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263Y1 - 모카 커피 추출 기구 - Google Patents

모카 커피 추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263Y1
KR200477263Y1 KR2020140004863U KR20140004863U KR200477263Y1 KR 200477263 Y1 KR200477263 Y1 KR 200477263Y1 KR 2020140004863 U KR2020140004863 U KR 2020140004863U KR 20140004863 U KR20140004863 U KR 20140004863U KR 200477263 Y1 KR200477263 Y1 KR 2004772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basket
pod
handle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주영
Original Assignee
정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영 filed Critical 정주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2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2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 A47J31/0576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with a sealed water boiling vessel in which the steam pressure urges the hot water through a rising pi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6Inverting 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water is boiled in the lower part and the apparatus is subsequently inverted to pass the water through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카 커피 추출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카 커피 추출 기구에 있어서 중간의 분쇄 커피 바스켓에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는 형태로 포드(Pod) 커피 추출용 바스켓을 제공하며 분쇄 커피 바스켓 내부의 필터 상면 또는 하면에 분쇄 커피 거름 기능이 있는 거름판을 추가로 결합하고 뚜껑 및 컨테이너와 손잡이 간의 결합 부위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분쇄 커피로부터 뿐만 아니라 커피 포드로부터도 용이하게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으며, 분쇄 커피 바스켓 내부의 필터 상면에 분쇄 커피를 투입하는 경우 분쇄 커피가 필터를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커피 추출 기구 내부, 특히 보일러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재사용 시 보일러 내부에 붙어있던 분쇄 커피가 수증기에 의해 분쇄 커피 바스켓 쪽으로 역류하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손잡이가 필요한 경우에는 뚜껑 및 컨테이너에 손잡이를 나사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손잡이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손잡이를 분리할 수 있되 손잡이가 분리된 경우에도 나사를 뚜껑 및 컨테이너에 체결하여 놓으면 나사를 잃어버릴 염려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카 커피 추출 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카 커피 추출 기구 {Moka Coffee Extraction Apparatus}
본 고안은 모카 커피 추출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스프레소 분쇄 커피로부터 수증기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는 모카 커피 추출 기구에 있어서 중간의 분쇄 커피 바스켓에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는 형태로 포드(Pod) 커피 추출용 바스켓을 제공하며 분쇄 커피 바스켓 내부의 필터 상면 또는 하면에 분쇄 커피 거름 기능이 있는 거름판을 추가로 결합하고 뚜껑 및 컨테이너와 손잡이 간의 결합 부위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분쇄 커피로부터 뿐만 아니라 커피 포드로부터도 용이하게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으며, 분쇄 커피 바스켓 내부의 필터 상면에 분쇄 커피를 투입하는 경우 분쇄 커피가 필터를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커피 추출 기구 내부, 특히 보일러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재사용 시 보일러 내부에 붙어있던 분쇄 커피가 수증기에 의해 분쇄 커피 바스켓 쪽으로 역류하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손잡이가 필요한 경우에는 뚜껑 및 컨테이너에 손잡이를 나사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손잡이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손잡이를 분리할 수 있되 손잡이가 분리된 경우에도 나사를 뚜껑 및 컨테이너에 체결하여 놓으면 나사를 잃어버릴 염려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카 커피 추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카 커피 포트는 혼합 커피 제조에 사용되는 맛이 강한 커피인 모카(moka, 에스프레소에 초콜릿의 맛을 첨가한 커피)로부터 수증기의 압력을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추출 기구를 말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모카 커피 포트는 추출구(1), 뚜껑 손잡이(2), 뚜껑(3), 손잡이(4), 컨테이너(5), 평면필터(6), 가스켓(7), 분쇄 커피 바스켓(8), 보일러(9)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일반적으로 평면필터(6)와 가스켓(7)은 컨테이너(5)와 결합한 상태로 판매되며, 분쇄 커피 바스켓(8)은 보일러(9) 상단에 삽입 결합할 수 있는 상태로 판매되고, 컨테이너(5) 하단 외주면과 보일러(9) 상단 외주면은 서로 나사 결합에 의하여 체결되거나 풀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분쇄 커피 바스켓(8) 내부에는 분쇄 커피 바스켓 필터가 위치한다.
이러한 종래 모카 커피 포트의 사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보일러(9)에 물을 넣고, 분쇄 커피 바스켓(8)에 분쇄 커피를 채워 넣고 평평히 하고, 분쇄 커피 바스켓(8)을 보일러(9) 상단에 결합한 후, 컨테이너(5)를 그 위쪽에 결합시키고 가열하면 수증기의 압력으로 인해 분쇄 커피로부터 커피가 추출되어 추출구(1)를 통해 분사되어 컨테이너(5) 내부에 커피가 담기게 된다.
그런데 이때, 분쇄 커피 바스켓(8)은 분쇄 커피로부터만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최근 급속히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커피 포드(Pod)로부터는 커피를 추출할 수 없었으며, 사용자가 분쇄 커피 바스켓(8)에 분쇄 커피를 직접 채워 넣거나 이를 평평히 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분쇄 커피 바스켓(8)에 채워 넣은 분쇄 커피 중 일부가 분쇄 커피 바스켓(8) 내부의 필터를 통과해 아래쪽인 보일러(9) 쪽으로 떨어짐으로써 위생상 좋지 않거나 세척 시 불편함이 있었으며, 보일러(9) 내부로 떨어진 분쇄 커피가 재사용시 수증기 발생에 의해 분쇄 커피 바스켓(8) 쪽으로 역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모카 커피 포트에 있어서는 손잡이(4)가 뚜껑(3) 및 컨테이너(5)에 결합함에 있어서 뚜껑(3) 및 컨테이너(5)의 일 끝단과 손잡이(4)의 일 끝단을 핀이 관통하여 고정됨으로써 손잡이(4)가 뚜껑(3) 및 컨테이너(5)에 단단히 결합 고정되는데, 이에 따라 손잡이(4)를 분리할 수 없었는데, 이에 따라 모카 커피 포트를 사용한 후 수납함에 보관하려는 경우 등 손잡이(4)가 굳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손잡이(4)가 돌출되어 있어서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모카 커피 포트와 관련한 종래의 기술 중 하나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0649510호 '다용도 추출 포트'는, 사이폰, 브류, 모카 커피 메이커, 차 추출기, 약탕기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다용도 추출 포트에 관해 기재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 역시 여러 가지 추출 대상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할 수 있는데 불과할 뿐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은 마찬가지였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스프레소 분쇄 커피로부터 수증기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는 모카 커피 추출 기구에 있어서 중간의 분쇄 커피 바스켓에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는 형태로 포드(Pod) 커피 추출용 바스켓을 제공하며 분쇄 커피 바스켓 내부의 필터 상면 또는 하면에 분쇄 커피 거름 기능이 있는 거름판을 추가로 결합하고 뚜껑 및 컨테이너와 손잡이 간의 결합 부위를 나사 결합함으로써, 분쇄 커피로부터 뿐만 아니라 커피 포드로부터도 용이하게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으며, 분쇄 커피 바스켓 내부의 필터 상면에 분쇄 커피를 투입하는 경우 분쇄 커피가 필터를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커피 추출 기구 내부, 특히 보일러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재사용 시 보일러 내부에 붙어있던 분쇄 커피가 수증기에 의해 분쇄 커피 바스켓 쪽으로 역류하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손잡이가 필요한 경우에는 뚜껑 및 컨테이너에 손잡이를 나사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손잡이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손잡이를 분리할 수 있되 손잡이가 분리된 경우에도 나사를 뚜껑 및 컨테이너에 체결하여 놓으면 나사를 잃어버릴 염려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모카 커피 추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담긴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고 발생한 수증기를 분쇄 커피 바스켓 하부로 상승시키는 보일러; 상기 보일러 상단에 삽입되며 그 내부에 분쇄 커피 바스켓 필터를 수납하며 상기 보일러 내부로부터 상승한 수증기를 분쇄 커피 바스켓 필터 하부로 상승시키는 분쇄 커피 바스켓; 상기 분쇄 커피 바스켓 상단에 밀착 삽입되며 그 상단에 커피 포드를 수납하고 상기 분쇄 커피 바스켓으로부터 상승한 수증기를 통과시켜 커피 포드로 이동시킴으로써 커피 포드로부터 커피가 추출되어 컨테이너 내부에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 및 상기 보일러의 상단에 위치하며 그 하단 외주면이 상기 보일러의 상단 외주면과 결합하고, 내부의 추출구를 통해 커피 포드로부터 추출되어 분사되는 커피를 수납하는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은, 제1가장자리부 및 제1몸체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분쇄 커피 바스켓 상단과 'ㄱ'자 형상으로 밀착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때, 상기 분쇄 커피 바스켓 필터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하며 분쇄 커피 알갱이는 통과되지 않으면서 기체 상태의 수증기는 통과시키는 거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때, 상기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의 재질은 실리콘고무, 인체에 무해한 재질의 고무, 내열성 수지재 또는 비철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때, 커피 추출 기구는 뚜껑 및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 및 컨테이너는 일 측면에서 상기 손잡이와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손잡이가 상기 뚜껑 및 컨테이너와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에스프레소 분쇄 커피로부터 수증기를 이용하여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는 모카 커피 추출 기구에 있어서, 종래와는 달리 분쇄 커피로부터 뿐만 아니라 커피 포드로부터도 용이하게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으며, 분쇄 커피 바스켓 내부의 필터 상면에 분쇄 커피를 투입하는 경우 분쇄 커피가 필터를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커피 추출 기구 내부, 특히 보일러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재사용시 보일러 내부에 붙어있던 분쇄 커피가 수증기에 의해 분쇄 커피 바스켓 쪽으로 역류하는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손잡이가 필요한 경우에는 뚜껑 및 컨테이너에 손잡이를 나사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손잡이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손잡이를 분리할 수 있되 손잡이가 분리된 경우에도 나사를 뚜껑 및 컨테이너에 체결하여 놓으면 나사를 잃어버릴 염려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모카 커피 포트에 관한 구조도.
도 2는 종래 모카 커피 포트의 사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카 커피 추출 기구의 주요 부품들이 결합하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에 관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에 관한 상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에 관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에 관한 분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쇄 커피 바스켓 필터에 관한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커피 포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드 커피 추출용 보조바스켓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드 커피 추출용 보조바스켓에 관한 사시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a 및 도 1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를 설명하지 위한 도면.
도 15a 및 도 15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뚜껑, 컨테이너와 손잡이 간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카 커피 추출 기구에 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카 커피 추출 기구의 주요 부품들이 결합하는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카 커피 추출 기구는, 추출구(10), 뚜껑 손잡이(20), 뚜껑(30), 손잡이(40), 컨테이너(50), 평면 필터(60), 가스켓(70),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 분쇄 커피 바스켓 필터(90), 분쇄 커피 바스켓(100), 보일러(110)를 포함한다.
추출구(10)는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에 투입된 커피 포드로부터 추출되는 커피를 컨테이너(50) 내부로 분사시켜 컨테이너(50) 내부에 추출된 커피가 쌓일 수 있게 한다.
뚜껑 손잡이(20)는 뚜껑(30)을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손잡이(40)는 컨테이너(50) 일 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컨테이너(50)를 들어 이동시키거나 커피 추출 기구 전체를 들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컨테이너(50)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는 원통형의 형상이고 하단의 외주면이 보일러(110) 상단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컨테이너(50)는 추출구(10)로부터 분사되는 커피를 내부에 쌓는다.
평면 필터(60), 가스켓(70)은 컨테이너(50) 하단에 결합한다.
추출구(10), 뚜껑 손잡이(20), 뚜껑(30), 손잡이(40), 컨테이너(50), 평면 필터(60), 가스켓(70)은 공지된 구성으로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은 분쇄 커피 바스켓(100)에 삽입되며, 상단에는 커피 포드가 투입된다.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의 재질은 실리콘고무, 인체에 무해한 재질의 고무, 내열성 수지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비철 금속 등을 채택할 수 있다.
실리콘고무, 인체에 무해한 재질의 고무, 내열성 수지재 등은 커피 추출을 위한 가열에 견딜 수 있으며, 비철 금속은 프레스 금속 성형을 위해 채택할 수 있다.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분쇄 커피 바스켓 필터(90)는 분쇄 커피 바스켓(100) 내부에 삽입되는 원판 형상의 필터이다.
분쇄 커피 바스켓(100)은 보일러(110) 상단에 삽입되며, 상단에는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이 삽입될 수 있다.
보일러(110)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모카 커피 추출 기구의 하단에 위치하며 위쪽으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는 원통형의 형상이고 상단의 외주면이 컨테이너(50)의 하단 외주면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일러(110)의 상단에는 분쇄 커피 바스켓(100)이 삽입된다.
보일러(110)는 내부에 담긴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고 발생한 수증기를 분쇄 커피 바스켓(100) 아래쪽으로 상승시키며, 이러한 수증기에 의해 분쇄 커피 바스켓(100)에 삽입된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 위에 놓여지는 커피 포드로부터 커피가 추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의 형상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상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7은 정면에서 바라본 분해도이다.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은, 제1가장자리부(81), 제1몸체(8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가장자리부(81)와 제1몸체(82)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고, 바닥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이 분쇄 커피 바스켓(100)에 삽입될 때, 제1가장자리부(81), 제1몸체(82)가 분쇄 커피 바스켓(100)에 밀착됨에 의해 서로 밀봉된다.
다만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이 분쇄 커피 바스켓(100)에 삽입될 때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 아래쪽이 밀봉됨으로써 아래쪽에서부터 올라오는 수증기가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 바닥의 관통공 쪽으로만 올라온다면 다른 형상을 채택하더라도 포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커피 포드,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 분쇄 커피 바스켓 필터, 분쇄 커피 바스켓의 결합 관계에 관해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쇄 커피 바스켓 필터에 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커피 포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0a는 커피 포드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도 10b는 커피 포드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8에서, 분쇄 커피 바스켓(100)은 제2가장자리부(101), 제2몸체(102)를 포함하며, 하단에는 아래쪽에서부터 상승하는 수증기가 통과하기 위한 연결관(103)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분쇄 커피 바스켓 필터(90)가 내부에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분쇄 커피 바스켓(100)에는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이 삽입되는데,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의 외주면은 분쇄 커피 바스켓(100)의 외주면과 완전히 밀착됨으로써, 아래쪽에서부터 상승하는 수증기는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 바닥의 관통공 쪽으로만 상승 통과하여 커피 포드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충분히 효율적인 포드 커피 추출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1가장자리부(81)는 제2가장자리부(101)와 밀착되어 밀봉되며, 제1몸체(82)는 제2몸체(102)와 밀착되어 밀봉된다.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 상단에는 커피 포드가 투입되는데, 커피 포드 몸체(83)의 지름은 제1가장자리부(81) 내주면의 직경, 즉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 내경과 동일하도록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이 제작되므로 커피 포드가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 상단에 밀착된 상태로 투입될 수 있다.
커피 포드 가장자리부(84)는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 상면, 제1가장자리부(81)에 얹혀지며,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 바닥의 지름은 커피 포드 몸체(83)의 지름보다 작게 설계됨으로써 커피 포드가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 상단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 상단에 커피 포드가 투입된 이후, 그 위에는 컨테이너(50)가 결합하는데, 이때 컨테이너(50) 아래쪽이 커피 포드 가장자리부(84)를 누르고 이에 따라 제1가장자리부(81)를 누름으로써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이 분쇄 커피 바스켓(100)과 더욱 이차적으로 밀착되게 된다. 특히,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 이 실리콘고무, 인체에 무해한 고무, 내열성 수지 등이어서 눌려지기 용이한 경우 더욱 밀착 기능은 강화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 분쇄 커피 바스켓 필터(9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거름판이 추가로 결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커피 추출 기구가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이 없는 상태에서 분쇄 커피로부터 커피를 추출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거름판은 분쇄 커피 바스켓 필터(90) 위에 수납되는 분쇄 커피가 추출 과정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거름판의 재질은 망사 또는 옥양목 등의 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체 상태의 분쇄 커피 알갱이는 통과되지 않으면서 기체 상태의 수증기는 통과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다른 재질도 채택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드 커피 추출용 보조바스켓과 이의 결합 관계에 관해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드 커피 추출용 보조바스켓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드 커피 추출용 보조바스켓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1 및 12에서, 포드 커피 추출용 보조바스켓(120)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에서,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이 분쇄 커피 바스켓(10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며,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 상단에 하나의 커피 포드가 투입된 후,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 상단에 포드 커피 추출용 보조바스켓(120)이 삽입되며, 포드 커피 추출용 보조바스켓(120)은 분쇄 커피 바스켓(100)과 완전히 밀착되어 밀봉된다.
이에 따라, 두 개의 커피 포드로부터 커피를 추출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는 각자의 기호에 따라 하나의 커피 포드만을 사용하거나 두 개의 커피 포드를 사용함으로써, 진하게 또는 연하게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은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보다 크기가 큰 분쇄 커피 바스켓(100)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정한 것으로, 좀더 대용량의 커피 추출 기구가 될 것이므로 좀더 많은 커피를 추출할 수도 있다.
도 12에서, 포드 커피 추출용 보조바스켓(120)은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에서 아래쪽의 바닥을 없앤 형상이라고 볼 수 있으며, 중앙이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커피 추출 기구에 있어서 뚜껑, 컨테이너 및 손잡이 간의 결합 관계에 관해 도 13a 내지 도 16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4a 및 도 1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손잡이를 설명하지 위한 도면이고, 도 15a 및 도 15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뚜껑, 컨테이너와 손잡이 간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커피 추출 기구에 있어서 뚜껑(30)과 컨테이너(50)는 일단에서 서로 나사 결합하며, 뚜껑(30) 및 컨테이너(50)와 손잡이(40)도 나사를 체결함에 의해 서로 결합하거나 나사를 풀면 손잡이(40)가 뚜껑(30) 및 컨테이너(50)와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뚜껑(30)은 일 측면에서 컨테이너(50)와의 결합을 위한 두 개의 돌출 부위를 가지며 이러한 두 개의 돌출 부위 중 위쪽의 돌출 부위에는 나사(120) 결합을 위한 제1 관통공(31)이 형성되며, 아래쪽의 돌출 부위에는 역시 나사(120) 결합을 위한 나사 홈(32)이 형성된다.
제1 관통공(31)에는 별도의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고 나사 홈(32)에만 나사산이 형성되어 실제로는 나사(120)가 나사 홈(32)에서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손잡이(40)는 일 끝단에서 나사(120) 결합을 위한 하나의 제2 관통공(41)을 포함하는데, 제2 관통공(41)은 하나로만 구성될 수도 있으나 위쪽의 제2 관통공(41) 밑에 다른 제1 관통공(41)이 추가로 형성됨으로써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2 관통공(41)의 내부에는 별도의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컨테이너(50)는 일 측면에서 뚜껑(30) 및 손잡이(40)와의 결합을 위한 하나의 돌출 부위를 가지며 이러한 하나의 돌출 부위에는 나사(120) 결합을 위한 제3 관통공(51)이 형성되고, 돌출 부위에서 하나의 제3 관통공(5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위쪽의 제3 관통공(51) 밑에 다른 제3 관통공(51)이 추가로 형성됨으로써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나사(120)를 체결함에 의하여 뚜껑(30), 손잡이(40), 컨테이너(50)가 서로 결합한다. 만약, 제2 관통공(41)과 제3 관통공(51)이 위 아래로 두 개씩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면, 나사(120)도 위쪽의 나사(120)와 아래쪽의 나사(120) 등 두 개로 구성될 것이며, 아래쪽의 나사(120)는 손잡이(40)와 컨테이너(50)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나사(120)의 형상은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다.
사용자는 손잡이(40)가 필요한 경우 손잡이(40)까지 나사(120)를 직접 체결하여 손잡이(40)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손잡이(40)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나사(120)를 풀어서 손잡이(40)를 분리한 후, 다시 뚜껑(30)과 컨테이너(50)에만 나사(120)를 체결하여 수납함 등에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40)가 분리된 경우에도 나사(120)를 뚜껑(30)과 컨테이너(50)에 체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나사(120)를 잃어버릴 염려가 없으며, 만약 나사(120)가 위 아래로 두 개 형성되는 경우, 뚜껑(30)은 두 개의 나사(120) 중 위쪽의 한 개 나사(120)에만 나사 결합하므로 뚜껑(30)을 나사(12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면서 여닫는데 불편함이 없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0 : 추출구
20 : 뚜껑 손잡이
30 : 뚜껑
31 : 제1 관통공
32 : 나사 홈
40 : 손잡이
41 : 제2 관통공
50 : 컨테이너
51 : 제3 관통공
60 : 평면 필터
70 : 가스켓
80 :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
81 : 제1가장자리부
82 : 제1몸체
83 : 커피 포드 몸체
84 : 커피 포드 가장자리부
90 : 분쇄 커피 바스켓 필터
100 : 분쇄 커피 바스켓
101 : 제2가장자리부
102 : 제2몸체
110 : 보일러
120 : 나사

Claims (5)

  1. 모카 커피 추출 기구에 있어서,
    내부에 담긴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발생시키고 발생한 수증기를 분쇄 커피 바스켓(100) 하부로 상승시키는 보일러(110);
    상기 보일러(110) 상단에 삽입되며 그 내부에 분쇄 커피 바스켓 필터(90)를 수납하며 상기 보일러(110) 내부로부터 상승한 수증기를 분쇄 커피 바스켓 필터(90) 하부로 상승시키는 분쇄 커피 바스켓(100);
    상기 분쇄 커피 바스켓(100) 상단에 밀착 삽입되며 그 상단에 커피 포드를 수납하고 상기 분쇄 커피 바스켓(100)으로부터 상승한 수증기를 통과시켜 커피 포드로 이동시킴으로써 커피 포드로부터 커피가 추출되어 컨테이너(50) 내부에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 및
    상기 보일러(110)의 상단에 위치하며 그 하단 외주면이 상기 보일러(110)의 상단 외주면과 결합하고, 내부의 추출구(10)를 통해 커피 포드로부터 추출되어 분사되는 커피를 수납하는 컨테이너(50);를 포함하되,
    상기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은, 제1가장자리부(81) 및 제1몸체(82)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기 분쇄 커피 바스켓(100) 상단과 'ㄱ'자 형상으로 밀착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분쇄 커피 바스켓 필터(9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결합하며 분쇄 커피 알갱이는 통과되지 않으면서 기체 상태의 수증기는 통과시키는 거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카 커피 추출 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드 커피 추출용 바스켓(80)의 재질은 실리콘고무, 인체에 무해한 재질의 고무, 내열성 수지재 또는 비철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카 커피 추출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뚜껑(30) 및 손잡이(40)를 포함하며,
    상기 뚜껑(30) 및 컨테이너(50)는 일 측면에서 상기 손잡이(40)와 나사(120) 결합함으로써 상기 손잡이(40)가 상기 뚜껑(30) 및 컨테이너(50)와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카 커피 추출 기구.
KR2020140004863U 2014-04-25 2014-06-27 모카 커피 추출 기구 KR20047726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327 2014-04-25
KR20140003327 2014-04-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263Y1 true KR200477263Y1 (ko) 2015-05-26

Family

ID=53513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863U KR200477263Y1 (ko) 2014-04-25 2014-06-27 모카 커피 추출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2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831B1 (ko) * 2016-12-28 2018-06-11 주식회사 교원 커피 추출 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47164Y (zh) * 2003-07-08 2004-10-13 浙江爱腾家庭用品制造有限公司 咖啡壶
CN2751687Y (zh) * 2004-07-21 2006-01-18 林文丰 摩卡壶改进构造
KR100649510B1 (ko) * 2005-01-20 2006-11-27 송유진 다용도 추출 포트
US20070272086A1 (en) * 2004-06-17 2007-11-29 Imperia S.P.A. Moka Coffee Po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47164Y (zh) * 2003-07-08 2004-10-13 浙江爱腾家庭用品制造有限公司 咖啡壶
US20070272086A1 (en) * 2004-06-17 2007-11-29 Imperia S.P.A. Moka Coffee Pot
CN2751687Y (zh) * 2004-07-21 2006-01-18 林文丰 摩卡壶改进构造
KR100649510B1 (ko) * 2005-01-20 2006-11-27 송유진 다용도 추출 포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831B1 (ko) * 2016-12-28 2018-06-11 주식회사 교원 커피 추출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90698A1 (en) Improved french coffee press
US8887623B2 (en) Device for removing spent flavor base from a beverage brewing apparatus
US4867880A (en) Brewing device
US20060169149A1 (en) Basket for holding coffee grounds in coffee brewing machine
JP2009504301A (ja) 飲料抽出装置
US20060169150A1 (en) Permanent filtering pod for brewing beverages
KR20100026476A (ko) 필터 일체형 핸드밀
KR200477263Y1 (ko) 모카 커피 추출 기구
CN108720600B (zh) 意式浓咖啡型便携式饮料提取器
WO2012025125A2 (en) Device for making coffee, tea or the like
KR200480686Y1 (ko) 휴대용 에스프레소 머신
CN110121283B (zh) 咖啡冲泡器
JP2011072764A (ja) 携帯用コーヒーメーカー
KR20140059530A (ko) 커피 추출 장치 및 방법
US20170000285A1 (en) Coffee press
WO2020198861A1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CN204889647U (zh) 饮料过滤装置
JP3148701B2 (ja) 浸出式コーヒーメーカー
US2313761A (en) Coffee percolator
JP3220482U (ja) 飲料用ドリッパー
JP3205678U (ja) 飲料濾過装置
CN214341506U (zh) 一种带滤网的咖啡壶
KR200475781Y1 (ko) 커피 필터 내장형 용기
CN220192775U (zh) 移动式过滤器
JP7325107B2 (ja) 急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