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622B1 - 살균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살균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622B1
KR101861622B1 KR1020160151810A KR20160151810A KR101861622B1 KR 101861622 B1 KR101861622 B1 KR 101861622B1 KR 1020160151810 A KR1020160151810 A KR 1020160151810A KR 20160151810 A KR20160151810 A KR 20160151810A KR 101861622 B1 KR101861622 B1 KR 101861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illumination
led
sterilizing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1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4183A (ko
Inventor
김성수
박춘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젬
Priority to KR1020160151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622B1/ko
Publication of KR20180054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4Visible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0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살균 대상물이 배치되는 피조사대; 상기 피조사대의 상부에서 상기 피살균 대상물을 조사하되, 기판과 상기 기판에 장착되는 일반조명을 위한 복수의 조명LED와 상기 기판에 장착되며 가시광 영역대의 파장을 조사하여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살균LED를 포함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살균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 시스템{LED lighting system capable of Sterilizing}
본 발명은 가시광영역대에서 일반조명을 위한 LED와 살균을 위한 LED가 싱크대 등에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함 없이 조명과 살균이 동시에 구현되도록 하여 위생이 도모되고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은 실내외에서 어두운 공간을 밝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조명등으로 형광등은 형광물질이 도포된 진공의 유리관에 수은과 아르곤을 넣고 수은의 방전으로 생긴 자외선을 가시광선으로 전환시켜 조명용도로 사용되는 조명기구이다.
그러나 형광등은 백열등에 비하면 소비전력은 작지만 수명이 짧아 교체주기가 다소 짧은 문제도 있다. 더욱이 형광등의 초기 방전을 위하여 고전압을 걸어주기 위한 안정기 등이 적용된다. 이러한 형광등의 소비전력 및 수명과 대비하여 오랜 수명과 저전력에서의 발광, 그리고 콤팩트한 사이즈와 제조에 따른 친환경성을 강조한 LED(발광다이오드)가 주요 조명등으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LED 조명등은 제조단가가 높다는 단점은 있지만 적용범위의 확대에 따른 양산의 경우에는 낮은 가격으로 설치가 가능할 것이고, 특히 통상 10만 시간의 수명을 자랑하므로 초기 설치비용은 다소 높지만 전력절감과 더불어 사용시간에 따른 사용비용의 절감이 예상된다.
한편 LED는 발광 특성에 따라 적외선을 발광하는 적외선 LED, 가시광을 발광하는 가시광 LED, 및 자외선을 발광하는 자외선 LED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중 자외선(Ultra Violet Rays, UV) LED는, DNA나 RNA를 가진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살균을 위한 수단으로서 적용되고 있으며 조명과 연동하여 실내정화의 용도로 사용되는 예도 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조명과 연동하여 실내정화의 용도로 사용되는 조명장치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71143호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용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LED;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용 LED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LED가 탑재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과 일정 간격을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조명용 LED와 상기 자외선 LED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명용 LED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LED는 상기 기판에 일체로 실장되어 박판 형태의 단일 모듈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는 응용 제품의 내벽 상에 위치하는 상기 단일 모듈을 덮어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발광다이오드 조명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조명에 더하여 실내정화 등을 위한 살균용도로 자외선 LED가 사용되도록 하는 기술인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자외선은 DNA나 RNA를 가진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된 바와 같이 이를 직접적으로 인체에 조사하는 경우 인체에 유해하게 작용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7114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체에 유해함 없이 가시광 영역대에서 일반조명 및 살균조명이 싱크대 등에 조사되도록 하여 위생이 도모되고 악취를 제어할 수 있는 조명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살균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 시스템은, 피조사대의 상부에서 피살균대상물을 조사하되, 기판과 상기 기판에 장착되는 일반조명을 위한 복수의 조명LED와 상기 기판에 장착되며 가시광 영역대의 파장을 조사하여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살균LED를 포함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살균LED는 400 내지 500nm영역의 가시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상기 조명부에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나노다이아몬드 분말 50 내지 150중량부, 선형 나노금속분말 50 내지 150중량부, 소수성 실리카 10 내지 30중량부, 망간황화물 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방열코팅층이 도포된 히트싱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방열코팅층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글리콜류 1 내지 5중량부, 폴리에틸렌이민 1 내지 3중량부, 치아씨드 분말 0.5 내지 1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싱크대, 마트 가판대, 전시대 등의 그릇, 과일, 육류 등에 대해 조명과정에서 가시광 영역대의 살균조명을 조사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함이 없이 박테리아를 불활성화 시켜 살균 및 악취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서 조명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서 조명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으로서 피조사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살균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 시스템(1)은, 피조사대(3)의 상부에서 피살균 대상물(31)을 조사하되, 기판(21)과 상기 기판(21)에 장착되는 일반조명을 위한 복수의 조명LED(22)와 상기 기판(21)에 장착되며 가시광 영역대의 파장을 조사하여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살균LED(23)를 포함하는 조명부(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피살균 대상물(31)에 대해 조명LED(22)와 살균LED(23)를 선택/병합하여 운용하되 조명LED(22)는 물론 살균LED(23)도 가시광 영역의 광을 조사하여 살균기능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함이 없이 조명 및 살균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기판(21)은 조명LED(22)와 살균LED(23)가 탑재되는 베이스를 지칭한다. 기판(21) 상에 함께 실장되는 조명LED(22) 및 살균LED(23)는 박판 형태의 단일 LED 모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도 2에서는 도면번호가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복수의 확장부와 상기 확장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형태로 기판(21)이 형성된 예가 도시되고 있는 바, 상기 확장부에 조명LED(22)와 살균LED(23)가 실장되도록 하고 각 확장부의 조명LED(22)와 살균LED(23)가 연결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판(21)을 구성하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재료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확장부에 해당하는 부분만 방열수단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명LED(22)는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발광다이오드를 지칭한다. 조명LED(22)는 다이오드의 성질을 갖고, 전류를 인가하면 붉은색, 녹색, 노란색, 파란색 등의 다양한 빛을 발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단, 상기 조명LED(22)는 이하에서 설명할 살균LED(23)와 동시에 조사가 되므로 상기 살균LED(23)가 청색광을 조사함에 따라 이러한 청색광과 조합되어 백색광(White)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당연히 상기 조명LED(22)는 가시광 영역대의 광을 조사토록 하여야 한다.
상기 살균LED(23)는 일정 파장의 광을 조사하여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가시광 영역의 광을 조사토록 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함 없이 살균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살균LED(23)가 더 구성됨으로써 상기 조명부(2)가 조명용도에 더하여 살균기능이 더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살균은 직접적으로 인체에 유해한 박테리아 등을 사멸시키는 것은 물론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인체에 유해한 박테리아 등을 불활성 시키는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살균을 통해 악취발생원을 제거함으로써 악취도 제거가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살균LED(23)는 400 내지 500nm영역의 가시광(청색)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400 내지 500nm영역의 가시광이 조사되도록 하여 조사되는 실내에 있어 박테리아를 불활성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박테리아는 포도구균, CONS, 연쇄구균, 장구균, 클로스트리듐 등이 해당될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된 박테리아는 병원성(pathogenic)으로 인체 또는 동물체의 질병이나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그램양성 박테리아 종 등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일부의 박테리아는 건강한 숙주상에 콜로니를 형성 또는 기생할 수 있고, 다른 형태의 질병이나 상처와 같은 상해에 기인되어 숙주의 면역력을 저하시키는 등의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박테리아에 상기 살균LED(23)로부터 상기 영역대의 파장을 가진 광이 조사되면 박테리아의 불활성을 유발하게 되는데 여기서 불활성이라는 것은 상기 박테리아의 복제가 감소되거나 방지되도록 박테리아를 죽이거나 손상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이들 박테리아를 상기 영역대의 파장을 가진 광(청색광 또는 청색광을 포함하는 백색광)에 노출시키면 불활성화 과정을 자극하는 것으로 가시광영역 내의 광을 사용하여 인체나 동물의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박테리아만의 불활성화를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피조사대(3)는 도 1에서는 싱크대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아니며 마트에 육류, 과일 등을 전시하는 가판대, 전시대가 될 수 있다. 즉 조명과 동시에 살균이 필요한 곳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정의된다.
이에 따라 피조사대(3)에 배치되는 피살균 대상물(31)의 경우도 도 1과 같이 피조사대(3)가 싱크대이면 각종 그릇이 피살균대상물(31)이 되는 것이고, 피조사대(3)가 마트의 가판대의 경우는 육류, 과일 등이 피살균대상물(31)이 되는 것이다.
도 1에서는 피조사대(3)로 싱크대를 예시하고 있는데 싱크대의 경우 야간 등에 설거지작업을 위해 조명등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작업의 용이성을 위한 조명에 더하여 피살균 대상물(31)로서 각종 그릇의 음식물찌꺼기에서 발생되는 각종 세균을 살균토록 하여 위생을 도모하고 악취를 제거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조명부(2)에서 조명LED(22)와 살균LED(23)가 혼합/선택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기기에 열적부하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명부(2)에 있어 히트싱크(24)가 구성되도록 하되 특히 히트싱크(24)에는 방열코팅층(24-1)이 도포되도록 하는 예를 더 제시하고 있다.
상기 조명부(2)에 있어 히트싱크(24)를 구성하는 것은 공지의 기술이며 도 3에서는 히트싱크(24)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히트싱크(24)의 구조는 공지기술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의 특징인 상기 방열코팅층(24-1)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나노다이아몬드 분말 50 내지 150중량부, 선형 나노금속 분말 50 내지 150중량부, 소수성 실리카 10 내지 30중량부, 망간황화물 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지는 타 조성의 바인더로서 기능을 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한정하지는 않으나, 예로 열경화성 실리콘 고무 화합물, 일액형 또는 이액형의 열경화성 실리콘 바인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나노 다이아몬드 분말은 우수한 열전도 특성과 함께 미세 공극(micro pore)이 형성되어 있어 표면적 증대를 통한 방열기능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나노 다이아몬드의 배합량을 한정하는 이유는 배합량 미만으로 첨가되는 경우 충분한 방열기능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기 배합량을 초과하는 경우 타 조성간 결합력이 약화로 코팅층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코팅층은 도포후 경화과정 등에서 온도차 등에 의해 미세균열이 유발될 수 있는데 이러한 미세균열은 열전도율을 저하시켜 결과적으로 방열기능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며 이러한 미세균열을 통해 부식원이 유입되므로 방청기능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선형 나노금속분말이 더 첨가되도록 하여 선형을 이루는 나노금속분말에 의해 페이스트의 가교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경화과정 등에서 페이스트에 발생하는 인장력을 완화시켜 페이스트의 미세균열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선형 나노금속분말은 다양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바, 일 예로 나노금속으로 이산화티탄을 사용하는 경우 염기성 수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염기성 수용액에 적정 중량비로 이산화티탄을 첨가하여 교반시키고 이렇게 교반된 혼합물을 고온에서 적정시간을 반응시키고 이러한 반응후 용매 및 불순물을 제거하여 결정화 시켜 제조되도록 하는 예가 제시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선형 나노금속분말은 페이스트에서 보강섬유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으로 열전도성이 우수하고 인장강도가 큰 금속재질을 사용하여 나노화 시키면서도 선형의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페이스트에서 가교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일반적인 나노금속분말의 경우 구형에 가까운 형상을 가지고 있어 단지 페이스트에서 충진제로서 기능을 수행할 뿐인데 본 발명에서는 선형의 나노금속분말이 첨가되도록 하여 페이스트의 인장강도를 보강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페이스트의 미세균열을 제어하거나 미세균열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미세균열의 간극을 선형의 나노금속분말이 연결되도록 하여 미세균열의 간극을 통해서도 열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선형의 나노금속분말을 첨가하는 이유는 코팅층의 배합과정에서 공기가 연행되는데 이러한 공기는 차후 코팅층에서 열전도성을 저하시키는 포인트가 되는 바, 선형의 나노금속분말은 배합과정 등에서 연행된 공기와 충돌에 의해 연행된 공기를 물리적으로 터트리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층(24-1)에는 선형의 나노금속분말이 첨가되도록 하여 미세균열, 연행된 기포를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방열기능의 저하포인트 및 방청기능의 저하포인트를 제거토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층(24-1)에는 소수성실리카가 더 첨가되는데 이는 상기 나노 다이아몬드분말 및 선형의 나노금속분말이 응집되지 않도록 이격재로서 기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소수성실리카에 의해 타 조성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물성이 균일하게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실리카의 소수화는 다양한 공지기술이 존재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층(24-1)에는 망간황화물(MnS)이 더 첨가되도록 하는데 이는 코팅층의 표면에 공극이 발생되어 상기 공극으로 탄산, 수분 등의 유입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표면공극은 페이스트의 알카리 성분과 금속성분 등이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켜 수소고용 능력이 과포화 되면 경화과정 등에서 수소가 페이스트 조직 외부로 방출되면서 페이스트 표면에 공극, 균열 등이 형성됨에 기인한 것이다.
이렇게 발생된 표면공극은 표면조도를 불량하게 할 뿐 아니라 향후적으로 표면공극을 통한 탄산, 수분의 유입으로 코팅층의 내구성 저하포인트로서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며 표면으로부터의 균열확장점이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코팅층에서는 망간황화물이 더 첨가되도록 하는 것인데 망간황화물은 수소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망간황화물에 의해 수소를 고정시킴으로써 표면의 미세공극의 발생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페이스트에 있어 경화과정에서 온도차에 의한 균열이 아니라 페이스트 내 용제의 증발에 의한 표면균열의 제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코팅층(24-1)에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글리콜류 1 내지 5중량부가 더 배합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상기 글리콜류는 페이스트의 공극에 용제증발 시 모세관장력을 저하시킴으로서 내부 인장응력을 줄여 줌에 의해 경화 후 수축 저감을 유도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수축에 의한 균열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다. 단, 상기 글리콜류가 상기 배합범위를 초과하면 과다 공기량 발생으로 인해 방열기능이 급격하게 저하될 수 있으므로 그 함량은 상기 배합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글리콜류는, 부틸디글리콜, 부틸트라이글리콜, 부틸글리콜, 메틸디글리콜, 부틸폴리글리콜, 에틸폴리글리콜, 메틸트라이글리콜, 에틸글리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층(24-1)에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1 내지 3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예를 제시한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노 다이아몬드 분말 및 선형 나노금속 분말의 이격재로서 소수성실리카가 첨가되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코팅층(24-1)에서는 폴리에틸렌이민이 더 포함되도록 하여 입자 상호간의 응집에 의한 물성의 비균일성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층(24-1)에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치아씨드 분말 0.5 내지 1중량부가 더 포함되는 예를 제시한다. 상기 치아씨드 분말은 차조기과 민트의 한 종류로서 1년생 아열대 식물로서 수용성 섬유로 쌓여 있는 외피는 유체에 넣으면 젤라틴화 된 후, 10배로 팽창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코팅층(24-1)에는 치아씨드 분말이 상기 배합범위로 배합되어 도포후 경화과정에서 페이스트의 수축을 제어하는 팽창제로서 기능을 하도록 하여 미세균열의 발생을 제어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체적인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한다. 본 실시 예는 피조사대(3)의 예로 가판대를 도시하고 있으며 피살균대상물(31)로 과일인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피조사대(3) 및 피살균대상물(31)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의 피조사대(3)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이 개구된 수납부(32)와 상기 수납부(32) 하부에서 상기 수납부(32) 하면과 이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수납부(32)를 구획하면서 피살균 대상물(31)이 배치되는 투광재질의 구획판(33)과 상기 구획판(33) 하부에서 상기 수납부(32)의 내주연에 도포된 반사코팅층(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부(32)는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조사부(2)로부터 수납부(32)에 배치된 피살균대상물(31)이 조사되도록 하여야 하는 것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형상으로 피살균대상물(31)이 과일의 경우 일반적인 가판대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구획판(33)은 상기 수납부(32) 하부에서 상기 수납부(32) 하면과 이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수납부(32)를 횡방향으로 구획하면서 장착되는 구성으로 상기 구획판(33) 상부에 피살균 대상물(31)이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며 특히 상기 구획판(33)은 투광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조사부(2)로부터 조사된 광이 상기 구획판(33)을 투과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투광재질은 다양한 공지기술이 존재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반사코팅층(33)은 상기 구획판(33) 하부에서 상기 수납부(32)의 내주연에 도포되는 것으로 상기 조사부(2)로부터 조사된 광이 상기 구획판(33)을 투과하여 상기 반사코팅층(33)을 통해 반사됨으로써 피살균대상물(31)이 상기 구획판(33)에 접하는 부분 즉 조사부(2)에서 조사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해당하는 부분에도 반사된 광이 조사되도록 하여 피살균대상물(31)의 전체면에 대해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반사코팅층(33)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획판(33) 하부에 위치한 수납부(32)의 내주연에만 도포되도록 하는 것은 구획판(33) 상부에 도포되는 경우 반사되는 광이 소비자 등에 조사되도록 하여 오히려 피살균대상물(31)에 대한 인식력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도포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조명LED(22)에 의한 조명기능을 저해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피살균대상물(31)에 대한 살균LED(23)의 기능이 입체적으로 발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반사코팅층(33)은 다양한 공지기술이 존재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본 발명 2 : 조명부
3 : 피조사대

Claims (4)

  1. 피조사대의 상부에서 피살균 대상물을 조사하되, 기판과 상기 기판에 장착되는 일반조명을 위한 복수의 조명LED와 상기 기판에 장착되며 가시광 영역대의 파장을 조사하여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살균LED를 포함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부에는,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나노다이아몬드 분말 50 내지 150중량부, 선형 나노금속분말 50 내지 150중량부, 소수성 실리카 10 내지 30중량부, 망간황화물 5 내지 10중량부, 글리콜류 1 내지 5중량부, 폴리에틸렌이민 1 내지 3중량부, 치아씨드 분말 0.5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는 방열코팅층이 도포된 히트싱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LED는 400 내지 500nm영역의 가시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 시스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51810A 2016-11-15 2016-11-15 살균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 시스템 KR101861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810A KR101861622B1 (ko) 2016-11-15 2016-11-15 살균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1810A KR101861622B1 (ko) 2016-11-15 2016-11-15 살균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183A KR20180054183A (ko) 2018-05-24
KR101861622B1 true KR101861622B1 (ko) 2018-05-29

Family

ID=62297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810A KR101861622B1 (ko) 2016-11-15 2016-11-15 살균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6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009A (ko) 2019-12-26 2021-07-06 (주)보승전기 가시광을 활용한 살균 조명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161510A1 (en) * 2018-11-19 2020-05-21 Seoul Viosys Co., Ltd. Led lighting apparatus having sterilizing function
US11253618B2 (en) 2018-11-29 2022-02-22 Seoul Viosys Co., Ltd. LED lighting apparatus having sterilizing function
KR102093720B1 (ko) 2019-07-25 2020-05-29 김종진 살균 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 장치
KR20230068879A (ko) 2021-11-11 2023-05-18 전범식 살균용 led와 조명용 led의 간섭을 최소화한 살균조명 등기구용 프레임 시스템
KR102647740B1 (ko) 2021-11-11 2024-03-18 동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살균과 조명이 동시에 가능한 하이브리드 타입 살균조명 등기구용 프레임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3331A (ja) * 2008-07-29 2010-03-11 Kaneka Corp 熱伝導材料
JP2013144746A (ja) * 2012-01-13 2013-07-25 Hitachi Chemical Co Ltd 熱放射性塗料及び放熱部材
CN105333411A (zh) * 2015-10-27 2016-02-17 惠州市萤河光电科技有限公司 带空气净化功能的照明灯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53331A (ja) * 2008-07-29 2010-03-11 Kaneka Corp 熱伝導材料
JP2013144746A (ja) * 2012-01-13 2013-07-25 Hitachi Chemical Co Ltd 熱放射性塗料及び放熱部材
CN105333411A (zh) * 2015-10-27 2016-02-17 惠州市萤河光电科技有限公司 带空气净化功能的照明灯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009A (ko) 2019-12-26 2021-07-06 (주)보승전기 가시광을 활용한 살균 조명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183A (ko)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622B1 (ko) 살균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 시스템
KR101851576B1 (ko) 엘이디 메디 조명 시스템
JP5734198B2 (ja) 照明兼空気清浄器
KR102410085B1 (ko) 환경 미생물 부하의 감소를 위한 led 램프 구조물
KR20170114678A (ko) 공기 정화 기능을 내장한 엘이디 조명기기
CN202419518U (zh) 一种健康杀菌灯具
CA2653187A1 (en) Air purifying luminaire
TW200513615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n led light
WO2007035907A3 (en) Germicidal lamp
WO2020237282A1 (en) A medical instrument disinfecting enclosure
KR20150024717A (ko)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20150024718A (ko) 조명 스탠드
KR20090081658A (ko) 음용수 저장탱크용 살균장치
KR101896470B1 (ko) 음성패턴을 이용한 감성조명 시스템
KR102265655B1 (ko) 살균기능을 구비한 축사용 조명장치
KR101409449B1 (ko) 공기정화용 가시광선 등기구
CN115551588A (zh) 改善动物体内维生素d3形成与灭活细菌和病毒的黑光装置
KR20220068286A (ko) 살균 기능을 갖는 고휘도 led 조명등기구
KR200292736Y1 (ko)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는 조명등
JP2022515455A (ja) 追加機能を持つled照明装置
KR200359250Y1 (ko) 살균 및 간접 조명이 가능한 조명기구
CN202452296U (zh) 一种散热效果好的无影灯附加照明装置
KR102618968B1 (ko) 천장형 살균 및 조명장치
RO132468A0 (ro) Metodă fotochimică pentru dezinfecţie şi controlul infecţiilor nosocomiale din spitale şi din incinte cu risc biologic
JP6867719B1 (ja) 室内照明空気浄化装置および空気浄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