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570B1 - 운반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운반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570B1
KR101866570B1 KR1020120063033A KR20120063033A KR101866570B1 KR 101866570 B1 KR101866570 B1 KR 101866570B1 KR 1020120063033 A KR1020120063033 A KR 1020120063033A KR 20120063033 A KR20120063033 A KR 20120063033A KR 101866570 B1 KR101866570 B1 KR 101866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nduit
outlet
inlet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328A (ko
Inventor
리? 후
웨이 첸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3000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48Apparatus; Plants
    • C10J3/50Fuel charging devices
    • C10J3/506Fuel charging devices for entrained flow gas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48Apparatus; Plants
    • C10J3/50Fuel charg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200/00Details of gasification apparatus
    • C10J2200/15Details of feeding means

Abstract

운반 장치는 운반 관로와 상기 운반 관로 속으로 연장되는 보충 가스 관로를 포함한다. 운반 관로는 입구 및 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입구를 형성하는 확장부, 상기 출구를 형성하는 수축부, 및 상기 확장부와 상기 수축부 사이에 유체 연통되게 배치된 중간부를 포함한다.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도 제공된다.

Description

운반 장치, 시스템 및 방법{CONVEYING APPARATUS, SYSTEMS AND METHO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운반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탄소질 연료 분말과 같은 고체 분말을 가스화 장치 속으로 공기식으로 운반하기 위한 운반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스화(gasfication)는 석탄과 같은 탄소질 연료를 석탄 가스나 합성 가스와 같은 가연성 가스로 전환할 수 있는 공정이다. 일반적으로, 가스화 공정은 탄소질 연료를 조절량 및/또는 제한량의 산소 및 그 외의 증기와 함께 가스화 장치 속에 공급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런 탄소질 연료를 가스화 장치 속으로 안정하고 조절 가능한 방식으로 흐르게 하는 것은 바람직한 가스화 성능을 얻는데 유익하다.
탄소질 연료를 가스화 장치 속으로 운반하는데는 공기식 운반 방법이 종종 사용된다. 공기식 운반 방법을 이용하는 종래의 운반 시스템에서, 이런 운반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저장 탱크, 저장 탱크와 유체 연통된 공급 관로, 및 저장 탱크와 가스화 장치 사이에 유체 연통되게 배치된 운반 관로를 포함한다.
저장 탱크는 공급 관로를 통하여 탄소질 연료 및 캐리어 가스를 받아들인다. 캐리어 가스가 저장 탱크 속으로 도입됨에 따라서 저장 탱크의 압력이 원하는 레벨까지 증가하는데, 이 원하는 레벨은 이런 저장 탱크와 가스화 장치 사이에 압력 차이를 발생시키기 위해 가스화 장치내의 압력보다 높다. 그리고, 가스 고체 혼합물은 이 압력 차이에 의해 저장 탱크로부터 운반 관로를 통해 가스화 장치 속으로 운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운반 시스템에 있어서, 운반 관로 내에서의 탄소질 연료의 흐름은 불안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플로우(plug flow) 상황이 되면 운반 관로 내의 탄소질 연료의 유속이 일정하지 않고 따라서 탄소질 연료를 가스화 장치 속으로 도입시키는데 불안정하게 된다. 이는 가스화 장치 내의 온도 변동을 야기기할 수 있는데, 이 온도 변동은 가스화 장치의 성능 및 수명에 불리하다.
따라서, 탄소질 연료 분말과 같은 고체 분말의 공기식 운반을 위한 개량된 운반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고체 분말의 공기식 운반을 위한 운반 장치가 제공된다. 운반 장치는 운반 관로와 상기 운반 관로 속으로 연장되는 보충 가스 관로를 포함한다. 운반 관로는 입구 및 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입구를 형성하는 확장부, 상기 출구를 형성하는 수축부, 및 상기 확장부와 상기 수축부 사이에 유체 연통되게 배치되는 중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체 분말의 공기식 운반을 위한 운반 시스템이 제공된다. 운반 시스템은 고체 분말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저장 탱크, 저장 탱크와 유체 연통된 캐리어 가스 관로, 운반 관로, 및 운반 관로와 유체 연통된 보충 가스 관로를 포함한다. 운반 관로는 저장 탱크의 하류측에 유체 연통되게 배치되며, 입구를 형성하는 확장부, 출구를 형성하는 수축부, 상기 확장부와 상기 수축부 사이에 유체 연통되게 배치된 중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고체 분말의 공기식 운반을 위한 운반 방법을 더 제공한다. 운반 방법은 고체 분말을 저장 탱크 속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캐리어 가스를 상기 저장 탱크 속에 도입하여 상기 고체 분말과 혼합시켜서 상기 저장 탱크 속에 가스 고체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가스 고체 혼합물을 상기 저장 탱크로부터 상기 운반 장치의 입구를 통하여 운반 장치 속으로 운반하여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조정된 가스 고체 혼합물을 상기 수축부의 출구를 통해 상기 운반 장치로부터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운반 장치는 운반 관로와 상기 운반 관로와 유체 연통된 보충 가스 관로를 포함한다. 상기 운반 관로는 상기 입구를 형성하는 확장부, 상기 출구를 형성하는 수축부, 및 상기 확장부와 상기 수축부 사이에 유체 연통되게 배치되는 중간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상기 및 그 외의 면,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이후의 상세한 설명으로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운반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운반 시스템의 운전의 개략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후의 설명에서 잘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들은 개시내용을 불필요하게 애매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에서 1종 이상의 탄소질 연료와 같은 고체 분말을 장치(100) 속으로 운반하기 위한 운반 시스템(1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비제한적 예에서, 운반 시스템(10)은 고체 분말을 장치(100) 속으로 공기식으로 운반하도록 구성되는데, 이 장치(100)는 고체 탄소질 연료의 가스화를 위한 가스화 장치일 수 있다. 일 예에서, 탄소질 연료는 석탄을 포함한다. 다른 비제한적 예에서, 탄소질 연료는 역청탄, 그을음(soot), 바이오매스, 석유코크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반 시스템(10)은 공급기(11), 저장 탱크(12), 캐리어 가스 관로(13), 공급 관로(14) 및 운반 장치(15)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공급기(11)는 원하는 입도 분포를 갖는 고체 분말(16)을 저장 탱크(12) 속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비제한적 예에서, 공급기(11)는 스크류 공급기(screw feeder)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탱크(12)는 공급기(11)와 유체 연통되어 있으며 공급기(11)를 통해 관로(도시하지 않음)와 같은 운반체를 통해 고체 분말(16)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예에서는 고체 분말(16)을 저장 탱크(12) 속으로 도입하기 위해 펌프(도시하지 않음)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일부 배치 구조에 있어서, 저장 탱크(12)는 어떠한 특정 형상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비제한적 예에서, 저장 탱크(12)는 공급기(11)의 하류측에 유체 연통되어 배치된 상측부(도시하지 않음), 및 상측부에 연결된 하측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저장 탱크(12)의 상측부는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저장 탱크(12)의 하측부는 원추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캐리어 가스 관로(13)는 저장 탱크(12)상에 배치되며, 캐리어 가스(17)를 저장 탱크(12) 속으로 도입하여 고체 분말(16)과 혼합하여 가스 고체 혼합물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캐리어 가스(17)의 비제한적 예로는 이산화탄소,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 또는 그 외의 적절한 가스를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캐리어 가스 관로(13)가 나타나 있지만, 하나 이상의 캐리어 가스 관로(13)가 이용될 수도 있다.
캐리어 가스(17)가 저장 탱크(12) 속으로 도입됨에 따라서, 저장 탱크(12)의 압력이 원하는 레벨까지 증가할 수 있다. 비제한적 예에서, 저장 탱크(12) 내의 원하는 압력은 저장 탱크(12)와 장치(100) 사이에 압력차를 발생시키도록 장치(100) 내의 압력보다 높을 수 있다. 일 예에서, 저장 탱크(12) 내의 원하는 압력은 약 2메가파스칼(MPa)이다.
공급 관로(14)는 가스 고체 혼합물을 저장 탱크(12)로부터 처리용, 예를 들어 가스화용 장치(100) 속으로 운반하기 위해 저장 탱크(12)와 장치(100) 사이에 유체 연통되게 배치된다. 비제한적 예에서, 공급 관로(14)는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공급 관로(14)는 제 1 공급 관로(18) 및 제 2 공급 관로(19)를 포함한다. 제 1 공급 관로(18)는 저장 탱크(12)와 운반 장치(15) 사이에 배치되어, 기체 고체 혼합물을 저장 탱크(12)로부터 운반 장치(15) 속으로 운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공급 관로(19)는 운반 장치(15)와 장치(100) 사이에 배치되어, 기체 고체 혼합물을 운반 장치(15)로부터 장치(100) 속으로 운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정 응용에서, 제 2 공급 관로(19)는 이용될 수도 있고 이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부 응용에서, 기체 고체 혼합물의 유동은 제 1 운반 관로(18) 내에서 불안정한 유동, 예를 들어 플러그 플로우(plug flow)가 될 수 있고 결국 제 1 운반 관로(18) 내의 고체 분말의 유속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도시된 배치 구조에서, 운반 장치(15)는 제 1 운반 관로(18)와 제 2 운반 관로(19) 사이에 유체 연통되게 배치되어 있으며, 기체 고체 혼합물의 유동을 안정화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운반 장치(15)에 의한 조정 후, 장치(100) 속으로의 안정한 고체 분말의 유속이 균일할 수 있고 기체 고체 혼합물은 제 2 운반 관로(19) 속으로 안정하게 도입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반 장치(15)는 운반 관로(20)와 운반 관로(20)에 연결된 보충 가스 관로(21)를 포함한다. 도시된 배치 구조에서, 운반 관로(20)는 저장 탱크(12)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가스 고체 혼합물이 제 1 공급 관로(18)로부터 운반 관로(20)를 통과하여 장치(100) 속으로 도입되도록 각각 제 1 공급 관로(18) 및 제 2 공급 관로(19)에 유체 연통될 입구(22) 및 출구(23)를 형성한다.
도시된 예에서, 운반 관로(20)는 확장부(24), 수축부(25), 및 확장부(24)와 수축부(25) 사이에 연결되는 중간부(26)를 포함한다. 확장부(24)는 입구(22)를 형성하며, 수축부(25)는 출구(23)를 형성한다.
일부 예에서, 확장부(24) 및 수축부(25)는 원추의 절두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간부(26)는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확장부(24), 수축부(25) 및 중간부(26)는 다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비제한적 예에서, 여기서 사용하는 "확장"이라는 용어는 확장부(24)의 직경이 입구(22)로부터 출구(23)의 방향 또는 운반 관로(20) 내의 가스 고체 혼합물의 유동 방향을 따라서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축"이라는 용어는 수축부(25)의 직경이 입구(22)로부터 출구(23)의 방향을 따라서 감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예에서, 확장부(24)의 적어도 일 섹션의 직경은 제 1 공급 관로(18)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비제한적 일 예에서, 중간부(26)의 직경은 확장부(24) 및 수축부(25) 중의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 섹션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제 1 공급 관로(18)의 직경은 제 2 공급 관로(19)의 직경과 유사하다.
일부 응용에서, 보충 가스 관로(21)는 고체 분말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보충 가스(27)를 입구(28)를 통해 운반 관로(20) 속으로 도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보충 가스 관로(21)는 중간부(26)에 배치되며, 그 출구(29)가 수축부(25)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속으로 연장되거나 공간에 노출되도록 운반 관로(20) 속으로 연장된다. 일 예에서, 보충 가스 관로(21)의 적어도 일부는 운반 관로(20)의 출구(23) 쪽으로 연장되므로 그 출구(29)는 출구(23) 부근에 있다. 다른 예에서, 보충 가스 관로(21)는 확장부(24) 또는 수축부(25)에 배치될 수 있으며 출구(23)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확장부(24) 내에서 가스 고체 혼합물이 제 1 공급 관로(18)로부터 입구(22)를 통해 운반 관로(20) 속으로 도입되는 동안에 공급 관로(18)로부터의 기체 고체 혼합물 내의 가스의 속도가 감소될 수 있으며, 가스 고체 혼합물 내의 고체의 속도는 공급 관로(18) 내의 가스 고체 혼합물의 속도와 유사할 수 있으므로, 가스의 적어도 일부는 확장부(24)의 공간 확장 때문에 가스 고체 혼합물내의 고체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공급 관로(18) 내의 가스 고체 혼합물의 유동 패턴, 예를 들어 불안정한 유동 패턴은 확장부(24)에 의해 변화 또는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간부(26)는 가스 고체 혼합물의 유동 패턴을 더욱 변화시키기 위해 가스가 계속하여 고체 분말로부터 분리되도록 버퍼부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수축부(25)에서는 그 공간 제한 때문에, 고체 분말을 운반하기 위해 분리된 가스의 속도는 출구(23) 쪽으로 증가하여 고체 분말과 재혼합될 수 있다. 게다가, 보충 가스 관로(21)는 또한 보충 가스(27)를 출구(29)를 통해 수축부(25) 속으로 도입하여 가스의 속도를 더욱 증가시켜서 고체 분말과 재혼합시킨다. 그 결과, 운반 장치(15)에 의한 조정으로 가스 및 고체 분말이 균일하게 혼합되어 안정한 유동 패턴을 갖는 가스 고체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운반 장치(15)로부터의 가스 고체 혼합물은 장치(100) 속으로 도입하기 위해 출구(23)를 통해 제 2 공급 관로(19) 속으로 균일하고 안정하게 도입될 수 있다. 이전의 유동 패턴, 예를 들어 제 1 공급 관로(18) 내의 가스 고체 혼합물의 플러그 플로우와 비교하여, 운반 장치(15)에 의한 조정에 의해 고체 분말의 유속이 균일하고 안정해지며, 따라서 운반 장치(15)로부터의 가스 고체 혼합물의 유동도 균일하고 안정해질 수 있다. 일부 응용에서는 캐리어 가스(17)와 마찬가지로 보충 가스(17)의 비제한적 예도 이산화탄소,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 또는 그 외의 적절한 가스를 포함한다.
도 1의 배치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하나의 보충 가스 관로(21)가 이용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보충 가스 관로가 이용될 수 있다. 특정 응용에서는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제 1 공급 관로(18)에 추가의 가스 관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되어 제 1 공급 관로(18) 내의 고체 분말의 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단일 요소로서 작용하도록 함께 통합되어 있지만, 확장부(24), 수축부(25) 및 중간부(26)는 개별적으로 제공되어 함께 조립될 수 있다.
특정 응용에서, 캐리어 가스(17)와 보충 가스(27)는 하나의 가스원으로부터 또는 하나 이상의 가스원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게다가, 도시된 배치 구조에서 공급 관로(14) 및/또는 운반 관로(20)는 장치(100) 위에 그리고 수평방향(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직립하여 배치된다. 다른 응용에서, 공급 관로(14) 및/또는 운반 관로(20)의 종축선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약 70° 내지 약 90°의 범위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운반 시스템(10)의 운전의 개략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 31에서 운반중에 원하는 입도 분포를 갖는 고체 분말(16)이 고체 분말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저장 탱크(12) 속으로 도입된다. 단계 32에서, 캐리어 가스(17)가 캐리어 가스 관로(13)를 통해 저장 탱크(12) 속으로 도입되어 가스 고체 혼합물을 형성하며, 저장 탱크(12) 내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일부 배치 구조에서는 단계 31 및 단계 32를 수행하는 순서가 변할 수 있다. 단계 31은 단계 32의 전이나 동시에 또는 후에 수행될 수 있다.
캐리어 가스(17)가 저장 탱크(12) 속으로 도입됨에 따라서 저장 탱크(12)내의 압력이 원하는 압력까지 증가한다. 일 예에서, 가스 고체 혼합물이 저장 탱크(12)로부터 장치(100)로 운반되는 동안에 압력차가 생겨서 가스 고체 혼합물을 저장 탱크(12)로부터 장치(100) 쪽으로 밀어내도록 원하는 압력은 장치(100) 내의 압력보다 높다.
단계 33에서, 저장 탱크(12)내의 압력이 원하는 압력까지 증가한 후에, 가스 고체 혼합물이 운반 장치(15) 속으로 도입되어 운반 장치(15) 및 저장 탱크(12)에 연결된 제 1 공급 관로(18)를 통해 조정된다. 이 단계에서, 제 1 공급 관로(18)로부터의 가스 고체 혼합물은 운반 관로(20)의 확장부(24), 중간부(26) 및 수축부(25)를 순서대로 통과한다. 한편, 보충 가스(27)는 고체 분말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축부(25) 속에 도입된다.
일부 응용에서, 수축부(25) 속으로 도입하기 위한 보충 가스(27)의 속도는 운반 관로(20) 내의 캐리어 가스(17)의 속도보다 높을 수 있다. 비제한적 예에서, 제 1 공급 관로(18) 내의 캐리어 가스(17)의 유속에 대한 보충 가스 관로(21) 내의 보충 가스(27)의 유속의 비는 약 0.2 내지 약 1의 범위일 수 있다. 제 2 공급 관로(19) 내의 가스의 속도는 약 20m/s 내지 약 40m/s의 범위일 수 있다.
그 결과, 제 1 공급 관로(18)로부터의 가스 고체 혼합물에 대한 운반 장치(15)의 조정 때문에, 고체 분말의 유속이 균일하게 되며 가스와 고체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혼합 장치(15)로부터의 조정된 가스 고체 혼합물의 유동이 안정해진다. 단계 34에서, 운반 장치(15)로부터의 조정된 가스 고체 혼합물은 가스화를 위한 가스화 장치(100) 속으로 도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운반 시스템(10)은 공급 관로(14)로부터의 가스 고체 혼합물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운반 장치(15)를 이용한다. 운반 장치(15)는 보충 가스 관로(21)와, 확장부(24), 중간부(26) 및 수축부(25)를 포함한 운반 관로(20)를 이용하여 가스 고체 혼합물의 유동을 조정하므로, 고체 분말의 유속이 균일하고 안정하게 되며, 운반 장치(15)로부터의 가스 고체 혼합물의 유동도 장치(100) 속으로 운반하도록 균일하고 안정하게 된다. 이는 장치(100), 예를 들어 가스화 장치의 성능 및 수명을 향상시킨다. 종래의 운반 시스템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배치 구조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종래의 운반 시스템을 저렴한 비용으로 개조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개시 내용은 전형적인 실시형태로 도시하고 설명되었지만, 도시한 상세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데, 왜냐하면 본 개시내용의 정신으로부터 전혀 벗어남 없이 다양한 수정 및 치환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여기서 개시하는 개시내용의 추가의 수정 및 등가물은 다만 일상 실험을 이용하여 당업자가 이룰 수 있으며, 이런 모든 수정 및 등가물은 이후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개시 내용의 정신 및 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Claims (21)

  1. 고체 분말의 공기식 운반을 위한 운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반 장치가,
    입구 및 출구를 형성하는 운반 관로와,
    상기 운반 관로의 상기 입구의 상류에 배치되며, 고체 분말에 캐리어 가스를 도입하여 가스 고체 혼합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가스 관로와,
    상기 운반 관로 내로 연장되는 보충 가스 관로를 구비하며,
    상기 운반 관로가,
    상기 입구를 형성하는 확장부와,
    상기 출구를 형성하는 수축부와,
    상기 확장부와 상기 수축부 사이에 이들과 유체 연통되어 배치된 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부의 적어도 일 섹션의 직경이 상기 확장부 및 상기 수축부의 각각의 일 섹션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보충 가스 관로는 상기 중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보충 가스 관로가 상기 수축부 내에 배치된 출구를 구비하는
    운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직경은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의 방향을 따라서 증가하며, 상기 수축부의 직경은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의 방향을 따라서 감소하는
    운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입구에 있어서의 상기 가스 고체 혼합물 내의 가스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한편, 상기 가스 고체 혼합물 내의 고체의 속도를 상기 입구에 있어서의 가스 고체 혼합물의 속도와 동일하게 하고, 가스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확장부의 확장하는 공간에 의해 가스 고체 혼합물 내의 고체의 적어도 일부분으로부터 분리되는
    운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부에 있어서, 상기 가스의 적어도 일부분의 속도가 상기 출구를 향해서 증가되어, 고체 분말과 재혼합시켜서 고체 분말을 운반하고, 상기 보충 가스 관로는 상기 수축부 내에 보충 가스를 도입해서 고체 분말과의 재혼합을 위해 가스의 속도를 더욱 증가시키는
    운반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관로의 종축선은 수평방향에 대하여 70° 내지 90°의 범위의 각도를 갖는
    운반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 상기 수축부 및 상기 중간부는 서로에 일체형인
    운반 장치.
  7. 고체 분말의 공기식 운반을 위한 운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운반 시스템이,
    상기 고체 분말을 받아들이도록 구성된 저장 탱크와,
    상기 저장 탱크와 유체 연통되고, 고체 분말에 캐리어 가스를 도입하여 가스 고체 혼합물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캐리어 가스 관로와,
    상기 저장 탱크의 하류에 또한 상기 저장 탱크와 유체 연통해서 배치된 운반 관로와,
    상기 운반 관로와 유체 연통된 보충 가스 관로를 구비하며,
    상기 운반 관로가,
    입구를 형성하는 확장부와,
    출구를 형성하는 수축부와,
    상기 확장부와 상기 수축부 사이에 이들과 유체 연통되어 배치된 중간부를 포함하는
    운반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상기 입구에 있어서의 상기 가스 고체 혼합물 내의 가스의 속도를 감소시키는 한편, 상기 가스 고체 혼합물 내의 고체의 속도를 상기 입구에 있어서의 가스 고체 혼합물의 속도와 동일하게 하고, 가스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확장부의 확대하는 공간에 의해 가스 고체 혼합물 내의 고체의 적어도 일부분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수축부에 있어서, 상기 가스의 적어도 일부분의 속도가 상기 출구를 향해서 증가되어, 고체 분말과 재혼합시켜서 고체 분말을 운반하고, 상기 보충 가스 관로는 상기 수축부 내에 보충 가스를 도입해서 고체 분말과의 재혼합을 위해 가스의 속도를 더욱 증가시키는
    운반 시스템.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직경은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의 방향을 따라서 증가하며, 상기 수축부의 직경은 상기 입구로부터 상기 출구의 방향을 따라서 감소하는
    운반 시스템.
  10.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 가스 관로는 상기 중간부에 배치되며, 상기 보충 가스 관로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운반 시스템 내에 배치되고 상기 운반 관로의 출구를 향해 연장되는
    운반 시스템.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충 가스 관로는 상기 운반 관로 내로 연장되며 또한 상기 수축부 내에 배치된 출구를 형성하는
    운반 시스템.
  12.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입구를 통해 상기 저장 탱크 및 운반 관로 사이에 또한 상기 저장 탱크 및 운반 관로와 유체 연통되어 배치된 제 1 공급 관로를 더 포함하는
    운반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축부의 출구를 통해 상기 운반 관로의 하류에 또한 상기 운반 관로와 유체 연통되어 배치된 제 2 공급 관로를 더 포함하는
    운반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의 적어도 일 섹션의 직경은 상기 제 1 공급 관로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수축부의 적어도 일 섹션의 직경은 상기 제 2 공급 관로의 직경보다 큰
    운반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공급 관로와 상기 운반 관로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직립상태로 배치되는
    운반 시스템.
  16.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원하는 입도 분포를 갖는 고체 분말을 상기 저장 탱크 내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공급기(feeder)를 더 구비하는
    운반 시스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20063033A 2011-06-14 2012-06-13 운반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866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10158617.2 2011-06-14
CN2011101586172A CN102827643A (zh) 2011-06-14 2011-06-14 输送装置、系统及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328A KR20130000328A (ko) 2013-01-02
KR101866570B1 true KR101866570B1 (ko) 2018-07-04

Family

ID=47330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033A KR101866570B1 (ko) 2011-06-14 2012-06-13 운반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15320B2 (ko)
JP (1) JP6006993B2 (ko)
KR (1) KR101866570B1 (ko)
CN (1) CN102827643A (ko)
AU (1) AU2012203484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59499B1 (de) * 2013-01-25 2016-08-24 Uhde Inventa-Fischer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Förderung von Granulat
CN108120682B (zh) * 2017-12-21 2020-04-14 重庆晓微城企业孵化器有限公司 一种电机换向器自动化视觉检测系统用上料装置
WO2020148456A1 (en) * 2019-01-18 2020-07-23 Tricoya Technologies Ltd A system and a method for transferring solid particles from a first environment at a first gas pressure to a second environment at a second gas press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2238A (ja) * 2003-12-01 2005-06-23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微小バイオマスの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691A (en) * 1887-08-23 Device for elevating water
US2326438A (en) * 1940-12-20 1943-08-10 Clement S Clarke Method of treating hydrocarbons
US3490654A (en) * 1968-01-22 1970-01-20 Harry C Fischer Controlled volume systems for pneumatic discharge of powdered and granular materials and the like
US4155682A (en) * 1975-10-10 1979-05-22 Hillis Franklin R Propulsive device
JPS5333189U (ko) * 1976-08-30 1978-03-23
US4451184A (en) * 1981-06-12 1984-05-29 Chevron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feeding pulverized hydrocarbonaceous solids into a high pressure reactor
JPS58131223A (ja) * 1982-02-01 1983-08-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ドロツプハンマ
US4420279A (en) * 1982-02-22 1983-12-13 Reactor Services International, Inc. Pressure impulse dense phase conveying apparatus and method
JPS58131223U (ja) * 1982-02-27 1983-09-05 関野工業株式会社 粉粒体の空気輸送装置
JPS58216827A (ja) * 1982-06-09 1983-12-16 Nissan Motor Co Ltd 空気コンベヤ
JPS6030902A (ja) 1983-07-29 1985-02-16 Babcock Hitachi Kk 微粉炭燃焼装置
DE3823046C1 (ko) * 1988-07-07 1989-07-20 Erwin 3500 Kassel De Schulze
US5284405A (en) * 1990-07-13 1994-02-08 Systech Environment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jecting sludge into a kiln
DE4223924A1 (de) * 1992-07-21 1994-01-27 Erwin Schulze Vorrichtung zur Beschleunigung des Transports von durch ein Medium, z. B. Luft in einer Rohrleitung geförderten Schüttgütern, z. B. Flugasche
JP3867176B2 (ja) * 1996-09-24 2007-01-10 アール・アイ・ディー株式会社 粉体質量流量測定装置、およびこれを適用した静電粉体塗装装置
CA2544002C (en) * 2003-10-30 2012-07-24 Cytonome, Inc. Multilayer hydrodynamic sheath flow structure
US7883556B1 (en) 2006-11-17 2011-02-08 Reginald Wintrell Dual fuel slagging gasifier
US8377387B2 (en) * 2010-06-23 2013-02-19 General Electric Company Fluidization device for solid fuel part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2238A (ja) * 2003-12-01 2005-06-23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微小バイオマスの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27643A (zh) 2012-12-19
AU2012203484B2 (en) 2017-03-02
AU2012203484A1 (en) 2013-01-10
KR20130000328A (ko) 2013-01-02
JP6006993B2 (ja) 2016-10-12
AU2012203484C1 (en) 2017-07-06
US9115320B2 (en) 2015-08-25
JP2013001571A (ja) 2013-01-07
US20120321396A1 (en)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0140625A (ru) Система непрерывной подачи топлива в реактор для газификации угля
US8985912B2 (en) Back mixing device for pneumatic conveying systems
KR101866570B1 (ko) 운반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02417111A (zh) 输送系统及方法
KR101925148B1 (ko) 고체 입자를 공기압으로 반송하기 위한 공급 용기 및 시스템
US20110076116A1 (en) Solid fuel conveyance and injection system for a gasifier
KR101846551B1 (ko) 고체 분말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U2005254306B2 (en) Pneumatic conveying device for bulk material
CN105647589A (zh) 输送装置、系统及方法
US201102776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homogenizing the delivery of fuels in a gasifier for generating syngas
JPS61184325A (ja) ボイラ給炭系における給炭方法
JP2013151577A (ja) 固体粉末を加工処理するシステムと方法
KR20140040820A (ko) 더스트 이송 라인 내 제어 가능한 스로틀 지점을 이용한 더스트의 균일한 공급
JPH0522813B2 (ko)
JP2017518941A (ja) 気送管路を通してバルク材料を供給する方法及び装置
JPS61175410A (ja) ボイラへの給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