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424B1 - 식물 재배 시스템 및 식물 재배 유닛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 시스템 및 식물 재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424B1
KR101863424B1 KR1020157030514A KR20157030514A KR101863424B1 KR 101863424 B1 KR101863424 B1 KR 101863424B1 KR 1020157030514 A KR1020157030514 A KR 1020157030514A KR 20157030514 A KR20157030514 A KR 20157030514A KR 101863424 B1 KR101863424 B1 KR 101863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ultivation
plant
plant cultivation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0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3828A (ko
Inventor
히데오 시마주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솔루션 이노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솔루션 이노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솔루션 이노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3Collecting solar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6Electric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8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specially adapted for 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Greenhous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식물 재배 시스템(100)에는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20) 및 각각의 식물 재배 유닛(20)을 관리하는 관리 장치(30)가 구비된다. 각각의 식물 재배 유닛(20)에는 식물의 재배를 위한 공간으로서의 온실(1); 상기 온실(1) 내부의 환경을 제어하는 환경 제어부(12); 상기 환경 제어부(12)에 의한 제어 목표로서의 설정 값을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 저장하는 기억부(9); 및 상기 환경 제어부(12)에 대해,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에 따라, 상기 기억부(9)에 저장된 상기 설정 값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 지시부(10)가 구비된다. 관리 장치(30)는 각각의 식물 재배 유닛(20)에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의 설정 값을 보내고, 설정 값을 식물 재배 유닛(20)의 상기 기억부(9)에 저장시켜, 식물 재배 개시를 위한 지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물 재배 시스템 및 식물 재배 유닛 {PLANT CULTIVATION SYSTEM AND PLANT CULTIVATION UNIT}
본 발명은 식물 재배를 관리된 환경 하에서 행하기 위한, 식물 재배 시스템 및 식물 재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안전한 식료를 공급하고 식재를 일년내내 공급하기 위해 식물 공장이 주목 받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 식물 공장에서는, 식물은 토양 대신에 양액에 의해 재배되고, 또한 식물은 자연광 및 인공광을 광원으로서, 또는 인공광만을 광원으로서 사용하여 육성된다.
또한, 식물 공장에서는, 온도, 습도, 일조 시간, 이산화탄소량 등이 제어되고, 식물에 있어서 최적 환경이 생성되기 때문에, 성장의 촉진이 도모된다. 그 결과, 단기간에 식물을 출하 가능한 상태로 재배할 수 있다. 또한, 재배되는 식물을 3차원적으로 레이아웃할 수 있으므로, 토지의 이용 효율도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식물 공장의 건설 및 유지에는 큰 비용이 필요하다. 또한, 전력 공급이 멈추면, 식물이 사멸해버리는 우려도 있다. 이로 인해, 식물 공장만을 사용하여 인류를 위한 식료를 공급하는 것은 절대적으로 불가능하고, 식물의 노지 재배 또한 종래와 마찬가지로 중요하다.
JP, S63-91018A JP 2010-81877A JP 2012-44873A
그런데, 최근, 신규로 농업에 종사하려고 하는 청년의 수가 감소하고 있어, 농가에서의 후계자 부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식물의 재배에는 여러 종류의 노하우가 필요하며, 이는 또한 신규로 농업에 참여하려고 하는 사람에 있어 장벽이 되고 있다. 따라서, 신규 농업 참가자에 대하여, 식물의 재배 방법을 현장에서 지도하는 것이 후계자 부족의 문제 해소에 공헌한다고 생각되지만, 현장 지도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신규 농업 참가자에게 식물 재배 방법을 현장에서 지도할 때, 식물의 육성 기간이 길면 지식 습득에 시간이 걸리는 것이 문제가 된다. 예를 들어, 쌀 및 밀감은 통상 1년에 1회 수확하므로, 재배를 위한 모든 과정을 현장에서 습득하기 위해서는 1년이 걸린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 문제를 "시간 차이의 문제"라고 지칭한다.
또한, 추운 해, 가물은 해, 및 비가 많은 해 등의 기후 변동이 있기 때문에, 기후 변동의 각각의 특징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에 대한 현장 지도는 이러한 해가 돌아올 때까지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이 문제를 "변동성의 문제"라고 칭한다.
한편, 청년 (10대 후반 및 20대 초반)부터 농업 분야에 종사한 사람은 자립할 때에는 약 10년이 경과할 것이어서, 확실히 약 10회의 재배 경험을 갖는다. 그러나, 이후에, 중도로부터 농업에 참가하거나 회사 은퇴 후에 농업에 참가하는 사람의 수가 증가한 경우에는, 10년간의 수습 기간을 취하는 것은 시간 낭비인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따라서, 자연 기후에 따라 재배를 현장에서 경험하는 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메카니즘을 구축하는 것이 신규 농업 참가자의 교육을 촉성하기 위해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례는 상기 기재된 문제를 해소하고, 식물 재배 방법의 지도 시에, 지도 기간의 단축화 및 여러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의 효율적인 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식물 재배 시스템 및 식물 재배 유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은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 각각은, 식물 재배를 위한 공간이 되는 온실, 상기 온실 내의 환경을 제어하는 환경 제어부, 상기 환경 제어부에 의한 제어 목표인 설정 값을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 저장하는 기억부, 및 상기 환경 제어부에 대해, 상기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에 따라,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설정 값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 지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 각각에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의 상기 설정 값을 보내고, 상기 설정 값을 식물 재배 유닛의 상기 기억부에 저장시켜, 식물 재배 개시를 위한 지시를 제공하는 단위 유닛 기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물 재배 유닛은, 식물 재배를 위한 공간이 되는 온실, 상기 온실 내의 환경을 제어하는 환경 제어부, 상기 환경 제어부에 의한 제어 목표인 설정 값을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 저장하는 기억부, 및 상기 환경 제어부에 대해, 상기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에 따라,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설정 값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 지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 재배 방법의 지도 시에, 지도 기간의 단축화 및 여러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의 효율적인 교육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각각의 재배 개시일에 대한 식물 성장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2는 재배 환경으로서 고려되는 패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3은 재배 개시일이 동일한 경우에 식물 성장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 및 식물 재배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물 재배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환경 설정 값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물 재배 유닛에 구비된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단위 유닛 사용 상황 기억부에 저장된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기동 개시일 기억부에 저장된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물 재배 유닛에 구비된 관리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식물 재배 유닛에 구비된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2에 따른 환경 설정 값 기억부(46)에 저장된 환경 설정 값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내용을 일례로서 자동차 학원에서의 면허 취득을 위한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설명할 것이다. 자동차 학원에서의 연습장은 언덕길, 도그-레그 (연속적인 직각 커브), 및 평행 주차 공간 등 교습생이 실제로 어려워하는 항목들이 집중적인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보통 도로 상에서 운전할 때에는, 도그-레그 또는 평행 주차의 기회는 많지 않으므로, 교습생이 보통 도로 상에서 운전할 때에는 이러한 어려운 개소에서의 훈련은 흔히 할 수 없지만, 작은 연습장 내에서는 많은 도그-레그 및 평행 주차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교습생은 이러한 어려운 개소에서의 운전을 위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교습생은 약 30시간 내의 기능 교습으로 모든 상황을 경험하고, 그에 대한 대처 방법을 습득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후에 신규 농업 참가자를 위한 교습소가 생길 것이고, 그 교습소에 다니는 사람을 "농업 교습생"으로 지칭할 것이라고 가정한다. 농업 교습생이 단기간 동안의 기능 교습으로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면, 마찬가지로, 교습생은 약 수십 시간 내의 기능 교습으로 필요한 기술을 습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년의 교습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식물 공장을 이용한다. 식물 공장에 의하면,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식물을 재배할 수 있고, 식물 공장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식물을 1년에 여러 번 수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터스의 경우, 통상의 노지 재배의 경우 수확 횟수는 1년에 2회이지만, 식물 공장에서는 대략 50일마다 1회 수확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 계산에 따르면, 1년에 대략 7회의 수확이 가능하다. 식물 공장용 장비는 주로 산업용이지만, 최근에는 레스토랑 또는 편의점에서 설치하도록 소형 장비도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주택 제작사인 다이와 하우스 인더스트리 코., 엘티디.(DAIWA HOUSE INDUSTRY CO., LTD.)가 2012년부터 판매한 "아그리-큐브(Agri-cube)" (하기 URL 참조)는 폭 4.5 m, 깊이 2.5 m 및 높이 2.6 m이며, "아그리-큐브"는 주택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고려되고 있다.
(참고 URL)
http://www.daiwahouse.co.jp/release/20120321110106.html
한편, 상기 기재된 식물 공장을 1개만 사용한다면, 1회의 재배로부터 식물을 1회만 수확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식물 공장을 복수개 설치하고, 동일한 재배 환경 하에, 예를 들어 각 재배의 개시 시기를 3일씩 이동하여, 레터스의 재배를 개시한다. 이하, 하나의 식물 공장을 "식물 재배 유닛"으로 지칭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레터스의 재배에는 파종/발아 (3일간), 육묘 (4일간), 정식 전기 (10일간), 정식 중기 (10일간), 정식 후기 (15일간), 수확 (42일째)의 재배 공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주어진 식물 재배 유닛의 수확 직전에, 다른 식물 재배 유닛은 각각 정식 후기, 정식 중기, 정식 전기, 육묘, 및 파종/발아의 상태에 있다.
모든 식물 재배 유닛에 동일한 재배 환경 (온도, 습도, 일사량, 양액 등)을 제공함으로써, 종자 사이의 약간의 개별적인 차이가 존재하더라도, 농업 교습생은 동일한 종류의 레터스의 다른 성장 과정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다.
도 1은 각각의 재배 개시일에 대한 식물 성장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이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개의 식물 재배 유닛을 준비하면, 재배 개시일을 4월 1일에서부터 5일 만큼 이동시켜, 재배를 동일한 외부 환경 하에 순차적으로 개시하며, 재배 개시일이 4월 1일인 식물 재배 유닛은 5월 15일경에 수확 시기가 된다. 다른 한편, 재배 개시일이 5월 15일인 식물 재배 유닛은 파종/발아의 시기에 있다. 또한, 재배 개시일이 4월 30일인 식물 재배 유닛은 육묘 시기에 있다. 5월 15일에 이러한 10개의 식물 재배 유닛을 본다면, 농업 교습생은 레터스의 모든 수확 상황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기재된 "시간 차이의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
또한, 식물 공장의 경우에는 재배 환경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지만, 노지 재배에서는 온도 (추위, 더위), 우량 (많은 비, 적은 비), 일사량 (많음, 적음) 등에 의해 외적 영향을 받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이한 재배 방법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밀감과 같은 과일의 경우에는, 당도를 올리기 위해서 8월에 수분 스트레스를 가하고 (나무가 약해지지 않는 한으로만 나무에 물을 줌), 9월에서 10월까지는 산도를 내리기 위해서 많은 양의 물을 나무에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제어 방법은 온도 (추위, 더위), 우량 (많은 비, 적은 비), 일사량 (많음, 적음) 등의 재배 환경에 따라 상이하다.
농업 교습생이 이러한 식물 공장 유닛을 사용하여 동일한 시기에 다양한 재배 환경 하에서 육성되는 식물의 재배를 실제로 경험하게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재배 환경 패턴을 각각의 식물 재배 유닛에 제공하여 식물을 육성시키는 것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재배 환경은 3가지 속성, 즉 온도 (추위, 더위), 우량 (많은 비, 적은 비) 및 일사량 (많음, 적음)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각각의 속성은 2원 값으로 각각 분류되거나, 즉 온도는 높거나 낮은 것으로 분류되고, 습도는 높거나 낮은 것으로 분류되고, 일사량은 많거나 적은 것으로 분류된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8개의 패턴이 존재한다. 도 2는 재배 환경으로 고려되는 패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상이한 패턴을 갖는 재배 환경을 8개의 식물 재배 유닛에 각각 적용하고, 동시에 재배를 파종/발아에서부터 개시한다. 그 결과, 주어진 시기 (도 3에서 20일째경)에 식물의 육성 상태는 패턴에 따라 서로 상이하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 3은 재배 개시일이 동일한 경우에 대한 식물 성장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이다.
따라서, 이때 어떤 종류의 재배를 실행하면 그 후 수확에 의해 최적 상태를 달성할 수 있는지를 현장에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확의 경우의 수는 통상의 노지 재배에서는 1년에 2회이기 때문에, 각각의 패턴에 대한 현장 경험은 적어도 4년 (4년 = 8개 패턴/2회)을 필요로 하지만, 상기 방법으로는, 농업 교습생은 패턴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기재된 "변동성의 문제"는 해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시간 차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시에 10개의 유닛이 필요하고, 도 3에 도시된 "변동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시에 8개의 유닛이 필요하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양쪽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서는, 90개 (=10×9)의 유닛이 필요하다. 90개의 유닛을 동시에 가동시키는 데에는 비용-관련 문제가 있지만, 이러한 식물 재배 "교습소"를 사업으로 운영하여, 많은 교습생을 모으고, 매시간마다 상이한 교습생 집단이 상이한 유닛을 사용하면, 비용 관점에서 사업의 실현성에 이른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 및 식물 재배 유닛을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전체 구성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식물 재배 시스템 및 식물 재배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 및 식물 재배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100)은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20) 및 식물 재배 유닛(20)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30)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식물 재배 유닛(20)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식물 재배 유닛(20)은 식물 재배를 위한 공간이 되는 온실(1), 온실(1) 내의 환경 (온도, 습도, 일사량 등)을 제어하는 환경 제어부(12), 및 온실 제어 장치(11)를 포함한다. 또한, 온실 제어 장치(11)는 기억부(9) 및 환경 설정 지시부(10)를 포함한다.
온실 제어 장치(11)에 있어서, 기억부(9)는 환경 제어부(12)에 의한 제어 목표인 설정 값을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 저장한다. 또한, 환경 설정 지시부(10)는 환경 제어부(12)에 대해,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에 따라, 기억부(9)에 저장된 설정 값을 설정한다. 이에 의해, 환경 제어부(12)는 설정 값을 제어 목표로 사용하여 온실(1) 내의 환경을 제어한다.
또한, 관리 장치(30)는 식물 재배 유닛(20) 각각에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의 설정 값을 보내고, 상기 설정 값을 각각의 식물 재배 유닛(20)의 기억부(9)에 저장시켜, 식물 재배 개시를 위한 지시를 제공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임의의 재배 환경 하에 식물 재배를 실행할 수 있는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이 사용되고, 또한 이들 유닛에서의 식물 재배는 관리 장치(30)에 의해 관리된다. 따라서, 하기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식물 재배 유닛에 대해, 식물 재배 개시일을 바꾸거나, 재배 환경을 바꾸거나, 추가로 식물 재배 개시일 및 재배 환경 둘 다를 바꾸거나하여 식물 재배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기재된 시간 차이의 문제 및 변동성의 문제를 해결하고, 식물의 재배 방법의 지도 시에, 지도 기간의 단축화 및 여러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의 효과적인 교육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식물 재배 유닛
계속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 1에 따른 식물 재배 유닛의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물 재배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먼저,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온실(1)은 외부 영향을 배제하고, 온도, 습도, 일사량 등의 온실 내의 재배 환경을 설정 값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상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온실 벽 형성 재료는 외부 영향을 충분히 배제할 수 있는 한 재료에 의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온실 공간의 크기는 재배되는 식물에 따라 설정된다면 충분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재배 환경으로서 온도, 습도, 및 일사량을 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재배 환경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재배 환경에는, 이들 이외의 인공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요소, 예를 들어 산소량, 이산화탄소량 및 풍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환경 제어부(12)는 온도 제어부(2), 습도 제어부(3), 및 일사량 제어부(4)를 포함한다. 이들 중, 온도 제어부(2)는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온실 내의 온도를 조정하는 장치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온도 제어부(2)의 예로는 에어 컨디셔너를 들 수 있다. 또한, 식물 재배 유닛(20)이 온도가 비교적 높은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온도 제어부(2)는 쿨러일 수 있다. 또한, 식물 재배 유닛(20)이 추운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온도 제어부(2)는 히터일 수 있다. 또한, 온도 제어부(2)는 쿨러 및 히터 둘 다로 구성될 수 있고, 온도 제어부(2)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습도 제어부(3)는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온실 내의 습도를 조정하는 장치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온도 제어부(2)와 마찬가지로, 습도 제어부(3)의 예로는 또한 에어 컨디셔너를 들 수 있다. 따라서, 1개의 에어 컨디셔너를 또한 온도 제어부(2) 및 습도 제어부(3)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습도 제어부(3)는 에어 컨디셔너 이외의 장치일 수도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일사량 제어부(4)는 외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온실 내의 일사량을 조정하는 장치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일사량 제어부(4)의 예로는 할로겐 램프와 같은 광원을 들 수 있다. 또한, 식물 재배 유닛(20)이 일사량이 안정적인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일사량 제어부(4)는 온실(1)에 구비된 창을 개폐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일사량은 창을 얼마나 많이 개폐하는지, 또는 창이 개방된 기간에 의해 조정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에서는, 하기 기재되는 바와 같이, 기억부(9)는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의 설정 값 (이하 "환경 설정 값"이라고 지칭함)(6) 외에, 기동 개시일(5), 현재 일자(7) 및 유닛 ID(8)를 정보로서 저장한다.
기동 개시일(5)은 식물 재배 유닛(20)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개시일이다. 기동 개시일(5)은 이용자에 의해 관리 장치(30)를 거쳐 설정된다. 이 기동 개시일(5)을 기준으로 사용하여, 매일, 온도는 온도 제어부(2)에 의해 제어되고, 습도는 습도 제어부(3)에 의해 제어되고, 일사량은 일사량 제어부(4)에 의해 제어된다.
환경 설정 값(6)은 기동 개시일부터의 상대적인 경과 일수마다 설정된, 온도, 습도 및 일사량의 설정 값이며, 각 제어부에 대한 제어 목표 (지시 값)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환경 설정 값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6에서, "상대일"은 재배 개시일 (기동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를 나타낸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파종/발아 기 (기동 개시일부터 3일간) 중에는, 온도 20℃, 습도 70%, 적산 일사량 10 MJ/m2 (월 환산)이 환경 설정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육묘 기 (기동 개시일부터 4일째 후) 중에는, 온도 18℃, 습도 75%, 적산 일사량 14 MJ/m2 (월 환산)이 환경 설정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정식 전기 (기동 개시일부터 10일째 후) 중에는, 온도 20℃, 습도 70%, 적산 일사량 14 MJ/m2 (월 환산)이 환경 설정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 환경 설정 값(6)은 이용자에 의해, 재배되는 식물에 관한 지식 및 경험에 기초하여 사전에 정의된다.
또한, 현재 일자(7)는 현재 (오늘)의 일자이며, 예를 들어 온도 제어 장치(11)를 구성하는 컴퓨터의 시계 기능에 의해 매일 갱신된다. 현재 일자(7)는 기억부(9)에 저장되지 않고, 환경 설정 지시부(10)에 의해, 필요에 따라 컴퓨터의 시계 기능을 사용하여 취득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유닛 ID(8)는 당해 식물 재배 유닛(2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이며, 이용자에 의해 독특하게 설정된다. 이하, 하나의 식물 재배 유닛(20)을 또한 "단위 유닛"(20)으로 지칭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본 실시형태 1에서, 환경 설정 지시부(10)는 매일 1회 자동으로 기동하고, 기억부(9)에 저장된, 현재 일자(7), 기동 개시일(5) 및 환경 설정 값(6)을 참조하여, 오늘의 일자에 대응하는 제어 목표, 즉 온도, 습도 및 일사량의 설정 값을 특정한 다음, 온도 제어부(2), 습도 제어부(3) 및 일사량 제어부(4)에 지시를 제공한다. 환경 설정 지시부(10)에 있어서의 처리는 지시가 제공된 후에 종료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이러한 식물 재배 유닛(20)에 따르면, 온도, 습도 및 일사량 등의 재배 환경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자연 환경을 모방한 온실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앞으로의 지구 온난화에 수반하는 기후 변동에 대처하고, "예년보다 더운 날 (또는 적은 비 등)이 계속되었을 경우의 대처 방법"을 현장에서 시험하는 환경을 인공적으로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농업 교습생은 이러한 예외적인 환경에서의 재배 방법을 효율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
관리 장치
계속해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 1에 따른 식물 재배 유닛을 구성하는 관리 장치(30)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물 재배 유닛에 구비된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장치(30)는 단위 유닛 기동부(31), 단위 유닛 사용 상황 기억부(32), 현재 일자 기억부(33), 필요수 기억부(34), 단위 유닛 확보부(35), 기동 개시일 기억부(36), 환경 설정 값 기억부(37), 및 초기 설정부(38)를 포함한다. 또한 도 7에서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20)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 상세에 대해서는 생략한 것을 유념해야 한다.
단위 유닛 사용 상황 기억부(3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위 유닛의 사용 상황을 저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단위 유닛 사용 상황 기억부에 저장된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단위 유닛 사용 상황 기억부(32)는 항목 "단위 유닛" 및 항목 "사용 상황"이 하나의 레코드를 형성하는 테이블 구조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테이블의 항목 "단위 유닛"에는 사용되는 식물 재배 유닛(20)의 유닛 ID(8)(도 5 참조)가 등록된다.
항목 "사용 상황"에는, 그 ID에 대응하는 단위 유닛이 현재 "사용 중"일 때는 단위 유닛이 "사용 중"인 것을 나타내는 값이 등록되고, "미사용" 중일 때는 "미사용" 중인 것을 나타내는 값이 등록된다. 또한, 도 8에서의 화살표는 사용 상황의 변화를 나타내고, 사용 상황에 따라 항목 "사용 상황"에 등록된 값이 변화하는 상황을 나타낸다.
또한, 단위 유닛 사용 상황 기억부(32)의 항목 "사용 상황"에는, 운용 개시 시에는 모두 "미사용"의 값이 등록되지만, 단위 유닛이 사용될 때마다, 후술하는 단위 유닛 확보부(35)에 의해 값은 "사용 중"인 것으로 재기입된다. 또한, 단위 유닛의 사용이 끝나면, 이용자가 값을 "미사용"으로 재기입한다.
필요수 기억부(34)는 이용자에 의해 계산된 단위 유닛(20)의 필요수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시간 차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용자는 주어진 식물의 재배를 시간 차이를 두고 순차 개시할 때 미리 필요한 단위 유닛의 수를 계산한다.
후술하는 초기 설정부(38)로부터 특정한 개수의 단위 유닛(20)을 확보하도록 하는 지시를 받으면, 단위 유닛 확보부(35)는 단위 유닛 사용 상황 기억부(32)를 참조하여, 현재 "미사용" 값을 갖는 유닛 ID를 특정한다. 이어서, 단위 유닛 확보부(35)는 특정한 유닛 ID가 대응하는 사용 상황을 "사용 중"으로 재기입하고, 특정한 유닛 ID를 초기 설정부(38)로 반환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동 개시일 기억부(36)는 3개의 항목, 즉 "상대일", "실 기동 개시일", 및 "할당 단위 유닛"을 1개의 레코드로서 저장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기동 개시일 기억부에 저장된 정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목 "상대일"에는, 시간 차이를 두고 순차 기동을 개시하고자 하는 복수의 단위 유닛의 기동을 개시할 때의 일수가, 최초에 기동되는 단위 유닛의 기동 개시일부터의 상대적인 경과 일수로 표현한 값으로 저장된다. 항목 "실 기동 개시일"에는 실제로 단위 유닛의 기동을 개시하는 일자 (재배 개시 일자)가 저장된다. "할당 단위 유닛" 항목에는 할당되는 단위 유닛의 유닛 ID가 저장된다.
또한, 도 9의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동 개시의 지시를 실제로 받기 전에는, 기동 첫날부터의 상대적인 경과 일수는 단지 항목 "상대일"에만 등록되고, 나머지의 항목은 공란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항목 "상대일"에 각각 0, 5, 및 10의 숫자가 등록된다. 이 숫자들은 각각 "기동 개시일부터 0일 경과 후 기동 (같은 날에 기동)", "기동 개시일부터 5일 후에 기동", 및 "기동 개시일부터 10일 후에 기동"을 의미한다. 나머지 2개의 항목의 값의 기입은 초기 설정부(38)의 설명과 함께 설명할 것이다.
환경 설정 값 기억부(37)는 기동 개시일부터의 상대적인 경과 일수의 계수 방법에 기초하여 제어 목표인 설정 값을 매일 저장하거나, 즉 온도, 습도 및 일사량으로 설정해야 할 값을 저장한다. 환경 설정 값 기억부(37)에 저장된 설정 값은 도 6에 도시된 환경 설정 값(6)과 마찬가지이며, 동일한 데이터 구성을 갖는다. 그로 인해, 후술하는 단위 유닛 기동부(31)는 단위 유닛(20)의 기억부(9)에 있어서 환경 설정 값 기억부(37)의 값을 환경 설정 값(6)으로서 복사할 수 있다.
초기 설정부(38)는 재배 개시일이 서로 상이하도록 복수의 단위 유닛(20)에 있어서의 재배 개시일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용자에게서 기동 개시의 지시를 받으면, 초기 설정부(38)는 먼저 필요수 기억부(34)로부터 필요한 유닛수를 취출해서 단위 유닛 확보부(35)에 필요한 유닛수를 보내 단위 유닛의 확보를 지시한다. 이어서, 단위 유닛 확보부(35)로부터 유닛 ID를 받으면, 초기 설정부(38)는 이들 ID를 기동 개시일 기억부(36)(도 9 참조)의 항목 "단위 유닛"에 1개씩 등록한다.
이어서, 초기 설정부(38)는 각각의 등록 유닛 ID에 대응하는 항목 "상대일"의 값을 취출하고, 취출한 값에, 현재 일자 기억부(33)에 저장된 현재 일자를 가산하여, 생성된 가산값을 기동 개시일 기억부(36)의 항목 "실 기동 개시일"에 등록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단위 유닛(20)에 있어서의 재배 개시일이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일자 기억부(33)에 4월 1일의 값이 저장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설정부(38)는 저장된 값을 기준으로 0일째, 5일째, 및 10일째에 대응하는 4/1, 4/5 및 4/10을 산출하고, 이어서 산출된 값을 각각 항목 "실 기동 개시일"에 등록한다.
또한, 이때, 초기 설정부(38)가 단위 유닛 확보부(35)로부터 유닛 ID 2, 4 및 5를 수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의해,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유닛 사용 상황 기억부(32)에서는, 단위 유닛 2, 4 및 5의 사용 상황이 "미사용"에서 "사용 중"으로 재기입된다 (도 8 참조).
또한, 초기 설정부(38)는 단위 유닛 확보부(35)로부터 수취한 유닛 ID를 기동 개시일 기억부(36)의 항목 "단위 유닛"에 등록한다. 그 결과, 기동 개시일 기억부(36)의 상태는, 도 9의 하단에 도시되고 화살표의 끝에 위치한 변경 후 상태이다. 도 9에 있어서, 유닛 ID 2, 4 및 5의 순서는 임의적이며, 유닛 ID는 4, 5 및 2의 순서로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이것은 각각의 단위 유닛이 모두 동일한 기능 및 성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단위 유닛 기동부(31)는 단위 유닛(20) 각각에 대하여 대응하는 기동 개시일을 지정하고, 또한 환경 설정 값을 보내고, 환경 설정 값을 단위 유닛(20)의 기억부(9)에 저장시켜, 식물 재배 개시를 위한 지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단위 유닛 기동부(31)는 먼저 매일 정기적으로 기동하고, 기동 개시일 기억부(36)에 저장된 레코드를 1개씩 취출하여, 항목 "실 기동 개시일"의 값을 조사한다. 이어서, 항목 "실 기동 개시일"의 값과 현재 일자 기억부(33)에 저장된 현재 일자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단위 유닛 기동부(31)는 실 기동 개시일과 현재 일자가 일치하는 레코드의 항목 "단위 유닛"에 저장된 유닛 ID를 특정한다.
이어서, 단위 유닛 기동부(31)는 각각의 특정한 단위 유닛 ID마다 대응하는 단위 유닛(20)에 환경 설정 값 기억부(37)에 저장된 환경 설정 값을 송신하고, 이어서 그 기억부(9)에 송신한 값을 저장시켜, 환경 설정 지시부(10) (도 5 참조)에 기동 개시를 위한 지시를 제공한다.
여기서, 도 10을 참조하여 관리 장치(30)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식물 재배 유닛에 구비된 관리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위 유닛 기동부(31)는 매일 정기적으로 기동하고, 기동 개시일 기억부(36)에 저장된 레코드를 1개씩 취출하여, 항목 "실 기동 개시일"의 값을 조사한다 (스텝 A1).
이어서, 단위 유닛 기동부(31)는 항목 "실 기동 개시일"의 값과 현재 일자 기억부(33)에 저장된 현재 일자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A2). 판정 결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위 유닛 기동부(31)는 처리를 종료한다. 다른 한편, 판정 결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단위 유닛 기동부(31)는 실 기동 개시일과 현재 일자가 일치하는 레코드의 항목 "단위 유닛"에 저장된 유닛 ID를 특정한다 (스텝 A3).
예를 들어, 단위 유닛 기동부(31)를 기동할 때에, 일자가 4/1, 4/5, 또는 4/10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동 개시일 기억부(36)가 일치하는 레코드를 가지므로, 단위 유닛 기동부(31)는 항목 "단위 유닛"에 등록된 유닛 ID를 특정한다.
이어서, 단위 유닛 기동부(31)는 대응하는 단위 유닛의 온실 제어 장치(11)을 기동한다. 그 후, 단위 유닛 기동부(31)는 온실 제어 장치(11)의 기동시에 필요한 환경 설정 값(6)의 값을, 환경 설정 값 기억부(37)로부터 복사하고, 또한 대응하는 유닛 ID의 기동 개시일(5)의 값에 현재 일자 값을 복사한다 (스텝 A4).
스텝 A1 내지 A4가 실행되면, 대응하는 단위 유닛(20)에 있어서 온도 제어 장치(11)가 기동을 개시한다. 이후, 각 단위 유닛에 있어서, 온실 제어 장치(11)는 환경 설정 값(6)을 참조하면서, 온도, 습도 및 조도의 제어를 매일 독립적으로 실행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시스템에 따르면, 농업 교습생은 1 종류의 작물의 재배를 학습할 때, 재배의 1 라운드 (예를 들어: 레터스의 경우, 파종/발아, 육묘, 정식 및 수확에 42일)를 기다리지 않고, 재배를 시작부터 끝까지 동시에 경험할 수 있다. 즉, 농업 교습생은 1일에 파종/발아, 육묘, 정식 및 수확의 모든 프로세스를 경험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 및 식물 재배 유닛을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본 실시형태 2에 따른 식물 재배 시스템(110)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유닛 (단위 유닛)(20)은,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도 4 및 5에 도시된 식물 재배 유닛(20)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형태 2는 관리 장치(40)의 구성에 있어서 실시형태 1과 상이하다. 이하, 실시형태 1과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실시형태 2를 설명할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식물 재배 유닛에 구비된 관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 관리 장치(40)는 단위 유닛 기동부(41), 단위 유닛 사용 상황 기억부(42), 현재 일자 기억부(43), 필요수 기억부(44), 단위 유닛 확보부(45), 및 환경 설정 값 기억부(46)를 포함한다.
이들 중, 단위 유닛 사용 상황 기억부(42), 현재 일자 기억부(43), 필요수 기억부(44) 및 단위 유닛 확보부(45)는 도 7에 도시된 단위 유닛 사용 상황 기억부(32), 현재 일자 기억부(33), 필요수 기억부(34) 및 단위 유닛 확보부(35)와 각각 유사하다.
한편, 본 실시형태 2에서는, 환경 설정 값 기억부(46)는 식물의 재배 환경이 서로 상이하도록 설정된 여러 종류의 환경 설정 값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의 설정 값)을 저장한다. 즉, 실시형태 1에서는 각각의 단위 유닛(20)에 대해 단지 기동 개시일이 상이하고, 단지 1 종류의 재배 환경이 제공되었지만, 본 실시형태 2에서는 상이한 온도, 습도 및 일사량이 규정된 환경 설정 값을 각각의 단위 유닛(20)에 각각 보낸다. 이로 인해, 준비되는 환경 설정 값의 수는 사용되는 단위 유닛(20)의 수와 일치한다. 단위 유닛(20)에 있어서의 환경 설정 값은 이용자에 의해 설정되어, 환경 설정 값 기억부(46)에 저장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 환경 설정 값 기억부(46)에 저장된 환경 설정 값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2에서는, 환경 설정 값 기억부(46)에, 식물의 재배 환경이 서로 상이하도록 설정된 여러 종류의 환경 설정 값이 저장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2에서는, 단위 유닛 기동부(41)는 복수의 단위 유닛(20)을 환경 설정 값의 종류의 수와 동일한 수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 대응하는 종류의 환경 설정 값을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용자로부터 기동 개시의 지시를 받으면, 단위 유닛 기동부(41)는 먼저 단위 유닛 확보부(45)에 1개의 단위 유닛(20)을 확보할 것을 요구하고, 그 유닛 ID를 수취한다. 이어서, 단위 유닛 기동부(41)는 환경 설정 값 기억부(46)로부터 수취한 유닛 ID에 대응하는 1 종류의 환경 설정 값을 취출한다.
계속해서, 단위 유닛 기동부(41)는 수취한 유닛 ID를 갖는 단위 유닛(20)에 취출한 환경 설정 값을 송신하고, 그 기억부(9)에 송신한 값을 저장시켜, 기동 개시를 위한 지시를 환경 설정 지시부(10) (도 5 참조)에 제공한다.
또한, 단위 유닛 기동부(41)는 상기 기재된 처리를 필요수 기억부(44)에 저장된 값과 동일한 횟수로 반복 실행한다. 단위 유닛 기동부(41)가 복수의 단위 유닛(20)의 온실 제어 장치(11) (도 5 참조)에 기동 지시를 제공한 후에는, 개개의 온실 제어 장치(11)는 주어진 환경 설정 값에 따라, 온도 제어, 습도 제어 및 일사량 제어를 독립적으로 실행한다. 이로 인해, 단위 유닛 기동부(41)는 기동 시에만 역할을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 2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종류의 환경 설정 값, 즉 고온/고습, 고온/저습, 저온/고습 및 저온/저습이 있다. 도 12의 예에서는, 일사량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재배 환경이 실현되도록, 환경 설정 값 기억부(46)에 저장된 4종류의 환경 설정 값은 온도, 습도 및 일사량을 매일 설정한다. 이용자로부터 기동 개시의 지시를 수취하면, 단위 유닛 기동부(41)는 단위 유닛(20)을 4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 상이한 환경 설정 값을 송신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 시스템에 따르면, 농업 교습생은 1개의 작물의 재배를 학습할 때, 재배 환경 (온도, 습도, 일사량 등)의 차이에 의한 재배 방법의 차이를 다수회 라운드의 재배 (예를 들어: 레터스의 경우에, 42일의 다수회 라운드)를 실행하지 않고 동시에 경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농업 교습생은 예년과 같은 기후 하에서의 정식 방법과 동시에, 예년보다 더운 기후 (추운 기후, 일사량이 많은 기후, 일사량이 적은 기후 등) 하에서의 정식 방법을 경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매우 효율적으로 경험을 쌓을 수 있다.
상기 기재된 실시형태는 하기 기재된 부기 1 내지 부기 6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나타내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기재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부기 1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 각각은
식물 재배를 위한 공간이 되는 온실;
상기 온실 내의 환경을 제어하는 환경 제어부;
상기 환경 제어부에 의한 제어 목표인 설정 값을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 저장하는 기억부; 및
상기 환경 제어부에 대해, 상기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에 따라,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설정 값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 지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 각각에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의 상기 설정 값을 보내고, 상기 설정 값을 식물 재배 유닛의 상기 기억부에 저장시켜, 식물 재배 개시를 위한 지시를 제공하는 단위 유닛 기동부
를 포함하는 것인 식물 재배 시스템.
부기 2
부기 1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가 재배 개시일이 서로 상이하도록 상기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에 있어서의 재배 개시일을 설정하는 초기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 각각에 대해, 상기 단위 유닛 기동부가 대응하는 개시일을 지정하고,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의 상기 설정 값을 보내는 것인 식물 재배 시스템.
부기 3
부기 1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가, 상이한 식물 재배 환경을 실현하도록 설정된 복수 종류의,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의 설정 값을 저장하는 환경 설정 값 기억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유닛 기동부가, 상기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을 상기 설정 값의 종류의 수와 동일한 수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의 대응하는 종류의 상기 설정 값을 보내는 것인 식물 재배 시스템.
부기 4
부기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제어부가 상기 온실 내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 상기 온실 내의 습도를 제어하는 습도 제어부, 및 상기 온실 내의 일사량을 제어하는 일사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억부가 목표 온도, 목표 습도 및 목표 일사량을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 상기 설정 값으로서 저장하는 것인 식물 재배 시스템.
부기 5
식물 재배를 위한 공간이 되는 온실;
상기 온실 내의 환경을 제어하는 환경 제어부;
상기 환경 제어부에 의한 제어 목표인 설정 값을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 저장하는 기억부; 및
상기 환경 제어부에 대해, 상기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에 따라,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설정 값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 지시부
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유닛.
부기 6
부기 5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제어부가 상기 온실 내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 상기 온실 내의 습도를 제어하는 습도 제어부, 및 상기 온실 내의 일사량을 제어하는 일사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억부가 목표 온도, 목표 습도 및 목표 일사량을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 상기 설정 값으로서 저장하는 것인 식물 재배 유닛.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상세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3년 3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13-063790을 기초로 하고 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의 개시내용은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 재배 방법의 지도 시에, 지도 기간의 단축화 및 여러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의 효율적인 교육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농업의 현장 연수를 행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1 온실
2 온도 제어부
3 습도 제어부
4 일사량 제어부
5 기동 개시일
6 환경 설정 값
7 현재 일자
8 유닛 ID
9 기억부
10 환경 설정 지시부
11 온실 제어 장치
12 환경 제어부
20 식물 재배 유닛 (단위 유닛)
30 관리 장치
31 단위 유닛 기동부
32 단위 유닛 사용 상황 기억부
33 현재 일자 기억부
34 필요수 기억부
35 단위 유닛 확보부
36 기동 개시일 기억부
37 환경 설정 값 기억부
38 초기 설정부
41 단위 유닛 기동부
42 단위 유닛 사용 상황 기억부
43 현재 일자 기억부
44 필요수 기억부
45 단위 유닛 확보부
46 환경 설정 값 기억부
100 식물 재배 시스템

Claims (6)

  1. 식물 재배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에 있어서의 식물 재배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 각각은
    식물 재배를 위한 공간이 되는 온실;
    상기 온실 내의 환경을 제어하는 환경 제어부;
    상기 환경 제어부에 의한 제어 목표인 설정 값을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 저장하는 기억부; 및
    상기 환경 제어부에 대해, 상기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에 따라,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설정 값을 설정하는 환경 설정 지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 각각에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의 상기 설정 값을 보내고, 상기 설정 값을 해당 식물 재배 유닛의 상기 기억부에 저장시켜, 식물 재배 개시를 위한 지시를 제공하는 단위 유닛 기동부,
    상기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 각각의 사용 상황을 저장하고 있는, 단위 유닛 사용 상황 기억부,
    식물 재배에 필요한 상기 식물 재배 유닛의 수를 저장하는, 필요수 기억부, 및
    상기 단위 유닛 사용 상황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 상황에 기초하여, 사용되고 있지 않은 상기 식물 재배 유닛을 특정하고, 상기 필요수 기억부에 저장된, 필요한 상기 식물 재배 유닛 수에 따라, 특정한 상기 식물 재배 유닛의 사용 상황을 사용 중으로 하는, 단위 유닛 확보부
    를 포함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에 있어서의 재배 개시일을, 재배 개시일이 서로 상이하도록 설정하는 초기 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위 유닛 기동부는, 상기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 각각에 대해, 대응하는 개시일을 지정하고,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의 상기 설정 값을 보내는, 식물 재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상이한 식물 재배 환경을 실현하도록 설정된 복수 종류의,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의 설정 값을 저장하는 환경 설정 값 기억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유닛 기동부는, 상기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을 상기 설정 값의 종류의 수와 동일한 수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의 대응하는 종류의 상기 설정 값을 보내는, 식물 재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식물 재배 유닛에서,
    상기 환경 제어부는 상기 온실 내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 상기 온실 내의 습도를 제어하는 습도 제어부, 및 상기 온실 내의 일사량을 제어하는 일사량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설정 값으로서, 재배 개시일부터의 경과 일수마다, 목표 온도, 목표 습도 및 목표 일사량을 저장하는, 식물 재배 시스템.
  5. 삭제
  6. 삭제
KR1020157030514A 2013-03-26 2014-02-14 식물 재배 시스템 및 식물 재배 유닛 KR101863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63790 2013-03-26
JP2013063790A JP6124334B2 (ja) 2013-03-26 2013-03-26 植物栽培システム
PCT/JP2014/053465 WO2014156358A1 (ja) 2013-03-26 2014-02-14 植物栽培システム、及び植物栽培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828A KR20150133828A (ko) 2015-11-30
KR101863424B1 true KR101863424B1 (ko) 2018-05-31

Family

ID=51623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0514A KR101863424B1 (ko) 2013-03-26 2014-02-14 식물 재배 시스템 및 식물 재배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64347B2 (ko)
EP (1) EP2979540B1 (ko)
JP (1) JP6124334B2 (ko)
KR (1) KR101863424B1 (ko)
IL (1) IL240526B (ko)
WO (1) WO20141563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7509B2 (en) 2016-10-11 2021-09-21 Ultraconductive Copper Company Inc. Graphene-copper composit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US20180359932A1 (en) * 2017-06-14 2018-12-20 Grow Solutions Tech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nutrient dosage for a grow pod
JOP20190063A1 (ar) * 2017-06-14 2019-03-28 Grow Solutions Tech Llc أنظمة وطرق لبرمجة حجيرة نمو
US10828869B2 (en) 2017-08-30 2020-11-10 Ultra Conductive Copper Company, Inc. Graphene-coppe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US20210392823A1 (en) * 2020-06-18 2021-12-23 David Fortenbacher Mobile trellis, components for use with mobile trellises, and horticultural environments incorporating at least one mobile trelli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340A (ja) * 2001-08-08 2003-02-18 Hitachi Ltd 作物観察用模擬環境装置及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1018A (ja) 1986-10-06 1988-04-21 横河電機株式会社 温室のプログラム制御方法
US4992942A (en) * 1989-01-25 1991-02-12 Bahm,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ystem, such as nutrient control system for feeding plants, based on actual and projected data and according to predefined rules
US5493808A (en) * 1993-05-25 1996-02-27 Apolan Pty Ltd. Controlled atmosphere storage chamber
JPH10191787A (ja) * 1997-01-10 1998-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植物栽培システム
JP2003079254A (ja) 2001-07-05 2003-03-18 Ccs Inc 植物育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システム
US20080120335A1 (en) * 2001-10-31 2008-05-22 Alexei Dolgoff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and Method
JP3870967B2 (ja) * 2005-03-07 2007-01-24 松下電工株式会社 植物育成情報の取得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植物育成制御システム
JP4645248B2 (ja) * 2005-03-16 2011-03-09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植物育成情報の提供方法
KR20090027279A (ko) * 2007-09-12 2009-03-17 대한민국 (농촌진흥청장) 온실 무선 제어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제어방법
JP2010081877A (ja) 2008-09-30 2010-04-15 National Institute Of Agrobiological Sciences 閉鎖系育成温室及びその使用方法
CN102301294A (zh) * 2009-12-07 2011-12-28 新日本制铁株式会社 操作支援装置、操作支援方法及计算机程序
KR20110073010A (ko) 2009-12-23 2011-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태양광 파장 제어를 이용한 온실 식물 성장 조절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5515118B2 (ja) 2010-08-24 2014-06-11 国立大学法人愛媛大学 植物育成用施設
US9756797B2 (en) * 2011-04-18 2017-09-12 Larry C. Sarver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evapotranspiration based irrigation control using a moisture sensor
JP2013051926A (ja) * 2011-09-05 2013-03-21 Casio Computer Co Ltd 情報端末装置及び育成管理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30255146A1 (en) * 2012-04-02 2013-10-03 Filene Lori Lehman Indoor farming device and method
JP6256821B2 (ja) * 2012-08-23 2018-01-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農業用ハウス
US9516822B2 (en) * 2012-11-26 2016-12-13 Daegan Gonyer Modular automated aeroponic growth system
US9426950B2 (en) * 2012-11-27 2016-08-30 Uxmal S.A. Production of Deschampsia antartica in bioreactors
US20140325910A1 (en) * 2013-05-05 2014-11-06 Sadeg M. Faris Traveling Seed Amplifier, TSA, Continuous Flow Farming of Material Products, MP
US10064346B2 (en) * 2014-03-13 2018-09-04 Lydia Wilkinso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life forms under remote influence
US20160102879A1 (en) * 2014-10-13 2016-04-14 Salesforce.Com, Inc. Using a database system to cause automated system events to be performed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sens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340A (ja) * 2001-08-08 2003-02-18 Hitachi Ltd 作物観察用模擬環境装置及び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79540A1 (en) 2016-02-03
JP6124334B2 (ja) 2017-05-10
JP2014187891A (ja) 2014-10-06
KR20150133828A (ko) 2015-11-30
US20160286736A1 (en) 2016-10-06
EP2979540B1 (en) 2018-11-14
WO2014156358A1 (ja) 2014-10-02
EP2979540A4 (en) 2016-11-30
IL240526B (en) 2020-10-29
US10064347B2 (en) 2018-09-04
IL240526A0 (en) 2015-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424B1 (ko) 식물 재배 시스템 및 식물 재배 유닛
US2019012485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4876439B2 (ja) 植物育成情報の提供方法
Körner et al. Decision support for dynamic greenhouse climate control strategies
KR101516732B1 (ko) 식물공장의 자동화를 위한 맞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890767A (zh) 可编程植物系统
Mannobjonov et al. NEW INNOVATIONS IN GREENHOUSE CONTROL SYSTEMS & TECHNOLOGY
Inayah et al. Empowering Santri to Create Sustainable Economy at Pondok Pesantren Munzalan Mubaroka Siliragung Banyuwangi through 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 (ABCD)
Huang et al. Simulating the optimal growing season of rice in the Yangtze River Valley and its adjacent area, China
Gary et al. SIMULSERRE: an educational software simulating the greenhouse-crop system
CN108876681A (zh) 一种智能管控植物生长教育平台
CN107871422A (zh) 一种基于立体农业的农业知识科普教育平台
Huang et al. A software package for optimizing rice production management based on growth simulation and feedback control
Kariyama Simulations of the potential yields of Jenguma Soybean variety in the upper west region using Aquacrop Model
Penzenstadler et al. The diy resilient smart garden kit
KR20150142271A (ko)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정원 조성방법
MeKonnen et al. Processes, lessons and challenges from participatory tree species selection, planting and management research in the highland Vertisol areas of central Ethiopia
Durai et al. Flowering behaviour of sugarcane genotypes from different agro climatic zones of india
Sjöberg et al. Craft knowledge and sustainability: a case study in historical cultivation methods
Jandro Roots and STEM: a greenhouse science curriculum
Wijaya et al. Thermal Condition Evaluation of Farmhouse Using Ecotect Analysis as an Effort to Optimize Cultural Activity of Enclave Villagers (Case Study: Ngadas, Bromo Tengger Semeru National Park)
JP2006254775A (ja) 植物育成情報の提供方法
Ycasas Science Unit: Ecologists Grow a Garden Lesson 3: Habitat Garden
Convié Synergizing agrivoltaics, agroforestry, and IoT for sustainable agricultur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field experiment in urban Environment
Haydock et al. Formal Education vs Learning Cultiv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