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464B1 - 프레임 조인트 - Google Patents

프레임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464B1
KR101865464B1 KR1020160063935A KR20160063935A KR101865464B1 KR 101865464 B1 KR101865464 B1 KR 101865464B1 KR 1020160063935 A KR1020160063935 A KR 1020160063935A KR 20160063935 A KR20160063935 A KR 20160063935A KR 101865464 B1 KR101865464 B1 KR 101865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horizontal
support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3025A (ko
Inventor
김은회
김홍석
조재만
Original Assignee
김은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회 filed Critical 김은회
Priority to KR1020160063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464B1/ko
Publication of KR20170133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96Corner joints or edge joints for windows, doors, or the like frames 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8Hasps; Hasp fastenings; Spring catch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52Frames;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을 연결하여 창호틀을 이루는 프레임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하면서 심플한 모양과 다양한 색상으로 프레임을 연결하고, 공간 디자인을 극대화하여 활용도를 높혀 구성함과 동시에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을 프레임 조인트를 이용하여 창호틀 조립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레임 조인트{FRAME JOINT}
본 발명은 프레임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딩도어 창호의 외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부속으로 프레임 하드웨어를 구별하여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프레임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이식으로 제조되는 폴딩도어는 심플한 모양과 다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있어 공간 디자인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제품으로서 90% 이상 개폐가 가능하며 복합 문화 공간, 상업공간, 사무 공간, 주거 공간 등 모든 공간에 활용도를 높힌 접이식 시스템 창호로서,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결합에는 브라켓인 프레임 조인트가 사용된다. 상기 프레임 조인트를 이용하여 결합한 폴딩 도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프레임 조인트를 이용하여 1개의 도어를 만들고 여러개의 도어를 나란하게 배열하고 도어와 도어를 경첩을 이용하여 연결 후 사용한다. 즉,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의 코너를 프레임 조인트를 이용하여 연결하고, 완성된 폴딩 도어 하부가 레일을 따라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폴딩 도어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연결시 피스를 이용하여 연결하므로 작업 공정이 복잡하고 정밀 시공이 불가능하다. 이를 보완하도록 나사 결합을 최소화하여 수직/수평 프레임을 연결하고 수평 프레임 내에 수직 프레임 위치를 간편하게 변경하도록 구성한 프레임 조인트가 사용되었으나 쉽게 변형이 되고, 단단하게 고정되지 않아 만족스럽지 못해 더욱 양호한 프레임 조인트가 요구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프레임 조인트는 결합뿐 아니라 통상 도어의 상하부 가스켓이 EPDM 고무의 2종 가스켓 구조로 설계되어 있어 에너지 절감 효과와 동시에 통풍, 환기성 증대, 공간 분할 기능을 실현시 양호하고, 이를 통해 폴딩 도어의 프레임을 단단하게 결합하고 공간 창출이 가능하게 구성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프레임 조인트를 이용하여 제작하는 폴딩 도어는 상업 공간의 경우 내부 공간의 개방으로 인하여 심미성과 접근성이 향상되어 구매력 증대의 효과가 있어야 하며, 현재 사용하는 모든 도어를 부식에 강하도록 알루미늄과 스텐레스 재질의 자재를 사용하여 제품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해야 한다. 또한, 제품의 표면을 내구성이 높은 불소 수지의 고성능 도장으로 마감하여 염분이 높은 바닷가 등의 악천후의 조건에서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하고 수회 사용하여도 프레임 결합부가 헐거워지거나 결합력이 약해져서도 안된다. 보통, 도어 형태를 이루는 프레임 결합은 종래에는 용접 방식과 브라켓을 이용하여 끼워주는 방식이 사용되는데, 용접 방식은 작업 공정이 많고 용접면을 다시 연마하여야 하므로 불편하여 프레임 조인트와 같은 브라켓을 끼우는 방식을 선호하나, 조립 후 외부의 힘에 의해 찌그러지거나 결합력이 약해져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프레임 조인트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의 결합을 단단히 하고, 결합에 따른 창호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제품의 이용 부분을 EPDM으로 마감처리 하고 냉난방시 발생되는 금속의 열 전도성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을 차단하기 위하여 원자재 생산 단계에서부터 창호 전용 고성능 단열재인 플리 아미드와 아존을 혼합 적용하여 단열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히도록 구성해야 한다.
종래에는 창호틀에 사용하는 프레임을 조인트(서로 연결) 하기 위해서는 창호의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용 하드 웨어를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연결 부위를 서로 맞추고 기역자(ㄱ) 조인트 등을 연결 후, 나사등의 피스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연결하여 폴딩도어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창호 시스템을 설치하는 장소가 협소한 곳에서는 도어 특성 상, 조립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하나 하나 피스로 고정해야 하는 경우가 생겨 작업 능률이 좋지 못했던 것이 문제점이다.
또한, 조립시 작업자의 경험에 따라 피스를 사용하여 창호틀이 완성되므로 정해진 규격으로 완성하기 힘들고 또한, 조립시 약간 뒤틀리거나 휘어, 프레임 도어틀이 제대로 안맞는 경우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러한 프레임 조립 작업을 간단히 하고자 각각의 프레임에 프레임 조인트를 끼운 후, 프레임 고정 수직판을 삽입하여 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 고정 수직판은 세로로 삽입되어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끼우는데, 상기 고정 수직판을 힘을 가해 당긴 후 가로 프레임 지지대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세로 프레임 지지대와 가로 프레임 지지대가 고정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레임 조인트는 창호틀의 세로 프레임을 지지하는 판 형태의 세로 프레임 지지대와, 상기 세로 프레임 지지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창호틀의 가로 프레임을 지지하는 가로 프레임 지지대와, 상기 가로 프레임 지지대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통로를 따라 움직이는 프레임 고정 수직판을 포함하며, 상기 가로 프레임 지지대는 가로 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에 반원 모양의 가로 프레임 걸이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측의 가로 프레임 걸이 돌출부에서 상부측 가로 프레임 걸이 돌출부까지 가이드 통로를 따라 상기 프레임 고정 수직판이 움직여 세로 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프레임 고정 수직판은 상기 가로 프레임 지지대 하부에서 수직으로 가이드 통로에 삽입되어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까지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세로 프레임 지지대 및 가로 프레임 고정대, 프레임 고정 수직판에는 각각 피스 구멍을 형성하여 피스에 의해 가로 및 세로 프레임 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로 프레임 지지대에 형성된 가이드 통로는 ㄱ 자 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창호틀 조립시 발생하는 프레임의 뒤틀림, 내구성 저하를 개선하고 창호틀 자체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 편리성, 조립의 용이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조인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조인트의 고정 수직판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고정 수직판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창호틀은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데, 세로 프레임은 폴딩 도어 구동 시스템중 가이드 및 처짐을 방지하며, 폴딩 도어의 용도에 따라 그에 알맞는 가이드 롤러를 사용할 수 있을 뿐아니라, 롤러로 인해 정숙성 및 개폐시 부드러운 주행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창호틀에서 작동하는 폴딩 도어 구동 시스템 중 주행과 도어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활을 하는 베어링을 사용한 구동축을 도어의 경첩과 연결하여 작동하고, 정숙성 및 주행성이 우수하게 하기 위해서는 창호틀을 구성하는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프레임 조인트가 견고하고 정확하게 연결할 수 있어야만 창호틀에서 작동하는 폴딩 도어의 뒤틀림 없이 양호하게 동작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조인트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레임 조인트는 세로 프레임 지지대(10), 상기 세로 프레임 지지대에 수직으로 연결된 가로 프레임 지지대(20), 상기 가로 프레임 지지대에서 가로 방향에서 세로 방향으로 90도 움직이는 프레임 고정 수직판(30)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로 프레임은 프레임 조인트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로 프레임 걸이 돌출부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끼워지며 세로 프레임은 프레임 고정 수직판(30)과 세로 프레임 지지대(10)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창호틀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프레임 조인트를 이용하여 연결 구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조인트에 결합된 고정 수직판을 분해한 도면으로서, 프레임 조인트는 크게 세로 프레임 지지대(10)와 가로 프레임 지지대(20), 각 프레임을 연결하는 프레임 조인트와, 가로 프레임 지지대에 형성된 가이드 통로(23)를 따라 움직이는 프레임 고정 수직판(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레임 조인트는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레임을 수직으로 연결하는데, 실제 창호 시스템을 구성하는 가로 및 세로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조인트의 세로 방향으로는 세로 프레임 지지대(10)가 판 형태로 형성되고, 그 판의 중앙 부분에는 세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조인트의 세로 프레임 지지대(10)를 피스를 이용하여 연결하도록 피스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로 프레임 지지대(10)에는 수직으로 가로 프레임 지지대(20)가 연결되는데, 상기 가로 프레임 지지대(20) 상부 및 하부 쪽으로는 가로 프레임에 끼워지도록 반원 형태의 2개의 가로 프레임 걸이 돌출부(22)가 형성되며 상기 2개의 가로 프레임 돌출부(22) 사이에 형성된 홈에 가로 프레임이 끼워져 프레임 조인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로 프레임 지지대(20) 하부에는 세로 프레임 지지대(10)와 마찬가지로 판 형태의 가로 프레임 고정대(40)가 설치되어 가로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대(40)에는 가로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피스 구멍(41)이 형성되어 이 피스 구멍을 통해 가로 프레임과 프레임 조인트를 고정한다.
상기 가로 프레임 지지대(20) 하측에 형성된 가로 프레임 걸이 돌출부(22)에는 내측으로 ㄱ 자 형태로 프레임 고정 수직판 가이드 통로(23)가 형성되어 도시된 프레임 고정 수직판(30)이 가로 프레임 지지대(20) 하부에서 상부로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 고정 수직판(30)은 끼워진 후, 수직판 걸이에 의해 ㄱ 자 가이드 통로(23)를 따라 움직이며, 추후 끼워진 상태에서 세로로 세운 후, 세로 프레임과 고정할 수 있도록 수직판 피스 구멍(32)이 형성되어 이 구멍을 통해 피스로 연결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프레임 고정 수직판(30)이 끼워진 상태에서 가로 프레임 지지대(2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좌우에 프레임 고정 수직판 걸이(31)가 형성되어 일단 삽입되면 가로 프레임 지지대에 형성된 프레임 고정 수직판 가이드 통로(23)에 걸려 프레임 지지대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즉, 상기 프레임 고정 수직판은 세로 프레임 지지대와 나란히 가로 프레임 지지대 하부에 형성된 프레임 고정 수직판 가이드 통로에 삽입되어 세로 프레임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프레임 조인트의 고정 수직판(30)을 결합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고정 수직판(30)이 가로 프레임 지지대(20)의 하부에서 상부로 삽입되면 도 1의 사시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 수직판(30)이 가로 프레임 지지대를 완전히 통과하여 삽입되어 가로 프레임 지지대(20)와 나란하게 놓이게 되고 프레임과 결합할 때에는 세로로 세로 프레임 지지대와 나란히 세워 피스 구멍(32)을 통해 세로 프레임과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프레임 고정 수직판(30)은 가로 프레임 지지대 하부에 형성된 수직판 가이드 통로를 따라 움직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위치하여 세로로 설치되는 세로 프레임에 부착하여 창호틀 시스템을 구성한다.
다시 말하면 가로 프레임 지지대(20)를 기준으로 프레임 고정 수직판(30)을 세로 방향으로 끼우면서 가로 방향으로 당겨 가로 프레임과 나란히 한 상태에서,프레임을 고정 할 때에는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세워 상기 프레임 고정 수직판(30)을 세로 프레임에 부착하고 좀더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세로 프레임 피스 구멍(11), 수직판 피스 구멍(32), 가로 프레임 피스 구멍(41) 각각에 피스를 고정하여 프레임 조인트를 이용하여 세로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을 연결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하나의 폴딩 도어를 완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일반적으로 종래에 사용하는 결합 방식보다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창호 시스템 설치시 현장에서 프레임 크기에 오차가 있어도 프레임을 알맞게 절단하여 바로 수정 시공을 할 수 있으며 또한, 폴딩 도어 특성상 접이식으로 사용하는 경우 고 하중으로 발생되는 창호 틀의 뒤틀림과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창호틀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창호틀의 세로 프레임에 삽입되는 판 형태의 세로 프레임 지지대와,
    상기 세로 프레임 지지대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창호틀의 가로 프레임에 삽입되는 가로 프레임 지지대와,
    상기 가로 프레임 지지대 하측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 통로를 따라 움직이는 판 형태의 프레임 고정 수직판을 포함하며,
    상기 가로 프레임 지지대는 가로 방향으로 외측의 상부 및 하부에 반원 모양의 가로 프레임 걸이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측의 가로 프레임 걸이 돌출부에서 상부측 가로 프레임 걸이 돌출부까지 형성된 ㄱ자 형태의 가이드 통로를 따라 상기 프레임 고정 수직판이 수직으로 움직여 세로 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조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고정 수직판은 상기 가로 프레임 지지대 하부에서 수직으로 ㄱ 자 형태의 가이드 통로에 삽입되어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까지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조인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프레임 지지대 및 가로 프레임 고정대, 프레임 고정 수직판에는 각각 피스 구멍을 형성하여 피스에 의해 가로 및 세로 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조인트.
  4. 삭제
KR1020160063935A 2016-05-25 2016-05-25 프레임 조인트 KR101865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935A KR101865464B1 (ko) 2016-05-25 2016-05-25 프레임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935A KR101865464B1 (ko) 2016-05-25 2016-05-25 프레임 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025A KR20170133025A (ko) 2017-12-05
KR101865464B1 true KR101865464B1 (ko) 2018-06-07

Family

ID=6092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935A KR101865464B1 (ko) 2016-05-25 2016-05-25 프레임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4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138U (ko) * 2009-01-02 2010-07-12 이석춘 창문틀식 구조물의 프레임용 커넥터
US20110120044A1 (en) * 2003-10-14 2011-05-26 Bartlett Garry F Door Edge Construction
KR200476100Y1 (ko) * 2014-11-19 2015-02-04 (주)아도 문짝 프레임 결합 장치
KR101550547B1 (ko) * 2014-07-23 2015-09-07 김기헌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딩도어 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20044A1 (en) * 2003-10-14 2011-05-26 Bartlett Garry F Door Edge Construction
KR20100007138U (ko) * 2009-01-02 2010-07-12 이석춘 창문틀식 구조물의 프레임용 커넥터
KR101550547B1 (ko) * 2014-07-23 2015-09-07 김기헌 프레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딩도어 프레임
KR200476100Y1 (ko) * 2014-11-19 2015-02-04 (주)아도 문짝 프레임 결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025A (ko)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1119B2 (en) Windows and doors assembly structure having a joint portion of 45 degrees
US20170191679A1 (en) Window air conditioner
RU2001129495A (ru) Система монтажа для термоакустических окон
KR101865464B1 (ko) 프레임 조인트
KR20170133023A (ko) 코너 브라켓
JP2010270547A (ja) 太陽電池パネル用フレーム
KR101404424B1 (ko) D.i.y 조립식 창고
KR101797061B1 (ko) 체결력이 강화된 알루미늄 창문프레임의 조립구조
KR20110003068A (ko) 알루미늄 창호의 글레이징 비드 결합체
US20180345161A1 (en) Method for assembling wall segments for miniature model buildings
KR101933133B1 (ko) 조립식 프레임 구조
JP5461375B2 (ja) 建具
KR102221840B1 (ko) 미서기 창호
KR101077529B1 (ko) 유리문용 경첩
JP6171188B2 (ja) 建具
JP6563199B2 (ja) 建具
JP2008266924A (ja) 框組み建具
KR20070099160A (ko) 넉다운 파티션 결합장치
KR20160003308U (ko) 미닫이문용 프레임
KR101077987B1 (ko) 힌지공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자동 닫힘 도어용 힌지고정구
WO2007042031A2 (en) A panel elem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anel element
KR20170056871A (ko) 강도가 보강된 방화문
KR101721223B1 (ko) 갤러리 창호
KR100657802B1 (ko) 토출구프레임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CN206617065U (zh) 一种百叶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