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123B1 - Port table - Google Patents
Port tab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0123B1 KR101280123B1 KR1020110090961A KR20110090961A KR101280123B1 KR 101280123 B1 KR101280123 B1 KR 101280123B1 KR 1020110090961 A KR1020110090961 A KR 1020110090961A KR 20110090961 A KR20110090961 A KR 20110090961A KR 101280123 B1 KR101280123 B1 KR 1012801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nnel
- support member
- water
- plant
- pip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69
- 241000191380 Byblis gigante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1—Flower tables or stan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2007/048—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rotating the plant po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가 개시된다.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수조부와; 상기 수조부에 수직으로 결합된 수로 파이프와; 상기 수로 파이프의 상단에 결합된 분수장치와; 상기 수로 파이프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받침부재와; 상기 수로 파이프가 내부로 관통되며, 상기 제1 받침부재의 중심부에 배치된 제1 고깔부재와; 상기 제1 받침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수로 파이프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받침부재와; 상기 수로 파이프가 내부로 관통되며, 상기 제2 받침부재의 중심부에 배치된 제2 고깔부재와; 상기 제1 고깔부재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제1 받침부재에 형성된 제1 수로홀과; 상기 제1 받침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 수로홀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1 수로와; 제1 받침부재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수로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수로를 포함하는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가 제공된다.A plant cultivator combined plant pot stand is disclosed. A water tank unit capable of storing water; A channel pipe vertically coupled to the water tank; A water fountain device coupled to the top of the water pipe; A first support member rotatably coupled with the channel pipe; A first solid member penetrating the water pipe inside and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A second support member positioned below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second support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channel pipe; A second solid member penetrating the water pipe inside and disposed at a center of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A first channel hole formed in the first support member located inside the first solid member; A first channel connected to the first channel hole at an edg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Located at the edg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there is provided a plant planter combined plant pot holder including a second channel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hannel.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가능하면서 수경재배, 수생식물 및 육생식물 등을 동시에 재배할 수 있는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or combined plant pot, which is rotatable and can be grown simultaneously with hydroponic cultivation, aquatic plants and carnivorous plants.
채소를 아파트 베란다에서 키워 먹는 사회적 분위기와, 식물 재배를 통하여 아이들에게 자연학습을 시키려는 부모님들의 수요로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plant cultivation plant pots due to the social atmosphere of growing vegetables on apartment verandas and the demand of parents to teach children about nature through plant cultivation.
종래의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는 다단의 받침대에 화분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단순한 기능만 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Conventional plant cultivator combined plant pots are designed to be a simple function to put the pot on the multi-stage pedestal.
그러나 종래의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는 위치에 따라서 빛이 덜 들 수가 있어서, 식물의 생장이 불균형적이었다. 아울러, 종래의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는 수생식물과 동시에 육생식물을 재배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plant cultivator combined plant pot stand can be less light depending on the location, the growth of the plant was unbalanced.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lant cultivator planter pedestal had a disadvantage that can not grow aquatic plants at the same time as aquatic plants.
따라서, 근래에는 교육 목적상 또는 재배자의 기호에 따라 수생식물과 육생식물을 동시에 재배할 수 있으며, 겨울에는 아파트 거실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고 자동 급수 장치가 있는 새로운 개념의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를 필요로 한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quatic and terrestrial plants can be grown at the same time for educational purposes or according to the grower's preference, and in winter, a new concept of a plant cultivator plant pot with a water supply and an automatic watering device is required. Shall be.
본 발명은 분수의 형태로 화분에 물을 공급하여, 실내 가습효과가 뛰어난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a potted water in the form of a fountain, to provide a plant cultivator combined pot stand excellent in indoor humidification effect.
또한 본 발명은 물의 흐름 방향을 조절하여, 각각의 받침부재에 물의 공급양을 조절할 수 있는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o adjust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to provide a plant cultivator combined plant pot stand that can adjust the supply amount of water to each support member.
또한 본 발명은 회전가능한 받침부재를 이용하여 모든 방향에 빛을 골고루 공급할 수 있는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or combined plant pot support that can supply light evenly in all directions using a rotatable support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수조부에 투명튜브를 설치하여 물의량을 육안으로 계수할 수 있는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or combined plant pot support that can be installed by the transparent tube in the water tank to count the amount of water with the naked ey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수조부와;A water tank unit capable of storing water;
상기 수조부에 수직으로 결합된 수로 파이프와;A channel pipe vertically coupled to the water tank;
상기 수로 파이프의 상단에 결합된 분수장치와;A water fountain device coupled to the top of the water pipe;
상기 수로 파이프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받침부재와;A first support member rotatably coupled with the channel pipe;
상기 수로 파이프가 내부로 관통되며, 상기 제1 받침부재의 중심부에 배치된 제1 고깔부재와;A first solid member penetrating the water pipe inside and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상기 제1 받침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수로 파이프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받침부재와;A second support member positioned below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second support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channel pipe;
상기 수로 파이프가 내부로 관통되며, 상기 제2 받침부재의 중심부에 배치된 제2 고깔부재와;A second solid member penetrating the water pipe inside and disposed at a center of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상기 제1 고깔부재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제1 받침부재에 형성된 제1 수로홀과;A first channel hole formed in the first support member located inside the first solid member;
상기 제1 받침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 수로홀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1 수로와;A first channel connected to the first channel hole at an edg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제1 받침부재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수로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수로를 포함하는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가 제공된다.
Located at the edg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there is provided a plant planter combined plant pot holder including a second channel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hannel.
또한, 상기 제1 고깔부재의 밑면과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제1 받침부재에 형성된 홈과;In addition, the groove formed in the first support member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olid member;
상기 제1 고깔부재의 바닥면에는 형성된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가 제공된다.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olid member is provided with a plant cultivator plant pot holder further comprises an opening formed.
또한, 상기 수조부의 측면에 결합된 투명튜브와;In addition, the transparent tu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tank;
상기 수조부의 상부를 덥는 수조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가 제공된다.There is provided a plant cultivator combined plant pot holder further comprising a tank cove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tank.
본 발명은 분수의 형태로 화분에 물을 공급하여, 실내 가습효과가 뛰어난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supplies water to the pot in the form of a fountain, to provide a plant planter combined pot stand excellent in indoor humidification effect.
또한, 본 발명은 물의 흐름 방향을 조절하여, 각각의 받침부재에 물의 공급양을 조절할 수 있는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nt cultivator combined plant pot holder that can adjust the flow direction of the water, the amount of supply of water to each support member.
또한, 본 발명은 회전가능한 받침부재를 이용하여 모든 방향에 빛을 골고루 공급할 수 있는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nt cultivator combined plant pot stand that can supply light evenly in all directions by using a rotatable support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수조부에 투명튜브를 설치하여 물의량을 육안으로 계수할 수 있는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ant cultivator combined plant pot stand that can be installed by the transparent tube to the water tank to count the amount of water with the naked ey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의 제1 고깔부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의 제1 받침부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의 제2 수로가 오픈된 모습을 보여주는 제1 받침부재와 제1 고깔부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의 제2 수로가 닫혀진 모습을 보여주는 제1 받침부재와 제1 고깔부재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t cultivator combined plant pot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solid member of the plant cultivator combined plant po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of the plant cultivator combined plant po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first solid member showing the second channel opening of the plant cultivator combined plant pot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first solid membe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hannel of the plant cultivator combined plant pot stan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 Thereby not limiting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의 제1 고깔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의 제1 받침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의 제2 수로가 오픈된 모습을 보여주는 제1 받침부재와 제1 고깔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의 제2 수로가 닫혀진 모습을 보여주는 제1 받침부재와 제1 고깔부재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t cultivator combined plant pot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solid member of the plant cultivator combine plant pot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4 is a plan view of the first support member of the plant cultivator combined plant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irst support membe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hannel of the plant cultivator combined plant pot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irst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solid member,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first solid membe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channel of the plant cultivator combined plant pot stan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본 실시예의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10)는,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수조부(16)와; 상기 수조부(16)에 수직으로 결합된 수로 파이프(18)와; 상기 수로 파이프(18)의 상단에 결합된 분수장치(19)와; 상기 수로 파이프(18)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받침부재(12)와; 상기 수로 파이프(18)가 내부로 관통되며, 상기 제1 받침부재(12)의 중심부에 배치된 제1 고깔부재(11)와; 상기 제1 받침부재(12)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수로 파이프(18)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받침부재(14)와; 상기 수로 파이프(18)가 내부로 관통되며, 상기 제2 받침부재(14)의 중심부에 배치된 제2 고깔부재(13)와; 상기 제1 고깔부재(11)의 내측에 위치며 상기 제1 받침부재(12)에 형성된 제1 수로홀(126)과; 상기 제1 받침부재(12)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 수로홀(126)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1 수로(125)와; 상기 제1 받침부재(12)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수로(125)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수로(123)를 포함한다.
Plant planter combined use plant pot stand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본 실시예의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10)는 저수조(16)에 고인 물을 펌프(17)로 끌어올려, 분수장치(19)를 통하여 상부로 분사된다. 본 실시예의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10)는 2단의 받침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받침부재(12,14)는 수로 파이프(18)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받침부재(12,14)에는 작은 화분이 올려질 수 있다. 받침부재(12,14)의 바닥면의 수위를 조절함으로써, 화분의 뿌리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The plant cultivator combined pot stand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pulls water accumulated in the
수생식물의 경우 받침부재(12, 14)의 수위를 상승되도록 하고, 육생식물의 경우 수위를 낮게 유지한다. 또한, 제1 받침부재(12)에는 수생식물을 재배할 수 있고, 제2 받침부재(14)에는 육생식물을 재배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aquatic plants to raise the water level of the support member (12, 14), and in the case of carnivorous plants to keep the water level low. In addition, aquatic plants can be grown on the
또한, 본 실시예의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10)는 받침부재(12,14)가 회전가능하도록 수로 파이프(18)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받침부재(12,14)를 적절히 회전시킴으로써 받침부재(12,14)에 올려진 화분에 골고루 빛을 공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ant cultivator combined plant pot stand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본 실시예의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10)는 분수장치(19)에서 분사된 물이 제1 고깔부재(11)의 외벽을 따라 제1 받침부재(12)에 흘러들어간다. 이후, 제1 받침부재(12)에 형성된 제1 수로홀(126)을 따라 제2 고깔부재(13)의 외벽으로 물이 떨어지게 되고, 이 물은 다시 제2 받침부재(14)로 공급된다.In the plant planter combined use plant pot stand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sprayed from the
한편, 제1 고깔부재(11)의 개구부(111)를 도 4와 같이 제1 수로(125)에 위치시키면, 제1 받침부재(12)에 저장된 물이 빠르게 제1 수로홀(126)로 이동하게 되어, 제1 받침부재(12)의 수위는 낮아지게 된다. 반면, 제1 고깔부재(11)의 개구부를 제1 수로(125)와 일치시키지 않으면, 도 5와 같이, 제1 수로(125)를 제1 고깔부재(11)가 차단하게 되어, 제1 받침부재(12)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물이 제1 수로홀(126)로 쉽게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Meanwhile, when the opening 111 of the first
제1 받침부재(12)에 수생식물을 재배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제1 고깔부재(11)의 개구부(111)를 제1 수로(125) 상에 위치시키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제1 받침부재(12)의 수위는 상승한다.
When the aquatic plant is to be cultivated in the
도 3은 제1 받침부재(12)의 평면도이다. 제2 받침부재(14)도 제1 받침부재(12)와 거의 동일한 형태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받침부재(12)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3 is a plan view of the
제1 받침부재(12)의 중심부에는 수로 파이프(18)가 결합되는 관통홀(127)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127)에 인접하여 제1 수로홀(12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수로홀(126)에는 제1 수로(125)가 연결되어 있다. 제1 수로(125)는 제1 받침부재(12)의 중심방향에서 가장자리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수로(125)는 바닥면(122)보다 높이가 낮다. 제1 받침부재(12)에 고인 물은 제1 수로(125)를 따라 제1 수로홀(126)로 이동한다. 제1 수로홀(126)에서 떨어진 물은 제2 고깔부재(13)의 외벽을 타고 제2 받침부재(14)에 고이게 된다. (도 1 및 도 3 참조)A through
한편, 제1 받침부재(12)의 가장자리에는 제2 수로(123)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수로(123)의 상부에 작은 화분을 놓을 수 있으며, 제2 수로(123)의 물은 화분의 아래로 흐르게 된다. 육생식물의 경우 제2 수로(123)를 흐르는 물로부터 습기를 공급받게 된다. 제2 수로(123)는 제1 수로(125)와 연결되어 있다.Meanwhile, a
제1 받침부재(12)에서 제1 고깔부재(11)의 바닥면이 위치하는 지점에는 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고깔부재(11)의 바닥면은 이 홈(124)에 끼워진다. 제1 고깔부재(11)의 개구부(111)가 제1 수로(123)에 위치할 경우, 제1 수로(123)를 따라 제1 수로홀(126)로 물이 자연스럽게 이동한다. (도 4 참조)The
그러나 제1 고깔부재(11)의 개구부(111)가 제1 수로(123)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제1 수로홀(126)로 이동하는 물의 흐름을 막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받침부재(12)의 수위는 상승한다.However, when the
한편, 분수장치(19)로 분사되는 물은 밸브(15)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injected into the
수조부(16)의 상부에는 수조부 커버(161)가 결합될 수 있다. 수조부 커버(161)는 수조부(16)에 담긴 물이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수조부 커버(161)에는 화분받침홀(16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화분받침홀(162)에 화분을 끼워넣을 수 있다. The
한편, 수조부(16)의 측면에는 투명튜브(163)가 결합될 수 있다. 투명튜브(163)는 수조부(16)에 물이 얼마나 담겨있는 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도록 한다. 수조부(16)에 물이 부족할 경우나 수경재배할 경우 물을 채워넣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Modifications and addition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an equivalent range based on the embodiments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10) 수조부(16)
수로 파이프(18) 분수장치(19)
제1 받침부재(12) 제1 고깔부재(11)
제2 받침부재(14) 제1 수로홀(126)
제1 수로(125) 제2 수로(123)Plant cultivator combined use pot stand (10) water tank (16)
Waterway Pipes (18) Water Fountains (19)
Claims (3)
상기 수조부에 수직으로 결합된 수로 파이프와;
상기 수로 파이프의 상단에 결합된 분수장치와;
상기 수로 파이프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받침부재와;
상기 수로 파이프가 내부로 관통되며, 상기 제1 받침부재의 중심부에 배치된 제1 고깔부재와;
상기 제1 받침부재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기 수로 파이프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받침부재와;
상기 수로 파이프가 내부로 관통되며, 상기 제2 받침부재의 중심부에 배치된 제2 고깔부재와;
상기 제1 고깔부재의 내측에 위치한 상기 제1 받침부재에 형성된 제1 수로홀과;
상기 제1 받침부재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 수로홀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1 수로와;
제1 받침부재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수로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제2 수로를 포함하는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제1 고깔부재의 밑면과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제1 받침부재에 형성된 홈과;
상기 제1 고깔부재의 바닥면에는 형성된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
A water tank unit capable of storing water;
A channel pipe vertically coupled to the water tank;
A water fountain device coupled to the top of the water pipe;
A first support member rotatably coupled with the channel pipe;
A first solid member penetrating the water pipe inside and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upporting member;
A second support member positioned below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second support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channel pipe;
A second solid member penetrating the water pipe inside and disposed at a center of the second supporting member;
A first channel hole formed in the first support member located inside the first solid member;
A first channel connected to the first channel hole at an edg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In the plant supporter planter pedestal comprising a second channel located on the edg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the second channel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hannel,
A groove formed in the first support member in a form corresponding to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olid member;
The planter planter planter pedest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pening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olid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0961A KR101280123B1 (en) | 2011-09-08 | 2011-09-08 | Port tab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0961A KR101280123B1 (en) | 2011-09-08 | 2011-09-08 | Port tab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7647A KR20130027647A (en) | 2013-03-18 |
KR101280123B1 true KR101280123B1 (en) | 2013-06-28 |
Family
ID=48178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0961A KR101280123B1 (en) | 2011-09-08 | 2011-09-08 | Port tab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012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708149A (en) * | 2016-03-11 | 2016-06-29 | 金柯楠 | Decorative tea table with steering ashtray structur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1516725S (en) | 2014-01-03 | 2015-02-02 | ||
CN111108883A (en) * | 2019-12-25 | 2020-05-08 | 陈力 | Chinese-medicinal material is planted and is grown seedlings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5127Y1 (en) * | 2004-07-27 | 2004-10-15 | 박영제 | A flowerpot that multiple pedestal is identified |
KR20080005718U (en) * | 2007-05-23 | 2008-11-27 | 주식회사 포시산업 | Multi-layered plant cultivation device |
KR20090019595A (en) * | 2007-08-21 | 2009-02-25 | 임한성 | Nutrient cultivation port |
-
2011
- 2011-09-08 KR KR1020110090961A patent/KR10128012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5127Y1 (en) * | 2004-07-27 | 2004-10-15 | 박영제 | A flowerpot that multiple pedestal is identified |
KR20080005718U (en) * | 2007-05-23 | 2008-11-27 | 주식회사 포시산업 | Multi-layered plant cultivation device |
KR20090019595A (en) * | 2007-08-21 | 2009-02-25 | 임한성 | Nutrient cultivation por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708149A (en) * | 2016-03-11 | 2016-06-29 | 金柯楠 | Decorative tea table with steering ashtray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27647A (en) | 2013-03-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3608608U (en) | Water storage self-watering moisturizing flowerpot for planting scindapsus aureus | |
AU2014208274B2 (en) | Flowerpot with water distribution device | |
US10104843B2 (en) | Self-watering portable greenhouse | |
CN105899069B (en) | Self-irrigation system for multiple potted plants | |
KR101510463B1 (en) | Multi layer flowerpot | |
KR101280123B1 (en) | Port table | |
CN102668917A (en) | Fast rooting flowerpot device and using method thereof | |
JP2010068735A (en) | Automatically watering planter | |
KR200472887Y1 (en) | Multi-Use Pot Assembly with Supporting Structure | |
KR101344914B1 (en) | Auto-supplying apparartus of water | |
KR200463816Y1 (en) | Functional flowerpot | |
KR101592088B1 (en) | Cultivating device | |
JP3133512U (en) | Plant cultivation planter | |
KR101519965B1 (en) | Environment-friendly Lid for Toilet bucket capable of growing plant | |
KR101659908B1 (en) | Growing plants equipment using flowerpot | |
CN203985373U (en) | A kind of auto-water-supply flowerpot | |
JP5685688B2 (en) | Hydroponics equipment | |
CN204335438U (en) | Cultivation device | |
KR101231973B1 (en) | Indoor cultivation appliance | |
KR101367721B1 (en) | Apparatus for growing green crops | |
CN207201446U (en) | A kind of flowerpot | |
CN105822940A (en) | Table lamp with automatic watering flowerpot | |
KR20020032504A (en) | bottom irrigation type receptacle used for growing plants | |
WO2020025842A1 (en) | Capillary action self-irrigation device for flower pots with drainage, which supplies water from the surface of the flower pot to the bottom | |
KR101387109B1 (en) | Movable garden plant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