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6251B1 -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251B1
KR101866251B1 KR1020160003799A KR20160003799A KR101866251B1 KR 101866251 B1 KR101866251 B1 KR 101866251B1 KR 1020160003799 A KR1020160003799 A KR 1020160003799A KR 20160003799 A KR20160003799 A KR 20160003799A KR 101866251 B1 KR101866251 B1 KR 101866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ut
outlet
container
circumferential surface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4582A (ko
Inventor
변종락
최재민
Original Assignee
삼화왕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화왕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화왕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3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251B1/ko
Publication of KR20170084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4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oppet valves or lift valves, i.e. valves opening or closing a passageway by a relative mo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12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by destroying, in the act of opening the container, an integral por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2101/00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25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25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t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2547/063Details of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는 용기의 주둥이에 결합되기 위한 측면부, 상기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1 유출구가 형성되는 천장부, 스파우트 고정부; 및 상기 스파우트 고정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유출구와 유체적으로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밀폐링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스파우트 고정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부; 상기 관통공과 유체적으로 연통되는 제2 유출구; 상기 승강부와 일체로 승강하여, 상기 밀폐링과 접하면 상기 관통공을 폐쇄시켜 상기 제1 유출구와 상기 제2 유출구를 서로 유체적으로 차단시키고, 상기 밀폐링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관통공을 개방시켜 상기 제1 유출구와 상기 제2 유출구를 서로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스파우트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A SEALING DEVICE FOR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음료 용기의 입구를 밀폐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 용기에는 용기 주둥이에 뚜껑이 결합됨으로써 용기 내부에 담긴 음료가 밀봉되어 보관될 수 있고, 또한 뚜껑이 주둥이로부터 분리되면 사용자는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음료 용기의 뚜껑은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음료 용기에 결합 및 결합 해제되기 때문에,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모두 마시지 않고 남겨둔 상태에서 필요시에 조금씩 마시고자 할 경우 마실 때마다 뚜껑을 돌려서 열고 닫아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용기 입구를 간편하게 밀폐 및 개방시킬 수 있는 원터치형 뚜껑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원터치형 뚜껑이 부착된 용기의 경우 사용자는 원터치형 뚜껑을 입 안에 넣은 상태에서 빨아들이는 방법으로 내용물을 섭취하게 된다. 이때 음료 가 용기로부터 빠져나오는 유출구를 제외하고는 용기가 밀폐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음료를 흡입할수록 용기 내부의 압력이 낮아져서 사용자가 음료를 원활하게 빨아들일 수 없고, 이에 따라 뚜껑을 입 밖으로 뺐다가 다시 넣은 후에 흡입하는 과정을 반복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음료 용기의 입구를 밀폐 및 개방시킬 수 있는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을 빨아들일 때 외부 공기가 용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어 연속적으로 내용물의 섭취가 가능한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용기의 주둥이에 결합되기 위한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1 유출구가 형성되는 천장부; 상기 천장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스파우트 고정부; 및 상기 스파우트 고정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유출구와 유체적으로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밀폐링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스파우트 고정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관통공과 유체적으로 연통되는 제2 유출구; 상기 승강부와 일체로 승강하여, 상기 밀폐링과 접하면 상기 관통공을 폐쇄시켜 상기 제1 유출구와 상기 제2 유출구를 서로 유체적으로 차단시키고, 상기 밀폐링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관통공을 개방시켜 상기 제1 유출구와 상기 제2 유출구를 서로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는 밀폐부; 및 상기 관통공과 상기 제2 유출구를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는 유출통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밀폐부를 상기 승강부에 고정시키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스파우트 부재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부는, 내측벽; 상기 내측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내측벽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측벽과의 사이에 상기 스파우트 고정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외측벽; 및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부는, 상기 밀폐링의 내주면과 접하는 측면접촉부; 및 상기 밀폐링의 상면에 접하는 상면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링은 반경방향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우트 고정부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감속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속리브의 두께는 상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벽의 내주면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감속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속리브의 두께는 상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스파우트 부재를 덮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스파우트 고정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캡 부재가 고정되는 본체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 부재는, 절취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하단에 결합되고, 내주면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회전방지돌기 및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링이 형성되는 위조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위조방지부가 고정되며,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걸리는 복수의 회전방지리브 및 상기 걸림링이 걸리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위조방지부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 고정부에 고정된 캡 부재가 상승시 상기 걸림링이 상기 걸림홈에 걸림으로써 상기 위조방지부의 상승이 제한되고, 상기 캡 부재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면 상기 복수의 회전방지돌기는 상기 복수의 회전방지리브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회전시 상기 복수의 회전방지돌기가 상기 복수의 회전방지리브에 걸림으로써 상기 위조방지부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회전방지돌기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고정부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인입되는 배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우트 고정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인입되어 형성되는 벤트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우트 고정부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멈춤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의 내주면에는 상기 멈춤돌기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저면에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단돌기가 상기 연결부의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벽의 내주면 및 상기 내측벽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인입되어 형성되는 벤트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파우트 부재를 승강시킴에 따라 밀폐부가 밀폐링과 접하면 관통공이 폐쇄되어 제1 유출구와 제2 유출구가 서로 유체적으로 차단되고, 밀폐부가 밀폐링으로부터 이격되면 관통공이 개방되어 제1 유출구와 제2 유출구가 서로 유체적으로 연통됨으로써, 간단한 방식으로 음료 용기의 입구를 밀폐 및 개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밀폐부가, 밀폐링의 내주면과 접하는 측면접촉부 및 밀폐링의 상면에 접하는 상면접촉부를 포함함으로써 내용물이 용기로부터 유출되는 유출 경로의 최상류에 위치하는 밀폐구조의 밀폐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밀폐링은 반경방향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짐으로써, 밀폐링의 상부에 남은 내용물이 다시 관통공을 통해 용기 내부로 원활하게 되돌아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파우트 고정부의 외주면 또는 스파우트 부재의 외측벽의 내주면에 감속리브가 형성됨으로써 스파우트 부재의 조작감이 향상되고, 스파우트 부재의 조작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감속리브의 두께가 상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짐으로써 스파우트 부재가 상승할수록 감속리브에 의한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스파우트 부재를 부드럽게 인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캡 부재에 위조방지부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위조 또는 오염 여부를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방지돌기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짐으로써 각각의 회전방지돌기가 회전방지리브 사이에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 고정부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인입되는 배출홈이 형성됨으로써 캡 부재를 원활하게 베이스 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파우트 고정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벤트홈이 형성됨으로써, 내용물이 용기로부터 끊기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파우트 고정부의 외주면에는 멈춤돌기가 형성되고, 외측벽의 내주면에는 멈춤돌기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됨으로써, 스파우트 부재가 베이스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부의 저면에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단돌기가 연결부의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됨으로써 스파우트 부재와 스파우트 고정부 사이의 밀폐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측벽의 내주면 및 내측벽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벤트홈이 형성됨으로써, 내용물이 용기로부터 끊기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밀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의 베이스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의 베이스 부재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의 스파우트 부재를 축을 따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의 캡 부재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밀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의 베이스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베이스 부재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의 스파우트 부재를 축을 따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의 캡 부재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는 물, 주스, 탄산음료와 같은 다양한 액체 형태의 내용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400)의 주둥이(410)에 결합되어 용기(400)를 선택적으로 폐쇄 및 개방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장치는 베이스 부재(100), 스파우트 부재(200), 캡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00)는 용기(400)의 주둥이(410)에 결합되고, 스파우트 부재(200)는 베이스 부재(10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캡 부재(300)는 스파우트 부재(2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스파우트 부재(200)를 씌우도록 베이스 부재(100)에 결합된다.
베이스 부재(100)는 측면부(120), 천장부(110), 스파우트 고정부(140), 밀폐링(150), 본체 고정부(160), 위조방지부 고정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천장부(110)는 평면 형상이 링 형상이며, 중심부에는 용기(400)에 저장된 내용물이 유출되는 유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베이스 부재(100)에 형성되는 유출구(112)를 제1 유출구로 칭한다. 측면부(12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이며, 천장부(110)의 하측에 천장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00)를 용기(400)의 주둥이(410)에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하여 측면부(120)의 내주면에는 용기(400)의 주둥이(4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420)에 대응되는 구조의 나사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천장부(110)의 저면에는 내측링(113) 및 외측링(114)이 천장부(1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00)가 용기(400)의 주둥이(410)에 결합되면 내측링(113) 및 외측링(114)은 각각 주둥이(410)의 내주면 및 외주면에 밀착되어 베이스 부재(100)와 주둥이(410)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밀폐시킬 수 있다.
측면부(120)의 하단에는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가 용기(400)에 결합된 이후 다시 용기(400)로부터 분리된 적이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위한 위조방지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측면부(120)와 위조방지부(130) 사이에는 절취부(134)가 형성될 수 있고, 위조방지부(130)의 내주면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00)가 용기(40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위조방지부(130)는 절취부(134)에 의해 베이스 부재(100)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베이스 부재(100)를 조작하여 용기(400)로부터 분리시키면 걸림부(132)가 용기(400)의 주둥이(410)에 걸림으로써 절취부(134)가 파손되면서 위조방지부(130)는 측면부(120)로부터 절취되어 분리될 수 있다. 그 결과, 베이스 부재(100)는 용기(400)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위조방지부(130)는 용기(400)에 남아있게 된다.
본체 고정부(160)는 캡 부재(300)를 베이스 부재(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체 고정부(160)의 설명에 앞서 캡 부재(300)에 대해 설명하면, 캡 부재(300)는 베이스 부재(100)에 고정되어 스파우트 부재(200)를 덮기 위한 것이다. 캡 부재(300)는 본체(310) 및 위조방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10)는 전체적으로 뒤집어진 컵 형상이며, 스파우트 부재(200)를 씌울 수 있는 구조이다. 캡 부재(300)의 본체(310)는 돔 형상, 천장이 구비된 원통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본체(310)의 형상에 따라 캡 부재(300)가 베이스 부재(100)에 결합되면 스파우트 부재(200)는 캡 부재(300)에 의해 외부로부터 격리될 수 있다. 다만, 본체(310)에 관통부가 형성되는 경우, 스파우트 부재(200)는 이 관통부를 통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캡 부재(300)의 위조방지부(320)는 본체(31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캡 부재(300)의 위조방지부(320)는 캡 부재(300)가 베이스 부재(100)에 결합된 이후 베이스 부재(100)로부터 분리된 적이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본체(310)와 위조방지부(320) 사이에는 절취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위조방지부(320)의 내주면에는 후술할 베이스 부재(100)의 회전방지리브(172)에 걸리는 회전방지돌기(322)가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캡 부재(300)를 베이스 부재(100)에 결합시킬 때 회전방지돌기(322)가 회전방지리브(172)들 사이에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회전방지돌기(322)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쐐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회전방지돌기(322)의 상부에는 위조방지부(320)가 베이스 부재(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링(324)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링(324)은 위조방지부(320)의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체 고정부(160)는 천장부(110)의 상측에 천장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캡 부재(300)는 본체 고정부(160)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데, 캡 부재(300)를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본체 고정부(160)의 적어도 일부에는 그 직경이 캡 부재(300)의 내경과 같거나 조금 더 큰 대경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대경부(162)가 형성되면 캡 부재(300)가 본체 고정부(16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캡 부재(300)를 베이스 부재(100)의 상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캡 부재(300)를 눌러서 본체 고정부(160)에 고정시킬 수 있는데, 이때 캡 부재(300) 내부의 공기가 압축되면서 본체 고정부(160)가 캡 부재(300)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이 되지 않거나, 삽입이 되더라도 공기의 압력에 의해 다시 캡 부재(300)의 외부로 빠질 수 있다. 캡 부재(300)를 베이스 부재(100)에 결합시 캡 부재(300) 내부의 압축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본체 고정부(160)에는 배출홈(164)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홈(164)은 본체 고정부(16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홈(164)은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둘 이상 형성되는 경우 본체 고정부(160)의 둘레를 따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배출홈(164)이 형성되면 사용자가 캡 부재(300)를 눌러서 본체 고정부(160)에 고정시킬 때 캡 부재(300) 내부의 공기가 배출홈(164)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캡 부재(300)를 본체 고정부(160)에 원활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베이스 부재(100)에는 캡 부재(300)의 위조방지부(3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조방지부 고정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위조방지부 고정부(170)는 본체 고정부(16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위조방지부 고정부(170)는 캡 부재(300)의 위조방지부(32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캡 부재(300)의 본체(310)의 직경보다 위조방지부(320)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본체 고정부(160)의 직경보다 위조방지부 고정부(170)의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위조방지부 고정부(170)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회전방지리브(172)가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회전방지리브(172)는 위조방지부 고정부(170)의 둘레를 따라 이격하여 배치된다. 캡 부재(300)가 본체 고정부(160)에 고정되면, 캡 부재(300)의 회전방지돌기(322)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각각의 회전방지리브(172)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위조방지부 고정부(170)에는 걸림홈(174)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74)은 캡 부재(300)의 걸림링(324)이 삽입되어 걸리는 부분이다. 걸림홈(174)은 회전방지리브(17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걸림홈(174)은 위조방지부 고정부(17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인입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위조방지부 고정부(170)의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캡 부재(300)가 베이스 부재(100)에 결합되면 캡 부재(300)의 걸림링(324)이 베이스 부재(100)의 걸림홈(174)에 삽입되고, 이후 캡 부재(300)가 상측으로 당겨지더라도 걸림링(324)이 걸림홈(174)에 걸려 있기 때문에 캡 부재(300)가 베이스 부재(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캡 부재(300)가 베이스 부재(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캡 부재(300)를 베이스 부재(10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때 캡 부재(300)의 축을 중심으로 비틀어서 캡 부재(300)를 분리시킬 수 있는데, 이때, 캡 부재(300)의 회전방지돌기(322)가 베이스 부재(100)의 회전방지리브(172)에 걸림으로써 위조방지부(320)는 회전하지 않고 본체(310)만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절취부(330)가 파손되면서 위조방지부(320)는 본체(310)로부터 분리되어 베이스 부재(100)에 남게 되고 본체(310)는 베이스 부재(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 부재(300)가 베이스 부재(100)에 결합된 후 한 번이라도 분리되면 본체(310)와 위조방지부(320)가 분리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기(400)에 저장된 내용물의 위조 또는 오염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스파우트 고정부(140)는 스파우트 부재(200)를 베이스 부재(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스파우트 고정부(140)는 본체 고정부(16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본체 고정부(160)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 고정부(160)와 스파우트 고정부(140)는 동심원 구조일 수 있다. 스파우트 고정부(14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상일 수 있으며, 천장부(110)의 상측에 천장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멈춤돌기(142)가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멈춤돌기(142)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다른 부분보다 큰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스파우트 부재(200)가 멈춤돌기(142)에 걸림으로써 스파우트 부재(200)가 스파우트 고정부(140)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밀폐링(150)은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내측에 배치되며 중심부에 관통공(152)이 형성되는 링 형상일 수 있다. 밀폐링(150)은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내주면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밀폐링(150)은 후술할 스파우트 부재(200)의 밀폐부(250)가 접촉되는 부위이다. 밀폐링(150)은 베이스 부재(100)의 제1 유출구(112)와 후술할 스파우트 부재(200)의 유출구(240)를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는 관문 역할을 한다. 용기(400)에 저장된 내용물은 제1 유출구(112)를 통해 유출된 후 밀폐링(150)의 관통공(152)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스파우트 부재(200)의 유출구(240)를 통해 용기(40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밀폐링(150)의 상부에 남은 내용물이 다시 관통공(152)를 통해 용기(400) 내부로 원활하게 되돌아갈 수 있도록 밀폐링(150)은 반경방향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스파우트 부재(200)는 베이스 부재(100)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밀폐링(150)의 관통공(152)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고, 베이스 부재(100)의 제1 유출구(112)를 통해 유출되는 내용물을 본 실시예의 밀폐 장치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스파우트 부재(200)는 승강부(202), 지지부(260), 밀폐부(250), 유출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스파우트 부재(200)의 유출구(240)를 제2 유출구라 칭한다. 밀폐부(250)는 승강부(202)와 일체로 승강하여 밀폐링(150)의 관통공(152)을 개폐시킨다. 지지부(260)는 관통공(152)과 제2 유출구(240)를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는 유출통로(270)를 형성하면서 밀폐부(250)를 승강부(202)에 고정시킨다.
승강부(202)는 스파우트 고정부(14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부(202)는 스파우트 부재(200)를 스파우트 고정부(14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2 유출구(240)는 승강부(202)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며, 밀폐링(150)의 관통공(152)과 유체적으로 연통된다.
승강부(202)는 외측벽(210), 내측벽(220), 연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벽(210) 및 내측벽(220)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일 수 있다. 외측벽(210)은 내측벽(220)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외측벽(210)과 내측벽(220)은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외측벽(210)의 상단과 내측벽(220)의 상단은 연결부(23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며, 외측벽(210)과 내측벽(220) 사이에는 삽입홈(280)이 형성된다. 삽입홈(280)에는 스파우트 고정부(140)가 삽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파우트 부재(200)는 스파우트 고정부(140)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외측벽(210)의 내주면에는 스파우트 고정부(140)에 대한 스파우트 부재(200)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212)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212)은 외측벽(210)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파우트 고정부(140)가 스파우트 부재(200)의 삽입홈(280)에 삽입되어 스파우트 부재(200)가 스파우트 고정부(140)에 결합된 후 스파우트 부재(200)를 상승시키면 스파우트 부재(200)의 걸림턱(212)이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멈춤돌기(142)에 걸릴 때까지 상승하다가 걸림턱(212)이 멈춤돌기(142)에 걸린 후에는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베이스 부재(100)로부터 스파우트 부재(200)를 뽑아내더라도 스파우트 부재(200)는 소정 높이만큼 이동한 후에는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베이스 부재(100)로부터 분리되지도 않는다.
외측벽(210)의 상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222)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222)는 사용자가 스파우트 부재(200)를 베이스 부재(100)로부터 쉽게 잡아당길 수 있도록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조이다. 사용자는 플랜지(222)를 손으로 잡거나 입으로 문 상태에서 스파우트 부재(200)를 잡아당김으로써 쉽게 스파우트 부재(200)를 베이스 부재(100)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신체가 플랜지(222)에 의해 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랜지(222)의 수직 단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외주면에는 감속리브(144)가 형성될 수 있다. 감속리브(144)는 사용자가 스파우트 부재(200)를 인출시킬 때 스파우트 부재(200)가 베이스 부재(100)로부터 너무 빠른 속도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장치가 적용되는 용기(400)는 스포츠 음료나 어린이 음료를 저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음료의 특성상, 사용자는 입을 이용하여 스파우트 부재(200)를 인출시키는 일이 빈번할 수 있는데, 스파우트 부재(200)가 너무 빠른 속도로 인출되다가 걸림턱(212)이 멈춤돌기(142)에 걸리면 스파우트 부재(200)가 더 이상 인출되지 않게 되고, 이때 사용자의 입이나 손에 충격이 전달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치아나 손이 상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스파우트 부재(200)가 너무 빠른 속도로 베이스 부재(100)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감속리브(144)는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감속리브(144)가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둘레를 따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감속리브(144)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측으로 갈수록 많이 돌출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외주면을 기준으로 한 감속리브(144)의 두께가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상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질 수 있다. 감속리브(144)의 두께가 상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지기 때문에, 스파우트 부재(200)가 상승할수록 감속리브(144)에 의한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스파우트 부재(200)를 부드럽게 인출시킬 수 있으며, 걸림턱(212)이 멈춤돌기(142)에 걸리더라도 충격이 발생하지 않는다.
스파우트 부재(200)의 외측벽(210)의 내주면에도 감속리브(214)가 형성될 수 있다. 스파우트 부재(200)의 외측벽(2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감속리브(214)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질 수 있다. 스파우트 부재(200)에 형성되는 감속리브(214)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감속리브(214)는 각각 외측벽(210)의 둘레를 따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파우트 부재(200)를 베이스 부재(100) 측으로 밀어넣을 때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멈춤돌기(142)가 외측벽(210)의 감속리브(214)에 접하게 되고, 이때 스파우트 부재(200)가 하강할수록 멈춤돌기(142)가 접하는 부분의 감속리브(214)의 두께가 두꺼워짐으로써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스파우트 부재(200)를 부드럽게 베이스 부재(100) 측으로 밀어넣을 수 있다.
스파우트 부재(200)의 제2 유출구(240)는 내측벽(220)으로 둘러싸인 공간일 수 있다. 제2 유출구(240)는 용기(400)에 저장된 내용물이 용기(400) 외부로 유출되는 통로이다. 밀폐부(250)는 지지부(260)에 의해 내측벽(220)에 일체로 형성된다. 내측벽(220)과 밀폐부(250) 사이에는 유출통로(270)가 형성된다. 관통공(152)과 제2 유출구(240)는 유출통로(270)를 통해 유체적으로 연통된다. 이에 따라, 제1 유출구(112), 관통공(152), 유출통로(270), 제2 유출구(240)는 유체적으로 연통된다. 따라서, 제1 유출구(112)를 통해 유출된 내용물은 유출통로(270)를 거쳐 제2 유출구(240)로 유동할 수 있다. 유출통로(270)와 제2 유출구(240)가 유체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지지부(260)는 내측벽(220)의 내측 공간을 꽉 채우지 않는 구조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260)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플레이트 구조이나, 지지부(260)는 내측벽(220)과 밀폐부(250) 사이에 형성되는 유출통로(270)를 제2 유출구(240)와 연통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 가능하다.
밀폐부(250)는 베이스 부재(100)의 관통공(152)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켜 베이스 부재(100)의 제1 유출구(112)와 스파우트 부재(200)의 제2 유출구(240)를 선택적으로 연통 및 차단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우트 부재(200)가 하강하여 밀폐부(250)가 밀폐링(150)에 접하면 밀폐링(150)의 관통공(152)이 폐쇄됨으로써 제1 유출구(112)와 제2 유출구(240)는 서로 유체적으로 차단된다. 반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우트 부재(200)가 상승하여 밀폐부(250)가 밀폐링(150)으로부터 이격되면 밀폐링(150)의 관통공(152)이 개방됨으로써 제1 유출구(112)와 제2 유출구(240)는 서로 유체적으로 연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내용물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스파우트 부재(200)를 인출시켜서 밀폐부(250)를 밀폐링(150)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스파우트 부재(200)를 입에 넣어서 내용물을 빨아들이거나 스파우트 부재(200)를 입에 넣지 않고도 용기(400)를 가압하여 내용물을 용기(400) 외부로 배출시켜 마실 수 있다. 내용물의 섭취가 끝난 후에는, 사용자는 다시 스파우트 부재(200)를 베이스 부재(100) 측으로 밀어 넣어 밀폐부(250)를 밀폐링(150)에 밀착시킴으로써 용기(400)를 밀폐시킬 수 있다. 밀폐부(250)가 밀폐링(150)에 접촉되면 사용자가 스파우트 부재(200)를 통해 내용물을 빨아들이거나 용기(400)를 가압하더라도 내용물이 용기(400)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며, 용기(400)가 쓰러지거나 뒤집히더라도 내용물이 용기(400)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밀폐부(250)와 밀폐링(150)의 접촉 구조는 내용물이 용기(400)로부터 유출되는 유출 경로의 최상류에 위치하는 밀폐구조이다. 따라서, 밀폐부(250)와 밀폐링(150)은 긴밀하게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능한 한 접촉면적이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부(250)는 밀폐링(150)의 관통공(152)에 삽입되어 밀폐링(150)의 내주면과 접하는 측면접촉부(252)와, 밀폐링(150)의 상면에 접하는 상면접촉부(254)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접촉부(252)가 밀폐링(150)의 내주면과 접하여 1차적으로 내용물의 유출을 차단하고, 상면접촉부(254)가 밀폐링(150)의 상면과 접하여 2차적으로 내용물의 유출을 차단함으로써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측면접촉부(252)와 상면접촉부(254) 중 어느 하나만 밀폐부(25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상단과 스파우트 부재(200)의 연결부(230)의 저면 사이로 내용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부(230)의 저면에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단돌기(2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단돌기(224)는 연결부(230)의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단돌기(224)가 형성됨으로써 연결부(230)의 저면과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상단 사이의 접촉 압력이 상승함으로써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용기(400)에 저장된 내용물이 제2 유출구(240)를 통해 유출될수록 용기(400) 내부의 압력은 낮아진다. 이에 따라, 용기(400)에 저장된 내용물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고, 사용자의 입술이나 혀가 스파우트 부재(200)의 제2 유출구(240)에 들러붙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파우트 고정부(140)에는 벤트홈(146)이 형성될 수 있다. 벤트홈(146)은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내주면 및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거나 양측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벤트홈(146)이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외주면에 형성될 경우, 벤트홈(146)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인입되어 형성되고, 벤트홈(146)이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내주면에 형성될 경우 벤트홈(146)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벤트홈(146)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단은 플랜지(222)에 위치할 수 있다. 벤트홈(146)은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벤트홈(146)은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둘레를 따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벤트홈(146)은 스파우트 부재(200)의 외측벽(210)과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외주면 사이로부터 스파우트 부재(200)의 내측벽(220)과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내주면 사이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통로이다.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외주면 및/또는 내주면에 벤트홈(146)이 형성되면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외주면 및 내주면이 각각 스파우트 부재(200)의 외측벽(210) 및 내측벽(220)과 긴밀하게 접하고 있더라도 벤트홈(146)을 통해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내측 공간으로 외기가 유입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용기(400)에 저장된 내용물이 유출되더라도 용기(400) 내부의 압력이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기(400)에 저장된 내용물을 섭취시에 내용물이 용기(400)로부터 끊기지 않고 지속적으로 유출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벤트홈(146)은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내주면 및 외주면 대신 이와 접하는 스파우트 부재(200)의 내측벽(220)의 외주면 및 외측벽(21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벤트홈(146)은 스파우트 고정부(140)와 외측벽(210) 및 외측벽(210)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벤트홈(146)이 스파우트 고정부(140)가 아닌 이와 접하는 구조물에 형성되더라도 외기를 용기(400)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400)의 운반이나 보관시에는 스파우트 부재(200)는 스파우트 고정부(140)에 인입되고, 캡 부재(300)의 본체(310) 및 위조방지부(320)는 각각 본체 고정부(160) 및 위조방지부 고정부(170)에 결합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밀폐링(150)의 관통공(152)이 밀폐부(250)에 의해 밀폐된 상태이기 때문에 용기(400)가 밀폐되어 용기(400)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400)에 저장된 내용물을 섭취하고자 할 경우, 본체(310)를 베이스 부재(10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본체(310)를 잡고 축을 중심으로 비틀어서 본체(310)를 베이스 부재(1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위조방지부(320)는 베이스 부재(10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위조방지부 고정부(170)에 결합된 상태로 남아있는다.
캡 부재(300)의 본체(310)가 베이스 부재(100)로부터 분리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스파우트 부재(200)를 손으로 잡거나 입으로 물어서 스파우트 부재(200)를 인출시킨다. 이때,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감속리브(144) 및 스파우트 부재(200)의 외측벽(210)의 내주면에 형성된 감속리브(214)에 의해 스파우트 부재(200)의 인출 속도가 제한됨으로써 스파우트 부재(200)가 부드럽게 인출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우트 부재(200)가 완전히 인출되면 사용자는 스파우트 부재(200)를 입에 문 상태에서 내용물을 빨아들이거나 용기(400)를 가압하여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다. 이때, 용기(400)에 저장된 내용물은 밀폐링(150)의 관통공(152)을 거쳐 제2 유출구(240)를 통해 용기(400) 외부로 배출된다. 도 9에 내용물의 배출 경로가 실선 화살표로 표시된다. 한편, 용기(400) 외부의 공기는 스파우트 부재(200)의 외측벽(210)의 내주면과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외주면 사이,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내주면과 스파우트 부재(200)의 내측벽(220)의 외주면 사이, 밀폐링(150)의 관통공(15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용기(4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9에 외기의 유입 경로가 점선 화살표로 표시된다. 이때, 스파우트 고정부(140)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각각 형성되는 벤트홈(146)을 통해 외기가 원활하게 용기(4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내용물의 섭취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내용물을 섭취할 때와 역순으로, 스파우트 부재(200)를 밀어 넣은 후 캡 부재(300)의 본체(310)를 베이스 부재(100)에 고정시켜서 용기(400)를 다시 밀폐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 부재 110: 천장부
112: 유출구 120: 측면부
130: 위조방지부 140: 스파우트 고정부
150: 밀폐링 160: 본체 고정부
170: 위조방지부 고정부 200: 스파우트 부재
210: 외측벽 220: 내측벽
230: 연결부 240: 유출구
250: 밀폐부 260: 지지부
270: 유출통로 300: 캡 부재
310: 본체 320: 위조방지부

Claims (16)

  1. 용기의 주둥이에 결합되기 위한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1 유출구가 형성되는 천장부;
    상기 천장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스파우트 고정부; 및
    상기 스파우트 고정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유출구와 유체적으로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밀폐링
    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스파우트 고정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관통공과 유체적으로 연통되는 제2 유출구;
    상기 승강부와 일체로 승강하여, 상기 밀폐링과 접하면 상기 관통공을 폐쇄시켜 상기 제1 유출구와 상기 제2 유출구를 서로 유체적으로 차단시키고, 상기 밀폐링으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관통공을 개방시켜 상기 제1 유출구와 상기 제2 유출구를 서로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는 밀폐부; 및
    상기 관통공과 상기 제2 유출구를 유체적으로 연통시키는 유출통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밀폐부를 상기 승강부에 고정시키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스파우트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파우트 고정부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감속리브가 형성되는,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내측벽;
    상기 내측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내측벽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측벽과의 사이에 상기 스파우트 고정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외측벽; 및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밀폐링의 내주면과 접하는 측면접촉부; 및
    상기 밀폐링의 상면에 접하는 상면접촉부를 포함하는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링은 반경방향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리브의 두께는 상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의 내주면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감속리브가 형성되는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리브의 두께는 상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스파우트 부재를 덮는 본체를 포함하는 캡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스파우트 고정부의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캡 부재의 본체가 고정되는 본체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캡 부재는,
    절취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하단에 결합되고, 내주면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회전방지돌기 및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링이 형성되는 위조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위조방지부가 고정되며,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걸리는 복수의 회전방지리브 및 상기 걸림링이 걸리는 걸림홈을 포함하는 위조방지부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캡 부재의 상기 본체가 상승시 상기 걸림링이 상기 걸림홈에 걸림으로써 상기 위조방지부의 상승이 제한되고,
    상기 캡 부재의 상기 본체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면 상기 복수의 회전방지돌기는 상기 복수의 회전방지리브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회전시 상기 복수의 회전방지돌기가 상기 복수의 회전방지리브에 걸림으로써 상기 위조방지부의 회전이 제한되는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전방지돌기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고정부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인입되는 배출홈이 형성되는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고정부의 내주면 및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인입되어 형성되는 벤트홈이 형성되는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 고정부의 외주면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멈춤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벽의 내주면에는 상기 멈춤돌기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1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저면에는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단돌기가 상기 연결부의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벽의 내주면 및 상기 내측벽의 외주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인입되어 형성되는 벤트홈이 형성되는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KR1020160003799A 2016-01-12 2016-01-12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KR101866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799A KR101866251B1 (ko) 2016-01-12 2016-01-12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799A KR101866251B1 (ko) 2016-01-12 2016-01-12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582A KR20170084582A (ko) 2017-07-20
KR101866251B1 true KR101866251B1 (ko) 2018-06-12

Family

ID=5944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799A KR101866251B1 (ko) 2016-01-12 2016-01-12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2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757Y1 (ko) * 2000-01-26 2000-06-15 서동린 위조방지용 음료용기 뚜껑
WO2002040367A2 (en) * 2000-11-10 2002-05-23 The Coca-Cola Company Vented closure
KR200384803Y1 (ko) * 2005-02-15 2005-05-19 주식회사 두산 개방이 용이한 용기 뚜껑
US20140224797A1 (en) * 2012-04-11 2014-08-14 Tamm, Inc. Removable Bottle Cap Assembly with Internal Storage Compartment
US9272825B2 (en) * 2011-09-22 2016-03-01 Maitrise & Innovation Anti-drip cap with an elastically returned mobile dispenser cover and two angular 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0019A (ko) * 2007-05-11 2008-11-14 노희권 용기마개
KR101574225B1 (ko) * 2013-10-14 2015-12-03 이용일 음료용기용 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757Y1 (ko) * 2000-01-26 2000-06-15 서동린 위조방지용 음료용기 뚜껑
WO2002040367A2 (en) * 2000-11-10 2002-05-23 The Coca-Cola Company Vented closure
KR200384803Y1 (ko) * 2005-02-15 2005-05-19 주식회사 두산 개방이 용이한 용기 뚜껑
US9272825B2 (en) * 2011-09-22 2016-03-01 Maitrise & Innovation Anti-drip cap with an elastically returned mobile dispenser cover and two angular positions
US20140224797A1 (en) * 2012-04-11 2014-08-14 Tamm, Inc. Removable Bottle Cap Assembly with Internal Storage Compar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4582A (ko)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17207B2 (en) Lid with check valve
US6732882B2 (en) No-spill cover assemly for a drink container
US6079589A (en) Drinking receptacle covers
US8151836B2 (en)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US8967412B2 (en) Drinking cup with lid and flow control element
EP1884482A2 (en) Closure device for drinking vessel
US7823802B1 (en) Extensible straw for a disposable collapsible drink mixing container
JPH06503538A (ja) ボトル水ステーション用のボトルキャップ/弁組立体
RU2279383C2 (ru) Закрываемое выпуск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уска содержащихся в емкости жидких, вязких или пластичных сред
US9932155B2 (en) Devices for controlling fluid outflow from a bottle
GB2413087A (en) Bottle assembly with a vent device
CN209995830U (zh) 兼具防回流和多次密封功能的热饮杯盖
JPH08117119A (ja) 液体容器の栓体
KR101866251B1 (ko) 음료 용기의 밀폐 장치
JP2005512914A (ja) 改良型封鎖システム
KR101574225B1 (ko) 음료용기용 캡
JP2007253948A (ja) プラスチック容器
KR200485864Y1 (ko) 가스 압력 억제기능을 갖는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 방지장치
KR200413867Y1 (ko) 빨대가 내장된 음료용기
CN210708650U (zh) 饮料杯用杯盖
KR200308960Y1 (ko) 음료용기 내부의 진공방지를 위한 마개구조
CN214128041U (zh) 一种烹饪器具
CN218173207U (zh) 一种具备回流功能的五组合拉环盖
KR20000017799A (ko) 내용물 흡·배출용 유출대를 갖고 있는 병뚜껑 및 그병뚜껑의 구조
KR200287574Y1 (ko) 원터치형 위생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