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197B1 -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발견된 디바이스를 알리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발견된 디바이스를 알리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197B1
KR101863197B1 KR1020120009592A KR20120009592A KR101863197B1 KR 101863197 B1 KR101863197 B1 KR 101863197B1 KR 1020120009592 A KR1020120009592 A KR 1020120009592A KR 20120009592 A KR20120009592 A KR 20120009592A KR 101863197 B1 KR101863197 B1 KR 101863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earched
displaying
icon
dev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8382A (ko
Inventor
나상태
이진욱
김영기
김철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20009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197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3744006.1A priority patent/EP2810375B1/en
Priority to EP20202830.4A priority patent/EP3786779B1/en
Priority to ES20202830T priority patent/ES2927034T3/es
Priority to PCT/KR2013/000640 priority patent/WO2013115526A1/en
Priority to EP22192499.6A priority patent/EP4117254A1/en
Priority to EP19209859.8A priority patent/EP3629143B1/en
Priority to US13/756,152 priority patent/US9854012B2/en
Publication of KR20130088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8382A/ko
Priority to US15/853,451 priority patent/US1115335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197B1/ko
Priority to US17/451,298 priority patent/US11582273B2/en
Priority to US18/168,414 priority patent/US1189516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3Arrangements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e.g. for confer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공유 절차 수행 중 발생 가능한 상황들 중 현재 상황을 판단하는 과정과, 미리 정의된 다수의 아이콘들 중 상기 현재 상황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황들은, 네트워크 연결 여부, 디바이스 발견 여부, 발견된 디바이스 종류, 발견된 디바이스 개수,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의 존재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의 조합으로 정의된다.

Description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발견된 디바이스를 알리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network) 상에서의 컨텐츠(contents) 공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및 디지털 디바이스(device)들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 및 다른 디지털 디바이스 간 컨텐츠(contents)를 공유하는 서비스의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상기 컨텐츠 공유를 위해서, 상기 스마트폰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 간 네트워크(network) 상의 접속이 구성(configuration)되어야 한다. 컨텐츠 공유 절차를 간략히 살펴보면, 상기 이동 단말은 제어 디바이스로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한 후, 다른 디바이스들을 검색하고, 발견된 디바이스와 컨텐츠를 공유한다.
상기 컨텐츠의 공유는 다양한 이유에서 실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였으나 다른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컨텐츠의 공유는 수행될 수 없다. 상기 컨텐츠의 공유가 실패된 경우, 사용자는 별도의 확인 과정을 통해야만 실패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는 부가적으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발견되더라도, 사용자는 이를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들 간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를 공유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컨텐츠 공유 절차의 진행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따라서, 컨텐츠 공유 절차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한 대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공유 절차 중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공유 절차 중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공유 절차 중 발견된 디바이스 개수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공유 절차 중 제공 가능한 서비스의 개수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은,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공유 절차 수행 중 발생 가능한 상황들 중 현재 상황을 판단하는 과정과, 미리 정의된 다수의 아이콘들 중 상기 현재 상황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상황들은, 네트워크 연결 여부, 디바이스 발견 여부, 발견된 디바이스 종류, 발견된 디바이스 개수,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의 존재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의 조합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제어 디바이스 장치는, 표시부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공유 절차 수행 중 발생 가능한 상황들 중 현재 상황을 판단하고, 미리 정의된 다수의 아이콘들 중 상기 현재 상황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상황들은, 네트워크 연결 여부, 디바이스 발견 여부, 발견된 디바이스 종류, 발견된 디바이스 개수,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의 존재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의 조합으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발생 가능한 다양한 상황들을 아이콘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알리는 아이콘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하거나 또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을 알리는 아이콘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목록 및 서비스 목록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제어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공유 절차 중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는 공유 네트워크(110), 제어 디바이스(control device)(120), 재생 디바이스(player device)(130)를 포함한다.
상기 공유 네트워크(110)는 디바이스들(120, 130) 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상기 공유 네트워크(110)는 유선 또는 무선 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유 네트워크(110)는 무선 랜(wireless LAN(Local Area Network))에 기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유 네트워크(110)는 AP(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유 네트워크(110)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al Engineers) 802.3i, IEEE 802.3u, IEEE 802.11a/b/g와 같은 통신 표준에 기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유 네트워크(110)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는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며,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는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를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랩탑(laptop) 컴퓨터, 타블렛 PC(tablet Personal Computer) 등의 이동 단말일 수 있다.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의 제어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는 PC(Personal Computer), TV(Television), 오디오(Audio), 카메라, 냉장고, 청소기 등의 전자 제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도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가 상기 PC, 상기 TV, 상기 카메라 등과 같이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로부터 제공되는 이미지, 동영상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가 상기 PC, 상기 TV, 상기 오디오 등과 같이 소리 출력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로부터 제공되는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도 1과 같은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재생 디바이스(130)를 통해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는 미리 정의된 다수의 아이콘(icon)들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컨텐츠 공유 절차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아이콘'의 용어를 사용하나, 상기 '아이콘'은 UI(User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이미지 기반의 표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미지', '지시자(indicator)', '알림(notific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이콘들은 이하 도 2 내지 이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는 재생되는 컨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의 개수, 종류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가 서비스는 상기 컨텐츠에 관련된 인물(예 : 음악의 경우 가수, 작곡가 등, 영화의 경우 감독, 배우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 IMDB(Internet Movide Data Base) 서비스(예 : 관련 이미지, 영화 줄거리 제공, 리뷰 검색 등), 광고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는 상기 컨텐츠 재생 중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에 대응되는 부가 서비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특정 URL(Uniform Resource Lo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의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거나, 컨텐츠를 스트리밍(streaming)하는 서버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가 재생되는 특정 시점(예 : 영화의 경우 특정 인물의 등장 시점)에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120)로 제공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가 서비스의 개수, 종류 등의 정보는 컨텐츠 재생 중에 발생하고, 소멸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알리는 아이콘들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에서, (a)는 제어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b)는 제어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접속 중임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도 2의 (a)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을 도형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도형만으로, 문자만으로, 또는, 문자 및 도형의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의 (b)는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 중임을 알리는 아이콘을 문자만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 중임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문자만으로, 도형만으로, 또는, 문자 및 도형의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들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에서, (a)는 재생 디바이스로서 TV만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b)는 재생 디바이스로서 PC만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c)는 재생 디바이스로서 랩탑 컴퓨터만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3의 (a), (b), (c)를 참고하면,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발견된 하나의 디바이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제1표시(310)를 포함한다. 상기 도 3에서, 상기 제1표시(310)는 도형 또는 이미지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표시(310)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도형으로, 문자만으로, 또는, 도형 및 문자의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3에 도시된 아이콘들은 좌측 하단에 휴대용 단말의 표시를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의 표시는 다른 모양으로 대체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하거나 또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들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에서, (a)는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b)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4의 (a), (b)를 참고하면, 상기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 및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발견된 디바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2표시(410)를 포함한다. 상기 도 4에서, 상기 제2표시(410)는 도형 및 숫자의 결합으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표시(410)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도형 및 숫자의 결합으로, 문자만으로, 숫자만으로, 문자 및 숫자의 결합으로, 또는, 도형만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4에 도시된 아이콘들은 좌측 하단에 휴대용 단말의 표시를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의 표시는 다른 모양으로 대체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을 알리는 아이콘들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에서, (a)는 (a)는 제어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아니한 때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b)는 제어 디바이스가 네트워크에 접속 중인 때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c)는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한 때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d)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한 때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e)는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한 때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을 알리는 아이콘의 일 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을 알리는 아이콘들은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3표시(510)를 포함한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표시(510)는 네트워크와의 연결 여부, 디바이스의 발견 여부, 발견된 디바이스의 개수와 무관하게 언제든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부가 서비스는 재생 중인 컨텐츠와 관련되기 때문이다. 상기 도 5의 (d), (e)를 참고하면, 발견된 디바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제2표시(410) 및 상기 제3표시(510)는 유사한 모양으로 표현되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표시(410) 및 상기 제3표시(510)는 보다 구분이 명확한 서로 다른 모양들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도 5에서, 상기 제3표시(510)는 도형 및 숫자의 결합으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3표시(510)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도형 및 숫자의 결합으로, 문자만으로, 숫자만으로, 문자 및 숫자의 결합으로, 또는, 도형만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도 5의 (d)와 같이,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검색되고 및 다수의 부가 서비스들이 제공 가능한 경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발견된 디바이스들의 목록 및 부가 서비스들의 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바이스들의 목록 및 상기 부가 서비스들의 목록은 도 6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목록 및 서비스 목록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고하면, 디바이스 목록(610)은 4개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하고, 서비스 목록(620)는 2개의 부가 서비스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공유 절차 수행 중 발생 가능한 상황들 중 현재 상황을 판단하고, 미리 정의된 다수의 아이콘들 중 상기 현재 상황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상황들은 네트워크 연결 여부, 디바이스 발견 여부, 발견된 디바이스 종류, 발견된 디바이스 개수,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의 존재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의 조합으로 정의된다. 또한, 상기 미리 정의된 아이콘들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 네트워크 접속 중임을 알리는 아이콘,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 및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표시를 포함하는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a 및 상기 도 7b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01단계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여부 판단은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컨텐츠 공유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최초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03단계로 진행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도 2의 (a)와 같을 수 있다. 이때, 재생 중인 컨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 및 부가 서비스의 개수를 알리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아이콘은 상기 도 5의 (a)와 같을 수 있다.
이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0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접속 명령이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가 무선 랜에 기반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AP로 접속할 것이 명령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접속 명령이 발생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07단계로 진행하여 네트워크 접속 중임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네트워크 접속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 접속 중임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도 2의 (b)와 같을 수 있다. 이때, 재생 중인 컨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접속 중임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 및 부가 서비스의 개수를 알리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아이콘은 상기 도 5의 (b)와 같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701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701단계에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디바이스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가 송신하는 패킷의 수신을 시도함으로써, 상기 다른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 응답을 요구하는 패킷을 송신하고, 응답의 수신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다른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검색 동작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동안 일정 시간 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11단계로 진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발견되었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가 송신하는 패킷이 수신되는지, 또는, 다른 디바이스가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요청에 응답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13단계로 진행하여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도 4의 (a)와 같을 수 있다. 이때, 재생 중인 컨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가 발견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 및 부가 서비스의 개수를 알리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아이콘은 상기 도 5의 (e)와 같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709단계로 되돌아간다.
반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가 발견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15단계로 진행하여 발견된 디바이스의 개수가 하나인지 판단한다.
상기 발견된 디바이스의 개수가 하나이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17단계로 진행하여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발견된 디바이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도 3의 (a), (b) 또는 (c)와 같을 수 있다. 이때, 재생 중인 컨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 및 부가 서비스의 개수를 알리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아이콘은 상기 도 5의 (c)와 같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이 클릭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클릭은 터치 스크린, 키패드, 터치패드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인지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를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이 클릭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발견된 하나의 디바이스와 재생 중인 컨텐츠를 공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재생 중인 컨텐츠의 프로토콜(protocol) 및 미디어 포맷(media format)을 발견된 디바이스에서 지원되는 프로토콜 및 미디어 포맷과 비교한다. 상기 발견 디바이스에서 재생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재생 중인 컨텐츠 자체의 데이터 또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예 :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송신한다.
상기 715단계에서, 상기 발견된 디바이스의 개수가 둘 이상이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23단계로 진행하여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발견된 디바이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표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도 4의 (b)와 같을 수 있다. 이때, 재생 중인 컨텐츠와 함께 제공되는 부가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 및 부가 서비스의 개수를 알리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아이콘은 상기 도 5의 (d)와 같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이 클릭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클릭은 터치 스크린, 키패드, 터치패드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인지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이 클릭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27단계로 진행하여 발견된 디바이스들의 목록을 표시한다. 이때,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으로 인해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을 발견함을 알리는 아이콘에 상기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 및 부가 서비스의 개수를 알리는 표시가 포함된 경우, 상기 부가 서비스의 목록도 함께 표시된다. 예를 들어, 상기 목록들은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후,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2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디바이스들의 목록에서 하나의 디바이스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선택은 터치 스크린, 키패드, 터치패드 등의 입력 수단을 통해 인지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73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발견된 하나의 디바이스와 재생 중인 컨텐츠를 공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재생 중인 컨텐츠의 프로토콜(protocol) 및 미디어 포맷(media format)을 발견된 디바이스에서 지원되는 프로토콜 및 미디어 포맷과 비교한다. 상기 발견 디바이스에서 재생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재생 중인 컨텐츠 자체의 데이터 또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예 : URI)를 송신한다.
상기 도 7b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727단계에서 부가 서비스 목록이 표시된 경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하나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는지 판단하고, 하나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703단계, 상기 705단계, 상기 713단계, 상기 717단계에서 부가 서비스의 존재를 알리는 표시가 아이콘에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아이콘의 클릭 여부를 판단하고, 아이콘이 클릭되면, 부가 서비스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하나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는지 판단하고, 하나의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면, 선택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제어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tablet)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과 같은 장치이다. 또한, 이러한 장치들 중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를 포함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메모리(810), 프로세서(processor) 유닛(820), 통신 유닛(830), 외부 포트(840), 오디오 IC(Integrated Circuit) 유닛(850), 스피커(860), 마이크로폰(870), 표시부(880), 입력부(890)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810) 및 상기 외부 포트(840)는 다수 개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 유닛(820)은 메모리 제어부(821), 프로세서(822) 및 주변 인터페이스(8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822)는 '중앙처리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라 지칭될 수 있으며, 둘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유닛(830)은 기저대역처리부(base band processor)(832) 및 RFIC 유닛(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Unit)(831)을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 선을 통하여 서로 통신한다.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제어 디바이스는 일 실시 예이며, 상기 도 8에 도시한 것보다 많은 개수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더 적은 개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도 8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구성(configuration)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81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또는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셋트,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각각의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에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를 메모리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상기 외부 포트(840)를 통하여 제어 디바이스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상기 RFIC 유닛(831)을 통하여 제어 디바이스에 접근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810)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810)는 운영 체제(811) 소프트웨어,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812),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813),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모듈, 미디어 공유 모듈(815)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모듈은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상기 프로세서 유닛(820)에 포함된 상기 프로세서(822) 또는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823)와 같은 다른 구성 요소가 상기 메모리(810)에 접근(access)하는 경우의 제어는 상기 메모리 제어부(821)에 의하여 수행된다.
상기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811)는 일반적인 시스템 운영(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811)는 WINDOWS, LINUX, 다윈(Darwin), RTXC, UNIX, OS X, 또는 VxWorks와 같은 내장 운영 체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템 운영의 제어는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포함한다. 상기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811)는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812)은 상기 RFIC 유닛(831)이나 상기 외부 포트(840)를 통하여 송신하고 수신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813)은 상기 표시부(880) 상에 그래픽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그래픽(graphics)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814)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상기 미디어 공유 모듈(8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 공유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미디어 공유 모듈(815)은 디바이스 검색 모듈(816), 디바이스 제어 모듈(817), 아이콘 표시 모듈(818)을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 검색 모듈(816)은 네트워크 상에서 다른 디바이스를 검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 제어 모듈(817)은 네트워크 상에서 발견된 다른 디바이스가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아이콘 표시 모듈(818)은 컨텐츠 공유 중 발생하는 상황을 알리기 위한 아이콘들을 포함하며, 상기 아이콘들을 상기 표시부(880)를 통해 표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미디어 공유 모듈(815)는 상기 도 7a 및 상기 7b에 도시된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는 명령어, 코드, 프로그램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외부 포트(840)는, 예를 들면, 이들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나, USB(Universial Serial Bus) 또는 FIREWIR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포트(840)는 다른 장치와 직접 연결하거나, 네트워크(예컨대, 인터넷, 인트라넷, 무선 LAN 등)를 통하여 다른 장치와 간접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823)는 제어 디바이스의 입출력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822) 및 상기 메모리(810)(메모리 제어기의 제어 하에)에 연결시킨다. 제어 디바이스는 다수 개의 프로세서(82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22)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제어 디바이스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프로세서(822)는 상기 메모리(810)에 저장되어 있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을 실행하여 그 모듈에 대응하는 특정한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프로세서(822),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823) 및 상기 메모리 제어부(821)는 단일 칩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이렇게 단일 칩으로 구성한 것을 상기 프로세서 유닛(820)으로 칭한다. 또한, 이들 구성 요소는 단일 칩이 아니라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유닛(830)은 상기 RFIC 유닛(831)과 상기 기저대역처리부(832)를 포함한다. 상기 RFIC 유닛(831)은 전자파를 송수신한다. 기저대역처리부(83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전자파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한다. 또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전자파를 변환하여 기저대역 처리부에 제공한다. 상기 RFIC 유닛(831)은, RF 트랜시버(transceiver), 증폭기(amplifier), 튜너(tunner), 오실레이터(oscillator),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 CODEC(Coding-Decoding) 칩셋(chip set), 가입자 식별 모듈 (SIM :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 등을 포함한다.
상기 RFIC 유닛(831)은 전자파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 및 다른 통신 장치와 통신한다. 예를 들면, 상기 RFIC 유닛(831)은 인터넷, 인트라넷, 네트워크,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LAN이나 무선 MAN(Metropolitan Area Network)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하며, 또한, 무선 통신에 의하여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 (Bluetooth),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와이 파이 (Wireless Fidelity, Wi-Fi), Wi-MAX,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instant messaging), 단문 문자 서비스 (SMS, short message service)용 프로토콜 또는 이들 여러 가지의 통신 방식의 임의의 조합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RFIC 유닛(831)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여 기저대역처리부(832)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83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며, 상기 기저대역처리부(832)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에서, 송신인 경우, 상기 기저대역처리부(832)는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상기 기저대역처리부(832)는,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오디오 IC 유닛(850)은 상기 스피커(860) 및 상기 마이크로폰(870)을 통해 사용자와 소통한다(communicate). 즉, 상기 오디오 IC 유닛(850)은 상기 스피커(860) 및 상기 마이크로폰(870)과 함께 사용자와 제어 디바이스 간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오디오 IC 유닛(850)은 상기 프로세서 유닛(820)의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823)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변환된 전기 신호(electric signal)는 상기 스피커(860)로 전달되고, 상기 스피커(860)는 전기 신호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사람이나 기타 다른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는 상기 마이크로폰(816)에서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오디오 IC 유닛(850)은 이렇게 변환된 전기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오디오 IC 유닛(814)은 수신한 전기신호를 오디오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823)로 전송한다.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823)를 통하여 상기 메모리(810)로 전송되거나 상기 통신 유닛(830)으로 전송된다. 상기 오디오 IC 유닛(850)은 탈부착 가능한(attachable and detachable)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잭(jack)(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셋은 출력(한 쪽 또는 두 귀용 헤드폰)과 입력(마이크로폰)이 모두 가능한 경우도 있다. 잭은 이어폰 잭 또는 헤드셋 잭이라고도 한다.
상기 표시부(880)는 제어 디바이스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입력부(890)는 제어 디바이스와 사용자 사이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880)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상기 표시부(880) 및 상기 입력부(890)는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부(88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제어 디바이스에 전달한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 즉, 상기 표시부(88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각적 출력(visual output)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난다. 사용자는, 햅틱(haptic) 접촉, 택타일(tactile) 접촉 또는 이들의 조합 방식에 따라 상기 표시부(880)를 통하여 입력한다. 상기 표시부(880)는 사용자 입력을 수용하는 터치 감지면을 가진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880)와 사용자 사이의 접촉 지점은 사용자 접촉에 사용된 손가락의 폭(digit)에 대응한다. 또한, 사용자는 스타일러스(stylus) 펜(pen) 등과 같이 적절한 대상물을 이용하여 표시부(880)와 접촉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입력하면, 상기 표시부(880)는 관련된 소프트웨어 모듈(명령어 세트)과 연동하여 접촉을 검출한다. 검출된 접촉은 상기 표시부(880) 상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대상(예를 들어, 소프트 키)에 대응하는 상호 작용(interaction)으로 변환한다.
상기 표시부(880)는 여러 가지 디스플레이 기술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이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술, LED(Light Emitting Diode) 기술,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880)와 터치스크린 제어기(822)는 용량형(capacitive) 검출, 저항형(resistive) 검출, 적외선형 (infrared) 검출 또는 표면 음파 검출 기술과 같은 여러 가지 터치 검출(감지) 기술을 사용하여 접촉의 시작, 접촉의 이동 또는 접촉의 중단이나 종료를 검출(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근접 감지기 어레이(proximity sensor array) 기술 또는 터치스크린상의 접촉 지점을 결정할 수 있는 다른 기술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시각적 출력은 나타내지 않으며, 터치 입력만 검출하는 터치 감지 태블릿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는 터치스크린 이외에 특정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터치패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는 터치스크린과는 달리 시각적 출력을 표시하지 않고, 터치 입력만 감지하는 경우도 있다. 터치패드는 상기 표시부(880)와 분리되는 별도의 터치 감지면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표시부(880)이 형성하는 터치 감지면의 확장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는, 제어 디바이스에 포함된 여러 가지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시스템(미도시)을 포함한다. 전력 시스템은 전원(power source)(교류 전원이나 배터리), 전력 오류 검출 회로, 전력 컨버터 (converter), 전력 인버터(inverter), 충전장치 또는/및 전력 상태 표시장치(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의 생성, 관리 및 분배 기능을 수행하는 전력 관리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표시부(880)으로 입력하여 수행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을 별도의 터치패드를 통하여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물리적 입력/제어 장치(예를 들어, 다이얼 또는 버튼)를 사용 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를 온/오프시키고 잠그기 위한 푸시 버튼, 볼륨 조절 로커 버튼과 링어 프로파일(ringer profile), 토글링(toggling)용 슬라이더 스위치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마이크로폰(870)을 통하여 미리 정한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음성 입력(voice input)을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2)

  1. 컨텐츠 공유를 위한 네트워크에서 제어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 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가 서비스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 및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 서비스를 나타내는 비쥬얼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비쥬얼 정보의 선택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의 목록 및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 서비스의 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 중 하나의 선택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 서비스 중 하나의 선택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다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네트워크 접속 명령이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 중임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가 검색되지 아니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가 검색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쥬얼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은,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가 검색되는 경우, 상기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가 검색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가 검색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검색된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쥬얼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은,
    다수의 다른 디바이스들이 검색되면, 상기 다수의 다른 디바이스들이 검색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다른 디바이스들이 검색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검색된 다수의 다른 디바이스들의 개수를 나타내는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쥬얼 정보를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 및 상기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표시를 포함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삭제
  12. 컨텐츠 공유를 위한 네트워크에서 제어 디바이스 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 시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를 검색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부가 서비스를 확인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 및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 서비스를 나타내는 비쥬얼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비쥬얼 정보의 선택을 감지 시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의 목록 및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 서비스의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 중 하나의 선택을 감지하고,
    상기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 서비스 중 하나의 선택을 감지하며,
    상기 선택된 다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사용자의 네트워크 접속 명령이 발생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 중임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가 검색되지 아니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가 검색되지 아니함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네트워크에서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가 검색되는 경우, 상기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가 검색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가 검색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검색된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다수의 다른 디바이스들이 검색되는 경우, 상기 다수의 다른 디바이스들이 검색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다른 디바이스들이 검색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은, 상기 검색된 다수의 다른 디바이스들의 개수를 나타내는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삭제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은, 상기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가 존재함 및 상기 제공 가능한 부가 서비스의 개수를 나타내는 표시를 포함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삭제
KR1020120009592A 2012-01-31 2012-01-31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발견된 디바이스를 알리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63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592A KR101863197B1 (ko) 2012-01-31 2012-01-31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발견된 디바이스를 알리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0202830.4A EP3786779B1 (en) 2012-01-31 2013-01-25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 sharing network
ES20202830T ES2927034T3 (es) 2012-01-31 2013-01-25 Aparato y procedimiento para informar de los dispositivos disponibles en la red de compartición de contenidos
PCT/KR2013/000640 WO2013115526A1 (en) 2012-01-31 2013-01-25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EP13744006.1A EP2810375B1 (en) 2012-01-31 2013-01-25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a content sharing network
EP22192499.6A EP4117254A1 (en) 2012-01-31 2013-01-25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EP19209859.8A EP3629143B1 (en) 2012-01-31 2013-01-25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US13/756,152 US9854012B2 (en) 2012-01-31 2013-01-31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US15/853,451 US11153356B2 (en) 2012-01-31 2017-12-22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US17/451,298 US11582273B2 (en) 2012-01-31 2021-10-18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US18/168,414 US11895168B2 (en) 2012-01-31 2023-02-13 Apparatus and method for informing of available devices in contents sharing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592A KR101863197B1 (ko) 2012-01-31 2012-01-31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발견된 디바이스를 알리기 위한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540A Division KR101896970B1 (ko) 2018-05-25 2018-05-25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발견된 디바이스를 알리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8382A KR20130088382A (ko) 2013-08-08
KR101863197B1 true KR101863197B1 (ko) 2018-05-31

Family

ID=48871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592A KR101863197B1 (ko) 2012-01-31 2012-01-31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발견된 디바이스를 알리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9854012B2 (ko)
EP (4) EP4117254A1 (ko)
KR (1) KR101863197B1 (ko)
ES (1) ES2927034T3 (ko)
WO (1) WO20131155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657B1 (ko) * 2013-08-22 2015-01-29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컨텐츠 기반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309027B1 (ko) * 2014-02-17 2021-10-06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합 표시 방법 및 휴대장치
WO2015161437A1 (zh) * 2014-04-22 2015-10-29 华为终端有限公司 设备选择方法和装置
CN106354023A (zh) * 2015-07-15 2017-01-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控制终端设备的方法、移动终端及系统
KR102383130B1 (ko) 2016-01-18 2022-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57459B1 (ko) * 2016-01-29 2022-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20170374690A1 (en) * 2016-06-22 2017-12-28 Qualcomm Incorporated Indication of Attributes of Backhaul Connections of Access Points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57094B8 (en) * 1997-06-25 2007-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owser based command and control network
US20020040389A1 (en) * 2000-10-03 2002-04-04 Wirespring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managed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US20020078150A1 (en) * 2000-12-18 2002-06-20 Nortel Networks Limited And Bell Canada Method of team member profile selection within a virtual team environment
US7102640B1 (en) * 2002-03-21 2006-09-05 Nokia Corporation Service/device indication with graphical interface
US6914551B2 (en) * 2002-04-12 2005-07-05 Apple Computer, Inc. Apparatus and method to facilitate universal remote control
JP3800626B2 (ja) * 2003-01-30 2006-07-26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7409452B2 (en) * 2003-02-28 2008-08-05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ocument service requests from a mobile device
US7716585B2 (en) * 2003-08-28 2010-05-11 Microsoft Corporation Multi-dimensional graphical display of discovered wireless devices
US20050138137A1 (en) * 2003-12-19 2005-06-23 Microsoft Corporation Using parameterized URLs for retrieving resource content items
SE528102C2 (sv) 2004-05-11 2006-09-05 Smarttrust Ab Förfarande och system för att upptäcka apparater.
US8285855B2 (en) * 2004-08-02 2012-10-09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network status reporting
US20070211691A1 (en) * 2004-09-09 2007-09-13 Barber Ronald W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using standard interfaces for independent device controllers
US20060075075A1 (en) * 2004-10-01 2006-04-06 Malinen Jouni I Method and system to contextually initiate synchronization services on mobile terminals in an enterprise environment
KR100678099B1 (ko) 2005-04-06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모드에서 정보 표시장치 및방법
US20060229016A1 (en) * 2005-04-06 2006-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Bluetooth communication mode of wireless terminal
US7607582B2 (en) * 2005-04-22 2009-10-27 Microsoft Corporation Aggregation and synchronization of nearby media
US20060276133A1 (en) * 2005-06-03 2006-12-07 Nokia Corporation Bluetooth activation and peer discovery
US7631270B2 (en) * 2005-09-16 2009-12-08 Microsoft Corporation Network connectivity and wireless status in a notification area
US7911499B2 (en) * 2006-02-09 2011-03-22 Ricoh Company, Ltd. Digital camera
US8064894B1 (en) * 2006-08-07 2011-11-22 Aol Inc. Exchanging digital content
KR100801648B1 (ko) * 2006-10-09 2008-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KR100826607B1 (ko) * 2006-10-16 2008-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통신 모드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대기화면표시방법
KR20080071783A (ko) 2007-01-31 2008-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가능한 무선기기의 개수 알림 방법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JP4513029B2 (ja) * 2007-03-09 2010-07-28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US7747223B2 (en) * 2007-03-29 2010-06-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system and mobile device for prioritizing a discovered device list
KR101421164B1 (ko) * 2007-12-18 2014-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무선기기 표시방법
KR101012300B1 (ko) * 2008-03-07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 및 그 방법
US9246768B2 (en) * 2008-06-18 2016-01-26 Camber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 simulated network attack generator
US8323218B2 (en) * 2008-07-11 2012-12-04 Medtronic, Inc. Generation of proportional posture information over multiple time intervals
WO2010054505A1 (zh) * 2008-11-11 2010-05-20 网秦无限(北京)科技有限公司 基于中间件的手机与pc互操作的方法与系统
US8584031B2 (en) * 2008-11-19 2013-11-12 Apple Inc. Portable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using emoji characters
US8230341B2 (en) * 2008-11-26 2012-07-24 Eyecon Ip Holding Unified media devices controlling using pre-defined functional interfaces
JP4550929B2 (ja) * 2009-01-16 2010-09-22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および通信状態報知方法
US8260883B2 (en) * 2009-04-01 2012-09-04 Wimm Labs, Inc. File sharing between devices
TWI401600B (zh) * 2009-05-11 2013-07-11 Compal Electronics Inc 管理無線通訊元件功能的方法及使用者介面裝置
JP5573117B2 (ja) * 2009-11-17 2014-08-2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20110126104A1 (en) * 2009-11-20 2011-05-26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User interface for managing different formats for media files and media playback devices
JP2011118470A (ja) * 2009-11-30 2011-06-16 Toshiba Corp コントロール装置およびコントロール方法
US8789131B2 (en) * 2010-05-14 2014-07-22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sharing contents thereof with other devices
KR101685361B1 (ko) * 2010-05-17 2016-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120001724A1 (en) * 2010-07-01 2012-01-05 Petros Belimpasakis Interacting with Peer Devices Based on Machine Detection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Objects
GB2483279A (en) * 2010-09-02 2012-03-07 Skype Ltd Automatic call re-establishment in dependence upon the condition of the connection.
US8478662B1 (en) * 2010-11-24 2013-07-02 Amazon Technologies, Inc. Customized electronic books with supplemental content
KR101757870B1 (ko) * 2010-12-16 201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30028132A1 (en) * 2011-07-27 2013-01-31 Choi Woosik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mmunication traffic management
KR101315608B1 (ko) * 2011-09-27 2013-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US8935610B2 (en) * 2011-12-08 2015-01-13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minimized navigation bar for expanded communication service
US8917971B2 (en) * 2011-12-30 2014-12-2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relevant supplemental content to a user device
US10389778B2 (en) * 2012-01-23 2019-08-20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Transitioning video between devices using touch gestures
KR102125856B1 (ko) * 2012-11-12 2020-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장치들간 출력 장치 공유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17254A1 (en) 2023-01-11
US20230199046A1 (en) 2023-06-22
US20220038511A1 (en) 2022-02-03
KR20130088382A (ko) 2013-08-08
EP2810375A4 (en) 2015-10-14
US11895168B2 (en) 2024-02-06
EP3786779A1 (en) 2021-03-03
US20180124133A1 (en) 2018-05-03
EP2810375A1 (en) 2014-12-10
WO2013115526A1 (en) 2013-08-08
ES2927034T3 (es) 2022-11-02
EP3629143A1 (en) 2020-04-01
EP3786779B1 (en) 2022-08-31
EP2810375B1 (en) 2019-11-20
EP3629143B1 (en) 2020-10-21
US11582273B2 (en) 2023-02-14
US20130198638A1 (en) 2013-08-01
US11153356B2 (en) 2021-10-19
US9854012B2 (en)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197B1 (ko)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발견된 디바이스를 알리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07286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US9363551B2 (en) TV program identification method, apparatus, terminal, server and system
WO2017202348A1 (zh) 一种视频播放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AU201721938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application data display therefor
KR102107132B1 (ko) 전자 장치의 억세스 포인트 접속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00151913A1 (en)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9363552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of display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15062224A1 (en) Tv program identification method, apparatus, terminal, server and system
US20200174741A1 (en) Audio Play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4221025A (zh) 控制给便携式终端中的应用的权限的装置和方法
JP2021517319A (ja) 動画プレビュー方法及び電子デバイス
CN106791916B (zh) 一种推荐音频数据的方法、装置和系统
EP3699744B1 (en) Do-not-disturb method and terminal
JP2016504671A (ja) 移動端末リソースの処理方法、装置、クライアント側のコンピュータ、サーバ、移動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401550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of call service area in mobile terminal
KR101896970B1 (ko) 컨텐츠 공유 네트워크에서 발견된 디바이스를 알리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5763929A (zh) 音频切换方法及装置
CN106776847B (zh) 删除媒体文件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2015008937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media data on a terminal
KR20160048968A (ko) 단말기에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210325B (zh) 一种设置社交应用来电铃声的方法、装置及终端
US10853412B2 (en) Scenario-based sound effect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EP3690647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CN116095384A (zh) 一种多媒体播放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