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271A -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정원 조성방법 - Google Patents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정원 조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271A
KR20150142271A KR1020140070753A KR20140070753A KR20150142271A KR 20150142271 A KR20150142271 A KR 20150142271A KR 1020140070753 A KR1020140070753 A KR 1020140070753A KR 20140070753 A KR20140070753 A KR 20140070753A KR 20150142271 A KR20150142271 A KR 20150142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den
seed
kit
seed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정
김희순
Original Assignee
농업기술실용화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기술실용화재단 filed Critical 농업기술실용화재단
Priority to KR1020140070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2271A/ko
Publication of KR20150142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2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30Apparatus for treating the lawn or grass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정원 조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와 정원의 레이아웃이 형성된 정원설계도와 상기 정원설계도에 따른 식물의 종류 및 식물의 색상을 갖는 종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원조성을 위한 종자키트는 하나의 패키지 구성으로 정원 조성 및 식물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사용자들도 심미감있는 정원을 조성할 수 있으며, 조성된 정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원예활동을 이용한 심리치료 및 교육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정원 조성방법{SEED KIT FOR GARDEN LAYOUT AND METHOD FOR GARDEN LAYOUT USING SAME}
본 발명은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정원 조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원은 대개 주택의 외부공간을 실용적, 심미적 목적으로 처리한 뜰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주거문화의 반영일 뿐만 아니라 한 사회와 시대의 생활문화와 가치체계 및 예술이 총체적으로 결집된 장소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물을 가꾸거나 정원을 조성하게 되면 정서적인 안정과 풍요로움을 느낄 수 있게 되며, 주변 공기의 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차열이나 단열 효과가 있으면서 반사열에 대한 억제 효과가 있어서 쾌적한 환경의 조성이 가능하게 된다.
최근에는 도시농업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제정 및 도시 소비자들의 자연에대한 향수와 안전한 식생활에 관한 관심증가로 주택은 물론 아파트, 공원, 건물 옥상 등 도심 곳곳에 다양한 형태의 정원이 조성되었으며 이곳에서 먹거리를 생산하며 여가를 즐기는 등 도시민의 정원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공교육 시장인 학교에서도 정원이 아이들의 인성함양을 위한 수단으로 중요시되어 교내 유휴지에 작은 정원을 만들어 작물을 재배하고 키우면서 학생들로 하여금 생명존중 사상과 친구들과의 사회성 및 협동성 함양을 증진시키기 위해 원예활동을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정원 조성에 관한 경험과 지식이 부족한 현대 도시민들이 정원을 어떻게 조성하여 관리해야 할지에 관한 정보가 부족하여 조성하는 정원의 종류에 있어서도 단순 먹거리 위주의 채소작물만 심게 되어 다양한 형태의 정원을 가꾸지 못하고 있다.
또한, 정원용 종자 구입에 있어서도 대량으로 포장되어 있어 작은 정원에 활용하기에는 양이 많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종자를 구입하여도 수년간 보관하여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종자의 발아력 저하를 초래할 뿐 아니라 종자를 심고 난 후 작물이 자랐을 때의 정원의 모습을 예측할 수 없어 경관조성 측면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원 조성에 관한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원스톱으로 정원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정원 조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식물의 종류나 식물의 색상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심미감 있는 정원을 조성할 수 있는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정원 조성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종자키트는 케이스와 정원의 레이아웃이 형성된 정원설계도와 상기 정원설계도에 따른 식물의 종류 및 식물의 색상을 갖는 종자가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정원설계도에는 구획이 나누어져 있으며 각 구획별로 종자번호 또는 종자명칭이 기재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케이스는 정원설계도에 따라 구획이 나누어지거나 일정간격으로 구획된 종자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종자는 파종시기와 개화시기가 같은 것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상기 종자에 따라 파종기, 정식기, 개화기, 화색, 초장 및 관리방법이 기재된 재배설명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종자키트를 이용한 정원의 형성방법은 테마별로 분류된 종자키트를 선택하는 제 1단계; 정원을 형성할 지면을 평탄하게 형성하는 제 2단계; 상기 종자키트 내에 포함된 정원설계도에 따라 상기 평탄하게 형성된 지면에 밑그림을 그리는 제 3단계; 상기 밑그림이 그려진 지면에 정원설계도의 각 구획에 기재된 종자번호 및 종자명칭에 따라 종자를 심는 제 4단계; 및 상기 종자키트 내에 포함된 재배설명서를 이용하여 종자를 관리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패키지 구성으로 정원 조성 및 식물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사용자들도 심미감있는 정원을 조성할 수 있으며, 조성된 정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원예활동을 이용한 심리치료 및 교육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종자의 보관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시 식물별 종자를 채취하여 보관 및 재활용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의 정원설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의 정원설계도에 따라 구획이 나누어진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의 일정간격으로 구획이 나누어진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의 재배설명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를 이용한 완성된 테마정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를 나타낸 도면으로, 종자키트(100)는 정원설계도(110), 케이스(120) 및 종자(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종자키트(100)는 테마에 따라 구성이 가능하며, 상기 테마는 푸드, 경관, 생태, 오감만족, 이벤트 및 관계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테마에 따라 종자키트(100)에 포함된 케이스(120), 정원설계도(110) 및 종자(130)도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정원설계도(110)는 도 2와 같이 식재되는 종자의 영역에 따라 구획(111)이 나누어져 있으며, 상기 구획(111)에는 식재되는 종자번호 및 종자명칭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정원설계도(110)에는 같은 간격으로 직교되어 격자형상으로 분할하는 다수의 가로등분선(112) 및 다수의 세로등분선(113)이 그려져 있다.
케이스(120)는 도 3과 같이 도 2의 정원설계도(110)의 구획(111)에 따라 격벽(121)으로 나누어지거나, 도 4와 같이 일정간격의 격벽(121)으로 나누어진 케이스(120)가 있고, 상기 케이스(120)의 표면에는 종자번호 또는 종자명칭이 기재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20)의 내부에는 종자(130)가 보관될 수 있으며, 한번에 사용가능한 양으로 구성되어 있어, 종자를 식재하여 성장한 후 다시 종자가 형성되면, 형성된 종자를 다시 케이스(120)에 재수집하여 이를 재활용할 수도 있다.
종자(130)는 파종시기와 개화시기가 동일한 것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테마에 따라 구성될 경우 파종시기, 개화시기, 식물의 뿌리, 줄기, 잎 및 생장의 특성에 따라 유사한 특성을 지닌 식물들로 구성될 수 있다.
종자키트(1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자(130)에 따라 파종기, 정식기, 개화기, 화색, 초장 및 관리방법이 기재된 재배설명서(140)도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한 종자키트(100)의 테마가 오감만족인 경우 포함되는 종자는 슈가로프, 상추, 양파, 치커리, 스위트 바질, 라벤더, 로즈마리, 미모사, 조, 한련화 및 타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종자(130) 이외에 파종시기, 개화시기, 식물의 뿌리, 줄기, 잎 및 생장의 특성이 유사한 종자가 있는 경우에는 대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를 이용한 정원 조성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원하는 테마에 따른 종자키트(100)를 선택하고, 종자키트(100) 내에 포함된 정원설계도(110)에 따라 평탄하게 형성된 지면에 밑그림을 그린다.
이때, 상기 종자키트(100)는 테마에 따라 구비될 수 있어, 원하는 테마의 종자키트(100)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밑그림은 작물의 생육에 해롭지 않으면서 산성토양을 중화시키는 토양개량제인 통상의 석회분말을 이용하여 그리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용자 임의로 밑그림을 그릴 수 있다.
또한, 지면에는 세밀하고 정밀한 밑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정원설계도(110)에 그려진 가로등분선(112) 및 세로등분선(113)의 교차지점을 따라 다수의 표시봉을 설치한다.
여기서, 지면에 그려지는 밑그림은 다수의 표지봉을 기준으로 표시봉을 따라 그려지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하나의 표시봉과 이웃한 또 다른 표시봉은 세밀하고 정밀한 밑그림을 위해서 1m 이하의 간격으로 설치되고, 지면에 쓰러지지 않고 설치될 수 있도록 50cm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수직한 봉 형상을 가지는 것이 좋다.
이어, 지면에 밑그림이 그려진 다음으로는, 정원설계도(110)의 각 구획(111)에 기재된 종자번호 및 종자명칭에 따라 통상의 방법으로 종자키트(100)에 포함된 종자(130)를 심으며, 종자를 심은 후에는 종자키트(100)에 포함된 재배설명서(140)를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라 완성된 정원은 도 6과 같으며, 본 발명은 하나의 패키지 구성으로 정원 조성 및 식물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사용자들도 심미감있는 정원을 조성할 수 있으며, 조성된 정원을 활용하여 다양한 원예활동을 이용한 심리치료 및 교육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종자키트 110 : 정원설계도
111 : 구획 112 : 가로등분선
113 : 세로등분선 120 : 케이스
121 : 격벽 130 : 종자
140 : 재배설명서

Claims (6)

  1. 케이스;
    정원의 레이아웃이 형성된 정원설계도; 및
    상기 정원설계도에 따른 식물의 종류 및 식물의 색상을 갖는 종자;를 포함하는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원설계도는 구획이 나누어져 있으며, 각 구획별로 종자번호 또는 종자명칭이 기재된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정원설계도에 따라 구획이 나누어지거나 일정간격으로 구획된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는 파종시기와 개화시기가 동일한 것으로 이루어진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에 따라 파종기, 정식기, 개화기, 화색, 초장 및 관리방법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기재된 재배설명서를 더 포함하는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
  6. 테마별로 분류된 종자키트를 선택하는 제 1단계;
    정원을 형성할 지면을 평탄하게 형성하는 제 2단계;
    상기 종자키트 내에 포함된 정원설계도에 따라 상기 평탄하게 형성된 지면에 밑그림을 그리는 제 3단계;
    상기 밑그림이 그려진 지면에 정원설계도의 각 구획에 기재된 종자번호 및 종자명칭에 따라 종자를 심는 제 4단계; 및
    상기 종자키트 내에 포함된 재배설명서를 이용하여 종자를 관리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키트를 이용한 정원 조성방법.

KR1020140070753A 2014-06-11 2014-06-11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정원 조성방법 KR201501422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753A KR20150142271A (ko) 2014-06-11 2014-06-11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정원 조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753A KR20150142271A (ko) 2014-06-11 2014-06-11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정원 조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271A true KR20150142271A (ko) 2015-12-22

Family

ID=55081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753A KR20150142271A (ko) 2014-06-11 2014-06-11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정원 조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22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5275A (zh) * 2017-09-08 2018-02-06 北京林业大学 一种自然式园林景观的设计方法和系统
CN116702299A (zh) * 2023-08-02 2023-09-05 山东建筑大学 一种基于园林模拟的园林设计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65275A (zh) * 2017-09-08 2018-02-06 北京林业大学 一种自然式园林景观的设计方法和系统
CN107665275B (zh) * 2017-09-08 2020-10-16 北京林业大学 一种自然式园林景观的设计方法和系统
CN116702299A (zh) * 2023-08-02 2023-09-05 山东建筑大学 一种基于园林模拟的园林设计方法
CN116702299B (zh) * 2023-08-02 2023-10-17 山东建筑大学 一种基于园林模拟的园林设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ams Principles of horticulture
JP2012147765A (ja) 植物栽培装置
Moore Growing with gardening: A twelve-month guide for therapy, recreation, and education
Welch Perennial Garden Color
Gleason The lost dimension: pruned plants in Roman gardens
Byczynski The flower farmer: An organic grower's guide to raising and selling cut flowers
Li et al. Temporal variations of spontaneous plants colonizing in different type of planted vegetation-a case of Beijing Olympic Forest Park
KR20150142271A (ko) 정원 조성을 위한 종자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정원 조성방법
Ghatage et al. A hydroponic system for indoor plant growth
CN108617386A (zh) 一种用于山地柿园休闲观光的生态栽培模式
CN104041262A (zh) 一种盆栽吊兰的养殖方法
RU2666545C1 (ru)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носителя для отражения визуальной информации на поверхности объекта
Solomon Chapter 30 Urbaniahoeve: expanded urban agriculture
Rae Gardening and horticulture
CN107347427B (zh) 一种单一油葵品种田间图案的种植方法
CN205993280U (zh) 郁金香水培花盆
Lokare et al. Plant Nursery Development & Management: An Innovative Way of Self Employment
Chen et al. Application of coastal vegetation to green roofs of residential buildings in Taiwan
Smith Developing grass-free lawns
Zhongxin Application of plants in Chinese garden landscape
Sjöberg et al. Craft knowledge and sustainability: a case study in historical cultivation methods
Bahrami et al. Plant performance analysis of biofacades in a hot, arid Region of Qatar
DAUGHTER Development of Flowering in Uzbekistan and Application to Landscape Architecture
Hitchcock The history of the Erica collection at Kirstenbosch: part 3
Luo Study on the Method of Plant Landscaping in Landscape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