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877B1 -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877B1
KR101863877B1 KR1020170008490A KR20170008490A KR101863877B1 KR 101863877 B1 KR101863877 B1 KR 101863877B1 KR 1020170008490 A KR1020170008490 A KR 1020170008490A KR 20170008490 A KR20170008490 A KR 20170008490A KR 101863877 B1 KR101863877 B1 KR 101863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cutter
screw
wheeling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환
안병철
송근수
정인태
Original Assignee
(주)올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올소테크 filed Critical (주)올소테크
Priority to KR1020170008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6Material or manufa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17/8625Shanks, i.e. parts contacting bone tissue
    • A61B17/863Shanks, i.e. parts contacting bone tissue with thread interrupted or changing its form along shank, other than constant t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나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환봉의 소재가 메인척에 맞물려지고, 상기 소재의 중앙에 제1가이드홈을 형성하는 1단계; 상기 소재의 외면에 설정한 길이까지 편평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원뿔형의 몸통부를 형성하는 2단계; 상기 몸통부의 중앙에 가변형 휠링커터가 편심하게 진입되고, 상기 휠링커터가 몸통부의 길이까지 피치와 골의 너비가 점차적으로 가변하는 나사부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3단계; 상기 나사부의 후단에 연장되는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가 보조척에 맞물린 상태에서 후단의 소재를 절단시켜 분리한 반제품을 형성하는 4단계; 상기 고정부에서 몸통부의 소정 깊이까지 공구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가이드홈과 연통하는 제2가이드홈을 형성하는 5단계; 및 상기 공구홈을 각형으로 전환하고, 보조척으로부터 분리된 반제품의 고정부를 절단시켜 완성하는 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개선된 휠링커터에 의해 1차 가공만으로도 피치와 골의 너비가 점차적으로 가변하는 나사부를 경사지게 형성할 수가 있으므로 제조에 따른 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안정화된 가공으로 불량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골 표면으로 인해 수술의 완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Method for variable pitch type full thread olts for implan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variable pitch type full thread bolts for implants}
본 발명은 부러진 뼈에 체결되어 뼈가 유합되게 부동으로 고정하는 정형외과 임플란트용 나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임플란트용 나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나사산의 피치를 가변형으로 형성하여 뼈 조직과 치밀한 상태로 자가 압박을 유도하고, 머리가 없는 무두나사를 원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피부가 얇은 부위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 별도의 드릴링을 하지 않고도 자가 식립이 가능한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에 관한 것이다.
통상, 골절 시에는 절단 부위를 정 위치에 정렬한 뒤에 압박시켜 부러진 뼈가 유합이 될 때까지 부동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임플란트가 사용되는데, 대표적으로 금속판과 금속나사 및 핀이나 와이어 따위의 강선을 이용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임플란트들은 해당하는 뼈에 따라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되는데, 그 중에서도 뼈와 직접적으로 체결되는 금속나사가 보편적으로 사용될 만큼 중요하다.
금속나사는 뼈와 체결되는 쓰레드에 따라 일반형과 가변형으로 구분되고, 샤프트에 형성된 쓰레드에 따라 전산형과 부분형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헤드의 유무와 함께 헤드에 따라 잠금형과 비-잠금형으로 구분되며, 비-잠금형은 다시 정적과 동적압박용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금속나사는 속이 차여진 중실형과 속이 빈 중공형(관형, Cannulated)으로 재 구분된다. 즉, 금속나사의 종류는 여타의 임플란트와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될 여부에 따라 복합적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3131호 "점진적으로 골속에 고정력을 갖고 삽입되는 머리 없는 도관나사못"과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6312호 "다중 나사식 뼈스크류 및 방법"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가변 피치형 무두나사는 나사산의 피치를 가변형으로 형성하여 뼈 조직과 치밀한 상태로 자가 압박을 유도하고, 머리가 없어 뼈 표면에 돌출되지 않아 피부가 얇은 부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가변 피치형 무두나사는 타 임플란트 나사에 비해 수술의 완성도가 높아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고, 나아가 원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별도의 드릴링을 하지 않고도 자가 식립이 가능한 구조로 개선되기도 하였다.
한편, 이러한 나사를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처럼 환봉의 소재(M)가 메인척(C1)에 맞물려지고, 소재(M)의 중앙에 제1통로(1)를 형성하는 메인1단계를 거친다. 그리고 소재(M)의 외면에 설정한 길이까지 터이퍼진 원뿔형의 샤프트(2)를 형성하는 메인2단계를 거친다. 이어서 몸통부(2)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1차 쓰레드(3a)를 형성한 다음, 복귀해 일단에서 타단까지 2차 쓰레드(3b)를 재형성하여 최종 가변형 쓰레드를 형성하는 메인3단계를 거친다. 그리고 타단의 쓰레드(3b)의 외면이 보조척(C2)에 맞물려지고, 메인척(C1)과 보조척(C2)사이의 소재(M)를 절단시켜 분리된 반제품(4)을 형성하는 중간 단계를 거친다. 그리고 타면의 소정 깊이까지 공구홈(5)을 형성하는 서브1단계와, 제1통로(1)와 연통하는 제2통로(6)를 형성하는 서브2단계를 거친다. 마지막으로 공구홈(5)을 각형으로 전환하여 완성된 제품을 보조척(C2)으로부터 분리하여 배출하는 서브3단계를 거친다.
여기서 메인2단계에서 도 2a처럼 바이트가 샤프트(2)를 형성하면서 절삭칩이 나선형으로 배출되어 전반적인 공수를 낭비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절삭칩은 에어건이나 브러쉬 따위로 제거되는데, 절삭칩이 샤프트(2)상에 나선으로 연속하게 꼬여져 있어 에어건이나 브러시로는 제거할 수가 없다. 따라서 샤프트(2)를 형성한 뒤에는 제조를 잠시 멈춘 상태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손으로 제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메인3단계에서 도 2b처럼 가변형 쓰레드(3b)의 특성에 따라 1차 쓰레드(3a)를 형성한 다음, 복귀해 2차 쓰레드(3b)를 재형성하여 최종 쓰레드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조시간이 길어져 전반적인 공수가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1차와 2차로 나누어 가공하기 때문에 나사골에 1차 쓰레드(3a)와 2차 쓰레드(3b)의 경계선이나 턱이 발생되어 올바른 식립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쓰레드 프로파일의 형상이나 각도에 따라 2차 가공 시 샤프트(2)의 응력부족으로 파단 되는 문제가 있다.
마지막으로 중간단계에서 도 2c처럼 메인단계에서 서브단계로 전환되면서 샤프트(2)의 길이와 형상에 의해 보조척(C2)으로부터 하향으로 처져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관형 금속나사는 여타의 금속나사에 비해 길이가 길 수 밖에 없는 특성을 가지면서 가공 특성상 보조척(C2)이 샤프트(2)의 끝단을 척킹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샤프트(2)의 선단과 보조척(C2)이 선 접촉하게 되어 하중에 따른 토크를 견디지 못하고 하향으로 미세하게 처지거나 심지어 보조척(C2)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특히, 보조척(C2)으로부터 미세하게 처짐에 따라 도 2c처럼 서브2단계에서 형성하는 제2통로(6)가 어긋나면서 제1통로(1)와 일치되지 못하고 연통지점에 단차가 형성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수술 도중 가이드 핀이 단차에 걸리거나 동심의 차이에 따라 가이드 핀의 삽입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3131호 "점진적으로 골속에 고정력을 갖고 삽입되는 머리 없는 도관나사못"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66312호 "다중 나사식 뼈스크류 및 방법"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이트에 의해 발생하는 절삭칩을 반원의 고리형태로 배출시키고, 나사의 피치와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일회 가공만으로 완전한 최종나사를 형성할 수 는 바이트로 개선함과 함께 별도의 척킹부를 마련하여 처짐을 방지해줌으로서 전반적인 공수의 절감과 불량을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제품의 완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나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환봉의 소재가 메인척에 맞물려지고, 상기 소재의 중앙에 제1가이드홈을 형성하는 1단계; 상기 소재의 외면에 설정한 길이까지 편평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원뿔형의 몸통부를 형성하는 2단계; 상기 몸통부의 중앙에 가변형 휠링커터가 편심하게 진입되고, 상기 휠링커터가 몸통부의 길이까지 피치와 골의 너비가 점차적으로 가변하는 나사부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3단계; 상기 나사부의 후단에 연장되는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가 보조척에 맞물린 상태에서 후단의 소재를 절단시켜 분리한 반제품을 형성하는 4단계; 상기 고정부에서 몸통부의 소정 깊이까지 공구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가이드홈과 연통하는 제2가이드홈을 형성하는 5단계; 및 상기 공구홈을 각형으로 전환하고, 보조척으로부터 분리된 반제품의 고정부를 절단시켜 완성하는 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휠링커터는 링 형의 베이스 상에 나사부의 최소 나사골의 간극과 동일한 두께를 가진 고정커터와 유동커터가 차례로 배열되되, 상기 유동커터는 베이스의 동심선상으로 유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휠링커터는 나사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유동커터가 나사골을 피치에 비례하는 너비로 가변되게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4단계는 나사부와 고정부 간의 경계선상에 소정 깊이의 절단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된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를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개선된 휠링커터에 의해 1차 가공만으로도 피치와 골의 너비가 점차적으로 가변하는 나사부를 경사지게 형성할 수가 있으므로 제조에 따른 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안정화된 가공으로 불량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균일한 골 표면으로 인해 수술의 완성도를 극대화할 수가 있다.
둘째, 몸통부를 형성하면서 배출되는 절삭칩이 경사면에 의해 반원의 고리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자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낙하되어 전반적인 공수를 절감할 수가 있다.
셋째, 몸통부의 후방에 연장되는 고정부를 형성해둠으로서, 보조척에 긴밀한 고정이 가능하여 처짐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가 있다.
넷째, 머리부와 고정부 사이에 절단홈을 마련해둠으로서, 완성된 이후에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적은 힘으로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고정부를 분리할 수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무두나사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두나사를 제조하는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참고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두나사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 내지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무두나사의 제조과정 중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무두나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참고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처럼 1단계(S10) 내지 6단계(S60)를 거치는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의 제조방법과, 도 9처럼 이에 제조된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100)에 관한 것으로, 일부 공정과 기구가 추가되더라도 나사의 품질과 제조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나사를 연속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자동선반을 이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자동선반은 도 3처럼 소재(M)와 선택적으로 맞물려 회전하는 메인척(C1)과, 메인척(C1)의 후방에 소재(M)를 Z축으로 유동시키는 바피더(F)와, 메인척(C1)의 상방에 XY축으로 유동하는 공구대(T)와, 메인척(C1)의 전방에 소재(M)와 선택적으로 맞물려 회전하는 보조척(C2)이 XYZ축으로 유동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메인척(C1)과 보조척(C2) 주위에 별도의 동력으로 회전해 나사부(30)를 형성하는 링 형의 휠링커터(HC)가 XYZ축으로 유동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자동선반은 외경절삭, 테이퍼절삭, 정면절삭, 곡면절삭, 단면절삭, 총형절삭 그리고 보링, 드릴링, 널링, 절단 및 나사가공이 모두 가능하다. 따라서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다수의 나사를 연속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1단계(S10)는 도 4처럼 환봉의 소재(M)가 메인척(C1)에 맞물려지고, 소재(M)의 중앙에 제1가이드홈(10)을 형성한다. 제1가이드홈(10)은 수술 시에 나사(100)를 정 위치에 식립하기 위한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구멍이다. 이러한 제1가이드홈(10)은 후속하는 제2가이드홈(15)과 연통되어 나사(100)를 관형으로 전환해준다.
즉, 설정된 나사(100)의 총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경우에는 제1가이드홈(10)만으로 모두 천공되므로 제2가이드홈(15)을 형성하는 과정은 생략된다. 그러나 나사(100)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가공의 한계로 인해 제1·2가이드홈(10)(15)으로 나누어 천공해야만 한다. 따라서 1단계(S10)에서 실시하는 제1가이드홈(10)은 설정된 나사의 길이에 따라 홈 형외에 홀 형으로도 형성될 수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2단계(S20)는 도 4처럼 소재(M)의 외면에 설정한 길이까지 편평한 경사면(20a)을 형성하고, 경사면(20a)을 따라 원뿔형의 몸통부(20)를 형성한다. 경사면(20a)은 도 6a처럼 바이트가 몸통부(2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절삭으로 발생되는 절삭칩을 반원의 고리형태로 형성시켜 준다. 따라서 도 6b처럼 절삭 시 발생되는 절삭칩은 자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낙하되어 전반적인 공수를 절감할 수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3단계(S30)는 몸통부(20)의 중앙에 도 6c처럼 가변형 휠링커터(HC)가 편심하게 진입되고, 휠링커터(HC)가 도 4처럼 몸통부(20)의 길이까지 피치와 골의 너비가 점차적으로 가변하는 나사부(30)를 경사지게 형성한다. 즉, 몸통부(20)의 일단에 시작되는 피치는 2.5이고, 타단에 끝나는 피치가 1.6으로 설정된 경우 2.4,2.3,2.2···1.8,1.7,1.6과 같이 나사산 마다 다른 피치로 가변된다.
이러한 가변피치는 체결 시 뼈 조직과 치밀한 상태로 자가 압박을 유도한다. 그리고 원뿔형의 경사진 나사부(30)는 별도의 드릴링을 하지 않고도 자가 식립이 가능하게 해준다. 물론, 자가 식립을 위해서는 완성된 나사부(30)상에 별도의 가공으로 마련된 하나 이상의 탭핑홈에 의한 것이므로 과정의 설명은 생략되었으나 이를 형성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나사부(30)는 나사골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바이트가 내측을 향해 방사형으로 배열된 휠링커터(HC)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가변 피치의 특성상 나사골도 피치에 비례하는 너비로 가변되어야만 한다. 기존의 휠링커터(HC)는 바이트가 고정됨에 따라 전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차와 2차로 나누어 가공해야만 했다. 즉, 1차만으로 나사부(3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바이트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가변형 휠링커터(HC)로만이 구현할 수가 있다.
가변형 휠링커터(HC)는 도 7a처럼 링 형의 베이스(HC1)상에 나사부(30)의 최소 나사골의 간극과 동일한 두께를 가진 고정커터(HC2)와 유동커터(HC3)가 차례로 배열된다. 여기서 유동커터(HC3)는 도 7b처럼 슬라이드 축에 삽입 장착되어 베이스(HC1)의 동심선상으로 유동 가능하게 배열된다.
즉, 휠링커터(HC)는 나사부(30)를 형성(절삭)하는 과정에서 도 8처럼 유동커터(HC3)가 나사골을 피치에 비례하는 너비로 가변되게 유동한다. 예컨대, 나사부(30)가 시작하는 2.5 피치의 경우에는 고정커터(HC2)로부터 유동커터(HC3)가 어긋나 나사골의 너비를 크게 가지다가, 끝나는 1.6 피치로 가변되기까지 유동커터(HC3)가 고정커터(HC2)와 일치하는 위치로 유동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4단계(S40)는 도 4처럼 나사부(30)의 후단에 연장되는 고정부(40a)를 형성하고, 고정부(40a)가 도 5처럼 보조척(C2)에 맞물린 상태에서 후단의 소재(M)를 절단시켜 분리한 반제품(40)을 형성한다. 고정부(40a)는 보조척(C2)과 긴밀한 고정을 유도하는 보조요소이다. 즉, 나사(100)가 완성된 이후에 분리되는 것이므로 고정력과 가공속도 및 원가를 고려하여 적절한 직경과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때, 나사부(30)와 고정부(40a)간의 경계선상에 소정 깊이의 절단홈(40b)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즉, 고정부(40a)는 나사(100)가 완성된 이후엔 불필요한 구성으로 반듯이 몸통부(20)로부터 분리해야 한다. 여기서 후속하는 공구홈(50)이 형성되면, 별도의 절단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정부(40a)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리할 수가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5단계(S50)는 도 5처럼 고정부(40a)에서 몸통부(20)의 소정 깊이까지 공구홈(50)을 형성하고, 제1가이드홈(10)과 연통하는 제2가이드홈(15)을 형성한다. 공구홈(50)은 수술 시 공구가 삽입되어 나사(100)가 뼈와 체결되게 회전을 유도하고, 제2가이드홈(15)은 제1가이드홈(10)과 연통되어 나사(100)를 관형으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공구홈(50)과 제2가이드홈(15)은 앞서 단계에서 공구대(T)가 메인척(C1)에 고정된 소재(M)로 이동하여 형성하는 것과 달리 보조척(C2)이 반제품(40)을 공구대(T)로 이동시켜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6단계(S60)는 공구홈(50)을 각형으로 전환하고, 보조척(C2)으로부터 분리된 반제품(40)의 고정부(40a)를 절단시켜 도 9처럼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100)완성한다. 공구홈(50)은 중앙이 보링 된 것으로 공구와 맞물릴 수가 없어 각형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즉, 공구홈(50)을 미니 엔드밀로 절삭시켜 형성하거나, 공구홈(50)내에 각형의 성형바를 압입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보조척(C2)이 반제품(40)을 자석이나 흡입대로 진입하여 고정부(40a)을 흡착시킨 다음, 맞물림을 해제한 뒤에 후퇴와 함께 배출핑거가 몸통부(20)를 파지하여 슈트로 낙하시킨다. 배출된 반제품(40)은 작업자가 고정부(40a)를 절단시키면, 도 9와 같이 나사(100)가 완성된다. 여기서 고정부(40a)는 배출핑거가 자동적으로 절단한 뒤에 슈트로 낙하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1단계(S10)와 5단계(S50)는 도 10a처럼 드릴척에 맞물리는 샹크(D1)와, 샹크(D1)와 동일한 직경으로 연장되는 샤프트(D2)와, 샤프트(D2)보다 큰 직경으로 연장되는 비트(D3)로 이루어진 드릴(D)로 제1·2가이드홈(10)(15)을 각각 형성하는 것이 좋다. 즉, 샹크(D1)와 샤프트(D2)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1·2가이드홈(10)(15)의 깊이에 따라 교체하지 않고도 천공할 수가 있다. 특히, 샤프트(D2)의 직경이 비트(D3)의 직경보다 적어 도 10b처럼 절삭칩이 제1·2가이드홈(10)(15)과 샤프트(D2) 사이에 마련된 갭으로 신속하게 배출되어 절삭속도와 동심도를 향상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1·2가이드홈(10)(15)은 도 11처럼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하되, 제2가이드홈(15)이 제1가이드홈(10)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즉, 수술 시 가이드 핀이 최초 진입되는 제1가이드홈(10)의 직경보다 이어서 진입되는 제2가이드홈(15)의 직경이 크므로 제1·2가이드홈의 연통지점에 드릴자국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가이드 핀의 원활한 진입을 유도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1: 메인척 C2: 보조척
D: 드릴 D1: 샹크
D2: 샤프트 D3: 비트
HC: 휠링커터 HC1 베이스
HC2: 고정커터 HC3: 유동커터
T: 공구대 M: 소재
10: 제1가이드홈 15: 제2가이드홈
20: 몸통부 20a: 경사면
30: 나사부 40: 반제품
40a: 고정부 40b: 절단홈
50: 공구홈 100: 무두나사

Claims (5)

  1. 임플란트용 나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환봉의 소재가 메인척에 맞물려지고, 상기 소재의 중앙에 제1가이드홈을 형성하는 1단계;
    상기 소재의 외면에 설정한 길이까지 편평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원뿔형의 몸통부를 형성하는 2단계;
    상기 몸통부의 중앙에 가변형 휠링커터가 편심하게 진입되고, 상기 휠링커터가 몸통부의 길이까지 피치와 골의 너비가 점차적으로 가변하는 나사부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3단계;
    상기 나사부의 후단에 연장되는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가 보조척에 맞물린 상태에서 후단의 소재를 절단시켜 분리한 반제품을 형성하는 4단계;
    상기 고정부에서 몸통부의 소정 깊이까지 공구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가이드홈과 연통하는 제2가이드홈을 형성하는 5단계; 및
    상기 공구홈을 각형으로 전환하고, 보조척으로부터 분리된 반제품의 고정부를 절단시켜 완성하는 6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휠링커터는 링 형의 베이스 상에 나사부의 최소 나사골의 간극과 동일한 두께를 가진 고정커터와 유동커터가 차례로 배열되되, 상기 유동커터는 베이스의 동심선상으로 유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휠링커터는 나사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유동커터가 나사골을 피치에 비례하는 너비로 가변되게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는 나사부와 고정부 간의 경계선상에 소정 깊이의 절단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된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
KR1020170008490A 2017-01-18 2017-01-18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 KR101863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490A KR101863877B1 (ko) 2017-01-18 2017-01-18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490A KR101863877B1 (ko) 2017-01-18 2017-01-18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877B1 true KR101863877B1 (ko) 2018-06-01

Family

ID=62634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490A KR101863877B1 (ko) 2017-01-18 2017-01-18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87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131Y1 (ko) 2005-02-17 2005-04-29 박명식 점진적으로 골속에 고정력을 갖고 삽입되는 머리없는 도관나사못
KR20050081144A (ko) * 2004-02-13 2005-08-18 주식회사 바이오스마트 수술용 가이드핀 및 그 제조방법
KR101066312B1 (ko) 2006-02-16 2011-09-20 워쏘우 오르쏘페딕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나사식 뼈스크류 및 방법
KR20160026006A (ko) * 2014-08-29 2016-03-09 김일환 뼈 고정용 스크류 시스템
KR101632240B1 (ko) * 2015-11-09 2016-06-23 (주)올소테크 뼈 고정용 나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뼈 고정용 나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144A (ko) * 2004-02-13 2005-08-18 주식회사 바이오스마트 수술용 가이드핀 및 그 제조방법
KR200383131Y1 (ko) 2005-02-17 2005-04-29 박명식 점진적으로 골속에 고정력을 갖고 삽입되는 머리없는 도관나사못
KR101066312B1 (ko) 2006-02-16 2011-09-20 워쏘우 오르쏘페딕 인코포레이티드 다중 나사식 뼈스크류 및 방법
KR20160026006A (ko) * 2014-08-29 2016-03-09 김일환 뼈 고정용 스크류 시스템
KR101632240B1 (ko) * 2015-11-09 2016-06-23 (주)올소테크 뼈 고정용 나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뼈 고정용 나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3853B2 (en) Tap process for hard workpieces
KR970010911B1 (ko) 구멍형성 및 나사형성용 공구
US10632553B2 (en) Method for producing a threaded bore and tapping tool bit
US8801762B2 (en) Bone screw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30058734A1 (en) Combined drill and reamer tool
JPH1034441A (ja) ねじ切りフライス
SE506279C2 (sv) Skruvformat fästelement av titan för permanent förankring i benvävnad
KR101863877B1 (ko)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임플란트용 가변 피치형 테이퍼 무두나사
KR101632240B1 (ko) 뼈 고정용 나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된 뼈 고정용 나사
EP3680040A1 (en) Multi-operation friction drilling tool
CN115335172A (zh) 用于加工工件螺纹孔的方法
KR20130069620A (ko) 콜릿 척
JPH11170114A (ja) ドリル刃付きねじ切りフライス
US7240588B1 (en) Method of making a tool for extracting a broken screw
US20050087936A1 (en) Spring collet for machine tools
JP2015139830A (ja) ガイドブッシュとコレットチャック及び旋盤
GB2059829A (en) Drill chuck with cutting edges
JP5375987B2 (ja) シート面加工方法
JP2011156631A (ja) 微細工具の加工方法及び微細工具
JPH0617814U (ja) 六角穴付ボルト用の段付ドリル
US3992740A (en) Screw blank receiving and orienting collet
CN201279636Y (zh) 腰鼓形丝锥
KR200365546Y1 (ko) 카운터드릴과 탭드릴
Cheng et al. Study of using internal thread whirling in machining titanium dental implant
JP2008221354A (ja) ねじ切り用ダイス及び該ダイスを備えたねじ切り用工作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