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285B1 -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 - Google Patents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285B1
KR101861285B1 KR1020170023656A KR20170023656A KR101861285B1 KR 101861285 B1 KR101861285 B1 KR 101861285B1 KR 1020170023656 A KR1020170023656 A KR 1020170023656A KR 20170023656 A KR20170023656 A KR 20170023656A KR 101861285 B1 KR101861285 B1 KR 101861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point
sectional area
casing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혁
최영석
이경용
송왕기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2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285B1/ko
Priority to PCT/KR2017/006729 priority patent/WO201815576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238Special flow patterns
    • F04D29/225Channel wheels, e.g. one blade or one flow chann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4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04D29/4233Fan casings with volutes extending mainly in axial or radially inwar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펠러와 벌류트 케이싱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높은 양정 효율을 가짐과 동시에, 유체력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벌류트 케이싱; 및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 공간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임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는, 상기 벌류트 케이싱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상기 임펠러의 각도에 따라 내부유로 단면적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벌류트 케이싱은, 상기 임펠러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각도에 따라 내부유로 단면적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임펠러와 상기 벌류트 케이싱은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내부유로 단면적이 동시에 제어되어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SINGLE CHANNEL PUMP FOR HIGH EFFICIENCY AND LOW FLUID INDUCED VIBRATION}
본 발명은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임펠러와 벌류트 케이싱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높은 양정 효율을 가짐과 동시에, 유체력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 펌프는 하수, 폐수 슬러지 등을 이송하는 펌프로, 여러 산업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오폐수 펌프는 일반적인 수중 펌프와 달리 이물질을 포함하는 유체를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유로 막힘 현상(clogging)이 자주 발생한다. 이처럼 유로 막힘 현상은 오폐수 펌프의 양정 효율 등의 성능을 감소시키거나, 오폐수 펌프의 고장 및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오폐수 펌프는 막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은 종래의 보르텍스펌프 및 단일채널펌프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의 (a)는 보르텍스(vortex)펌프이다. 상기 보르텍스 펌프는 종래의 복수의 유로를 갖는 임펠러가 적용된 오폐수 펌프의 유로 막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써, 임펠러 길이를 짧게하여 유로를 넓게 확보하기 때문에 유로 막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기 보르텍스 펌프는 임펠러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기존 오폐수 펌프에 비해 양정 효율이 30% 정도 밖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의 (b)는 단일채널펌프다. 상기 단일채널펌프는 임펠러의 내부에 하나의 유로를 형성하고,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유로가 함께 회전하여 오폐수를 이송하도록 마련된다. 이처럼 마련된 단일채널펌프는 유로 막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보르텍스 펌프에 비해 양정효율이 2배 이상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단일채널펌프의 임펠러는 일반적인 임펠러와 달리 비대칭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일채널펌프를 작동시 유체력의 분포가 일정하지 않아 진동이 크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펌프 효율을 높이려 할수록 진동이 더욱 크게 증가하여 현장에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단일채널펌프는 효율을 높이면서 유체력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미국등록특허 제6837684호 (2005.01.04)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임펠러와 벌류트 케이싱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높은 양정 효율을 가짐과 동시에, 유체력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벌류트 케이싱; 및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 공간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임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는, 상기 벌류트 케이싱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상기 임펠러의 각도에 따라 내부유로 단면적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벌류트 케이싱은, 상기 임펠러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각도에 따라 내부유로 단면적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임펠러와 상기 벌류트 케이싱은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내부유로 단면적이 동시에 제어되어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 및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유로 단면적은 설계변수에 의하여 생성된 베지어 곡선에 의하여 제어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설계변수는, 임펠러 각도에 따라 상기 임펠러의 내부유로 단면적이 변할 수 있는 2개의 임펠러 제어점; 및 벌류트 케이싱 각도에 따라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유로 단면적이 변할 수 있는 3개의 벌류트 제어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벌류트 제어점은,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유로 단면적이 가장 작은 부분이 시작하는 지점의 벌류트 케이싱 각도는 0도로 하고, 가장 큰 지점을 360도로 하며, 상기 벌류트 케이싱 각도를 가로축으로 하고,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유로 단면적을 세로축으로 할 때, 상기 가로축과 상기 세로축의 임의의 점인 제1 벌류트 제어점, 제2 벌류트 제어점 및 제3 벌류트 제어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 유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지점을 제1 개시점으로 하고,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각도가 360도인 지점은 제1 종료점으로 하며, 상기 제1 개시점과 상기 제1 종료점 사이에서 3개의 상기 벌류트 제어점이 변할 때 상기 제1 개시점, 상기 제1 종료점 및 상기 3개의 벌류트 제어점으로 표현된 제1 베지어 곡선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벌류트 제어점은 상기 벌류트 각도가 90도일 때 내부유로 단면적이 0이상 3000mm2이하이고, 상기 제2 벌류트 제어점은 상기 벌류트 각도가 180도일 때 내부유로 단면적이 0이상 6000 mm2이하이며, 상기 제3 벌류트 제어점은 상기 벌류트 각도가 270도일 때, 내부유로 단면적이 3000 mm2이상 6000 mm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 제어점은, 상기 임펠러의 내부유로 단면적이 가장 작은 부분이 시작하는 지점의 임펠러 각도는 0도로 하고, 가장 큰 지점을 360도로 하며, 상기 임펠러 각도를 가로축으로 하고, 상기 임펠러의 내부유로 단면적을 세로축으로 할 때, 상기 가로축과 상기 세로축의 임의의 점인 제1 임펠러 제어점 및 제2 임펠러 제어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내부 유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지점을 제2 개시점으로 하고, 상기 임펠러 각도가 360도인 지점은 제2 종료점으로 하며, 상기 제2 개시점과 상기 제2 종료점 사이에서 2개의 상기 임펠러 제어점이 변할 때 상기 제2 개시점, 상기 제2 종료점 및 상기 2개의 제어점으로 표현된 제2 베지어 곡선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펠러 제어점은 상기 임펠러 각도가 160도일 때 내부유로 단면적이 130 mm2이상 2330 mm2이하이고, 상기 제2 임펠러 제어점은 상기 임펠러 각도가 270도일 때 내부유로 단면적이 1600 mm2이상 3800 mm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와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유로 단면적은 선정된 목적함수가 최종목적함수값을 갖도록 동시에 제어되어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목적함수는, 펌프 효율, 유체력 분포영역, 중심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펌프 효율은
Figure 112017018497685-pat00001
(여기서, η=펌프 효율, ρ=밀도, g=중력가속도, H=수두, Q=체적 유량, P=동력)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체력 분포영역은
Figure 112017018497685-pat00002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거리인 원점부터 상기 유체력 분포영역의 질량 중심점과의 거리는,
Figure 112017018497685-pat00003
(Cx= 유체력 분포영역의 질량 중심점의 x축 좌표, Cy=유체력 분포영역의 질량 중심점의 y축 좌표)이며, 여기서,
Figure 112017018497685-pat00004
,
Figure 112017018497685-pat00005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를 적용한 배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분뇨, 오폐수, 오물, 및 고형물과 같이 점도가 있는 슬러지를 막힘 현상 없이 펌핑하여 단일채널펌프의 고장 및 파손을 방지하고 높은 양정 효율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임펠러와 벌류트 케이싱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단일채널펌프를 설계함으로써, 단일채널펌프가 높은 효율을 갖되, 유체력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이 최소화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보르텍스펌프 및 단일채널펌프의 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서 1회전 동안의 유체력의 분포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 의해 설계된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 의해 설계된 임펠러의 내부유로 통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 의해 설계된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유로 통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서 벌류트 케이싱의 설계변수, 설계영역 및 베지어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서 임펠러의 설계변수, 설계영역 및 베지어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서 예상목적함수 값을 도출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서 라틴 하이퍼 큐브 샘플링을 통해 결정된 실험점을 통해 벌류트 케이싱 각도에 따른 내부유로 단면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서 라틴 하이퍼 큐브 샘플링을 통해 결정된 실험점을 통해 임펠러 각도에 따른 내부유로 단면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서 실험점의 3개의 예상목적함수값을 각 축으로하여 나타낸 3차원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서 최종목적함수 값을 도출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서 실험점에 대한 펌프효율-유체력 분포영역, 펌프효율-중심거리, 유체력 분포영역-중심거리의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서 선택된 실험점에 대한 파레토 최적해 검증을 실시한 그래프이다.
도 16은 종래의 단일채널펌프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 의해 설계된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구간 압력 분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서 1회전 동안의 유체력의 분포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은 먼저, 단일채널펌프의 임펠러 및 벌류트 케이싱의 형상을 고려하여 3개의 목적함수를 선정하는 단계(S210)을 수행할 수 있다.
단일채널펌프의 임펠러 및 벌류트 케이싱의 형상을 고려하여 3개의 목적함수를 선정하는 단계(S210)에서, 상기 목적함수는, 단일채널펌프를 설계할 때 요구되는 설계 사양인 펌프 효율, 유체력 분포영역, 중심거리이다.
상기 펌프 효율은 하기의 수학식1과 같다.
Figure 112017018497685-pat00006
여기서, η=펌프 효율, ρ=밀도, g=중력가속도, H=수두, Q=체적 유량, P=동력이다.
상기 유체력 분포영역(As)은 하기의 수학식2를 통해 연산될 수 있으며, 유체력 분포영역은 도 3에 해칭된 면적과 동일하다.
Figure 112017018497685-pat00007
상기 중심거리(Ds)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점(O)부터 상기 유체력 분포영역(As)의 질량 중심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하며, 하기의 수학식3과 같다.
Figure 112017018497685-pat00008
여기서, Cx=유체력 분포영역의 질량 중심점(C)의 x축 좌표, Cy=유체력 분포영역의 질량 중심점(C)의 y축 좌표이다.
그리고, Cx 및 Cy는 각각 하기의 수학식4 및 수학식5를 통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7018497685-pat00009
Figure 112017018497685-pat00010
상술한 수학식1은 본 발명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효율을 도출하도록 하며, 수학식 2 내지 수학식 5는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진동의 발생 정도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일채널펌프의 임펠러 및 벌류트 케이싱의 형상을 고려하여 3개의 목적함수를 선정하는 단계(S210) 이후에는, 임펠러 및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유로 단면적을 동시에 제어하여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한 설계변수를 설정하는 단계(S220)를 수행할 수 있다.
임펠러 및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유로 단면적을 동시에 제어하여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한 설계변수를 설정하는 단계(S22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먼저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1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 의해 설계된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 의해 설계된 임펠러의 내부유로 통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 의해 설계된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유로 통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 의해 설계된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100)는 벌류트 케이싱(110)과 임펠러(120)를 포함한다.
상기 벌류트 케이싱(110)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 공간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벌류트 케이싱(110)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가 원주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는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20)는 상기 벌류트 케이싱(110)의 내측에 마련되되, 유체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펠러(120)는 상기 벌류트 케이싱(110)의 내부 중심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임펠러(120)는 대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만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임펠러(120)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된 구동축(미도시)과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임펠러(120)는 회전시 유입되는 유체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120)는 블레이드리스(Bladeless) 임펠러일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임펠러(120)는 유체를 펌핑할 때, 막힘 현상으로 인해 유발되는 고장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100)의 벌류트 케이싱(110)은 유체가 유동되는 내부유로 단면적 중 가장 작은 단면적인 곳이 시작하는 지점의 벌류트 각도를 0도로 하고, 내부유로 단면적이 가장 큰 지점의 벌류트 각도를 360도로 한다.
또한, 상기 임펠러(120)는 유체가 유동되는 내부유로 단면적 중 가장 작은 부분이 시작되는 지점의 임펠러 각도를 0도로 하고, 내부유로 단면적이 가장 큰 지점의 임펠러 각도를 360도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서 벌류트 케이싱의 설계변수, 설계영역 및 베지어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서 임펠러의 설계변수, 설계영역 및 베지어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을 더 참조하면, 임펠러 및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유로 단면적을 동시에 제어하여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한 설계변수를 설정하는 단계(S220)에서 상기 설계변수는, 임펠러 각도에 따라 상기 임펠러의 내부유로 단면적이 변할 수 있는 2개의 임펠러 제어점 및 벌류트 케이싱 각도에 따라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유로 단면적이 변할 수 있는 3개의 벌류트 제어점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2개의 임펠러 제어점과 3개의 벌류트 제어점으로 이루어진 설계변수는, 각 임펠러 제어점과 벌류트 제어점을 변화시킴으로써, 임펠러 각도 및 벌류트 각도에 따른 내부 유로 단면적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임펠러 각도 및 벌류트 각도에 따라 변화한 내부 유로 단면적에 의해 설계된 임펄롸 벌류트의 내부 유로 형상은 상기 목적함수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임펠러 및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유로 단면적을 동시에 제어하여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한 설계변수를 설정하는 단계(S220) 이후에는, 상기 설정된 설계변수의 상한값 및 하한값을 결정하여 설계영역을 지정하는 단계(S230)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정된 설계변수의 상한값 및 하한값을 결정하여 설계영역을 지정하는 단계(S230)에서, 상기 벌류트 제어점은, 상기 벌류트 케이싱(110)의 내부유로 단면적이 가장 작은 부분이 시작하는 지점의 벌류트 케이싱 각도는 0도로 하고, 가장 큰 지점을 360도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벌류트 제어점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벌류트 케이싱 각도를 가로축으로 하고,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유로 단면적을 세로축으로 할 때, 상기 가로축과 상기 세로축의 임의의 점인 제1 벌류트 제어점(111), 제2 벌류트 제어점(112) 및 제3 벌류트 제어점(11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벌류트 제어점(111)은 상기 벌류트 각도가 90도일 때 내부유로 단면적이 0이상 3000 mm2 이하이고, 상기 제2 벌류트 제어점(112)은 상기 벌류트 각도가 180도일 때 내부유로 단면적이 0이상 6000 mm2 이하이며, 상기 제3 벌류트 제어점(113)은 상기 벌류트 각도가 270도일 때, 내부유로 단면적이 3000 mm2 이상 6000 mm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 제어점은, 상기 임펠러(110)의 내부유로 단면적이 가장 작은 부분이 시작하는 지점의 임펠러 각도는 0도로 하고, 가장 큰 지점을 360도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 제어점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임펠러 각도를 가로축으로 하고, 상기 임펠러(120)의 내부유로 단면적을 세로축으로 할 때, 상기 가로축과 상기 세로축의 임의의 점인 제1 임펠러 제어점(121) 및 제2 임펠러 제어점(12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임펠러 제어점(121)은 상기 임펠러 각도가 160도일 때 내부유로 단면적이 130 mm2 이상 2330 mm2 이하이고, 상기 제2 임펠러 제어점(122)은 상기 임펠러 각도가 270도일 때 내부유로 단면적이 1600 mm2 이상 3800 mm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설계변수의 상한값 및 하한값을 결정하여 설계영역을 지정하는 단계(S230)에서 상기 설계영역은 선행 계산을 통해서 목적함수인 펌프 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되거나, 유체력 분포영역 및 중심 거리에 의해 진동이 커지지 않는 범위 내로 결정된 것이다.
상기 설정된 설계변수의 상한값 및 하한값을 결정하여 설계영역을 지정하는 단계(S230) 이후에는, 지정된 설계영역에서 베지어 곡선을 이용하여 설계변수를 조합하는 단계(S240)를 수행할 수 있다.
베지어 곡선(Bezier curve)은 현실적으로 얻을 수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 데이터들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수학적인 직선 혹은 곡선을 얻어내는 커브 피팅(Curve fitting) 방법 중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지정된 설계영역에서 베지어 곡선을 이용하여 설계변수를 조합하는 단계(S240)는 상기 벌류트 케이싱(110)의 내부 유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지점을 제1 개시점(114)으로 하고,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각도가 360도인 지점은 제1 종료점(115)으로 하며, 상기 제1 개시점(114)과 상기 제1 종료점(115) 사이에서 3개의 상기 벌류트 제어점(111, 112, 113)이 변할 때 상기 제1 개시점(114), 상기 제1 종료점(115) 및 상기 3개의 벌류트 제어점(111, 112, 113)으로 표현된 제2 베지어 곡선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의 내부 유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지점을 제2 개시점(123)으로 하고, 상기 임펠러 각도가 360도인 지점은 제2 종료점(124)으로 하며, 상기 제2 개시점(123)과 상기 제2 종료점(124) 사이에서 2개의 상기 임펠러 제어점(121, 122)이 변할 때 상기 제2 개시점(123), 상기 제2 종료점(124) 및 상기 2개의 제어점(121, 122)으로 표현된 제1 베지어 곡선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2개의 임펠러 제어점(121, 122)과 3개의 벌류트 제어점(111, 112, 113)이 상하로만 이동되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지정된 설계영역에서 베지어 곡선을 이용하여 설계변수를 조합하는 단계(S240) 이후에는, 조합된 설계변수를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설계변수에 따른 예상목적함수값을 도출하는 단계(S250)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서 예상목적함수 값을 도출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9를 더 참조하면, 조합된 설계변수를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설계변수에 따른 예상목적함수값을 도출하는 단계(S250)는 먼저, 설계영역에서 라틴 하이퍼 큐브 샘플링(LHS)을 통해 상기 설계변수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실험점을 결정하는 단계(S251)를 수행할 수 있다.
실험점
1~25
임펠러 내부유로 단면적 벌류트 케이싱 내부유로 단면적
제1 임펠러
제어점
제2 임펠러
제어점
제1 벌류트
제어점
제2 벌류트
제어점
제3 벌류트
제어점
set1 713.6735 2273.469 1285.714 5397.96 5510.2041
set2 2330 2632.653 857.1429 3459.18 4714.2857
set3 1342.245 3216.327 979.5918 2948.98 3000
set4 2240.204 2004.082 2571.429 3153.06 3979.5918
set5 174.898 3485.714 673.4694 2744.9 3795.9184
set6 2195.306 3036.735 2387.755 3867.35 5632.6531
set7 1117.755 2722.449 2204.082 500 4408.1633
set8 893.2653 2497.959 2326.531 5091.84 3489.7959
set9 1656.531 1689.796 1530.612 3969.39 5081.6327
set10 1521.837 3530.612 367.3469 4173.47 4897.9592
set11 1881.02 3171.429 1775.51 806.122 3244.898
set12 1387.143 2183.673 3000 2438.78 5142.8571
set13 2015.714 2138.776 183.6735 1418.37 5693.8776
set14 2150.408 3126.531 1346.939 1112.24 5326.5306
set15 983.0612 3710.204 1653.061 1826.53 4224.4898
set16 668.7755 3620.408 2938.776 4275.51 3734.6939
set17 534.0816 1600 551.0204 3255.1 5265.3061
set18 803.4694 1644.898 2632.653 4785.71 4653.0612
set19 1970.816 1734.694 1897.959 1214.29 5020.4082
set20 848.3673 2542.857 61.22449 3051.02 3918.3674
set21 2060.612 3755.102 734.6939 2132.65 4102.0408
set22 1162.653 3665.306 2020.408 4683.67 5448.9796
set23 1072.857 3351.02 0 1622.45 4836.7347
set24 2105.51 2857.143 2081.633 5193.88 4040.8163
set25 1925.918 3440.816 2755.102 2030.61 4469.3878
실험점
26~50
임펠러 내부유로 단면적 벌류트 케이싱 내부유로 단면적
제1 임펠러
제어점
제2 임펠러
제어점
제1 벌류트
제어점
제2 벌류트
제어점
제3 벌류트
제어점
set26 1701.429 1914.286 1102.04082 3765.30612 3428.571
set27 444.2857 1779.592 1959.18367 908.163265 4775.51
set28 1746.327 2902.041 2693.87755 3561.22449 3061.224
set29 758.5714 3306.122 2877.55102 1928.57143 5387.755
set30 623.8776 2318.367 795.918367 704.081633 3306.122
set31 264.6939 2228.571 918.367347 4887.7551 3612.245
set32 1791.224 2677.551 122.44898 1316.32653 3551.02
set33 354.4898 2991.837 428.571429 3663.26531 5571.429
set34 1611.633 3800 1836.73469 4377.55102 3857.143
set35 2285.102 3261.224 306.122449 4581.63265 3367.347
set36 1836.122 1869.388 1469.38776 1010.20408 3183.673
set37 1476.939 2363.265 244.897959 4071.42857 5755.102
set38 130 2453.061 1408.16327 2642.85714 4346.939
set39 1432.041 2587.755 489.795918 5500 4163.265
set40 1207.551 2408.163 1591.83673 1724.4898 5816.327
set41 938.1633 1959.184 2265.30612 2540.81633 3673.469
set42 1252.449 2767.347 1714.28571 3357.14286 4530.612
set43 1027.959 3575.51 1224.4898 2234.69388 6000
set44 578.9796 3395.918 1040.81633 5295.91837 4285.714
set45 1566.735 2093.878 2816.32653 4989.79592 5938.776
set46 219.7959 2812.245 2510.20408 4479.59184 4959.184
set47 399.3878 2946.939 1163.26531 602.040816 5204.082
set48 489.1837 3081.633 2142.85714 2336.73469 3122.449
set49 309.5918 2048.98 2448.97959 2846.93878 5877.551
set50 1297.347 1824.49 612.244898 1520.40816 4591.837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서 라틴 하이퍼 큐브 샘플링을 통해 결정된 실험점을 통해 벌류트 케이싱 각도에 따른 내부유로 단면적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서 라틴 하이퍼 큐브 샘플링을 통해 결정된 실험점을 통해 임펠러 각도에 따른 내부유로 단면적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리고, 표 1 및 표 2는 라틴 하이퍼 큐브 샘플링을 통해 결정된 실험점을 표로 나타낸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 1 및 표 2는 제1 임펠러 제어점(121), 제2 임펠러 제어점(122), 제1 벌류트 제어점(111), 제2 벌류트 제어점(112) 및 제3 벌류트 제어점(113)을 라틴 하이퍼 큐브 샘플링을 통해 선정하고, 이에 따른 내부유로 단면적을 나타낸 표이다.
또한, 도 10의 (a) 및 도 11의 (a)는 표 1의 실험점 1 내지 25를 이용하여 나타낸 베지어곡선이며, 도 10의 (b) 및 도 11의 (b)는 표 2의 실험점 26 내지 50을 이용하여 나타낸 베지어곡선이다.
설계영역에서 라틴 하이퍼 큐브 샘플링(LHS)을 통해 상기 설계변수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실험점을 결정하는 단계(S251)에서는 베지어 곡선을 통해 구한 상기 임펠러 제어점 및 상기 벌류트 제어점을 조합하여 최적의 목적함수 값을 계산할 복수개의 실험점을 결정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그래프는 라틴 하이퍼 큐브 샘플링을 통해 결정된 실험점을 이용하여 나타낸 복수의 베지어곡선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베지어곡선은 모두 설계 영역 내에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설계영역에서 라틴 하이퍼 큐브 샘플링(LHS)을 통해 상기 설계변수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실험점을 결정하는 단계(S251) 이후에는, 이전 단계에서 결정된 복수개의 실험점에 대한 정상 및 비정상 해석을 통해 상기 예상목적함수값을 도출하는 단계(S252)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예상목적함수값은 전술한 수치해석 방법을 통해 상기 실험점에 의해 정해진 임펠러와 벌류트의 내부 유로 형상을 갖는 단일채널펌프의 목적함수값을 계산한 값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임펠러 및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 유동장은 비압축성 3차원 정상 및 비정상상태로 가정된 상태에서 수치해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서 실험점의 3개의 예상목적함수값을 각 축으로하여 나타낸 3차원 그래프이다.
결정된 복수개의 실험점에 대한 정상 및 비정상 해석을 통해 상기 예상목적함수값을 도출하는 단계(S252) 이후에는, 도출된 예상목적함수값을 변수로 한 3차원 파레토 최적해를 이용하여 임펠러와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 유로 형상이 목적함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단계(S253)를 더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출된 예상목적함수값을 변수로 한 3차원 파레토 최적해를 이용하여 임펠러와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 유로 형상이 목적함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단계(S253)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펌프효율, 중심거리, 유체력분포영역을 각각의 축으로 하는 3차원 그래프에 복수의 상기 실험점에 대해 각각 계산한 상기 예상목적함수값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그래프를 통해서, 임펠러 제어점과 벌류트 제어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상기 실험점에 의해 생성된 베지어곡선에 따라 설계된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예상목적함수값을 상호 비교하여, 임펠러와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 유로 형상이 목적함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최적 설계된 도 12에서의 제1 임펠러 제어점(121)의 내부유로 단면적은 300mm2 이상1,650mm2 이하이고, 제2 임펠러 제어점(122)의 내부유로 단면적은 1,600mm2 이상 2,750mm2 이하이며, 제1 벌류트 제어점(111)의 내부유로 단면적은 0 초과250mm2 이하이고, 제2 벌류트 제어점(112)의 내부유로 단면적은 1,250mm2 이상2,400mm2 이하이며, 제3 벌류트 제어점(113)의 내부유로 단면적은 4,750mm2 이상6,000mm2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서의 설계변수로 조합된 예상목적함수값 중 펌프 효율(η)은 81.4% 이상 83.2% 이하이고, 유체력 분포영역(As)은 9,800N2 이상 111,400N2 이하이며, 중심거리(Ds)는 17.4N 이상 36.8N 이하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서 최종목적함수 값을 도출하는 단계의 순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서 실험점에 대한 펌프효율-유체력 분포영역, 펌프효율-중심거리, 유체력 분포영역-중심거리의 그래프이다.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조합된 설계변수를 이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설계변수에 따른 예상목적함수값을 도출하는 단계(S250) 이후에는, 도출된 상기 예상목적함수값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최종목적함수값을 도출하는 단계(S260)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출된 상기 예상목적함수값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최종목적함수값을 도출하는 단계(S260)는 먼저, 복수개의 실험점 중 임의의 실험점을 선택하는 단계(S261)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를 참조하면, 베지어곡선 내에 위치한 실험점들을 통해 도출한 예상목적함수값은 유체력분포영역이 작을수록 펌프 효율이 높아지고, 중심거리가 클수록 펌프효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체력 분포영역이 클수록 중심거리는 작아지는 양상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펌프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체력 분포영역은 감소시키고, 중심거리는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유체력의 중심거리가 증가할 경우,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진동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실험점 중 임의의 실험점을 선택하는 단계(S261)에서는 도 12 및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개의 실험점 중에 임의의 실험점을 선택할 때, 목적으로 하는 펌프 효율을 갖되, 진동 발생이 허용되는 수치를 초과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실험점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예시를 위해 7개의 제1 실험점 내지 제7 실험점(131, 132, 133, 134, 135, 136, 137)을 선택하였다. 표 3에서 비교예는 벌류트 케이싱과 임펠러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고, 벌류트 케이싱 각도 및 임펠러 각도에 따라 내부유로 단면적이 일정하게 증가하도록 설계된 종래의 펌프를 지칭한다.
실험점 제1 임펠러 제어점 제2 임펠러 제어점 제1 벌류트 제어점 제2 벌류트 제어점 제3 벌류트 제어점 펌프 효율
[%]
유체력 분포영역 [N2] 중심거리
[N]
비교예 1230 2700 1500 3000 4500 80.11 82332.1 32.27
제1 실험점 725 1631 55 1960 5710 83.04 17578.86 30.20
제2 실험점 934 1780 55 1779 5384 82.83 30852.81 26.02
제3 실험점 1016 2005 47 1774 5257 82.61 42963.03 23.37
제4 실험점 1126 2232 22 1710 5095 82.37 57475.14 20.99
제5 실험점 1296 2395 21 1710 4967 82.09 73751.62 19.28
제6 실험점 1388 2535 8 1669 4887 81.88 85877.71 18.40
제7 실험점 1513 2659 4 1635 4876 81.64 100027.88 17.77
복수개의 실험점 중 임의의 실험점을 선택하는 단계(S261) 이후에는, 선택된 상기 실험점을 변수로 한 가상펌프를 설계하는 단계(S262)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상기 실험점을 변수로 한 가상펌프를 설계하는 단계(S262) 이후에는, 설계된 가상펌프의 검증목적함수값을 측정하는 단계(S263)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설계된 가상펌프의 검증목적함수값을 측정하는 단계(S263)에서는, 상기 실험점의 설계변수로 설계된 가상펌프의 펌프 효율, 유체력 분포영역, 중심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가상펌프의 검증목적함수값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실제 펌프를 제조하여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펌프 효율 [ % ] 유체력 분포영역 [N2] 중심거리 [N]
비교예 80.11 82332.12 32.27
제1 실험점 83.04 17578.86 30.20
제1 측정점 83.22 16438.58 16.48
제2 실험점 82.83 30852.81 26.02
제2 측정점 82.85 24447.48 22.59
제3 실험점 82.61 42963.03 23.37
제3 측정점 82.59 38314.19 17.95
제4 실험점 82.37 57475.14 20.99
제4 측정점 82.30 57391.07 19.39
제5 실험점 82.09 73751.62 19.28
제5 측정점 81.74 72204.73 22.92
제6 실험점 81.88 85877.71 18.40
제6 측정점 81.60 86480.01 19.25
제7 실험점 81.64 100027.88 17.77
제7 측정점 81.51 104415.40 18.74
상기 표 4는 실험점의 예상목적함수값과 실제로 측정한 검증목적함수값을 비교한 표이다. 즉, 설계된 가상펌프의 검증목적함수값을 측정하는 단계(S263)에서는, 상기 표 4와 같이, 상기 실험점의 설계변수로 설계된 가상펌프의 펌프 효율, 유체력 분포영역, 중심거리를 측정하여 나타낼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서 선택된 실험점에 대한 파레토 최적해 검증을 실시한 그래프이다.
설계된 가상펌프의 검증목적함수값을 측정하는 단계(S263) 이후에는, 측정된 검증목적함수값과 예상목적함수값을 비교하여 검증함으로써, 최종목적함수값을 도출하는 단계(S264)를 수행할 수 있다.
측정된 검증목적함수값과 예상목적함수값을 비교하여 검증함으로써, 최종목적함수값을 도출하는 단계(S264)에서는, 선택된 상기 실험점의 예상목적함수값과 상기 실험점의 설계변수로 설계된 상기 가상펌프의 목적함수값을 측정한 검증목적함수값을 그래프에 나타내어 파레토 최적해 검증을 통해 비교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실험점 내지 제7 실험점(131, 132, 133, 134, 135, 136, 137)에 따른 예상목적함수값과 제1 실험점 내지 제7 실험점(131, 132, 133, 134, 135, 136, 137)의 설계변수로 설계된 가상펌프의 제1 측정점 내지 제7 측정점(141, 142, 143, 144, 145, 146, 147)에 따른 검증목적함수값을 그래프에 나타내어 비교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5에 도시된 제1 측정점(141)의 경우, 펌프효율이 제1 실험점(131)에 비해 높고, 중심거리와 유체력 분포영역은 제1 실험점(131)에 비해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1 실험점(131)의 설계변수로 인해 설계된 가상펌프는 실제로는 예상보다 더 펌프효율이 좋고, 진동이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제5 측정점(145)의 경우, 펌프효율이 제5 실험점(135)에 비해 낮고, 중심거리는 제5 실험점(135)에 비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5 실험점(135)의 설계변수로 인해 설계된 가상펌프는 실제로는 예상보다 더 펌프효율이 낮고, 진동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측정된 검증목적함수값과 예상목적함수값을 비교하여 검증함으로써, 최종목적함수값을 도출하는 단계(S264)에서는, 검증목적함수값과 예상목적함수값을 비교하여 검증하여, 목표로 하는 펌프 효율을 갖되, 진동이 기설정된 허용치 이하로 발생하는 최종목적함수값을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도출된 상기 예상목적함수값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최종목적함수값을 도출하는 단계(S260)에서는, 목표로 하는 펌프 효율 및 허용 가능한 진동 발생 정도에 대응되는 예상목적함수값을 갖는 실험점을 선택하고, 실제 측정한 검증목적함수값과 예상목적함수값을 비교하여 예상목적함수값의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펌프 효율을 갖되, 진동이 기설정된 허용치 이하로 발생하는 최종목적함수값을 도출할 수 있다.
도 16은 종래의 단일채널펌프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에 의해 설계된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구간 압력 분포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의 (a)는 임펠러와 벌류트 케이싱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된 일반적으로 상용되고 있는 단일채널펌프의 구간 압력 분포를 나타낸 것이고, (b), (c), (d)는 각각 순서대로 제1 실험점(131), 제4 실험점(134), 제7 실험점(137)의 설계변수로 설계된 단일채널펌프의 구간 압력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실험점(131), 제4 실험점(134), 제7 실험점(137)의 설계변수로 설계된 단일채널펌프는 종래의 단일채널펌프에 비해 구간 압력의 편차가 적어 진동이 적게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단일채널펌프는 벌류트 케이싱과 임펠러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고, 벌류트 케이싱 각도 및 임펠러 각도에 따라 내부유로 단면적이 일정하게 증가하도록 설계된 종래의 펌프를 지칭한다.
도출된 상기 예상목적함수값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최종목적함수값을 도출하는 단계(S260) 이후에는, 도출된 상기 최종목적함수값에 따라 설계안을 도출하는 단계(S270)를 수행할 수 있다.
도출된 상기 최종목적함수값에 따라 설계안을 도출하는 단계(S270)에서, 상기 설계안은 상기 최종목적함수값이 도출되도록 하는 설계변수 값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도출된 상기 최종목적함수값에 따라 설계안을 도출하는 단계(S270)에서는 상기 최종목적함수값이 도출되도록 하는 설계변수 값의 조합을 도출하고, 이에 따라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를 실제 설계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을 이용하면, 목표로 하는 높은 펌프 효율을 가짐과 동시에 유체력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을 저감하여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를 설계할 수 있다.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 설계된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는 배수 처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100)는 벌류트 케이싱(110) 및 임펠러(120)를 포함한다.
상기 벌류트 케이싱(110)은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벌류트 케이싱(110)은, 상기 임펠러(120)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상기 벌류트 케이싱(110)의 각도에 따라 내부유로 단면적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20)는 상기 벌류트 케이싱(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 공간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120)는, 상기 벌류트 케이싱(110)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상기 임펠러(120)의 각도에 따라 내부유로 단면적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임펠러(120)와 상기 벌류트 케이싱(110)은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내부유로 단면적이 동시에 제어되어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펠러(120)와 상기 벌류트 케이싱(110)의 내부유로 단면적은 선정된 목적함수가 최종목적함수값을 갖도록 동시에 제어되어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선정된 상기 목적함수는 단일채널펌프를 설계할 때 요구되는 설계 사양인 펌프 효율, 유체력 분포영역, 중심거리이다. 그리고, 상기 펌프효율, 유체력 분포영역, 중심거리를 산출하는 관계식은 전술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5와 동일하며, 이의 설명도 전술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120) 및 상기 벌류트 케이싱(110)의 내부유로 단면적은 설계변수에 의하여 생성된 베지어 곡선에 의하여 제어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설계변수는, 임펠러 각도에 따라 상기 임펠러의 내부유로 단면적이 변할 수 있는 2개의 임펠러 제어점 및 벌류트 케이싱 각도에 따라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유로 단면적이 변할 수 있는 3개의 벌류트 제어점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2개의 임펠러 제어점과 3개의 벌류트 제어점으로 이루어진 설계변수는, 각 임펠러 제어점과 벌류트 제어점을 변화시킴으로써, 임펠러 각도 및 벌류트 각도에 따른 내부 유로 단면적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임펠러 각도 및 벌류트 각도에 따라 변화한 내부 유로 단면적에 의해 설계된 임펠러와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 유로 형상은 상기 목적함수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벌류트 제어점은, 상기 벌류트 케이싱(110)의 내부유로 단면적이 가장 작은 부분이 시작하는 지점의 벌류트 케이싱 각도는 0도로 하고, 가장 큰 지점을 360도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벌류트 제어점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벌류트 케이싱 각도를 가로축으로 하고,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유로 단면적을 세로축으로 할 때, 상기 가로축과 상기 세로축의 임의의 점인 제1 벌류트 제어점(111), 제2 벌류트 제어점(112) 및 제3 벌류트 제어점(11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벌류트 제어점(111)은 상기 벌류트 각도가 90도일 때 내부유로 단면적이 0이상 3000 mm2 이하이고, 상기 제2 벌류트 제어점(112)은 상기 벌류트 각도가 180도일 때 내부유로 단면적이 0이상 6000 mm2 이하이며, 상기 제3 벌류트 제어점(113)은 상기 벌류트 각도가 270도일 때, 내부유로 단면적이 3000 mm2 이상 6000 mm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 제어점은, 상기 임펠러(110)의 내부유로 단면적이 가장 작은 부분이 시작하는 지점의 임펠러 각도는 0도로 하고, 가장 큰 지점을 360도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 제어점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임펠러 각도를 가로축으로 하고, 상기 임펠러(120)의 내부유로 단면적을 세로축으로 할 때, 상기 가로축과 상기 세로축의 임의의 점인 제1 임펠러 제어점(121) 및 제2 임펠러 제어점(12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임펠러 제어점(121)은 상기 임펠러 각도가 160도일 때 내부유로 단면적이 130 mm2 이상 2330 mm2 이하이고, 상기 제2 임펠러 제어점(122)은 상기 임펠러 각도가 270도일 때 내부유로 단면적이 1600 mm2 이상 3800 mm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설계영역은 선행 계산을 통해서 목적함수인 펌프 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되거나, 유체력 분포영역 및 중심 거리에 의해 진동이 커지지 않는 범위 내로 결정된 것이다.
베지어 곡선은 현실적으로 얻을 수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 데이터들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수학적인 직선 혹은 곡선을 얻어내는 커브 피팅 방법 중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벌류트 케이싱(110)의 내부 유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지점을 제1 개시점(114)으로 하고,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각도가 360도인 지점은 제1 종료점(115)으로 하며, 상기 제1 개시점(114)과 상기 제1 종료점(115) 사이에서 3개의 상기 벌류트 제어점(111, 112, 113)이 변할 때 상기 제1 개시점(114), 상기 제1 종료점(115) 및 상기 3개의 벌류트 제어점(111, 112, 113)으로 표현된 제1 베지어 곡선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의 내부 유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지점을 제2 개시점(123)으로 하고, 상기 임펠러 각도가 360도인 지점은 제2 종료점(124)으로 하며, 상기 제2 개시점(123)과 상기 제2 종료점(124) 사이에서 2개의 상기 임펠러 제어점(121, 122)이 변할 때 상기 제2 개시점(123), 상기 제2 종료점(124) 및 상기 2개의 제어점(121, 122)으로 표현된 제2 베지어 곡선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상기 제1 베지어 곡선을 통해 상기 벌류트 케이싱(110)의 내부유로 형상이 결정되고, 생성된 상기 제2 베지어 곡선을 통해 상기 임펠러(120)의 내부유로 형상이 결정된다. 그리고, 결정된 상기 벌류트 케이싱(110) 및 상기 임펠러(120)의 내부유로 형상에 따라 상기 목적함수값이 결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100)의 내부유로 형상은, 상기 설계영역 내에서 상기 설계변수인 상기 벌류트 제어점과 상기 임펠러 제어점의 조합으로 인해 생성된 베지어 곡선에 의해 결정되며, 이때, 상기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100)의 내부유로 형상은 목표로 하는 높은 펌프 효율을 가짐과 동시에 유체력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최종목적함수값을 가질 때의 설계변수의 조합에 따라 설계된 설계안에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
110: 벌류트 케이싱
120: 임펠러

Claims (15)

  1.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되는 벌류트 케이싱; 및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유로 공간이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임펠러를 포함하며,
    상기 임펠러는, 상기 벌류트 케이싱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상기 임펠러의 각도에 따라 내부유로 단면적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벌류트 케이싱은, 상기 임펠러와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각도에 따라 내부유로 단면적이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임펠러와 상기 벌류트 케이싱은 가변적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내부유로 단면적이 동시에 제어되어 설계되고,
    상기 임펠러와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유로 단면적은 선정된 목적함수가 최종목적함수값을 갖도록 동시에 제어되어 설계되며,
    상기 목적함수는, 펌프 효율, 유체력 분포영역, 중심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 및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유로 단면적은 설계변수에 의하여 생성된 베지어 곡선에 의하여 제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변수는,
    임펠러 각도에 따라 상기 임펠러의 내부유로 단면적이 변할 수 있는 2개의 임펠러 제어점; 및
    벌류트 케이싱 각도에 따라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유로 단면적이 변할 수 있는 3개의 벌류트 제어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벌류트 제어점은,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유로 단면적이 가장 작은 부분이 시작하는 지점의 벌류트 케이싱 각도는 0도로 하고, 가장 큰 지점을 360도로 하며, 상기 벌류트 케이싱 각도를 가로축으로 하고,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유로 단면적을 세로축으로 할 때,
    상기 가로축과 상기 세로축의 임의의 점인 제1 벌류트 제어점, 제2 벌류트 제어점 및 제3 벌류트 제어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내부 유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지점을 제1 개시점으로 하고, 상기 벌류트 케이싱의 각도가 360도인 지점은 제1 종료점으로 하며, 상기 제1 개시점과 상기 제1 종료점 사이에서 3개의 상기 벌류트 제어점이 변할 때 상기 제1 개시점, 상기 제1 종료점 및 상기 3개의 벌류트 제어점으로 표현된 제1 베지어 곡선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벌류트 제어점은 상기 벌류트 각도가 90도일 때 내부유로 단면적이 0이상 3000mm2이하이고, 상기 제2 벌류트 제어점은 상기 벌류트 각도가 180도일 때 내부유로 단면적이 0이상 6000 mm2이하이며, 상기 제3 벌류트 제어점은 상기 벌류트 각도가 270도일 때, 내부유로 단면적이 3000 mm2이상 6000 mm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 제어점은,
    상기 임펠러의 내부유로 단면적이 가장 작은 부분이 시작하는 지점의 임펠러 각도는 0도로 하고, 가장 큰 지점을 360도로 하며, 상기 임펠러 각도를 가로축으로 하고, 상기 임펠러의 내부유로 단면적을 세로축으로 할 때,
    상기 가로축과 상기 세로축의 임의의 점인 제1 임펠러 제어점 및 제2 임펠러 제어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내부 유로 단면적이 증가하는 지점을 제2 개시점으로 하고, 상기 임펠러 각도가 360도인 지점은 제2 종료점으로 하며, 상기 제2 개시점과 상기 제2 종료점 사이에서 2개의 상기 임펠러 제어점이 변할 때 상기 제2 개시점, 상기 제2 종료점 및 상기 2개의 제어점으로 표현된 제2 베지어 곡선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펠러 제어점은 상기 임펠러 각도가 160도일 때 내부유로 단면적이 130 mm2이상 2330mm2이하이고, 상기 제2 임펠러 제어점은 상기 임펠러 각도가 270도일 때 내부유로 단면적이 1600mm2이상 3800mm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효율은
    Figure 112017121809496-pat00011
    (여기서, η=펌프 효율, ρ=밀도, g=중력가속도, H=수두, Q=체적 유량, P=동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력 분포영역은
    Figure 112017121809496-pat000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거리인 원점부터 상기 유체력 분포영역의 질량 중심점과의 거리는,
    Figure 112017121809496-pat00013
    (Cx= 유체력 분포영역의 질량 중심점의 x축 좌표, Cy=유체력 분포영역의 질량 중심점의 y축 좌표)이며,
    여기서,
    Figure 112017121809496-pat00014
    ,
    Figure 112017121809496-pat000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
  15. 제 1 항에 따른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를 적용한 배수처리 장치.
KR1020170023656A 2017-02-22 2017-02-22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 KR101861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656A KR101861285B1 (ko) 2017-02-22 2017-02-22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
PCT/KR2017/006729 WO2018155769A1 (ko) 2017-02-22 2017-06-26 고효율 저유체 유발 진동 단일채널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656A KR101861285B1 (ko) 2017-02-22 2017-02-22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285B1 true KR101861285B1 (ko) 2018-05-28

Family

ID=6245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656A KR101861285B1 (ko) 2017-02-22 2017-02-22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61285B1 (ko)
WO (1) WO201815576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101A (ko) * 2019-04-15 2020-10-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단일채널펌프 임펠러의 대면적 내부 유로 설계 방법
WO2020262994A3 (ko) * 2019-06-25 2021-02-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목표 설계사양을 갖는 단일채널펌프 임펠러의 설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1379A (zh) * 2020-09-07 2022-03-08 大连盛瑞德流体设备有限公司 一种高效率化工离心泵的水力模型
CN114352575B (zh) * 2022-01-05 2023-08-25 广东携创电机有限公司 一种多翼离心风机蜗壳结构及其型线改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005B1 (ko) * 2015-03-27 2016-06-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단일 유로 펌프 임펠러의 최적화 설계방법, 이에 의하여 설계된 단일 유로 펌프 임펠러 및 원심 펌프
KR101679189B1 (ko) * 2015-09-18 2016-11-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단일 유로 펌프 벌류트의 최적화 설계방법, 이에 의하여 설계된 단일 유로 펌프 벌류트 및 원심 펌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8636B2 (ja) * 2009-01-12 2012-09-19 株式会社サンメディカル技術研究所 遠心ポンプ
KR101162611B1 (ko) * 2010-08-05 2012-07-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축류압축기의 케이싱 그루브 최적설계방법
KR101474102B1 (ko) * 2013-01-29 2014-12-22 한국기계연구원 임펠러 형상 최적설계방법
KR101679188B1 (ko) * 2015-09-18 2016-11-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단일 유로 펌프 임펠러의 고효율 최적화 설계방법 및 이에 의하여 설계된 고효율 단일 유로 펌프 임펠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005B1 (ko) * 2015-03-27 2016-06-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단일 유로 펌프 임펠러의 최적화 설계방법, 이에 의하여 설계된 단일 유로 펌프 임펠러 및 원심 펌프
KR101679189B1 (ko) * 2015-09-18 2016-11-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단일 유로 펌프 벌류트의 최적화 설계방법, 이에 의하여 설계된 단일 유로 펌프 벌류트 및 원심 펌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101A (ko) * 2019-04-15 2020-10-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단일채널펌프 임펠러의 대면적 내부 유로 설계 방법
KR102219500B1 (ko) * 2019-04-15 2021-02-2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단일채널펌프 임펠러의 대면적 내부 유로 설계 방법
WO2020262994A3 (ko) * 2019-06-25 2021-02-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목표 설계사양을 갖는 단일채널펌프 임펠러의 설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5769A1 (ko)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909B1 (ko) 고효율 저유체 유발 진동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
KR101861285B1 (ko) 고효율 및 유체 유발 진동 저감형 단일채널펌프
KR102037219B1 (ko) 임펠러 재설계에 따라 출력 변경이 가능한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
CN111271317B (zh) 一种基于叶片载荷分布的离心泵复合叶轮及其设计方法
KR102102190B1 (ko) 임펠러 재설계에 따라 출력 변경이 가능한 단일채널펌프의 설계안 도출방법
CN110909422B (zh) 一种离心泵叶轮高效工况区范围的预测及优化方法
KR101671946B1 (ko) 부등피치 재생 블로워 및 이의 최적화 설계 방법
KR101679188B1 (ko) 단일 유로 펌프 임펠러의 고효율 최적화 설계방법 및 이에 의하여 설계된 고효율 단일 유로 펌프 임펠러
KR101679189B1 (ko) 단일 유로 펌프 벌류트의 최적화 설계방법, 이에 의하여 설계된 단일 유로 펌프 벌류트 및 원심 펌프
KR101679186B1 (ko) 원심 및 사류 펌프 임펠러 최적화 설계 방법, 이에 의하여 설계된 원심 및 사류 펌프 임펠러 및 원심 및 사류 펌프
KR101944719B1 (ko) 임펠러 외경 사이즈 설계 방법
CN100492375C (zh) 降低多翼离心风机噪声的方法
CN111400941A (zh) 一种叶片泵内部回流及回流旋涡空化的数值预测方法
CN103970937A (zh) 一种提高离心泵空化性能设计方法
KR102160393B1 (ko) 임펠러 재설계에 따라 출력 변경이 가능한 단일채널펌프의 재설계안 도출방법
KR102009261B1 (ko) 출력 변경이 용이한 고효율 저유체 유발 진동 단일채널펌프의 설계방법
Cao et al. Flow losses analysis in a mixed flow pump with annular volute by entropy production evaluation
Mandryka et al. Ways for improvement of reverse axial pumps
KR102219500B1 (ko) 단일채널펌프 임펠러의 대면적 내부 유로 설계 방법
Murugesan et al. Numerical and experimental study of single stage and multistage centrifugal mixed flow submersible borewell pumps
CN104214416A (zh) 多级降压套筒优化设计方法
CN105604953A (zh) 一种基于振动优化的多级泵叶轮错位布置方法
Hermez et al. Comparison of inlet curved disk arrangements for suppression of recirculation in centrifugal pump impellers
CN103758779B (zh) 汽车油泵
Buckney et al. Some aspects of estimating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screw compress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