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831B1 - 커피 추출 기구 - Google Patents

커피 추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831B1
KR101865831B1 KR1020160181145A KR20160181145A KR101865831B1 KR 101865831 B1 KR101865831 B1 KR 101865831B1 KR 1020160181145 A KR1020160181145 A KR 1020160181145A KR 20160181145 A KR20160181145 A KR 20160181145A KR 101865831 B1 KR101865831 B1 KR 101865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filter
container
extension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1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60181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8Paper filter inlays therefor to be disposed after use
    • A47J31/085Paper filter inlays therefor to be disposed after use to be used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기구는 상단 컨테이너, 상기 상단 컨테이너의 저면에 구비되는 하단 컨테이너 및 상기 상단 컨테이너와 상기 하단 컨테이너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상단 컨테이너와 상기 하단 컨테이너를 연통시키는 상단연장부 및 하단연장부를 포함하고,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에 커피 분말이 수용되는 추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피 추출 기구{A COFFEE EXTRA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커피 추출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탬핑 시 압력을 균일하게 가하여 커피 맛이 일정하게 추출될 수 있으며,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커피 추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커피를 즐겨 마시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카페 등에서 커피를 마시는 외에 가정에서도 커피를 즐기기 위하여 가정용 커피 추출 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모카포트는 1933년 이탈리아의 비알레띠(Alfonso Bialetti)에 의해서 탄생한 추출기구로서 가정에서 손쉽게 에스프레소(Espresso)를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진 기구이다.
모카포트는 일반적으로 열전도 성능이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며, 물을 가열하여 증기압을 발생시켜 커피 바스켓에 저장된 커피 분말을 적시면서 에스프레소를 추출할 수 있다.
커피 바스켓에 저장된 커피 분말의 경우 탬핑(Tamping) 과정을 거쳐서 다져지게 되는데, 탬핑의 강도에 따라 물이 커피 분말을 투과하는 시간이 다르게 될 수 있다.
즉, 탬핑이 약하게 되면 물이 빨리 투과되어 연한 맛의 에스프레소가 추출되고, 탬핑이 강하게 되면 물이 천천히 투과되어 진한 맛의 에스프레소가 추출될 수 있다. 따라서, 커피 분말에 대한 탬핑 과정은 에스프레소의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작업이 될 수 있다.
탬핑은 일반적으로 선행문헌(대한민국공개특허:제10-2016-0132648호)에 개시된 다짐기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커피 분말의 상부면을 다지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다짐기를 사용하더라도 사용자가 가하는 힘의 세기에 따라 탬핑의 정도가 다르게 되며, 또한, 탬핑이 골고루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추출되는 커피의 맛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0132648호(공개일: 2016.11.2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탬핑 시 압력을 균일하게 가하여 추출되는 커피가 일정한 맛을 유지할 수 있는 커피 추출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단 컨테이너, 상기 상단 컨테이너의 저면에 구비되는 하단 컨테이너 및 상기 상단 컨테이너와 상기 하단 컨테이너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상단 컨테이너와 상기 하단 컨테이너를 연통시키는 상단연장부 및 하단연장부를 포함하고,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에 커피 분말이 수용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 기구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상단연장부 및 상기 하단연장부는 상기 추출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상단연장부의 개구된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일면을 덮으며, 측면에 상기 상단연장부와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는 캡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부는 상기 하단 컨테이너에 삽입되며, 상부면이 개구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하단연장부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삽입되며, 상부면이 개구 형성되고, 저면에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커피 바스켓, 상기 커피 바스켓에 삽입되며, 상부면이 개구 형성되고, 저면에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제1필터, 상기 제1필터에 삽입되며, 상부면이 개구 형성되고, 저면에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제2필터 및 상기 제2필터의 상부면을 덮으며, 상기 상단 컨테이너의 저면에 삽입되며, 상기 상단연장부가 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제2필터는 상기 상단 컨테이너에 결합되고, 상기 제1필터, 상기 커피 바스켓 및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하단 컨테이너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연장부를 통해 상기 커피 바스켓의 저면으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커피 바스켓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며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피 바스켓의 저면과 상기 제1필터의 저면 사이에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에는 커피 분말이 수용되고, 상기 제1필터의 저면과 상기 제2필터의 저면 사이에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용공간에는 종이필터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연장부를 통해 상기 제2필터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제2필터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며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컨테이너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기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단 컨테이너와 하단 컨테이너가 결합됨에 따라 커피 분말이 탬핑될 수 있어 탬핑 압력이 균일하여 일정한 맛의 커피가 추출될 수 있다.
둘째, 추출부에 포함되는 커피 바스켓, 제1필터 및 제2필터의 저면에는 홀이 형성되어 물이 통과하는 속도를 늦추고, 물을 골고루 분산시켜 커피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추출부에 복수 개의 수용공간에는 커피 분말 뿐만 아니라 종이 필터가 수용되어 미세한 커피가루를 여과시킴으로써 미세한 커피가루가 추출된 커피에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뜨거운 물을 이용한 커피 추출뿐만 아니라 차가운 물을 이용한 더치커피(Duch Coffee) 추출도 가능하여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기구의 상단 컨테이너와 하단 컨테이너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기구의 추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기구를 이용하여 뜨거운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기구를 이용하여 차가운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커피 분말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커피 추출 기구에 관한 발명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추출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커피를 추출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기구는 상단 컨테이너(100), 하단 컨테이너(200) 및 추출부(300)를 포함한다.
상단 컨테이너(100)와 하단 컨테이너(200)는 분리가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 컨테이너(100)와 하단 컨테이너(200) 사이에 추출부(300)가 결합될 수 있다.
우선, 상단 컨테이너(100)는 내부에 제1저장공간(10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단 컨테이너(100)의 개구된 상부면을 개폐하는 커버(500)와 손잡이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상단 컨테이너(100)의 저면에는 상단 컨테이너의 둘레로부터 저면을 향해 연장되는 바닥부재(110)가 형성되고, 하단 컨테이너(200)의 상부 둘레에는 상기 바닥부재(110)에 대응되는 상부부재(210)가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재(110)와 상부부재(210)는 회전식으로 조립이 가능하며, 바닥부재(110)와 상부부재(210)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기밀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단 컨테이너(100)가 하단 컨테이너(2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단 컨테이너(100)를 잠그는 잠금장치(450)가 형성될 수 있다. 하단 컨테이너(200)는 상단 컨테이너(100)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에 제2저장공간(200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저장공간(100a)과 제2저장공간(200a)은 각각 상단 컨테이너(100)와 하단 컨테이너(200)의 내부에 형성되며, 뜨거운 커피 또는 차가운 커피 중 어떤 커피를 추출하는지에 따라 물을 수용하거나 추출된 커피를 수용할 수 있다.
하단 컨테이너(200)에는 하단 컨테이너(20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400)가 구비될 수 있다. 압력조절장치(400)는 압력제어밸브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압력조절장치(400)에 대해서는 이후 커피 추출과정에 대한 설명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추출부(300)는 상단 컨테이너(100)와 하단 컨테이너(200) 사이에 구비되며, 상단 컨테이너(100)와 하단 컨테이너(200)를 연통시키는 상단연장부(310) 및 하단연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출부(300)는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의 수용공간(360a,370a,380a)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수용공간(360a,370a,380a) 중 어느 하나에 커피 분말이 수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면, 추출부(300)의 상단연장부(310)는 상단 컨테이너(100)의 제1저장공간(100a)에 삽입되고, 하단연장부(320)는 하단 컨테이너(200)의 제2저장공간(200a)에 삽입되어, 제1저장공간(100a), 추출부(300) 및 제2저장공간(200a)을 연통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또한, 상단연장부(310) 및 하단연장부(320)는 추출부(300)에 착탈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단연장부(310)와 하단연장부(320)가 추출부(300)에 착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추출부(300)에 대한 세척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뜨거운 커피 또는 차가운 커피 중 어떤 커피를 추출하는지에 따라 길이가 다른 상단연장부(310)와 하단연장부(320)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은 이후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기구의 추출부(300)는 하부케이스(350), 커피 바스켓(360), 제1필터(370), 제2필터(380) 및 상부케이스(39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케이스(350)는 하단 컨테이너(200)에 삽입되며, 상부면이 개구 형성되고, 저면에 하단연장부(320)가 결합될 수 있다. 하단연장부(320)는 하부케이스(350)의 내부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커피 바스켓(360)은 하부케이스(350)에 삽입되며, 커피 바스켓(360)의 외측면은 하부케이스(350)의 내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커피 바스켓(360)은 상부면이 개구 형성되고, 저면에 복수개의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커피 바스켓(360)의 저면에 형성된 홀(H)은 물 또는 추출된 커피를 통과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부케이스(350)와 커피 바스켓(360)의 상부 둘레는 각각 지름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커피 바스켓(360)이 하부케이스(350)에 삽입되면 커피 바스켓(360)의 상부 둘레는 하부케이스(350)의 상부 둘레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커피 바스켓(360)의 저면은 하부케이스(350)의 저면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케이스(350)에 결합된 하단연장부(320)의 개구된 일단이 커피 바스켓(360)에 의하여 차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단연장부(320)와 커피 바스켓(360)의 저면이 이격되게 배치함에 따라 커피 추출과정에서 물이 커피 바스켓(360)의 저면에 형성된 홀(H)을 통해 커피 분말을 골고루 투과할 수 있다. 따라서, 커피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필터(370)는 커피 바스켓(360)에 삽입되며, 상부면이 개구 형성되고, 저면에 복수개의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필터(370)의 외측면은 커피 바스켓(360)의 내측면과 밀착될 수 있다.
제1필터(370)의 상부 둘레는 지름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되며, 제1필터(370)가 커피 바스켓(360)에 삽입되면, 제1필터(370)의 상부 둘레는 앞서 설명한 커피 바스켓(360)의 상부 둘레에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제1필터(370)의 저면과 커피 바스켓(360)의 저면은 이격되며, 커피 바스켓(360)의 저면과 제1필터(370)의 저면 사이에 제1수용공간(36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용공간(360a)에는 커피 분말이 수용될 수 있다.
제1필터(370)가 커피 바스켓(360)에 밀착되게 삽입됨에 따라 제1수용공간(360a)에 저장된 커피 분말은 제1필터(370)에 의하여 탬핑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1필터(370)에 의하여 커피 분말이 골고루 탬핑될 수 있다.
제2필터(380)는 제1필터(370)에 삽입되며, 상부면이 개구 형성되고, 저면에 복수개의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필터(370)의 저면과 제2필터(380)의 저면 사이에 제2수용공간(370a)이 형성되며, 제2수용공간(370a)에는 종이필터가 수용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390)는 제2필터(380)의 상부면을 덮으며, 상단 컨테이너(100)의 저면에 삽입되며, 상단연장부(310)가 결합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390)와 제2필터(380)의 상부면 사이에는 제3수용공간(38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3수용공간(380a)에는 물 또는 커피가 임시 저장될 수 있다.
즉, 상부케이스(390)는 추출부(300)의 상부면을 밀폐하며, 상부케이스(390)와 하부케이스(350)에 의하여 추출부(300)의 내부 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추출부(300)는 상단연장부(310)와 하단연장부(320)를 통해 상단 컨테이너(100) 및 하단 컨테이너(200)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추출부(300)는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350), 커피 바스켓(360) 및 제1필터(370)는 하단 컨테이너(20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필터(380) 및 상부케이스(390)는 상단 컨테이너(10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단 컨테이너(100)와 하단 컨테이너(200)가 분리되면, 상부케이스(390)와 제2필터(380)는 상단 컨테이너(100)에 삽입되어 있고, 제1필터(370), 커피 바스켓(360) 및 하부케이스(350)는 하단 컨테이너(20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단 컨테이너(100)와 하단 컨테이너(200)가 분리됨에 따라 제2필터(380)가 제1필터(370)로부터 분리되어 제2수용공간(370a)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수용공간(370a)에 수용되는 종이 필터(F)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제1필터(370)를 커피 바스켓(360)으로부터 분리하면 제1수용공간(360a)이 개방될 수 있어, 커피 바스켓(360)에 커피 분말을 넣거나 사용된 커피 분말을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구체적으로 커피 추출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우선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뜨거운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뜨거운 커피를 추출할 경우 물(W)은 증기압에 의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우선, 하단 컨테이너(200)의 내부에는 앞서 설명한 제2저장공간(200a)과 가열공간(200b)이 형성될 수 있다. 뜨거운 커피(C)를 추출할 경우 제2저장공간(200a)에 물(W)이 저장되고, 가열공간(200b)에 열을 가하여 제2저장공간(200a)에 저장된 물(W)을 가열할 수 있다.
이 때, 물(W)이 가열됨에 따라 제2저장공간(200a)의 압력이 증가하고 증기가 생성되므로 제2저장공간(200a)에는 증기압이 생성된다.
한편, 제2저장공간(200a)의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앞서 설명한 압력조절장치(400)를 이용하여 제2저장공간(200a)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저장공간(200a)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제2저장공간(200a)와 상단 컨테이너(100)의 제1저장공간(100a)의 압력차로 인하여 뜨거운 물(W)이 제1저장공간(100a)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하단 컨테이너(200)의 저면 중심은 가열공간(200b)을 향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단연장부(320)를 통해 제2저장공간(200a)에 저장된 물(W)이 최대한 많이 제1저장공간(100a)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제2저장공간(200a)에 남아 있는 물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추출부(300)를 통과하며 커피 바스켓(360)에 저장된 커피 분말(P)을 적시게 된다. 이 때, 하단연장부(320)를 통해 커피 바스켓(360)의 저면으로 유입되는 물(W)은 커피 바스켓(360)에 형성된 홀(H)을 통과하며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커피 분말(P)에 물(W)이 골고루 분산되어 커피(C) 맛이 일정하게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커피 바스켓(360)으로부터 추출된 커피(C)는 증기압에 의하여 제1필터(370)에 형성된 홀을 통과한 후 제1필터(370)에 수용된 종이 필터(F)를 통과하여 미세 분말 등이 여과될 수 있다.
제1필터(370)를 통과한 후 커피(C)는 제2필터(380)의 저면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며 분산된 후 상단연장부(310) 및 캡부재(330)를 통해 상단 컨테이너(100)로 유입될 수 있다.
캡부재(330)는 상단연장부(310)의 개구된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일면을 덮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단연장부(31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캡부재(330)와 결합되지 않을 경우 상단연장부(310)로부터 배출되는 커피(C)는 증기압에 의하여 상단연장부(310)로부터 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캡부재(330)는 커피(C)가 커버(500)를 향해 분출되어 상단 컨테이너(100)으로부터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며, 추출된 커피(C)를 상단 컨테이너(100)의 저면으로 흐르도록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캡부재(330)의 내부에는 상단연장부(310)의 개구된 일면을 차폐하는 개폐부재(345) 및 개폐부재(345)와 캡부재(330)의 내측 상부면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340)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커피(C)가 추출되지 않을 경우, 탄성부재(340)는 탄성 회복되어 있으며, 개폐부재(345)는 상단연장부(310)이 개구된 일면을 덮을 수 있다.
반면, 커피(C)를 추출할 경우, 제2저장공간(200a)의 압력이 일정한 압력 이상에 도달하면 커피(C)가 상단연장부(310)로 유입되며, 이 때, 개폐부재(345)는 압력에 의하여 상단연장부(3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개폐부재(345)가 압력에 의하여 상단연장부(310)로부터 분리되면 탄성부재(340)는 탄성 수축될 수 있으며, 커피(C) 추출이 완료됨에 따라 제2저장공간(200a)의 압력이 작아지고, 탄성부재(340)가 탄성 회복하게 된다. 따라서, 개폐부재(345)가 상단연장부(310)와 다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기구는 뜨거운 커피(C)를 추출하는 과정에 커피 분말(P)이 골고루 탬핑되고, 물(W)이 커피 분말(P)에 골고루 분사되어 일정한 맛의 커피(C)가 추출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기구를 이용하여 차가운 커피 즉 더치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앞서 설명한 뜨거운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과 달리 더치 커피를 추출하기 위하여 물(W)을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커피(C) 추출에 사용되는 물(W)은 상단 컨테이너(100)의 제1저장공간(100a)에 저장되며, 상단 컨테이너(100)로부터 하단 컨테이너(200)를 향해 낙하하여 이동하며, 이동하는 과정에 추출부(300)를 통과하여 커피 분말(P)을 적실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하단 컨테이너(200)의 가열공간(200b)에는 열이 가해지지 않는다.
한편, 앞서 설명한 뜨거운 커피를 추출하는 과정과 달리 물(W)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자유 낙하하며 커피(C)를 추출하게 되므로 제2저장공간(200a)의 내부 압력이 제1저장공간(100a)의 압력보다 클 경우 물(W)의 낙하를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조절장치(400)를 이용하여 제2저장공간(200a)의 압력을 조절하여 물(W)이 제1저장공간(100a)으로부터 제2저장공간(200a)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압력조절장치(400)를 이용하여 제2저장공간(200a)의 압력을 조절함에 따라 물(W)이 낙하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커피 분말(P)이 적셔져서 추출되는 시간을 조절하여 커피(C)의 맛을 조절할 수 있다.
상단 컨테이너(100)에 저장된 물(W)이 상단연장부(310)에 유입될 수 있도록 앞서 설명한 캡부재(330)를 상단연장부(31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단 컨테이너(100)에 저장된 물(W)은 상단연장부(310)를 통해 제2필터(380)로 유입되며, 제2필터(380)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며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필터(380)를 통과하며 물(W)이 골고루 분산될 수 있어 커피 바스켓(360)에 저장된 커피 분말(P)에 골고루 분사될 수 있다.
이 때, 제1필터(370)에 수용된 종이 필터(F)는 수막현상을 만들어 물(W)이 떨어지는 속도를 늦출 수 있다. 따라서, 커피 분말(P)이 물(W)에 적셔지는 시간을 늘릴 수 있어 커피(C)의 맛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더치 커피를 추출할 경우 뜨거운 커피를 추출할 때에 비해 길이가 짧은 하단연장부(320)를 사용할 수 있다. 즉, 길이가 짧은 하단연장부(320)를 사용함으로써 추출되는 커피(C)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커피(C)가 하단연장부(320)의 내부에 머물러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기구는 더치 커피(C)를 추출하는 과정에 물(W)이 낙하하는 속도를 조절하여 커피 분말(P)이 ?셔지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커피(C)의 맛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필터(380), 제1필터(370) 및 종이 필터(F) 등을 이용하여 물(W)이 커피 분말(P)에 골고루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맛의 커피(C)를 추출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추출 기구는 커피 분말(P)을 일정한 압력으로 탬핑할 수 있어 추출된 커피의 맛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뜨거운 커피 뿐만 아니라 더치 커피를 추출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상단 컨테이너 100a: 제1저장공간
110: 바닥부재 200: 하단 컨테이너
200a: 제2저장공간 200b: 가열공간
210: 상부부재 220: 기밀부재
300: 추출부 310: 상단연장부
320: 하단연장부 330: 캡부재
340: 탄성부재 345: 개폐부재
350: 하부케이스 360: 커피 바스켓
360a: 제1수용공간 370: 제1필터
370a: 제2수용공간 380: 제2필터
380a: 제3수용공간 390: 상부케이스
400: 압력조절장치 450: 잠금장치
500: 커버 C: 커피
W: 물 P: 커피 분말
F: 종이필터 H: 홀

Claims (9)

  1. 상단 컨테이너;
    상기 상단 컨테이너의 저면에 구비되는 하단 컨테이너; 및
    상기 상단 컨테이너와 상기 하단 컨테이너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상단 컨테이너와 상기 하단 컨테이너를 연통시키는 상단연장부 및 하단연장부를 포함하고, 상하방향으로 복수 개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에 커피 분말이 수용되는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부는,
    상기 하단 컨테이너에 삽입되며, 상부면이 개구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하단연장부가 결합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 삽입되며, 상부면이 개구 형성되고, 저면에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커피 바스켓;
    상기 커피 바스켓에 삽입되며, 상부면이 개구 형성되고, 저면에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제1필터;
    상기 제1필터에 삽입되며, 상부면이 개구 형성되고, 저면에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는 제2필터; 및
    상기 제2필터의 상부면을 덮으며, 상기 상단 컨테이너의 저면에 삽입되며, 상기 상단연장부가 결합되는 상부케이스;
    를 포함하는 커피 추출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연장부 및 상기 하단연장부는 상기 추출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커피 추출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상단연장부의 개구된 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일면을 덮으며, 측면에 상기 상단연장부와 연통되는 홀이 형성되는 캡부재를 더 포함하는 커피 추출 기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와 상기 제2필터는 상기 상단 컨테이너에 결합되고, 상기 제1필터, 상기 커피 바스켓 및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하단 컨테이너에 결합되는 커피 추출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연장부를 통해 상기 커피 바스켓의 저면으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커피 바스켓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며 분산되는 커피 추출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바스켓의 저면과 상기 제1필터의 저면 사이에 제1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에는 커피 분말이 수용되고,
    상기 제1필터의 저면과 상기 제2필터의 저면 사이에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수용공간에는 종이필터가 수용되는 커피 추출 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연장부를 통해 상기 제2필터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제2필터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며 분산되는 커피 추출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컨테이너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가 구비되는 커피 추출 기구.
KR1020160181145A 2016-12-28 2016-12-28 커피 추출 기구 KR101865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145A KR101865831B1 (ko) 2016-12-28 2016-12-28 커피 추출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1145A KR101865831B1 (ko) 2016-12-28 2016-12-28 커피 추출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831B1 true KR101865831B1 (ko) 2018-06-11

Family

ID=6260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1145A KR101865831B1 (ko) 2016-12-28 2016-12-28 커피 추출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8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4356A (zh) * 2018-08-10 2018-11-13 上海旗凌实业有限公司 一种便携式咖啡机
KR20200002263U (ko) * 2019-04-05 2020-10-15 주식회사 휴롬 음료 추출장치
WO2021029685A1 (ko) * 2019-08-13 2021-02-18 이건호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WO2023048319A1 (ko) * 2021-09-27 2023-03-30 경윤현 설정온도에서의 구동되는 비전기식 커피 추출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510B1 (ko) * 2005-01-20 2006-11-27 송유진 다용도 추출 포트
JP2008507999A (ja) * 2004-07-30 2008-03-21 イリュカフェ エス.ピー.エー. 飲料を得るための方法および機器
KR200477263Y1 (ko) * 2014-04-25 2015-05-26 정주영 모카 커피 추출 기구
KR20160132648A (ko) 2015-05-11 2016-11-21 김경숙 모카포트용 커피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7999A (ja) * 2004-07-30 2008-03-21 イリュカフェ エス.ピー.エー. 飲料を得るための方法および機器
KR100649510B1 (ko) * 2005-01-20 2006-11-27 송유진 다용도 추출 포트
KR200477263Y1 (ko) * 2014-04-25 2015-05-26 정주영 모카 커피 추출 기구
KR20160132648A (ko) 2015-05-11 2016-11-21 김경숙 모카포트용 커피홀더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4356A (zh) * 2018-08-10 2018-11-13 上海旗凌实业有限公司 一种便携式咖啡机
KR20200002263U (ko) * 2019-04-05 2020-10-15 주식회사 휴롬 음료 추출장치
KR200494663Y1 (ko) * 2019-04-05 2021-12-02 주식회사 휴롬엘에스 음료 추출장치
WO2021029685A1 (ko) * 2019-08-13 2021-02-18 이건호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WO2023048319A1 (ko) * 2021-09-27 2023-03-30 경윤현 설정온도에서의 구동되는 비전기식 커피 추출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831B1 (ko) 커피 추출 기구
US10206411B2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brewed drink
US91797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ewing coffee and the like
AU2013200926B2 (en) Basket assembly for beverage bottle
US6797304B2 (en) French press coffee maker with assembly to selectively reduce contact of grounds with liquid coffee
US20130340626A1 (en) Beverage brewing system
US20060102008A1 (en) Apparatus for preparing coffee
KR101485771B1 (ko) 유량조절기를 구비한 더치커피 추출기
KR101520300B1 (ko) 더치 커피캡슐
US20130233177A1 (en) Single Cup Coffee and Tea Brewing Mug
KR101860740B1 (ko) 콜드 브루용 캡슐
JP2013508004A (ja) コーヒー抽出用の抽出ユニット
JP2018126312A (ja) 飲料抽出装置
KR200451890Y1 (ko) 수동식 에스프레소 커피머신
RU2761273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ы на основе настаивания для заваривания напитка
RU2759376C2 (ru) Кофеварка
KR101651569B1 (ko) 드립 커피 추출장치 및 그 추출장치를 이용한 드립 커피 추출방법
KR102393821B1 (ko) 에스프레소 추출장치
JPH11253312A (ja) 茶漉し付保温容器
KR20170017043A (ko) 커피 캡슐
JP2010124952A (ja) 電子レンジ用濾過器のカートリッジ
KR102402420B1 (ko) 기능성 콜드브루 메이커
JP7221776B2 (ja) 飲料メーカー
TWM570676U (zh) Hand-held electric coffee machine
AU2018424303A1 (en) Process for making a portable beverage product and a filling line theref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