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017B1 -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017B1
KR101865017B1 KR1020180005795A KR20180005795A KR101865017B1 KR 101865017 B1 KR101865017 B1 KR 101865017B1 KR 1020180005795 A KR1020180005795 A KR 1020180005795A KR 20180005795 A KR20180005795 A KR 20180005795A KR 101865017 B1 KR101865017 B1 KR 101865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oading box
elevating
main body
gp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휘영
Original Assignee
채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휘영 filed Critical 채휘영
Priority to KR1020180005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0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well-logging
    • G01V3/3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well-logging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2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W2300/14Tractor-trailers, i.e. combinations of a towing vehicle and one or more towed vehicles, e.g. caravans; Road trains
    • B60W2300/145Semi-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B60W2420/52
    • B60W2550/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10Aspects of acoustic signal generation or detection
    • G01V2210/12Signal generation
    • G01V2210/129Source location
    • G01V2210/1295Land su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10Aspects of acoustic signal generation or detection
    • G01V2210/14Signal detection
    • G01V2210/142Receiver location
    • G01V2210/1429Subsurface, e.g. in borehole or below weathering layer or mud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일러에 구비된 승강 유닛에 의하여 탐사 유닛이 승강 가능한 구조로부터, 탐사와 운반 주행이 매우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TRAILER FOR MOBILE GROUND PENETRATING RADAR WITH LIFTING FUNCTION}
본 발명은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탐사와 운반 주행이 매우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싱크홀과 같이 육안으로 파악하기 힘든 지하 공간속의 위험 요인들은 사전에 예측하기 어려운 것이다.
특히, 노면의 지하 시설물 관리는 도시 인프라의 노후화로 인하여 도로 함몰이나 싱크홀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추세에서 도로 주행 환경의 안전을 도모하고 도로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확보하기 위하여 강력하게 요구되는 사항이라 하겠다.
지표투과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이하 GPR) 탐사는 지하 시설물의 정확한 매설위치와 설치된 깊이 정도를 사전에 알 수 없는 경우에 금속 및 비금속 지하매설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가장 신뢰할만한 탐사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등록특허 제10-1241313호의 "지하 탐사 레이더를 이용한 포장 도로 안전 진단 시스템 및 방법"(이하 선행기술)과 같은 차량형 GPR은 통상, 도로상에서 교통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속도로 주행하면서도 정확하게 탐사할 수 있어여 하며, 한번 탐사시에 도로폭 전체를 탐사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탐사 폭을 확보하는 것이 관건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을 포함한 기존의 GPR 탐사장치는 안테나를 차량에 설치하고 해체하는데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노동력의 낭비 또한 극심하였던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24131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탐사와 운반 주행이 매우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에 연결되며 적재 공간이 구비된 적재함을 포함하는 트레일러; 상기 적재함에 적재 가능하며, 상기 적재함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노면에 근접 배치되어 노면 하부의 씽크홀을 탐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표투과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이하 GPR)를 포함하는 탐사 유닛; 및 상기 적재함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탈착 결합된 상기 GPR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적재함의 상하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승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탐사 유닛은, 제1 길이를 가지는 폭과,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를 가지는 길이와,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3 길이를 가지는 두께를 가지며 상기 GPR이 내장되고, 상기 승강 유닛에 의하여 상기 적재함의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는 GPR 본체와, 상기 GPR 본체의 전방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전방 캐스터와, 상기 GPR 본체의 후방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후방 캐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탐사 유닛은 상기 차량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GPR 본체(이하 제1 본체)와 이웃한 GPR 본체(이하 제2 본체)의 좌우측면을 상호 맞닿게 연결되어 상기 승강 유닛에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탐사 유닛은, 상기 제1 본체의 전방 측면과 연결되는 상기 제1 본체의 우측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돌출된 제1 연결편과, 상기 제1 본체의 후방 측면과 연결되는 상기 제1 본체의 우측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연결편과 마주보는 제2 연결편과, 상기 제2 본체의 전방 측면과 연결되는 상기 제2 본체의 좌측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제1 연결편이 삽입되어 맞물리는 제1 연결홈과, 상기 제2 본체의 후방 측면과 연결되는 상기 제2 본체의 좌측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제2 연결편이 삽입되어 맞물리는 제2 연결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탐사 유닛은, 상기 제1 본체의 상면 후방측 가장자리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승강 유닛과 결합되는 제1 체결구와, 상기 제2 본체의 상면 후방측 가장자리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승강 유닛과 결합되는 제2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적재함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탐사 유닛측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윈치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윈치의 후방에 배치되고, 복수로 평행하게 배치된 안착 바를 포함하는 중간 프레임과, 상기 안착 바에 안착 고정되며 상기 윈치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탐사 유닛측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윈치 와이어를 안내하는 마운팅 프레임과, 상기 마운팅 프레임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윈치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적재함의 하면으로부터 노면을 향하여 하강하거나, 상기 노면으로부터 상기 적재함의 하면을 향하여 상승 가능한 승강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 프레임에 상기 탐사 유닛이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적재함에 구비되고, 상기 적재함에 적층되어 적재된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를 파지하는 복수의 클램프들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를 상기 적재함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배출시켜 하강시킨 다음,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를 서로 결합시켜 상기 승강 유닛에 탈착 결합시키는 자동탈착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차량에 연결되며 적재 공간이 구비된 적재함을 포함하는 트레일러; 적재함에 적재 가능하며, 적재함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노면에 근접 배치되어 노면 하부의 씽크홀을 탐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표투과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이하 GPR)를 포함하는 탐사 유닛; 및 적재함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탈착 결합된 GPR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적재함의 상하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승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탐사를 위한 장착 및 체결 조립이 매우 용이함은 물론, 적재와 운반도 별도의 분리와 체결 조립 작업이 필요없이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 공수를 줄이고, 시간과 비용의 대폭적인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탐사 유닛은, 제1 길이를 가지는 폭과,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를 가지는 길이와, 제1 길이보다 짧은 제3 길이를 가지는 두께를 가지며 GPR이 내장되고, 승강 유닛에 의하여 적재함의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는 GPR 본체와, GPR 본체의 전방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전방 캐스터와, GPR 본체의 후방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후방 캐스터를 포함하며, 탐사 유닛은 차량의 폭에 대응하여 GPR 본체(이하 제1 본체)와 이웃한 GPR 본체(이하 제2 본체)의 좌우측면을 상호 맞닿게 연결되어 승강 유닛에 탈착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노면 하부 구조의 최초 탐사시에 도로폭 전체를 탐사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탐사 폭을 확실하게 확보함으로써 세밀하고 많은 다양한 자료 수집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탐사 유닛은, 제1 본체의 전방 측면과 연결되는 제1 본체의 우측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돌출된 제1 연결편과, 제1 본체의 후방 측면과 연결되는 제1 본체의 우측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연결편과 마주보는 제2 연결편과, 제2 본체의 전방 측면과 연결되는 제2 본체의 좌측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함몰되고, 제1 연결편이 삽입되어 맞물리는 제1 연결홈과, 제2 본체의 후방 측면과 연결되는 제2 본체의 좌측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함몰되고, 제2 연결편이 삽입되어 맞물리는 제2 연결홈을 더 구비함으로써, 최대한의 탐사 폭을 확실하게 확보하기 위한 체결 조립 작업이 숙련도에 관계없이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탐사 유닛은, 제1 본체의 상면 후방측 가장자리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승강 유닛과 결합되는 제1 체결구와, 제2 본체의 상면 후방측 가장자리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승강 유닛과 결합되는 제2 체결구를 더 구비함으로써, 탐사 및 운반 주행의 신속한 절환을 위하여 승강 유닛에 대한 탐사 유닛의 체결 상태를 확실하고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승강 유닛은, 적재함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탐사 유닛측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윈치와,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윈치의 후방에 배치되고, 복수로 평행하게 배치된 안착 바를 포함하는 중간 프레임과, 안착 바에 안착 고정되며 윈치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탐사 유닛측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윈치 와이어를 안내하는 마운팅 프레임과, 마운팅 프레임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윈치 와이어와 연결되고, 적재함의 하면으로부터 노면을 향하여 하강하거나, 노면으로부터 적재함의 하면을 향하여 상승 가능한 승강 프레임을 포함하며, 승강 프레임에 탐사 유닛이 탈착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승강 프레임의 단순한 승강 동작만으로도 탐사 유닛의 탐사 작업과, 탐사 유닛의 적재함 장착 운반 주행이 확실하고 신속하게 스위칭될 수 있으므로, 탐사 작업에 필요한 기동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함에 구비되고, 적재함에 적층되어 적재된 제1 본체와 제2 본체를 파지하는 복수의 클램프들을 포함하며, 클램프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제1 본체와 제2 본체를 적재함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배출시켜 하강시킨 다음, 제1 본체와 제2 본체를 서로 결합시켜 승강 유닛에 탈착 결합시키는 자동탈착 유닛을 더 구비함으로써, 탐사 유닛에 의한 탐사 작업이 완전히 마무리되었을 때 탐사 유닛의 분리 수납 및 적재까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그 역과정에 따른 탐사 유닛의 탐사 작업을 위한 탐사 유닛의 승강 유닛에 대한 체결 작업 또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탐사 작업의 사전 준비에 따른 번거로운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의 주요부인 승강 유닛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의 주요부인 탐사 유닛이 승강 유닛 중 승강 프레임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측면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의 주요부인 트레일러의 적재함에 구비된 자동탈착 유닛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의 주요부인 승강 유닛(300)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의 주요부인 탐사 유닛(200)이 승강 유닛(300) 중 승강 프레임(350)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간략히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의 주요부인 트레일러(100)의 적재함(110)에 구비된 자동탈착 유닛(5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면에서 부호 "f"는 전방측을, "r"은 후방측을 각각 가리킨다.
우선,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100)에 구비된 승강 유닛(300)에 의하여 탐사 유닛(200)이 승강 가능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먼저 트레일러(100)는 차량에 연결되며 적재 공간이 구비된 적재함(110)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탐사 유닛(200)은 적재함(110)에 적재 가능하며, 적재함(110)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노면(400)에 근접 배치되어 노면(400) 하부의 씽크홀(이하 미도시)을 탐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표투과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이하 GPR)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승강 유닛(300)은 적재함(110)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탈착 결합된 GPR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적재함(110)의 상하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트레일러(100)는, 적재함(110)과 연결되며 차량에 탈착 결합되는 트레일링 암(101)과, 적재함(110)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지면에 구름 접촉하는 트레일링 휠(102)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트레일링 암(101)은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후술할 승강 유닛(300)의 승강 프레임(35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편, 탐사 유닛(200)은, 도 1과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길이를 가지는 폭과,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를 가지는 길이와, 제1 길이보다 짧은 제3 길이를 가지는 두께를 가지며 GPR이 내장되고, 승강 유닛(300)에 의하여 적재함(110)의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는 GPR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탐사 유닛(200)은, GPR 본체의 전방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전방 캐스터(220)와, GPR 본체의 후방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후방 캐스터(23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탐사 유닛(200)은 차량의 폭에 대응하여 GPR 본체(이하 제1 본체(211))와 이웃한 GPR 본체(이하 제2 본체(212))의 좌우측면을 상호 맞닿게 연결됨으로써, 승강 유닛(300)에 탈착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탐사 유닛(200)은, 도 1의 우측 상부의 확대도와 같이 제1 본체(211)의 전방 측면과 연결되는 제1 본체(211)의 우측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돌출된 제1 연결편(211a)과, 제1 본체(211)의 후방 측면과 연결되는 제1 본체(211)의 우측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연결편(211a)과 마주보는 제2 연결편(211b)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탐사 유닛(200)은, 제2 본체(212)의 전방 측면과 연결되는 제2 본체(212)의 좌측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함몰되고, 제1 연결편(211a)이 삽입되어 맞물리는 제1 연결홈(212a)과, 제2 본체(212)의 후방 측면과 연결되는 제2 본체(212)의 좌측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함몰되고, 제2 연결편(211b)이 삽입되어 맞물리는 제2 연결홈(212b)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탐사 유닛(200)은, 제1 본체(211)의 상면 후방측 가장자리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승강 유닛(300)과 결합되는 제1 체결구(240)와, 제2 본체(212)의 상면 후방측 가장자리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승강 유닛(300)과 결합되는 제2 체결구(2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1 체결구(240)는, 제1 본체(211)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1 고정편(241)과, 제1 고정편(241)의 전방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제1 격벽편(242)과, 제1 격벽편(242)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제1 본체(211)의 전방측을 향하여 절곡된 제1 걸림편(24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승강 유닛(300)의 연장 바(352a)는 제1 격벽편(242)과 제1 걸림편(243)의 절곡된 부위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2 체결구(250)는, 제2 본체(212)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 고정편(251)과, 제2 고정편(251)의 전방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되는 제2 격벽편(252)과, 제2 격벽편(252)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제2 본체(212)의 전방측을 향하여 절곡된 제2 걸림편(25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승강 유닛(300)의 연장 바(352b)는 제2 격벽편(252)과 제2 걸림편(253)의 절곡된 부위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 유닛(30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승강 유닛(300)은, 적재함(110)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310)과, 지지 프레임(3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탐사 유닛(200)측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윈치(320)와, 지지 프레임(3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윈치(320)의 후방에 배치되고, 복수로 평행하게 배치된 안착 바(331)를 포함하는 중간 프레임(3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 유닛(300)은, 안착 바(331)에 안착 고정되며 윈치(3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탐사 유닛(200)측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윈치 와이어(이하 미도시)를 안내하는 마운팅 프레임(3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강 유닛(300)은, 마운팅 프레임(340)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윈치 와이어와 연결되고, 적재함(110)의 하면으로부터 노면(400)을 향하여 하강하거나, 노면(400)으로부터 적재함(110)의 하면을 향하여 상승 가능한 승강 프레임(3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강 프레임(350)에 탐사 유닛(200)의 제1, 2 본체(211, 212)가 탈착 결합되는 것임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때, 지지 프레임(310)은,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적재함(110)에 배치되어 전방과 후방 및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바 들로 이루어진 외곽부(311)와, 외곽부(311)의 전방 가장자리와 평행하게 외곽부(311)의 내측에 배치되는 연결 바(312)와, 외곽부(311) 및 연결 바(312)로부터 각각 동일한 높이로 돌출되는 다각 기둥 형상의 지지 바(313)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윈치(320)는 연결 바(312)에 장착되어 지지 바(313)들에 의하여 지지되고, 중간 프레임(330)은 연결 바(312) 후방측에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함(110)에 배치되고 외곽부(311)와 연결 바(312)와 지지 바(313) 및 윈치(320)와 중간 프레임(330)을 내장하는 구동 박스(36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구동 박스(360)는 윈치(320) 등의 구동 전달계에 이물질이나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물리적 화학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또한, 복수의 지지 바(313)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구동 박스(360) 상부에 적재되는 화물이나 탐사 유닛(200)의 제1, 2 본체(211, 212)의 하중을 적절히 분산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중간 프레임(330)은,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복수의 안착 바(331) 각각의 전방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는 중간 전방 바(332)와, 복수의 안착 바(331)들 중 좌우 양측의 최외곽부(311)에 배치된 안착 바(331) 각각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외곽부(311)의 후방측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바와 연결되는 중간연결 바(3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간 프레임(330)은, 한 쌍의 중간연결 바(333)를 서로 연결하며 복수의 안착 바(331) 각각의 후방측 단부를 각각 연결하고 중간 전방 바(332)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중간 후방 바(3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간 프레임(330)은, 중간 전방 바(332)와 중간 후방 바(334) 사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복수의 안착 바(331) 각각의 상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와이어마운팅 바(335, 335)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중간 프레임(330)은, 한 쌍의 와이어마운팅 바(335, 33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윈치(320)로부터 연결되는 윈치 와이어를 안내하는 복수의 윈치구동 스풀(33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할 마운팅 프레임(340)은 한 쌍의 중간연결 바(333)가 형성된 안착 바(331)에 각각 탑재되어 윈치 와이어를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마운팅 프레임(340)은,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 쌍의 와이어마운팅 바(335, 335)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중간 프레임(330)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마운트 바(341, 34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마운팅 프레임(340)은, 한 쌍의 마운트 바(341, 341) 각각의 좌우 양단부를 상부측에서 연결하며, 한 쌍의 중간연결 바(333)가 형성된 안착 바(331)에 각각 걸림 고정되는 마운트 브라켓(342, 3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운팅 프레임(340)은, 한 쌍의 마운트 바(341, 341) 각각의 좌우 양단부를 하부측에서 연결하며, 한 쌍의 마운트 브라켓(342, 342) 하부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승강 프레임(350)의 최대 상승 지점을 한정하는 승강 규제 바(343, 343)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마운팅 프레임(340)은, 한 쌍의 승강 규제 바(343, 343) 각각의 좌우 양측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노면(400)을 향하여 돌출 연장되고, 승강 프레임(350)이 최대 상승 지점에서 안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승강 프레임(350)의 요동을 규제하는 안착 유지편(344)을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승강 프레임(350)은, 도 3과 같이, 승강 규제 바(343, 343) 각각의 하면에 접촉하는 상면을 가지며 승강 규제 바(343, 343)와 대응하는 위치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승강 지지 바(351, 3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강 프레임(350)은, 한 쌍의 승강 지지 바(351, 351) 각각의 후방측 단부를 연결하며 좌우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연장 바(352a, 352b)를 구비하여, 좌측으로 연장된 연장 바(352a)에 탐사 유닛(200)중 제1 본체(211)의 상면에 형성된 제1 체결구(240)가 걸림 고정되고, 우측으로 연장된 연장 바(352b)에 탐사 유닛(200) 중 제2 본체(212)의 상면에 형성된 제2 체결구(250)가 걸림 고정되는 탈착 지지 바(35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승강 프레임(350)은, 한 쌍의 승강 지지 바(351, 351) 각각의 전방측 단부를 연결하며 노면(400)측으로 연장되어 절곡 배치되고, 탐사 유닛(200) 중 제1 본체(211)의 전방 측면 및 제2 본체(212)의 전방 측면에 각각 접촉 고정되는 전도방지 바(353)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제1, 2 본체(211, 212)의 전방 측면은 전도방지 바(353)에 의하여 지지되고, 제1, 2 본체(211, 212)의 상면 후방측 가장자리는 각각 제1, 2 체결구(240, 250)에 의하여 탈착 지지 바(352)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안정적인 체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승강 유닛(300)은, 도 4와 같이 씽크홀의 탐사시에 GPR이 노면(400)에 구름 접촉하도록 GPR을 노면(400)에 근접하게 하강시키고, 씽크홀의 탐사 완료후 장소 이동시에 GPR을 적재함(110) 하면측으로 인양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탐사 유닛(200)의 제1, 2 본체(211, 212)를 승강 유닛(300)의 승강 프레임(350)에 장착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면서 간략히 설명코자 한다.
참고로, 도 5에 표시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다.
우선, ①작업자는 제1 본체(211)의 제, 2 연결편(211a, 211b)을 제2 본체(212)의 제1, 2 연결홈(212a, 212b)에 조준 정렬하여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②제1, 2 본체(211, 212)를 서로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③작업자는 윈치(320)를 조작하여 트레일러(100)의 적재함(110) 하부측에 윈치 와이어와 연결되어 있는 승강 프레임(350)을 하강시킨다.
계속하여, ④작업자는 제1, 2 본체(211, 212) 각각의 상면에 구비된 제1, 2 체결구(240, 250)를 승강 프레임(350)의 탈착 지지 바(352)의 양단부에 구비된 연장 바(352a, 352b)에 걸어 고정시킴과 동시에 제1, 2 본체(211, 212) 각각의 전방 측면이 전도방지 바(353)에 맞닿는 것을 확인하면 탐사 유닛(200)의 탐사 작업을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6과 같이 탐사 유닛(200)의 제1, 2 본체(211, 212) 각각을 적재함(110)에 적재하거나, 적재함(110)에 적재된 제1, 2 본체(211, 212)를 적재함(110)으로부터 꺼내어 상호 체결한 다음 승강 유닛(300)에 결합시키는 일련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탈착 유닛(500)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우선, 자동탈착 유닛(500)은 적재함(110)에 구비되고, 적재함(110)에 적층되어 적재된 제1 본체(211)와 제2 본체(212)를 파지하는 복수의 클램프(501, 502, 503, 504)들을 포함하며, 클램프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제1 본체(211)와 제2 본체(212)를 적재함(110)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배출시켜 하강시킨 다음, 제1 본체(211)와 제2 본체(212)를 서로 결합시켜 승강 유닛(300)에 탈착 결합시키는 동작 수행이 가능하다.
이러한 자동탈착 유닛(500)은, 복수의 클램프들 중 제1 본체(211)의 전방 측면의 좌측을 파지하는 제1 전방 클램프(501)와, 복수의 클램프들 중 제1 본체(211)의 후방 측면의 좌측을 파지하는 제1 후방 클램프(502)와, 복수의 클램프들 중 제2 본체(212)의 전방 측면의 우측을 파지하는 제2 전방 클램프(503)와, 복수의 클램프들 중 제2 본체(212)의 후방 측면의 우측을 파지하는 제2 후방 클램프(50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탈착 유닛(500)은, 서로 마주보는 제1 전방 클램프(501)와 제1 후방 클램프(502)를 동시에 승강시키고, 제1 본체(211)의 우측면이 적재함(110)의 좌측면을 통과하면 승강하는 좌측 승강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탈착 유닛(500)은, 서로 마주보는 제2 전방 클램프(503)와 제2 후방 클램프(504)를 동시에 승강시키고, 제2 본체(212)의 좌측면이 적재함(110)의 우측면을 통과하면 승강하는 우측 승강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탈착 유닛(500)은, 좌측 승강부(510)와 우측 승강부(520)의 전방측을 서로 연결하여 멀어지거나 근접하도록 신장되거나 수축하는 전방 신축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동탈착 유닛(500)은, 좌측 승강부(510)와 우측 승강부(520)의 후방측을 서로 연결하여 멀어지거나 근접하도록 신장되거나 수축하는 후방 신축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승강부(510)는, 전방측에서부터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적재함(110)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 전방 승강 기둥(511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좌측 승강부(510)는, 제1 전방 클램프(501)를 승강시키도록 제1 전방 클램프(501)와 연결되어 제1 전방 승강 기둥(511a)에 내장되는 제1 전방 이동자(512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승강부(510)는, 제1 전방 이동자(512a)의 상하 양단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며 정, 역회전하는 것으로, 제1 전방 승강 기둥(511a)에 내장되는 제1 전방 스크류봉(513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승강부(510)는, 제1 전방 승강 기둥(511a)의 상부측에 내장되어 제1 전방 스크류봉(513a)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전방 서보 모터(514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좌측 승강부(510)는, 제1 전방 승강 기둥(511a)의 후방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제1 전방 이동자(512a)와 제1 전방 클램프(501)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전방 연결봉(501a)의 승강 경로를 제공하는 제1 전방 클램프 이동 슬롯(515a)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좌측 승강부(510)는, 제1 전방 승강 기둥(511a)의 전방 측면의 하단부 외측에 구비되며, 제1 전방 승강 기둥(511a)을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전방 승강 모터(516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방 승강 모터(516a)는 후술할 전방 신축부(530)의 좌측 단부에 내장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좌측 승강부(510)는, 후방측 구성에 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적재함(110)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1 후방 승강 기둥(511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승강부(510)는, 제1 후방 클램프(502)를 승강시키도록 제1 후방 클램프(502)와 연결되어 제1 후방 승강 기둥(511b)에 내장되는 제1 후방 이동자(51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좌측 승강부(510)는, 제1 후방 이동자(512b)의 상하 양단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며 정, 역회전하는 것으로, 제1 후방 승강 기둥(511b)에 내장되는 제1 후방 스크류봉(513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승강부(510)는, 제1 후방 승강 기둥(511b)의 상부측에 내장되어 제1 후방 스크류봉(513b)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후방 서보 모터(514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좌측 승강부(510)는, 제1 후방 승강 기둥(511b)의 후방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제1 후방 이동자(512b)와 제1 후방 클램프(502)를 서로 연결하는 제1 후방 연결봉(502a)의 승강 경로를 제공하는 제1 후방 클램프 이동 슬롯(이하 미도시, 제1 전방 승강 모터(516a)의 구조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좌측 승강부(510)는, 제1 후방 승강 기둥(511b)의 전방 측면의 하단부 외측에 구비되며, 제1 후방 승강 기둥(511b)을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후방 승강 모터(516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후방 승강 모터(516b)는 후방 신축부(540)의 좌측 단부에 내장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우측 승강부(520)는, 전방부측에서부터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적재함(110)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 전방 승강 기둥(521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우측 승강부(520)는, 제2 전방 클램프(503)를 승강시키도록 제2 전방 클램프(503)와 연결되어 제2 전방 승강 기둥(521a)에 내장되는 제2 전방 이동자(52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우측 승강부(520)는, 제2 전방 이동자(522a)의 상하 양단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며 정, 역회전하는 것으로, 제2 전방 승강 기둥(521a)에 내장되는 제2 전방 스크류봉(523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승강부(520)는, 제2 전방 승강 기둥(521a)의 상부측에 내장되어 제2 전방 스크류봉(523a)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전방 서보 모터(524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우측 승강부(520)는, 제2 전방 승강 기둥(521a)의 후방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제2 전방 이동자(522a)와 제2 전방 클램프(503)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전방 연결봉(503a)의 승강 경로를 제공하는 제2 전방 클램프 이동 슬롯(525a)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우측 승강부(520)는, 제2 전방 승강 기둥(521a)의 전방 측면의 하단부 외측에 구비되며, 제2 전방 승강 기둥(521a)을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전방 승강 모터(526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방 승강 모터(526a)는 전방 신축부(530)의 우측 단부에 내장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우측 승강부(520)는, 후방측 구성에 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적재함(110)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 후방 승강 기둥(521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우측 승강부(520)는, 제2 후방 클램프(504)를 승강시키도록 제2 후방 클램프(504)와 연결되어 제2 후방 승강 기둥(521b)에 내장되는 제2 후방 이동자(522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우측 승강부(520)는, 제2 후방 이동자(522b)의 상하 양단부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며 정, 역회전하는 것으로, 제2 후방 승강 기둥(521b)에 내장되는 제2 후방 스크류봉(523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승강부(520)는, 제2 후방 승강 기둥(521b)의 상부측에 내장되어 제2 후방 스크류봉(523b)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후방 서보 모터(524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우측 승강부(520)는, 제2 후방 승강 기둥(521b)의 후방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제2 후방 이동자(522b)와 제2 후방 클램프(504)를 서로 연결하는 제2 후방 연결봉(504a)의 승강 경로를 제공하는 제2 후방 클램프 이동 슬롯(525b)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우측 승강부(520)는, 제2 후방 승강 기둥(521b)의 전방 측면의 하단부 외측에 구비되며, 제2 후방 승강 기둥(521b)을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후방 승강 모터(526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후방 승강 모터(526b)는 후방 신축부(540)의 우측 단부에 내장될 수 있다.
한편, 전방 신축부(530)는,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적재함(110)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유체 압력으로 작동되는 전방 실린더(5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 신축부(530)는, 전방 실린더(533)의 좌측 단부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전방 로드(5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방 신축부(530)는, 전방 실린더(533)의 우측 단부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전방 로드(5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신축부(530)는, 제1 전방 로드(531)의 단부에 장착되어 제1 전방 승강 기둥(511a)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중공의 제1 좌측 전방 신축 바(5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신축부(530)는, 제1 좌측 전방 신축 바(534)의 후방 측면의 좌측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제1 전방 승강 기둥(511a)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1 전방 승강 안내편(535, 53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신축부(530)는, 제2 전방 로드(532)의 단부에 장착되어 제2 전방 승강 기둥(521a)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중공의 제1 우측 전방 신축 바(536)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방 신축부(530)는, 제1 우측 전방 신축 바(536)의 후방 측면의 우측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제2 전방 승강 기둥(521a)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2 전방 승강 안내편(537, 537)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전방 승강 모터(516a)는 제1 좌측 전방 신축 바(534)의 좌측 단부에 내장되고, 제2 전방 승강 모터(526a)는 제1 우측 전방 신축 바(536)의 우측 단부에 내장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전방 신축부(530)는, 제1, 2 전방 승강 모터(516a, 526a)에 의하여 제1, 2 전방 승강 기둥(511a, 521a)이 승강 동작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부가적인 구성의 마련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전방 신축부(530)는, 제1 좌측 전방 신축 바(534)의 좌측 단부에 내장된 제1 전방 승강 모터(516a)의 구동축 단부에 구비되는 제1 전방 승강 피니언(이하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신축부(530)는, 제1 전방 승강 기둥(511a)의 전방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제1 전방 승강 모터(516a)의 구동축이 관통되는 제1 전방 기둥 이동 슬롯(이하 미도시, 제1 후방 기둥 이동 슬롯(548)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신축부(530)는, 제1 전방 승강 기둥(511a)의 전방 측면 내부에 제1 전방 기둥 이동 슬롯과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전방 승강 피니언과 맞물리는 제1 전방 승강 랙(이하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신축부(530)는, 제1 우측 전방 신축 바(536)의 우측 단부에 내장된 제2 전방 승강 모터(526a)의 구동축 단부에 구비되는 제2 전방 승강 피니언(이하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신축부(530)는, 제2 전방 승강 기둥(521a)의 전방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제2 전방 승강 모터(526a)의 구동축이 관통되는 제2 전방 기둥 이동 슬롯(이하 미도시, 제2 후방 기둥 이동 슬롯(549)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전방 신축부(530)는, 제2 전방 승강 기둥(521a)의 전방 측면 내부에 제2 전방 기둥 이동 슬롯과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 전방 승강 피니언과 맞물리는 제2 전방 승강 랙(이하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후방 신축부(540)는, 적재함(110)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유체 압력으로 작동되는 후방 실린더(5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 신축부(540)는, 후방 실린더(543)의 좌측 단부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후방 로드(54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 신축부(540)는, 후방 실린더(543)의 우측 단부로부터 출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후방 로드(5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 신축부(540)는, 제1 후방 로드(541)의 단부에 장착되어 제1 후방 승강 기둥(511b)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중공의 제1 좌측 후방 신축 바(54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 신축부(540)는, 제1 좌측 후방 신축 바(544)의 후방 측면의 좌측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제1 후방 승강 기둥(511b)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1 후방 승강 안내편(545, 54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신축부(540)는, 제2 후방 로드(542)의 단부에 장착되어 제2 후방 승강 기둥(521b)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중공의 제1 우측 후방 신축 바(546)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후방 신축부(540)는, 제1 우측 후방 신축 바(546)의 후방 측면의 우측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제2 후방 승강 기둥(521b)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제2 후방 승강 안내편(547, 547)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후방 승강 모터(516b)는 제1 좌측 후방 신축 바(544)의 좌측 단부에 내장되고, 제2 후방 승강 모터(526b)는 제1 우측 후방 신축 바(546)의 우측 단부에 내장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후방 신축부(540)는, 제1, 2 후방 승강 모터(516b, 526b)에 의하여 제1, 2 전방 승강 기둥(511b, 521b)이 승강 동작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부가적인 구성의 마련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후방 신축부(540)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좌측 후방 신축 바(544)의 좌측 단부에 내장된 제1 후방 승강 모터(516b)의 구동축 단부에 구비되는 제1 후방 승강 피니언(이하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 신축부(540)는, 제1 후방 승강 기둥(511b)의 후방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제1 후방 승강 모터(516b)의 구동축이 관통되는 제1 후방 기둥 이동 슬롯(54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 신축부(540)는, 제1 후방 승강 기둥(511b)의 후방 측면 내부에 제1 후방 기둥 이동 슬롯(548)과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후방 승강 피니언과 맞물리는 제1 후방 승강 랙(이하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 신축부(540)는, 제1 우측 후방 신축 바(546)의 우측 단부에 내장된 제2 후방 승강 모터(526b)의 구동축 단부에 구비되는 제2 후방 승강 피니언(이하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신축부(540)는, 제2 후방 승강 기둥(521b)의 후방 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제2 후방 승강 모터(526b)의 구동축이 관통되는 제2 후방 기둥 이동 슬롯(54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후방 신축부(540)는, 제2 후방 승강 기둥(521b)의 후방 측면 내부에 제2 후방 기둥 이동 슬롯(549)과 평행하게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2 후방 승강 피니언과 맞물리는 제2 후방 승강 랙(이하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 후방 클램프(501, 502)에 의하여 클램핑된 제1 본체(211)와, 제2 전, 후방 클램프(503, 504)에 의하여 클램핑된 제2 본체(212)는 적재함(110)에 적층 적재된 상태에서, 탐사 작업을 위하여 승강 프레임(350)에 체결되도록 다음과 같은 작동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우선, 전, 후방 신축부(530, 540)의 전, 후방 실린더(533, 543) 좌, 우 양측으로부터 신장된 제1, 2 전방 로드(531, 532) 및 제1, 2 후방 로드(541, 542)에 의하여, 제1 좌, 우측 전방 신축 바(534, 536)와 제1 좌, 우측 후방 신축 바(544, 546)는 적재함(110)의 좌, 우 양측의 좌, 우측 윙도어(111, 112)을 밀어 열어젖히며 돌출된다.
제1 좌, 우측 전방 신축 바(534, 536)와 제1 좌, 우측 후방 신축 바(544, 546)의 돌출 동작은, 제1 본체(211)의 우측면과 제2 본체(212)의 좌측면이 적재함(110)의 좌, 우 양측 가장자리를 통과한 후에 정지된다.
이후, 제1, 2 전방 승강 모터(516a, 526)와 제1, 2 후방 승강 모터(516b, 526b)가 가동을 시작하면서 제1, 2 전방 승강 기둥(511a, 521a) 및 제1, 2 후방 승강 기둥(511b, 521b)은 노면(400)을 향하여 수직 하강하게 된다.
제1, 2 전방 승강 기둥(511a, 521a) 및 제1, 2 후방 승강 기둥(511b, 521b)의 하강 동작은, 제1, 2 전방 기둥 이동 슬롯 및 제1, 2 후방 기둥 이동 슬롯(548, 549)의 상단부에, 제1, 2 전방 승강 모터(516a, 526)와 제1, 2 후방 승강 모터(516b, 526b) 각각의 구동축 외주면이 맞닿는 순간 정지된다.
다음으로, 제1, 2 전방 서보 모터(514a, 524a) 및 제1, 2 후방 서보 모터(514b, 524b)가 가동을 시작하면서 제1, 2 클램프(501, 502)와 제3, 4 클램프(503, 504)가 노면(400)을 향하여 수직 하강하게 된다.
제1, 2 클램프(501, 502)와 제3, 4 클램프(503, 504)의 하강 동작은, 제1, 2 전방 클램프 이동 슬롯(515a, 525a) 및 제1, 2 후방 클램프 이동 슬롯의 상단부에, 제1 전, 후방 연결봉(501a, 502a)과 제2 전, 후방 연결봉(503a, 504a) 각각의 외주면이 맞닿는 순간 정지된다.
계속하여, 신장된 제1, 2 전방 로드(531, 532) 및 제1, 2 후방 로드(541, 542)는, 전, 후방 실린더(533, 543) 좌, 우 양측에 대하여 수납되어 수축되는 동작을 실시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본체(211)의 제1, 2 연결편(211a, 211b)은 제2 본체(212)의 제1, 2 연결홈(212a, 2121b)에 맞물리게 된다.
이때, 제1 본체(211)와 제2 본체(212)의 상호 맞물림 위치는, 승강 프레임(350)의 승강 지지 바(351, 351) 바로 밑부분과, 탈착 지지 바(352)가 제1, 2 체결구(240, 250)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위치라면, 제1, 2 본체(211, 212)의 상호 체결과 제1, 2 본체(211, 212)의 승강 프레임(350)에 대한 결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탐사 작업이 끝나고, 제1, 2 본체(211, 212)를 서로 분리하여 적재함(110)에 수납 적재하는 과정은 전술한 탐사 작업을 준비하기 위한 제1, 2 본체(211, 212)의 상호 체결 및 승강 프레임(350)에 대한 결합 과정의 역순으로 실시하면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차량에 연결되며 적재 공간이 구비된 적재함(110)을 포함하는 트레일러(100); 적재함(110)에 적재 가능하며, 적재함(110)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노면(400)에 근접 배치되어 노면(400) 하부의 씽크홀을 탐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GPR을 포함하는 탐사 유닛(200); 및 적재함(110)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탈착 결합된 GPR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적재함(110)의 상하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승강 유닛(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탐사를 위한 장착 및 체결 조립이 매우 용이함은 물론, 적재와 운반도 별도의 분리와 체결 조립 작업이 필요없이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 공수를 줄이고, 시간과 비용의 대폭적인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탐사 유닛(200)은, 제1 길이를 가지는 폭과,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를 가지는 길이와, 제1 길이보다 짧은 제3 길이를 가지는 두께를 가지며 GPR이 내장되고, 승강 유닛(300)에 의하여 적재함(110)의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는 GPR 본체와, GPR 본체의 전방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전방 캐스터(220)와, GPR 본체의 후방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후방 캐스터(230)를 포함하며,
탐사 유닛(200)은 차량의 폭에 대응하여 제1 본체(211)와 이웃한 제2 본체(212)의 좌우측면을 상호 맞닿게 연결되어 승강 유닛(300)에 탈착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노면(400) 하부 구조의 최초 탐사시에 도로폭 전체를 탐사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탐사 폭을 확실하게 확보함으로써 세밀하고 많은 다양한 자료 수집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탐사 유닛(200)은, 제1 본체(211)의 전방 측면과 연결되는 제1 본체(211)의 우측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돌출된 제1 연결편(211a)과, 제1 본체(211)의 후방 측면과 연결되는 제1 본체(211)의 우측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 연결편(211a)과 마주보는 제2 연결편(211b)과, 제2 본체(212)의 전방 측면과 연결되는 제2 본체(212)의 좌측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함몰되고, 제1 연결편(211a)이 삽입되어 맞물리는 제1 연결홈(212a)과, 제2 본체(212)의 후방 측면과 연결되는 제2 본체(212)의 좌측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함몰되고, 제2 연결편(211b)이 삽입되어 맞물리는 제2 연결홈(212b)을 더 구비함으로써, 최대한의 탐사 폭을 확실하게 확보하기 위한 체결 조립 작업이 숙련도에 관계없이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탐사 유닛(200)은, 제1 본체(211)의 상면 후방측 가장자리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승강 유닛(300)과 결합되는 제1 체결구(240)와, 제2 본체(212)의 상면 후방측 가장자리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승강 유닛(300)과 결합되는 제2 체결구(250)를 더 구비함으로써, 탐사 및 운반 주행의 신속한 절환을 위하여 승강 유닛에 대한 탐사 유닛의 체결 상태를 확실하고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승강 유닛(300)은, 적재함(110)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310)과, 지지 프레임(3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탐사 유닛(200)측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윈치(320)와, 지지 프레임(3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윈치(320)의 후방에 배치되고, 복수로 평행하게 배치된 안착 바(331)를 포함하는 중간 프레임(330)과, 안착 바(331)에 안착 고정되며 윈치(3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탐사 유닛(200)측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윈치 와이어를 안내하는 마운팅 프레임(340)과, 마운팅 프레임(340)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윈치 와이어와 연결되고, 적재함(110)의 하면으로부터 노면(400)을 향하여 하강하거나, 노면(400)으로부터 적재함(110)의 하면을 향하여 상승 가능한 승강 프레임(350)을 포함하며, 승강 프레임(350)에 탐사 유닛(200)이 탈착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승강 프레임(350)의 단순한 승강 동작만으로도 탐사 유닛(200)의 탐사 작업과, 탐사 유닛(200)의 적재함(110) 장착 운반 주행이 확실하고 신속하게 스위칭될 수 있으므로, 탐사 작업에 필요한 기동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함(110)에 구비되고, 적재함(110)에 적층되어 적재된 제1 본체(211)와 제2 본체(212)를 파지하는 복수의 클램프(501, 502, 503, 504)들을 포함하며, 클램프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제1 본체(211)와 제2 본체(212)를 적재함(110)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배출시켜 하강시킨 다음, 제1 본체(211)와 제2 본체(212)를 서로 결합시켜 승강 유닛(300)에 탈착 결합시키는 자동탈착 유닛(500)을 더 구비함으로써, 탐사 유닛(200)에 의한 탐사 작업이 완전히 마무리되었을 때 탐사 유닛(200)의 분리 수납 및 적재까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그 역과정에 따른 탐사 유닛(200)의 탐사 작업을 위한 탐사 유닛(200)의 승강 유닛(300)에 대한 체결 작업 또한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탐사 작업의 사전 준비에 따른 번거로운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탐사와 운반 주행이 매우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트레일러
101...트레일링 암
102...트레일링 휠
110...적재함
111...좌측 윙도어
112...우측 윙도어
200...탐사 유닛
210...GPR 본체
211...제1 본체
211a...제1 연결편
211b...제2 연결편
212...제2 본체
212a...제1 연결홈
212b...제2 연결홈
220...전방 캐스터
230...후방 캐스터
240...제1 체결구
241...제1 고정편
242...제1 격벽편
243...제1 걸림편
250...제2 체결구
251...제2 고정편
252...제2 격벽편
253...제2 걸림편
300...승강 유닛
310...지지 프레임
311...외곽부
312...연결 바
313...지지 바
320...윈치
330...중간 프레임
331...안착 바
332...중간 전방 바
333...중간연결 바
334...중간 후방 바
335, 335...와이어마운팅 바
336...윈치구동 스풀
340...마운팅 프레임
341, 341...마운트 바
342, 342...마운트 브라켓
343, 343...승강 규제 바
344...안착 유지편
350...승강 프레임
351, 351...승강 지지 바
352...탈착 지지 바
352a, 352b...연장 바
353...전도방지 바
360...구동 박스
400...노면
500...자동탈착 유닛
501...제1 전방 클램프
501a...제1 전방 연결봉
502...제1 후방 클램프
502a...제1 후방 연결봉
503...제2 전방 클램프
503a...제2 전방 연결봉
504...제2 후방 클램프
504a...제2 후방 연결봉
510...좌측 승강부
511a...제1 전방 승강 기둥
511b...제1 후방 승강 기둥
512a...제1 전방 이동자
512b...제1 후방 이동자
513a...제1 전방 스크류봉
513b...제1 후방 스크류봉
514a...제1 전방 서보 모터
514b...제1 후방 서보 모터
515a...제1 전방 클램프 이동 슬롯
516a...제1 전방 승강 모터
516b...제1 후방 승강 모터
520...우측 승강부
521a...제2 전방 승강 기둥
521b...제2 후방 승강 기둥
522a...제2 전방 이동자
522b...제2 후방 이동자
523a...제2 전방 스크류봉
523b...제2 후방 스크류봉
524a...제2 전방 서보 모터
524b...제2 후방 서보 모터
525a...제2 전방 클램프 이동 슬롯
525b...제2 후방 클램프 이동 슬롯
526a...제2 전방 승강 모터
526b...제2 후방 승강 모터
530...전방 신축부
531...제1 전방 로드
532...제2 전방 로드
533...전방 실린더
534...제1 좌측 전방 신축 바
535, 535...제1 전방 승강 안내편
536...제1 우측 전방 신축 바
537, 537...제2 전방 승강 안내편
540...후방 신축부
541...제1 후방 로드
542...제2 후방 로드
543...후방 실린더
544...제1 좌측 후방 신축 바
545, 545...제1 후방 승강 안내편
546...제1 우측 후방 신축 바
547...제2 후방 승강 안내편
548...제1 후방 기둥 이동 슬롯
549...제2 후방 기둥 이동 슬롯

Claims (6)

  1. 차량에 연결되며 적재 공간이 구비된 적재함을 포함하는 트레일러;
    상기 적재함에 적재 가능하며, 상기 적재함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제1 길이를 가지는 폭과, 상기 제1 길이보다 긴 제2 길이를 가지는 길이와,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3 길이를 가지는 두께를 가지며 노면에 근접 배치되어 노면 하부의 씽크홀을 탐사하는 지표투과레이더(Ground Penetrating Radar, 이하 GPR)가 내장되고 상기 적재함의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GPR 본체를 포함하는 탐사 유닛;
    상기 적재함에 배치되고, 상기 적재함의 하부측에 탈착 결합된 상기 GPR 본체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적재함의 상하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승강 유닛; 및
    상기 적재함에 구비되고, 상기 적재함에 적층되어 적재된 상기 GPR 본체(이하 제1 본체)와 이웃한 GPR 본체(이하 제2 본체)를 파지하는 복수의 클램프들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를 상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를 상기 적재함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배출시켜 하강시킨 다음,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를 서로 결합시켜 상기 승강 유닛에 탈착 결합시키는 자동탈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탐사 유닛은 상기 차량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의 좌우측면을 상호 맞닿게 연결되어 상기 승강 유닛에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탐사 유닛은,
    상기 GPR 본체의 전방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전방 캐스터와,
    상기 GPR 본체의 후방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후방 캐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탐사 유닛은,
    상기 제1 본체의 전방 측면과 연결되는 상기 제1 본체의 우측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돌출된 제1 연결편과,
    상기 제1 본체의 후방 측면과 연결되는 상기 제1 본체의 우측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연결편과 마주보는 제2 연결편과,
    상기 제2 본체의 전방 측면과 연결되는 상기 제2 본체의 좌측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제1 연결편이 삽입되어 맞물리는 제1 연결홈과,
    상기 제2 본체의 후방 측면과 연결되는 상기 제2 본체의 좌측면 가장자리 내측으로부터 함몰되고, 상기 제2 연결편이 삽입되어 맞물리는 제2 연결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탐사 유닛은,
    상기 제1 본체의 상면 후방측 가장자리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승강 유닛과 결합되는 제1 체결구와,
    상기 제2 본체의 상면 후방측 가장자리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승강 유닛과 결합되는 제2 체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 유닛은,
    상기 적재함에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탐사 유닛측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윈치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윈치의 후방에 배치되고, 복수로 평행하게 배치된 안착 바를 포함하는 중간 프레임과,
    상기 안착 바에 안착 고정되며 상기 윈치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탐사 유닛측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윈치 와이어를 안내하는 마운팅 프레임과,
    상기 마운팅 프레임을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윈치 와이어와 연결되고, 상기 적재함의 하면으로부터 노면을 향하여 하강하거나, 상기 노면으로부터 상기 적재함의 하면을 향하여 상승 가능한 승강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 프레임에 상기 탐사 유닛이 탈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
  6. 삭제
KR1020180005795A 2018-01-16 2018-01-16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 KR101865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795A KR101865017B1 (ko) 2018-01-16 2018-01-16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795A KR101865017B1 (ko) 2018-01-16 2018-01-16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5017B1 true KR101865017B1 (ko) 2018-06-05

Family

ID=62635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795A KR101865017B1 (ko) 2018-01-16 2018-01-16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01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951B1 (ko) * 2020-01-09 2020-03-05 맹흥호 특수차량용 싱크홀 측정 레이다 지지 장치
KR102436541B1 (ko) * 2021-12-17 2022-08-26 국토안전관리원 협소지역용 도로지반조사 장치
KR102573877B1 (ko) * 2023-03-28 2023-09-01 주식회사 지오메카이엔지 교면포장 상태 조사용 고주파 gpr 탐사 장치
KR102573874B1 (ko) * 2023-03-28 2023-09-01 주식회사 지오메카이엔지 상하 및 좌우 이동 기능을 구비한 gpr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5289B1 (en) * 2009-07-04 2010-03-09 Stolar, Inc. Underground anomalies detection vehicle and trailer
KR101241313B1 (ko) 2011-12-12 2013-03-11 이성 주식회사 지하 탐사 레이더를 이용한 포장 도로 안전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699908B1 (ko) * 2016-09-28 2017-01-26 주식회사 장민이엔씨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
JP2017143374A (ja) * 2016-02-09 2017-08-17 三井造船株式会社 アンテナ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5289B1 (en) * 2009-07-04 2010-03-09 Stolar, Inc. Underground anomalies detection vehicle and trailer
KR101241313B1 (ko) 2011-12-12 2013-03-11 이성 주식회사 지하 탐사 레이더를 이용한 포장 도로 안전 진단 시스템 및 방법
JP2017143374A (ja) * 2016-02-09 2017-08-17 三井造船株式会社 アンテナ支持装置
KR101699908B1 (ko) * 2016-09-28 2017-01-26 주식회사 장민이엔씨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영복. 지오메카이엔지, 지하레이다(GPR)탐사 분야의 선두. 머니투데이. 2015년 11월 6일. <URL: http://news.mt.co.kr/mtview.php?no=2015110618117886656&outlink=1&ref=http%3A%2F%2Fsearch.naver.com>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951B1 (ko) * 2020-01-09 2020-03-05 맹흥호 특수차량용 싱크홀 측정 레이다 지지 장치
KR102436541B1 (ko) * 2021-12-17 2022-08-26 국토안전관리원 협소지역용 도로지반조사 장치
KR102573877B1 (ko) * 2023-03-28 2023-09-01 주식회사 지오메카이엔지 교면포장 상태 조사용 고주파 gpr 탐사 장치
KR102573874B1 (ko) * 2023-03-28 2023-09-01 주식회사 지오메카이엔지 상하 및 좌우 이동 기능을 구비한 gpr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017B1 (ko) 승강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지표투과레이더 트레일러 장치
KR102583639B1 (ko) 배터리 교체용 이동 플랫폼 및 빠른 교체 시스템
CA2770725C (en) Robot having obstacle avoidance mechanism
CN111347918A (zh) 解锁装置、换电平台、换电移动平台及快换系统
CN109870682B (zh) 复杂工况自适应式隧道衬砌无损检测台车
CN112108792B (zh) 汽车后部定位夹紧系统
CN112722305B (zh) 一种无人机机巢
CN109533089B (zh) 一种自动输送料车的定位装置
JP7223637B2 (ja) 把持装置及び把持運搬装置、並びに把持装置を用いた運搬・設置方法
CN110824472A (zh) 一种探地雷达辅助装置及其使用方法
CN215475802U (zh) 一种无人机机巢
CN220010590U (zh) 用于电缆卷筒的滑动支撑架
CN210683105U (zh) 一种三轴调节举升器
JPH03119256A (ja) ボードの自動セット方法
CN209585038U (zh) 一种基于桩顶顶推平台的斜桩施工系统
JP5444049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CN217150234U (zh) 一种土木工程用打桩机定位装置
CN218891417U (zh) 一种电仓门安装助力装置
CN217553942U (zh) 一种盾构机短距离辅助运输装置
CN212031727U (zh) 一种适用于隧道二衬检测的雷达辅助装置及检测设备
CN220539633U (zh) 一种预制仰拱拼装台车
CN212191361U (zh) 可调节自动钻孔攻丝装置及包括该装置的车门加工系统
CN213416051U (zh) 单臂行车
CN219172546U (zh) 矿用列车
CN220578202U (zh) 一种利用轨道输送辅助机柜安装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