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473B1 - 파랑을 이용한 해양 시설물의 전원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파랑을 이용한 해양 시설물의 전원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473B1
KR100970473B1 KR1020090029327A KR20090029327A KR100970473B1 KR 100970473 B1 KR100970473 B1 KR 100970473B1 KR 1020090029327 A KR1020090029327 A KR 1020090029327A KR 20090029327 A KR20090029327 A KR 20090029327A KR 100970473 B1 KR100970473 B1 KR 100970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haft
generator
housing
blu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성
박수열
김유승
강형구
서민성
Original Assignee
(주)이노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센싱 filed Critical (주)이노센싱
Priority to KR1020090029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0Submerged units incorporating electric generator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8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covering energy derived from swinging, rolling, pitching or like movements, e.g. from the vibrations of a mach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5/00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35/02Genera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coil system, magnet, armature or other part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moving magnets and stationary coi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수면에 뜨는 평판형의 부체와, 부체에 직각으로 돌출된 지지대와, 지지대와 힌지 결합되어 지지대를 중심으로 양단이 시소 작용이 가능하고 내부 공간이 구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통관과, 원통관의 외주면에 이격 권선되는 유도코일과, 원통관 내부에 구성되는 고정축과, 원통관과 고정축 사이에 구성되면서 중심에 고정축이 관통 삽입되어 슬라이드 운동하는 발전자와, 발전자의 양끝 단면에 구성되면서 중심의 관통공 내부로 고정축이 관통 삽입되어 발전자가 슬라이딩할 때에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와, 발전자에서 발생한 유도기전력을 정류 및 변환하는 에너지변환부와, 변환된 전류를 충전하는 축전기로 구성되어; 파랑의 출렁임을 이용하여 유도코일과 발전자에 의해 자가 발전한 전류를 충전시켜 등표 또는 부표 등의 해양 시설물에 전류를 공급하는 파랑을 이용한 해양 시설물의 전원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파랑에 의해 발생된 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해양의 기후 변화와 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류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원통관, 고정축, 유도코일, 발전자, 파랑, 등부표, 전류, 축전기

Description

파랑을 이용한 해양 시설물의 전원공급시스템{Generation for electric power system of ocean establishments}
본 발명은 파랑을 이용한 해양 시설물의 전원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파랑의 출렁임을 이용하여 하우징의 기울기가 변화되면서 유도코일과 발전자에 의해 자가 발전한 전류를 충전시켜 등표 또는 부표 등의 해양 시설물에 전류를 공급하는 파랑을 이용한 해양 시설물의 전원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부이 또는 부구라고도 하는 부표는 여러 가지의 용도로 사용되는데 그 중의 하나로써 부표는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돕기 위하여 항로를 지시하거나 혹은 암초, 침몰선 등 항해상의 위험물의 존재를 경고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해저와는 체인으로 연결되어 떠내려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특히, 야간용으로서 램프를 구성한 등표는 바다의 수면 위에 부상되어 운항하는 선박들의 항로에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서 근해상의 항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부표는 어구나 닻 등 물속에 있는 물체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도 사용되 는데, 이러한 목적에 사용되는 부표는 커다란 뜸체에 깃대를 세워 묶고 그 하측에 추를 구비하고 상측에 깃발을 구비하거나 점등되는 램프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등부표는 램프의 점등을 위해 건전지를 사용하거나, 등부표의 상단에 태양전지를 형성하여 태양광에 의해 발전한 전류를 사용하였다.
상기의 종래기술에서 건전지를 사용하는 등부표는 건전지의 수명이 짧아 건전지의 교체가 필요할 경우에는 그 교체에 따른 시간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교체작업이 이루어질 때까지 램프가 점등되지 아니하여 선박의 항로 안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태양전지를 사용하는 등부표는 기후의 변화 즉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내리면 태양광을 통하여 충전을 할 수 없어서 램프로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이 되지 않아 기후의 변화 따라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랑에 의해 발전자가 고정축에서 슬라이딩하여 유도코일의 반응으로 발생한 전류를 정류 및 변환하여 축전기에 충전하여 충전된 전류를 등표 또는 부표 등의 해양 시설물에 공급하는 파랑을 이용한 해양 시설물의 전원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부력에 의하여 해수면에 뜨는 평판형의 부체와, 상기 부체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힌지 결합되어 지지대를 중심으로 양단이 서로 오르락내리락하는 시소 작용이 가능하고 내부 공간이 구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면서 내부에 구성되는 원통관과, 상기 원통관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권선되는 유도코일과, 상기 원통관 내부에 구성되는 고정축과, 상기 원통관과 상기 고정축 사이에 구성되면서 중심에 고정축이 관통 삽입되어 슬라이드 운동하는 자석으로 된 발전자와, 상기 발전자의 양끝 단면에 구성되면서 중심에 관통공이 구성되어 관통공 내부로 고정축이 관통 삽입되어 발전자가 슬라이딩할 때에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와, 상기 발전자에서 발생한 유도기전력을 정류 및 변환하는 에너지변환부와, 상기 에너지 변환부에서 변환된 전류를 충전하는 축전기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축의 양단은 일정길이가 소정의 각으로 절곡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축의 양단은 일정길이가 너얼링 가공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축은 양단으로부터 일정위치에 고정축의 외주면을 따라 돌기가 구성되고, 완충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이 등표 또는 부표 등을 중심으로 일정간격의 방사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항상 발생되는 해수면의 파랑에 의해 발생된 전류를 등부표 등의 해양 시설물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양의 날씨가 맑거나 흐리거나 눈비가 내리는 등 기후 변화에 상관없이 항상 전류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밤에도 파랑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낮밤 상관없이 즉 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전류를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이 등표 또는 부표 등을 중심으로 일정간격의 방사상으로 구성되어 파랑의 방향에 상관없이 발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인 도 1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해양 시설 물의 전원공급시스템(10)의 주요 구성은 부체(23), 지지대(24), 하우징(15)과, 원통관(14)과, 유도코일(11)과, 고정축(13)과, 발전자(12)와, 완충부재(16)과, 에너지변환부(20) 및 축전기(2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체(23)는 부력에 의하여 해수면에 뜨는 재질로서 파랑에 대응하도록 평판형으로 구성되며, 사각판형, 원판형, 다각판형의 어느 하나로서 어떤 형상의 판형이든지 가능하다.
상기 부체(23)는 보다 잘 부유하도록 부체(23)의 내에 공기층을 형성할 수 도 있으며, 해수면에 부유하여 해수의 파랑을 따라 파랑에 의해 수시로 기울기가 변화한다.
상기 지지대(24)가 부체(23)에 결합되는데 평판형 부체(23)의 평면과 평판의 중앙부에서 직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하나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다음에 설명하는 하우징(15)이 보다 확실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5)은 상기 지지대(24)와 힌지 결합되어 지지대(24)를 중심으로 양단이 서로 오르락내리락하는 시소 작용이 가능하면서 내부 공간이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5)도 부력에 의해 해수면에 뜨는 재질이면서 다음에 설명되는 원통관(14)을 수용하는 일정한 내부공간이 구성되면서 원통형 또는 장방형 등 어느 형상도 가능하다.
상기 원통관(14)은 상기 하우징(15)의 내부공간에서 하우징(15)의 종방향으로 형성되면서 다음에 설명하는 발전자(12)를 수용하는 일정한 내부공간이 구성되며, 원통관(14)은 파랑에 의해 하우징(15)의 기울기가 변화하면 이에 대응하면서 기울기가 변화된다.
상기 유도코일(11)은 상기 원통관(14)의 외주면을 따라 권선되되 일정간격으로 이격 권선되며, 유도코일(11)을 이격 권선하는 것은 외주면 전체를 권선하는 것보다 전류 발생에 있어서 효율적이면서 전류 발생이 많기 때문이다.
상기 고정축(13)은 상기 원통관(14) 내부공간에서 원통관(14)의 종방향으로 구성되면서 부도체이면서 다음에 설명하는 발전자(12)가 슬라이드 왕복운동이 용이하게 조도가 낮은 재질로 구성되거나 표면가공 시 조도가 낮게 정밀가공을 한다.
한편, 고정축(13)도 파랑에 의해 하우징(15)의 기울기가 변화하면 이에 대응하면서 기울기가 변화된다.
상기 발전자(12)는 상기 원통관(14)과 상기 고정축(13) 사이의 공간에 구성되면서 중심에 관통공이 구성되어 있으며, 발전자(12)는 관통공 내부로 고정축(13)이 관통 삽입되어 하우징(15)의 기울기의 변화에 따라 고정축(13)과 접촉하면서 고정축(13) 상에서 슬라이드 운동하는 자석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축(13)의 외경보다 발전자(12)의 관통공 내경이 크게 구성되는데 다음에 설명하는 도 2에서와 같이 고정축(13)이 기울어진 부분에 발전가(12)가 고정축(13)에 끼게 되어 일정 기울기가 주어질 경우 슬라이딩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16)는 상기 발전자(12)의 양끝 단면에 구성되면서 중심에 관통공이 구성되어 관통공 내부로 고정축(13)이 관통 삽입된다.
상기 완충부재(16)는 발전자(12)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완충부재(16)의 관통공과 발전자(12)의 관통공이 동일하고 완충부재(16)의 외형과 발전 자(12)의 외형도 동일한 것이다.
상기 완충부재(16)는 상기 발전자(12)가 슬라이딩할 때에 발전자(12)와 원통관(14)이 부딪칠 때 발전자(12)가 슬라이딩을 중지하게 되는데 이때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부재(16)가 흡수하여 그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에너지변환부(20)는 상기 발전자(12)에서 발생한 유도기전력을 정류 및 변환 한다. 즉, 발전자(12)와 유도코일(11)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한 유도기전력을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면서 양과 음 두 가지 방향으로 변화 발생하는 교류전류를 한 가지 방향만 갖는 직류전류로 변환시키는 것이다.
상기 축전기(21)는 해양시설물의 램프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에너지변환부(20)에서 변환된 전류를 충전하며, 축전기(21)는 파랑이 없어 전류가 발생하지 아니할 경우를 대비하여 기 발전된 전류를 저장하는 것이다.
도 6의 본 발명이 파랑에 의해 경사되어지는 사시도와 같이, 해수면에 파랑이 발생하면 해수면에 부유되어 있던 상기 부체(23)가 파랑을 따르면서 파랑의 형태에 순응하여 일단은 상승하고 타단은 하강하여 그 기울기 즉 양 끝단의 높이가 변화하게 된다.
상기 부체(23)의 승강에 따라 부체(23)와 지지대(24)로 힌지 결합된 하우징(15)도 부체(23)와 같이 승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24)와 하우징(15)이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하우징(15)은 별도로 지지대(24)를 중심으로 양단이 서로 오르락내리락하는 시소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부체(23)와 하우징(15)의 힌지 결합은 파랑에 의한 기울기에 시소 작용에 의한 기울기가 더하여서 하우징(15)의 기울기가 더 크게 되어 발전자(12)의 슬라이드 속도가 크게 될 뿐만 아니라 낮은 파랑에 의해서도 발전자(12)가 슬라이드되게 하는 작용을 하여 기전력의 발생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5)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원통관(14)도 하우징(15)의 기울기가 변화하면 이에 대응하면서 기울기가 변화되고, 원통관(14) 내부에 구성되어 있는 고정축(13)도 원통관(14)의 기울기가 변화하면 이에 대응하면서 기울기가 변화한다.
이때 고정축(13)의 양단의 기울기가 일정 이상이 되면 고정축(13)에 관통되어 있는 발전자(12)가 고정축(13)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을 한다.
상기 발전자(12)가 고정축(13)의 일단 끝단에서 슬라이딩을 시작하여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일정간격으로 이격 권선된 유도코일(11)을 통과하여 고정축(13)의 타단 끝단에 도달하면 슬라이딩이 중지된다.
고정축(13)의 타단 끝단에 도달한 발전자(12)는 파랑에 의해 하우징(15)이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슬라이딩을 시작하여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일정간격으로 이격 권선된 유도코일(11)을 통과하여 고정축(13)의 일단 끝단에 도달하면 슬라이딩이 중지된다.
상기 발전자(12)는 N극과 S극으로 분극화된 자석으로서 원통관(14)의 외주면에 권선된 유도코일(11)과 접촉되지 않으면서 고정축(13) 상에서 원통관(14) 내부에서 일정한 형태로 슬라이드 왕복 운동을 하여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다.
해수면의 파랑은 파장의 주기가 4~6초 평균5초 간격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파고및 파저는 각각 35cm 정도로 파랑의 고저 차는 70cm이 되면서 항상 발생된다.
따라서, 파랑에 의해 고정축(13)이 기울어지면 발전자(12)의 위치에너지가 고정자와 발전자(12)의 마찰에너지 보다 크게 되면 발전자(12)가 고정축(13) 상에서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
상기 유도기전력이란 유도코일(11)에 발전자(12)를 가져가면 발전자(12)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이 유도코일(11)을 통과함으로서 그 결과로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유도코일(11)에 전류가 흐르는 힘이 생성되어 기전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 축전기(21)는 에너지변환부(20)에서 변환된 전류를 축전하면서 등표(22) 또는 부표에 전압이나 전류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허용치 이상의 전압 및 전류를 흐르지 못하게 하여 내부 회로를 보호하면서 램프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정축(13-1)이 절곡된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축(13-2)이 너얼링 가공된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축(13-3)에 돌기(17)가 구성된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이다.
도 2, 3 및 4는 고정축(13-1, 13-2, 13-3)에 대한 다른 실시 예이므로 다른 구성은 도 1과 동일하므로 고정축(13-1, 13-2, 13-3)과 관련된 구성만 도시하고 부체(23), 지주(24), 에너지변환부(20)와 축전기(21)는 도면에서 생략하였다.
도 2, 3 및 4의 구성에서 부체(23), 지주(24), 하우징(15), 원통관(14), 유 도코일(11), 발전자(12), 완충부재(16), 에너지변환부(20) 및 축전기(21)의 구성과 작용은 도 1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살펴보면, 도 2의 고정축(13-1)은 상기 발전자(12)의 초기 슬라이딩을 제어하기 위하여 양단의 일정길이가 소정의 각으로 절곡되어 있는 구성이다.
해수면에서 파랑이 발생하면 상기 하우징(15)의 기울기가 변화하게 되면 고정축(13-1)도 기울기가 변화하게 되어 발전자(12)가 고정축(13-1)에서 파랑의 고저차가 적을 경우에도 슬라이딩을 시작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전류의 발생량이 적게 되는 경우가 있다.
파랑이 발생하면 발전자(12)가 슬라이딩 되고자 하여도 고정축(13-1) 양단의 절곡부에 의해 저항을 받아 초기 슬라이딩이 제어되어 잠시 지체되어 있다가 파랑의 고저차가 일정 이상이 되었을 경우 즉 발전자(12)의 위치에너지가 절곡부의 저항에너지보다 클 경우에 발전자(12)가 고정축(13-1)에서 슬라이딩하게 되는 구성이다.
상기 하우징(15)의 큰 고저차로 인하여 발전자(12)의 슬라이딩 속도가 그 만큼 빨라 발전 효과가 상승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발전자(12)가 고정축(13-1)의 일단 끝단의 절곡부에서 슬라이딩을 시작하여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일정간격으로 이격 권선된 유도코일(11)을 통과하여 고정축(13-1)의 타단 끝단의 절곡부에 도달하면 슬라이딩 운동이 중지된다.
고정축(13-1)의 타단 끝단에 도달한 발전자(12)는 파랑에 의해 하우징(15)이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슬라이딩을 시작하여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일정간 격으로 이격 권선된 유도코일(11)을 통과하여 고정축(13-1)의 일단 끝단의 절곡부에 도달하면 슬라이딩이 중지된다.
도 3을 살펴보면, 도 3의 고정축(13-2)은 상기 발전자(12)의 초기 슬라이딩을 제어하기 위하여 양단의 일정길이에 너얼링(knurling) 가공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너얼링은 너어링 공구를 사용하여 고정축(13-2)의 외주면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고정축(13-2)의 외주면이 다수의 작은 요선이 형성되게 한 구성이다.
도 3의 너어링 가공된 고정축(13-2)도 도 2의 절곡된 고정축(13-2)과 동일한 사유와 효과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서 고정축(13-2)의 양 끝단부를 거칠게 하여 마찰력을 증대시킨 것이다.
다만, 발전자(12)의 위치에너지가 너얼링부의 마찰에너지보다 클 경우에 발전자(12)가 고정축(13-2)에서 슬라이딩하게 되는 구성이다.
상기 발전자(12)가 고정축(13-2)의 일단 끝단의 너얼링부에서 슬라이딩을 시작하여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일정간격으로 이격 권선된 유도코일(11)을 통과하여 고정축(13-2)의 타단 끝단의 너얼링부에 도달하면 슬라이딩 운동이 중지된다.
고정축(13-2)의 타단 끝단에 도달한 발전자(12)는 파랑에 의해 하우징(15)이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슬라이딩을 시작하여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일정간격으로 이격 권선된 유도코일(11)을 통과하여 고정축(13-2)의 일단 끝단의 너얼링부에 도달하면 슬라이딩이 중지된다.
도 4와 5를 살펴보면, 도 4의 상기 고정축(13-3)은 양단으로부터 일정위치에 고정축(13-3)의 외주면을 따라 돌기(17)가 구성되고, 상기 완충부재(16)의 내주 면에는 내주면을 따라 상기 돌기(17)에 대응되는 요홈(18)이 형성된 구성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돌기가 있는 고정축의 단면도이다.
도 4의 돌기(17)가 구성된 고정축(13-3)도 도 2의 절곡된 고정축(13-3)과 동일한 사유와 효과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서 발전자(12)의 초기 슬라이딩을 제어하기 위해 고정축(13-3)에 돌기(17)와 완충부재(16)에 요홈(18)을 구성한 것이다.
다만, 발전자(12)의 위치에너지가 고정축(13-3)의 돌기(17)와 완충부재(16)의 요홈(18)에 의해 발생하는 저항력보다 클 경우에 발전자(12)가 고정축(13-3)에서 슬라이딩하게 되는 구성이다.
상기 완충부재(16)에 요홈(18)을 형성한 것은 발전자(12)가 슬라이딩되어 발전자(12)의 돌기(17)와 요홈(18)이 대응되어 합치될 때 발전자(12)가 슬라이딩을 중지하게 된다.
상기 발전자(12)는 고정축(13-3)의 일단 끝단에서 발전자(12)의 요홈(18)과 고정축(13-3)의 돌기(17)가 이격되면서 슬라이딩을 시작하여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일정간격으로 이격 권선된 유도코일(11)을 통과하여 고정축(13-3)의 타단 끝단에서 발전자(12)의 요홈(18)과 고정축(13-3)의 돌기(17)가 대응 합치되면 슬라이딩 운동이 중지된다.
고정축(13-3)의 타단 끝단에 도달한 발전자(12)는 파랑에 의해 하우징(15)이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면 발전자(12)의 요홈(18)과 고정축(13-3)의 돌기(17)가 이격되면서 슬라이딩을 시작하여 슬라이딩 운동을 하면서 일정간격으로 이격 권선된 유도코일(11)을 통과하여 고정축(13-3)의 일단 끝단에서 발전자(12)의 요홈(18) 과 고정축(13-3)의 돌기(17)가 대응 합치되면 슬라이딩 운동이 중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우징(15)이 등표(22)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 구성된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이 등표 및 부표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상태도이다
도 7 및 8은 하우징(15)의 설치 방향 또는 위치에 대한 다른 실시 예이므로 다른 구성은 도 1과 동일하므로 하우징(15)의 설치 방향 또는 위치에 관련된 구성만 도시하고 부체(23), 지주(24), 에너지변환부(20)와 축전기(21)는 도면에서 생략하였다.
도 7 및 8의 구성에서 부체(23), 지주(24), 하우징(15), 원통관(14), 유도코일(11), 발전자(12), 완충부재(16), 에너지변환부(20) 및 축전기(21)의 구성과 작용은 도 1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상기 하우징(15)이 등표(22) 또는 부표 등을 중심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구성되고, 하우징(15)과 하우징(15)과는 전선(19)으로 연결된 구성으로서, 하우징(15)이 방사상으로 구성되어 어떤 방향에서든지 파랑이 발생하여 밀려오더라도 어느 하나의 하우징(15)이 파랑에 직각으로 대치되기 때문에 파랑의 방향에 상관없이 발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등표 또는 부표의 하우징 내부에 본 발명을 설치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부체(23)가 등표 또는 부표의 하우징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등표 및 부표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바다의 활용면적을 높이면서 파손에 대응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파랑에 의해 등표 또는 부표가 흔들릴 때 발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고깃배와 같은 소행 선박의 바닥 내부에 설치하여 파랑에 의한 소형 선박의 흔들림을 이용해 발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정축이 절곡된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축이 너얼링 가공된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정축에 돌기가 구성된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돌기가 있는 고정축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파랑에 의해 경사되어지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우징이 방사상으로 구성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이 등표 또는 부표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해양 시설물의 전원공급시스템 11: 유도코일
12: 발전자 13, 13-1, 13-2, 13-3: 고정축
14: 원통관 15: 하우징
16: 완충부재 17: 돌기
18: 요홈 19: 전선
20: 에너지변환부 21: 축전기
22: 등표 23: 부체
24: 지지대

Claims (5)

  1. 부력에 의하여 해수면에 뜨는 평판형의 부체와;
    상기 부체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힌지 결합되어 지지대를 중심으로 양단이 서로 오르락내리락하는 시소 작용이 가능하고 내부 공간이 구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하우징의 종방향으로 형성되면서 내부 공간이 구성되는 원통관과;
    상기 원통관의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 권선된 유도코일과;
    상기 원통관 내부에 원통관의 종방향으로 구성되면서 부도체의 고정축과;
    상기 원통관과 상기 고정축 사이에 구성되면서 중심에 관통공이 구성되어 관통공 내부로 고정축이 관통 삽입되어 고정축에서 슬라이드 운동하는 자석으로 된 발전자와;
    상기 발전자의 양끝 단면에 구성되면서 중심에 관통공이 구성되어 관통공 내부로 고정축이 관통 삽입되어 발전자가 슬라이딩할 때에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와;
    상기 발전자에서 발생한 유도기전력을 정류 및 변환하는 에너지변환부와;
    상기 에너지변환부에서 변환된 전류를 충전하는 축전기;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이 파랑에 의해 기울기가 변화하면서 발전자가 고정축에서 슬라이딩하여 유도코일의 반응으로 발생한 전류를 등표 또는 부표 등의 해양 시설물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랑을 이용한 해양 시설물의 전원공급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양단의 일정길이가 소정의 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발전자의 초기 슬라이딩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랑을 이용한 해양 시설물의 전원공급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양단의 일정길이가 너얼링 가공되어 상기 발전자의 초기 슬라이딩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랑을 이용한 해양 시설물의 전원공급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양단으로부터 일정위치에 고정축의 외주면에 돌기가 구성되고, 상기 완충부재의 내주면에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발전자의 초기 슬라이딩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랑을 이용한 해양 시설물의 전원공급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등표 또는 부표 등을 중심으로 일정간격의 방사상으로 구성되 어 파랑의 방향에 상관없이 발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랑을 이용한 해양 시설물의 전원공급시스템.
KR1020090029327A 2009-04-06 2009-04-06 파랑을 이용한 해양 시설물의 전원공급시스템 KR100970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327A KR100970473B1 (ko) 2009-04-06 2009-04-06 파랑을 이용한 해양 시설물의 전원공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9327A KR100970473B1 (ko) 2009-04-06 2009-04-06 파랑을 이용한 해양 시설물의 전원공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0473B1 true KR100970473B1 (ko) 2010-07-16

Family

ID=4264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327A KR100970473B1 (ko) 2009-04-06 2009-04-06 파랑을 이용한 해양 시설물의 전원공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47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297B1 (ko) * 2014-06-27 2015-10-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파랑을 이용한 발전 장치 및 방법
KR20160111635A (ko) * 2015-03-17 2016-09-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파랑을 이용한 발전 장치 및 방법
WO2017018755A1 (ko) * 2015-07-30 2017-02-02 (주)한국플랜트관리 독립형 항로표지시설물 파랑발전 패키지 시스템
CN107605649A (zh) * 2017-08-16 2018-01-19 海南大学 一种波浪能发电装置的固定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253A (ko) * 2002-04-19 2003-10-30 전상형 해수면의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0650793B1 (ko) 2006-02-16 2006-11-28 (주)한국초음파연구소 부표
KR100679450B1 (ko) 2005-06-21 2007-02-06 한국해양연구원 자성체를 이용한 파력발전장치
US7323790B2 (en) 2005-03-15 2008-01-29 Ocean Power Technologies, Inc. Wave energy converters (WECs) with linear electric generators (LEG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253A (ko) * 2002-04-19 2003-10-30 전상형 해수면의 파도를 이용한 발전장치
US7323790B2 (en) 2005-03-15 2008-01-29 Ocean Power Technologies, Inc. Wave energy converters (WECs) with linear electric generators (LEGs)
KR100679450B1 (ko) 2005-06-21 2007-02-06 한국해양연구원 자성체를 이용한 파력발전장치
KR100650793B1 (ko) 2006-02-16 2006-11-28 (주)한국초음파연구소 부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9297B1 (ko) * 2014-06-27 2015-10-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파랑을 이용한 발전 장치 및 방법
KR20160111635A (ko) * 2015-03-17 2016-09-2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파랑을 이용한 발전 장치 및 방법
KR101681609B1 (ko) * 2015-03-17 2016-12-0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파랑을 이용한 발전 장치 및 방법
WO2017018755A1 (ko) * 2015-07-30 2017-02-02 (주)한국플랜트관리 독립형 항로표지시설물 파랑발전 패키지 시스템
CN107605649A (zh) * 2017-08-16 2018-01-19 海南大学 一种波浪能发电装置的固定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55767A1 (en) Buoy having means for self-generating electricity using wave power and method of generating electric energy in such buoy
US8378511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nverting wave energy into electricity
KR100970473B1 (ko) 파랑을 이용한 해양 시설물의 전원공급시스템
US20070102933A1 (en) Electrical generator
EP1711398A1 (en) Buoyant container with wave generated power production
KR101639560B1 (ko) 자가발전 조명부표
KR20220049924A (ko) 에어작동형 자가발전 조명 등부표
CN109286299A (zh) 一种智能标识牌
KR101274952B1 (ko) 발광부표
KR101687274B1 (ko) 파력 발전장치를 갖춘 조명 부표
KR101801768B1 (ko) 자가발전 엘이디 발광 표시기
KR20160061219A (ko) 파력 발전형 부유식 방파제 및 그 파력 발전 시스템
JPH03150062A (ja) 無摩擦磁石式振動発電装置
CN110735758A (zh) 一种基于波浪能浮标灯的最大波能跟踪系统
KR20110053552A (ko) 파력 발전 장치
KR20200066081A (ko) 등부표용 자가 발전기
KR20170014644A (ko) 독립형 항로표지시설물 파랑발전 패키지 시스템
CN209195586U (zh) 一种船舶浮筒发电装置
KR20100066030A (ko) 자가 발전형 유도 부표
KR101884260B1 (ko) 자가점등부표
KR101380560B1 (ko) 자석의 이동을 이용한 발전기
CN112319703B (zh) 一种采用海能供电的漂浮式航标灯
CN212305014U (zh) 一种近海岸波浪能发电装置
RU2728887C1 (ru) Буй для долговременных океанографических станций
KR101681609B1 (ko) 파랑을 이용한 발전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