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593A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593A
KR20180110593A KR1020180029824A KR20180029824A KR20180110593A KR 20180110593 A KR20180110593 A KR 20180110593A KR 1020180029824 A KR1020180029824 A KR 1020180029824A KR 20180029824 A KR20180029824 A KR 20180029824A KR 20180110593 A KR20180110593 A KR 20180110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cleaner
light
illumin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훈식
박기연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8/00356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182265A1/ko
Publication of KR20180110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5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30Elements containing photoluminescent material distinct from or spaced from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명광원이 실장된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에 장착 가능한 클리너;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너는 내부에 흡입팬이 실장되는 몸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광원에 포충기능 또는 탈취기능을 포함하는 클리너가 조립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와 친환경 정책 등의 기후적 영향 및 사회적 영향에 의해, 해충이 증가하고 있고, 특히, 최근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ZIKV)의 감염 공포 확산으로, 병원균을 옮기는 해충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와 황사 농도를 매일 모니터링하는 현대인에게, 생활 공간 내 공기 질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포충 장치 또는 탈취 장치에 별도의 조명광을 부착시킴은 별론으로, 심미적인 조명등에 포충 장치 또는 탈취 장치를 결합시키되, 조명등 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동시에 쾌적한 개인 생활 공간을 달성하고자 하는 시도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조명부에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고, 조명부와 별개로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조명부와 조립 시 조명부 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포충 또는 탈취 효율이 높은 조명장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생활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조명광원이 마련된 조명부에 포충기능 또는 탈취기능을 포함하는 클리너가 조립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이 인체에 직접 조사됨으로써 인체에 해를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 파장을 가시광선 파장으로 변환시키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탈취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촉매필터로 조사되는 광을 집중시키는 집광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탈취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명부 내부에 광촉매필터 및 송풍팬이 포함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탈취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명부에 클리너가 장착되는 경우 흡입팬이 회전하여 공기유로(Airflow Path) 변경이 가능한 흡입팬장착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탈취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흡입팬의 회전방향을 변환시키는 방향전환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의 전력소비효율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낮추기 위해, 조명부에 클리너가 장착되는 경우 유인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의 방향이 광촉매필터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이 가능한 유인광원장착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기류 발생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탈취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명부통공은 입구 또는 출구로부터 제2 광촉매필터가 설치된 방향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적어도 1 이상의 구간을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충 및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클리너에서 공기 기류 형성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클리너가 안착되는 클리너안착부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클리너안착부통공이 포함되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충 및 탈취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클리너의 구동 정보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사용자가 클리너에 포집된 해충의 종류를 확인하거나 포집부의 교체 시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카메라 또는 센서가 설치될 수 있고,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에게 광원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알람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전력 소모 및 광원의 수명 연장이 가능한 동시에 해충의 광 유인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명장치 주변의 광량에 따라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의 광도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명광원이 실장된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에 장착 가능한 클리너;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너는 내부에 흡입팬이 실장되는 몸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조명광원이 마련된 조명부에 포충기능 또는 탈취기능을 포함하는 클리너가 조립됨으로써 생활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자외선 파장을 가시광선 파장으로 변환시키는 필터부를 포함함으로써 자외선이 인체에 직접 조사됨으로써 인체에 해를 끼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광촉매필터로 조사되는 광을 집중시키는 집광부를 포함함으로써 탈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조명부 내부에 광촉매필터 및 송풍팬을 포함함으로써 탈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조명부에 클리너가 장착되는 경우 흡입팬이 180° 회전하여 공기유로(Airflow Path) 변경이 가능한 흡입팬장착부를 포함함으로써 탈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조명부에 클리너가 장착되는 경우 유인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의 방향이 광촉매필터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이 가능한 유인광원장착부를 포함함으로써, 광원의 전력소비효율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흡입팬의 회전방향을 변환시키는 방향전환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탈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조명부통공이 입구 또는 출구로부터 제2 광촉매필터가 설치된 방향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적어도 1 이상의 구간을 포함함으로써, 공기 기류 발생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탈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클리너가 안착되는 클리너안착부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클리너안착부통공이 포함됨으로써, 포충 및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클리너 내부의 공기 기류 형성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클리너의 구동 정보를 원격에서 제어함으로써 포충 및 탈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카메라 또는 센서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클리너에 포집된 해충의 종류를 확인하거나 포집부의 교체 시기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광원의 교체시기를 알려주는 알람기능을 포함하여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조명장치 주변의 광량에 따라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의 광도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됨으로써 경제적인 전력 소모 및 광원의 수명 연장이 가능한 동시에 해충의 광 유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미세입자 농도에 따라 구동장치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환경의 변화에 따라 충분한 탈취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포획감지센서로 포집부에 해충의 포집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포집부의 청결을 유지하거나 포집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구동장치의 수명이 다하기 전 사전에 교체시기를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해충의 포집 효율 또는 탈취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리 및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와 클리너의 조립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리너의 몸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리 및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흡입팬장착부의 회전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리 및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에서 유인광원장착부의 회전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리 및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리 및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클리너안착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광원, 유인광원, 및 제1 내지 제2 광원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리 및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에서 클리너 연결부재가 고정부에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도 22(b)는 상기 고정부에 접철부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 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또는 '하부' 라는 용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설정된 상대적인 개념으로, 관찰자의 시점이 달라지면, '상부' 가 '하부'를 의미할 수도 있고, '하부'가 '상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동일 부호이지만 구체적인 구성이 상이한 경우 도면 번호와 실시예를 들어 상이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술되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인 해충은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유인광원에 의해 유인될 수 있는 날벌레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모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인 송풍팬은 조명부로 유입된 공기 또는 외부에서 클리너를 통과하여 조명부로 유입된 공기를 다시 외부로 토출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조명부 내에서 탈취된 공기를 다시 외부로 토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조명광원이 실장된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에 장착 가능한 클리너;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너는 내부에 흡입팬이 실장되는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리너는 상기 흡입팬 상부에 배치되되 복수의 곤충필터통공을 갖는 곤충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명광원에 대향하도록 마련된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부는 자외선 파장을 가시광선 파장으로 변환시키는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너는 상기 흡입팬의 회전방향을 변환시키는 방향전환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너는, 해충의 유인광을 조사하는 유인광원이 장착되는 유인광원장착부; 및 상기 몸체로 흡입된 해충이 포집되는 포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인광원은, 지지부재; 및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판,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너는 제1 광촉매필터 및 상기 제1 광촉매필터로 광을 조사하는 제1 광원을 장착하기 위한 제1 광원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복수의 공기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리너는 상기 제1 광원장착부에서 상기 제1 광촉매필터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 광원이 실장되는 영역을 감싸는 집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리너는 상기 조명부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조명부는, 제2 광원장착부; 상기 제2 광원장착부에 장착된 제2 광원으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제2 광촉매필터; 및 상기 조명부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2 광원장착부에서 상기 제2 광촉매필터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 광원이 실장되는 영역을 감싸는 집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부는 기류가 발생하도록 마련된 입구 및 출구를 갖되, 상기 제2 광촉매필터가 설치되는 조명부통공을 갖고, 상기 클리너가 상기 조명부통공에 인입되는 경우, 상기 흡입팬의 작동이 중지되고 상기 제2 광원 및 상기 송풍팬이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부통공은 상기 입구 또는 출구로부터 상기 제2 광촉매필터가 설치된 방향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적어도 1 이상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명부통공은 클리너 연결부재 및 고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클리너 연결부재는 접철부 및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접철부는 접철되어 상기 고정부에 마련된 고정부 홈에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리너는 상기 흡입팬에 의해 형성된 공기유로(Airflow Path)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리너는 상기 흡입팬이 실장되는 흡입팬장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흡입팬장착부는 상기 클리너가 상기 조명부통공에 인입되는 경우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리너는 상기 흡입팬의 회전방향을 변환시키는 방향전환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리너는 해충의 유인광을 조사하는 유인광원이 장착되는 유인광원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클리너가 상기 조명부통공에 인입 시 상기 유인광원에 대향하도록 마련된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자외선 파장을 가시광선 파장으로 변환시키는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너는 상기 조명부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조명부는, 제2 광촉매필터; 상기 조명부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및 기류가 발생하도록 마련된 입구 및 출구를 갖되, 상기 제2 광촉매필터가 설치되는 조명부통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리너는 유인광원이 장착되는 유인광원장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인광원장착부는 상기 클리너가 상기 조명부통공에 인입되는 경우 상기 유인광원장착부에 장착된 유인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제2 광촉매필터로 조사되도록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너는 상기 조명부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조명부는, 제2 광촉매필터; 및 기류가 발생하도록 마련된 입구 및 출구를 갖되, 상기 제2 광촉매필터가 설치되는 조명부통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리너는 유인광원이 장착되는 유인광원장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인광원장착부는 상기 클리너가 상기 조명부통공에 인입되는 경우 상기 유인광원장착부에 장착된 유인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제2 광촉매필터로 조사되도록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클리너는 상기 흡입팬에 의해 형성된 공기유로(Airflow Path) 변경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리너는 상기 흡입팬이 실장되는 흡입팬장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흡입팬장착부는 상기 클리너가 상기 조명부통공에 인입되는 경우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너는 상기 흡입팬의 회전방향을 변환시키는 방향전환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부통공은 입구 또는 출구로부터 상기 제2 광촉매필터가 설치된 방향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적어도 1 이상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조명장치는 상기 클리너가 착탈이 가능하게 안착되는 클리너안착부; 및 상기 클리너안착부를 지지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리너안착부는 상기 클리너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클리너안착부통공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제2 광원장착부; 상기 제2 광원장착부에 장착된 제2 광원으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제2 광촉매필터; 및 상기 조명부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명부는 기류가 발생하도록 마련된 입구 및 출구를 갖되, 상기 제2 광촉매필터 및 상기 송풍팬이 설치되는 조명부통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통공은 입구 또는 출구로부터 상기 제2 광촉매필터가 설치된 방향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적어도 1 이상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너는 제1 광원을 장착하기 위한 제1 광원장착부, 제2 광촉매필터, 및 상기 제2 광촉매필터로 광을 조사하는 제2 광원을 장착하기 위한 제2 광원장착부를 더 포함하되,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리너의 구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클리너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입자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1 광원, 제2 광원, 및 흡입팬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미세입자 농도 정보가 미리 입력된 정보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광원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미세입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장치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미세입자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너는 제1 광원을 장착하기 위한 제1 광원장착부, 제2 광촉매필터, 및 상기 제2 광촉매필터로 광을 조사하는 제2 광원을 장착하기 위한 제2 광원장착부를 더 포함하되,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리너의 구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클리너의 구동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1 광원, 제2 광원, 및 흡입팬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정보는 상기 포집부에 포집된 해충이 차지하는 부피, 상기 제1 광원 또는 제2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의 광도, 및 상기 클리너 주변 광의 조도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리너는 카메라가 더 설치되어, 포집부에 포집된 해충의 관찰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리너 주변 광의 조도가 미리 입력된 값을 초과하거나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광원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클리너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구동정보 값이 미리 입력된 값을 초과하거나 미만인 경우 알람을 발생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리 및 조립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조명광원(110)이 실장된 조명부(100) 및 조명부(100)에 장착 가능한 클리너(20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00)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조명의 형태 및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조명광원(110)은 수은램프, LED다운라이트, LED직부등, LED스틱등 등 그 형태가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UV LED 광원을 사용하여 해충의 유인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이하 후술할 클리너(200)에 의한 해충의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조명부(100)는 조명광원(110)에 대향하도록 마련되되 조명광원(11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필터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필터부(120)는 자외선 파장을 가시광선 파장으로 변환시키는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부(120)는 조명부(100)에 탈부착 가능한 커버 구조물이거나 또는 필터부 힌지(121)에 의해 조명광원(110)이 장착된 공간이 개폐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조명광원(110)을 용이하게 교체 및 수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명부(100)는 조명광원(110)이 실장된 영역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조명광원(110)의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고, 해충의 유인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명광원(110)으로 UV LED를 사용하는 경우 자외선 파장을 가시광선 파장으로 변환시키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필터부(120)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해충의 유인광 또는 조명광 기능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여, 조명부(100) 내부 공간 활용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클리너(200)는 조명부(100)에 장착되어 해충을 포집하는 포충장치 또는 주변 공기를 정화하는 탈취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몸체(220) 및 몸체(220)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된 지지대(21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클리너(200)는 해충을 포집하는 포충장치로 구동될 수 있다.
몸체(220)는 내부에 흡입팬(221)이 실장되어 포충장치에서 해충 유인 기류를 형성하거나, 탈취장치에서 탈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흡입팬(221)에 의해 기류를 효율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해 지지대(210)의 일 측에 지붕(280)이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지붕(280)은 몸체(220)와 동일한 형태일 수 있고, 몸체(220)의 직경과 같거나 보다 작은 형태로 몸체(220)로 삽입 시 부피가 축소되는 형태일 수 있고, 또는 몸체(220)의 직경 보다 큰 형태로 흡입팬(221)에 의한 흡입 기류 발생 효율을 향상시키는 형태일 수 있다.
지붕(280)의 일 측에 해충을 유인하는 유인광원(212)이 장착되는 유인광원장착부(211)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유인광원(212)에서 조사되는 광의 방향이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유인광원장착부(211)가 지붕(280)의 적어도 일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유인광원(212)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지 또는 해충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발광 다이오드를 보호할 수 있는 커버(213)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커버(213)는 공지된 투명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유인광원(212)의 종류, 형태는 후술한다.
지붕(280)의 상부에 클리너(200)를 조명부(100)에 조립하는 조립부재(281)가 마련될 수 있다. 조립부재(281)는 볼트 및 너트의 체결부재, 스프링 체결부재, 회전식 체결부재, 탄성편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클리너(200)의 조립부재(281)를 조명부(100)의 클리너 연결부재(150)로 인입하고, 클리너 연결부재(150)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편을 포함하여 돌출부(151)가 홈부(282)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조명부(100)와 클리너(200)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 외에 2차적인 고정 수단으로 전술한 형태를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클리너(200)를 조명부(100)에서 분리 시 클리너(200)가 조명부(100)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여 돌출부(151)에서 홈부(282)를 탈리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몸체(220)는 흡입팬(221) 상부에 배치되되 복수의 곤충필터통공(202)을 갖는 곤충필터부(20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곤충필터부(201)는 외주면에 지지대결합부(203)가 마련될 수 있다. 클리너(200)가 포충 기능을 수행할 때, 체적이 큰 나비 또는 잠자리와 같은 곤충이 흡입팬(221)에 의해 형성된 기류에 의해 몸체(220) 내로 흡입되는 경우, 흡입팬(221)에 체적이 큰 곤충이 달라붙게 되어 모터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체적이 큰 곤충은 곤충필터통공(202)을 통과하지 못하고 모기와 같은 체적이 작은 해충만 몸체(220) 내로 흡입되어 포집부(230)에 포집되도록 하기 위해 몸체(220)에 곤충필터부(201)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유인광원(212)에 의해 유인된 해충이 클리너(200) 주변으로 접근할 때 흡입팬(221)에 의해 형성된 흡입기류에 의해 몸체(220) 내로 흡입된 후 포집부(230)에 포집되는데, 흡입기류 발생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집부(230)는 복수의 공기 통과 구멍을 포함하는 메쉬부(23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포집부(230)에 포집된 해충은 건조치사 될 수 있고, 사용자는 포집부(230)를 몸체(220)로부터 분리하여 포집부(230)를 청소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몸체(220)는 흡입팬(221)의 작동을 제어하는 흡입팬작동스위치(225) 및 방향전환스위치(226)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전환스위치(226)는 모터로 인가되는 전원의 변환을 통해 흡입팬(221)의 회전방향을 변환시키는 것으로, 클리너(200)가 조명부(100)에 장착되는 형태에 따라 사용자가 흡입팬(221)의 회전 방향을 변환시킴으로써 탈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인 사용상태는 후술한다. 한편, 흡입팬(221)은 방향전환스위치(226)에 의하지 않고, 조명부(100)에 클리너(200)가 장착되는 경우 자동으로 흡입팬(221)의 회전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4를 참조하면, 클리너(200)는 탈취장치로 구동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클리너(200)의 구성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나, 포집부(230)를 생략할 수 있고, 이때 공기 기류 발생을 위해 몸체(320)는 적어도 일부에 공기통공(224)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통공(224)은 몸체(320)의 하면 및 측면에 마련될 수 있고, 흡입팬(221)이 배치된 위치보다 낮은 높이에서 공기통공(224)이 마련되도록 하여 기류 발생 효율을 유체역학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몸체(320)는 제1 광촉매필터(240) 및 제1 광촉매필터(240)를 활성화시키는 광을 조사하는 제1 광원(2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촉매필터(240)는 제1 광원(243)에서 조사되는 광에 의해 광촉매 반응을 제공하는 광촉매 매질, 예를 들어, 티타늄산화물(TiO2), 실리콘산화물(SiO2), 텅스텐산화물(WO3), 지르코늄산화물(ZnO), 스트론튬타이타늄산화물(SrTiO3), 니오븀산화물(Nb2O5), 산화철(Fe2O3), 산화야연(ZnO2), 및 산화주석(SnO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광촉매필터(240)의 표면에 생성된 전자는 상기 광촉매 매질의 표면에 존재하는 산소와 반응하여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O2-)을 생성하고, 정공은 광촉매 표면이나 공기 속에 존재하는 수산화기 (-OH) 또는 수분과 반응하여 수산화 라디칼(·OH-)을 생성함으로써, 몸체(320) 내부에 유입된 공기 내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을 분해하여 살균 및 탈취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광촉매필터(240)가 설치된 제1 광촉매필터 장착부(241)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몸체(320) 내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제1 광촉매필터(240)로 조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1 광촉매필터 장착부(241)는 제1 광원장착부(24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몸체(320)는 집광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집광부(260)는 제1 광원(243)에서 제1 광촉매필터(240)로 조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광원장착부(242)에서 제1 광촉매필터(240)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광원(243)이 실장되는 영역을 감싸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집광부(260)는 내벽에 반사물질이 코팅 또는 도포되어 제1 광원(243)에서 제1 광촉매필터(240)로 조사되는 광량을 더욱 증가시킴으로써, 탈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320)는 흡입팬(221)의 작동을 제어하는 흡입팬작동스위치(225) 및 방향전환스위치(226)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를 적용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5를 참조하면, 조명부(100)는 탈취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100)는 내부에 제2 광원장착부(162), 제2 광원장착부(162)에 장착된 제2 광원(163)으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제2 광촉매필터(160), 제2 광촉매필터(160)가 장착된 제2 광촉매필터 장착부(161) 및 조명부(100) 내부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팬(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원(163), 제2 광촉매필터(160), 및 송풍팬(140)의 배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실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제2 광원(163), 제2 광촉매필터(160), 및 송풍팬(140)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광원(163)에서 조사되는 광의 방향과 공기 흐름 방향이 일치하도록 제2 광원(163), 제2 광촉매필터(160) 및 송풍팬(140)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제2 광촉매필터(160)를 효율적으로 활성화 시키고 탈취된 공기를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부(100)의 하부에서 클리너(200)가 조명부(100)로 인입되고, 클리너(20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제2 광원(163), 제2 광촉매필터(160) 및 송풍팬(140)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2 광원(163)과 제2 광촉매필터(160)가 대향하여 배치되되, 송풍팬(140)에 의해 형성된 기류의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고, 또는 제2 광원(163)과 제2 광촉매필터(160)가 대향하여 배치되지 않되 제2 광원(163)에서 방출된 광이 제2 광촉매필터(160)에 조사되도록 배치되도록 하여, 조명부(100)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탈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명부(100)는 조명부통공(130)을 갖고, 클리너(200)의 적어도 일부가 조명부통공(130) 내로 인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통공(130)의 단면적은 클리너(200)의 단면적 또는 지붕(280)의 단면적 보다 넓게 형성되어, 송풍팬(140)에 의해 형성된 기류가 조명부통공(130)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조명부(100)는 적어도 일부에 조명부통공(130)으로 외부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복수의 공기구멍(도면에 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조명부(100)는 인입된 클리너(200)의 유인광원(212)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된 필터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120)는 자외선 파장을 가시광선 파장으로 변환시키는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바를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클리너(200)에 장착된 자외선 광을 포함하는 유인광원(212)이 필터부(120)를 통해 가시광선 광으로 파장변환되므로, 유인광원(212)이 조명광원(110)을 대체할 수 있게 되어, 조명부(100) 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클리너(200)가 조명부통공(130) 내로 인입되어 조립부재(281)가 클리너 연결부재(150)에 장착되는 경우 클리너(200)에 배치된 흡입팬(221)의 작동이 멈추고, 조명부(100)에 배치된 제2 광원(163) 및 송풍팬(140)이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부재(281)에 흡입팬(221)으로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스위치(도면에 미도시)가 설치되고, 클리너 연결부재(150)에 제2 광원(163) 및 송풍팬(140)으로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스위치(도면에 미도시)가 설치되어, 클리너(200)가 조명부(100)에 조립되는 경우 흡입팬(221)의 작동이 자동으로 멈추고, 제2 광원(163) 및 송풍팬(140)이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클리너(200)가 조명부통공(130) 내로 인입되어 조립부재(281)가 클리너 연결부재(150)에 장착되는 경우 제1 내지 제2 실시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흡입팬작동스위치(225)로 흡입팬(221)의 작동을 멈추거나 또는 방향전환스위치(226)로 흡입팬(221)의 회전방향을 변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부(100)에 설치된 송풍팬(140)에 의해 탈취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킬 때, 사용자는 흡입팬(221)의 작동을 멈출 수 있고 또는 방향전환스위치(226)로 모터로 인가되는 전원을 변환시켜 흡입팬(221)의 회전방향을 변환시킴으로써 탈취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클리너(200)가 조명부통공(130) 내로 인입되어 조립부재(281)가 클리너 연결부재(150)에 장착되는 경우 클리너(200)에 배치된 흡입팬(221)이 회전할 수 있고, 예를 들어, 180˚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흡입팬(221)이 설치된 흡입팬장착부(222)는 회전부재(223)가 장착되어 몸체(220, 320) 내벽에서 360˚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흡입팬장착부(222)의 회전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클리너(200)가 조명부(100)에 조립되는 경우 자동으로 회전하도록 작동할 수도 있고, 또는 흡입팬장착부(222)를 회전시키는 별도의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클리너(200)가 조명부(100)에 조립되는 경우, 유인광원(212)에서 몸체(220, 320)로 유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었던 공기유로가 반대 방향으로 바뀌게 되어 몸체(220, 320)에서 제2 광촉매필터(160)가 설치된 방향으로 공기유로가 형성됨으로써, 조명부(100) 내에서 탈취된 공기가 더욱 효율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탈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방향전환스위치(226)로 흡입팬(221)의 회전방향을 변환시키거나, 흡입팬장착부(222)의 회전이 가능한 경우, 조명부(100)는 별도의 송풍팬(140)이 마련되지 않고 클리너(200)에 장착된 흡입팬(221)에 의해 탈취된 공기가 조명부(10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7을 참조하면, 조명부(100)는 탈취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광촉매필터로 광을 조사하는 별도의 광원을 갖지 않고 탈취기능이 구동될 수 있다.
조명부(100)는 내부에 제2 광촉매필터(160)가 설치된 제2 광촉매필터 장착부(1161) 및 송풍팬(140)을 포함할 수 있고, 클리너(200)가 조명부통공(130)을 통해 조명부(100)로 인입되는 형태, 송풍팬(140)에 의한 공기 기류 발생 형태는 제3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를 적용할 수 있다.
클리너 연결부재(1150)는 회전력부여부재(116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회전력부여부재(1160)는 클리너(200)에 설치된 유인광원(212)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유인광원(212) 및 이를 보호하는 공지된 투명 소재를 포함하는 커버(213)가 장착된 유인광원장착부(211)는 회전부재(1223)에 연결될 수 있고, 조명부(100)에 클리너(200)가 조립될 때 회전력부여부재(1160)에 의해 회전부재(1223)가 회전함에 따라 유인광원장착부(211)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을 참조하면, 회전력부여부재(1160)가 회전부재(1223)를 90˚ 회전시킬 때, 지면과 평행인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도록 배치된 유인광원장착부(211)가 90˚ 회전하여 조명부(100)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즉,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너(200)가 조명부(100)에 조립되는 경우 유인광원(212)이 제2 광촉매필터(160)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함으로써, 조명부(100)는 광촉매필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별도의 광원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명부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9를 참조하면, 조명부(100)는 탈취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조명부(100)에 광촉매필터로 광을 조사하는 별도의 광원 및 송풍팬이 구비되지 않아도 탈취기능이 구동될 수 있다.
조명부(100)는 내부에 제2 광촉매필터(160)가 설치된 제2 광촉매필터 장착부(1161)을 포함할 수 있고, 클리너(200)가 조명부통공(130)을 통해 조명부(100)로 인입되는 형태 및 조명부(100)로 클리너(200)가 인입되는 경우 회전력부여부재(1160)에 의해 유인광원(212)이 회전하여 유인광원(212)에서 조사되는 광에 의해 제2 광촉매필터(160)가 활성화되는 형태는 제4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를 적용할 수 있다.
클리너(200)가 조명부통공(130) 내로 인입되어 조립부재(281)가 클리너 연결부재(150)에 장착되는 경우 클리너(200)에 배치된 흡입팬(221)이 회전할 수 있고,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제3 실시예에서 도 6을 들어 설명한 부분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클리너(200)가 조명부(100)에 조립되는 경우, 유인광원(212)에서 조사되는 광이 조명부(100)에 설치된 제2 광촉매필터(160)를 향하고, 흡입팬(221)이 회전함으로써, 조명부(100)에 제2 광촉매필터(160)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별도의 광원 및 탈취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송풍팬이 마련되지 않아도 되는 구성을 차용함으로써, 조명부(100)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분리 및 조립 상태를,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에서 클리너 연결부재가 고정부에 결합된 형태를, 도 2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도 22(b)는 상기 고정부에 접철부가 결합된 형태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조명부(100)는 조명광원(110), 조명부통공(1130), 제2 광원(163), 집광부(260), 제2 광촉매필터(160), 및 송풍팬(140)을 포함할 수 있고, 조명부(100)에 포함되는 상기 구성들은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조명부통공(1130)은 입구 또는 출구로부터 제2 광촉매필터(160)가 설치된 방향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적어도 1 이상의 구간을 포함하여, 유체역학적으로 공기 기류 발생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탈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2 광촉매필터(160)가 조명부통공(1130)의 측면으로부터 3cm 이내에 설치되어 조명부통공(1130)을 통과하는 공기 대부분이 제2 광촉매필터(160)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 조명부통공(1130) 사이에 제2 광촉매필터(160)가 끼움결합 되어 조명부통공(1130)을 통과하는 공기가 전부 제2 광촉매필터(160)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조명부통공(1130)의 내부가 특정 형태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공기 기류 발생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탈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클리너(200)에 의해 공기 기류 형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클리너(200)가 조명부(100)에서 충분히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조명부통공(1130)은 클리너 연결부재(2150) 및 고정부(3150)가 마련될 수 있다. 클리너 연결부재(2150)는 접철부(2151) 및 힌지(2152)를 포함하여 형태가 변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너(200)와 장착 시 클리너 연결부재(2150)가 조명부(100) 외부로 연장되도록 펼쳐짐으로써 클리너(200)가 조명부(100)에서 충분히 이격된 위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부에 클리너(200)가 장착되지 않는 경우 접철부(2151)가 접철되어 고정부(3150)에 고정됨으로써 부피가 축소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3150)는 고정부 홈(3151)이 마련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접철부(2151)의 마디 개수에 따라 고정부 홈(3151)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접철부(2151)는 고정부 홈(3151)에 가이드 되어 삽입되거나 또는 탄성 재질의 고정부 홈(315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조명부(100)가 클리너 연결부재(2150)를 더 포함함으로써 조명부(100)에 설치된 송풍팬(140)에 의해 형성된 기류가 클리너(200)에 의해 방해되지 않도록 클리너(200)가 충분히 이격되도록 하여 공기 기류 발생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클리너 연결부재(2150)가 결합되는 고정부(3150)를 더 포함함으로써 조명부(100)에 클리너(200)가 장착되지 않는 경우 부피가 축소될 수 있다.
제7 실시예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조명장치는 별도의 클리너(200)가 장착되지 않고, 조명부(100) 자체가 탈취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조명부(100)는 조명광원(110), 조명부통공(1130), 제2 광원(163), 집광부(260), 제2 광촉매필터(160), 및 송풍팬(140)을 포함할 수 있고, 조명부(100)에 포함되는 상기 구성들은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조명부통공(1130)은 입구 또는 출구로부터 제2 광촉매필터(160)가 설치된 방향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적어도 1 이상의 구간을 포함하여, 유체역학적으로 공기 기류 발생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탈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제2 광촉매필터(160)가 조명부통공(1130)의 측면으로부터 3cm 이내에 설치되어 조명부통공(1130)을 통과하는 공기 대부분이 제2 광촉매필터(160)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고, 또 다른 예로, 조명부통공(1130) 사이에 제2 광촉매필터(160)가 끼움결합 되어 조명부통공(1130)을 통과하는 공기가 전부 제2 광촉매필터(160)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7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별도의 클리너(200)가 장착되지 않고도, 조명부통공(1130)의 내부가 특정 형태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공기 기류 발생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탈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8 실시예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에 따른 클리너(200)는 그 자체로 지면에 지지될 수 있으며, 별도의 거치대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0을 참조하면, 조명장치는 클리너(200)가 착탈이 가능하게 안착되는 클리너안착부(270) 및 클리너안착부(270)를 지지하는 거치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클리너안착부(270)에 마련된 돌출부(1151)가 클리너(200)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된 홈부(1282)와 끼움결합 되어, 클리너(200)가 클리너안착부(270)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1을 참조하면, 클리너안착부(270)는 클리너(2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클리너안착부통공(271)을 포함하여 흡입팬(221)에 의해 형성된 기류가 외부로 효율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고, 이때 클리너(200)는 클리너안착부(270)에 안착되는 면이 개구되어 사용자는 클리너안착부(270)에서 클리너(200)를 분리시켜 클리너(200) 내부에 배치된 별도의 모기 포집통(도면에 미도시) 또는 제1 광촉매필터(240) 등 클리너(200) 내부 구성을 용이하게 교환 또는 세척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도 1에 따른 조명부(100) 및 클리너(200)를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실시예 내지 제7 실시예를 들어 전술한 구성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광원
도 12 내지 도 17은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명광원(110), 유인광원(212), 및 제1 내지 제2 광원(243, 163)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조명장치에 적용되는 형태는 각각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이하 “광원”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광원은 지지부재(171, 271, 371)에 발광 다이오드(172)가 부착된 형태일 수 있다. 광원은 도 12 내지 도 1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단일한 지지부재(171) 또는 지지부재(171)가 적층된 구조일 수 있고, 적층형 지지부재(171)의 경우 발광 다이오드(172)가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배열됨으로써 발광열에 의한 지지부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광원은 도 15 내지 도 1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다각기둥 지지부재(271), 또는 원기둥 지지부재(371)에 발광 다이오드(172)가 실장된 형태를 차용함으로써 조명장치의 체적을 축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넓은 범위에 광을 조사하여 광 조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삼각기둥 지지부재(271)는 세 개의 PCB 기판을 삼각형 형태로 체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플렉서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플렉서블 지지부재는 전부 또는 일부가 절곡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를 소형화 시키면서도 해충의 유인효율 및 광촉매필터의 활성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원장착부가 절곡되어 제조된 형태 또는 절곡이 가능한 형태를 차용할 수 있고, 절곡되어 제조된 광원장착부(도면에 미도시) 또는 절곡되어 변형되는 형태의 광원장착부(도면에 미도시)에 실장될 수 있는 플렉서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광원은 튜브타입 LED 일 수 있다. 튜브타입 LED는 와이어 본딩으로 또는 와이어 본딩 없이 외부의 전원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튜브타입 LED는 지지부재(471)에 발광 다이오드(172)가 부착된 형태로, 일면에 지지부재(471)가 안착되는 히트싱크(173)가 마련되고, 지지부재(471) 및 히트싱크(173)를 내장하는 케이스(174)의 양단에 결합하는 베이스(17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히트싱크(173)는 지지부재(471)의 양측을 감싸는 지지부재 고정부(178)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지지부재 고정부(178)의 적어도 일면은 지지부재(471)가 안착된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튜브타입 LED에 전술한 지지부재(171, 271, 371)를 장착할 수 있다. 일 예로, 튜브타입 LED는 지지부재(171, 471)의 양 면에 발광 다이오드(172)가 부착될 수 있고, 한 면은 해충 유인용 발광 다이오드가 부착되고, 다른 한 면은 살균 및 살충용 UVC 발광 다이오드가 부착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하는 조명용 발광 다이오드가 부착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살충용 UVC 광원이 장착되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7을 들어 전술한 광원은 단일한 지지부재(171, 271, 371)에 상이한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172)가 실장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172)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이하,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및 백색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이하, 백색광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백색광 발광 다이오드가 단일한 지지부재 상에 실장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백색광 발광 다이오드가 이웃하는 형태로 실장 될 수 있다.
즉, 모기 등 날파리는 자외선과 백색광이 함께 방출되는 광원에 유인되는 경향이 있고, 조명장치에 상기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및 백색광 발광 다이오드가 함께 실장 된 광원이 설치되어, 모기 등 해충의 포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172) 각각의 광출력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조명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발광 다이오드(172)에서 방출되는 광의 광출력이 높아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수면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발광 다이오드에(172)서 방출되는 광의 광출력이 낮아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포충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발광 다이오드(172)에서 방출되는 자외선 광의 광출력이 높아지거나 또는 자외선 및 백색광의 광출력이 높아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172)는 각각 상이한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172)는 각각 모기 등 해충을 유인하는 자외선 파장, 백색광, 및 제3의 파장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의 파장은 상처치유에 효과적인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3의 파장은 630 내지 680 nm 파장일 수 있다. 상기 630 내지 680 nm 파장의 광을 펄스모드로 상처부위에 조사하는 경우 뉴런 내 cytochrome oxidase의 활동성을 자극하여 세포의 활성을 향상시켜 상처치유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사이클로옥시제나스 프로스타글란딘 E2(cyclooxygenase prostaglandin E2) 생성을 억제하여 염증과 같은 병리학적 상황에 놓인 세포를 보호할 수 있고, 혈관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상처치유에 효과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펄스모드는 특정 주파수 및 듀티비(duty ratio)에 따라 온/오프되는 구동방법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의 파장은 여드름 치료와 피부 각화증 치료와 같은 피부미용을 위한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3의 파장은 405 내지 630 nm 파장일 수 있다. 상기 405 내지 630 nm 파장의 광을 연속모드로 피부에 조사하는 경우 광역학반응(PDT, Photo Dynamic Therapy)이라는 치료 원리에 의해 여드름 등의 원인균인 P-acne를 불활성화시켜 항바이러스효과를 발생시키므로, 여드름 치료와 피부 각화증 치료 등에 효과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속모드는 빛이 지속적으로 출력되는 구동방법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의 파장은 피부회복에 효과적인 파장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3의 파장은 630 내지 660 nm 일 수 있다. 상기 630 내지 660 nm 파장의 광을 펄스모드로 피부에 조사하는 경우 광-유도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생산에 의해 콜라겐 합성이 증진될 수 있고, 특히 20 내지 30 J/cm2 세기로 조사하는 경우 신생 콜라겐 섬유질의 합성과 성장이 촉진되어,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적일 수 있다.
제9 실시예
도 18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400)는 제어부(410), 표시부(420), 입력부(430), 센서부(440) 및 통신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조명부(100) 및 클리너(200)의 구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센서부(440), 통신부(450)로부터 획득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고,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전술한 조명장치(400)의 각 구성으로 조명광원(110), 제1 광원(243), 제2 광원(163), 유인광원(212), 송풍팬(140), 흡입팬(221)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420)는 제어부(41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정보 또는 센서부(440)에 의해 검출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창으로, 예를 들어, 구동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420)는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창으로 구현하거나 또는 입력과 표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로도 구현할 수 있다.
입력부(430)는 문자 버튼, 기호 버튼, 특수 버튼 등의 다양한 자판을 배열시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420)가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부(430)인 자판 배열 키보드가 그래픽 형태로 터치 스크린 화면에 오버랩(overlap)되어 표시된다. 자판 배열 입력창의 위치 및 투명도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참고로, 터치 스크린 패널이라 함은, 화면 표시 수단일 뿐만 아니라 터치팬이나 손가락 등의 터치 수단에 의하여 터치를 감지하는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440)는 조명장치(400)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조명장치(400)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입자 정보를 검출하여, 표시부(420) 및/또는 제어부(410)로 이를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450)는 조명장치(400)에서 검출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50)는 리모컨(remote control)으로부터 조명장치(400)의 제어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의 전자장치(500)로 정보를 송신하거나 전자장치(50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450)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은 인터넷 접속을 위하여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PA (High Speed Packet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DECT (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communications), EVDO (Evolution-Data Optimized), GPR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IEEE 802.20 MBWA (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 Li-Fi(light-fidelity), MMDS (Multichannel Multipoint Distribution System), Muni Wifi,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등의 무선 인터넷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통신망은, 무선 접속 장치(AP: Access Point)가 설치된 곳에서 전파를 이용하여 일정 거리 안에서 무선 인터넷을 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망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통신부와 웹 서버에는 무선 접속 장치(AP)가 각각 마련되어, 데이터의 무선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유선통신은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미세입자 농도 정보가 미리 입력된 정보를 초과하는 경우 조명장치(400)의 탈취기능을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243) 및/또는 제2 광원(163)을 작동시켜 제1 광촉매필터(240) 및/또는 제2 광촉매필터(160)를 활성화시키고, 흡입팬(221) 및/또는 송풍팬(140)을 작동시킴으로써 주변 공기를 탈취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조명장치(400)에서 탈취기능의 구동 중, 센서부(440)에 의해 검출된 미세입자 농도 정보가 미리 입력된 시간 정보 내에 낮아지지 않는 경우, 제어부(410)는 흡입팬(221) 및/또는 송풍팬(140)의 회전속도를 가속시키거나 제1 광원(243) 및 제2 광원(163)의 광량을 상승시킬 수 있고, 미세입자 농도 정보가 미리 입력된 정보 구간 내로 감소하는 경우 흡입팬(221) 및/또는 송풍팬(14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거나 제1 광원(243) 및 제2 광원(163)의 광량을 낮출 수 있다. 즉, 종래의 탈취기에 따르면 모터 속도 또는 광량 등이 일정하게 구동되어 미세입자 농도가 높은 환경에서 충분한 탈취 기능을 수행할 수 없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400)는 미세입자 농도에 따라 흡입팬(221) 및/또는 송풍팬(140)의 회전속도를 가속, 감속 또는 전력 공급을 차단시키거나 제1 광원(243) 및 제2 광원(163)의 광량을 상승, 하강, 또는 전력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환경의 변화에 따라 충분한 탈취 기능을 수행할 수 있거나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의 전자장치(500)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500)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톱 PC(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MD(head-mounted-device),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엑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500)는 무선인터넷 접속기능을 이용하여 인터넷 및 인트라넷 직접 접속할 수 있으며 그룹웨어로의 연동이 가능하다. 또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상황에 맞추어 설치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고, 같은 운영 체제를 가진 전자장치(500) 간에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장치(500)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장치(500)를 사용하는 장치, 예를 들어, 인공지능 전자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조명장치(400)의 구동 정보, 예를 들어 구동 시간, 조명장치(400) 주변의 미세입자 농도 정보 등을 통신부를 통해 전자장치(500)로 수신할 수 있고, 전자장치(500)에 구동 제어 정보를 입력하여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440)는 클리너(200)의 구동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상기 구동정보는 포집부(230)에 포집된 해충이 차지하는 부피, 제1 광원(243) 또는 제2 광원(163)에서 조사되는 광의 광도, 및 클리너(200) 주변 광의 조도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440)에 의해 검출된 클리너(200) 주변 광의 조도가 미리 입력된 값을 초과하거나 미만인 경우 제어부(410)는 제1 광원(243)의 광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리너(200)는 포집센서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는 포집부(230)에 해충의 포집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포집부(230)를 청결한 상태로 관리 가능하며, 포집부(230)에서 해충이 차지하는 부피가 커짐에 따라 공기 기류 발생 효율이 감소하여 포집 효율이 열악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클리너(200)는 센서부(440)에 의해 검출된 상기 구동정보 값이 미리 입력된 값을 초과하거나 미만인 경우 알람을 발생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포집부(230)에 포집된 해충이 차지하는 부피가 미리 입력된 값을 초과한 경우에 해당하거나 제1 광원(243) 또는 제2 광원(163)에서 조사되는 광의 광도가 미리 입력된 값 미만인 경우, 알람부에서 알람을 발생시켜 사용자는 포집부(230)의 교체 시기, 제1 광원(243) 또는 제2 광원(163)의 교체 시기를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 즉, 종래에 해충의 유인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의 광도가 낮아지는 경우 해충의 유인 효율이 감소함에 따라 해충의 포집 효율이 감소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440)는 클리너(200)의 구동정보를 검출하고 특정 상황에서 알람부에 의해 알람이 발생하도록 하여 구동장치를 사전에 교체하도록 함으로써, 포집부(230)에 해충이 지나치게 적체되어 흡입팬(221)에 의한 해충의 포집 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 광원(243)이나 제2 광원(163)의 수명이 다하여 해충의 광 유인 효율을 감소시키거나 탈취 효율이 열악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조명부
110: 조명광원
120: 필터부
121: 필터부 힌지
130, 1130: 조명부통공
140: 송풍팬
150, 1150, 2150: 클리너 연결부재
2151: 접철부
2152: 힌지
3150: 고정부
3151: 고정부 홈
1160: 회전력부여부재
151, 1151: 돌출부
160: 제2 광촉매필터
161, 1161: 제2 광촉매필터 장착부
162: 제2 광원장착부
163: 제2 광원
171, 271, 371, 471: 지지부재
172: 발광 다이오드
173: 히트싱크
174: 케이스
175: 베이스
176: 밀봉부재
177: 베이스 체결부재
178: 지지부재 고정부
200: 클리너
201: 곤충필터부
202: 곤충필터통공
203: 지지대결합부
210: 지지대
211: 유인광원장착부
212: 유인광원
213: 커버
220, 320: 몸체
221: 흡입팬
222: 흡입팬장착부
223, 1223: 회전부재
224: 공기통공
225: 흡입팬작동스위치
226: 방향전환스위치
230: 포집부
231: 메쉬부
240: 제1 광촉매필터
241: 제1 광촉매필터 장착부
242: 제1 광원장착부
243: 제1 광원
260: 집광부
270: 클리너안착부
271: 클리너안착부통공
280, 1280: 지붕
281: 조립부재
282, 1282: 홈부
300: 거치대
400: 조명장치
500: 전자장치
410: 제어부
420: 표시부
430: 입력부
440: 센서부
450: 통신부

Claims (41)

  1. 조명광원이 실장된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에 장착 가능한 클리너;
    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너는
    내부에 흡입팬이 실장되는 몸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상기 흡입팬 상부에 배치되되 복수의 곤충필터통공을 갖는 곤충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조명광원에 대향하도록 마련된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자외선 파장을 가시광선 파장으로 변환시키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상기 흡입팬의 회전방향을 변환시키는 방향전환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해충의 유인광을 조사하는 유인광원이 장착되는 유인광원장착부; 및
    상기 몸체로 흡입된 해충이 포집되는 포집부;
    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인광원은,
    지지부재; 및
    발광 다이오드;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판,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제1 광촉매필터 및 상기 제1 광촉매필터로 광을 조사하는 제1 광원을 장착하기 위한 제1 광원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복수의 공기통공을 갖는, 조명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상기 제1 광원장착부에서 상기 제1 광촉매필터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 광원이 실장되는 영역을 감싸는 집광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상기 조명부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조명부는,
    제2 광원장착부;
    상기 제2 광원장착부에 장착된 제2 광원으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제2 광촉매필터; 및
    상기 조명부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을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2 광원장착부에서 상기 제2 광촉매필터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 광원이 실장되는 영역을 감싸는 집광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기류가 발생하도록 마련된 입구 및 출구를 갖되, 상기 제2 광촉매필터가 설치되는 조명부통공을 갖고,
    상기 클리너가 상기 조명부통공에 인입되는 경우, 상기 흡입팬의 작동이 중지되고 상기 제2 광원 및 상기 송풍팬이 작동되는, 조명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통공은 상기 입구 또는 출구로부터 상기 제2 광촉매필터가 설치된 방향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적어도 1 이상의 구간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통공은 클리너 연결부재 및 고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클리너 연결부재는 접철부 및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접철부는 접철되어 상기 고정부에 마련된 고정부 홈에 결합이 가능한, 조명장치.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상기 흡입팬에 의해 형성된 공기유로(Airflow Path) 변경이 가능한, 조명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상기 흡입팬이 실장되는 흡입팬장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흡입팬장착부는 상기 클리너가 상기 조명부통공에 인입되는 경우 회전이 가능한, 조명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상기 흡입팬의 회전방향을 변환시키는 방향전환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해충의 유인광을 조사하는 유인광원이 장착되는 유인광원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클리너가 상기 조명부통공에 인입 시 상기 유인광원에 대향하도록 마련된 필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자외선 파장을 가시광선 파장으로 변환시키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상기 조명부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조명부는,
    제2 광촉매필터;
    상기 조명부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및
    기류가 발생하도록 마련된 입구 및 출구를 갖되, 상기 제2 광촉매필터가 설치되는 조명부통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리너는 유인광원이 장착되는 유인광원장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인광원장착부는 상기 클리너가 상기 조명부통공에 인입되는 경우 상기 유인광원장착부에 장착된 유인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제2 광촉매필터로 조사되도록 회전이 가능한, 조명장치.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상기 조명부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조명부는,
    제2 광촉매필터; 및
    기류가 발생하도록 마련된 입구 및 출구를 갖되, 상기 제2 광촉매필터가 설치되는 조명부통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리너는 유인광원이 장착되는 유인광원장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인광원장착부는 상기 클리너가 상기 조명부통공에 인입되는 경우 상기 유인광원장착부에 장착된 유인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제2 광촉매필터로 조사되도록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클리너는 상기 흡입팬에 의해 형성된 공기유로(Airflow Path) 변경이 가능한, 조명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상기 흡입팬이 실장되는 흡입팬장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흡입팬장착부는 상기 클리너가 상기 조명부통공에 인입되는 경우 회전이 가능한, 조명장치.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상기 흡입팬의 회전방향을 변환시키는 방향전환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23.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통공은 입구 또는 출구로부터 상기 제2 광촉매필터가 설치된 방향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적어도 1 이상의 구간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2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가 착탈이 가능하게 안착되는 클리너안착부; 및
    상기 클리너안착부를 지지하는 거치대;
    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안착부는 상기 클리너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클리너안착부통공을 갖는, 조명장치.
  2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제2 광원장착부;
    상기 제2 광원장착부에 장착된 제2 광원으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제2 광촉매필터; 및
    상기 조명부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팬;
    을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기류가 발생하도록 마련된 입구 및 출구를 갖되, 상기 제2 광촉매필터 및 상기 송풍팬이 설치되는 조명부통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통공은 입구 또는 출구로부터 상기 제2 광촉매필터가 설치된 방향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적어도 1 이상의 구간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2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제1 광원을 장착하기 위한 제1 광원장착부, 제2 광촉매필터, 및 상기 제2 광촉매필터로 광을 조사하는 제2 광원을 장착하기 위한 제2 광원장착부를 더 포함하되,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리너의 구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클리너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입자 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1 광원, 제2 광원, 및 흡입팬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29.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미세입자 농도 정보가 미리 입력된 정보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광원을 작동시키는, 조명장치.
  30.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입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조명장치.
  31.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는, 조명장치.
  32.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미세입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33. 청구항 28에 있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명장치.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미세입자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조명장치.
  3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제1 광원을 장착하기 위한 제1 광원장착부, 제2 광촉매필터, 및 상기 제2 광촉매필터로 광을 조사하는 제2 광원을 장착하기 위한 제2 광원장착부를 더 포함하되,
    입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리너의 구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클리너의 구동정보를 검출하는 센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제1 광원, 제2 광원, 및 흡입팬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정보는 상기 포집부에 포집된 해충이 차지하는 부피, 상기 제1 광원 또는 제2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의 광도, 및 상기 클리너 주변 광의 조도에 관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36.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카메라가 더 설치되어, 포집부에 포집된 해충의 관찰이 가능한, 조명장치.
  37.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클리너 주변 광의 조도가 미리 입력된 값을 초과하거나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광원의 광량을 제어하는, 조명장치.
  38. 청구항 35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구동정보 값이 미리 입력된 값을 초과하거나 미만인 경우 알람을 발생하는, 조명장치.
  3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조명광원 및 상기 유인광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단일한 지지부재에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실장되고,
    상기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백색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40. 청구항 39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는, 630 내지 680 nm 및 405 내지 630 nm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장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41. 청구항 39 또는 청구항 40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 각각의 광출력의 제어가 가능한, 조명장치.
KR1020180029824A 2017-03-29 2018-03-14 조명장치 KR201801105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3565 WO2018182265A1 (ko) 2017-03-29 2018-03-27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40228 2017-03-29
KR1020170040228 2017-03-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593A true KR20180110593A (ko) 2018-10-10

Family

ID=6387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824A KR20180110593A (ko) 2017-03-29 2018-03-14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05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69352A (zh) * 2019-04-29 2019-09-24 武汉拓达智眼镜有限公司 一种床头眼镜盒
KR20200115404A (ko) * 2018-10-24 2020-10-07 주식회사지엘에스 엘이디 램프를 포함하는 포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404A (ko) * 2018-10-24 2020-10-07 주식회사지엘에스 엘이디 램프를 포함하는 포충기
CN110269352A (zh) * 2019-04-29 2019-09-24 武汉拓达智眼镜有限公司 一种床头眼镜盒
CN110269352B (zh) * 2019-04-29 2021-05-04 张亦军 一种床头眼镜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8267B1 (ko) 포충기
KR102482762B1 (ko) 포충기
KR101176565B1 (ko) Led 조명 기능이 구비된 천장 부착형 공기청정기
JP5552570B2 (ja) 保健および最適の照明装置
EP2475936B1 (en) Air conditioner
US8080203B2 (en) Air sterilization apparatus
CN111237690A (zh) 一种杀菌灭蚊空气净化led灯及控制方法
JP2022047454A (ja) 表面及び空間led殺菌照明装置
KR101691587B1 (ko) 포충기
US11154044B2 (en) Insect trap
CN110430752B (zh) 黏着型捕虫器
KR20180110593A (ko) 조명장치
CN114208788A (zh) 捕虫器
CN211952401U (zh) 一种杀菌灭蚊空气净化led灯
KR20170112972A (ko) 포충기
KR20110086403A (ko) 공기정화 장치를 구비한 조명기구
CN108244070A (zh) 捕虫器
CN207948656U (zh) 捕虫器
KR20120000178U (ko) 공기정화 장치를 구비한 조명기구
KR20130000530U (ko) 조명기능을 겸한 스탠드형 공기살균기
CN214172049U (zh) 一种杀菌风扇灯
KR20180060922A (ko) 포충기
KR20230060219A (ko) 실내공기 정화 및 살균기능을 갖는 등기구
JP2022178490A (ja) 殺菌及びウイルス不活性化作用を有するled照明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