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228B1 - Plant cultivating device using rotary system - Google Patents

Plant cultivating device using rotar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228B1
KR101864228B1 KR1020170046004A KR20170046004A KR101864228B1 KR 101864228 B1 KR101864228 B1 KR 101864228B1 KR 1020170046004 A KR1020170046004 A KR 1020170046004A KR 20170046004 A KR20170046004 A KR 20170046004A KR 101864228 B1 KR101864228 B1 KR 101864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rient solution
port
shaft
supply pipe
por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0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아름
한상열
Original Assignee
한아름
한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아름, 한상열 filed Critical 한아름
Priority to KR1020170046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22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2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4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 A01G31/047Hydroponic culture on conveyors with containers inside rotating drums or rota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e.g. carou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ng device using a rotation bod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ng device using a rotation body,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a nutrient solution by automatically pushing a valve as the rotation body operates when the nutrient solution is exceed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t cultivating device using the rotation body includes: a support unit supporting the entire cultivating device; a center rotation shaft formed to rotate by being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a first bearing fixing the center rotation shaft by being connected to the center rotation shaft and rotating the shaft while supporting the weight of the center rotation shaft and a load applied to the center rotation shaft; multiple ports having an inner space to cultivate a plant; a port support wing for supporting the port; a port support shaft connected to the port support wing; a port support rope supporting the port by being connected to the port support shaft; first and second nutrient solution tanks storing and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a third nutrient solution tank receiving the nutrient solution from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a first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third nutrient solution tank by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tank; and a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third nutrient solution tank and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third nutrient solution to the port.

Description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 {PLANT CULTIVATING DEVICE USING ROTARY SYSTEM}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growing apparatus using a rotating body,

본 발명은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여러개의 포트를 구성하여 이를 회전시키면서 식물을 재배하는 장치에 있어서, 회전체에 연결된 급수관이 꼬이지 않도록 로터리부 시스템을 설치하고 양액이 초과되는 경우 회전체의 동작에 의해서 자동으로 밸브가 눌림으로써 양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grower using a rotating bod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planting plants by constructing a plurality of ports and rotating the plant, a rotary subsystem is installed so that a water pipe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is not twisted, The amount of the nutrient solution can be adjusted by automatically pressing the valve by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body.

일반적으로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는 자연적인 분위기의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각종의 관상용 화초를 재배하여 있으며, 이러한 관상용 화초를 재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형태와 구조의 화분이나 화초 재배장치 등이 개발되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various kinds of ornamental plants are cultivated in a general home or office in order to create an indoor environment of a natural atmosphere. As a means for cultivating such ornamental plants, pollen and flower planting devices of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have been developed, .

이와 같은 일반적인 화분이나 화초 재배장치등은 대부분이 단일 재배공간을 가지는 구조로서 한 종류의 화초 만을 담아서 재배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각종 관상용 화초를 재배하면서 자연적인 실내 분위기를 조성하려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Most of these general flower pots and plant cultivation devices have a single cultivation space, so that they can be cultivated by containing only one type of pl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eet the desire of users to cultivate various ornamental plants and to create a natural indoor atmosphere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it could not be done.

이에 최근에는 동일한 형상과 내용적을 가지는 다수의 재배용기들과 그 각각의 재배 용기들의 사방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지지대들과 최하부에 안치된 급수펌프로부터 연장되어 최상부의 재배용기에 용수를 공급하여 주는 급수관과 각각의 재배용기 상호간을 연결하여서 최하부의 재배용기로 배수되도록 하는 배수관으로서 구성된 화초재배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Recently, a number of cultivating vessels having the same shape and volume, a support for fixing and supporting four sides of the respective cultivating vessels, and a water supply pipe extending from the water pump disposed at the lowermost part and supplying water to the uppermost cultivating vessel And a drain pipe connected to each of the harvesting vessels so as to be drained to the lowermost harvesting vessel has been developed.

이러한 화초 재배장치는 재배용기를 다단으로 설치하고, 그 각각의 재배용기에 급수관과 배수관을 통하여 용수를 순환 공급하여 각종의 화초류를 종류별로 재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적층된 각각의 재배용기에 순환공급 되는 용수의 량이 일정한 관계로 종류별, 화초별 특성에 맞추어 정량의 용수를 공급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화초류 생장에 지대한 악역향을 끼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화초류를 재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has a plurality of cultivating vessels installed therein, circulating and supplying water to the respective cultivating vessels through a water pipe and a water pipe, thereby cultivating various kinds of flowers. In practice, however, it is impossible to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kind and plant, due to the constant amount of water supplied to each of the stacked cultivation vessels, resulting in a great bad effect on plant growth, Of the plant can not be cultivated.

또한 다단으로 적층된 재배용기들이 지지대로서 일체로 고정되는 조립 구조를 가지게 됨으로써, 실내 공간에 맞추어 임의의 높낮이로서 조립 설치할 수 있는 융통성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순환공급되는 용수가 각 재배용기의 바닥으로 관수됨으로써, 화초류의 입이나 줄기에 수분을 적절하게 공급하지 못하여서 화초 재배에 따른 시각적인 생동감을 반감시켜 주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액이 과다 공급됨으로써 식물이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며, 고무재질의 급수관을 이용하는 경우 회전에 의해서 급수관이 꼬여서 기기장치가 고장나는 문제점도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회전식 자동급수가 가능한 식물재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Also, since the cultivating containers stacked in multiple stages have an assembling structure in which they are integrally fixed as a suppo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flexibility in assembling and disposing them at an arbitrary height according to the indoor space is lost. In addition, the circulating water is irrigated to the bottom of each cultivation vessel, thereby failing to appropriately supply water to the mouths or stems of the plants,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visual liveliness due to flower cultivation is reduced. In addition, when the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excessively, the plants do not grow normally, and in the case of using the rubber water supply pip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supply pipe is twisted by the rotation, and the device is broken.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pable of rotating automatic watering ".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38621호 (등록 2004.01.05)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8621 (Registered on January 21, 2004)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개의 포트를 구성하여 이를 회전시키면서 식물을 재배하는 장치에 있어서, 회전체에 연결된 급수관이 꼬이지 않도록 로터리부 시스템을 설치하고 양액이 초과되는 경우 회전체의 동작에 의해서 자동으로 밸브가 눌림으로써 양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for cultivating plants by constructing a plurality of ports and rotating the plant, wherein a rotary subsystem is installed so that a wate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rotary body is not twisted, And the amount of the nutrient solution can be adjusted by pressing the nutrient solution.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는 재배기 전체를 지지하여 주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중심회전축; 상기 중심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중심회전축을 고정시키고 중심회전축의 자중과 중심회전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축을 회전시키는 제 1 베어링;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복수개의 포트; 상기 포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포트지지날개; 상기 포트지지날개와 결합하는 포트지지축; 상기 포트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포트를 지탱하는 포트지지로프; 양액을 보관 및 공급하는 제 1 양액물통 및 제 2 양액물통; 상기 제 2 양액물통으로부터 양액을 공급받는 제 3 양액물통; 및 상기 제 2 양액물통과 연결되어 양액을 제 3 양액물통으로 공급해주는 제 1 양액공급관;을 포함한다.The plant grower using the rota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entire plant; A central rotation shaft formed to be rotatable in association with the support; A first bearing which engages with the central rotational shaft to fix the central rotational shaft and rotates the shaft while supporting a load applied to the self-centering shaft and the central rotational shaft; A plurality of ports having an interior space for growing plants; A port support blade formed to support the port; A port support shaft coupled to the port support vane; A port support rope connected to the port support shaft to support the port; A first nutrient solution reservoir and a secon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for storing and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A thir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supplied with the nutrient solution from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And a first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to supply the nutrient solution to a thir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또한, 상기 제 1 양액공급관과 상기 중심회전축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양액공급관에서 공급되는 양액을 상기 중심회전축을 통과하여 상기 제 3 양액물통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중심회전축이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하지 않고 원래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로터리부; 상기 제 3 양액물통과 연결되어 제 3 양액물통내의 양액을 상기 포트지지축으로 공급하는 제 2 양액공급관; 상기 포트지지축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양액공급관 으로부터 공급받은 양액을 상기 포트로 공급하며, 상기 중심회전축이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하지 않고 원래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제 2 로터리부; 및 상기 제 2로터리부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양액공급관으로부터 공급받은 양액을 상기 포트 내부로 공급하는 제 3 양액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nutrient solution, whic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and the central rotary shaft, through the central rotation shaft to the third nutritive juice bottle, A first rotary part fixed to the original position without rotating; A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thir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for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thir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to the port support shaft; A second rotary part connected to the port support shaft and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from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to the port and fixed to the original position without rotating when the center rotary shaft rotates; And a thir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rotary part and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from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into the port.

또한, 상기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는 상기 제 1 양액물통의 상부에 형성되는 밸브누름판; 및 상기 포터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포터의 내부의 흙과 거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걸러주는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는 상기 포터내의 양액이 일정 양 이상이 되면 상기 밸브누름판과 접촉하여 상기 밸브누름판에 압력을 주게 되면, 상기 포터내의 일정 양을 초과하는 양액을 상기 포터의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제 1 양액물통으로 배출하는 배출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ant grower using the rotating body may further include a valve presser plat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nutrient solution reservoir; And a filter formed so as to penetr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porter and to filter soil and debris from the inside of the porter so as not to be leaked to the outside, And a discharge valve for discharging the nutrient solution exceeding a predetermined amount in the pottery to the outside of the potter and discharging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first nutrient solution reservoir when the pressure plat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essure plate.

또한, 상기 중심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 상기 회전모터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체인기어; 및 상기 체인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중심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A rotation motor for providing power to rotate the central rotation shaft; A chain gear connected to the rotary motor; And a chain connected to the chain gear and transmitting power to the center rotational shaft.

또한, 상기 포트지지축과 결합하여 상기 포트지지축을 고정시키고 포트지지축의 자중과 포트지지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는 제 2 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양액공급관은 포트 내부 전반에 걸쳐서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econd bearing which is coupled with the port support shaft to fix the port support shaft and supports a load applied to the self-weight of the port support shaft and the port support shaft, and the thir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be supplied.

또한, 상기 상기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의 동작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전원장치 및 상기 중심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 1 양액물통과 상기 제 2 양액물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양액물통의 양액을 상기 제 2 양액물통으로 공급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ower source device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the plant grower operates using the rotating body, and a control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central rotary shaft; And a connection pipe formed between the first nutrient solution reservoir and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and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of the first nutrient solution reservoir to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또한, 상기 포트지지날개는 상기 포트의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 포트지지날개와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 포트지지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포트지지날개와 상기 우측 포트지지날개에 모두 연결되어 상기 포트지지날개를 지지하여 주는 포트지지날개 지지축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rt support vane may include a left port support vane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port and a right port support vane installed on the right side. The port support vane may be connected to both the left port support vane and the right port support vane, And a port support wing support shaft for supporting the port support wing support shaft.

또한, 상기 제 2 양액공급관은 상기 좌측 포트지지날개에 형성된 상기 제 2 로터리부로 양액을 공급하여 주는 좌측 제 2 양액공급관 및 상기 우측 포트지지날개에 형성된 상기 제 2 로터리부로 양액을 공급하여 주는 우측 제 2 양액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포트는 상기 좌측 제 2 양액공급관 및 상기 우측 제 2 양액공급관으로부터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양액을 공급받을 수 있다.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may include a left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second rotary part formed on the left port support vane and a second right nut for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second rotary part formed on the right port support vane, 2 nutrient supply pipe, and the port can be supplied with nutrient solution from the left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and the right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either selectively or selectively.

또한, 상기 제 2 양액공급관은 상기 좌측 포트지지날개에 형성된 상기 제 2 로터리부 와 상기 우측 포트지지날개에 형성된 상기 제 2 로터리부중 어느 하나에만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 포트지지날개와 상기 우측 포트지지날개중 어느 하나에만 연결되며, 상기 인접한 포트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 2 양액공급관의 위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left port support vane and the right port support vane so that the nutrient solution can be supplied to only one of the second rotary part formed on the left port support vane and the second rotary part formed on the right port support vane, And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adjacent port may be formed in different positions.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는 여러개의 포트를 구성하여 이를 회전시키면서 식물을 재배하는 장치에 있어서, 회전체에 연결된 급수관이 꼬이지 않도록 로터리부 시스템을 설치하고 양액이 초과되는 경우 회전체의 동작에 의해서 자동으로 밸브가 눌림으로써 양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에 관한 것이다.을 제공할 수 있다.The plant grower using the rota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ports and a plant for cultivating the plant by rotating the plant. In the plant, a rotary sub system is installed so that the feed pipe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is not twis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grower using a rotating body capable of adjusting the amount of nutrient solution by automatically pressing the valve by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의 우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C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에 사용되는 필터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에 사용되는 필터를 아래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 대한 스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grower using a rotat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plant grower using a rotat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ight side view of a plant grower using a rotat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in Fig.
FIG. 7 is a top view of a filter used in a plant grower using a rotat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illustrating a filter used in a plant growing machine using a rotat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witch for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illustrate that they are not drawn to scale. The relative dimensions and ratios of the parts in the figures ar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figures, and any dimension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o the same structure, element or component appearing in more than one dra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similar featur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llustrate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illustration are expected. Thus,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form of the depicted area, but includes modifications of the form, for example, by manufa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grower using a rotat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의 정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front view of a plant grower using a rotat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의 우측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right side view of a plant grower using a rotat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도 5는 도 1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도 6은 도 3의 C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in Fig.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에 사용되는 필터를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top view of a filter used in a plant grower using a rotat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에 사용되는 필터를 아래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illustrating a filter used in a plant growing machine using a rotat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은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 대한 스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switch for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100)는 지지대, 중심회전축, 제 1 베어링, 포트, 포트지지날개, 포트지지축, 포트지지로프, 제 1 양액물통, 제 2 양액물통, 제 3 양액물통 및 제 1 양액공급관을 포함한다.A plant grower (100) using a rota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shaft, a center rotary shaft, a first bearing, a port, a port support wing, a port support shaft, a port support rope, a first nutrient solution bottle, A water bottle and a first nutrient supply pipe.

지지대(10)는 녹인 발생하지 않는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샤시 또는 강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배기 전체를 지지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중심회전축(43)은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중심회전축이 회전하면 회전축에 연결된 포트 지지날개와 포트 지지날개에 연결된 포트들이 같이 회전하는 것이다. 제 1 베어링(44)은 상기 중심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중심회전축을 고정시키고 중심회전축의 자중과 중심회전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포트(60)는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가지며, 포트 내부에 흙을 깔고 양액을 공급받아 식물을 성장할 수 있게 도와준다. 가정에서 식물을 재배할 때 사용하는 화분과 유사한 개념이다. 포트지지날개(50)는 상기 포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며, 구조의 안정성을 위하여 각 포트의 좌측과 우측 양 쪽에 2개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트지지축(52)은 포트지지날개의 끝단에 형성되며, 포트지지로프(51)는 포트지지축에 걸어서 포트를 지탱하여 준다. 제 1 양액물통(20) 및 제 2 양액물통(22)은 양액을 보관 및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제 3 양액물통(24)은 회전체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제 2 양액물통으로부터 양액을 공급받은 후 각 포트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양액공급관(12)은 상기 제 2 양액물통과 연결되어 양액을 제 3 양액물통으로 공급해준다. The support 10 is preferably made of a stainless steel, an aluminum chassis or a rigid metal material which does not generate melts and serves to support the entire reaping machine. The central rotation axis 43 is formed to be rotatable in association with the support. When the central rotation axis rotates, the port support wings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and the ports connected to the port support wing rotate together. The first bearing 44 engages with the central rotation shaft to fix the central rotation shaft and to rotate the shaft while supporting a load applied to the center rotation shaft and the self-weight of the central rotation shaft. The port (60) has an internal space for growing the plant, and it is possible to lay the soil inside the port and supply the nutrient solution to grow the plant. It is a similar concept to the pots used to grow plants at home. The port support vanes 50 are formed to support the ports, and two ports are preferably provid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orts for stability of the structure. The port support shaft 52 is formed at an end of the port support vane, and the port support rope 51 supports the port by supporting the port support shaft. The first nutrient solution reservoir 20 and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22 serve to store and supply the nutrient solution. The thir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24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tor and is supplied with the nutrient solution from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And then to each port. The first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12) is connected to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and supplies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thir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제 1 로터리부(13)는 상기 제 1 양액공급관과 상기 중심회전축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양액공급관에서 공급되는 양액을 상기 중심회전축을 통과하여 상기 제 3 양액물통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중심회전축이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하지 않고 원래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양액공급관(55)은 상기 제 3 양액물통과 연결되어 제 3 양액물통내의 양액을 상기 포트지지축으로 공급한다. 제 2 로터리부(54)는 상기 포트지지축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양액공급관 으로부터 공급받은 양액을 상기 포트로 공급하며, 상기 중심회전축이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하지 않고 원래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제 3 양액공급관(61)은 상기 제 2로터리부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양액공급관으로부터 공급받은 양액을 상기 포트 내부로 공급한다.The first rotary part (13) is formed between the first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and the central rotation shaft, and can supply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from the first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to the third nutrient solution bottle through the central rotary shaft, When the rotary shaft rotates, it does not rotate together and is fixed at its original position.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55) is connected to the thir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and supplies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thir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to the port support shaft. The second rotary part 54 is connected to the port support shaft and supplies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from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to the port and is fixed to the original position without rotating when the center rotary shaft rotates have. The thir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61)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second rotary part, and supplies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from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into the port.

밸브누름판(21)은 상기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는 상기 제 1 양액물통의 상부에 형성된다. 필터(61)는 상기 포터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포터의 내부의 흙과 거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필터는 상기 포터내의 양액이 일정 양 이상이 되면 상기 밸브누름판과 접촉하여 상기 밸브누름판에 압력을 주게 되면, 상기 포터내의 일정 양을 초과하는 양액을 상기 포터의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제 1 양액물통으로 배출하는 배출밸브(6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alve presser plate (21)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liquid absorber. The filter 61 is formed so as to pass throug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potter, and functions to filter soil and debris from the inside of the potter so as not to be leaked to the outside. Here, when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porter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the filter contacts the valve presser plate to pressurize the valve presser plate. When the nutrient solution exceeds a predetermined amount in the porter, the nutrient solu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otter, And a discharge valve 63 for discharging the exhaust gas.

회전모터(40)는 상기 중심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고, 체인기어(41)는 상기 회전모터에 연결되어 형성되며, 체인(42)은 상기 체인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중심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한다. 제 2 베어링(53)은 상기 포트지지축과 결합하여 상기 포트지지축을 고정시키고 포트지지축의 자중과 포트지지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제 3 양액공급관은 포트 내부 전반에 걸쳐서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 개의 홀(61a)을 포함할 수 있다.A chain motor (40) is connected to the chain motor (40), and a chain (42) is connected to the chain motor . The second bearing (53) is coupled with the port support shaft to support the port support shaft, supports the self weight of the port support shaft and the load applied to the port support shaft, and the thir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can supply the nutrient solution A plurality of holes 61a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상기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의 동작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전원장치 및 상기 중심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30); 및 상기 제 1 양액물통과 상기 제 2 양액물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양액물통의 양액을 상기 제 2 양액물통으로 공급하는 연결관(23)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포트지지날개는 상기 포트의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 포트지지날개(50a)와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 포트지지날개(50b)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포트지지날개와 상기 우측 포트지지날개에 모두 연결되어 상기 포트지지날개를 지지하여 주는 포트지지날개 지지축(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power source device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the plant grower operates using the rotating body, and a control device (30)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central rotary shaft; And a connection pipe (23) formed between the first nutrient solution reservoir and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and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of the first nutrient solution reservoir to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A left port support vane 50a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port and a right port support vane 50b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port and connected to both the left port support vane and the right port support vane, And a port support wing support shaft 11 for supporting the port support wing.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가 동작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장치(3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물재배기의 동작을 on시키거나 off시킬 수 있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한다. 전원스위치를 on시키면 식물재배기에 전원이 공급되어 각 포트를 회전시킬 수 있고, 각 포트에 양액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제어장치는 수동모드와 자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자동모드 선택 스위치, 자동운전을 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는 자동모드 작동 스위치, 회전모터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는 회전모터 작동 스위치,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모터펌프를 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는 양수펌프 작동 스위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속도 조절 스위치 및 일정 시간동안만 작동시키거나, 특정 시간이 되면 작동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타이머 장치를 포함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the plant grower using the rotat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9, the control device 30 includes a power switch that can turn on or off the operation of the plant grower. When the power switch is turned on, power is supplied to the plant grower to rotate each port, and the nutrient solution can be supplied to each port. The control unit is equipped with an automatic mode selection switch which can select between manual mode and automatic mode, an automatic mode operation switch capable of stopping or stopping automatic operation, a rotary motor operation switch capable of operating or stopping the rotation motor, A rotation speed control switch capable of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and a timer device that can be operated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or can be adjusted to be operated at a specific time.

양액은 최초에 제 2 양액물통에 공급하여 사용한다. 제 2 양액물통(22)에 공급된 양액은 모터펌프(14)에 의해서 제 1 양액공급관(12)을 따라 이동하고, 이동한 양액은 제 1 로터리부로 전달된다. 여기서 제 1 로터리부는 회전에 의해서도 꼬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반 양액 호스로 사용되는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는 재질보다는 경도와 강도가 있는 합성수지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로터리부를 통하여 공급된 양액은 다시 중심회전축(43)을 통하여 제 3 양액물통(24)으로 공급된다. The nutrient solution is first supplied to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bottle and used.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to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bottle 22 is moved along the first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12 by the motor pump 14, and the nutrient solution transferred is transferred to the first rotary part. The first rotary part is preferably made of a synthetic resin or a metal material having hardness and strength rather th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used as a general fluid hose so as not to be twisted by rotation.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through the first rotary part is again supplied to the third nutrient solution bottle 24 through the central rotary shaft 43.

제 3 양액물통(24)내의 양액은 다시 각 포트로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 2 양액공급관과 연결된다. 즉, 제 3 양액물통의 양액은 제 2 양액공급관을 따라 이동하고, 제 2 양액공급관을 따라 이동한 양액은 각 포트지지날개에 형성된 포트지지축(52)으로 공급되며, 포트지지축(52)으로 공급된 양액은 포트지지축에 연결된 제 2 로터리부를 통하여 제 3 양액공급관(61)을 통하여 각 포트 내부로 양액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The nutrient solution in the thir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24) is connected to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so that nutrient solution can be supplied to each port again. That is,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third nutrient solution bottle moves along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the nutrient solution moved along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is supplied to the port support shaft 52 formed in each port support vane,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each port through the thir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61) through the second rotary part connected to the port support shaft.

제 3 양액공급관(61)은 도6과 같이 포트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미세홀들이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포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제 3 양액공급관에서 포트 내부의 흙 전체에 골고루 양액을 공급하게 될 수 있다.The thir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61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 as shown in Fig. 6, and fine hol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is case, the thir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 may be supplied with the nutrient solution evenly throughout the soil inside the pot.

이렇게 공급된 양액은 과다한 양이 공급되면 식물의 성장을 오히려 저해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각 포트 내부에는 일정한 양 이상의 양액이 공급되지 않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각 포트 내부에 일정한 양 이상의 양액이 공급되면 필터(62)에 형성된 배출밸브(63)와 제 1 양액물통(20)에 형성된 밸브누름판(21)에 의해서 양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Such nutrient solutions may even inhibit plant growth if excessive amounts are suppli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nutrient solution not to be supplied to a certain amount within each port. The amount of the nutrient solution can be adjusted by the discharge valve 63 formed in the filter 62 and the valve presser plate 21 formed in the first liquid absorber 20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of nutrient solution is supplied into each port.

먼저, 필터는 포트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필터는 도 7과 도 8에서 보듯이 상부와 하부가 다른 구조로 형성되어있다. 먼저 필터의 상부는 포트의 내부에 위치하는 공간으로, 필터를 관통시키기 위해서 형성된 포트 바닥면의 개구부를 통해서 흙이 떨어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7과 같이 흙은 배출되지 않고 양액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오픈부(62a)를 포함한다. 이렇게 포트 내부에 위치한 필터의 상부를 통해서 양액이 하부로 내려온다. 필터의 하부에는 포트의 외부로 노출된 배출밸브가 형성되고,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밸브누름판과 접촉하여 압력을 받으면 눌려진 후 접촉이 떨어지면 다시 원상태로 돌아갈 수 있도록 스프링이 형성된다.First, the filter is formed to penetr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port.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filter is formed in a different structure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First,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is located inside the port. In order to prevent the soil from falling down through the opening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ort formed for penetrating the filter, the soil is not discharged as shown in FIG. 7 but only the nutrient solu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open portions 62a. Thus, the nutrient solution flows downwar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located inside the port. As shown in FIG. 8, a spring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so as to be able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pressure is received by the valve pressing plate,

이 때, 중심회전축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을 하는 각 포트의 외부로 노출된 배출밸브는 그 높이가 가장 낮아지는 위치에 왔을 때, 도 6과 같이 제 1 양액물통의 상단에 형성된 밸브누름판과 접촉하게 된다. 접촉에 의해서 압력은 받은 배출밸브가 눌려지게 되면 필터상부에 모여있던 양액이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렇게 배출된 양액은 제 1 양액물통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제 1 양액물통에 양액이 너무 많이 있어도 안되므로, 필요에 의해 제 2 양액물통으로 다시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관(23)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해서 양액은 제 2 양액물통 - 제 3 양액물통 - 제 1 양액물통 - 제 2 양액물통의 순서대로 순환하게 되어 양액을 절약할 수 있고 식물의 성장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when the discharge valve exposed to the outside of each port rotating by the rotation of the central rotation axis comes to a position where the height is the lowest, it is contacted with the valve press plat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first liquid- do. When the outlet valve is pressed by the contact, the nutrient solution collected at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is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The discharged nutrient solution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nutrient solution reservoir. Since the first nutrient solution reservoir may not contain too much nutrient solution, it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ipe 23 so that nutrient solution can be fed back to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if necessary. With this system, the nutrient solution is circulated in the order of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bottle - the third nutrient solution bottle - the first nutrient solution bottle -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bottle, thereby saving the nutrient solution and helping the growth of the plant.

제어장치의 동작에 의해서 회전모터(40)에 동력을 공급하게 되면 회전모터에 연결된 체인기어(41)가 움직이게 되고, 다시 체인기어에 연결된 체인이 움직임에 따라 체인에 연결된 중시회전축이 회전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power is supplied to the rotary motor 40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the chain gear 41 connected to the rotary motor is moved. Then, the chain connected to the chain gear is rotated, It will b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는 도 1과 같이 상기 제 2 양액공급관은 상기 좌측 포트지지날개에 형성된 상기 제 2 로터리부 와 상기 우측 포트지지날개에 형성된 상기 제 2 로터리부중 어느 하나에만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 포트지지날개와 상기 우측 포트지지날개중 어느 하나에만 연결되며, 상기 인접한 포트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 2 양액공급관의 위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접한 포트는 제 2 양액공급관이 각각 좌측과 우측 교대로 형성되어 양액을 공급할 수 있다.1,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is connected to one of the second rotary part formed on the left port support vane and the second rotary part formed on the right port support vane,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may be connected to only one of the left port support vane and the right port support vane so that the nutrient solution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port and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adjacent port. In this case, adjacent ports ar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line, respectively, to supply the nutrient solution.

그러나, 식물의 특성 또는 보다 원할한 양액 공급을 위하여 상기 제 2 양액공급관은 상기 좌측 포트지지날개에 형성된 상기 제 2 로터리부로 양액을 공급하여 주는 좌측 제 2 양액공급관(55a) 및 상기 우측 포트지지날개에 형성된 상기 제 2 로터리부로 양액을 공급하여 주는 우측 제 2 양액공급관(55b)을 포함하며, 상기 포트는 상기 좌측 제 2 양액공급관 및 상기 우측 제 2 양액공급관으로부터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양액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제 2 양액공급관이 각 포트의 좌측과 우측 모두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양 쪽 모두에서 양액을 공급받거나, 좌측과 우측중에서 선택에 의해서 한 쪽에서만 양액을 공급받을 수도 있는 것이다.However,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has a left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55a for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to the second rotary part formed in the left port support wing and a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55b for feeding the nutrient solution, And a second right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55b for supplying a nutrient solution to the second rotary part formed in the first right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and the second right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have. That is,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is install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each port, and the nutrient solution may be supplied from either side if necessary, or the nutrient solution may be supplied from one side only by selecting from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지지대 11 : 포트지지날개 지지축
12 : 제1양액공급관 13 : 제1로터리부
14 : 모터펌프 20 : 제1양액물통
21 : 밸브누름판 22 : 제2양액물통
23 : 연결관 24 : 제3양액물통
30 : 제어장치 40 : 회전모터
41 : 체인기어 42 : 체인
43 : 중심회전축 44 : 제1베어링
50 : 포트지지날개 50a : 좌측 포트지지날개
50b : 우측 포트지지날개 51 : 포트지지로프
52 : 포트 지지축 53 : 제2베어링
54 : 제2로터리부 54a : 좌측 제2로터리부
54b : 우측 제2로터리부 55 : 제2양액공급관
55a : 좌측 제2양액공급관 55b : 우측 제2양액공급관
60 : 포트 61 : 제3양액공급관
61a : 홀 62 : 필터
62a : 오픈부 63 : 배출밸브
100 :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
10: support member 11: port support wing support shaft
12: first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13: first rotary part
14: motor pump 20: first fluid feed bucket
21: Valve pressure plate 22: Second sucking water bottle
23: connection pipe 24: third fluid feeding bucket
30: Control device 40: Rotary motor
41: chain gear 42: chain
43: center rotation shaft 44: first bearing
50: Port support wing 50a: Left port support wing
50b: right port support vane 51: port support rope
52: port support shaft 53: second bearing
54: second rotary section 54a: left second rotary section
54b: right second rotary section 55: second fluid feeding pipe
55a: Left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55b: Right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60: port 61: third fluid supply pipe
61a: hole 62: filter
62a: open portion 63: discharge valve
100: Plant Grower using rotating body

Claims (9)

재배기 전체를 지지하여 주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중심회전축;
상기 중심회전축과 결합하여 상기 중심회전축을 고정시키고 중심회전축의 자중과 중심회전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축을 회전시키는 제 1 베어링;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복수개의 포트;
상기 포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포트지지날개;
상기 포트지지날개와 결합하는 포트지지축;
상기 포트지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포트를 지탱하는 포트지지로프;
양액을 보관 및 공급하는 제 1 양액물통 및 제 2 양액물통;
상기 제 2 양액물통으로부터 양액을 공급받는 제 3 양액물통;및
상기 제 2 양액물통과 연결되어 상기 제 2 양액물통의 양액을 제 3 양액물통으로 공급해주는 제 1 양액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양액공급관과 상기 중심회전축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양액공급관에서 공급되는 양액을 상기 중심회전축을 통과하여 상기 제 3 양액물통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상기 중심회전축이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하지 않고 원래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제 1 로터리부;
상기 제 3 양액물통과 연결되어 제 3 양액물통내의 양액을 상기 포트지지축으로 공급하는 제 2 양액공급관;
상기 포트지지축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양액공급관 으로부터 공급받은 양액을 상기 포트로 공급하며,
상기 중심회전축이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하지 않고 원래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제 2 로터리부; 및
상기 제 2로터리부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양액공급관으로부터 공급받은 양액을 상기 포트 내부로 공급하는 제 3 양액공급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양액물통의 상부에 형성되는 밸브누름판; 및
상기 포트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포트의 내부의 흙과 거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걸러주는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는 상기 포트내의 양액이 일정 양 이상이 되면 상기 밸브누름판과 접촉하여 상기 밸브누름판에 압력을 주게 되면, 상기 포트내의 일정 양을 초과하는 양액을 상기 포트의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제 1 양액물통으로 배출하는 배출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모터;
상기 회전모터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체인기어;및
상기 체인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중심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포트지지축과 결합하여 상기 포트지지축을 고정시키고 포트지지축의 자중과 포트지지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는 제 2 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양액공급관은 포트 내부 전반에 걸쳐서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상기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의 동작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전원장치 및 상기 중심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 1 양액물통과 상기 제 2 양액물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양액물통의 양액을 상기 제 2 양액물통으로 공급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포트지지날개는 상기 포트의 좌측에 설치되는 좌측 포트지지날개와 우측에 설치되는 우측 포트지지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포트지지날개와 상기 우측 포트지지날개에 모두 연결되어 상기 포트지지날개를 지지하여 주는 포트지지날개 지지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양액공급관은 상기 좌측 포트지지날개에 형성된 상기 제 2 로터리부로 양액을 공급하여 주는 좌측 제 2 양액공급관 및 상기 우측 포트지지날개에 형성된 상기 제 2 로터리부로 양액을 공급하여 주는 우측 제 2 양액공급관을 포함하며,
상기 포트는 상기 좌측 제 2 양액공급관 및 상기 우측 제 2 양액공급관으로부터 모두 또는 선택적으로 양액을 공급받고,
상기 제 2 양액공급관은 상기 좌측 포트지지날개에 형성된 상기 제 2 로터리부 와 상기 우측 포트지지날개에 형성된 상기 제 2 로터리부중 어느 하나에만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 포트지지날개와 상기 우측 포트지지날개중 어느 하나에만 연결되며,
상기 인접한 포트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상기 제 2 양액공급관의 위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를 이용한 식물재배기.
A support to support the whole plant;
A central rotation shaft formed to be rotatable in association with the support;
A first bearing which engages with the central rotational shaft to fix the central rotational shaft and rotates the shaft while supporting a load applied to the self-centering shaft and the central rotational shaft;
A plurality of ports having an interior space for growing plants;
A port support blade formed to support the port;
A port support shaft coupled to the port support vane;
A port support rope connected to the port support shaft to support the port;
A first nutrient solution reservoir and a secon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for storing and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A thir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supplied with the nutrient solution from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And a first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to supply the nutrient solution of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to a thir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A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formed between the first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and the central rotation shaft,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from the first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can be supplied to the thir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through the central rotation axis,
A first rotary part fixed to the original position without rotating when the central rotation axis rotates;
A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thir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for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third nutrient solution reservoir to the port support shaft;
A port support shaft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port support shaft,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from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to the port,
A second rotary part fixed to the original position without rotating when the central rotary shaft rotates; And
A second rotary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rotary part,
And a thir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supplied from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into the port,
A valve presser plat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nutrient solution reservoir; And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port,
Further comprising a filter for filtering soil and debris from the inside of the port so as not to be leak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filter discharges the nutrient solution exceeding a predetermined amount in the port to the outside of the port when the nutrient solution in the port become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amount and presses the valve presser plate against the valve presser plate, And a drain valve
A rotation motor for providing power to rotate the central rotation shaft;
A chain gear connected to the rotary motor;
And a chain connected to the chain gear and transmitting power to the center rotary shaft,
And a second bearing which is coupled to the port support shaft to fix the port support shaft and supports a load applied to the port support shaft and a self weight of the port support shaft,
The thir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supply the nutrient solution throughout the port interior,
A power source device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the plant grower operates using the rotating body, and a controll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central rotary shaft; And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pipe formed between the first liquid absorptive container and the second absorptive liquid container and supplying the nutrient solution of the first absorptive liquid container to the second absorber container,
Wherein the port support vane includes a left port support vane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port and a right port support vane installed on the right side,
Further comprising a port support vane support shaft connected to both the left port support vane and the right port support vane to support the port support vane,
Wherein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includes a left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for supplying nutrient solution to the second rotary part formed on the left port support vane and a second right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for supplying nutrient solution to the second rotary part formed on the right port support vane, Comprising a supply tube,
The port is supplied with nutrient solution from the left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line and the right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line,
And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left port support vane and the right port support vane so that the nutrient solution can be supplied only to either the second rotary part formed on the left port support vane and the second rotary part formed on the right port support vane, , ≪ / RTI >
And the positions of the second nutrient solution supply conduits connected to the adjacent por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46004A 2017-04-10 2017-04-10 Plant cultivating device using rotary system KR1018642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004A KR101864228B1 (en) 2017-04-10 2017-04-10 Plant cultivating device using rotar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004A KR101864228B1 (en) 2017-04-10 2017-04-10 Plant cultivating device using rotary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228B1 true KR101864228B1 (en) 2018-07-13

Family

ID=62913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004A KR101864228B1 (en) 2017-04-10 2017-04-10 Plant cultivating device using rotary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22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748A (en) * 2018-08-27 2020-03-06 농업회사법인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Autonomous rotating irrigation system of cultivating equipment of cone type crop
KR20220008196A (en) * 2020-07-13 2022-01-20 박길수 Rotary Cultivation System of Private Power Station Type
KR20220016719A (en) 2020-08-03 2022-02-10 김형곤 Plant cultivatation apparatus
DE102021111899A1 (en) 2021-05-06 2022-11-10 A. Schieck GmbH Device for growing agricultural products and ornamental plan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0331U (en) * 1993-02-01 1994-08-23 有限会社オカムラ工業 Plant cultivation equipment
KR200338621Y1 (en) * 2003-10-24 2004-01-16 윤지영 Apparatus of plant husbandry possible rotary automatic water
KR20130037973A (en) * 2011-10-07 2013-04-17 박규식 Plant cultivation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0331U (en) * 1993-02-01 1994-08-23 有限会社オカムラ工業 Plant cultivation equipment
KR200338621Y1 (en) * 2003-10-24 2004-01-16 윤지영 Apparatus of plant husbandry possible rotary automatic water
KR20130037973A (en) * 2011-10-07 2013-04-17 박규식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748A (en) * 2018-08-27 2020-03-06 농업회사법인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Autonomous rotating irrigation system of cultivating equipment of cone type crop
KR102219858B1 (en) * 2018-08-27 2021-02-24 농업회사법인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Autonomous rotating irrigation system of cultivating equipment of cone type crop
KR20220008196A (en) * 2020-07-13 2022-01-20 박길수 Rotary Cultivation System of Private Power Station Type
KR102585306B1 (en) * 2020-07-13 2023-10-06 박길수 Rotary Cultivation System of Private Power Station Type
KR20220016719A (en) 2020-08-03 2022-02-10 김형곤 Plant cultivatation apparatus
KR102467489B1 (en) * 2020-08-03 2022-11-14 김형곤 Plant cultivatation apparatus
DE102021111899A1 (en) 2021-05-06 2022-11-10 A. Schieck GmbH Device for growing agricultural products and ornamental pla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228B1 (en) Plant cultivating device using rotary system
US4177604A (en) Drip-action hydroponic garden
US20100199555A1 (en) Urban Farm/The Urban Garden
CA2488178A1 (en) A hydroponic plant cultivating apparatus
KR102039379B1 (en) multi-pot with a water tank which is easy for planting
CA3050403C (en) Hydroponic growth system
US20180310497A1 (en) Rotating hydroponic growing system
KR20130059044A (en) Rotary multistage cultivation equipment
KR100924110B1 (en) Assembly pot
KR200453179Y1 (en) Rotary Multi-layer Pot Stand
US20110016781A1 (en) Float operated plant watering device
KR20190123608A (en) Pipe-farm circulation plant
JP6170291B2 (en) Automatic watering equipment
KR101280123B1 (en) Port table
KR200475509Y1 (en) Box Assembly for Planting
AU2008100902A4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N206043025U (en) A kind of self-priming domestic irrigation rig of automatic water-supply
CN221058919U (en) Flower pot
JPH10113081A (en) Plant cultivation device and plant shelf
JP4315737B2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plant cultivation method
CN216722282U (en) Novel orchid planting cup
CN210900511U (en) Thick soil cultivation flowerpot
EP0700633B1 (en) Device for watering flower pots
CN220511843U (en) A liquid manure integration breeding device for breeding
CN215935574U (en) Water and fertilizer integrated irrigation water-sav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