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853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853B1
KR101861853B1 KR1020110091340A KR20110091340A KR101861853B1 KR 101861853 B1 KR101861853 B1 KR 101861853B1 KR 1020110091340 A KR1020110091340 A KR 1020110091340A KR 20110091340 A KR20110091340 A KR 20110091340A KR 101861853 B1 KR101861853 B1 KR 101861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posture
collapsing
combin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1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893A (ko
Inventor
미쯔루 다께나까
요시히로 다까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53195A external-priority patent/JP56358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53196A external-priority patent/JP56167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83482A external-priority patent/JP572261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20050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4Se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캐빈에 의해 운전부가 덮여 있어도, 원동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이 행하기 쉬운 것으로 되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주행 기체의 전방부 횡일측 개소에 위치하는 운전부(11)와, 운전부(11)의 하방에 위치하는 원동부(30)와, 운전부(11)의 상방을 덮는 캐빈(12)이 구비되고, 엔진 보닛(22)의 상부에 운전 좌석(13)이 지지되어, 캐빈(12)이 기체 전방부측의 종방향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고, 전방부측 커버부(22A), 외기 도입부를 구비한 횡측 커버부 및 상부측 커버부(22C)의 각각이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로 구성된 엔진 보닛(22)이, 운전 좌석(13)이 도어의 개방 상태에서의 승강용 개구를 통과하여, 통상 자세와 메인터넌스용 자세로 전환 가능하게, 기체 전후 방향 축심(X)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10)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운전부의 상방을 덮는 캐빈을 구비하는 것이면서, 운전부 혹은 운전부 하방의 기체 내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쉬운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주행 기체(2)의 전방측에 예취부(3)가 구비되고, 주행 기체(2)의 전방부 횡일측 개소에 위치하는 운전부(11)의 상방을 덮는 캐빈(12)이 구비되고, 캐빈(12)이, 운전부(11)의 상방을 덮는 통상 사용 자세와, 운전부(11)의 상방을 개방하는 동시에 예취부(3)의 상방에 씌워지도록 예취부(3)와 상하 방향으로 중복되는 전방 쓰러짐 자세에 걸쳐서, 하부의 횡축 코어(P2)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10)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캐빈의 구조의 복잡화나 대중량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캐빈을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쉬운 자세로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주행 기체(2)의 전방측에 예취부(3)가 구비되고, 주행 기체(2)의 전방부 횡일측 개소에 위치하는 운전부(11)의 상방을 덮는 캐빈(12)이 구비되고, 캐빈(12)이, 프론트 글래스부(42)의 프레임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51)의 프레임부를 형성하는 지주를 구비하고, 또한 지주의 하단부를 수평 축심(P2)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10)에 지지함으로써, 통상 사용 자세와, 그 통상 사용 자세보다도 기체 외측으로 경사지는 쓰러짐 자세에 걸쳐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주행 기체의 전방부 횡일측 개소에 위치하는 운전부와, 상기 운전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원동부와, 상기 운전부의 상방을 덮는 캐빈이 구비되고, 상기 원동부가, 엔진 및 그 엔진을 둘러싸는 엔진 보닛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또한 상기 엔진 보닛의 상부에 운전 좌석이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주행 기체의 전방측에 예취부가 구비되고, 주행 기체의 전방부 횡일측 개소에 위치하는 운전부의 상방을 덮는 캐빈이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종래에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캐빈이 운전부의 상방을 덮는 상태를 유지한 채, 원동부에 구비되는 엔진 및 그 주변 기기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엔진 보닛에 있어서의 외기 도입부를 구비한 횡측 커버부를 단독으로 하부의 전후 축심 주위에서 개폐 요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또한 엔진 보닛에 있어서의 엔진의 상부측을 덮는 상부측 커버부에 작업용 개구를 형성하고, 이 개구를 덮는 커버체를 운전 좌석과 일체적으로 전방부의 횡축 코어 주위에서 개폐 요동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상기 구성에서는, 횡측 커버부를 외측으로 개방하도록 요동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라디에이터 주위의 점검 수리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고, 상부측 커버부에 구비된 커버체를 요동시켜 작업용 개구를 개방함으로써, 엔진의 조정이나 오일의 공급 등의 엔진 주위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종래에는, 캐빈이, 전방부측의 하단부 위치에 있어서의 횡축 코어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어, 통상 사용 자세와, 운전부의 주위가 개방되지 않는 상태로 통상 사용 자세보다도 기체 전방측으로 약 20도 정도 경사지는 전방 쓰러짐 자세에 걸쳐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덧붙여서 말하면, 특허 문헌 2에서는, 운전 좌석, 전방부 조종부 패널, 측부 조종부 패널 및 바닥부 등을 포함하는 운전부의 전체가, 캐빈과 함께 통상 사용 자세와 전방 쓰러짐 자세에 걸쳐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캐빈을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하여 캐빈의 바닥부를 상방으로 개방함으로써, 운전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원동부의 상방을 개방시키도록 하여, 원동부에 있어서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종래에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 것이 있었다.
즉, 캐빈이, 그 내부에 운전부를 구비하여 대략 사각 형상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캐빈의 바닥부(운전부의 바닥부를 겸용함)를 기체 프레임에 대해 횡방향 축심 주위에서 전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캐빈이, 그 내부에 운전부를 구비한 채 대략 수직으로 기립한 사용 위치와 전방으로 경사지게 한 메인터넌스용 위치에 걸쳐서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124430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266648호 공보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엔진 주위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경우, 상기 커버체를 운전 좌석과 함께 전방측으로 요동시켜 상부측 커버부에 형성된 개구를 개방시키고, 이 개구를 통해 운전자가 손이나 신체를 원동부 내에 집어넣어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해야만 하지만, 이와 같은 작업은 행하기 어려운 것이어서, 이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상부측 커버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작업을 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횡측 커버부를 외측으로 개방시켜, 엔진 주위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도, 횡측 커버부의 개방 개소로부터 운전자가 손이나 신체를 원동부 내에 집어넣어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어, 작업은 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빈에 의해 운전부가 덮이는 형식의 콤바인이라도, 원동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쉬운 것으로 되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캐빈이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되어도 운전부의 주위가 개방되지 않으므로, 운전부에 있어서의 조종용 각종 조작 장치의 수리 점검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그와 같은 작업을 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될 우려가 있고, 또한 전방 쓰러짐 자세는 통상 사용 자세보다도 기체 전방측으로 약 20도 정도 경사지는 것으로, 캐빈을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해도 캐빈의 바닥부의 개방이 충분하지 않아, 원동부 등의 운전부의 하방의 기체 내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되는 불리가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부의 상방을 덮는 캐빈을 구비하는 것이면서, 운전부 혹은 운전부 하방의 기체 내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쉬운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또한,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캐빈의 바닥부를 기체 프레임에 대해 횡방향 축심 주위에서 전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이므로, 캐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강도를 높이기 위해, 넓은 면적을 갖는 바닥부를 강성이 높은 것으로 할 필요가 있고, 또한 바닥부와 연결되는 캐빈의 주위벽부도 강성이 높은 것으로 해야만 해, 캐빈의 구조가 복잡해지거나 대중량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캐빈의 구조의 복잡화나 대중량화를 초래하지 않고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캐빈을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쉬운 자세로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은 주행 기체의 전방부 횡일측 개소에 위치하는 운전부와, 상기 운전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원동부와, 상기 운전부의 상방을 덮는 캐빈이 구비되고, 상기 원동부가, 엔진 및 그 엔진을 둘러싸는 엔진 보닛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또한 상기 엔진 보닛의 상부에 운전 좌석이 지지되어 있는 것이며, 그 제1 특징 구성은, 상기 캐빈이, 승강용 개구를 형성하는 개방 상태와 상기 승강용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상태에 걸쳐서, 기체 전방부측의 종방향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엔진 보닛이, 상기 엔진의 전방부측을 덮는 전방부측 커버부, 상기 엔진의 횡일측을 덮고 또한 외기 도입부를 구비한 횡측 커버부 및 상기 엔진의 상부측을 덮는 상부측 커버부의 각각이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로 구성되고, 상기 운전 좌석이 상기 도어의 개방 상태에서의 상기 승강용 개구를 통과하는 형태로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통상 자세와 기체 횡측 외측으로 돌출되는 메인터넌스용 자세로 전환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엔진 보닛이, 상기 횡측 커버부에 있어서의 하단부의 기체 전후 방향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1 특징 구성에 따르면, 운전자가 캐빈에 출입할 때에는, 도어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여 승강용 개구를 통해 출입하게 되지만, 이와 같이 도어가 개방 상태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에서, 엔진 보닛을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용 자세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엔진 보닛은 횡측 커버부에 있어서의 하단부의 기체 전후 방향 축심 주위에서 요동함으로써, 엔진을 둘러싸도록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통상 자세와, 기체 횡측 외측으로 돌출되는 메인터넌스용 자세에 걸쳐서 자세를 전환할 수 있다.
상부측 커버부의 상부에는 운전 좌석이 지지되어 있고, 운전 좌석은 상부측 커버부보다도 상방의 높은 위치에 있지만, 캐빈의 도어는 기체 전방부측의 종방향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개폐되므로, 도어가 개방 상태로 조작되어 있으면 승강용 개구의 후방부측이 개방된 상태로 되어, 엔진 보닛이 요동할 때에, 운전 좌석을 캐빈에 형성된 승강용 개구를 통해 양호하게 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엔진 보닛은 전방부측 커버부, 횡측 커버부 및 상부측 커버부의 각각이 일체적으로 요동하므로, 메인터넌스용 자세로 전환되면, 엔진의 상방측이 크게 개방된 상태로 되어, 엔진 주위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캐빈에 의해 운전부가 덮이는 형식의 콤바인이라도, 원동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쉬운 것으로 되는 콤바인을 제공할 수 있는 데 이르렀다.
본 발명의 제2 특징 구성은, 제1 특징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캐빈의 상기 도어의 요동 단부측의 종방향 테두리부가 접촉 작용하는 캐빈 본체측의 종테두리부에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상기 엔진 보닛에 구비된 피연결부가 연결되는 보닛 연결부와, 상기 도어를 상기 폐쇄 상태로 위치 유지하기 위한 도어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2 특징 구성에 따르면, 캐빈의 도어는 기체 전방부측의 종방향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개폐되지만, 도어의 요동 단부측의 종방향 테두리부가, 지지 프레임을 구비한 캐빈 본체측의 종테두리부에 접촉하고 요동 단부측이 수납 지지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에 설치된 보닛 연결부에 엔진 보닛에 구비된 피연결부가 연결되어, 지지 프레임에 설치된 도어 유지부에서 도어를 폐쇄 상태로 위치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의 요동 단부측을 수납 지지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을 이용하여 도어를 유지하는 동시에, 엔진 보닛을 연결 지지하도록 하였으므로, 지지 부재의 공용화에 의해 간소한 구성으로, 엔진 보닛을 통상 자세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 구성은, 제1 특징 구성 또는 제2 특징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엔진 보닛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측 커버부의 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측에 에어 클리너를 구비한 급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측 커버부의 상부에 상기 급기부와 상기 운전 좌석이 구비되는 운전실을 구획하는 종벽부가 설치되고, 상기 종벽부가, 상기 상부측 커버부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하부측 종벽 부분과, 상기 캐빈과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부측 종벽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측 종벽 부분의 상단부 테두리 및 상기 상부측 종벽 부분의 하단부 테두리의 각각이, 상기 횡측 커버부의 존재측 개소로부터 기체 횡폭 방향 내측을 향할수록 하방에 위치하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3 특징 구성에 따르면, 운전 좌석의 후방측에 설치된 급기부에 의해, 운전 좌석의 후방측의 청정한 공기를 급기할 수 있고, 엔진 보닛이 통상 자세에 있을 때에는, 엔진 보닛의 상부측 커버부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하부측 종벽 부분과, 캐빈과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부측 종벽 부분에 의해 구성되는 종벽부에 의해 급기부와 운전실을 구획하므로, 급기부에서 공기의 흡인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소음이 운전실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측 종벽 부분의 상단부 테두리 및 상부측 종벽 부분의 하단부 테두리의 각각이, 횡측 커버부의 존재측 개소로부터 기체 횡폭 방향 내측을 향할수록 하방에 위치하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엔진 보닛을 통상 자세와 메인터넌스용 자세에 걸쳐서 요동시킬 때, 하부측 종벽 부분을 상부측 종벽 부분이나 캐빈측의 다른 부재와 간섭하는 일 없이 양호하게 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은 주행 기체의 전방측에 예취부가 구비되고, 주행 기체의 전방부 횡일측 개소에 위치하는 운전부의 상방을 덮는 캐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며, 그 제4 특징 구성은, 상기 캐빈이, 상기 운전부의 상방을 덮는 통상 사용 자세와, 상기 운전부의 상방을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예취부의 상방에 씌워지도록 상기 예취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복되는 전방 쓰러짐 자세에 걸쳐서, 하부의 횡축 코어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4 특징 구성에 따르면, 예취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캐빈을 통상 사용 자세로 전환해 둠으로써, 캐빈으로 운전부의 상방을 덮음으로써, 캐빈으로 둘러싸여 외부로부터 볏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가 침입할 우려가 없는 공간 내에서 쾌적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운전부 혹은 운전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기체 내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캐빈을 하부의 횡축 코어 주위에서 요동시켜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즉, 캐빈이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되면, 운전부의 상방을 개방하는 상태로 되므로, 운전부에 있어서의 조종용 각종 조작 장치의 수리 점검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 혹은 운전부 하방의 기체 내부, 예를 들어 엔진이나 엔진 냉각용 설비 등을 구비한 원동부에 있어서의 메인터넌스 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부의 상방을 덮는 캐빈을 구비하는 것이면서, 운전부나 운전부 하방의 기체 내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쉬운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콤바인을 제공할 수 있는 데 이르렀다.
본 발명의 제5 특징 구성은, 제4 특징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캐빈이 상기 통상 사용 자세로부터 상기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되면, 상기 캐빈의 전방부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상기 예취부의 상부가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5 특징 구성에 따르면, 캐빈을 하부의 횡축 코어 주위에서 요동시켜 통상 사용 자세로부터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하면, 캐빈의 전방부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예취부의 상부가 들어가므로, 주행 기체의 전방측에 예취부가 구비되어 있어도, 예취부의 상부에 간섭하는 일 없이, 캐빈을 크게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6 특징 구성은, 제4 특징 구성 또는 제5 특징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캐빈의 전방부가 상부측 부분과 하부측 부분으로 분할되고, 상기 통상 사용 자세에서는 상기 상부측 부분이 상기 하부측 부분에 연결되는 상태로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전방 쓰러짐 자세에서는 상기 상부측 부분이 상기 하부측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예취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복되는 상태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6 특징 구성에 따르면, 캐빈에 있어서의 상부측 부분이, 통상 사용 자세에서는 하부측 부분에 연결되는 상태로 위치하고, 전방 쓰러짐 자세에서는 하부측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예취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복되는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캐빈을 전방 쓰러짐 자세로 자세 변경할 때에, 캐빈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상부측 부분만이 위치 변경하는 구성이므로, 주행 기체의 전방측에 예취부가 구비되어 있어도, 예취부에 간섭하는 일이 없는 상태로, 캐빈을 크게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콤바인은, 선적 수송하는 경우에는 컨테이너에 수납된 상태로 수송되게 되지만, 캐빈이 장비된 상태에서는, 캐빈이 존재하는 분만큼 높이가 높아져, 콤바인에 있어서의 접지부로부터 상단부 위치까지의 높이가 컨테이너의 수납 가능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콤바인의 접지부로부터 상단부 위치까지의 높이가 컨테이너의 수납 가능 높이를 초과하게 되어, 콤바인을 컨테이너에 수납시킨 상태로 수송할 수 없으므로, 캐빈을 제거하여 콤바인과 분리된 상태로 수송해야만 한다.
이에 대해, 제6 특징 구성에 따르면, 캐빈이 예취부의 상방에 씌워지도록 예취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복되는 상태로 되어, 캐빈을 크게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콤바인의 접지부로부터 상단부 위치까지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캐빈을 분리시키지 않고, 콤바인을 컨테이너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져, 컨테이너에 수납한 상태로 선적 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7 특징 구성은, 제6 특징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전방 쓰러짐 자세가, 상기 통상 사용 자세로부터 약 90도 경사지는 횡측 쓰러짐 자세인 점에 있다.
제7 특징 구성에 따르면, 캐빈이,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되면, 통상 사용 자세로부터 약 90도 경사지는 횡측 쓰러짐 자세로 되므로, 운전부의 상방이 캐빈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크게 개방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캐빈이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되면, 캐빈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크게 개방된 상태에서, 운전부나 운전부 하방의 기체 내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그와 같은 작업을 캐빈에 의해 방해되는 일이 없는 상태에서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콤바인의 접지부로부터 상단부 위치까지의 높이를 캐빈이 장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동일하게 낮은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 컨테이너에 수납한 상태로 선적 수송하는 것이 보다 행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제8 특징 구성은, 제4 특징 구성 내지 제7 특징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추가하여, 상기 캐빈이, 상기 예취부의 상방에 씌워지도록 상기 횡축 코어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지지 아암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좌우 한 쌍의 지지 아암 중 횡일측에 위치하는 지지 아암이 상기 예취부의 횡일측 단부보다도 횡측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타단부측에 위치하는 지지 아암이 기체 전후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예취부와 중복되는 동시에 상기 전방 쓰러짐 자세로 상기 예취부의 상방을 통과하도록 굴곡 형성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8 특징 구성에 따르면, 캐빈이, 좌우 한 쌍의 지지 아암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지만, 한쪽의 지지 아암이 예취부의 횡일측 단부보다도 횡측 외측에 위치하므로, 이 지지 아암은 직선 형상의 프레임을 사용하도록 해도 예취부와 간섭할 우려가 없는 상태로 캐빈의 일측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직선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예를 들어 각 통 형상의 프레임을 사용하도록 하면, 지지 강도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체 전후 방향에서 볼 때 예취부와 중복되는 타단부측에 위치하는 지지 아암이, 전방 쓰러짐 자세로 예취부의 상방을 통과하도록 굴곡 형성되는 상태로 설치되므로, 예취부에 간섭하는 일이 없는 상태로 캐빈의 타측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취부에 간섭하는 일 없이 전방 쓰러짐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캐빈을 좌우 양측에서 안정적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은 주행 기체의 전방측에 예취부가 구비되고, 주행 기체의 전방부 횡일측 개소에 위치하는 운전부의 상방을 덮는 캐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며, 그 제9 특징 구성은 상기 캐빈이, 프론트 글래스부의 프레임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프레임부를 형성하는 지주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또한 상기 지주의 하단부를 수평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에 지지함으로써, 통상 사용 자세와, 그 통상 사용 자세보다도 기체 외측으로 경사지는 쓰러짐 자세에 걸쳐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9 특징 구성에 따르면, 예취 작업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조작자는 캐빈으로 둘러싸여 외부로부터 볏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가 침입할 우려가 없는 공간 내에서 쾌적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고, 운전부 혹은 운전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기체 내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캐빈을 쓰러짐 자세로 전환함으로써, 캐빈이 방해가 되지 않는 상태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캐빈을 자세 변경 가능하게 지지하는 데 있어서, 캐빈의 프론트 글래스부의 프레임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프레임부를 형성하는 지주의 하단부가 수평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어, 캐빈이 운전부의 상방을 덮는 통상 사용 자세와 그 통상 사용 자세보다도 기체 외측으로 경사지는 쓰러짐 자세에 걸쳐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캐빈의 구조의 복잡화나 대중량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캐빈을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쉬운 자세로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설명을 추가하면, 캐빈의 내부에 있는 운전자가 기체 전방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설치되는 프론트 글래스부의 프레임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운전자가 출입하기 위한 도어의 프레임부를 형성하기 위한 지주가 설치되어 있고, 이 지주는 충분히 큰 강성을 구비하는 것이고, 또한 캐빈 전체의 강도를 지지하기 위한 강도 부재를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지주를 유효 이용하여, 지주의 하단부를 수평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에 지지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캐빈을 통상 사용 자세와 쓰러짐 자세에 걸쳐서 자세 변경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프론트 글래스나 도어를 지지하기 위해 강성이 높고 또한 캐빈 전체의 강도를 지지하기 위한 강도 부재를 구성하는 지주를 유효 이용하여, 기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하였으므로, 지주 이외의 다른 부재의 강도를 향상시켜 구조를 복잡화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없고, 대중량화를 초래할 우려도 없다.
따라서, 제9 특징 구성에 따르면, 캐빈의 구조의 복잡화나 대중량화를 초래하는 일 없이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캐빈을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쉬운 자세로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콤바인을 제공할 수 있는 것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제10 특징 구성은, 제9 특징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캐빈이, 상기 쓰러짐 자세로서, 상기 운전부의 상방을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예취부의 상방에 씌워지도록 상기 예취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복되는 전방 쓰러짐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고, 상기 수평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상기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10 특징 구성에 따르면, 캐빈이 쓰러짐 자세로 전환되면, 운전부의 상방을 개방하는 상태로 되므로, 운전부에 있어서의 조종용 각종 조작 장치의 수리 점검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 혹은 운전부 하방의 기체 내부, 예를 들어 엔진이나 엔진 냉각용 설비 등을 구비한 원동부에 있어서의 메인터넌스 작업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캐빈이 쓰러짐 자세로 전환되면, 캐빈이 예취부의 상방에 씌워지도록 예취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복되는 상태로 되므로, 캐빈의 천장부가 운전부의 상방측이 아니라 예취부의 상방에 씌워지도록 크게 전방으로 쓰러지는 상태로 되므로, 운전부의 상방이 크게 개방되는 것으로 되어,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제11 특징 구성은, 제10 특징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캐빈이 상기 통상 사용 자세로부터 상기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되면, 상기 캐빈의 전방부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상기 예취부의 상부가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11 특징 구성에 따르면, 캐빈을 하부의 횡축 코어 주위에서 요동시켜 통상 사용 자세로부터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하면, 캐빈의 전방부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예취부의 상부가 들어가므로, 주행 기체의 전방측에 예취부가 구비되어 있어도, 예취부의 상부에 간섭하는 일이 없는 상태로 캐빈을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예취부의 상부에 간섭하는 일이 없는 상태로 캐빈을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예를 들어 캐빈을 기체 횡폭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하는 경우와 같이, 기체 횡폭 치수가 넓어지는 일 없이, 기체 횡폭 치수를 넓히지 않고 캐빈을 경사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특징 구성은, 제11 특징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캐빈의 전방부가 상부측 부분과 하부측 부분으로 분할되어, 상기 통상 사용 자세에서는 상기 상부측 부분이 상기 하부측 부분에 연결되는 상태로 위치하고, 또한 상기 쓰러짐 자세에서는 상기 상부측 부분이 상기 하부측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하부측 부분에 상당하는 개소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제12 특징 구성에 따르면, 캐빈에 있어서의 상부측 부분이, 통상 사용 자세에서는 하부측 부분에 연결되는 상태로 위치하고, 쓰러짐 자세에서는 하부측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하부측 부분에 상당하는 개소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그 개구부에 예취부의 상부가 들어가, 캐빈과 예취부가 상하 방향으로 중복되는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캐빈을 쓰러짐 자세로 자세 변경할 때에, 캐빈의 전방부에 있어서의 상부측 부분만이 위치 변경하는 구성이므로, 주행 기체의 전방측에 예취부가 구비되어 있어도, 큰 개구부를 형성하여, 예취부에 간섭하는 일이 없는 상태에서, 캐빈을 크게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콤바인은, 선적 수송하는 경우에는 컨테이너에 수납된 상태로 수송되게 되지만, 캐빈이 장비된 상태에서는, 캐빈이 존재하는 분만큼 높이가 높아져, 콤바인에 있어서의 접지부로부터 상단부 위치까지의 높이가 컨테이너의 수납 가능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가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콤바인의 접지부로부터 상단부 위치까지의 높이가 컨테이너의 수납 가능 높이를 초과하게 되어, 콤바인을 컨테이너에 수납시킨 상태로 수송할 수 없으므로, 캐빈을 제거하여 콤바인과 분리된 상태로 수송해야만 한다.
이에 대해, 제12 특징 구성에 따르면, 캐빈이 예취부의 상방에 씌워지도록 예취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복되는 상태로 되어, 캐빈을 크게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콤바인의 접지부로부터 상단부 위치까지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캐빈을 분리시키지 않고, 콤바인을 컨테이너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컨테이너에 수납한 상태로 선적 수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13 특징 구성은, 제10 특징 구성 내지 제12 특징 구성 중 어느 하나에 추가하여, 상기 전방 쓰러짐 자세가, 상기 통상 사용 자세로부터 약 90도 경사지는 쓰러짐 자세인 점에 있다.
제13 특징 구성에 따르면, 캐빈이, 쓰러짐 자세로 전환되면, 통상 사용 자세로부터 약 90도 경사지는 쓰러짐 자세로 되므로, 운전부의 상방이 캐빈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크게 개방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캐빈이 쓰러짐 자세로 전환되면, 캐빈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크게 개방된 상태에서, 운전부나 운전부 하방의 기체 내부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그와 같은 작업을 캐빈에 의해 방해되는 일이 없는 상태로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도 1은 콤바인의 우측면도.
도 2는 콤바인의 좌측면도.
도 3은 콤바인의 평면도.
도 4는 콤바인의 캐빈 배치부의 일부 절결 측면도.
도 5는 운전부의 평면도.
도 6은 원동부의 종단 정면도.
도 7은 캐빈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도 8은 캐빈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9는 캐빈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캐빈의 지지 구조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
도 11은 캐빈이 전방 쓰러짐 자세일 때의 콤바인의 우측면도.
도 12는 캐빈이 통상 사용 자세에 있을 때의 회전용 베어링부의 측면도.
도 13은 캐빈이 전방 쓰러짐 자세에 있을 때의 회전용 베어링부의 측면도.
도 14는 캐빈이 중간 경사 자세에 있을 때의 회전용 베어링부의 측면도.
도 15는 캐빈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콤바인의 우측면도.
도 16은 엔진 보닛이 메인터넌스용 자세에 있을 때의 운전부의 정면도.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의 구동에 의해 주행 기체(2)가 주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그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포장의 직립 곡물대를 예취하고, 예취한 곡물대를 후방으로 반송하는 예취부(3)가 횡축 코어(P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예취부(3)는 예취 대상 곡물대를 분초하는 분초구(4), 도복 자세의 직립 곡물대를 선 자세로 기립시키는 기립 장치(5), 직립 곡물대의 밑동을 절단하는 클리퍼형의 예취 장치(6) 및 예취 곡물대를 후방으로 반송하는 종반송 장치(7)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주행 기체(2)는 예취부(3)에서 예취된 예취 곡물대를 수취하여 탈곡 및 선별 처리하는 탈곡 장치(8)와, 탈곡 장치(8)에서 탈곡 및 선별 처리함으로써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9)가 기체 프레임(10)에 탑재되는 동시에, 기체 프레임(10)에 지지되는 상태로 곡립 탱크(9)의 전방 개소에 운전부(11)가 설치되고, 운전부(11)의 상방을 덮는 캐빈(12)이 구비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부(11)는 운전 좌석(13)의 전방측에 운전부 스텝(14)으로부터 세워 설치하는 상태로 조종 탑(15)이 설치되고, 이 조종 탑(15)의 상부에는 조종 레버(16)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17) 등을 구비한 프론트 패널(18)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 좌석(13)의 좌측에는 변속 레버(19) 외의 조작구를 구비한 사이드 패널(20)이 설치되고, 이 사이드 패널(20)의 하방측의 우측면은 벽체(21)에 의해 기체 내부와 구획되어 있고, 운전 좌석(13)의 하측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엔진 보닛(22)의 전방측 커버부(22A)에 의해 원동부 내부와 구획되어 있다. 또한, 운전 좌석(13)의 후방부측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와 구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운전부(11)는 상방이 캐빈(12)에 의해 덮이고, 운전부(11)에는 외부 공간과 구획되는 상태로 폐색된 공간인 운전실(R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운전 좌석(13)의 후방측에는 엔진(23)에 있어서의 연소 공기 흡기계에 접속되는 에어 클리너(24)를 구비한 급기부(R2)가 구비되고, 에어 클리너(24)에 흡기 호스(25)를 통해 연통 접속된 프리 클리너(pre cleaner)(26)가 에어 클리너(24)의 상방측의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기체 상방의 진애의 적은 외기가 프리 클리너(26) 및 에어 클리너(24)로 정화되어 엔진 연소 공기로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24)는 기체 프레임(10)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지지 프레임(27)에 브래킷(28)을 통해 지지되어 있고, 프리 클리너(26)는 캐빈(12)의 상부의 후단부에 설치하여 지지되어 있다. 또한, 운전실(R1)과 급기부(R2) 사이는 구획부(29)에 의해 구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 구획부(29)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운전부(11)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13)의 하방에는 원동부(30)가 설치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동부(30)는 엔진(23), 냉각용 라디에이터(31), 냉각풍 발생용 팬(32), 냉각풍으로서 흡기되는 외기의 진애를 제거하기 위한 방진 그물(33), 엔진(23)을 둘러싸는 엔진 보닛(22)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보닛(22)은 엔진(23)의 전방부측을 덮는 전방부측 커버부(22A), 엔진(23)의 횡일측을 덮고 또한 외기 도입부(34)를 구비한 횡측 커버부(22B) 및 엔진(23)의 상부측을 덮는 상부측 커버부(22C)의 각각이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 보닛(22)에 있어서의 상부측 커버부(22C)에, 슬라이드 레일(13A)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전후 위치 가능하게 운전 좌석(13)이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측 커버부(22B)는 기체 횡폭 방향 내측의 벽면(35)과 외측의 벽면(36)이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그들 내측의 벽면(35)과 외측의 벽면(36) 사이의 공간의 외주부를 둘러싸는 외주벽(37)을 구비한 대략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횡측 커버부(22B)의 외측의 벽면(36)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다공 형상의 외기 도입부(34)가 형성되고, 흡기용 덕트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횡측 커버부(22B)는 상부측 커버부(22C)보다도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높이로 형성되어, 외기 도입부(34)의 면적을 충분히 많이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보닛(22)은 기체 전후 방향의 양 측부에 있어서, 기체 프레임(10)에 고정된 브래킷(38)에 지지축(39)을 통해 기체 전후 방향 축심(X)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엔진(23)의 주위를 둘러싸는 통상 자세(도 6 참조)와, 횡측 쓰러짐 상태의 메인터넌스용 자세(도 16 참조)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엔진 보닛(22)을 메인터넌스용 자세로 전환하면, 원동부(30)에 있어서의 엔진(23)의 상방측의 공간이 개방된 상태로 되어, 원동부(30)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엔진 보닛(22)이 통상 자세로 전환된 상태에서, 벽체(21)에 설치된 걸림구(100)에 결합하는 버클 기구(101)에 의해 위치 고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캐빈(1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12)은 조종 탑(15)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부측일수록 기체 전방측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로 형성되는 전방부 글래스면(40) 및 그 좌우 양측에 연결되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 형상의 측부 글래스면(41)을 구비한 전방면부(42), 운전 좌석(13)의 좌측에 위치하고, 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개폐 가능한 슬라이드식 창부(43)를 구비한 좌측면부(44), 운전 좌석(13)의 후방에 위치하고, 좌우 양측의 원호 형상의 글래스면(45) 및 평면 형상의 글래스면(46)을 구비한 후방면부(47) 및 상방의 전체면을 덮는 대략 판형상의 천장부(48)의 각각에 의해 캐빈 본체(49)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캐빈 본체(49)의 우측부에는 승강용 개구(50)(도 15 참조)가 형성되고, 이 승강용 개구(50)를 폐쇄하는 폐쇄 상태와 승강용 개구(50)를 형성하는 개방 상태에 걸쳐서, 기체 전방부측의 종방향 축심(Y1) 주위에서 요동 개폐 가능하게 도어(5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천장부(48)에는 운전실(R1)의 내부를 공조하는 공조 장치나 라디오(도시하지 않음)가 장비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1)는, 전방부측의 테두리부는 상하 방향 전체 폭에 걸쳐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방부측의 테두리부의 상반분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후방부측의 테두리부의 하반분은 엔진 보닛(22)의 횡측 커버부(22B)의 외주연을 따르도록 하방측일수록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51)는 외주부가 프레임(53)에 의해 지지되고, 그 프레임(53)으로 둘러싸이는 개소 중 전방부측의 영역은 창부(55)로 구성되고, 도어(51)의 후방부측의 영역은 벽체(56)로 구성되고, 이 벽체(56)에는 개폐 조작용 파지 조작부(57)가 구비되고, 그 파지 조작부(57)의 내부측에는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유지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창부(55)는 위치 고정 상태의 하측의 글래스(59)와, 종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상측의 글래스(60)의 상하 2매의 글래스로 이루어지고, 상측의 글래스(60)를 하방으로 슬라이드시켜 운전 좌석(13)에 착석하는 운전자의 횡측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캐빈(12)의 프레임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12)의 우측부에는 기체 전방부측에 위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또한 도어(51)를 개폐 가능하게 지지하고, 프론트 글래스부[전방부 글래스면(40) 및 측부 글래스면(41)]의 프레임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도어(51)의 프레임부를 형성하는 지주로서의 우측 전방부측 지주(61)와, 도어(51)의 요동 단부측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으로서의 우측 후방부측 지주(62)가 구비되고, 좌측면부에는 슬라이드식 창부(43)를 지지하기 위한 직사각 형상의 창틀 부재(63)가 구비되고, 천장부(48)에는 그 외주부를 따라서 천장용 프레임 부재(6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우측 후방부측 지주(62)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와 좌측면부(44)의 창틀 부재(63)에 걸쳐서, 천장용 프레임 부재(64)의 후방부측 부분과 대략 동일하게 평면에서 볼 때 만곡 형상으로 형성된 후방면부(47)의 하부 프레임부(47A)가 연결되어 있고, 전방면부(42)의 하부에는 우측 전방부측 지주(61)와 창틀 부재(63)에 걸쳐서, 평면에서 볼 때 만곡 형상으로 형성된 전방면부(42)의 하부 프레임부(42A)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 전방부측 지주(61), 우측 후방부측 지주(62), 창틀 부재(63), 천장용 프레임 부재(64), 후방면부(47)의 하부 프레임부(47A), 전방면부(42)의 하부 프레임부(42A)의 각각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캐빈(12)의 프레임이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전방부측 지주(6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자세 변경 시에 캐빈(12) 전체를 지지하기 위해 강성이 커지도록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우측 전방부측 지주(61)의 내부 공간을 이용하여 캐빈(12)의 내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공조 장치나 라디오 등의 전기 배선이나 공조용 배관 등이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후방부측 지주(62)는, 그 상단부가 천장용 프레임 부재(64)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도중 개소까지 연장되어 있고, 이 우측 후방부측 지주(62)의 하단부보다도 하방측은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51)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고 있으면, 캐빈(12)의 우측부의 후방부 하측의 개소는 엔진 보닛(22)이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용 자세로 전환될 때에 간섭하지 않도록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9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후방부측 지주(62)의 횡측 외측에는 운전자가 타고 내릴 때에 손으로 잡기 위한 파지 조작부(97)가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상부측 커버부(22C)의 슬라이드 레일(13A)을 따라서 운전 좌석(13)이 전후 위치 조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1)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에는, 캐빈(12)의 우측부의 후방부 하측이 개방된 상태로 되므로, 운전 좌석(13)을 슬라이드 레일(13A)을 따라서 최전방 위치로 슬라이드시키고,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보닛(22)의 상부에 운전 좌석(13)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 그대로 운전 좌석(13)이 캐빈(12)에 있어서의 승강용 개구(50)를 통과하는 형태로, 엔진 보닛(22)을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용 자세로 전환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후방부측 지주(62)에는 엔진 보닛(22)에 구비된 피연결부(66)가 연결되는 보닛 연결부(67)가 설치되고, 엔진 보닛(22)이 통상 자세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에서, 엔진 보닛(22)의 피연결부(66)와 보닛 연결부(67)에 걸쳐서 노브 볼트(68)를 나사 결합하여 체결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우측 후방부측 지주(62)와 엔진 보닛(22)을 연결함으로써, 캐빈(12)의 후방부의 강성을 더욱 높이도록 하고 있다.
또한, 우측 후방부측 지주(62)에는 도어(51)를 폐쇄 상태로 위치 유지하기 위해 도어(51)에 구비된 유지 기구를 걸림 유지하기 위한 도어 유지부(69)가 설치되어 있고, 우측 후방부측 지주(62)의 횡측부 및 횡측 커버부(22B)의 외주벽에는, 도어(51)의 요동 단부측의 테두리부를 수용하는 수용부(7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51)의 외주부에는 수용부(70)에 접촉하여 도어(51)가 폐쇄된 상태에서 운전실(R1)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한 시일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노브 볼트(68)에 의해 체결된 엔진 보닛(22)의 횡측 커버부(22B)와 우측 후방부측 지주(62)에 의해, 도어(51)의 요동 단부측 부분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12)에 있어서의 후방면부(47)의 하부에 있어서, 급기부(R2)와 운전실(R1)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부(29)로서, 캐빈(12)의 후방면부(47)의 하부 프레임부(47A)에 연결되는 수평면부(72)와, 그 수평면부(72)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종벽부(7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종벽부(73)의 상측의 일부를 구성하는 상부측 종벽 부분(73A)이 캐빈(12)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종벽부(73)의 하측의 일부를 구성하는 하부측 종벽 부분(73B)은, 엔진 보닛(22)에 있어서의 상부측 커버부(22C)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하부측 종벽 부분(73B)의 상단부 테두리(73B1)와 상부측 종벽 부분(73A)의 하단부 테두리(73A1)가 상하로 맞대어져 겹쳐짐으로써 종벽부(73)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캐빈(12)의 기체 프레임(10)에 대한 지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캐빈(12)은 운전부(11)의 상방을 덮는 통상 사용 자세(도 1 참조)와, 운전부(11)의 상방을 개방하는 동시에 예취부(3)의 상방에 씌우도록 예취부(3)와 상하 방향으로 중복되는 쓰러짐 자세의 일례로서의 전방 쓰러짐 자세(도 11 참조)(통상 사용 자세로부터 약 90도 경사지는 자세)에 걸쳐서, 하부의 횡축 코어(P2)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10)에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캐빈(12)은 기체 전방부측이 기체 프레임(10)에 있어서의 전방부측 프레임(10B)의 상부 전단부측 개소에 횡축 코어(P2)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12)의 기체 전방부측의 우측 개소에 있어서는, 우측 전방부측 지주(61)의 하단부가, 전방부측 프레임(10B)에 고정된 베어링부(74)로 지지되는 횡방향 지지축(75)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베어링부(74)는 전방부측 프레임(10B)에 볼트(76)로 고정되는 베이스체(77)와, 베이스체(77)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좌우 한 쌍의 종판부(78)와, 좌우 한 쌍의 종판부(78)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횡방향 지지축(75)이 내부 삽입되는 통 부재(79)로 이루어져, 횡방향 지지축(75)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전방부측 지주(61)의 하단부에 있어서 좌우 양측면에 각각 고착된 좌우 한 쌍의 지지 부재(80)가, 베어링부(74)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는 횡방향 지지축(75)에 외부 삽입 장착되어 있어, 우측 전방부측 지주(61)가 횡방향 지지축(75)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의 휘청거림이 적은 안정된 상태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지지 부재(80)는 와셔(81a)를 통해 빠짐 방지 핀(81b)으로 빠짐 방지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전방부측 지주(61)에 고착되는 좌우 한 쌍의 지지 부재(80)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역방향 사다리꼴 형상의 판체로 구성되고, 우측 전방부측 지주(6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규제면(80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캐빈(12)이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되었을 때에, 규제면(80b)이 전방부측 프레임(10B)의 횡측벽에 고정된 수용 지지부(54)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요동이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3 참조).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12)의 좌측에 있어서는, 창틀 부재(63)의 하측 프레임부(63a)의 중간부에 연결되고 또한 측면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으로 굴곡 형성된 지지 아암(52)이, 전방부측 프레임(10B)에 고정된 베어링부(82)에 지지되는 횡방향 지지축(83)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피봇 연결되어 있다. 이 베어링부(82)는 우측의 베어링부(74)와 마찬가지로, 베이스체(77), 좌우 한 쌍의 종판부(78) 및 통 부재(79)로 이루어져, 횡방향 지지축(83)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좌우 양측의 횡방향 지지축(75, 83)의 축심은 동일 횡축 코어(P2)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캐빈(12)의 좌측에 있어서는, 캐빈(12)이 통상 사용 자세에 있을 때에, 창틀 부재(63)의 하면을 기체 프레임(10)으로부터 고정 세워 설치된,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아치형의 좌측 프레임(10C)으로 수용하여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아암(52)의 하단부에 있어서 좌우 양측면에 각각 고착된 좌우 한 쌍의 지지 부재(84)가, 베어링부(82)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는 횡방향 지지축(83)에 외부 삽입 장착되어 있어, 지지 아암(52)이 횡방향 지지축(83)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의 휘청거림이 적은 안정된 상태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지지 부재(84)는 와셔를 통해 빠짐 방지 핀(도시하지 않음)으로 빠짐 방지되어 있다.
또한, 이 지지 부재(84)는 우측 전방부측 지주(61)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지지 부재(80)의 규제면(80b)과 동일한 규제면(84b)이 형성되고, 캐빈(12)이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되었을 대에 규제면(84b)이 수납 지지부(54)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요동이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8 참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아암(52)의 피봇 지지 개소는 예취부(3)에 있어서의 종반송 장치(7) 등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캐빈(12)의 좌측 단부보다도 기체 횡폭 방향 중앙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어, 지지 아암(52)은 측면에서 볼 때뿐만 아니라 기체 전후 방향에서 볼 때에 있어서도 대략 L자형으로 굴곡 형성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전방부측 지주(61)에 고착되는 지지 부재(80)에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피걸림부(85)가 설치되고, 캐빈(12)이 통상 사용 자세로부터 약 20도만큼 전방으로 쓰러지는 중간 경사 자세로 되면, 이 피걸림부(85)에 걸려 그 이상의 전방 경사를 규제하는 걸림 부재(86)가 설치되어 있다(도 14 참조). 걸림 부재(86)는 기단부측이 전방부측 프레임(10B)에 고정된 종판 부재(87)에 횡방향 축심(P3)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요동 단부측에 피걸림부(85)에 걸려 결합 가능한 훅부(8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걸림 부재(86)는 훅부(88)가 피걸림부(85)에 걸리는 걸림 위치(도 12 참조) 및 하향으로 요동하여 훅부(88)가 피걸림부(85)로부터 이격되는 걸림 해제 위치(도 13 참조)의 각각에 선택적으로 위치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 부재(86)에 있어서의 요동 축심(P3)보다도 기체 후방부측의 요동 도중부에 형성된 걸림 핀(89)이, 종판 부재(87)에 형성된 원호 형상의 긴 구멍(90)을 삽입 관통하여 그 긴 구멍(90)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걸림 핀(89)을 기체 전방측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91)이 설치되어 있다.
걸림 핀(89)은 코일 스프링(91)에 의해 긴 구멍(90)의 중앙부의 데드 포인트(DP)의 상측 및 하측의 각각에 있어서, 전방측으로 가압되는 구성으로, 데드 포인트(DP)를 상측으로 초과하면, 걸림 위치를 향해 이동 압박되고, 데드 포인트(DP)를 하측으로 초과하면, 걸림 해제 위치를 향해 이동 압박되게 되어, 걸림 위치 및 걸림 해제 위치의 각각에 선택적으로 위치 유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통상 사용 자세로부터 약 20도만큼 전방으로 쓰러지는 중간 경사 자세라고 하는 것은, 캐빈(12)의 쓰러짐 조작에 있어서의 노동력 부담이 비교적 적은 상태에서, 원동부(30)에 있어서의 경미한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사용 자세에 있어서, 캐빈(12)에 있어서의 우측 전방부측 지주(61)의 하단부에 고착된 바닥판(61A)이 전방부측 프레임(10B)에 볼트(61B)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캐빈(12)을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할 때에는, 이 볼트(61B)를 제거하게 된다.
캐빈(12)의 후방부는 통상 사용 자세에 있어서, 후방면부(47)의 하부 프레임부(47A)의 좌우 중앙부로부터 연장 설치한 연결 부재(92)가, 기체 프레임(10)으로부터 세워 설치한 지지 프레임(27)의 상단부에 고정된 지지 브래킷(94)에 노브 볼트(95)로 체결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캐빈(12)의 전방부가 상부측 부분(D1)과 하부측 부분(D2)으로 분할되어, 통상 사용 자세에서는 상기 상부측 부분(D1)이 상기 하부측 부분(D2)에 연결되는 상태로 위치하고, 또한 전방 쓰러짐 자세에서는 상기 상부측 부분(D1)이 상기 하부측 부분(D2)으로부터 이격되어 예취부(3)와 상하 방향으로 중복되는 상태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조종 탑(15)의 전방벽 부분(15A)은 외부로 노출되는 외벽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고, 캐빈(12)의 전방면부(42)와 조종 탑(15)의 전방벽 부분(15A)에 의해, 캐빈(12)의 전방부의 외벽면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캐빈(12)의 전방면부(42)는, 통상 사용 자세에서는 조종 탑(15)의 전방벽 부분(15A)의 상부측에 설치된 상부 수용면(103)에 접속되어 연결되는 상태로 위치하고, 전방 쓰러짐 자세에서는 조종 탑(15)의 전방벽 부분(15A)으로부터 이격되어 예취부(3)와 상하 방향으로 중복되는 상태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캐빈(12)의 전방면부(42)가 상부측 부분(D1)에 상당하고, 조종 탑(15)의 전방벽 부분(15A)이 하부측 부분(D2)에 상당하는 것으로 된다.
캐빈(12)의 통상 사용 자세로부터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될 때에는, 캐빈(12)의 전방면부(42)의 하부측, 즉 캐빈(12)의 전방부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고, 우측 전방부측 지주(61)와 지지 아암(52) 사이의 넓은 영역이 개방되어 큰 개구부(Q)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Q)는 캐빈(12)이 전방 쓰러짐 자세로부터 통상 사용 자세로 전환되면, 조종 탑(15)에 의해 막혀 캐빈(12)의 전방부 하부가 폐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캐빈(12)을 통상 사용 자세와 전방 쓰러짐 자세에 걸쳐서 자세 변경할 때에, 캐빈(12)의 하중은 우측 전방부측 지주(61)와 지지 아암(52)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게 되지만, 우측 전방부측 지주(61)가 주로 하중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지지 아암(52)은 보조적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전방부측 지주(61)는 예취부(3)의 우측 단부보다도 우측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횡축 코어(P2) 주위에서 전방으로 쓰러지게 해도 예취부(3)에 간섭하는 일은 없다.
한편, 지지 아암(52)은 기체 전후 방향에서 볼 때 예취부(3)와 중복되는 위치에 설치되지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캐빈(12)이 전방 쓰러짐 자세에 있을 때에는 예취부(3)의 상방을 통과하는 상태로 예취부(3)를 우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리 클리너(26)는 캐빈(12)의 천장부(48)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지지되어 있으므로, 캐빈(12)을 통상 사용 자세로부터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할 때에는, 캐빈(12)은 프리 클리너(26)를 천장부(48)에서 유지한 채 자세 변경하지만, 그때, 프리 클리너(26)의 하측 개소에 있어서, 흡기 호스(25)를 분리함으로써, 하부측의 흡기 호스(25) 및 에어 클리너(24)는 주행 기체(2)측에 남게 된다(도 11 참조).
또한,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프리 클리너(26)를 천장부(48)로부터 분리하여, 프리 클리너(26)가 주행 기체(2)측에 남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12)이 통상 사용 자세로부터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캐빈(12)의 전방부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Q)에 대해 예취부(3)의 상부가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12)이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캐빈(12)의 전단부[통상 사용 자세에서는 천장부(48)의 최상부]가 예취부(3)의 분초구(4)의 전단부보다도 설정 거리만큼 전방측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되고, 캐빈(12)의 상단부[통상 자세에서는 천장부(48)의 최후방부]는 흡기 호스(25)의 상단부 위치[프리 클리너(26)가 기체측에 남을 때에는 프리 클리너(26)의 상단부 위치]와 대략 동일한 높이이고, 곡립 배출용 오거(102)보다도 조금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 높이는 통상 자세에 있어서의 높이(도 1 참조)보다도 설정량만큼 낮은 높이로 된다.
캐빈(12)의 통상 사용 자세와 전방 쓰러짐 자세에 걸치는 자세 변경 조작은 수동 조작으로 행해지지만, 우측 전방부측 지주(61)의 기체 외측에 면하는 개소에, 수동으로 자세 변경을 행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장척의 파지 조작부(96)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캐빈(12)을 통상 사용 자세와 전방 쓰러짐 자세에 걸쳐서 자세 변경시킬 때에는, 큰 하중이 가해지므로, 예를 들어 호이스트나 크레인 등의 외부 보조 장치를 사용하여 하중을 지지하면서 자세 변경하거나, 자세 변경 조작에 수반하는 노동력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 캐빈(12)의 하중을 보조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대형의 에어 댐퍼(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단, 캐빈(12)을 전방 쓰러짐 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것은, 대규모의 정비 점검 작업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 혹은, 예를 들어 콤바인을 컨테이너(도시하지 않음)로 수송하는 경우에, 컨테이너에 수납 가능한 높이로 수납하기 위해 자세 변경하는 경우이고, 빈도는 그다지 많지 않으므로, 그와 같은 자세 변경 조작을 행할 때에만, 상기한 바와 같은 외부 보조 장치나 별도 장착되는 대형의 에어 댐퍼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이 에어 댐퍼는 우측 전방부측 지주(61)의 요동 지지점보다도 조금 상방측의 개소와, 엔진 보닛(22)에 있어서의 요동 지지점보다도 기체 전방측 개소에 걸쳐서 설치되게 된다.
캐빈(12)이 통상 사용 자세이면, 캐빈(12)과 엔진 보닛(22)이 접속되는 상태로 되고, 캐빈(12)이 전방 쓰러짐 자세로 되면, 캐빈(12)과 엔진 보닛(22)이 분리되게 되지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벽부(73)가 엔진 보닛(22)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하부측 종벽 부분(73B)과 캐빈(12)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상부측 종벽 부분(73A)의 각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측 종벽 부분(73B)의 상단부 테두리(73B1) 및 상부측 종벽 부분(73A)의 하단부 테두리(73A1)의 각각이, 횡측 커버부(22B)의 존재측 개소로부터 기체 횡폭 방향 내측을 향할수록 하방에 위치하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측 종벽 부분(73B)의 상단부 테두리(73B1)의 경사 각도가, 엔진 보닛(22)을 전후 축심(X) 주위에서 통상 자세와 메인터넌스용 자세에 걸쳐서 요동시킬 때, 하부측 종벽 부분(73B)의 상단부 테두리(73B1)가 캐빈(12)에 간섭하는 일이 없고, 또한 엔진 보닛(22)이 통상 자세로 전환되면, 하부측 종벽 부분(73B)의 상단부 테두리(73B1)와 상부측 종벽 부분(73A)의 하단부 테두리(73A1)가 상하로 맞대어져 겹쳐지는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측 종벽 부분(73B)의 상단부 테두리(73B1)와 상부측 종벽 부분(73A)의 하단부 테두리(73A1)가 겹쳐짐으로써, 급기부(R2)와 운전실(R1)을 구획하는 종벽부(73)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하부측 종벽 부분(73B)의 상단부 테두리(73B1)와 상부측 종벽 부분(73A)의 하단부 테두리(73A1)가 상하로 맞대어져 겹쳐지면, 그들 사이에는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일재를 개재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콤바인에서는, 예를 들어 엔진 오일의 급유 등의 정기적인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때에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12)의 도어(51)를 개방 상태로 전환하고 있는 상태에서, 운전 좌석(13)을 최전방 위치로 슬라이드시키고, 또한 버클 기구(101)의 결합을 해제해 두고, 캐빈(12)으로 운전부(11)를 덮고 있는 상태 그대로, 노브 볼트(68)를 느슨하게 하여 엔진 보닛(22)의 피연결부(66)와 캐빈(12)의 보닛 연결부(67)의 연결을 해제하고, 엔진 보닛(22)을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용 자세로 전환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콤바인을 컨테이너로 수송하는 경우에, 컨테이너에 수납 가능한 높이로 수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브 볼트(68)를 느슨하게 하여 엔진 보닛(22)과 캐빈(12)의 연결을 해제하고, 노브 볼트(95)를 느슨하게 하여 후방면부(47)의 하부 프레임부(47A)로부터 연장 설치한 연결 부재(92)와 지지 브래킷(94)의 연결을 해제하고, 또한 볼트(61B)를 느슨하게 하여 우측 전방부측 지주(61)의 바닥판(61A)과 원동부 프레임(10B)의 연결을 해제한 후, 도시하지 않은 대형의 에어 댐퍼를 장착하고, 파지 조작부(96)를 조작하면서, 캐빈(12)을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엔진(23) 주위나 운전부(11)의 주위 등의 대규모의 정비 점검 작업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엔진 보닛(22)을 통상 자세로부터 메인터넌스용 자세로 전환하는 동시에, 캐빈(12)을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1)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캐빈(12)이, 운전부(11)의 상방을 덮는 통상 사용 자세와, 운전부(11)의 상방을 개방하는 동시에 예취부(3)의 상방에 씌워지도록 예취부(3)와 상하 방향으로 중복되는 전방 쓰러짐 자세에 걸쳐서, 하부의 횡축 코어(P2)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10)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캐빈(12)이 통상 사용 자세에서 위치 고정 상태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2)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운전실(R1)과 급기부(R2)를 구획하는 종벽부(73)가 설치되고, 이 종벽부(73)가, 하부측 종벽 부분(73B)과 상부측 종벽 부분(73A)으로 구성되어, 하부측 종벽 부분(73B)의 상단부 테두리(73B1) 및 상부측 종벽 부분(73A)의 하단부 테두리(73A1)의 각각이,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종벽부(73)를 제거 가능하게 구성하거나, 혹은 종벽부(73)를 구비하지 않고 운전실(R1)과 급기부(R2)를 구획하지 않고 개방 상태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다른 실시 형태〕
(3)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캐빈(12)이, 전방 쓰러짐 자세로서 통상 사용 자세로부터 약 90도 경사지는 횡측 쓰러짐 자세로 전환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전방 쓰러짐 자세로서는,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취부(3)에 씌워지도록 상하에 중복되는 상태로 되는 것이면 좋고, 경사 각도는 90도보다도 작은 각도라도 좋고, 또한 90도보다 큰 각도라도 좋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캐빈(12)의 전방면부(42)가 상부측 부분(D1)에 상당하고, 조종 탑(15)의 전방벽 부분(15A)이 하부측 부분(D2)에 상당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조종 탑(15)이 캐빈(12)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캐빈(12)의 전방부를, 전방면부(42)와, 거기에 연결되는 하부측 벽체(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통상 사용 자세에서는, 전방면부(42)와 하부측 벽체가 연결되는 상태로 되고, 전방 쓰러짐 자세에서는 하부측 벽체가 그대로 남고 전방면부(42)만이 전방으로 요동하도록 구성하고, 캐빈(12)의 전방면부(42)가 상부측 부분(D1)에 상당하고, 하부측 벽체가 하부측 부분(D2)에 상당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라도 좋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 한 쌍의 지지 아암으로서, 우측 전방부측 지주(61)와 지지 아암(81)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우측 전방부측 지주(61)의 지지 강도를 높여, 이 우측 전방부측 지주(61)만으로 캐빈(12)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캐빈(12)이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되었을 때에, 하방으로 연장하여 바닥면(지면)에 접지 작용하는 작용 자세와 상방으로 후퇴하는 비작용 자세로 전환하여 자유로운 수용 조작체를 캐빈(12)에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다른 실시 형태〕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캐빈(12)이, 쓰러짐 자세로서, 통상 사용 자세로부터 약 90도 경사지는 전방 쓰러짐 자세 및 통상 사용 자세로부터 약 20도 경사지는 중간 경사 자세로 전환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쓰러짐 자세로서, 경사 각도가 90도보다도 작은 각도 경사지는 것이나, 90도보다 큰 각도 경사지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쓰러짐 자세로서, 기체 전방측으로 쓰러지는 대신에, 캐빈(12)이 기체 전후 축심 주위에서 기체 횡측 외측으로 경사지는 횡측 쓰러짐 자세로 전환되는 구성, 혹은 기체 전후 방향에 대해 경사 방향을 따르는 축심 주위에서 기체 외측으로 경사지는 경사 쓰러짐 자세로 전환되는 구성 등이라도 좋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캐빈(12)이, 쓰러짐 자세로서, 운전부(11)의 상방을 개방하는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캐빈(12)이 그 내부에 운전부(11)를 구비한 채로 일체적으로 쓰러짐 자세로 전환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종 탑(15)의 전방벽 부분(15A)은 외부에 노출되는 외벽을 구성하도록 되어 있고, 캐빈(12)의 전방면부(42)와 조종 탑(15)의 전방벽 부분(15A)에 의해, 캐빈(12)의 전방부의 외벽면이 형성되어, 캐빈(12)의 전방면부(42)가 상부측 부분(D1)을 구성하고, 조종 탑(15)의 전방벽 부분(15A)이 하부측 부분(D2)을 구성하도록 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조종 탑(15)이 캐빈(12)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태로 설치되고, 캐빈(12)의 전방부를, 전방면부(42)[상부측 부분(D1)]와, 거기에 연결되는 하부측 벽체[하부측 부분(D2)](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통상 사용 자세에서는, 전방면부(42)와 하부측 벽체가 연결되는 상태로 되고, 전방 쓰러짐 자세에서는 하부측 벽체가 그대로 남고 전방면부(42)만이 전방으로 요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라도 좋다.
(9)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캐빈(12)이 우측 전방부측 지주(61)와 지지 아암(52)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을 도시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 대신에, 지지 아암(52)을 구비하지 않고, 우측 전방부측 지주(61)만으로 캐빈(12)을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자탈형 혹은 통상형의 콤바인이며, 전방부에 예취부를 구비하고 또한 운전부를 덮는 캐빈을 구비한 자탈형 혹은 통상형의 콤바인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탈형 혹은 통상형의 콤바인이며, 주행 기체의 전방측에 예취부가 구비되고, 주행 기체의 전방부 횡일측 개소에 위치하는 운전부의 상방을 덮는 캐빈이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부에 예취부를 구비하고 또한 운전부를 덮는 캐빈을 구비한 콤바인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주행 기체의 전방부 횡일측 개소에 위치하는 운전부와, 상기 운전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원동부와, 상기 운전부의 상방을 덮는 캐빈이 구비되고,
    상기 원동부가, 엔진 및 그 엔진을 둘러싸는 엔진 보닛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또한 상기 엔진 보닛의 상부에 운전 좌석이 지지되어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캐빈이, 승강용 개구를 형성하는 개방 상태와 상기 승강용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 상태에 걸쳐서, 기체 전방부측의 종방향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개폐 가능한 도어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엔진 보닛이, 상기 엔진의 전방부측을 덮는 전방부측 커버부, 상기 엔진의 횡일측을 덮고 또한 외기 도입부를 구비한 횡측 커버부 및 상기 엔진의 상부측을 덮는 상부측 커버부의 각각이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로 구성되고,
    상기 운전 좌석이 상기 도어의 개방 상태에서의 상기 승강용 개구를 통과하는 형태로 기체 내측에 위치하는 통상 자세와 기체 횡측 외측으로 돌출되는 메인터넌스용 자세로 전환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엔진 보닛이, 상기 횡측 커버부에 있어서의 하단부의 기체 전후 방향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엔진 보닛에 있어서의 상기 상부측 커버부의 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운전 좌석의 후방측에 에어 클리너를 구비한 급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측 커버부의 상부에 상기 급기부와 상기 운전 좌석이 구비되는 운전실을 구획하는 종벽부가 설치되고,
    상기 종벽부가, 상기 상부측 커버부와 일체적으로 설치된 하부측 종벽 부분과, 상기 캐빈과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부측 종벽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측 종벽 부분의 상단부 테두리 및 상기 상부측 종벽 부분의 하단부 테두리의 각각이, 상기 횡측 커버부의 존재측 개소로부터 기체 횡폭 방향 내측을 향할수록 하방에 위치하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상기 도어의 요동 단부측의 종방향 테두리부가 접촉 작용하는 캐빈 본체측의 종테두리부에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상기 엔진 보닛에 구비된 피연결부가 연결되는 보닛 연결부와, 상기 도어를 상기 폐쇄 상태로 위치 유지하기 위한 도어 유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3. 삭제
  4. 주행 기체의 전방측에 예취부가 구비되고, 주행 기체의 전방부 횡일측 개소에 위치하는 운전부의 상방을 덮는 캐빈이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캐빈이, 상기 운전부의 상방을 덮는 통상 사용 자세와, 상기 운전부의 상방을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예취부의 상방에 씌워지도록 상기 예취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복되는 전방 쓰러짐 자세에 걸쳐서, 하부의 횡축 코어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캐빈이 상기 통상 사용 자세로부터 상기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되면, 상기 캐빈의 전방부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상기 예취부의 상부가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5. 삭제
  6. 주행 기체의 전방측에 예취부가 구비되고, 주행 기체의 전방부 횡일측 개소에 위치하는 운전부의 상방을 덮는 캐빈이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캐빈이, 상기 운전부의 상방을 덮는 통상 사용 자세와, 상기 운전부의 상방을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예취부의 상방에 씌워지도록 상기 예취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복되는 전방 쓰러짐 자세에 걸쳐서, 하부의 횡축 코어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캐빈의 전방부가 상부측 부분과 하부측 부분으로 분할되고,
    상기 통상 사용 자세에서는 상기 상부측 부분이 상기 하부측 부분에 연결되는 상태로 위치하고, 또한 상기 전방 쓰러짐 자세에서는 상기 상부측 부분이 상기 하부측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예취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복되는 상태로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쓰러짐 자세가, 상기 통상 사용 자세로부터 90도 경사지는 횡측 쓰러짐 자세인, 콤바인.
  8. 주행 기체의 전방측에 예취부가 구비되고, 주행 기체의 전방부 횡일측 개소에 위치하는 운전부의 상방을 덮는 캐빈이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캐빈이, 상기 운전부의 상방을 덮는 통상 사용 자세와, 상기 운전부의 상방을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예취부의 상방에 씌워지도록 상기 예취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복되는 전방 쓰러짐 자세에 걸쳐서, 하부의 횡축 코어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캐빈이, 상기 예취부의 상방에 씌워지도록 상기 횡축 코어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지지 아암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좌우 한 쌍의 지지 아암 중 일측에 위치하는 지지 아암이 상기 예취부의 횡측 단부보다도 횡측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타측에 위치하는 지지 아암이 기체 전후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예취부와 중복되는 동시에 상기 전방 쓰러짐 자세로 상기 예취부의 상방을 통과하도록 굴곡 형성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9. 주행 기체의 전방측에 예취부가 구비되고, 주행 기체의 전방부 횡일측 개소에 위치하는 운전부의 상방을 덮는 캐빈이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이며,
    상기 캐빈이, 프론트 글래스부의 프레임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프레임부를 형성하는 지주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또한 상기 지주의 하단부를 수평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기체 프레임에 지지함으로써, 통상 사용 자세와, 그 통상 사용 자세보다도 기체 외측으로 경사지는 쓰러짐 자세에 걸쳐서 자세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캐빈이, 상기 쓰러짐 자세로서, 상기 운전부의 상방을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예취부의 상방에 씌워지도록 상기 예취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복되는 전방 쓰러짐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고, 상기 수평 축심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상기 기체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캐빈이 상기 통상 사용 자세로부터 상기 전방 쓰러짐 자세로 전환되면, 상기 캐빈의 전방부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상기 예취부의 상부가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전방부가 상부측 부분과 하부측 부분으로 분할되고,
    상기 통상 사용 자세에서는 상기 상부측 부분이 상기 하부측 부분에 연결되는 상태로 위치하고, 또한 상기 쓰러짐 자세에서는 상기 상부측 부분이 상기 하부측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하부측 부분에 상당하는 개소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13. 제9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쓰러짐 자세가, 상기 통상 사용 자세로부터 90도 기체 전방으로 경사지는 전방 쓰러짐 자세인, 콤바인.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이, 상기 예취부의 상방에 씌워지도록 상기 횡축 코어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지지 아암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좌우 한 쌍의 지지 아암 중 일측에 위치하는 지지 아암이 상기 예취부의 횡측 단부보다도 횡측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타측에 위치하는 지지 아암이 기체 전후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예취부와 중복되는 동시에 상기 전방 쓰러짐 자세로 상기 예취부의 상방을 통과하도록 굴곡 형성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이, 상기 예취부의 상방에 씌워지도록 상기 횡축 코어 주위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지지 아암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좌우 한 쌍의 지지 아암 중 일측에 위치하는 지지 아암이 상기 예취부의 횡측 단부보다도 횡측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타측에 위치하는 지지 아암이 기체 전후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예취부와 중복되는 동시에 상기 전방 쓰러짐 자세로 상기 예취부의 상방을 통과하도록 굴곡 형성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콤바인.
KR1020110091340A 2010-11-11 2011-09-08 콤바인 KR1018618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53195A JP5635875B2 (ja) 2010-11-11 2010-11-11 コンバイン
JPJP-P-2010-253195 2010-11-11
JPJP-P-2010-253196 2010-11-11
JP2010253196A JP5616755B2 (ja) 2010-11-11 2010-11-11 コンバイン
JPJP-P-2010-283482 2010-12-20
JP2010283482A JP5722611B2 (ja) 2010-12-20 2010-12-20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893A KR20120050893A (ko) 2012-05-21
KR101861853B1 true KR101861853B1 (ko) 2018-05-28

Family

ID=46268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1340A KR101861853B1 (ko) 2010-11-11 2011-09-08 콤바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67174B2 (ja) * 2019-11-26 2023-05-01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WO2023287215A2 (ko) * 2021-07-15 2023-01-1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0112A (ja) * 2005-05-13 2005-10-0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2006121937A (ja) * 2004-10-27 2006-05-18 Kubota Corp キャビン付き収穫機の原動部構造
JP2007028941A (ja) 2005-07-25 2007-02-08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10148434A (ja) 2008-12-25 2010-07-08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1937A (ja) * 2004-10-27 2006-05-18 Kubota Corp キャビン付き収穫機の原動部構造
JP2005270112A (ja) * 2005-05-13 2005-10-0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2007028941A (ja) 2005-07-25 2007-02-08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10148434A (ja) 2008-12-25 2010-07-08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893A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35875B2 (ja) コンバイン
JP4542475B2 (ja) コンバイン
JP6104009B2 (ja) コンバイン
JP2007037460A (ja) コンバイン
KR101861853B1 (ko) 콤바인
JP5722611B2 (ja) コンバイン
KR101951953B1 (ko) 콤바인, 콤바인의 탑승 운전부 구조, 및 콤바인에 있어서의 곡립 배출용 오거의 조작 장치
JP5616755B2 (ja) コンバイン
JP6370433B2 (ja) コンバイン
JP6121861B2 (ja) コンバイン
JP4691188B2 (ja) コンバイン
JP5984724B2 (ja) コンバイン
JP3363622B2 (ja) 無人ヘリ運搬用車載補助具
JP6230245B2 (ja) コンバイン
JP2010035425A (ja) コンバイン
JP2016101121A (ja) 草刈機
JP4312165B2 (ja) 収穫機のドア開閉構造
JP2014183817A5 (ko)
JP6041725B2 (ja) コンバインの穀粒回収装置
WO2016076141A1 (ja) 多目的車両
JPH0970218A (ja) コンバインのキャビン構造
KR20170112976A (ko) 자탈형 콤바인
JP4564380B2 (ja) コンバインのドア開閉構造
JP2006238793A (ja) コンバインのドア開閉構造
JP6168219B2 (ja) 乗用草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