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772B1 -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 - Google Patents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772B1
KR101865772B1 KR1020170003444A KR20170003444A KR101865772B1 KR 101865772 B1 KR101865772 B1 KR 101865772B1 KR 1020170003444 A KR1020170003444 A KR 1020170003444A KR 20170003444 A KR20170003444 A KR 20170003444A KR 101865772 B1 KR101865772 B1 KR 101865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focus
lens
adjusting ring
ring
focus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상
Original Assignee
(주)알브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브이티 filed Critical (주)알브이티
Priority to KR1020170003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02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moving lens along baseboar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03B3/12Power-operated focusing adapted for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5/22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CTV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렌즈의 백 포커스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된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는 카메라 본체(1); 카메라 본체의 전방에 구비된 렌즈마운트(100); 상기 백 포커스 조절링의 내주면에 나선 결합되는 렌즈(4); 상기 카메라 본체와 렌즈 사이의 렌즈마운트의 외주면에 나선결합되어 상기 렌즈마운트를 따라 렌즈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렌즈에 면 접촉을 통해 밀착되는 백 포커스 조절링(200); 및 백 포커스 조절링의 가장자리를 따라 렌즈마운트측으로 연장형성된 플랜지부(220)와, 상기 플랜지부를 수용하도록 렌즈마운트 전면에 형성된 환형홈(120)과,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를 따라 백 포커스 조절링의 중심측으로 돌출된 걸림턱(230)과, 상기 백 포커스 조절링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공(240)과, 상기 관통공을 통해 환형홈의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백 포커스 조절링이 일정거리 이상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에 상기 걸림턱과 간섭되면서 백 포커스 조절링이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차단부재(400)로 구성되어 상기 백 포커스 조절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Closed circuit television camera capable of controlling back focus}
본 발명은 CCTV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렌즈의 백 포커스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된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용 카메라는 렌즈로 입사된 광신호를 촬상소자(CCD;Charge-Coupled Device)에서 전기신호로 변환시킴과 아울러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킨 후, 집적회로(DSP)에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여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CCTV용 카메라는 건물에 출입하는 방문객 및 주요 물품 등을 감시할 수 있도록 건물의 벽 또는 천장 등과 같은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보안감시용, 산업용, 차량의 화상감시용 및 교통관리용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감시의 목적에서 벗어나 예방보호 안전시스템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통상 CCTV용 카메라는 일정 기준에 따라 렌즈와 촬상소자 사이의 정확한 백 포커스의 거리가 규정되어 있지만 카메라 본체를 제조하는 제조사와 렌즈를 제조하는 제조사가 서로 다른 관계로 실제 카메라 본체에 렌즈를 조립하게 되면 백 포커스의 거리가 규정거리를 미세하게 만족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카메라 본체에 렌즈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백 포커스를 정밀하게 조정해 줄 수 있는 CCTV용 카메라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는 카메라 본체(1)와, 카메라 전방에 구비된 렌즈마운트(2)와, 상기 렌즈마운트(2)의 전방에 나선결합되는 백 포커스 조절링(3)과 상기 백 포커스 조절링(3)의 전단에 결합되는 렌즈(4)와, 상기 백 포커스 조절링(3)에 밀착되도록 렌즈마운트(2)의 측부에 관통 체결되는 고정나사(5)를 구비한다.
따라서, 종래의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는 렌즈(4)가 백 포커스 조절링(3)에 결합된 상태에서 백 포커스 조절링(3)이 렌즈마운트(2)에 나선결합되면 조립이 완료되며,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 백 포커스 조절링(3)이 좌우로 회전하면 백 포커스 조절링(3)이 렌즈마운트(2)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 이러한 백 포커스 조절링(3)과 함께 렌즈(4)의 전후방향 위치가 가변되면서 백 포커스가 정밀하게 조정된다.
그리고 백 포커스의 조정이 완료된 이후에 백 포커스 조절링(3)이 렌즈마운트(2) 내에서 유동되어 렌즈(4)와 촬상소자(6)와의 거리가 가변되지 않도록 고정나사(5)가 렌즈마운트(2)의 측부에 관통 체결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는 렌즈마운트(2)와 백 포커스 조절링(3)에 형성된 나선결합부의 가공 정밀도가 떨어지는 경우, 백 포커스 조절링(3)이 고정나사(5)에 밀려 일측으로 미세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조립되며, 이로 인하여 백 포커 조절링(3)에 결합된 렌즈(4)도 함께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좌/우측 초점거리에 있어서 미세하게 백 포커스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백 포커스 편차는 그 정도가 미세하므로 촬영 품질의 저하 측면에서는 우려할 수준이 아니다. 하지만, FULL HD나 4K 등의 초고화질 촬영이 가능한 최근의 CCTV 카메라를 기준으로 할 때 출력되는 영상의 해상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백 포커스 편차로 인한 출력 영상의 품질 저하는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백 포커스 편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렌즈와 렌즈마운트와의 조립이 정밀하게 이루어지는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는 카메라 본체와, 카메라 본체의 전방에 구비된 렌즈마운트와, 상기 백 포커스 조절링의 내주면에 나선 결합되는 렌즈와, 상기 카메라 본체와 렌즈 사이의 렌즈마운트의 외주면에 나선결합되어 상기 렌즈마운트를 따라 렌즈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렌즈에 면 접촉을 통해 밀착되는 백 포커스 조절링과, 백 포커스 조절링의 가장자리를 따라 렌즈마운트측으로 연장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수용하도록 렌즈마운트 전면에 형성된 환형홈과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를 따라 백 포커스 조절링의 중심측으로 돌출된 걸림턱과 상기 백 포커스 조절링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을 통해 환형홈의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백 포커스 조절링이 일정거리 이상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에 상기 걸림턱과 간섭되면서 백 포커스 조절링이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차단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백 포커스 조절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백 포커스 조절링과 렌즈 사이에 위치되어 백 포커스 조절링이 렌즈 방향으로 이동할 때 렌즈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탄성밀착링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는 환형홈의 바닥에 체결되는 나사부와 상기 걸림턱과 간섭되는 머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환형홈의 측벽에는 차단부재의 머리부가 홈부의 바닥으로부터 항상 일정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차단부재의 머리부에서 걸림턱과 간섭되지 않는 구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렌즈마운트의 외주면에 나선결합된 백 포커스 조절링이 렌즈마운트의 내주면에 나선결합된 렌즈에 면접촉을 통해 긴밀히 밀착되면서 렌즈와 렌즈마운트와의 조립이 정밀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립 전과 후에 있어서 렌즈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아 백 포커스 편차의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백 포커스 조절링과 렌즈 사이에 탄성밀착링이 설치된 경우, 렌즈와 백 포커스 조절링들은 탄성밀착링의 반발력에 의해 상호간의 긴장된 상태가 항시 유지되므로 풀림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는 종래와 같이 고정나사의 도움없이도 렌즈마운트와의 체결상태가 항상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의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의 단면도로서 렌즈가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의 조립단면도.
도 5a 및 5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의 조립단면도로서 백 포커스를 조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는 카메라 본체(1)와 렌즈마운트(100)와 렌즈(4)와 백 포커스 조절링(200)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렌즈마운트(100)는 카메라 본체(1)의 전단에 구비되며, 백 포커스 조절링(200)과 렌즈(4)가 나선결합을 통해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렌즈마운트(100)는 링 형태로 돌출된 나사부(110)를 가지며, 상기 나사부(110)는 외경면에는 수나사산(111)이 가공되어 있고 내경면에는 암나사산(112)이 가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백 포커스 조절링(200)의 내경면에는 상기 나사부(110)의 수나사산(111)에 대응되는 암나사산(210)이 가공되어 있고 렌즈(4)의 외경면에는 상기 나사부(110)의 암나사산(112)에 대응되는 수나사산(4a)이 가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백 포커스 조절링(200)은 렌즈마운트(100)의 나사부(110)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최전방으로 이동할 경우에 렌즈(4)의 후면과 긴밀히 밀착된다. 상기 백 포커스 조절링(200)은 렌즈(4)의 후면에 밀착되는 밀착면(201)을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렌즈(4)는 렌즈마운트(100)에 나선결합된 상태에서 렌즈마운트(100)를 따라 이동하는 백 포커스 조절링(200)의 밀착면(201)과 면접촉을 통해 긴밀히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4)는 백 포커스 조절링(200)과의 밀착 전과 후에 있어서 그 위치가 가변되지 않으므로 백 포커스 편차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백 포커스 조절링(200)과 렌즈(4) 사이에는 탄성밀착링(3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밀착링(300)은 백 포커스 조절링(200)이 렌즈마운트(100)에 나선결합된 상태에서 왼쪽으로 회전하여 렌즈(4) 방향으로 이동할 때 백 포커스 조절링(200)에 밀리면서 렌즈(4)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4)는 탄성밀착링(300)에 의해 좌우편차 없이 매우 정밀하게 렌즈마운트(100)에 결합되며 상기 탄성밀착링(300)의 반발력에 의하여 긴장상태가 유지되므로 렌즈마운트(100)과의 결합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아울러, 백 포커스 조절링(200)이 렌즈마운트(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수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백 포커스 조절링(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렌즈마운트(100)측으로 연장형성된 플랜지부(220)와, 상기 플랜지부(220)를 수용하도록 렌즈마운트(100) 전면에 형성된 환형홈(120)과, 상기 플랜지부(220)의 단부를 따라 백 포커스 조절링(200)의 중심측으로 돌출된 걸림턱(230)과, 상기 백 포커스 조절링(200)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공(240)과, 상기 관통공(240)을 통해 환형홈(120)의 바닥에 고정되며, 백 포커스 조절링(200)이 일정거리 이상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에 상기 걸림턱(230)과 간섭되면서 백 포커스 조절링(200)이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차단부재(4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400)는 환형홈(120)의 바닥에 체결되는 나사부와 상기 걸림턱(230)과 간섭되는 머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환형홈(120)의 바닥에는 차단부재(400)의 나사부와 체결되는 나선홈(121)이 형성되며, 차단부재(400)의 머리부가 홈부의 바닥으로부터 항상 일정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상기 환형홈(120)의 측벽에는 차단부재(400)의 머리부에서 걸림턱(230)과 간섭되지 않는 구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면(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카메라 본체(1)에 렌즈마운트(100)를 부착시킨 다음 렌즈마운트(100)의 나사부(110)에 백 포커스 조절링(200)을 체결한다. 이 과정에서 백 포커스 조절링(200)의 플랜지부(220)가 렌즈마운트(100)의 환형홈(120)에 수용된다.
백 포커스 조절링(200)이 렌즈마운트(100)의 나사부(110)에 완전히 체결되면, 백 포커스 조절링(200)의 관통공(240)으로 차단부재(400)를 삽입한 후 차단부재(400)의 머리부가 환형홈(120)의 측벽에 형성된 지지면(122)에 밀착될 때까지 차단부재(400)를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나사부를 환형홈(120)의 바닥에 형성된 나선홈(121)에 체결시킨다.
백 포커스 조절링(200)의 조립이 완료되면, 렌즈마운트(100)의 나사부(110)에 렌즈(4)를 체결시켜 조립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의 조립이 완료되면 백 포커스를 세팅한다.
이때 작업자는 카메라 본체(1)에 전원과 비디오 케이블을 연결하여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촬영된 화면을 보면서 촬영 대상물의 초점이 선명하게 맺힐 때까지 렌즈(4)를 왼쪽으로 돌려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포커스 조절링(200)으로부터 렌즈(4)가 멀어지도록 조작한다.
렌즈(4)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촬영 대상물의 초점이 선명하게 맺혀지면, 렌즈(4)가 회전하지 않도록 한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백 포커스 조절링(200)을 잡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밀착링(300)이 렌즈(4)의 후면에 긴밀히 밀착될 때까지 백 포커스 조절링(200)을 왼쪽으로 회전시켜 렌즈(4)로 이동시킨다.
이때, 백 포커스 조절링(200)은 백 포커스 조절링(200)의 걸림턱(230)이 차단부재(400)의 머리부에 간섭되면서 렌즈(4)를 향해 일정거리 이상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므로 자칫 백 포커스 조절링(200)이 과도하게 회전하여 렌즈마운트(100)로부터 탈락되면서 렌즈(4)가 파손되는 사고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백 포커스 조절링(200)이 렌즈(4)로 이동함에 따라서, 탄성밀착링(300)은 백 포커스 조절링(200)에 의해 렌즈(4)측으로 밀리면서 상기 렌즈(4)의 후면에 면접촉 상태로 긴밀히 밀착되고, 그 결과 렌즈(4)는 좌우편차가 전혀 없이 렌즈마운트(100)에 정밀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탄성밀착링(300)이 설치된 경우에는 렌즈(4)와 백 포커스 조절링(200)들은 탄성밀착링(300)의 반발력에 의해 상호간의 긴장된 상태가 항시 유지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풀림이 방지되면서 렌즈마운트(100)와의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백 포커스의 조정은 정밀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백 포커스의 재조정이 필요한 경우, 백 포커스 조절링(200)을 오른쪽으로 돌려서 탄성밀착링(300)과 렌즈(4)와의 밀착을 해제시키면 상술한 방법에 따라 백 포커스를 매우 쉽고 정밀하게 재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카메라 본체 4...렌즈
100...렌즈마운트 120...환형홈
122...지지면 200...백 포커스 조절링
220...플랜지부 230...걸림턱
240...관통공 300...탄성밀착링
400...차단부재

Claims (6)

  1. 카메라 본체;
    카메라 본체의 전방에 구비된 렌즈마운트;
    상기 렌즈마운트의 내주면에 나선 결합되는 렌즈;
    상기 카메라 본체와 렌즈 사이의 렌즈마운트의 외주면에 나선결합되어 상기 렌즈마운트를 따라 렌즈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렌즈에 면 접촉을 통해 밀착되는 백 포커스 조절링; 및
    백 포커스 조절링의 가장자리를 따라 렌즈마운트측으로 연장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를 수용하도록 렌즈마운트 전면에 형성된 환형홈과,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를 따라 백 포커스 조절링의 중심측으로 돌출된 걸림턱과, 상기 백 포커스 조절링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을 통해 환형홈의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백 포커스 조절링이 일정거리 이상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에 상기 걸림턱과 간섭되면서 백 포커스 조절링이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차단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백 포커스 조절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 포커스 조절링과 렌즈 사이에 위치되어 백 포커스 조절링이 렌즈 방향으로 이동할 때 렌즈에 긴밀하게 밀착되는 탄성밀착링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환형홈의 바닥에 체결되는 나사부와 상기 걸림턱과 간섭되는 머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홈의 측벽에는 차단부재의 머리부가 홈부의 바닥으로부터 항상 일정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차단부재의 머리부에서 걸림턱과 간섭되지 않는 구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
KR1020170003444A 2017-01-10 2017-01-10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 KR101865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444A KR101865772B1 (ko) 2017-01-10 2017-01-10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444A KR101865772B1 (ko) 2017-01-10 2017-01-10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772B1 true KR101865772B1 (ko) 2018-06-11

Family

ID=62600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444A KR101865772B1 (ko) 2017-01-10 2017-01-10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7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1000A (ja) * 1996-11-29 1998-06-19 Kyocera Corp 固定焦点レンズ式カメ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1000A (ja) * 1996-11-29 1998-06-19 Kyocera Corp 固定焦点レンズ式カメ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2714B2 (en) Dome-shape camera
RU2724459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ъектива, устройство захвата изображений, на котором может устанавливаться устройство объектива, и система камеры
US5032919A (en) Video camera focusing system
US10948807B2 (en) Imaging apparatus and accessory
RU2724453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ъектива, устройство захвата изображений, на котором может устанавливаться устройство объектива, и система камеры
JP5573425B2 (ja) ねじマウントレンズ鏡筒
JP2013105151A (ja) 光学装置
KR101865772B1 (ko)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
KR101864319B1 (ko) 감시 카메라
US11953812B2 (en) Image pickup device
KR101256220B1 (ko) 카메라 장치
US20110188137A1 (en) Lens barrel and photographing apparatus inlcuding the same
US11397305B2 (en) Self-centering locking lens holder
KR20150102556A (ko) 카메라 렌즈 모듈
KR200175059Y1 (ko) 감시용 카메라 렌즈의 촛점거리 조정장치
JP2008141231A (ja) 鏡筒回転型撮像装置
US11022777B2 (en) Lens holder, lens member, lens arrangement and camera device comprising such a lens arrangement
KR100466987B1 (ko)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JP2004333778A (ja) 撮像装置
KR20150044715A (ko) 감시 카메라 설치용 브라켓
KR100647267B1 (ko) 감시카메라의 초점 조정장치
JP2005202305A (ja) コンバージョンレンズ装置
JP2005099209A (ja) コンバ一タレンズのための鏡筒
JP2008141232A (ja) 鏡筒回転型撮像装置
JPS6062781A (ja) ビデオ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