와 박스류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설비(1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수평콘베이어(200)에는 정량 투입을 감지하기 위한 정량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선별M/C(500)는,
    상부와 하부가 오픈되어 있는 본체부(510);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동작시 회전하는 회전봉(520);과
    상기 회전봉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투입되는 박스류를 제2경사콘베이어(600)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4수평콘베이어(900)의 주변에 폐지류를 종류별로 선별하여 하측에 위치한 적재부(950)로 투입시키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는 선별투입부(9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수평콘베이어(200)의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베일 또는 파지를 해체하는 해체장치(2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해체장치(2000)는,
    콘베이어지지대(250)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지지대(2100);와
    상기 수직지지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회전축홈(2200);과
    상기 회전축홈에 삽입되는 회전축(2300);과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결합되는 모터부(2400);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나선형풀림바고정부(2500);와
    상기 나선형풀림바고정부에 결합되어 있는 나선형풀림바(2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4수평콘베이어(900)로부터 제공된 선별된 폐지류들을 각각 압축설비로 제공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 구성되는 폐지류별압축설비용콘베이어(30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경우에,
    상기 압축설비(1100)는 압축설비용콘베이어(1000) 및 폐지류별압축설비용콘베이어(3000)의 일측에 형성시켜 제공된 폐지류와 박스류를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

KR1020170159357A 2017-11-27 2017-11-27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 KR101866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357A KR101866846B1 (ko) 2017-11-27 2017-11-27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357A KR101866846B1 (ko) 2017-11-27 2017-11-27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846B1 true KR101866846B1 (ko) 2018-06-14

Family

ID=6262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357A KR101866846B1 (ko) 2017-11-27 2017-11-27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8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3408A (zh) * 2021-11-02 2021-12-03 阿里巴巴达摩院(杭州)科技有限公司 废弃物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处理器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702Y1 (ko) 1996-12-24 1999-12-15 정영섭 폐지 자동선별장치
JP2000240095A (ja) * 1999-02-23 2000-09-05 Nkk Corp 掘削土の破砕分離装置
KR200297465Y1 (ko) * 2002-06-20 2002-12-12 현무산업 주식회사 파지 선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702Y1 (ko) 1996-12-24 1999-12-15 정영섭 폐지 자동선별장치
JP2000240095A (ja) * 1999-02-23 2000-09-05 Nkk Corp 掘削土の破砕分離装置
KR200297465Y1 (ko) * 2002-06-20 2002-12-12 현무산업 주식회사 파지 선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3408A (zh) * 2021-11-02 2021-12-03 阿里巴巴达摩院(杭州)科技有限公司 废弃物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处理器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4856B2 (en) Air separation of recyclable material
US6241097B1 (en) Bag splitter and separation assembly
US84594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a single-stream materials recovery facility
CN104192380B (zh) 自动化包装流水线及包装工艺
CN107755410A (zh) 废玻璃自动分拣系统及其控制方法
US10835927B2 (en) System and process for sorting and recovery of recyclable materials from mixed waste
CN107716346A (zh) 多级废玻璃光选分拣系统及其控制方法
CA25738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orting, collecting data pertaining to and certifying recyclables at a material recovery facility
US4187775A (en) Method of and device for treating heterogeneous waste
KR101866846B1 (ko) 재활용 폐지 선별시스템
CN110170377A (zh) 一种生活垃圾分选工艺及生活垃圾分选系统
CN204038033U (zh) 自动化包装流水线
CN207479174U (zh) 废玻璃自动分拣系统
US7188730B2 (en) Separation system for single stream compressed recyclables
GB2466215A (en) Wet recyclable material processing
KR101045221B1 (ko) 가연성 폐기물의 고형 연료 제조방법
US8813972B1 (en) Secondary separation system for recyclables
KR100733707B1 (ko) 재활용품의 수지의 분리 선별방법
CN214488251U (zh) 一种其他垃圾资源化处理系统
DE4316422C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ortieren von Abfallgemischen
CN212069895U (zh) 一种陈腐垃圾分类生产线
CN210097947U (zh) 一种生活垃圾分选系统
CN107876407A (zh) 超细玻璃粉料处理方法
KR20120051514A (ko) 투척방식의 재활용품 선별장치
CN216224746U (zh) 一种模块化设计的建筑垃圾处理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