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718A - 조명 스탠드 - Google Patents

조명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718A
KR20150024718A KR20130101997A KR20130101997A KR20150024718A KR 20150024718 A KR20150024718 A KR 20150024718A KR 20130101997 A KR20130101997 A KR 20130101997A KR 20130101997 A KR20130101997 A KR 20130101997A KR 20150024718 A KR20150024718 A KR 20150024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diode unit
light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희
김종락
손영환
이성민
이재선
구종현
유주원
고익환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01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4718A/ko
Publication of KR20150024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21S6/003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for task lighting, e.g. for reading or desk work, e.g. angle poise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조명 스탠드는, 받침대; 받침대와 지지대를 통해 연결된 헤드부; 헤드부 내에 설치되어 가시광선을 제공하는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 및 헤드부 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탈취 또는 살균시키는 살균탈취용 자외선을 제공하는 살균용 발광다이오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 스탠드{Illumination stand}
본 개시(disclosure)는 조명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파장대의 자외선을 제공하는 발광다이오드들을 이용하여 신체에 유익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얻을 수 있도록 조명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비타민 D는 카르시페롤(Calciferol)이라는 지용성 물질로 달걀노른자, 생선, 간등과 같은 음식에 함유되어 있어 음식으로 섭취하는 방법도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햇볕을 통해 얻는다. 햇볕에 포함된 자외선(UV)이 피부에 자극을 주면 인체 체내에 저장되어 있던 비타민 D 전구체가 전환되어 비타민 D의 합성이 일어난다. 그러나 자외선을 오래 쪼이면 피부 노화가 촉진되고 피부암과 같은 질병에 걸릴 수 있어 자외선 차단 크림을 바르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실외 활동을 할 때에도 옷과 모자 등으로 햇볕을 차단하면서 충분한 비타민 D의 합성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비타민 D 결핍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인체 체내에 비타민 D가 부족할 때 우울증, 암, 골다공증, 당뇨 등의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피부 미용을 위한 자외선 차단이 지나치게 강조되면서 일조량이 적은 북유럽보다 오히려 비타민 D의 결핍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인구의 대략 80% 정도가 비타민 D가 결핍되어 있다고 조사되고 있다. 그러나 우유, 치즈, 생선 등 음식을 통해서는 체내 비타민 D의 필요량의 10% 내지 20% 정도가 충족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인체 내에 부족한 비타민 D를 공급하여 건강한 신체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 또는 장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조명으로 사용하면서 실내 공기의 탈취 및 살균 작용과 인체에 비타민 D의 합성을 유도할 수 있는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조명 스탠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관점에 따른 조명 스탠드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와 지지대를 통해 연결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 내에 설치되어 가시광선을 제공하는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 및 상기 헤드부 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탈취 또는 살균시키는 살균탈취용 자외선을 제공하는 살균용 발광다이오드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내에 인체 피부에 비타민 합성용 자외선을 제공하는 비타민 합성용 발광다이오드부를 더 포함하여 설치된다.
상기 비타민 합성용 발광다이오드부는, 280㎚ 내지 320㎚ 파장대의 자외선을 제공하하고, 상기 살균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는, 100㎚ 내지 280㎚ 파장대의 자외선을 제공한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내측 표면을 둘러싸는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 물질은 TiO2, ZnO, ZrO2, WO3의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부는 내측에 상기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 비타민 합성용 발광다이오드부 및 살균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가 배치되는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한 변의 길이가 다른 변의 길이보다 긴 직사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 및 비타민 합성유도용 발광다이오드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배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살균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양 측면부에 배치된다.
상기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 및 비타민 합성유도용 발광다이오드부는 서로 교번하여 배치된다.
상기 살균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는 상기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반사갓과 수직 방향으로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받침대 외측에 상기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 살균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 또는 상기 비타민 합성용 발광다이오드부를 선택하여 동작 제어하고 표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관점에 따른 조명 스탠드는, 받침대; 지지대를 통해 상기 받침대와 연결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가시광선을 제공하는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실내 공기를 탈취 또는 살균시키는 살균탈취용 자외선을 제공하는 살균용 발광다이오드부; 및 상기 플레이트를 둘러싸는 반사갓을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인체 피부에 비타민 합성용 자외선을 제공하는 비타민 합성용 발광다이오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반사갓의 내측 표면을 둘러싸는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 물질은 TiO2, ZnO, ZrO2, WO3의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는 원형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형상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비타민 합성유도용 발광다이오드부는 상기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살균 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는 상기 가시광선용 발광 다이오드부의 외측에 배치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서로 다른 파장대의 자외선을 제공하는 발광다이오드들이 구비된 조명 스탠드를 이용하여 조명, 탈취, 살균 및 인체에 필요한 비타민 합성 유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탠드를 나타내보인 도면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탠드를 나타내보인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탠드를 나타내보인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탠드(100)는 받침대(base, 110)와, 비타민 합성 유도용 발광 다이오드부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부(180)가 배치되는 헤드부(head, 130) 및 지지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탠드(100)는 탁상용, 침실용 또는 수면등 형식으로 가구 위에 배치할 수도 있다.
받침대(110)의 표면에는 조명 스탠드(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5)가 배치될 수 있다. 받침대(110)는 발광 모듈부(180)가 내부에 배치된 헤드부(130)가 고정되어 발광 모듈부(18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지면에 설치됨으로써 지지대(120)를 통해 발광 모듈부(180)를 지지한다. 지지대(120)는 받침대(110)와 발광 모듈부(180)가 내부에 배치된 헤드부(130) 사이를 연결하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미도시함)이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발광 모듈부(180)와 지지대(120)를 연결하는 결합부(125)가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125)는 방향 전환과 휨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결합부(125)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결합부(12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헤드부(130) 내표면에는 발광 모듈부(130)로부터 방출되는 광원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갓(미도시함)이 배치될 수 있다. 반사갓은 조도를 높일 수 있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구성되거나 빛 투과가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반사갓의 표면에는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층(135)이 형성되어 있다. 광촉매 물질은 TiO2, ZnO, ZrO2, WO3의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부(130)의 내표면에는 발광 모듈부(180)를 포함하는 플레이트(140)가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140)는 한 변의 길이가 다른 변의 길이보다 긴 직사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40)의 측면부(146) 및 배면부(145)에는 발광 모듈부(180)가 배치된다. 발광 모듈부(180)는 가시광선용 발광 다이오드부(160), 비타민 합성유도용 발광다이오드부(170) 및 살균 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시광선용 발광 다이오드부(160) 및 비타민 합성유도용 발광다이오드부(170)는 플레이트(140)의 배면부(145)에 배치되고, 살균 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150)는 플레이트(140)의 측면부(146)에 배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플레이트(140)의 배면부(145)에 배치된 가시광선을 제공하는 발광다이오드부(160)는 소정 간격만큼 이격하여 배치되고 비타민 합성유도용 발광다이오드부(170)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가시광선용 발광 다이오드부(160)는 플레이트(140)의 배면부(145) 상에 동일한 간격을 가지게 배치되며, 가시광(L3)을 하부 방향으로 발광하는 LED를 포함하는 모듈(module) 또는 패키지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가시광선용 발광 다이오드부(160)와 교번하여 플레이트(140)의 배면부(145)에 배치된 비타민 합성유도용 발광다이오드부(170)는 인체 체내에 비타민 D의 합성을 유도하기 위해 자외선을 제공한다. 비타민 합성유도용 발광다이오드부(170)는 UV-B 영역대의 자외선(L4)을 하부 방향으로 발광하는 LED를 포함하는 모듈(module) 또는 패키지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타민 합성 유도용 발광다이오드부(170)는 280nm 내지 320nm 파장대의 비타민 합성용 자외선을 제공하여, 인체 피부 내에 비타민 D의 합성을 유도할 수 있다.
인체 내에 존재하는 디하이드로콜레스트롤(7-dehydrocholesterol)은 270nm 내지 350nm의 파장대의 빛을 받아 프리 비타민(pre-vitamin) D3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38℃ 내지 42℃의 열을 받아 비타민 D3의 합성이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 스탠드는 이러한 온도를 제공하기 위한 가열 수단(도시되지 않음) 또는 온도 유지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인체 체내에 비타민 D가 부족할 때 우울증, 암, 골다공증, 당뇨 등의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 인구의 대략 80% 정도가 비타민 D가 결핍되고 있다고 조사되고 있다. 우유, 치즈, 생선 등 음식을 통해서는 체내 비티만 D의 필요량의 10% 내지 20% 정도가 충족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인체 내에 부족한 비타민 D를 빛(자외선)을 조사하여 합성할 수 있어, 인체에 부족한 비타민 D를 유효하게 공급할 수 있어,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플레이트(140)의 양 측면부(146)에는 살균 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살균 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150)는 UV-C 영역대의 자외선을 발광하는 LED를 포함하는 모듈(module) 또는 패키지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살균 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150)는 100㎚ 내지 280㎚ 파장대의 살균용 자외선을 제공하여, 주변에 존재할 수 있는 세균 또는 곰팡이 등을 살균하고 주변의 냄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살균 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150)로부터 방출된 살균용 자외선(L1)은 헤드부(130)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층(135)으로 흡수되어 광촉매 분해 작용을 일으킨다.
광촉매 분해 작용은 물질을 분해해버리는 현상으로, 예를 들어, 실내의 냄새 물질 등을 이산화탄소(CO2) 및 물(H2O)로 분해하여 제거하거나 세균, 박테리아를 살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촉매 물질 상에 살균용 자외선이 흡수되면 표면에 전자(e-)와 정공(h+)이 생기게 되고 전자는 광촉매 표면에 있는 산소와 반응하여 슈퍼옥사이드 음이온(O2)을 생성한다. 또한, 정공은 광촉매 매질의 표면에 존재하는 수분과 반응하여 하이드록시 라디칼(OH)을 생성하게 되고, 이때 생성된 하이드록시 라디칼은 강력한 유기물질들을 산화분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내에 존재하는 악취물질 등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거나 공기 중 세균이나 박테리아를 살균하여 제거할 수 있다.
살균 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150)는 헤드부(130)의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층(135)과 살균용 자외선 조사 방향의 각도 차이에 의해 광촉매 분해 작용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팅층(135)과 수직 방향으로 살균용 자외선(L1)이 조사되도록 살균 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150)를 플레이트(140)의 측면부에 배치하여 광촉매 분해 작용을 활성화시켜 살균 탈취 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살균 탈취 작용을 위해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필터를 별도로 배치하는 경우, 불필요한 공간이 추가적으로 요구되어 공간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헤드부(130)의 내측 표면에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층(135)을 배치함으로써 광촉매 필터를 위한 공간이 추가적으로 요구되지 않아 장치를 컴팩트화시킬 수 있다.
받침대(110)의 표면에 조명 스탠드(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배치된 제어부(115)는 도 1 및 도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원의 온-오프(on-off) 버튼(185), 탈취 및 살균의 온-오프 버튼(187) 또는 비타민 D 합성 온-오프 버튼(189)을 제공하여, 각각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15)는 외장 디스플레이 또는 리모컨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탠드를 나타내보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탠드(200)는 받침대(base, 203)와, 비타민 합성 유도용 발광 다이오드부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부(250)가 배치되는 플레이트(210)와, 지지대(205) 및 발광 모듈부(250)를 둘러싸는 반사갓(2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탠드(200)는 탁상용, 침실용 또는 수면등 형식으로 가구 위에 배치할 수도 있다.
받침대(203)의 표면에는 도 4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조명 스탠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5)가 배치될 수 있다. 받침대(203)는 발광 모듈부(250)가 배치된 플레이트(210)와 지지대(205)를 통해 연결하여 고정한다. 받침대(203)는 전원부(207)를 통해 발광 모듈부(25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지지대(205)는 받침대(203)와 발광 모듈부(250)가 배치된 플레이트(210) 사이를 연결하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미도시함)이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발광 모듈부(250)를 둘러싸는 반사갓(260)은 발광 모듈부(250)로부터 방출되는 광원을 반사시키고 조도를 높일 수 있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구성되거나 빛 투과가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반사갓(260)의 내측 표면에는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층(265)이 형성되어 있다. 광촉매 물질은 TiO2, ZnO, ZrO2, WO3의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 모듈부(250)가 배치된 플레이트(210)는 동심원을 포함하는 원형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210)의 일 표면에 발광 모듈부(250)가 배치된다. 발광 모듈(250)는 가시광선용 발광 다이오드부(230), 비타민 합성유도용 발광다이오드부(220) 및 살균 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230)는 플레이트(210)의 원형 형상을 따라 배치되고, 비타민 합성유도용 발광다이오드부(220)는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23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살균 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240)는 가시광선용 발광 다이오드부(2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230)가 가장 내측에 형성되고, 비타민 합성유도용 발광다이오드부(220) 및 살균 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240)가 그 주위를 둘러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살균 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240)가 가장 내측에 형성되고, 비타민 합성유도용 발광다이오드부(220) 및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230)가 그 주위를 둘러싸게 형성될 수도 있다.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230)는 가시광(L3)을 하부 방향으로 발광하는 LED를 포함하는 모듈 또는 패키지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비타민 합성유도용 발광다이오드부(220)는 인체 체내에 비타민 D의 합성을 유도하기 위해 자외선을 제공한다. 비타민 합성유도용 발광다이오드부(220)는 UV-B 영역대의 자외선(L4)을 하부 방향으로 발광하는 LED를 포함하는 모듈(module) 또는 패키지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타민 합성 유도용 발광다이오드부(220)는 280nm 내지 320nm 파장대의 비타민 합성용 자외선을 제공하여, 인체 피부 내에 비타민 D의 합성을 유도할 수 있다. 비타민 합성 유도용 발광다이오드부(220)로부터 방출된 비타민 합성용 자외선은 인체 피부의 국부적인 부분에 조사되어도 인체 피부 내에 비타민 D의 합성을 유도하여 인체 전체로 확산시킬 수 있다.
살균 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240)는 UV-C 영역대의 자외선을 발광하는 LED를 포함하는 모듈 또는 패키지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살균 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240)는 100㎚ 내지 280㎚ 파장대의 살균용 자외선을 제공하여, 주변에 존재할 수 있는 세균 또는 곰팡이 등을 살균하고 주변의 냄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살균 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240)로부터 방출된 살균용 자외선(L1)은 반사갓(260)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층(265)으로 흡수되어 전술한 광촉매 분해 작용을 일으킨다.
살균 탈취 작용을 위해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필터를 별도로 배치하는 경우, 불필요한 공간이 추가적으로 요구되어 공간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반사갓(260)의 내측 표면에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층(265)을 배치함으로써 광촉매 필터를 위한 공간이 추가적으로 요구되지 않아 장치를 컴팩트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탠드는 서로 다른 파장대의 자외선을 제공하는 발광다이오드들을 이용하여 탈취, 살균 및 비타민 합성 유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주탈취 살균 작용이나 비타민 합성 작용을 단독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실내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고, 비타민 결핍을 개선하여 인체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100, 200 : 조명 스탠드
110, 203 : 받침대 115 : 제어부
120 : 지지대 130 : 헤드부
135 : 코팅층 140, 210 : 플레이트
150, 240 : 살균용 발광다이오드부
160, 230 :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
170, 220 : 비타민 합성유도용 발광다이오드부

Claims (21)

  1. 받침대;
    상기 받침대와 지지대를 통해 연결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 내에 설치되어 가시광선을 제공하는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 및
    상기 헤드부 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탈취 또는 살균시키는 살균탈취용 자외선을 제공하는 살균용 발광다이오드부를 포함하는 조명 스탠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내에 인체 피부에 비타민 합성용 자외선을 제공하는 비타민 합성용 발광다이오드부를 더 포함하여 설치된 조명 스탠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합성용 발광다이오드부는,
    280㎚ 내지 320㎚ 파장대의 자외선을 제공하는 조명 스탠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는,
    100㎚ 내지 280㎚ 파장대의 자외선을 제공하는 조명 스탠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의 내측 표면을 둘러싸는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조명 스탠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물질은 TiO2, ZnO, ZrO2, WO3의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명 스탠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내측에 상기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 비타민 합성용 발광다이오드부 및 살균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가 배치되는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하는 조명 스탠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한 변의 길이가 다른 변의 길이보다 긴 직사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된 조명 스탠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 및 비타민 합성유도용 발광다이오드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배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살균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양 측면부에 배치된 조명 스탠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 및 비타민 합성유도용 발광다이오드부는 서로 교번하여 배치된 조명 스탠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는 상기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된 반사갓과 수직 방향으로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배치한 조명 스탠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외측에 상기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 살균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 또는 상기 비타민 합성용 발광다이오드부를 선택하여 동작 제어하고 표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 스탠드.
  13. 받침대;
    지지대를 통해 상기 받침대와 연결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가시광선을 제공하는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실내 공기를 탈취 또는 살균시키는 살균탈취용 자외선을 제공하는 살균용 발광다이오드부; 및
    상기 플레이트를 둘러싸는 반사갓을 포함하는 조명 스탠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어 인체 피부에 비타민 합성용 자외선을 제공하는 비타민 합성용 발광다이오드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 스탠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합성용 발광다이오드부는,
    280㎚ 내지 320㎚ 파장대의 자외선을 제공하는 조명 스탠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는,
    100㎚ 내지 280㎚ 파장대의 자외선을 제공하는 조명 스탠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갓의 내측 표면을 둘러싸는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조명 스탠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물질은 TiO2, ZnO, ZrO2, WO3의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조명 스탠드.
  19.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외측에 상기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 살균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 또는 상기 비타민 합성용 발광다이오드부를 선택하여 동작 제어하고 표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 스탠드.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원형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된 조명 스탠드.
  21.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형상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비타민 합성유도용 발광다이오드부는 상기 가시광선용 발광다이오드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살균 탈취용 발광다이오드부는 상기 가시광선용 발광 다이오드부의 외측에 배치된 조명 스탠드.
KR20130101997A 2013-08-27 2013-08-27 조명 스탠드 KR20150024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997A KR20150024718A (ko) 2013-08-27 2013-08-27 조명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997A KR20150024718A (ko) 2013-08-27 2013-08-27 조명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718A true KR20150024718A (ko) 2015-03-09

Family

ID=53021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1997A KR20150024718A (ko) 2013-08-27 2013-08-27 조명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471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583A (ko) * 2017-11-15 2019-05-23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휴대형 자외선 살균기
KR102322731B1 (ko) * 2020-07-28 2021-11-04 박정현 마이크헤드 살균형 마이크
KR102320561B1 (ko) * 2021-03-05 2021-11-11 주식회사 비케이테크놀로지 다목적 조명구조
WO2022015100A1 (ko) * 2020-07-16 2022-01-20 서울반도체주식회사 살균 장치
KR20220147352A (ko)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의료용 led 광원 시스템
KR102514297B1 (ko) * 2022-05-11 2023-03-28 윤전권 살균 기능을 갖춘 조명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5583A (ko) * 2017-11-15 2019-05-23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휴대형 자외선 살균기
WO2022015100A1 (ko) * 2020-07-16 2022-01-20 서울반도체주식회사 살균 장치
KR102322731B1 (ko) * 2020-07-28 2021-11-04 박정현 마이크헤드 살균형 마이크
KR102320561B1 (ko) * 2021-03-05 2021-11-11 주식회사 비케이테크놀로지 다목적 조명구조
KR20220125663A (ko) * 2021-03-05 2022-09-14 한국조명 주식회사 다목적 기능의 광원을 포함하는 회전형 조명
KR20220147352A (ko)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의료용 led 광원 시스템
KR102514297B1 (ko) * 2022-05-11 2023-03-28 윤전권 살균 기능을 갖춘 조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4718A (ko) 조명 스탠드
JP7217852B2 (ja) 表面及び空間led殺菌照明装置
CN106998764B (zh) 利用具有经调制功率通量的脉冲光和在脉冲之间具有可见光补偿的光系统进行房间和区域消毒
KR20150024717A (ko)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1346576B1 (ko) 살균 엘이디 조명등
US9931426B2 (en) Air purification device, a lighting device and a luminaire
CN108292657A (zh) 用于持续消毒的基于发光二极管的结构及包含其的照明器
JP2013525991A (ja) 保健および最適の照明装置
EP3895741B1 (en) Light fixture having a fan and ultraviolet sterilization functionality
CN209253716U (zh) 紫外杀菌装置
KR102024432B1 (ko) 태양전지판이 구비된 휴대형 자외선 살균기
JP7227922B2 (ja) Led構造及び連続消毒用照明器具
JP6433734B2 (ja) 低誘引性照明装置
KR102029453B1 (ko) 비타민 디 생성을 위한 회전형 자외선 조명장치
JP3160033U (ja) 除菌・消臭装置
KR20180110593A (ko) 조명장치
KR20110101624A (ko) 벽걸이형 옷걸이
US20230248860A1 (en) Inactivation device for bacteria and/or viruses and method of inactivation treatment for bacteria and/or viruses
KR20190105845A (ko) 비타민 디 생성을 위한 자외선이 조사되는 조명스탠드
CN212016217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吊塔
KR101409449B1 (ko) 공기정화용 가시광선 등기구
JP2011096602A (ja) バックライト付き観賞用水槽
KR20170053431A (ko)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휴대용 컵 살균 및 탈취 장치
KR20140003114U (ko) 살균기능을 갖는 등박스
KR102411620B1 (ko) 살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