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6220B1 -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6220B1
KR101256220B1 KR1020110014790A KR20110014790A KR101256220B1 KR 101256220 B1 KR101256220 B1 KR 101256220B1 KR 1020110014790 A KR1020110014790 A KR 1020110014790A KR 20110014790 A KR20110014790 A KR 20110014790A KR 101256220 B1 KR101256220 B1 KR 101256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main body
fastened
lens
adjustmen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5241A (ko
Inventor
이인철
홍근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명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명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명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110014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220B1/ko
Publication of KR20120095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카메라 장치가 개시된다.
이 카메라 장치는 촬상 소자가 실장된 센서 보드를 구비하는 본체부;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렌즈부에 체결되어 상기 렌즈부를 상기 본체부에 고정시키거나 고정되어 있는 상기 렌즈부를 고정 해제시키는 잠금 링을 포함한다. 잠금 링은 조절 링을 기준으로 회전 동작하여 상기 조절 링을 상기 수용부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고정 해제시킨다.

Description

카메라 장치{Camera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모바일 기기 또는 각종 감시 장치 등에 사용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카메라, 특히 감시 카메라로 주로 사용되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의 경우 각종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를 카메라 본체의 전면에 조립할 때 나사 등을 이용하여 렌즈부를 카메라 본체에 조립하게 된다. 이 때, 렌즈부와 카메라 본체 사이에 조절링이라는 체결 수단을 두어 렌즈부를 조절링의 일측에 나사산 치합에 의해 결합하고, 조절링의 타측을 카메라 본체의 전면부에 나사산 치합에 의해 결합한 후, 조절링을 고정시키기 위해 측면에서 별도의 나사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조립을 위하여 각각의 기구물, 즉 조절링과 카메라 본체에 나사 가공을 하며, 각각의 나사들은 가공 공차 및 조립 공차를 포함하여 가공이 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구물들의 공차들이 누적되고 렌즈부의 카메라 본체에 조립시 발생하는 체결력에 의해 렌즈부가 카메라 본체에 조립될 때 렌즈가 카메라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 보드를 기준으로 정확하게 직각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렌즈부에 장착되어 있는 렌즈가 이미지 센서가 장착된 센서 보드를 기준으로 기울어지고 이미지 센서의 중심에서 어긋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해상도가 낮은 카메라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이 화질에 큰 영향이 없으나, 고해상도와 고배율의 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해 렌즈의 초점이 틀어지는 문제가 화질에 많은 영향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센서 보드를 이동시키는 등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카메라 기구물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구물은 구조가 복잡하여 가공비가 증가하게 되고,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조립이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렌즈부의 카메라 본체 조립시 센서 보드와 렌즈가 정확하게 직각 및 중심 일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구조를 간략화하여 가공비가 감소하고 조립성이 향상되는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카메라 장치는,
촬상 소자가 실장된 센서 보드를 구비하는 본체부;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렌즈부와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어 상기 렌즈와 상기 센서 보드가 직각 상태가 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렌즈와 상기 센서 보드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렌즈부를 상기 본체부에 고정시키거나 고정되어 있는 상기 렌즈부를 고정 해제시키는 잠금 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센서 보드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렌즈부가 장착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부가 상기 본체부에 장착될 때 상기 렌즈와 상기 센서 보드가 수직 상태 및 중심 일치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잠금 링과의 체결을 유지하는 수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렌즈부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는 렌즈 모듈;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측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 및 일측이 상기 삽입부와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잠금 링과 체결되어 상기 렌즈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렌즈와 상기 센서 보드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그 중심축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에 직접 체결되는 조절 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 링의 상기 조절 링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조절 링이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거나 고정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 링이 상기 조절 링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조절 링이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조절 링이 고정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의 상기 잠금 링과 체결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정지 핀이 상기 잠금 링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 링의 상기 수용부와 체결되는 면에 상기 정지 핀이 삽입되는 잠금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 가이드 홈은 상기 잠금 링이 상기 수용부에 체결되어 상기 조절 링을 기준으로 회전될 때 상기 잠금 링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 링에는 상기 조절 링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조절 링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과 나사 치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조절 링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의 외주면에는 상기 조절 링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과 나사 치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 링이 상기 잠금 링과 나사 치합되어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와 나사 치합되어 체결될 때, 상기 잠금 링의 상기 잠금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정지 핀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서로 접하도록 상기 잠금 링이 상기 조절 링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 링의 상기 수용부가 체결되는 면에 환형 돌기와 환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조절 링이 체결되는 면에 상기 환형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환형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 링이 상기 수용부에 체결될 때 상기 환형 돌기 및 환형 홈과 상기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의 체결에 의해 상기 조절 링이 상기 센서 보드에 대해 직각으로 이동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 링의 외주면은 상기 잠금 링이 상기 조절 링을 기준으로 회전이 용이하도록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 링의 상기 수용부가 체결되는 면에 상기 조절 링의 중심과 반대 방향으로 환형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의 상기 조절 링이 체결되는 면에 상기 환형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조절 링의 외주면과 나사 치합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 링이 상기 수용부에 체결될 때 상기 환형 돌기 및 가이드 홈의 체결과 상기 조절링의 외주면과 상기 수용부의 가이드 돌기의 체결에 의해 상기 조절 링이 상기 센서 보드에 대해 직각으로 이동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부의 카메라 본체 조립시 센서 보드와 렌즈가 정확하게 직각 및 중심 일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복잡한 가공 없이 카메라 제작이 가능하므로 가공비가 감소하고 조립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절 링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잠금 링이 수용부에 결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잠금 링의 수용부를 향하는 측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의 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렌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조절 링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의 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10)는 본체부(100), 잠금 링(Lock Ring)(200) 및 렌즈부(300)를 구비한다.
본체부(100)는 하우징(110)과 수용부(120)를 구비한다.
하우징(110)은 카메라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소, 예를 들어 렌즈부(300)를 통해 입사된 빛 에너지를 전기신호로 변화시키는 촬상 소자 등의 이미지 센서가 실장된 센서 보드 등을 구비한다.
수용부(120)는 하우징(110)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렌즈부(300)가 본체부(100)에 조립될 때 렌즈부(300)를 수용한다.
잠금 링(200)은 렌즈부(300)가 본체부(100)의 수용부(120)에 조립될 때 렌즈부(300)가 수용부(120)에 고정되도록 작용하며, 렌즈부(300)와 수용부(120)의 조립시 발생되는 체결력에도 불구하고 평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용부(120)에 대향하여 접하도록 체결되는 동시에 그 내주면에 렌즈부(300)의 끝단, 즉 조절 링(330)의 일부의 외주면이 상호 대응하여 체결된다.
렌즈부(300)는 렌즈 모듈(310), 삽입부(320) 및 조절 링(330)을 구비한다.
렌즈 모듈(310)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구비한다. 이러한 렌즈는 카메라 장치(10)의 사용에 따라 적절한 개수와 적절한 기능의 렌즈일 수 있다.
삽입부(320)는 렌즈 모듈(310)이 본체부(100)에 수용되는 측 단부에 형성된다.
조절 링(330)은 일측이 삽입부(320)와 체결되고 타측은 본체부(100)의 수용부(120) 및 잠금 링(200)과 체결되어 렌즈부(300)가 본체부(100)에 조립될 때 본체부(100)에 직접 체결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렌즈부(300)의 조절 링(330)이 본체부(100)의 수용부(120)에 수용되어 조립될 때 잠금 링(200)이 수용부(120)에 밀착하여 수평을 유지함으로써 본체부(100)에 실장된 센서 보드와 잠금 링(200) 또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잠금 링(200)이 센서 보드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면서 조절 링(330)을 수용부(120)에 고정시킴으로써 렌즈부(300)가 기울어짐 없이 센서 보드에 직각 상태를 유지하면서 본체부(100)에 고정되어 조립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부(3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조절 링(33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렌즈 모듈(310)의 수용부(120)에 삽입되는 측 단부에 형성된 삽입부(320)의 외주면과 조절 링(330)의 내부에 형성된 홈의 내주면(331)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나사산의 치합에 의해 삽입부(320)가 조절 링(330)의 내부로 삽입되어 조절 링(330)과 렌즈 모듈(310)이 서로 체결된다.
조절 링(330)의 외주면(332)에는 조절 링(330)이 본체부(100)의 수용부(120)에 조립될 때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절 링(330)의 수용부(120)를 향하는 면에는 조절 링(330)이 수용부(120)에 체결되기 위해 나사 치합에 의해 회전될 때 조절 링(330)이 수용부(120)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고 체결되어 센서 보드의 중심과 렌즈의 중심이 일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환형 홈(333)과 환형 돌기(334)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10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부(100)의 수용부(120)에는 렌즈부(300)의 조절 링(330)의 환형 홈(333)과 체결되는 가이드 돌기(121)와 렌즈부(300)의 환형 돌기(334)와 체결되는 가이드 홈(1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120)의 가이드 홈(122)의 외주면(123)에는 조절 링(330)의 외주면(332)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절 링(330)이 수용부(120)에 삽입되어 조립될 때 수용부(120)의 가이드 돌기(121)가 조절 링(330)의 환형 홈(333)에 삽입되어 체결되고, 조절 링(330)의 환형 돌기(334)가 수용부(120)의 가이드 홈(122)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조절 링(330)의 외주면(123)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과 수용부(120)의 가이드 홈(122)의 외주면(123)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이 서로 나사 치합을 이루어 조절 링(330)이 본체부(100)의 수용부(120)에 고정된다.
한편, 수용부(120)의 조절 링(330)을 향하는 면, 바람직하게는 잠금 링(200)이 체결되는 면에 정지 핀(124)이 잠금 링(200)이 체결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잠금 링(200)이 수용부(120)에 결합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잠금 링(200)의 수용부(120)를 향하는 측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잠금 링(200)은 조절 링(330)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원통형 중공부재로 이루어지며, 중공부의 내주면(210)은 수용부(120)의 가이드 홈(122)의 외주면(123)과 그 크기가 같도록 형성되고, 외주면(220)은 수용부(120)의 외주면(125)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잠금 링(200)을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쉽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잠금 링(200)의 외주면(220)은 조절 링(330)이 잠금 링(200) 내에 삽입되어 체결되었을 때 조절 링(330)을 기준으로 잠금 링(20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잠금 링(200)의 수용부(120)를 향하는 면(230)에는 잠금 링(200)의 내주면(210)과 외주면(220) 사이의 면에 내주면(210)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잠금 가이드 홈(240)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는 잠금 가이드 홈(240)이 형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잠금 링(200)에 형성되어 있는 잠금 가이드 홈(240)은 잠금 링(200)이 조절 링(330)을 통해 수용부(120)에 체결될 때, 잠금 링(200)이 수용부(120)에 밀착되어도 수용부(120)에 형성되어 있는 정지 핀(124)에 의해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잠금 가이드 홈(240)은 잠금 링(200)이 조절 링(330)을 통해 수용부(120)에 체결된 상태에서 잠금 링(200)의 회전에 의해 조절 링(300)이 수용부(120)에 고정되거나 고정 해제될 때 정지 핀(124)을 기준으로 하는 잠금 링(20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한다.
한편, 잠금 링(200)의 내주면(210)에 형성된 나사산의 시작 부분, 즉 내주면(210)에 형성된 나사산 중에서 수용부(120)측에서 시작되는 나사산의 시작 부분과 수용부(120)의 가이드 대향하는 시작 부분과 수용부(120)의 가이드 홈(122)의 외주면(123)에 형성된 나사산의 끝 부분, 즉, 외주면(123)에 형성된 나사산 중에서 잠금 링(200) 측에서 끝나는 부분이 일치하도록 가공되어 있어, 잠금 링(200)이 잠금 가이드 홈(240)의 범위 내에서 고정되거나 고정 해제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10)의 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서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부(100)의 하우징(110) 내에 이미지 센서(111)를 실장한 센서 보드(112)가 장착되어 있다.
본체부(100)의 하우징(110)에 형성된 수용부(120)에 조절 링(330)이 삽입되어 체결되고, 조절 링(330)의 내부에는 삽입부(320)가 삽입되어 체결되면서 렌즈 모듈(310)이 조절 링(330)을 개재하여 본체부(100)에 조립된다. 이 때, 조절 링(330)이 환형 홈(333)과 환형 돌기(334)를 통해 수용부(120)의 가이드 돌기(121)와 가이드 홈(122)과 결합함으로써 수용부(120)에 체결된다.
그리고, 조절 링(330), 잠금 링(200) 및 수용부(120)가 서로 접하는 면(XP)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을 이용하여 서로 나사 치합된다.
또한, 잠금 링(200)은 잠금 가이드 홈(240)에 삽입되는 수용부(120)의 잠금 핀(124)에 의해 조절 링(330)을 기준을 하는 회전 범위가 제한된다.
이와 같이, 조절 링(330)이 렌즈부(300)를 본체부(100)에 조립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잠금 링(200)의 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조절 링(330)이 수평으로 회전 이동하여 확실하게 잠금 고정된다. 이와 같이 렌즈부(300)가 본체부(100)에 고정될 때 잠금 링(200)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면서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렌즈부(300)의 렌즈가 본체부(100)의 센서 보드(112)에 직각 상태를 벗어나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조절 링(330)이 잠금 링(200)에 의해 본체부(100)의 수용부(120)에 잠금 고정된 상태에서 잠금 링(200)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조절 링(33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수용부(120)의 잠금 핀(124)과 잠금 링(200)의 잠금 가이드 홈(240)에 의한 잠금 링(200)의 회전 범위의 제한은 상기와 같은 잠금 링(200)의 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한 조절 링(330) 잠금 기능과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한 조절 링(330) 잠금 해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범위 이상으로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조절링(330)이 환형 홈(333)과 환형 돌기(334)를 통해서 수용부(120)의 가이드 돌기(12)와 가이드 홈(122)에 체결됨으로써 렌즈부(300)가 분체부(100)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을 통해 조절링(330)이 수용부(120)에 체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절링(330)이 수용부(120)에 다른 방식으로 체결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렌즈부(3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조절 링(330)의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렌즈 모듈(310)의 수용부(120)에 삽입되는 측 단부에 형성된 삽입부(320)의 외주면과 조절 링(330)의 내부에 형성된 홈의 내주면(331)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나사산의 치합에 의해 삽입부(320)가 조절 링(330)의 내부로 삽입되어 조절 링(330)과 렌즈 모듈(310)이 서로 체결된다.
조절 링(330)의 외주면(332)에는 조절 링(330)이 본체부(100)의 수용부(120)에 조립될 때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절 링(330)의 수용부(120)를 향하는 면에는 조절 링(330)이 수용부(120)에 체결되기 위해 나사 치합에 의해 회전될 때 조절 링(330)이 수용부(120)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고 체결되어 센서 보드의 중심과 렌즈의 중심이 일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환형 돌기(335)가 조절 링(330)의 외주면(332)의 수용부(120)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환형 돌기(335)는 조절 링(330)의 외주면(332)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조절 링(330)이 수용부(120)에 수용될 때 환형 돌기(335)에 의해 수용부(120) 내에 밀착되어 체결되고, 조절 링(330)이 수용부(120)에 나사 치합되어 회전될 때 환형 돌기(335)의 밀착 체결로 인해 렌즈부(300)가 기울어짐 없이 센서 보드에 직각 상태를 유지하면서 본체부(100)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100)의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체부(100)의 수용부(120)에는 렌즈부(300)의 조절 링(330)의 환형 돌기(335)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126)과, 조절 링(330)의 외주면(332)과 체결되는 가이드 돌기(12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120)의 가이드 돌기(127)의 외주면에는 조절 링(330)의 외주면(332)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절 링(330)이 수용부(120)에 삽입되어 조립될 때 조절 링(330)의 환형 돌기(335)가 수용부(120) 내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126)에 위치하여 체결되고, 조절 링(330)의 외주면(332)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과 수용부(120)의 가이드 돌기(127)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이 서로 나사 치합을 이루어 조절 링(330)이 본체부(100)의 수용부(120)에 체결된다.
한편, 수용부(120)의 조절 링(330)을 향하는 면, 바람직하게는 잠금 링(200)이 체결되는 면에 정지 핀(124)이 잠금 링(200)이 체결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장치(10)의 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에서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부(100)의 하우징(110) 내에 이미지 센서(111)를 실장한 센서 보드(112)가 장착되어 있다.
본체부(100)의 하우징(110)에 형성된 수용부(120)에 조절 링(330)이 삽입되어 체결되고, 조절 링(330)의 내부에는 삽입부(320)가 삽입되어 체결되면서 렌즈 모듈(310)이 조절 링(330)을 개재하여 본체부(100)에 조립된다. 이 때, 조절 링(330)이 환형 돌기(335)를 통해 수용부(120)의 가이드 홈(126)과 결합되고, 외주면(332)을 통해 가이드 돌기(127)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함으로써 수용부(120)에 체결된다.
그리고, 조절 링(330), 잠금 링(200) 및 수용부(120)가 서로 접하는 면(XP)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을 이용하여 서로 나사 치합된다.
또한, 잠금 링(200)은 잠금 가이드 홈(240)에 삽입되는 수용부(120)의 잠금 핀(124)에 의해 조절 링(330)을 기준을 하는 회전 범위가 제한된다.
이와 같이, 조절 링(330)이 렌즈부(300)를 본체부(100)에 조립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잠금 링(200)의 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조절 링(330)이 수평으로 회전 이동하여 확실하게 잠금 고정된다. 이와 같이 렌즈부(300)가 본체부(100)에 고정될 때 잠금 링(200)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면서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이 렌즈부(300)의 렌즈가 본체부(100)의 센서 보드(112)에 직각 상태를 벗어나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조절 링(330)이 잠금 링(200)에 의해 본체부(100)의 수용부(120)에 잠금 고정된 상태에서 잠금 링(200)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조절 링(33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수용부(120)의 잠금 핀(124)과 잠금 링(200)의 잠금 가이드 홈(240)에 의한 잠금 링(200)의 회전 범위의 제한은 상기와 같은 잠금 링(200)의 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한 조절 링(330) 잠금 기능과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한 조절 링(330) 잠금 해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범위 이상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3)

  1. 촬상 소자가 실장된 센서 보드를 구비하는 본체부;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렌즈부;
    일측이 상기 렌즈부와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부와 체결되어 상기 렌즈부가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도록 하는 조절 링; 및
    상기 조절링과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어 상기 렌즈와 상기 센서 보드가 직각 상태가 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렌즈와 상기 센서 보드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렌즈부를 상기 본체부에 고정시키거나 고정되어 있는 상기 렌즈부를 고정 해제시키는 잠금 링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센서 보드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렌즈부가 장착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부가 상기 조절 링을 통해 상기 본체부에 장착될 때 상기 렌즈와 상기 센서 보드가 수직 상태 및 중심 일치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잠금 링과의 체결을 유지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링의 상기 본체부가 체결되는 면에 환형 돌기와 환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조절 링이 체결되는 면에 상기 환형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과 상기 환형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 링이 상기 본체부에 체결될 때 상기 조절 링과 상기 본체부가 나사산 결합을 통해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환형 돌기 및 환형 홈과 상기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의 체결에 의해 상기 조절 링이 상기 수용부에 대해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기 센서 보드에 대해 직각으로 이동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렌즈와 상기 센서 보드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그 중심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배치되는 렌즈 모듈; 및
    상기 렌즈 모듈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는 측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부
    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링은 일측이 상기 삽입부와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잠금 링과 체결되어 상기 렌즈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될 때 상기 렌즈와 상기 센서 보드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그 중심축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부에 직접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링의 상기 조절 링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조절 링이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거나 고정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링이 상기 조절 링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조절 링이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수용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조절 링이 고정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기 잠금 링과 체결되는 면에 적어도 하나의 정지 핀이 상기 잠금 링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 링의 상기 수용부와 체결되는 면에 상기 정지 핀이 삽입되는 잠금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가이드 홈은 상기 잠금 링이 상기 수용부에 체결되어 상기 조절 링을 기준으로 회전될 때 상기 잠금 링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링에는 상기 조절 링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조절 링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과 나사 치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조절 링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의 외주면에는 상기 조절 링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과 나사 치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링이 상기 잠금 링과 나사 치합되어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와 나사 치합되어 체결될 때, 상기 잠금 링의 상기 잠금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상기 수용부의 상기 정지 핀이 형성되어 있는 면이 서로 접하도록 상기 잠금 링이 상기 조절 링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링의 외주면은 상기 잠금 링이 상기 조절 링을 기준으로 회전이 용이하도록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13. 촬상 소자가 실장된 센서 보드를 구비하는 본체부;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렌즈부;
    일측이 상기 렌즈부와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부와 체결되어 상기 렌즈부가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도록 하는 조절 링; 및
    상기 조절링과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어 상기 렌즈와 상기 센서 보드가 직각 상태가 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렌즈와 상기 센서 보드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렌즈부를 상기 본체부에 고정시키거나 고정되어 있는 상기 렌즈부를 고정 해제시키는 잠금 링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 링의 상기 본체부가 체결되는 면에 상기 조절 링의 중심과 반대 방향으로 환형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조절 링이 체결되는 면에 상기 환형 돌기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환형 돌기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과 상기 조절 링의 외주면과 나사 치합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절 링이 상기 본체부에 체결될 때 상기 조절 링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부의 가이드 돌기 사이의 나사산 결합을 통해 체결되는 동시에 상기 나사산 결합될 때 상기 본체부의 가이드 홈이 상기 조절 링의 환형 돌기의 회전을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조절 링이 상기 센서 보드에 대해 직각으로 이동되어 체결되어 상기 렌즈와 상기 센서 보드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그 중심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장치.
KR1020110014790A 2011-02-18 2011-02-18 카메라 장치 KR101256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790A KR101256220B1 (ko) 2011-02-18 2011-02-18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790A KR101256220B1 (ko) 2011-02-18 2011-02-18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241A KR20120095241A (ko) 2012-08-28
KR101256220B1 true KR101256220B1 (ko) 2013-04-19

Family

ID=46885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790A KR101256220B1 (ko) 2011-02-18 2011-02-18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2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002A (ko) * 2019-03-27 2020-10-08 징화 산 클램핑 기구 및 핸드헬드 짐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040B1 (ko) * 2015-01-23 2022-03-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카메라의 렌즈 배럴 고정 장치
CN110780413A (zh) * 2019-11-07 2020-02-11 宁波为森智能传感技术有限公司 一种成像镜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516U (ko) * 1998-01-24 1999-08-25 권태웅 고체 촬상소자 카메라의 초점 조절장치
KR20000008393U (ko) * 1998-10-21 2000-05-15 유무성 감시용 카메라의 초점조절링 고정구조
JP2005070712A (ja) * 2003-08-01 2005-03-17 Canon Inc 交換レンズ、交換レンズ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4516U (ko) * 1998-01-24 1999-08-25 권태웅 고체 촬상소자 카메라의 초점 조절장치
KR20000008393U (ko) * 1998-10-21 2000-05-15 유무성 감시용 카메라의 초점조절링 고정구조
JP2005070712A (ja) * 2003-08-01 2005-03-17 Canon Inc 交換レンズ、交換レンズ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002A (ko) * 2019-03-27 2020-10-08 징화 산 클램핑 기구 및 핸드헬드 짐벌
KR102225669B1 (ko) * 2019-03-27 2021-03-15 징화 산 클램핑 기구 및 핸드헬드 짐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241A (ko) 201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3667B (zh) 具有可旋轉透鏡鏡筒的成像設備
JP2018066813A (ja) 撮像装置およびマウントアダプタ
EP3351984B1 (en) Mirror holding mechanism
WO2018097053A1 (ja) 撮像装置
US7280291B2 (en) Lens barrel
KR101256220B1 (ko) 카메라 장치
JP2007096830A (ja) 撮像素子のあおり調整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影装置
KR20120052887A (ko) 촬상 장치 및 렌즈 장치
JP5258309B2 (ja) 光学防振装置及び光学機器
JP2018159746A (ja) 撮像装置
US7072122B2 (en) Lens apparatus, projection type optical apparatus and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JP6500240B2 (ja) レンズ鏡筒
JP200705218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118027B1 (ko) 카메라 모듈
JP2011154309A (ja) 監視カメラ用レンズ装置
JP2014052507A (ja) 偏光フィルターの取付構造
JP2008141231A (ja) 鏡筒回転型撮像装置
JP2000131584A (ja) テレビカメラ装置
KR100842424B1 (ko) 형광 촬영장치
US20230152576A1 (en) Image pickup apparatus
KR101865772B1 (ko) 백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cctv용 카메라
JP5590949B2 (ja) 撮影レンズにおける前面アクセサリの着脱機構
JP2015031727A (ja) レンズ交換型カメラ
JP7293615B2 (ja) マウント、レンズ鏡筒、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TWI416239B (zh) 鏡頭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