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777B1 - 콘크리트 충격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충격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777B1
KR101864777B1 KR1020160177639A KR20160177639A KR101864777B1 KR 101864777 B1 KR101864777 B1 KR 101864777B1 KR 1020160177639 A KR1020160177639 A KR 1020160177639A KR 20160177639 A KR20160177639 A KR 20160177639A KR 101864777 B1 KR101864777 B1 KR 101864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ammer
sprocket
conversion
rele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영
한덕희
조찬희
위재한
Original Assignee
삼표피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표피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표피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7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01N3/303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generated only by free-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38Concrete; Lime; Mortar; Gypsum; Bricks; Ceramics; Glass
    • G01N33/383Concrete or c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충격 시험 장치는 시험재료가 안착되며, 기립되어 설치되는 본체부, 일정한 높이로 상승된 후 상기 시험재료에 낙하되는 해머부를 구비하는 낙하유닛, 상기 해머부를 상승 또는 낙하시키는 승강유닛 및 상기 승강유닛을 승강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충격 시험 장치{Impact Test Apparatus For Concrete Pil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충격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파일 등에 동적인 충격 시험을 할 수 있는 콘크리트 충격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PHC PILE이란,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가 78.5mpa 이상인 프리텐션 방식에 의한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을 말하며, 구조물의 하부 기초로 이용된다.
상기 PHC PILE 등은 사용조건이 만족되기 위하여 압축강도 시험, 전단강도 시험, 휨강도 시험 및 축력휨강도 시험이 이루어진다.
압축강도 시험은 콘크리트 파일에 정적인 하중을 가하였을 때의 지지력과 안정성을 살피기 위한 시험이고, 전단강도 시험은 콘크리트 파일의 전단력을 측정하는 시험이고, 휨강도 시험은 콘크리트 파일의 휨정도 및 응력을 측정하는 시험이며, 축력휨강도 시험은 축력이 작용된 상태에서의 휨강도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상기 콘크리트 강도 시험은 모두 정적인 하중을 가하는 강도 시험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건축법규상, 정적인 하중을 가하는 상기 시험 기준만 마련되어 있으며, 동적인 충격을 가하는 시험 기준은 없는 상태이다.
그러나, 실제 건설 현장에서는 콘크리트 파일 등이 시공되는 위치에 홀을 굴착하고, 상기 파일을 삽입한 후, 해머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상기 파일을 타격하면서 파일을 시공하는데, 위와 같이 해머로 동적 충격을 가하는 경우, 콘크리트 파일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지게차나 트럭으로 파일을 이동하는 동안에도 이동 충격에 의해 콘크리트 파일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위와 같이, 동적 충격에도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가진 콘크리트 파일을 제작하기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파일을 시험제조 후 동적 충격을 견뎌낼 수 있는지에 대한 시험이 요구되며,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파일에 동적 충격 시험을 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충격시험 장치를 본체부, 낙하유닛, 승강유닛 및 구동유닛으로 구성하여, 해머부가 상승 및 시험재료에 낙하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콘크리트 파일 등의 시험재료에 균열이 일어나는지 여부 등의 충격시험을 하고자 한다.
승강유닛을 몸체부, 릴리져 및 변환부로 구성하여, 릴리져를 몸체부의 상면에서 전방으로 이동시켜 해머부를 상승시키고, 릴리져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해머부를 낙하시키고자 한다.
복수개의 고정유닛을 이용하여 시험재료를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시험재료가 충격에 의한 반발로 상부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승강유닛에 결속부를 포함하여, 변환부가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변환부가 임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충격 시험 장치는, 시험재료가 안착되며, 기립되어 설치되는 본체부, 일정한 높이로 상승된 후 상기 시험재료에 낙하되는 해머부를 구비하는 낙하유닛, 상기 해머부를 상승 또는 낙하시키는 승강유닛 및 상기 승강유닛을 승강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유닛은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체인부 및 상기 체인부와 결합되어 상기 승강유닛을 승강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체인부는 상기 본체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제1스프로킷부 및 상기 본체부 상부에 구비되는 제2스프로킷부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유닛은 상기 본체부에 기립되어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승강되는
제1스프로킷부는 상기 해머부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유닛은 상기 제1스프로킷부와 인접한 높이로부터 상기 해머부를 상승시킨 후, 상기 제2스프로킷부와 인접한 높이에서 상기 해머부를 낙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유닛은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승강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릴리져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기 릴리져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릴리져는 상기 제1스프로킷부와 인접한 높이에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해머부를 그립한 후, 상기 해머부를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리져는 상기 제2스프로킷부와 인접한 높이에서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해머부를 이탈시켜, 상기 해머부를 낙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유닛의 몸체부에는 수평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의 연결부가 상기 수평장홀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유닛을 승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는 상기 체인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수평장홀에 삽입되는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 및 상기 체인부는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유닛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회전방향을 변환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유닛이 상승되어 상기 해머부가 이탈됨과 동시에 또는 직후에, 상기 스위치부가 on 되어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체인부의 회전방향이 변환되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는 상기 체인부의 일측 및 상기 수평장홀의 일측에 위치되어 하강되고, 상기 제1스프로킷부를 축으로 회전된 후, 상기 체인부의 타측 및 상기 수평장홀의 타측에 위치되어 상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환부에는 변환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변환홈부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홈부, 상기 제1홈부로부터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홈부 및 상기 경사홈부로부터 상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릴리져는 상기 변환홈부를 관통하는 고정핀과 결합되어, 상기 변환부가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됨에 따라, 상기 고정핀이 상기 제1홈부 또는 제2홈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핀과 결합된 상기 릴리져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유닛은 결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속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변환부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변환부가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변환부가 임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속부는 상기 변환부에 일면이 밀착되는 결속부재, 상기 결속부재의 타면에 연결되는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와 일면이 연결되는 볼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가 상기 제1스프로킷부를 축으로 회전될 때,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된 제1돌기부에 의해 상기 변환부가 상승되면서 상기 릴리져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가 상기 제2스프로킷부에 인접한 높이에 위치될 때,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된 제2돌기부에 의해 상기 변환부가 하강되면서 상기 릴리져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낙하유닛은 복수개의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해머부는 상기 가이드바 내부에서 상승 또는 낙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낙하유닛은 운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송부는 상기 해머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승강되는 파이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에는 상기 시험재료를 고정하는 고정유닛이 더 포함되며, 상기 고정유닛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시험재료를 고정 또는 릴리즈하는 바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스부는 상기 시험재료를 하향 경사지는 힘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충격 시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충격 시험 장치를 본체부, 낙하유닛, 승강유닛 및 구동유닛으로 구성하여, 해머부가 상승 및 시험재료에 낙하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콘크리트 파일 등의 시험재료에 동적인 충격 시험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승강유닛의 릴리져를 몸체부의 상면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켜, 해머부를 손쉽게 상승 또는 낙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복수개의 고정유닛으로 시험재료를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시험재료가 충격에 의한 반발로 상부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격 시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격 시험 장치의 낙하유닛 및 승강유닛의 사용상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격 시험 장치의 콘크리트 충격 시험 상태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격 시험 장치의 승강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충격 시험 장치의 승강유닛의 승강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그 형상에 대하여는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충격 시험 장치는 개략적으로, 본체부(100), 낙하유닛(200), 승강유닛(300) 및 구동유닛(500)으로 구성된다.
본체부(100)는 작업장소나 충격시험장소에 기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100)에는 콘크리트 파일 등의 시험재료(50)가 안착된다.
낙하유닛(200)은 해머부(210)를 포함하며, 상기 해머부(210)는 일정한 높이로 상승된 후 시험재료(50)에 낙하된다.
상기 해머부(210)가 상승 및 시험재료(50)에 낙하되는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콘크리트 파일 등의 시험재료(50)에 균열이 일어나는지 여부 등의 충격시험이 이루어지게 된다.
승강유닛(300)은 구동유닛(500)과 연결되며, 낙하유닛(200)의 해머부(210)를 상승 또는 낙하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구동유닛(500)은 구동부(510), 체인부(530) 및 연결부(570)로 구성된다.
구동부(510)는 제1스프로킷부(551)와 함께 본체부(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양 방향으로 회전된다.
체인부(530)는 상기 구동부(510)와 연결된 제1스프로킷부(551) 및 본체부(100) 상부에 구비되는 제2스프로킷부(552)에 치합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체인부(530) 역시, 상기 구동부(510)와 함께 제1스프로킷부(551)와 제2스프로킷부(5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양 방향으로 회전된다.
연결부(570)는 상기 체인부(530)와 결합되어, 승강유닛(30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프레임(310)이 본체부(100)에 기립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승강유닛(30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310)에 관통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310)을 따라 상하로 승강된다.
상기 승강유닛(300)은 제1스프로킷부(551)와 인접한 높이로부터 상기 해머부(210)를 상승시키며, 제2스프로킷부(552)와 인접한 높이에서 상기 해머부(210)를 시험재료(50)에 낙하시키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승강유닛(300)은 몸체부(320), 릴리져(350) 및 변환부(370)로 구성된다.
몸체부(320)의 후단에는 수평장홀(322)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장홀(322)에 구동유닛(500)의 연결부(570)가 삽입되어 상기 승강유닛(300)을 승강시키게 된다.
즉, 승강유닛(300)은 몸체부(320)를 관통하는 가이드프레임(310)을 따라서, 연결부(57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된다.
상기 연결부(570)는 결합부재(571) 및 롤러부(572)로 구성된다.
결합부재(571)는 일단이 체인부(530)의 전면에 고정결합되며, 상기 결합부재(571)의 타단에는 롤러부(572)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결부(570)의 롤러부(572)가 수평장홀(322)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체인부(530)가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체인부(530)와 연결된 롤러부(572)가 승강유닛(300)을 끌어올리거나 끌어내리면서 승강시키게 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구동부(510)가 일방향으로 회전을 하는 경우, 체인부(530)의 일측에 위치한 연결부(570)는 승강유닛(300)의 수평장홀(322)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승강유닛(300)을 하강시킨다(도 8-a).
그리고, 연결부(570)가 제1스프로킷부(551)를 축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연결부(570)의 롤러부(572)는 수평장홀(32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된다(도 8-b).
상기 연결부(570)가 제1스프로킷부(551)를 축으로 회전을 계속하면, 연결부(570)는 체인부(530)의 타측에 위치하게 되고, 승강유닛(300)은 상기 연결부(570)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도 8-b).
즉, 체인부(530)가 일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수평장홀(322)의 일측에 위치한 롤러부(572)가 승강유닛(300)을 하강시키고, 연결부(570)가 제1스프로킷부(551)를 축으로 회전을 하면, 상기 롤러부(572)가 수평장홀(32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된 후, 상기 승강유닛(300)을 상승시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승강유닛(300)은 가이드프레임(310)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승강유닛(300)은 몸체부(320), 릴리져(350) 및 변환부(370)로 구성된다.
몸체부(3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유닛(500)의 연결부(570)에 의해 가이드프레임(310)을 따라 승강된다.
릴리져(350)는 몸체부(320)의 상면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릴리져(350)의 작동방식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지만, 해머부(210)의 일측에는 걸쇠(212)가 형성되는데, 릴리져(350)가 몸체부(320)의 상면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릴리져(350)가 걸쇠(212)의 하부에 안착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해머부(210)를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고, 릴리져(350)가 몸체부(320)의 상면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면, 해머부(210)가 이탈되므로, 상기 해머부(210)를 낙하시키게 된다.
변환부(370)는 몸체부(320)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기 릴리져(35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변환부(370)에는 변환홈부(37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변환홈부(37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홈부(373), 상기 제1홈부(373)로부터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홈부(374) 및 상기 경사홈부(374)로부터 상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홈부(375)로 구성된다.
릴리져(350)는 상기 변환홈부(371)를 관통하는 고정핀(352)과 별도의 결합수단(351)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부(370)가 몸체부(320) 내부에서 상승하게 되면, 고정핀(352)은 제1홈부(373)로 이동되고, 상기 고정핀(352)과 결합된 릴리져(350)는 몸체부(320)의 상면에서 전방으로 이동이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부(370)가 몸체부(320) 내부에서 하강하게 되면, 고정핀(352)은 제2홈부(375)로 이동되고, 상기 고정핀(352)과 결합된 릴리져(350)는 몸체부(320)의 상면에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충격시험 장치의 자세한 구성 및 작동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본체부(100)에 충격시험을 위한 콘크리트 파일 등의 시험재료(50)를 안착시킨다.
그리고, 복수개의 고정유닛(600)을 이용하여 상기 시험재료(50)를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유닛(600)은, 하우징(610) 및 상기 하우징(610) 내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시험재료(50)를 고정 또는 릴리즈하는 바이스부(630)로 구성된다.
고정방법은, 바이스부(630)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서 상기 바이스부(630)를 하우징(610) 내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시험재료(50)를 안착하고, 상기 바이스부(630)를 시계방향으로 돌려서 상기 바이스부(630)를 하우징(610) 내에서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시험재료(50)를 고정시키면 된다.
해머부(210)는 중량이 크고, 제1스프로킷부(551)에 인접한 높이로부터 빠른 속도로 하강되어 시험재료(50)를 충격하게 되므로, 상기 시험재료(50)가 충격에 의한 반발로 상부로 튀어오르게 된다.
따라서, 시험재료(50)가 튀어오르지 않도록 고정유닛(600)을 이용하여 상기 시험재료(50)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시험재료(50)가 상부로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이스부(630)는 시험재료(50)를 하향 경사지는 방향의 힘으로 고정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이스부(630)의 끝단에 우레탄 고무 등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충격완화부재(631)를 추가로 장착하여 시험재료(50)에 직접적으로 맞닿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바이스부(630)가 시험재료(50)를 강한 힘으로 고정시키므로, 시험재료(50)가 바이스부(630)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유닛(300)이 제1스프로킷부(551)에 인접한 최하부 높이까지 이동되도록 상기 승강유닛(300)을 수동으로 또는 구동부(510)를 이용하여 하강시킨다.
본체부(100)의 하부에는 제1돌기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유닛(300)을 제1스프로킷부(551)에 인접한 최하부 높이까지 이동되도록 하강시키면, 제1돌기부(131)에 의해 변환부(370)가 몸체부(320) 내부에서 상승하게 된다(도 5 참조).
상기 변환부(370)가 상승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핀(352)이 변환홈부(371)의 제1홈부(373)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핀(352)과 결합된 릴리져(350)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후, 승강유닛(300)에 해머부(210)를 고정시킨다. 고정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00)에는 해머부(210)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통과부재(150)가 설치되어 있다.
낙하유닛(200)은 복수개의 가이드바(230)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바(230)는 상기 통과부재(150)에 기립되어 설치된다.
낙하유닛(200)은 운송부(2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운송부(250)는 해머부(21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253) 및 상기 고정부(253)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바(230)를 따라 승강되는 파이프부(255)로 구성된다.
우선, 해머부(210)를 가이드바(230) 내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해머부(210)와 고정부(253)를 볼트 등으로 결합한다.
위와 같이, 해머부(210)를 고정부(253)에 결합시킴으로써, 해머부(210)와 운송부(250)는 가이드바(230)를 따라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해머부(210)의 상부에 별도의 해머부(211)를 추가로 결합할 수도 있다.
해머부(210)는 일반적으로 개당 20kg의 해머부(210)가 사용되며, 별도의 해머부(211)를 추가설치하여 시험재료(50)에 낙하되는 충격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충격시험에 사용되는 해머부(210, 211)의 총중량은 20 ~ 60kg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부(255)가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이유는 상기 별도의 해머부(211)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도록 일정 공간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도 5는 승강유닛(300)이 제1스프로킷부(551)에 인접한 최하부 높이까지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승강유닛(300)이 해머부(210)에 인접한 높이까지 상승된 상태를 나태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승강유닛(300)이 제1스프로킷부(551)에 인접한 최하부 높이까지 이동되도록 상기 승강유닛(300)을 수동으로 또는 구동부(510)를 이용하여 하강시키면, 전술한 바와 같이, 변환부(370)가 몸체부(320) 내부에서 상승되면서 릴리져(350)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구동부(5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인부(530)와 결합된 연결부(570)가 승강유닛(300)을 상승시키게 되고, 해머부(210)에 형성된 걸쇠(212)에 릴리져(350)가 걸리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프로킷부(551)는 해머부(210)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릴리져(350)가 해머부(210)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한 제1스프로킷부(551)와 인접한 높이에서 전방으로 이동된 후, 승강유닛(300)을 상승시켜 해머부(210)를 파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승강유닛(300)이 상승을 계속하면, 해머부(210) 및 운송부(250)가 함께 가이드바(230) 내에서 상승하게 된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체부(100)의 상부에는 제2돌기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승강유닛(300)과 해머부(210)가 상승을 계속하여 제2스프로킷부(552)에 인접한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면, 제2돌기부(132)가 변환부(370)를 누르게 되므로, 변환부(370)는 몸체부(320) 내부에서 하강하게 된다.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핀(352)이 변환홈부(371)의 제2홈부(375)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핀(352)과 결합된 릴리져(350)가 몸체부(320)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이동이 된다.
결국, 릴리져(350)가 해머부(210)의 걸쇠(212)로부터 이탈되면서, 상기 해머부(210)가 빠른 속도로 시험재료(50)에 낙하하게 된다.
도 4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체부(100)의 상부에는 구동부(510)와 연결된 스위치부(59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치부(590)가 on 될 때마다 구동부(510)의 회전방향이 변환하게 된다.
승강유닛(300)이 제2스프로킷부(552)에 인접한 높이까지 상승되어 제2돌기부(132)에 의해 변환부(370)가 하강하는 동시에 또는 직후에, 승강유닛(300)의 본체부(100)에 구비된 제3돌기부(333)가 상기 스위치부(590)를 on 하게 된다.
그러면, 구동부(510)가 회전방향을 바꾸게 되고, 승강유닛(300)은 하강을 하게 된다(도 8-c 참조).
즉, 제2돌기부(132)에 의해 변환부(370)가 하강되어 릴리져(350)가 해머부(210)를 낙하시키는 동시에 또는 직후에, 제3돌기부(333)가 스위치부(590)를 on 하면서 상승된 승강유닛(300)이 반대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해머부(210)는 빠른 속도로 낙하되어 시험재료(50)를 충격하고, 승강유닛(300)은 하강을 계속하게 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유닛(300)의 릴리져(350)는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상기 승강유닛(300)은 해머부(210)에 형성된 걸쇠(212)에 릴리져(350)가 간섭을 받지 않고, 해머부(210)보다 낮은 높이까지 하강을 계속하게 된다.
승강유닛(300)이 제1스프로킷부(551)와 인접한 높이까지 하강을 계속하면,
다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기부(131)에 의해 변환부(370)가 상승되고, 릴리져(35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전술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570)가 제1스프로킷부(551)를 축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연결부(570)의 롤러부(572)는 수평장홀(32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연결부(570)가 제1스프로킷부(551)를 축으로 회전을 계속하면,
연결부(570)는 체인부(530)의 타측에 위치하게 되고, 승강유닛(300)은 상기 연결부(570)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도 8-b).
즉, 제1돌기부(131)에 의해 변환부(370)가 상승되고, 릴리져(350)가 전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또는 직후에 연결부(570)의 롤러부(572)는 수평장홀(32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연결부(570)는 체인부(530)의 타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승강유닛(300)을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경우, 릴리져(35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해머부(210)는 승강유닛(300)과 함께 상승하게 된다(도 3 참조).
이후, 도 4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유닛(300)이 제2스프로킷부(552)에 인접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면, 제2돌기부(132)에 의해 변환부(370)가 하강 되고, 릴리져(35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해머부(210)를 다시 낙하시키고, 승강유닛(300)이 다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정리하면,
제1스프로킷부(551)와 인접한 높이에서, 연결부(570)가 체인부(530)의 일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승강유닛(300)의 릴리져(35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해머부(210)와 함께 상승하고(도 3),
승강유닛(300)이 제2스프로킷부(552)와 인접한 높이에서, 릴리져(350)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해머부(210)를 낙하시키고, 승강유닛(300)이 다시 하강하고(도 4 및 도 8-a),
연결부(570)가 체인부(530)의 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릴리져(350)가 전방으로 이동된 승강유닛(300)이 다시 해머부(210)와 함께 상승하고(도 8-b).
승강유닛(300)이 제2스프로킷부(552)에 인접한 높이에서, 릴리져(350)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해머부(210)를 낙하시키고, 승강유닛(300)이 다시 하강하고(도 8-c),
이후, 연결부(570)가 체인부(530)의 일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릴리져(350)가 전방으로 이동된 승강유닛(300)이 다시 해머부(210)와 함께 상승된다(도 8-d).
이러한 과정이 계속 반복되면서 해머부(210)가 시험재료(50)를 연속적으로 타격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승강유닛(300)은 결속부(380)를 더 포함한다.
몸체부(320) 내부에서 변환부(370)의 상승 및 하강이 계속 반복되면, 상기 변환부(370)와 몸체부(320) 내부의 접촉 부분이 마모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부(370)가 몸체부(320) 내부에서 하강되어 있는 상태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승강유닛(300)이 제1스프로킷부(551)에 인접한 높이에 위치된 상태에서(도 5 참조), 해머부(210)에 인접한 높이 직전까지 상승되는 동안(도 3 참조)은 모두 변환부(370)가 몸체부(320) 내부에서 상승되어 있는 상태이고, 릴리져(350)에 해머부(210)의 걸쇠(212)가 걸리지 않은 상태이므로,
위와 같이, 승강유닛(300)이 제1스프로킷부(551)에 인접한 높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해머부(210)에 인접한 높이 직전까지 이동되는 동안에 변환부(370)가 중력에 의해 저절로 몸체부(320) 내부에서 하강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면, 릴리져(350)가 후방으로 이동되므로, 릴리져(350)가 해머부(210)를 파지하지 못한 채 승강유닛(300)이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부(380)를 승강유닛(300)에 구비할 수 있다.
결속부(380)는 결속부재(381), 중간부재(382) 및 볼트부(383)로 구성되며, 상기 결속부(380)는 모두 몸체부(320)의 측면에 형성된 통공(390)에 삽입된다.
결속부재(381)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몸체부(320)의 측면에 형성된 통공(390)에 삽입되어 변환부(370)의 측면에 밀착된다.
중간부재(382)는 우레탄 고무 등의 탄성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속부재(381)의 타면에 접촉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볼트부(383)는 상기 중간부재(382)에 일면이 연결되도록 통공(390)에 삽입되며, 타면은 상기 통공(390)에 노출된다.
따라서, 볼트부(383)를 조이면, 중간부재(382)가 어느 정도 압착되면서, 동시에 결속부재(381)가 변환부(370)를 밀착시키게 된다.
결국, 변환부(370)가 몸체부(320) 내부에서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중력에 의해 저절로 몸체부(320) 내부에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구동유닛(500)은 구동부(51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충격시험 장치의 작동을 통제하는 콘트롤 박스(515) 안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에 의해 구동부(510)의 회전속도를 느리게 또는 빠르게 조절함으로써, 해머부(210)가 상승되고 낙하되는 시간상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50: 시험재료 100: 본체부
131: 제1돌기부 132: 제2돌기부
150: 통과부재 200: 낙하유닛
210: 해머부 212: 걸쇠
230: 가이드바 250: 운송부
253: 고정부 255: 파이프부
300: 승강유닛 310: 가이드프레임
320: 몸체부 322: 수평장홀
333: 제3돌기부 350: 릴리져
352: 고정핀 370: 변환부
371: 변환홈부 373: 제1홈부
374: 경사홈부 375: 제2홈부
380: 결속부 381: 결속부재
382: 중간부재 383: 볼트부
500: 구동유닛 510: 구동부
530: 체인부 551: 제1스프로킷부
552: 제2스프로킷부 570: 연결부
571: 결합부재 572: 롤러부
590: 스위치부 600: 고정유닛
610: 하우징 630: 바이스부
631: 충격완화부재

Claims (24)

  1. 시험재료가 안착되며, 기립되어 설치되는 본체부;
    기립되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 내부에서 일정한 높이로 상승된 후 상기 시험재료에 낙하되는 해머부 및 상기 해머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승강되며 복수개의 해머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파이프부를 구비하는 운송부를 포함하는 낙하유닛;
    상기 해머부를 상승 또는 낙하시키는 승강유닛; 및
    상기 승강유닛을 승강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며, 구동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해머부보다 낮은 높이로 상기 본체부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와 연결된 제1스프로킷부 및 상기 본체부 상부에 구비되는 제2스프로킷부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체인부 및 상기 체인부와 결합되어 상기 승강유닛을 승강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제1스프로킷부와 인접한 높이로부터 상기 해머부를 상승시킨 후, 상기 제2스프로킷부와 인접한 높이에서 상기 해머부를 낙하시키며,
    상기 연결부에 의해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승강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릴리져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기 릴리져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에는 변환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변환홈부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홈부, 상기 제1홈부로부터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홈부 및 상기 경사홈부로부터 상측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릴리져는
    상기 변환홈부를 관통하는 고정핀과 결합되어, 상기 변환부가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됨에 따라 상기 고정핀이 상기 제1홈부 또는 제2홈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고정핀과 결합된 상기 릴리져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제1스프로킷부와 인접한 높이에서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해머부를 그립한 후 상기 해머부를 상승시키며, 상기 제2스프로킷부와 인접한 높이에서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해머부를 이탈시켜 상기 해머부를 낙하시키는 콘크리트 충격시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본체부에 기립되어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승강되는 콘크리트 충격시험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의 몸체부에는 수평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유닛의 연결부가 상기 수평장홀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유닛을 승강시키는 콘크리트 충격시험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체인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수평장홀에 삽입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충격시험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체인부는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콘크리트 충격시험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회전방향을 변환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유닛이 상승되어 상기 해머부가 이탈됨과 동시에 또는 직후에, 상기 스위치부가 on 되어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체인부의 회전방향이 변환되는 콘크리트 충격시험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체인부의 일측 및 상기 수평장홀의 일측에 위치되어 하강되고,
    상기 제1스프로킷부를 축으로 회전된 후,
    상기 체인부의 타측 및 상기 수평장홀의 타측에 위치되어 상승되는 콘크리트 충격시험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결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속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변환부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변환부가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변환부가 임의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충격시험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는
    상기 변환부에 일면이 밀착되는 결속부재;
    상기 결속부재의 타면에 연결되는 중간부재; 및
    상기 중간부재와 일면이 연결되는 볼트부;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충격시험 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1스프로킷부를 축으로 회전될 때,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된 제1돌기부에 의해 상기 변환부가 상승되면서 상기 릴리져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콘크리트 충격시험 장치.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2스프로킷부에 인접한 높이에 위치될 때,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구비된 제2돌기부에 의해 상기 변환부가 하강되면서 상기 릴리져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콘크리트 충격시험 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시험재료를 고정하는 고정유닛이 더 포함되며,
    상기 고정유닛은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시험재료를 고정 또는 릴리즈하는 바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스부는 상기 시험재료를 하향 경사지는 힘으로 고정하는 콘크리트 충격시험 장치.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충격시험 장치.
KR1020160177639A 2016-12-23 2016-12-23 콘크리트 충격 시험 장치 KR101864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639A KR101864777B1 (ko) 2016-12-23 2016-12-23 콘크리트 충격 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639A KR101864777B1 (ko) 2016-12-23 2016-12-23 콘크리트 충격 시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777B1 true KR101864777B1 (ko) 2018-07-04

Family

ID=62912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639A KR101864777B1 (ko) 2016-12-23 2016-12-23 콘크리트 충격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7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07578A (zh) * 2021-08-06 2021-11-05 广州增城正源建设工程检测中心有限公司 一种重型动力触探仪的自动提升装置
CN114354345A (zh) * 2022-01-17 2022-04-15 山东鲁测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管材的全自动落锤冲击试验机
CN117030501A (zh) * 2023-10-08 2023-11-10 新乡医学院 一种非金属膜类复合材料性能测试工作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4516A (ja) 2005-07-12 2007-02-01 Seiko Epson Corp 落下衝撃試験装置
KR101019056B1 (ko) 2010-09-13 2011-03-07 대경테크 주식회사 고충격 낙하시험 장치
KR101168631B1 (ko) * 2012-04-09 2012-08-03 이성도 아스팔트 다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4516A (ja) 2005-07-12 2007-02-01 Seiko Epson Corp 落下衝撃試験装置
KR101019056B1 (ko) 2010-09-13 2011-03-07 대경테크 주식회사 고충격 낙하시험 장치
KR101168631B1 (ko) * 2012-04-09 2012-08-03 이성도 아스팔트 다짐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07578A (zh) * 2021-08-06 2021-11-05 广州增城正源建设工程检测中心有限公司 一种重型动力触探仪的自动提升装置
CN113607578B (zh) * 2021-08-06 2024-05-03 广州增城正源建设工程检测中心有限公司 一种重型动力触探仪的自动提升装置
CN114354345A (zh) * 2022-01-17 2022-04-15 山东鲁测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管材的全自动落锤冲击试验机
CN114354345B (zh) * 2022-01-17 2023-10-13 山东鲁测检测技术有限公司 一种管材的全自动落锤冲击试验机
CN117030501A (zh) * 2023-10-08 2023-11-10 新乡医学院 一种非金属膜类复合材料性能测试工作台
CN117030501B (zh) * 2023-10-08 2024-01-12 新乡医学院 一种非金属膜类复合材料性能测试工作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777B1 (ko) 콘크리트 충격 시험 장치
CN104142278B (zh) 落锤式动静组合加载冲击实验装置
CA2823796C (en) Post driver with limited movement floating post anvil
KR101168631B1 (ko) 아스팔트 다짐기
CN103946144B (zh) 用于处理下水道井盖的工具
KR102003443B1 (ko) 전자동 화물승강기
US7237706B2 (en) Drop hammer
CN113638455B (zh) 一种基桩静载荷试验系统及试验方法
CN110541437B (zh) 一种用于工程桩检测静载试验的装置
KR100981708B1 (ko) 자천공 저소음 무진동 회전압입공법
US7063172B1 (en) Grounding rod driving device
JP2015034431A (ja) レール吊上装置
CN106153443A (zh) 一种加载配重装置及其加载方法
JP2001342620A (ja) 動的コーン貫入試験機兼サンプリング機
CN114354396A (zh) 冲击载荷下船体大型加筋板动态屈曲及极限强度试验装置
CN212693498U (zh) 混凝土抗冲击试验装置
CN210442078U (zh) 一种光伏板撞击试验装置
KR100779617B1 (ko) 스틸 팔레트 파손 분석용 실험장치
CN210946913U (zh) 用于工程桩检测静载试验的装置
CN209927625U (zh) 一种履带抗拔静载试验装置
KR102420116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캡 일체형 드롭해머장치 및 그 작동방법
JP4363996B2 (ja) 地盤改良工法
CN219950431U (zh) 一种窨井盖开启装置
CN220999148U (zh) 一种液压提升机构
CN105234662A (zh) 用于破碎机衬板安装的重力击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