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460B1 -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 - Google Patents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460B1
KR102261460B1 KR1020180167369A KR20180167369A KR102261460B1 KR 102261460 B1 KR102261460 B1 KR 102261460B1 KR 1020180167369 A KR1020180167369 A KR 1020180167369A KR 20180167369 A KR20180167369 A KR 20180167369A KR 102261460 B1 KR102261460 B1 KR 102261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recoil
flow diffusion
uni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946A (ko
Inventor
이재엽
김일호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67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46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류 확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류 확산에 따른 반동을 저감할 수 있는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부체(300)와 본체(200)로 구성되는 수류 확산장치에 있어서, 일측으로 확산수(234)가 배출되는 배출구(222)를 갖는 제 1 본체(220); 제 1 본체(220)상에 구비되고, 확산수(234)의 배출에 따른 반동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240); 제 1 본체(2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채로 완충부(240)의 일측과 일체로 움직이는 제 2 본체(250); 및 제 1 본체(220)와 제 2 본체(250)의 상대 운동에 기초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Zet streamer having low reaction forces}
본 발명은 수류 확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류 확산에 따른 반동을 저감할 수 있는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형 수류 확산장치는 하천이나 호수내에 정체되어 있는 수역을 강제로 해소하기 위하여 수평류를 확산시키는 장치이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수류 확산장치(특허 제 10-1624118호)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류 수류확산장치는 수면(5)위에 떠 있는 부체(100)와 수면(5) 아래의 본체(20)로 구성된다.
부체(100)에는 제어부(110)와 동력부(120)가 구비되고, 배선(130)을 통해 본체(20)와 연결된다. 본체(20)의 내부에는 제트팬이 구비되어 유입구(24)를 통해 유입된 유입수(30)가 고속으로 배출구(22)를 통해 확산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수류 확산장치는 유입수(30)의 유입 및 확산수(34)의 수류(영향범위 50 ~ 100m)로 인해 수류 확산장치가 반동(반작용)을 받는다. 이 때 수류 확산장치는 반동으로 인해 선점된 위치로부터 점차 벗어나는 이탈 현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부체(100)를 주변 시설에 묶어 두었다. 따라서, 호수가 넓어서 주변에 묶어둘 시설이 없는 경우 수류 확산장치는 호수가 둘레에만 설치될 수 밖에 없고, 중심 영역에는 설치가 불가능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907665 호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048970 호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1624118 호 4. 미국 특허등록 제 9,421,50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수류 확산장치의 반동을 저감하여 선점된 위치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수류 확산장치에서 발생하는 관성 반동을 에너지로 다시 회수할 수 있는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수류 확산장치가 반동으로 인해 선점된 위치를 크게 벗어나는 경우 GPS수신부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소정의 위치범위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부체(300)와 본체(200)로 구성되는 수류 확산장치에 있어서, 일측으로 확산수(234)가 배출되는 배출구(222)를 갖는 제 1 본체(220); 제 1 본체(220)상에 구비되고, 확산수(234)의 배출에 따른 반동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240); 제 1 본체(2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채로 상기 완충부(240)의 일측과 일체로 움직이는 제 2 본체(250); 및 제 1 본체(220)와 제 2 본체(250)의 상대 운동에 기초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완충부(240)는, 제 1 본체(220)로부터 연장되는 완충내관(247); 및 완충내관(247)의 외부에 권취되고, 일단이 제 1 본체(220)에 접하며 타단이 제 2 본체(250)에 접하는 스프링(245);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본체(220)는 중공의 원통형상이고, 그리고 스프링(245)은 제 1 본체(220)의 축선상에 설치되는 압축코일 스프링이다.
또한, 발전수단은, 제 1 본체(220)의 유입구(224)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260); 일단이 제 2 본체(25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부(260)에 연결되는 커넥팅로드(254); 및 회전부(260)의 회전으로부터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부(270);를 포함한다.
또한, 부체(300)의 하부에는 반동으로 인한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280)가 더 포함된다.
또한, 가이드(280)에는 다수의 돌기(282)가 형성되거나 또는 다수의 관통공(284)이 형성되어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부체(300)로부터 부체(300)의 하부까지 설치되는 회전축(285)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가이드(280)는 회전축(285)상에 설치되어 일체로 회전 가능하다.
또한, 부체(300)는 GPS수신부(440)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GPS수신부(44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회전축(285)을 조향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GPS수신부(44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부체(300)가 소정 위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회전축(285)을 제어하여 소정범위내에 속하도록 한다.
또한, 소정의 위치범위는 복수개가 미리 결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수류 확산장치의 반동을 저감하여 선점된 위치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원하는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수류 확산 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녹조나 부패 방지에 효과적이다.
그리고, 수류 확산장치에서 발생하는 관성 반동을 에너지로 다시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수류 확산장치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설령 수류 확산장치가 반동으로 인해 선점된 위치를 크게 벗어나는 경우라도 GPS수신부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소정의 위치범위로 복귀하도록 한다. 따라서, 관리자의 관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원격 모니터링이나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수류 확산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중 본체(200)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200)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중 부체(300)의 저면도,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가이드(280)의 제 1 실시예,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가이드(280)의 제 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의 시스템 블럭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중 본체(200)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200)의 저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는 수면(5)의 아래에 잠수되는 부재이다.
제 1 본체(220)는 대략 중공의 원통형 부재이고, 내부에 제트 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팬이 구비된다. 제 1 본체(220)의 일측으로는 배출구(222)가 형성되어 확산수(234)를 배출할 수 있고, 타측에는 유입구(224)가 형성되어 유입수(230)가 들어온다.
완충부(240)는 본체(200)의 관성 반동을 흡수하는 구성요소이다. 완충부(240)는 완충내관(247)과 스프링(245)으로 이루어진다. 완충내관(247)은 중공의 원통형 부재이고, 일단은 제 1 본체(220)에 연결되며, 타단은 유입구(224)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완충내관(247)의 둘레에는 스프링(245)과 제 2 본체(250)가 끼워진다.
스프링(240)은 완충내관(247)의 둘레에 끼워지며, 일단은 제 1 본체(220)에 밀착되고, 타단은 제 2 본체(250)에 밀착된다. 이러한 스프링(240)은 압축코일 스프링이 될 수 있으며, 관성 반동으로 인해 제 1, 2 본체(220, 250)가 상대적으로 압축되거나 진동을 일으키면 스프링(240)이 압축되면서 에너지를 흡수한다.
제 2 본체(250)는 제 1 본체(220)의 외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다. 제 2 본체(250)의 일단은 스프링(245)에 밀착되고, 타단은 자유단이다.
발전수단은 제 1 본체(220)와 제 2 본체(250)의 상대 운동을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구성요소이다. 발전수단은 대략 커넥팅로드(254), 회전부(260) 및 발전부(270)를 포함한다.
커넥팅로드(254)의 일단은 힌지와 같은 제 1 연결부(252)에 의해 제 2 본체(250)에 연결되고, 타단은 같은 힌지 구조의 제 2 연결부(257)에 의해 회전부(26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 2 본체(250)의 슬라이딩 운동은 커넥팅로드(254)에 의해 회전부(26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된다.
발전부(270)는 회전부(260)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위치하여 회전부(260)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전기에너지를 생성한다. 발전부(270)의 실시를 위해서는 수정 발전기 또는 제너레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배선(210)은 부체(300)의 동력부(410)와 본체(200) 사이를 연결한다. 배선(210)은 확산수(234)를 발생시키기 위한 동력선을 포함하고, 발전부(270)에서 생성된 전력을 다시 부체(300)의 축전부(420)로 보내는 배선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중 부체(300)의 저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체(300)는 수면(5)에 떠 있는 구성으로서 도 6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부체(300)의 저면에는 부체(10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회전축(285)이 노출된다. 이러한 회전축(285)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향 가능하다.
한쌍의 가이드(280)는 회전축(285)에 설치되어 일체로 조향된다. 가이드(280)는 본체(200)에서 생성되는 수류로 인한 관성 반동으로 뒤로 밀리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경사지게 조향된 가이드(280)로 인하여 뒤로 밀리는 현상은 도 4의 가이드 방향(295)과 같은 방향으로 분산된다.
또한, 부체(300)가 뒤로 밀리는 현상을 더욱 억제하기 위해서는 가이드(280)를 통과하는 수류에 와류가 발생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와류의 발생을 촉진하기 위하여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이드(280)의 표면에 다수의 돌기(282)를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80)에 다수의 관통공(284)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의 시스템 블럭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주요 구성요소들은 부체(300)상에 구비된다.
먼저, 제어부(400)는 수류 확산장치 전체의 제어를 통제하고 이상유무를 판단하며, 입력된 동작명령에 따라 수류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400)는 노트북 PC 또는 마이컴, CPU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동력부(410)는 제어부(400)의 제어명령에 따라 본체(200) 내부의 팬을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한다. 즉, 동력부(410)는 필요로 하는 팬의 속도에 따라 대응되는 단계별 전력을 공급한다.
축전부(420)는 동력부(410)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을 공급하고, 발전부(270)에서 발전한 전력을 전달받아 축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축전부(420)는 충전 가능한 2차전지로 구현된다.
무선부(430)는 제어부(400)와 연결되며, 수류 확산장치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고, 그리고 외부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부(430)는 와이파이 모듈, 3G, 4G 통신모듈, 적외선 통신모듈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GPS수신부(440)는 부체(300)의 위치를 제어부(400)에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400)는 현재 부체(3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고, 미리 프로그램된 소정 범위내에 있는지 혹은 소정 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동력부(410)에서 보내지는 전력은 배선(210)을 타고 본체(200)로 전달된다. 그러면, 본체(200) 내부의 팬(미도시)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유입구(224)로 유입수(230)가 들어온다. 그 다음, 고속의 확산수(234)가 되어 배출구(222)를 통해 50m ~ 100m 까지 확산된다.
이 때, 확산수(234)의 배출로 인한 관성 반동이 본체(200)에서 발생하여 확산수(234)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관성 반동은 제 1 본체(220)와 제 2 본체(250)의 상대 슬라이딩 운동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스프링(245)이 압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완충방향(290)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커넥팅로드(254)는 제 2 본체(250)의 직선 운동을 회전부(260)의 회전운동으로 변환하고, 이로 인해 발전부(270)는 전력을 생산한다. 생산된 전력은 배선(210)내 또 다른 전선을 통해 부체(300)로 전송되고, 축전부(420)에서 충전된다.
한편, 수류의 관성 반동으로 인해 뒤로 밀리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회전축(285)을 회전시켜 가이드(280)를 경사지게 위치시킨다. 그러면, 도 4와 같이 기울어진 가이드 방향(295)으로 밀림이 분산된다. 이 때, 가이드(280)상에서 와류를 발생시키면 더 큰 분산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80) 상에 복수개의 돌기(282)를 형성하거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280)에 복수개의 관통공(284)을 형성한다.
아울러, GPS수신부(440)는 부체(300)의 현재 위치를 제어부(400)로 전달하고, 제어부(400)는 이를 이용하여 수류 확산장치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다. 만약, 수류 확산장치가 정해진 소정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회전축(285)과 가이드(280)를 조향하여 수류 확산장치를 원래 위치로 되돌린다. 이 때 가이드(280)는 배의 키와 같은 기능을 한다. 아울러, 정해진 원래 위치로부터 너무 멀리 이격되었거나 수회 반복을 하였지만 원래 위치로 돌아갈 수 없다고 판단되면, 제어부(400)는 수류 확산장치를 인근의 또 다른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제어부(400) 내에는 복수개의 위치범위가 내장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5 : 수면,
20 : 본체,
22 : 배출구,
24 : 유입구,
30 : 유입수,
34 : 확산부,
100 : 부체,
110 : 제어부,
120 : 동력부,
130 : 배선,
200 : 본체,
210 : 배선,
220 : 제 1 본체,
222 : 배출구,
224 : 유입구,
230 : 유입수,
234 : 확산수,
240 : 완충부,
245 : 스프링,
247 : 완충내관,
250 : 제 2 본체,
252 : 제 1 연결부,
254 : 커넥팅로드,
257 : 제 2 연결부,
260 : 회전부,
270 : 발전부,
280 : 가이드,
282 : 돌기,
284 : 관통공,
285 : 회전축,
290 : 완충방향,
295 : 가이드방향,
300 : 부체,
400 : 제어부,
410 : 동력부,
420 : 축전부,
430 : 무선부,
440 : GPS수신부.

Claims (10)

  1. 부체(300)와 본체(200)로 구성되는 수류 확산장치에 있어서,
    일측으로 확산수(234)가 배출되는 배출구(222)를 갖는 제 1 본체(220);
    상기 제 1 본체(220)상에 구비되고, 상기 확산수(234)의 배출에 따른 반동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부(240);
    상기 제 1 본체(2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진채로 상기 완충부(240)의 일측과 일체로 움직이는 제 2 본체(250); 및
    상기 제 1 본체(220)와 상기 제 2 본체(250)의 상대 운동에 기초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발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발전수단은,
    상기 제 1 본체(220)의 유입구(224)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260);
    일단이 상기 제 2 본체(25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부(260)에 연결되는 커넥팅로드(254); 및
    상기 회전부(260)의 회전으로부터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부(270);를 포함하며,
    상기 부체(300)의 하부에는 수류의 관성 반동으로 인한 상기 수류 확산장치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쌍이면서 경사지게 조향된 가이드(280)가 더 포함되고,
    상기 가이드(280)에는 상기 수류 확산장치가 수류의 관성 반동으로 인해 뒤로 밀리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다수의 돌기(282)가 형성되거나 또는 다수의 관통공(284)이 형성되어 와류를 발생시키며,
    상기 부체(300)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기 부체(300)의 저면에 노출되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향이 가능한 회전축(285)을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가이드(280)는 상기 회전축(285)상에 설치되어 일체로 조향됨으로써, 좌측 또는 우측으로 경사지게 조향되어 상기 수류 확산장치의 밀림이 기울어진 가이드 방향(295)으로 분산되도록 하며,
    상기 부체(300)는 GPS수신부(440)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GPS수신부(440)로부터 수신한 부체(300)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축(285)을 조향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GPS수신부(440)를 통해 수신한 부체(300)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류 확산장치의 현재 위치를 파악한 후에 상기 수류 확산장치가 소정 위치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회전축(285)과 가이드(280)를 조향하여 상기 수류 확산장치를 상기 소정 위치범위로 복귀시키고,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수류 확산장치가 상기 소정 위치범위로 복귀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수류 확산장치를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내장된 복수개의 위치범위 중 하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240)는,
    상기 제 1 본체(220)로부터 연장되는 완충내관(247); 및
    상기 완충내관(247)의 외부에 권취되고, 일단이 상기 제 1 본체(220)에 접하며 타단이 상기 제 2 본체(250)에 접하는 스프링(2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본체(220)는 중공의 원통형상이고, 그리고
    상기 스프링(245)은 상기 제 1 본체(220)의 축선상에 설치되는 압축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67369A 2018-12-21 2018-12-21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 KR102261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369A KR102261460B1 (ko) 2018-12-21 2018-12-21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369A KR102261460B1 (ko) 2018-12-21 2018-12-21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946A KR20200077946A (ko) 2020-07-01
KR102261460B1 true KR102261460B1 (ko) 2021-06-07

Family

ID=71601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369A KR102261460B1 (ko) 2018-12-21 2018-12-21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4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382B2 (ja) * 1992-04-20 2001-08-1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ション データの増分タイム・ゼロ・バックアップ・コピー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868782B1 (ko) * 2008-05-17 2008-11-17 이동국 수압을 이용한 수력발전장치
KR101864950B1 (ko) * 2016-11-02 2018-07-13 이재창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550B1 (ko) * 2008-09-05 2011-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키
KR101048970B1 (ko) 2011-02-16 2011-07-12 (주)에코코 공원 및 호수에 설치되는 물순환장치
MX2015014938A (es) 2013-04-24 2016-03-07 Absolute Aeration Aparato y metodo para tratamiento de agua residual mejorado.
JP3197382U (ja) * 2015-02-23 2015-05-14 原 隆 水上浮体構造物
KR101624118B1 (ko) 2016-02-22 2016-05-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다단형(多段型)구조를 갖는 수역정화장치
KR101907665B1 (ko) 2018-03-02 2018-10-15 인워터솔루션 주식회사 이동식 수중 미세기포 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7382B2 (ja) * 1992-04-20 2001-08-1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ション データの増分タイム・ゼロ・バックアップ・コピー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868782B1 (ko) * 2008-05-17 2008-11-17 이동국 수압을 이용한 수력발전장치
KR101864950B1 (ko) * 2016-11-02 2018-07-13 이재창 해상용 비상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946A (ko)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4388B1 (en) Wind power generation system
US20070228736A1 (en) Intermittent force powered electromagnetic converters especially for sea waves
CA2535367A1 (en) Blade-pitch-angle control device and wind power generator
KR102191770B1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KR102261460B1 (ko) 저반동 수류 확산장치
JP6126740B2 (ja) 風力発電機のブレード角度調節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風力発電機
KR101631761B1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CN105742819A (zh) 一种调整螺旋天线直径的装置、方法及螺旋天线
KR20170113793A (ko)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장치
KR101637907B1 (ko) 자동 개폐식 풍속 가변형 풍력발전시스템
KR20220077137A (ko) 저장부-조절 디지털 부하 제어
US9371816B2 (en) Hybrid wave-current power system
CN106778370A (zh) 一种能够自主移动的设备的自毁方法及设备
US20180142668A1 (en) Hydroelectric apparatus
KR20210101160A (ko) 파고 조절이 가능한 인공 리버 서핑 시스템
KR101908582B1 (ko) 이동체 적용 압전 하베스팅 시스템
JP5415246B2 (ja) 風力発電装置
WO2014132842A1 (ja) タービン機構
KR101738385B1 (ko) 자동 개폐식 풍력발전시스템
JP6988609B2 (ja) 制御装置、水流発電システム、及び水流発電装置の制御方法
CN107002629B (zh) 用于经受摆动运动的结构的装置和方法
KR102284702B1 (ko) 수상정 및 냉각재 분사방법
CN110848076B (zh) 一种离岸振荡水柱发电船
KR101259719B1 (ko) 유체 날개가 구비된 유체발전기
CN219468056U (zh) 一种无人机防摔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