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651B1 -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설비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설비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651B1
KR101866651B1 KR1020160103459A KR20160103459A KR101866651B1 KR 101866651 B1 KR101866651 B1 KR 101866651B1 KR 1020160103459 A KR1020160103459 A KR 1020160103459A KR 20160103459 A KR20160103459 A KR 20160103459A KR 101866651 B1 KR101866651 B1 KR 101866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ifier
gas turbine
master
mode
syn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9295A (ko
Inventor
정인영
김용택
노광섭
Original Assignee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3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651B1/ko
Publication of KR20180019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723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gasification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02Fixed-bed gasification of lump fuel
    • C10J3/20Apparatus;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1/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 F01K11/02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the engines being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00Controlling gas-turbine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 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9/26Control of fuel supply
    • F02C9/40Control of fuel supply specially adapted to the use of a special fuel or a plurality of fue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13Carbonaceous raw material
    • C10J2300/093Co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53Gasifying agents
    • C10J2300/0959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4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conversion of synthesis gas
    • C10J2300/1643Conversion of synthesis gas to energy
    • C10J2300/1653Conversion of synthesis gas to energy integrated in a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6Combined cycle power plant [CCPP], or combined cycle gas turbine [CCGT]
    • Y02E20/18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 e.g. combined with carbon capture and storage [C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여러 공정으로 구성된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설비에 있어서, 각각의 독립된 제어설비 통합 운영하기 위한 최상위 제어 시스템이다.
일 예로,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부는 석탄을 부분 연소하여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가스화기의 합성 가스 유량을 제어하는 가스화기 마스터; 가스터빈의 출력을 선행신호로하고, 발전기 출력 편차를 제어 가스터빈 마스터; 및 공기에서 분리된 산소를 상기 가스화기에 공급하는 산소공급설비에서의 산소 유량을 제어하는 산소 공급 설비 마스터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설비용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for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Facility}
본 발명은 산소공급설비, 가스화기, 복합발전 등 여러 공정으로 구성된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설비에 있어서, 공정들 간의 적절한 연계를 위해 각각의 독립된 제어설비를 통합 운영하기 위한 최상위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석탄가스화 복합발전(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IGCC)는 석탄 가스화로 합성가스를 만들어 이를 통해 발전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설비는 석탄을 부분 연소하여 생산된 합성가스를 복합발전 플랜트에 공급하는 가스화기, 공기에서 분리한 산소를 가스화기에 공급하는 산소공급설비, 합성가스 또는 액화 천연가스를 팽창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가스터빈, 가스터빈의 배기를 활용하여 배열회수보일러(HRSG)에서 생산된 증기로 2번째 전기를 생산하는 증기터빈이 조합된 복합발전 플랜트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에는 보일러와 증기터빈이 연계하여 운전되는 석탄화력 제어방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고, 석탄가스화 기술과 복합발전기술을 통합하여 제어하는 최상위 레벨의 제어시스템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여러 공정으로 구성된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설비에 있어서, 공정들 간의 적절한 연계를 위해 각각의 독립된 제어설비를 통합 운영하기 위한 최상위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설비용 제어 시스템은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부는 석탄을 부분 연소하여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가스화기의 합성 가스 유량을 제어하는 가스화기 마스터; 가스터빈 출력 요구량과 측정값의 편차와 가스화기 압력 설정값과 측정값의 편차를 제어하기 위해 가스터빈 유량을 제어하는 가스터빈 마스터; 및 공기에서 분리된 산소를 상기 가스화기에 공급하는 산소공급설비에서의 산소 유량을 제어하는 산소 공급 설비 마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화기 마스터가 수동이고, 상기 가스터빈 마스터가 자동일 때, 가스화기 선행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화기 선행모드는 목표 부하에 따라 가스화기 처리량이 결정되고, 가스터빈은 합성가스 생산량에 따라 가스화기 압력을 설정값으로 제어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화기 선행모드는 상기 가스터빈의 부하가 상기 가스화기의 부하에 종속되어 운전되고, 합성가스 압력제어기에 의해 상기 가스터빈의 합성 가스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화기 마스터는 자동, 상기 가스터빈 마스터가 수동일 때, 가스터빈 선행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터빈 선행모드는 목표부하 설정을 위해 상기 합성가스의 유량을 제어하고, 상기 가스화기는 요구 유량을 만족하기 위해 상기 가스화기의 압력을 설정값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화기 마스터 및 가스터빈 마스터가 모두 자동일 때 협조제어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또한, 목표 부하 지령이 상기 가스터빈 마스터 및 가스화기 마스터를 모두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화기 마스터는 상기 가스터빈의 출력을 선행신호로 하여 상기 가스화기의 압력 편차를 주로 제어하고, 발전기의 출력 편차를 보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터빈 마스터는 상기 가스터빈의 출력을 선행신호로 하여, 발전기 출력 편차를 주로 제어하고, 상기 가스화기의 압력 편차를 보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설비용 제어 시스템은 제어부를 가스화기 마스터, 가스터빈 마스터 및 산소공급설비 마스터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발전소의 안정 운전, 빠른 부하 추종성과 같은 목적에 따라 가스화기 선행모드, 가스터빈 선행모드 및 협조 제어 모드의 운전 모드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통합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용 제어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용 제어 시스템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용 제어 시스템의 운전 모드 선택 로직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용 제어 시스템에서 가스화기 마스터의 로직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용 제어 시스템에서 가스터빈 마스터의 로직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용 제어 시스템에서 산소공급설비 마스터의 로직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용 제어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00)는 가스화기 마스터(110), 가스터빈 마스터(120), 산소공급설비 마스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화기 마스터(110)는 석탄가스화 복합 발전 설비에서 석탄을 이용하여 합성 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가스화기를 제어한다. 상기 가스화기 마스터(110)는 상기 가스화기에 대해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목표 부하에 따라 상기 가스화기에서 생산되는 합성 가스의 처리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화기 마스터(110)는 협조제어모드에서 가스터빈의 출력을 선행신호로 하여 가스화기의 압력 편차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스터빈 마스터(120)는 석탄가스화 복합 발전 설비에서 상기 합성 가스를 통해 발전을 수행하는 가스터빈 입구 유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스터빈 마스터(120)는 협조제어모드에서 상기 가스터빈의 출력을 선행신호로 하고, 발전기 출력 편차를 제어한다.
상기 산소공급설비 마스터(130)는 상기 가스화기에서 요구되는 요구량에 따라, 공기에서 산소를 분리하여 상기 가스화기에 공급하는 산소 유량을 제어한다. 상기 산소공급설비 마스터(130)에 따라, 상기 가스화기에 공급되는 산소 유량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가스화기 마스터(110), 가스터빈 마스터(120) 및 산소공급설비 마스터(130)의 동작 상태에 따라 후술할 가스화기 선행모드, 가스터빈 선행모드 및 협조제어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 목적에 따라 상기 모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가스화기, 가스터빈, 증기터빈, 산소공급설비 등 여러 공정으로 구분되어 있는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설비에서 통합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용 제어 시스템의 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용 제어 시스템은 제어부(100) 내부에서 먼저 가스화기 마스터(110)가 수동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1). 만약, 상기 가스화기 마스터(110)가 수동이라면(YES), 상기 제어부(100)는 가스터빈 마스터(120)가 자동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2). 또한, 상기 가스터빈 마스터(120)가 자동인 경우(YES), 상기 제어부(100)는 가스화기 선행모드로 진입한다(S3).
정리하면, 상기 가스화기 선행모드(S3)는 상기 가스화기 마스터(110)는 수동, 가스터빈 마스터(120)는 자동일 때 선택된다. 상기 가스화기 선행모드(S3)는 목표 부하에 따라 가스화기 처리량이 결정되고, 가스터빈은 합성가스 생산량에 따라 가스화기 압력을 제어하기 위해 운전하는 모드이다.
여기서, 가스터빈 부하는 가스화기 부하에 종속되어 운전되며, 합성가스 압력 제어기에 의해 가스터빈 연료제어밸브를 제어한다. 즉, 합성가스 압력제어기는 설정값과 측정값의 편차를 고려하여 가스터빈의 합성가스 유량을 제어한다. 그리고 가스터빈의 연료밸브의 응답은 수초 이내로 매우 빠른 반면, 가스화기의 응답은 4~10분으로 상대적으로 느리다. 따라서 응답이 빠른 가스터빈 유량제어밸브가 합성가스 압력을 제어하여 일정하게 유지하지만, 발전기의 출력은 조금 변동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초기 기동시에 상기 가스화기 선행 모드(S3)로 운전하며, 합성가스 압력이 일정기준에 미달되면 가스터빈이 트립되기 때문에, 부하 증가 시 일정압력 미만이면, 상기 가스화기 선행 모드(S3)로 전환하여 안정적인 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가스화기 선행 모드(S3)의 운전시 가스화기 마스터(110)는 목표부하 설정을 위해 수동으로 제어하며 가스터빈 마스터(120)는 합성가스 압력 설정값과 측정값 편차를 PI(Proportional Integral) 제어하고, 상기 산소공급설비 마스터(130)는 가스화기의 요구에 따라 동작한다.
한편, 상기 가스화기 마스터(110)가 자동인 경우(S1에서 NO), 상기 가스터빈 마스터(120)가 수동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4). 또한, 상기 가스터빈 마스터(120)가 수동인 경우, 가스터빈 선행모드에 진입한다(S5).
즉, 상기 가스터빈 선행모드(S5)는 가스화기 마스터(110)는 자동, 가스터빈 마스터(120)는 수동일 때 선택된다. 상기 가스터빈 선행모드(S5)에서 목표부하 설정을 위해 가스터빈 유량제어밸브로 합성가스 유량을 제어하고, 가스화기는 가스화기 압력 목표값과 측정값의 편차를 PI 제어한다. 응답이 빠른 가스터빈 유량제어밸브로 발전기 출력을 제어하기 때문에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부하응동이 빨라 출력 목표값에 빨리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가스화기 부하가 가스터빈 부하를 따라가지 못하면 가스화기 압력은 변동하게 된다. 상기 가스터빈 선행모드(S5)는 부하응동이 빨라 일정 합성가스 압력범위 내에서 가스화기가 가스터빈 부하를 따르게 되므로 정상운전중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스터빈 선행모드(S5)의 운전시 상기 가스터빈 마스터(120)는 목표부하 설정을 위해 수동으로 제어하고 상기 가스화기 마스터(110)는 합성가스 압력 설정값과 측정값 편차를 PI 제어하며, 상기 산소공급설비 마스터(130)는 가스화기 요구에 따라 동작한다.
한편, 상기 가스터빈 마스터(120)가 수동이 아닌 자동인 경우(S4에서 NO), 상기 제어부(100)는 협조 제어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S6).
즉, 상기 협조 제어 모드(S6)는 가스화기 마스터(110) 및 가스터빈 마스터(120) 둘 다 자동일 때 선택되는 모드이다. 상기 협조 제어 모드(S6)에서 목표 부하 지령은 가스터빈 마스터(110) 및 가스화기 마스터(120)를 둘 다 제어한다. 가스화기 마스터(110)는 가스터빈 출력을 선행신호로 하여 가스화기 압력 편차를 주로 제어하며, 발전기 출력 편차를 보조적으로 제어한다. 가스터빈 마스터(120)는 가스터빈 출력을 선행신호로 하고, 발전기 출력 편차를 주로 제어하며 보조적으로 가스화기 압력 편차를 제어한다. 따라서 협조제어 모드는 빠른 부하 추종성과 안정된 가스화기 압력 운전 모두를 도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용 제어 시스템의 운전 모드 선택 로직을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도 2의 플로우차트와 더불어,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00)에서 운전 모드의 선택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가스터빈 선행모드(S5) 다음 3개의 조건(1)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되면 선택된다.
① 가스화기 마스터 자동, ASU 마스터 자동, GT 마스터 수동
② 가스화기 마스터 자동, GT 마스터 자동 및 가스터빈 선행모드 푸시버튼 선택
③ 가스화기 마스터 자동, GT 부하 감발 또는 GT 트립
또한, 다음 3개의 조건(2)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되면 상기 가스터빈 선행모드(S5)는 해제된다.
① GT 마스터 수동, 가스화기 마스터 수동
② 가스화기 선행모드 선택
③ 협조제어 모드 선택
또한, 상기 가스화기 선행모드(S3) 다음 3개의 조건(3)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되면 선택된다.
① 가스화기 마스터 수동, GT 마스터 자동, ASU 마스터 자동
② 가스화기 마스터 자동, GT 마스터 자동 및 가스화기 선행모드 푸시버튼 선택
③ GT 마스터 자동, 가스화기 부하 감발 또는 가스화기 트립
또한, 다음 3개의 조건(4)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되면 상기 가스화기 선행모드(S3)는 해제된다.
① GT 마스터 수동, 가스화기 마스터 수동
② 가스터빈 선행모드 선택
③ 협조제어 모드 선택
또한, 상기 협조제어 모드(S6) 다음 2개의 조건(5)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되면 선택된다.
① 가스화기 마스터 자동, GT 마스터 자동, 산소공급설비 마스터 자동
② 가스화기 마스터 자동, GT 마스터 자동 및 협조제어 모드 푸시버튼 선택
또한, 다음 2개의 조건(6) 중 어느 하나라도 만족되면 상기 협조제어 모드(S6)는 해제된다.
① GT 마스터 수동, 가스화기 마스터 수동
② 가스터빈 선행모드 선택
③ 가스화기 선행모드 선택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용 제어 시스템은 제어부(100)를 가스화기 마스터(110), 가스터빈 마스터(120) 및 산소공급설비 마스터(130)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발전소의 안정 운전, 빠른 부하 추종성과 같은 목적에 따라 가스화기 선행모드(S3), 가스터빈 선행모드(S5) 및 협조 제어 모드(S6)의 운전 모드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통합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용 제어 시스템에서 가스화기 마스터의 로직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스화기 마스터(110)의 로직에서 가스화기 선행 모드(1)에서는 부하지령을 위해 부하요구량을 운전원이 직접 설정하고, 가스터빈 선행 모드(3)에서는 가스화기 압력 설정값과 측정값의 편차를 제어하게 된다. 협조 제어 모드(5)에서는 가스터빈 출력 요구량을 선행신호(2)로 하고 가스화기 압력 설정값과 측정값의 편차 및 부하요구량 설정값과 측정값의 편차의 합을 PID제어 한다. 가스터빈 선행모드와 협조제어 모드의 선택은 전환 스위치(6)에서 이루어진다. 원격모드가 해제(8)되면 가스화기 유량을 0~120%로 선형화한 값을 추종하게 되며, 이 선형값은 가스화기 최소 요구량(9) 50%(112T/H) 보다 큰 값이 최종 가스화기 요구량이 된다. 이 가스화기 마스터 요구량(7)은 합성가스를 생성하기 위해 가스화기로 공급되는 산소공급량, 미분탄 유량을 제어하는 산소 제어밸브, 연료 제어밸브 등을 제어 한다. 가스화기 부하와 가스터빈 부하의 불일치로 인해 합성가스 압력이 크게 되면 발전기 출력 편차에 1보다 작은 값을 곱하고, 압력이 작으면 발전기 출력 편차에 1보다 큰 값(1)을 곱함으로써, 합성가스 압력에 따라 발전기 출력 편차를 보정하도록 한다. 가스화기 부하 급감발(Load Rejection)(4)시와 같은 비정상 상황에서는 가스화기 압력 편차 및 발전기 출력 편차를 0으로 하여 과도상태에서 과다한 편차 보정으로 인한 불안정을 초래 하지 않도록 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용 제어 시스템에서 가스터빈 마스터의 로직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스터빈 마스터(120)에서 부하지령을 위해 부하요구량을 운전원이 직접 설정하고 가스화기 선행 모드(3)에서는 가스화기 압력 설정값과 측정값의 편차를 제어하게 된다. 협조제어 모드(5)에서는 가스터빈 출력 요구량을 선행신호로(2) 하고 가스화기 압력 설정값과 측정값의 편차 및 부하요구량 설정값과 측정값의 편차의 합을 PID제어 한다. 가스화기 선행모드와 협조제어 모드의 선택은 전환 스위치(6)에서 이루어진다. 가스화기 부하와 가스터빈의 부하의 불일치로 인해 합성가스 압력이 크면 발전기 출력 편차에 1보다 큰 값을 곱하고 압력이 작으면 발전기 출력 편차에 1보다 작은 값(1)을 곱함으로써 합성가스 압력에 따라서 발전기 출력 편차를 보정하도록 하였다. 가스터빈 부하 급감발(Load Rejection)(4)시와 같은 비정상 상황에서는 가스화기 압력 편차 및 발전기 출력 편차를 0으로 하여 과도상태에서 과다한 편차 보정으로 인한 불안정을 초래 하지 않도록 하였다. 천연가스 모드(7)에서는 가스터빈 출력요구량이 설정값이 되며 원격모드가 해제(9)되면 가스터빈 출력을 추종하게 되고 이 값은 가스터빈 최고 부하 제한치보다 작은 값이 선택되고 최소 요구량(10) 10% 보다 큰 값이 최종 가스화기 요구량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용 제어 시스템에서 산소공급설비 마스터의 로직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산소공급설비 마스터 로직으로 자동모드(1)에서는 가스화기 요구량을 ASU 요구량으로 선형화한 값이 설정값이 되며 원격모드가 해제(2)되면 산소 유량을 추종하게 되고 이 값은 산소 최소 요구량(3) 50%(46T/H)보다 큰 값이 최종 산소공급설비 요구량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을 위한 제어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제어부 110; 가스화기 마스터
120; 가스터빈 마스터 130; 산소공급설비 마스터

Claims (10)

  1.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제어부는
    석탄을 부분 연소하여 합성가스를 생성하는 가스화기의 합성 가스 유량을 제어하는 가스화기 마스터;
    가스터빈 출력 요구량과 측정값의 편차와 합성가스 압력 설정값과 측정값의 편차를 제어하기 위해 가스터빈 유량을 제어하는 가스터빈 마스터; 및
    공기에서 분리된 산소를 상기 가스화기에 공급하는 산소공급설비에서의 산소 유량을 제어하는 산소 공급 설비 마스터를 포함하고,
    초기 기동시 또는 합성가스의 압력이 기준값 미만일 때, 상기 가스화기 마스터가 목표 부하 설정을 위해 수동으로 제어되고, 상기 가스터빈 마스터는 합성가스 압력 설정값과 측정값의 편차를 PI 제어하기 위해 자동으로 제어되어, 가스화기 선행모드로 운전되는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기 선행모드는 목표 부하에 따라 가스화기 처리량이 결정되고, 가스터빈은 합성가스 생산량에 따라 가스화기 압력을 제어하는 모드인 제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기 선행모드는 상기 가스터빈의 부하가 상기 가스화기의 부하에 종속되어 운전되고, 합성가스 압력제어기에 의해 상기 가스터빈의 합성 가스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화기 마스터는 자동, 상기 가스터빈 마스터가 수동일 때, 가스터빈 선행모드로 운전되는 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터빈 선행모드는 목표부하 설정을 위해 상기 합성가스의 유량을 제어하고, 상기 가스화기는 요구 유량을 만족하기 위해 가스터빈 합성가스 유량제어밸브로 가스화기는 요구유량을 만족하기 위해 상기 가스화기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화기 마스터 및 가스터빈 마스터가 모두 자동일 때 협조제어 모드로 운전되는 제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목표 부하 지령이 상기 가스터빈 마스터 및 가스화기 마스터를 모두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기 마스터는 상기 가스터빈의 출력을 선행신호로 하여 상기 가스화기의 압력 편차를 주로 제어하고, 발전기의 출력 편차를 보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터빈 마스터는 상기 가스터빈의 출력을 선행신호로 하여, 발전기 출력 편차를 주로 제어하고, 상기 가스화기의 압력 편차를 보조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
KR1020160103459A 2016-08-16 2016-08-16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설비용 제어 시스템 KR101866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459A KR101866651B1 (ko) 2016-08-16 2016-08-16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설비용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459A KR101866651B1 (ko) 2016-08-16 2016-08-16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설비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295A KR20180019295A (ko) 2018-02-26
KR101866651B1 true KR101866651B1 (ko) 2018-06-11

Family

ID=61531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459A KR101866651B1 (ko) 2016-08-16 2016-08-16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설비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6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0445A (ja) 1998-10-16 2000-04-25 Toshiba Corp 石炭ガス化複合発電システム
JP2006336551A (ja) * 2005-06-02 2006-12-14 Jgc Corp ガス化複合発電設備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4174993A (ja) * 2013-03-07 2014-09-22 General Electric Co <Ge> 改善したプラント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6014B2 (ja) * 1995-10-03 2005-11-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化プラントの圧力制御装置
US8028511B2 (en) * 2007-05-30 2011-10-04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power generation pla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0445A (ja) 1998-10-16 2000-04-25 Toshiba Corp 石炭ガス化複合発電システム
JP2006336551A (ja) * 2005-06-02 2006-12-14 Jgc Corp ガス化複合発電設備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4174993A (ja) * 2013-03-07 2014-09-22 General Electric Co <Ge> 改善したプラント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295A (ko) 2018-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38892B (zh) 一种火电机组再热汽温控制方法
US7832191B2 (en)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and the control method
US8689565B2 (en) Method of providing asymmetric joint control for primary frequency regulation in combined-cycle power plants
US9441545B2 (en) Fuel supply apparatus, fuel-flow-rate-control unit, and gas-turbine power generating plant
US20090151315A1 (en)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JP2006233796A (ja) Lng利用発電プラント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19027398A (ja)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プラントおよび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発電プラントの制御方法
US1062675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urbine system operation in low ambient temperatures
KR102086202B1 (ko) 가스화플랜트 열부하 자동제어 시스템
US7877979B2 (en)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plant, method of controlling the plant, and method of producing fuel gas
JP2007211705A (ja) ガス化複合発電システムにおける空気圧力制御装置
EP2770172B1 (en) Method for providing a frequency response for a combined cycle power plant
US20120167581A1 (en) Method of controlling a combined-cycle system in single-shaft configuration, and combined-cycle system in single-shaft configuration
JP4885199B2 (ja) ガスタービン運転制御装置及び方法
US20150159096A1 (en) Fuel gasif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therefor, and fuel gasification combined power generation system provided with fuel gasification system
US20100301615A1 (en) Gas turbin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ingle-shaft combined cycle plant
JP2015151912A (ja) ガス供給装置、発電プラント、及び発電プラントの制御方法
KR101866651B1 (ko)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설비용 제어 시스템
JP2015096714A (ja) 制御装置、燃焼器、ガスタービン、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5143638A (zh) 气化发电设备的控制装置、气化发电设备、及气化发电设备的控制方法
CN114153146B (zh) 响应电网调频的机炉协调自主切换控制方法
JP3716014B2 (ja) ガス化プラントの圧力制御装置
JP2008267338A (ja) ガスタービンの制御方法およびガスタービン発電装置
KR101770534B1 (ko)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S5949410B2 (ja) ガス化発電プラント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