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950B1 -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950B1
KR101864950B1 KR1020160144952A KR20160144952A KR101864950B1 KR 101864950 B1 KR101864950 B1 KR 101864950B1 KR 1020160144952 A KR1020160144952 A KR 1020160144952A KR 20160144952 A KR20160144952 A KR 20160144952A KR 101864950 B1 KR101864950 B1 KR 101864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upled
installation space
actuating
actuating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972A (ko
Inventor
이재창
Original Assignee
이재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창 filed Critical 이재창
Priority to KR1020160144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9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F03B13/1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hydrostatic thr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5/00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35/02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moving magnets and stationary coi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waterw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 Y02E10/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에서 재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구명보트에 결합시킨 후, 파도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연동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발전용 연료가 없는 재난 상황에서도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하므로 조난자의 생존률을 높일 수 있고, 비 사용시 충전시킬 필요가 없어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갖는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EMERGENCY GENERATOR FOR MARINE}
본 발명은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에서 재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파도의 힘을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발전을 위한 연료 없이도 재난 상황 극복을 위한 전자기기를 구동시킬 수 있어 조난자의 생존률을 높일 수 있는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 발전기는 전력 공급이 차단된 상황에서 전기에너지를 자체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를 이용한 발전 동작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비상 발전기는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스테이터 코어가 설치되는 고정자와, 연료의 연소를 통해 구동되며 상기 스테이터 코어의 내부에서 회전되면서 전자기 유도 방식을 통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회전자 및,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충전시키기 위한 축전기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비상 발전기는 해상의 재난 상황에서 사용시 연료가 확보되어야만 하므로, 재난 상황에서 장시간 동안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었고, 장치의 부피 및 무게도 상당하므로 구명보트 등에 사용하기에 부적합 하였다.
물론,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자를 회전시킬 수 있는 수동형 발전기가 제시된 바 있으나, 이러한 수동형 발전기는 조난자가 지속적으로 회전자를 회전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전기에너지 생산량이 턱없이 부족하므로 재난 상황에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발전용 연료가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해상의 재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261010호(2002년 01월 05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휴대용수동발전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해상에서 재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구명보트에 결합시킨 후, 파도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연동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발전용 연료가 없는 재난 상황에서도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하므로 조난자의 생존률을 높일 수 있고, 비 사용시 충전시킬 필요가 없어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갖는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양측에 관통홀이 수평하게 관통되는 하우징;
상기 관통홀을 통해 수평하게 관통 결합되어, 종 방향 양단이 상기 하우징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빔과, 상기 작동빔의 종 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을 해수면에 위치되는 경우, 자체적인 부력에 의해 해수면에 부유하여 파도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상기 작동빔으로 전달하는 부력체와, 상기 설치공간 내에서 상기 작동빔에 결합되며, 상기 부력체로부터 상기 작동빔으로 힘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작동빔과의 연동에 의한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부 및, 상기 발전부로부터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여, 비상시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열체 가열용으로 사용되는 축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작동빔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양측으로 돌출된 상기 작동빔의 종 방향 양단에는 한 쌍의 메인 복귀 스프링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복귀 스프링들의 양단은 양단이 상기 부력체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각각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력체는 상기 작동빔과 결합된 일단으로부터 반대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원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력체의 외주에는 파도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작동빔의 횡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찰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마찰돌기는 상기 부력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되며, 상기 작동빔의 종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공간 내에는 한 쌍의 보조 복귀 스프링이 더 설치되며, 상기 보조 복귀 스프링들의 양단은 상기 설치공간의 하면과 상기 작동빔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작동빔을 수평하게 복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전부는 상기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작동빔이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공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권취롤과, 상기 권취롤의 외주에 권취되어 상기 축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과, 상기 작동빔의 내부에서 종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작동빔이 유동되는 경우, 상기 중공 내에서 유동되어 상기 코일에 전기에너지가 발생되도록 하는 마그네틱 및, 상기 마그네틱을 기준으로 상기 작동빔의 내측 양단에 각각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마그네틱을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보조 복귀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공간 내에는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기판이 더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는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점등 상태를 통해 상기 축전기의 충전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램프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는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축전기의 충전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충전상태 표시부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공간의 양측 벽면에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신축 가능한 씰링부재가 더 결합되며,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작동빔이 관통되도록 중공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며, 상기 중공은 상기 작동빔의 외주와 밀착된 상태로 위치 가변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해상에서 재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구명보트에 결합시킨 후, 파도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연동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발전용 연료가 없는 재난 상황에서도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하므로 조난자의 생존률을 높일 수 있고, 비 사용시 충전시킬 필요가 없어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갖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램프와 함께 충전상태 표시부를 적용함으로써, 외부에서 축전기의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구조 신호로 활용할 수 있어 조난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에 필요한 연료를 필요로 하지 않고, 발전용 연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장치의 중량을 줄일 수 있어 구명보트에 설치가 가능하고,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보관의 용이성을 갖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의 덮개를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의 덮개를 개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는 하우징(100)과, 작동빔(200)과, 부력체(300)와, 발전부(400) 및, 축전기(5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해상에서 사용하는 구명보트(20)에 장착되는 것으로, 별도의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해 구명보트(20)의 외부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00)은 도 4에서처럼 구명보트(20)의 측면에 수평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해수면(10)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은 무게가 가볍고 일정 부력을 갖는 소재(수지 계열 등)로 제작할 수 있으나, 상기 하우징(100)의 소재는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에 설치공간(110)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양측에는 관통홀(120)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은 도 1과 2에서처럼 사각 박스 형태로 도시 하였으나, 상기 하우징(10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설치공간(110)은 상방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의 상단에는 설치공간(110)을 개폐시키기 위한 덮개(130)가 양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상단과 덮개(130)의 대응되는 일단은 회동부재(경첩 등)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관통홀(120)은, 후술 될 작동빔(200)이 수평하게 관통 결합되는 통로로서, 상기 관통홀(120)은 미도시 하였으나 작동빔(20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관통홀(120)은 도 1과 2에서처럼 작동빔(200)이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홀 형태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관통홀(120)의 상단과 하단은 작동빔(200)의 외주와 대응되는 형상(반원면, 곡선면 등)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설치공간(110) 내에는 상기 관통홀(120)을 통해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씰링부재(S)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씰링부재(S)는, 설치공간(110)의 양측 벽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씰링부재(S)에는 후술 될 작동빔(200)이 관통되도록 중공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씰링부재(S)의 중공은 작동빔(200)의 외주를 감싸는 것으로, 상기 씰링부재(S)의 중공은 작동빔(200)의 외주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씰링부재(S)는 변형 후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일정 탄성력을 갖는 탄성소재(고무, 합성수지 등)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의 외부에는 미도시 하였으나 설치공간(110)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추가적인 씰링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빔(200)은, 하우징(100)의 관통홀(120)을 통해 수평하게 관통 결합되며, 상기 작동빔(200)의 양단이 하우징(100)의 양측으로 수평하게 돌출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빔(200)은 도 1과 2에서처럼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작동빔(200)의 외면이 횡 방향을 따라 원주를 이루도록 원통 형상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빔(200)은 하우징(100)의 외부로 돌출된 종 방향 양단에 후술 될 부력체(300)의 일단이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양측으로 돌출된 작동빔(200)의 종 방향 양단에는 한 쌍의 메인 복귀 스프링(210)이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메인 복귀 스프링(210)들의 양단은 후술 될 부력체(300)와 하우징(100)의 측면에 각각 탄성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복귀 스프링(210)은 작동빔(200)의 외부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되도록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복귀 스프링(210)은 작동빔(200)의 종 방향으로 압축 탄성력을 작용시키게 되므로, 작동빔(200)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유동된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작동빔(200)은, 부력체(200)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종 방향으로 수평하게 왕복 이동되면서 후술 될 발전부(400)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작동빔(200)은 전술한 관통홀(120)을 장홀 형태로 적용시키는 경우, 상기 작동빔(200)의 종 방향 양단이 상하 방향으로도 유동되면서 발전부(400)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00)의 설치공간(110) 내에는 도 5에서처럼 작동빔(200)을 수평하게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제2보조 복귀 스프링(22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보조 복귀 스프링(220)들의 양단은 설치공간(110)의 하면과 작동빔에 각각 결합되어, 작동빔(200)을 수평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부력체(300)는, 일정 부력에 의해 해수면(10)에 부유하는 것으로, 상기 부력체(300)는 작동빔(200)의 종 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부력체(300)는 하우징(100)을 해수면(10)에 위치시키는 경우, 파도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수평 및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어 작동빔(200)으로 전달한다.
이를 위한 상기 부력체(300)는, 해수면(10)에 위치시 무게가 가볍고 일정 부력을 갖는 소재(수지 계열 등)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300)의 내부에는 부력을 형성시키기 위한 공기층(3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부력체의 내부에 부력을 형성시키기 위한 소재(스티로폼 등)를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300)는 작동빔(200)과 결합된 일단으로부터 반대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원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부력체(300)의 형태는, 원주 형상을 가지므로, 파도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수평 방향으로 넓게 전달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부력체(300)의 외주에는 파도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작동빔의 횡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찰돌기(320)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찰돌기(320)는, 도 1 내지 4에서처럼 부력체(3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되며, 작동빔(200)의 종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상기 부력체(300)의 형상은 원추 형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부력을 형성하고 파력이 전달될 수 있는 형태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발전부(400)는, 설치공간(110) 내에서 상기 작동빔(200)에 결합되며, 부력체(300)와 작동빔(200)이 유동하는 경우에 연동되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한, 상기 발전부(400)는 권취롤(410)과, 코일(420)과, 마스네틱(430) 및, 한 쌍의 제1보조 복귀 스프링(440)으로 구비된다.
먼저, 상기 권취롤(410)은 설치공간(110)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작동빔(200)이 상하 및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공(411)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권취롤(410)은 외부에 코일(420)이 연속적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권취롤(410)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권취롤(410)은 도면상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설치공간(110)의 하면에 다양한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코일(420)은, 권취롤(410)의 외주에 권취되는 것으로, 상기 코일(420)은 후술 될 마그네틱(430)과 전자기 유동 방식으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코일(420)은, 후술 될 축전기(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자기 유도 방식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축전기(500)로 전달한다.
마그네틱(430)은, 작동빔(2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빔(200)을 따라 권취롤(410)의 중공(411) 내에서 유동되어 코일(420)에 전기에너지가 발생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틱(Magnetic, 430)은 네오디뮴 마그네틱(-磁石, Neodymium Magnetic)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틱(430)은 횡 방향이 원주를 형성하도록 원형 축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고, 다수(약 10개)의 마그네틱(430)을 서로 결합시켜 하나의 몸체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틱(430)은 후술 될 제1보조 복귀 스프링(440)에 의해 양단이 각각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권취롤(410)의 중공(411) 위치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마그네틱(430)은, 작동빔(200)을 따라 권취롤(410)의 중공(411) 내부에서 종 방향 및 횡 방향 으로 이동시 전자기 유도를 통해 코일에 전기에너지가 발생되도록 한다.
한 쌍의 제1보조 복귀 스프링(440)은, 마그네틱(430)을 기준으로 작동빔(200)의 내측 양단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마그네틱(430)을 탄성 지지한다.
축전기(500)는, 발전부(400)의 코일(420)로부터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여, 비상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기기(30)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기기(30)는 보온용 물품, 취사용 물품, 무전기, 구조 요청용 점멸 램프 등과 같이 조난자의 생존을 위한 물품들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구명 조끼에 장착된 면상 발열체로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경우, 면상 발열체를 일정 온도로 가열시킬 수 있어 조난자의 체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축전기(500)를 구명보드(20)에 구비시킬 수 있으며, 발열체(30)를 구명조끼에 적용시키는 경우, 조난자가 추위에 견딜 수 있는 시간을 벌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하우징(100)의 설치공간(110) 내에는 도 5와 6에서처럼 코일(4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기판(60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600)은, 축전기(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압을 제어해주고 저항과 전류의 방향을 제어해주는 다이오드가 실장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축전기(500)와 상기 회로기판(600)을 함께 고정시켜 하우징(100)의 설치공간 내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에는 회로기판(600)과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점등 상태를 통해 축전기(500)의 충전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램프(70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램프(700)는 저전력 고 휘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엘이디 램프(LED: LIGHT EMITTING DIODE LAM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램프(700)는 일정 색상(적색 등)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이는 전기에너지 생산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외부로 보여주는 기능과, 야간에 특정 색상을 발광하게 되므로 구호 신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에는 회로기판(600)과 케이블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축전기(500)의 충전 상태(전압 등)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충전상태 표시부(8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코일(420)을 통해 축전기(500)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는 회로기판(600)에 연결된 램프(700)와 충전상태 표시부(80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충전상태 표시부(800)와 램프(700)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배치된 덮개(130)의 상면에 고정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해상에서 재난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구명보트(20)에 결합시킨 후, 파도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기계적인 동작을 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비 사용시에는 특별한 관리가 필요 없어 유지관리의 용이성이 있고, 발전용 연료가 없는 재난 상황에서도 지속적인 발전이 가능하므로 조난자의 생존률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램프(700)와 함께 충전상태 표시부(800)를 적용함으로써, 외부에서 축전기(500)의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구조 신호로 활용할 수 있어 조난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에 필요한 연료를 필요로 하지 않고, 발전용 연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장치의 중량을 줄일 수 있어 구명보트(20)에 설치가 가능하고,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보관의 용이성을 갖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해수면 20: 구명보트
30: 발열체 100: 하우징
110: 설치공간 120: 관통홀
130: 덮개 200: 작동빔
210: 메인 복귀 스프링 220: 제2보조 복귀 스프링
300: 부력체 310: 공기층
320: 마찰돌기 400: 발전부
410: 권취롤 411: 중공
420: 코일 430: 마그네틱
440: 제1보조 복귀 스프링 500: 축전기
600: 회로기판 700: 램프
800: 충전상태 표시부 S: 씰링부재

Claims (10)

  1.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양측에 관통홀이 수평하게 관통되는 하우징;
    상기 관통홀을 통해 수평하게 관통 결합되어, 종 방향 양단이 상기 하우징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작동빔;
    상기 작동빔의 종 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을 해수면에 위치되는 경우, 자체적인 부력에 의해 해수면에 부유하여 파도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상기 작동빔으로 전달하는 부력체;
    상기 설치공간 내에서 상기 작동빔에 결합되며, 상기 부력체로부터 상기 작동빔으로 힘이 전달되는 경우, 상기 작동빔과의 연동에 의한 전자기 유도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부; 및
    상기 발전부로부터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여, 비상시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열체 가열용으로 사용되는 축전기;
    를 포함하되,
    상기 발전부는,
    상기 설치공간 내에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작동빔이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공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권취롤;
    상기 권취롤의 외주에 권취되어 상기 축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
    상기 작동빔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빔을 따라 상기 중공 내에서 유동되어 상기 코일에 전기에너지가 발생되도록 하는 마그네틱; 및
    상기 마그네틱을 기준으로 상기 작동빔의 내측 양단에 각각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마그네틱을 탄성 지지하는 한 쌍의 제1보조 복귀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작동빔이 상하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으로 돌출된 상기 작동빔의 종 방향 양단에는,
    한 쌍의 메인 복귀 스프링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메인 복귀 스프링들의 양단은,
    양단이 상기 부력체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상기 작동빔과 결합된 일단으로부터 반대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원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의 외주에는,
    파도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작동빔의 횡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찰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마찰돌기는,
    상기 부력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가 배열되며, 상기 작동빔의 종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 내에는,
    한 쌍의 제2보조 복귀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제2보조 복귀 스프링들의 양단은,
    상기 설치공간의 하면과 상기 작동빔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작동빔을 수평하게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 내에는,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회로기판이 더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는,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점등 상태를 통해 상기 축전기의 충전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램프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는,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축전기의 충전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충전상태 표시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의 양측 벽면에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신축 가능한 씰링부재가 더 결합되며,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작동빔이 관통되도록 중공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며, 상기 중공은 상기 작동빔의 외주와 밀착된 상태로 위치 가변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
KR1020160144952A 2016-11-02 2016-11-02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 KR101864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952A KR101864950B1 (ko) 2016-11-02 2016-11-02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952A KR101864950B1 (ko) 2016-11-02 2016-11-02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972A KR20180047972A (ko) 2018-05-10
KR101864950B1 true KR101864950B1 (ko) 2018-07-13

Family

ID=62185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952A KR101864950B1 (ko) 2016-11-02 2016-11-02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9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946A (ko) * 2018-12-21 2020-07-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793B1 (ko) * 2006-02-16 2006-11-28 (주)한국초음파연구소 부표
KR101416962B1 (ko) * 2013-12-05 2014-07-08 최주영 파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KR20150019002A (ko) * 2013-08-12 2015-02-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자기유도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793B1 (ko) * 2006-02-16 2006-11-28 (주)한국초음파연구소 부표
KR20150019002A (ko) * 2013-08-12 2015-02-25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전자기유도 발전장치
KR101416962B1 (ko) * 2013-12-05 2014-07-08 최주영 파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7946A (ko) * 2018-12-21 2020-07-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
KR102261460B1 (ko) * 2018-12-21 2021-06-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972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0793B1 (ko) 부표
AR066099A1 (es) Una unidad generadora unimotriz, una boya, el uso de una unidad generadora undimotriz y un metodo para producir energia electrica
EP1711398A1 (en) Buoyant container with wave generated power production
US20120104765A1 (en) Device for generating electric power from small movements
JP4291852B2 (ja) 波力発電を用いたマーキングブイ
KR101864950B1 (ko)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
CN108231327B (zh) 一种吸力可调电磁铁
CN113937899B (zh) 一种auv磁耦合机构及水下无线供电系统
CN105822487A (zh) 一种外置集成式的海洋波浪能发电水翼装置
WO2016121089A1 (ja)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電力供給方法
KR20110009834U (ko) 진동발전기를 이용한 부표 자동 점멸장치
JP3129644U (ja) 電気エネルギー発生装置
KR101957223B1 (ko) 무선 전력전송으로 작동되는 led 수중등
CN111979685B (zh) 衣物处理设备
JP6122183B1 (ja) 水難救命装置及び水難救命装置用救命情報発信装置
KR20170122974A (ko) 진동발전기 및 태양전지 기반 자가발전 구명조끼
KR100970473B1 (ko) 파랑을 이용한 해양 시설물의 전원공급시스템
KR20170076532A (ko) 자가발전 엘이디 발광 표시기
CN109927862A (zh) 一种具有警示功能的续航能力强的船舶救生设备
CA2746558C (en) Wave energy harnessing mechanism
KR20200066081A (ko) 등부표용 자가 발전기
JPS6228316B2 (ko)
AU2019247064B2 (en) Device for stimulating the clitoris using a variable pressure field and method for generating a variable pressure field
KR102134304B1 (ko) 동축 가속형 파력발전장치
EP2107670B1 (en) Inertially powered ligh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