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546Y1 - 카운터드릴과 탭드릴 - Google Patents

카운터드릴과 탭드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546Y1
KR200365546Y1 KR20-2004-0016515U KR20040016515U KR200365546Y1 KR 200365546 Y1 KR200365546 Y1 KR 200365546Y1 KR 20040016515 U KR20040016515 U KR 20040016515U KR 200365546 Y1 KR200365546 Y1 KR 200365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counter
tap
fixture
co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덕
김병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to KR20-2004-0016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5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5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08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axles, bars, rods, tubes, rolls, i.e. shaft-turning lathes, roll lathes; Centreless turning
    • B23B5/1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axles, bars, rods, tubes, rolls, i.e. shaft-turning lathes, roll lathes; Centreless turning for turning pilgrim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픽스츄어가 매식되는 치조골의 매식홀을 가공하는 카운터드릴과 탭드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운터드릴은 매식홀의 진입구에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드릴링작업도 함께 병행할 수 있으며 카운터드릴이나 탭드릴 모두 띠마크를 이용해 삽입깊이나 절삭깊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다양한 길이를 가진 픽스츄어를 하나의 카운터드릴이나 탭드릴만으로 시술할 수 있는 카운터드릴 및 탭드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운터드릴과 탭드릴{Counter Drill and Tap Drill}
본 고안은 픽스츄어가 매식되는 치조골의 매식홀을 가공하는 카운터드릴과 탭드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운터드릴은 매식홀의 진입구에 경사면을 하면서 드릴링작업도 함께 병행할 수 있으며 카운터드릴이나 탭드릴 모두 띠마크를 이용해 삽입깊이나 절삭깊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다양한 길이를 가진 픽스츄어를 하나의 카운터드릴이나 탭드릴만으로 시술할 수 있는 카운터드릴 및 탭드릴에 관한 것이다.
출원인은 본원과 함께 출원한 실용신안출원 제 호 "픽스츄어"를 개발하면서 해당 픽스츄어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용툴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본원의 카운터드릴과 탭드릴을 개발하게 되었다.
위 픽스츄어(4)는 칼라(41), 수직부(43), 제1경사부(45), 제2경사부(47)로 이루어진 몸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칼라는 경사면(411)을 가지고 있고, 수직부 및 제1경사부의 길이를 고정하고 제2경사부의 길이를 가변함으로써 다양한 길이를 가진 픽스츄어를 제작하게 된다. 본원의 카운터드릴과 탭드릴은 위 수직부와 제1경사부의 매식홀만을 가공하는데 사용되므로, 하나의 카운터드릴과 탭드릴만으로도 다양한 길이의 픽스츄어 제품을 시술할 수 있다.
위 카운터드릴이나 탭드릴은 모두 D2 내지 D1 등급과 같이 골질이 강한 경우 사용되는데, 예를 들면, 선단부 직경이 2.7mm이고 최대직경이 4.0mm인 픽스츄어를 매식함에 있어, 갑작스런 확경에 의한 열로 인한 치조골의 괴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D4 등급의 약한 골질의 경우에는, 도시되지는 않지만 랜스드릴(Lance Drill), 2.0mm 트위스트드릴, 파이롯드릴(Pilot Drill), 2.7mm 트위스트드릴을 이용해 순차적으로 매식홀을 확경하여 위 픽스츄어를 매식하게 되며, D3 등급의 골질의 경우에는, 3.0mm 트위스트드릴로 추가적으로 확경하여 매식하고, D2 등급의 골질의 경우에는 카운터드릴을 이용해 매식홀 진입구에 경사면과 드릴링을 통한 확경작업을 동시에 가한 후 매식을 하며, D1등급의 골질의 경우에는 탭드릴을 이용해 암나사산을 형성한 후 매식을 하게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카운터드릴이나 탭드릴만으로도 다양한 길이의 픽스츄어를 식립할 수 있으며, 소정 부위에 띠마크를 가지고 있어 삽입깊이 내지 절삭깊이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어 시술성이 뛰어나며, 특히 카운터드릴의 경우 매식홀의 진입구에 픽스츄어의 칼라 경사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드릴링을 통한 확경작업을 동시에 병행할 수 있는 카운터드릴 및 탭드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운터드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카운터드릴의 드릴부의 확대도.
도 3a는 트위스트드릴에 의해 천공된 매식홀을 카운터드릴을 이용해 드릴링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카운터드릴을 이용해 트위스트드릴로 천공된 매식홀을 드릴링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c는 카운터드릴에 의한 드릴링작업이 완료된 치조골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3d는 카운터드릴로 드릴링된 매식홀에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픽스츄어를 매식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탭드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탭드릴의 나사부의 확대도
도 6a는 카운터드릴에 의해 천공된 매식홀을 탭드릴을 이용해 탭핑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b는 탭드릴로 매식홀을 탭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c는 탭드릴에 의한 탭핑작업이 완료된 치조골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6d는 탭핑된 매식홀에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픽스츄어를 매식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카운터드릴과 탭드릴에 의한 드릴링 및 탭핑작업이 요구되는 픽스츄어의 정사시도.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카운터드릴 2:생크부
22:척결합부 222:척결합면
221:척그루부 3:카운터드릴부
31: 카운터부 311:띠마크
312:경사면 313:타단부
33:드릴부 331:날
332:외면 34:플루트
36:일단부 7:탭드릴
5:생크부 52:척결합부
522:척결합면 521:척그루부
53:스토퍼 6:탭부
61:띠마크 62: 나사산
63:나사골 64:탭홈
65:선단 4:픽스츄어
41:칼라 411:경사면
43:수직부 45:제1경사부
47:제2경사부
본 고안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 구현된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카운터드릴은, 카운터드릴부와 생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생크부는 척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카운터드릴부는 생크부의 일단에서 확경되어 내향 경사지면서 점진적으로 축경되는 경사돌편이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취부된 카운터부와, 상기 카운터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드릴부로 이루어지며, 카운터드릴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복수개의 플루트가 형성되어 있어서 매식홀의 진입구에 경사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매식홀의 확경작업을 동시에 병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카운터드릴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부는 경사돌편의 소정 위치에 띠마크를 구비하고 있어서 절삭깊이 내지 삽입깊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카운터드릴은,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드릴부의 총 길이가 픽스츄어의 칼라에서부터 제1경사부의 길이의 합과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탭드릴은, 탭부와 생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생크부는 척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탭부는 생크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원통상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연장형성되는 나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나사부는 그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탭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탭드릴은,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띠마크가 형성되어 있어 절삭깊이 내지 삽입깊이를 육안으로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탭드릴은,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탭부의 총길이는 픽스츄어의 칼라에서부터 제1경사부의 길이의 합과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앞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운터드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카운터드릴의 드릴부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카운터드릴(1)은 생크부(2)와 카운터드릴부(3)로 이루어진다.
상기 생크부(2)는 척(미도시)이 결합되는 척결합부(22)와 자루(23)로 이루어진다. 척결합부(22)는 척이 결합되는 척결합면(222)과 척그루부(221)로 구성되며 도시되지 않은 척이 척결합면과 척그루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카운터드릴부(3)는 카운터부(31)와 드릴부(33)로 구성되는데, 카운터부(31)는 자루의 일단에서 확경되어 내하향경사져 연속적으로 축경되는 경사돌편(312)이 복수개 원주둘레를 따라 취부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경사돌편(312)은 날(311)을 구비하고 있어서 카운터드릴이 회전하면 매식홀의 진입구 주변을 절삭하여 픽스츄어의 칼라(41)의 경사면(411)에 대응되는 경사면(G1)을 형성한다. 그리고 드릴부(33)는 위 카운터부(31)의 일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데, 원주둘레를 따라 상기 경사돌편(312)에서 연장된 다수개의 날개(332)가 취부되고, 각날개(332)는 날(331)을 구비하고 있어서 카운터드릴이 회전하면 매식홀을 드릴링하여 확경한다.
또한, 카운터드릴부(3)는 그 일단부(36)에서 타단부(37)까지 경사지게 이어지는 복수의 플루트(34)를 구비하고 있는데, 플루트(34)는 드릴링작업동안에 배출되는 치조골의 칩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루트(34)가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하면 칩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아니하므로, 타단부까지 플루트가 형성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 경사돌편(312)의 외면 소정 위치에는 띠마크(35)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띠마크는 카운터드릴이 매식홀에 삽입되는 깊이나 절삭깊이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데, 시술자는 카운터드릴을 치조골의 매식홀에 삽입할 때 띠마크의 위치까지만 삽입함으로서 육안으로 삽입깊이를 확인할 수 있어 용이하게 시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 카운터드릴부(3)는 총 길이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픽스츄어의 칼라(41), 수직부(43)와 제1경사부(45)의 길이 합과 대략 동일하므로, 칼라(41), 수직부(43)와 제1경사부(45)의 길이를 일정하게 하고 제2경사부(47)의 길이만을 가변하여 길이를 다양화시킨 픽스츄어(4)에 대해서는 하나의 카운터드릴만으로도 시술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카운터드릴부(3)는 선단 가이드(38)를 추가로 가질 수 있는데, 선단가이드(38)는 드릴부(33)의 단부에 원통상으로 취부되며, 드릴링작업전에 카운터드릴을 매식홀에 위치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3a는 트위스트드릴에 의해 천공된 매식홀을 카운터드릴을 이용해 드릴링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b는 카운터드릴을 이용해 트위스트드릴로 천공된 매식홀을 드릴링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c는 카운터드릴에 의한 드릴링작업이 완료된 치조골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d는 카운터드릴로 드릴링된 매식홀에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픽스츄어를 매식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처음에는 매식홀의 직경 H는 카운터드릴의 선단부 직경 K보다 작기 때문에, 카운터드릴(1)을 삽입하면 드릴부(33)가 매식홀을 드릴하면서 확경하기 시작하고 이어서 띠마크(35)까지 삽입하면 카운터부(31)가 매식홀의 진입구를 절삭하면서 경사면(G1)을 형성한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카운터드릴을 후진시킨 후 매식홀에 도6의 픽스츄어를 식립한다. 이와 같은 작업은 골질이 어느 정도 강한 D2 등급의 골질에 대해서 시행되는데, 이는 카운터드릴 작업 없이 식립할 경우 발생되는 고열로 인한 치조골의 괴사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4 내지 도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탭드릴의 사시도와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탭드릴(7)은 생크부(5)와 탭부(6)로 구성된다. 상기 생크부(5)는 척(미도시)이 결합되는 척결합부(52)와 스토퍼(53)로 이루어진다. 척결합부(52)는 척이 결합되는 다각형 척결합면(522)과 척그루부(521)로 구성되며 도시되지 않은 척이 척결합면과 척그루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53)는 척(미도시)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부분으로서 다각형 척결합면(522)에서 확경된 원통형상을 가지지만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상기 탭부(6)는 연장부(61)와 나사부(62)로 구성되는데, 연장부(61)는 스토퍼(53)의 일단에서 축경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장부(61)에서 연장형성되는 나사부(62)는 그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62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부(624)에서 타단부(625)에 이르기 까지 종방향으로 탭홈(6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탭홈(622)는 원주둘레를 따라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탭드릴의 회전시 셀프탭핑기능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 연장부(61)의 외면 소정 위치에는 띠마크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띠마크는 탭드릴이 매식홀에 삽입되는 깊이나 절삭깊이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데, 시술자는 탭드릴을 치조골의 매식홀에 삽입할 때 띠마크의 위치까지만 삽입하여 탭핑작업을 하면 되므로 시술이 용이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 탭부(6)는 총 길이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픽스츄어의 칼라(41), 수직부(43)와 제1경사부(45)의 길이 합과 대략 동일하므로, 칼라(41), 수직부(43)와 제1경사부(45)의 길이를 일정하게 하고 제2경사부(47)의 길이만을 가변하여 길이를 다양화시킨 픽스츄어(4)에 대해서는 하나의 탭드릴만으로도 시술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a는 카운터드릴에 의해 천공된 매식홀을 탭드릴을 이용해 탭핑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탭드릴로 매식홀을 탭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c는 탭드릴에 의한 탭핑작업이 완료된 치조골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d는 탭핑된 매식홀에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픽스츄어를 매식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탭드릴에 의한 탭핑작업은 카운터드릴작업이 완료된 후에 적용되는 시술공정으로서, D1 등급과 같이 골질이 매우 강한 경우에 탭핑작업없이 픽스츄어를 매식하면 고열로 인한 치조골의 괴사가 우려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도 6a 내지도 6d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카운터드릴링된 매식홀의 내주면에 탭드릴(7)을 띠마크(611)까지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나사부(62)가 내주면에 암나사산(G2)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7에 도시된 픽스츄어를 매식홀에 삽입함으로서 픽스츄어의 식립이 완료된다.
위 카운터드릴과 탭드릴이 사용되는 픽스츄어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위 픽스츄어의 몸통부는 칼라(41), 수직부(43), 제1경사부(45), 제2경사부(47)를 포함한다.
상기 칼라(41)는 매식후 치조골과 접하다가 골손실 발생시 치은과 접하는 부분으로 치은과의 친화성이 매우 중요한 인자가 되며, 경사면(411)을 가진다. 본 고안에서는 치은과의 친화성 확보를 위해서 외주면상을 정밀기계가공하여 낮은 조도를 갖는 기계적 표면을 구현하는데, 그 폭(W1)은 골손실 발생량을 고려하여 결정하며 일반적으로 2.04mm가 적합하다.
상기 수직부(43)은 수직외경면(431)과 수직내경면(432)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외경면(431)은 나사산(46)의 산마루면을 의미하는데, 수직부 전체에 걸쳐 동일한 외경을 가진다. 또한, 상기 수직내경면(432)은 나사산의 골면을 의미하는데, 수직부 전체에 걸쳐 동일한 내경을 가질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각 β1으로 하향 경사지면서 축경되어 r1>r2>r3 처럼 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픽스츄어는 치조골에 매식된 후 쐐기효과를 발생시켜 치조골의 강한 조임력을 받게 되고, 결국 초기 고정력과 최종 안착시 고정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D3~D4 등급(골질의 강약에 따라 D1~D4로 분류되며, D1등급은 강한 골질, D4등급은 약한 골질을 의미함)과 같은 약한 골질의 경우에는, 치조골의 매식홀의 직경과 수직부의 직경의 차이가 균일하면 매식후 치조골의 조임력이 떨어져 초기고정력 및 최종 안착 고정력이 낮아지고 결국 임프란트 시술이 실패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수직내경면(432)의 직경에 테이퍼를 주어 축경시킴으로서 치조골의 조임력을 강화시켜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종래의 수직부만으로 된 픽스츄어는 피질골에 응력이 집중되어 골손실이 촉진됨으로서 임프란트시술이 실패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와 같은 문제점은 몸통부 전체에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서 해결될 수 있으며 수직부의 수직내경면(432)에 테이퍼를 주는 구성도 이와 같은 문제점 해결에 일조한다.
상기 제1경사부(45)는 제1경사외경면(451)과 제2경사내경면(452)으로 구성되며, 제1경사외경면(451)은 나사산(46)의 산마루면을 의미하며 제1경사내경면(452)은 나사산의 골면을 의미한다. 제1경사외경면은 제1경사부 전체에 걸쳐 동일한 경사각 α1으로 축경되며 제1경사내경면은 동일한 경사각 β2로 축경된다. 여기서,경사각α1과, 경사각 β2는 동일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경사각을 주는 이유는 앞서 본 수직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피질골에 집중되는 응력을 해면골으로분산시키는 응력분산효과를 극대화하고 매식시 특히 약한 골질에 매식시 높은 초기 고정력과 최종 안착시 높은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경사부(47)도 제1경사부와 마찬가지로 제2경사외경면(471)과 제2경사내경면(472)으로 구성되며, 제2경사외경면(471)은 나사산(46)의 산마루면을 의미하며 제2경사내경면(472)은 나사산의 골면을 의미한다. 제2경사외경면은 제2경사부 전체에 걸쳐 동일한 경사각 α2으로 축경되며 제2경사내경면은 동일한 경사각 β3로 축경된다. 여기서,경사각α2과, 경사각 β3는 동일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경사각을 주는 이유는 앞서 본 수직부와 제1경사부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피질골에 집중되는 응력을 해면골으로 분산시키는 응력분산효과를 극대화하고 매식시 특히 약한 골질에 매식시 높은 초기 고정력과 최종 안착시 높은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와 같이,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로 구성하여 테이프를 달리 주는 것은 하나의 경사부로 하는 것에 비해 우수한 응력분산효과와 높은 초기고정력을 확보하고자 함이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 시험예와 비교예의 비교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수직부와 제1경사부의 길이를 고정시키고 제2경사부의 길이를 가변시켜 다양한 길이를 가진 픽스츄어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컨대, 수직부, 제1경사부의 길이를 각각 3mm, 2mm로 고정시키고 제2경사부의 길이를 가변시켜, 총 길이가 8.5mm, 10mm, 11.5mm, 13mm, 15mm인 픽스츄어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출원인은 이상에서 본 고안의 다양한 종류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다른 변경예 및 수정예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고안은 하나의 카운터드릴이나 탭드릴만으로도 다양한 길이의 픽스츄어를 시술할 수 있으며, 소정 부위에 띠마크를 가지고 있어 삽입깊이 내지 절삭깊이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어 시술성이 뛰어나며, 특히 카운터드릴의 경우 매식홀의 진입구에 픽스츄어의 칼라 경사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경사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드릴링을 통한 확경작업을 동시에 병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1. 칼라, 수직부와 제1경사부가 순차적으로 구비된 픽스츄어의 매식홀을 가공하는 카운터드릴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드릴은 카운터드릴부와 생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생크부는 척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카운터드릴부는 생크부의 일단에서 확경되어 내향 경사지면서 점진적으로 축경되는 경사돌편이 원주방향으로 복수개 취부된 카운터부와, 상기 카운터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드릴부로 이루어지며, 카운터드릴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복수개의 플루트가 형성되어 있어서 매식홀의 진입구에 경사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매식홀의 확경작업을 동시에 병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드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부는 경사돌편의 소정 위치에 띠마크를 구비하고 있어서 절삭깊이 내지 삽입깊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드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드릴부의 총 길이가 픽스츄어의 칼라에서부터 제1경사부의 길이의 합과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운터드릴.
  4. 칼라, 수직부와 제1경사부가 순차적으로 구비된 픽스츄어의 매식홀을 가공하는 탭드릴에 있어서, 상기 탭드릴은 탭부와 생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생크부는 척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탭부는 생크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원통상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서 연장형성되는 나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나사부는 그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탭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드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에는 띠마크가 형성되어 있어 절삭깊이 내지 삽입깊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드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탭부의 총길이는 픽스츄어의 칼라에서부터 제1경사부의 길이의 합과 대략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드릴.
KR20-2004-0016515U 2004-06-12 2004-06-12 카운터드릴과 탭드릴 KR2003655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515U KR200365546Y1 (ko) 2004-06-12 2004-06-12 카운터드릴과 탭드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515U KR200365546Y1 (ko) 2004-06-12 2004-06-12 카운터드릴과 탭드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546Y1 true KR200365546Y1 (ko) 2004-10-21

Family

ID=49439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515U KR200365546Y1 (ko) 2004-06-12 2004-06-12 카운터드릴과 탭드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5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606A (ko) 2017-11-30 2019-06-10 김민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606A (ko) 2017-11-30 2019-06-10 김민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83705B2 (en) Device for securing bits of bone together
CA2390912C (en) Self-tapping screw for small-bone surgery
US7837738B2 (en) Joint prosthesis and use of screw tool for positioning members thereof
US2270188A (en) Surgical threaded nail and method of applying same
US6068632A (en) Bone tap apparatus
US7147409B2 (en) Drill countersink assembly
US10456144B2 (en) Bur for dental implantology
JP5410269B2 (ja) ロック式固定ネジを可変的に不整合にすることができる固定用骨プレート
TWI474805B (zh) 牙鑽、鑽頭組以及鑽齒槽骨的方法
US20090253097A1 (en) Device and arrangement for fixture installation
US20060200142A1 (en) Humeral nail
WO2005099619A3 (en) Adjustable tool for cannulated fasteners
US20050021036A1 (en) Self-drilling, self-tapping bone screw
US11426226B2 (en) Orthopedic screw extractor
WO2009066935A1 (en) A dental implant drill having a multi-step structure
JP2011101945A (ja) 切り屑除去機械加工用回転工具及びそのためのルーズトップと基体
US6142719A (en) Self-drilling screw
KR20080042825A (ko) 통합된 압축-감소 기구를 가진 헤드가 없는 압축 스크류
RU2008142612A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крепления имплантатов
CN103906482A (zh) 互锁髋臼固定螺钉及其与倒置的髋臼杯的组合
SE506279C2 (sv) Skruvformat fästelement av titan för permanent förankring i benvävnad
IE59317B1 (en) Transcutaneous pin for fixation of a bone part or fragment
US20060106388A1 (en) Bone implant and device for forming a socket for same
KR200365546Y1 (ko) 카운터드릴과 탭드릴
EP1258225A3 (en) Tool for making threaded surgical ho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