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126B1 - Refrigerator for draft bee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for draft be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126B1
KR101861126B1 KR1020160037509A KR20160037509A KR101861126B1 KR 101861126 B1 KR101861126 B1 KR 101861126B1 KR 1020160037509 A KR1020160037509 A KR 1020160037509A KR 20160037509 A KR20160037509 A KR 20160037509A KR 101861126 B1 KR101861126 B1 KR 101861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lift
storage
arm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5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52436A (en
Inventor
백성재
Original Assignee
나명석
백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명석, 백지선 filed Critical 나명석
Publication of KR20170052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24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1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6Mountings or arrangements of dispensing apparatus in or on shop or bar cou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맥주가 저장된 저장통을 손쉽게 수납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생맥주용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기 생맥주용 냉장고는 본체(10)의 전면에는 상기 저장통(1)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트(70)가 구비되며, 특히 상기 리프트(70)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된 지지대(71)와, 상기 지지대(7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아암(72)과, 상기 회동아암(72)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상기 저장통(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승강패널(73)과, 상기 회동아암(72)에 연결되어 회동아암(72)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7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승강패널(73)에 저장통(1)을 올려놓으면, 상기 리프트(70)에 의해 자동으로 저장통(1)이 상승되어 손쉽게 저장통(1)을 수납부(11)에 수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ft beer refrigerator having a new structure in which a storage container having draft beer can be easily accommodated in a storage portion. The refrigerator for draft beer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 lift The lift 70 includes a support 71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a pivot arm 72 pivotally coupled to the support 71 in a vertical direction, A lifting panel 73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pivoting arm 72 and capable of placing the reservoir 1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lifting panel 73 connected to the pivoting arm 72 to pivot the pivoting arm 72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tilting drive means 74 for turning.
Therefore, when the user places the storage container 1 on the lifting panel 73, the storage container 1 is automatically lifted by the lift 70, and the storage container 1 can be easily stored in the storage part 11 There is an advantage.

Description

생맥주용 냉장고{REFRIGERATOR FOR DRAFT BEER}{REFRIGERATOR FOR DRAFT BEER}

본 발명은 생맥주가 저장된 저장통을 손쉽게 수납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생맥주용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structure of a draft beer refrigerator capable of easily storing a storage container having draft beer stored therein.

일반적으로, 생맥주는 저장통에 저장된 상태로 보관 및 이송되어, 상기 저장통은 냉각장치에 연결되어, 저장통에서 토출되는 생맥주가 냉각장치를 통과하여, 3℃ 내지 6℃ 정도로 냉각된 후 토출되도록 하고 있다.
Generally, the draft beer is stored and transported in a state of being stored in a reservoir, and the reservoir is connected to a cooling device so that the draft beer discharged from the reservoir is discharged through the cooling device after being cooled to about 3 캜 to 6 캜.

한편, 이러한 경우, 저장통과 냉각장치를 연결하는 공급관의 내부에 남은 생맥주가 쉽게 변질될 수 있음으로, 공급관을 자주 청소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On the other hand, in such a case, the draft beer remaining in the supply pipe connecting the storage-passage cooling device may be easily deteriorated, thus causing a problem of frequent cleaning of the supply pipe.

특히, 상기 저장통이 상온에 방치됨으로, 저장통에 저장된 생맥주의 유통기간이 짧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Particularly, since the reservoir is left at room temperature, the circulation period of the draft beer stored in the reservoir is shortened.

따라서, 최근에는 등록특허 10-1223451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저장통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된 생맥주용 냉장고가 개발되었다.
Accordingly, recently, as shown in many prior documents including Patent No. 10-1223451, there has been developed a refrigerator for draft beer which is capable of storing the above-mentioned storage container.

상기 생맥주용 냉장고는 상기 저장통이 수납되는 수납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과, 상기 저장통에 결합되는 커넥터가 기단부에 구비된 공급관과, 상기 본체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배출밸브가 구비된 디스펜서와, 급기관을 통해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어 커넥터가 결합된 저장통에 탄산가스를 공급하는 탄산가스탱크로 구성된다.
The draft beer refrigerator includes a main body in which a storage portion for storing the storage container is formed and an opening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portion, a cooling water step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cooling the storage portion, A dispenser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and having a discharge valve that can be operated by a user; And a carbonic acid gas tank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gas to the reservoir to which the connector is connected.

이러한 생맥주용 냉장고는 상기 저장통에 수납된 생맥주와, 상기 저장통과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연결관이 모두 냉각됨으로, 배관을 자주 청소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저장통에 저장된 생맥주의 유통기간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draft beer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storage and dispenser are both cooled, it is not necessary to clean the pipe frequently, and the circulation period of the draft beer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is increased .

한편, 이러한 생맥주냉장고의 수납부에 저장통을 넣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를 열고 생맥주가 수납된 저장통을 들어서 상기 수납부에 집어넣어야 한다.
Meanwhile, in order to insert the storage container into the storage portion of the draft beer refrigerator, the storage container containing the draft beer should be opened by inserting the door into the storage portion.

그런데, 내부에 생맥주가 담긴 저장통은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됨으로, 여성이나 노약자가 생맥주가 담긴 저장통을 들어서 수납부에 수납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reservoir containing the draft beer is heavy in weight, it is very difficult for a woman or an elderly person to pick up a storage container containing draft beer and store it in the storage portion.

또한, 이러한 생맥주용 냉장고의 경우, 내부에 저장된 생맥주가 모두 배출된 저장통은 외부로 배출하여 내부에 생맥주가 저장된 저장통로 교체하여야 한다.
Also, in the case of such a draft beer refrigerator, the storage container in which all the draft beer stored therein is discharged shoul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storage passage storing the draft beer should be replaced therein.

그러나, 상기 생맥주용 냉장고의 경우, 수납부의 내부에 여러개의 저장통이 저장됨으로, 수납부의 내부 깊은 곳에 수납된 저장통을 외부로 꺼내기 위해서는 힘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draft beer refrigerator, since several reservoirs are stored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force to take out the reservoir accommodated deep inside the accommodating portion.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to solve such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맥주가 저장된 저장통을 손쉽게 수납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생맥주용 냉장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draft beer refrigerator which can easily store a storage container having draft beer stored therei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저장통(1)이 수납되는 수납부(11)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개구부(12)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12)를 개폐하는 도어(2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11)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30)과, 상기 저장통(1)에 결합되는 커넥터(41)가 기단부에 구비된 공급관(40)과,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관(40)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배출밸브(51)가 구비된 디스펜서(50)와, 급기관(61)을 통해 상기 커넥터(41)에 연결되어 커넥터(41)가 결합된 저장통(1)에 탄산가스를 공급하는 탄산가스탱크(60)를 포함하는 생맥주용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상기 개구부(1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통(1)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트(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ain body (10) having a storage part (11) for storing the storage container (1) therein and an opening part (12) A cooling unit 3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o cool the storage unit 11 and a connector 41 coupled to the storage container 1, A dispenser 5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40 and provided with a discharge valve 51 which can be operated by a user, And a carbonic acid gas tank (60) connected to the connector (41) through a supply duct (61)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gas to the reservoir (1) to which the connector (41) is coupled, (7) which is positioned below the opening (12)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ank (10) and lifts up the reservoir (1) 0). ≪ / RTI >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리프트(70)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된 지지대(71)와, 상기 지지대(7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아암(72)과, 상기 회동아암(72)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상기 저장통(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승강패널(73)과, 상기 회동아암(72)에 연결되어 회동아암(72)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 70 includes a support 71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 pivot arm 72 pivotally coupled to the support 71 in a vertical direction, A lifting panel 73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pivoting arm 72 and capable of placing the reservoir 1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lifting panel 73 connected to the pivoting arm 72 to pivot the pivoting arm 72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rotation driving means (74) for rotating the rotation driving means.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승강패널(73)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이송로울러(75)와, 상기 이송로울러(75)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76)와, 상기 승강패널(73)의 전후단에 구비되어 승강패널(73)에 올려진 저장통(1)의 위치를 감지하는 전, 후방 감지센서(77,78)와, 상기 전, 후방 감지센서(77,78)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회동구동수단(74)과 구동모터(7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75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anel 73, a driving motor 76 for driving the conveying rollers 75, Front and rear detection sensors 77 and 78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ifting panel 73 to sense the posi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 mounted on the lifting panel 73, And a control unit (79) for receiving signals of the tilting drive means (74) and the drive motor (76)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ilting drive means (74) and the drive motor (76).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통(1)의 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된 순환기구(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순환기구(8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하단이 상기 수납부(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81)과, 상기 회전축(8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면 둘레부에 복수개의 저장통(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회전판(82)과, 상기 회전축(81)에 연결되어 회전축(8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83)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판(82)의 상면 둘레부에 복수개의 저장통(1)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83)로 회전축(81)과 회전판(82)을 회전시켜 상기 저장통(1)의 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irculation mechanism (80) provid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11) and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reservoir (1) A rotation shaft 81 rotatably coupled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ousing 11 so as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81 and a plurality of storage containers 1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81, And a drive motor 83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81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81. The plurality of storage tanks 1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on plate 82, The rotary shaft 81 and the rotary plate 82 are rotated by the drive motor 83 so that the position of the reservoir 1 can be changed.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es " or " having ", etc. is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용 냉장고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상기 저장통(1)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트(70)가 구비된다.
The refrigerator for draft be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ift (70) for lifting the reservoir (1) upward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특히, 상기 리프트(70)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된 지지대(71)와, 상기 지지대(7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아암(72)과, 상기 회동아암(72)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상기 저장통(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승강패널(73)과, 상기 회동아암(72)에 연결되어 회동아암(72)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74)으로 구성된다.
In particular, the lift 70 includes a support 71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 pivot arm 72 pivotally coupled to the support 71 in a vertical direction, A lifting panel 73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swing arm 72 and capable of placing the reservoir 1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rotation drive means connected to the swing arm 72 to rotate the swing arm 72 in a vertical direction 74).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승강패널(73)에 저장통(1)을 올려놓으면, 상기 리프트(70)에 의해 자동으로 저장통(1)이 상승되어 손쉽게 저장통(1)을 수납부(11)에 수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when the user places the storage container 1 on the lifting panel 73, the storage container 1 is automatically lifted by the lift 70, and the storage container 1 can be easily stored in the storage part 11 There is an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용 냉장고를 도시한 정단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용 냉장고를 도시한 측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용 냉장고의 리프트를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용 냉장고의 회로구성도,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용 냉장고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1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refrigerator for draft be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side view showing a refrigerator for draft be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lift of a draft beer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ircuit diagram of a refrigerator for draft be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to 12 are referenc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draft beer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생맥주용 냉장고를 도시한 것으로, 저장통(1)이 수납되는 수납부(11)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개구부(12)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12)를 개폐하는 도어(2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11)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30)과, 상기 저장통(1)에 결합되는 커넥터(41)가 기단부에 구비된 공급관(40)과,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관(40)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배출밸브(51)가 구비된 디스펜서(50)와, 급기관(61)을 통해 상기 커넥터(41)에 연결되어 커넥터(41)가 결합된 저장통(1)에 탄산가스를 공급하는 탄산가스탱크(60)가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1 to 12 show a refrigerator for draft be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tor includes a main body 10 in which a storage compartment 11 for storing a storage container 1 is formed and an opening 12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door 2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12; a cooling unit 3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o cool the storage unit 11; And a discharge valve 5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40 so as to be operated by the user And a carbonic acid gas tank 60 for supplying carbon dioxide gas to the reservoir 1 connected to the connector 41 via the air supply pipe 61 and connected to the connector 41, .

이때, 상기 도어(20)는 측방향으로 밀어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미닫이문으로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door 20 is composed of a sliding door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상기 개구부(1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통(1)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트(70)와, 상기 수납부(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통(1)의 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된 순환기구(80)로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provided a lift 70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opening 12 and lifting the reservoir 1 upward, And a circulation mechanism (80) provided inside the reservoir (1)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reservoir (1).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리프트(7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된 지지대(71)와, 상기 지지대(7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아암(72)과, 상기 회동아암(72)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상기 저장통(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승강패널(73)과, 상기 회동아암(72)에 연결되어 회동아암(72)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74)과, 상기 승강패널(73)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이송로울러(75)와, 상기 이송로울러(75)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76)와, 상기 승강패널(73)의 전후단에 구비되어 승강패널(73)에 올려진 저장통(1)의 위치를 감지하는 전, 후방 감지센서(77,78)와, 상기 전, 후방 감지센서(77,78)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회동구동수단(74)과 구동모터(7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9)으로 구성된다.
3 and 4, the lift 70 includes a support 71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a support table 71 provided on the support 71 so as to be vertically rotatable A lifting panel 73 provided at the tip of the pivoting arm 72 and capable of placing the reservoir 1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connected to the pivoting arm 72 to pivot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75 provided so as to extend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 panel 73 and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75 A front and rear detection sensors 77 and 78 provided at front and rear ends of the lift panel 73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 mounted on the lift panel 73, A control for receiving signals of the front and rear detection sensors 77 and 78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ilting drive means 74 and the drive motor 76 It is composed of units (79).

상기 회동아암(72)은 상하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승강패널(73)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승강되도록 한다.
The pivoting arm 72 is formed as an upper and a lower pair, and when the pivoting arm 72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ift panel 73 is raised and lowered in a state of being held horizontal.

상기 승강패널(73)은 상면에 상기 저장통(1)이 올려지는 지지판(73a)과, 상기 지지판(73a)의 양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동아암(72)의 선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연장판(73b)으로 구성된다.
The lifting panel 73 includes a supporting plate 73a on which the reservoir 1 is mounted and an extension plate 73 exten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ing plate 73a and hinged to the tip of the pivoting arm 72 73b.

이때, 상기 회동아암(72)과 승강패널(73)은 상기 회동아암(72)이 하강되면 상기 지지판(73a)의 하측면에 바닥면에 밀착되고, 상기 회동아암(72)이 상승되면 상기 지지판(73a)의 상면이 후술하는 순환기구(80)의 회전판(82)의 상면과 같은 높이로 상승되도록 구성된다.
When the swing arm 72 is lowered, the swing arm 72 and the lift panel 73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73a. When the swing arm 72 is lifted,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73a is raised to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82 of the circulating mechanism 80 described later.

상기 회동구동수단(74)은 상기 회동아암(72)의 기단부에 연결된 기어드모터를 이용한다.
The rotation driving means 74 uses a geared motor connected to the base end portion of the pivot arm 72.

상기 이송로울러(75)는 상기 승강패널(73)의 지지판(73a)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오목홈(73c)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측 둘레부가 상기 지지판(73a)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The conveying roller 7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oncave groove 73c formed to extend later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73a of the lift panel 73. The conveying roller 75 has an upper circumferential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73a Respectively.

상기 구동모터(76)는 상기 이송로울러(75)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로울러(75)를 정역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The driving motor 76 is connected to the conveying roller 75 to rotate the conveying roller 75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상기 전, 후방 감지센서(77,78)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판(73a)의 상면에 올려진 저장통(1)을 감지하는 초음파근접센서를 이용한다.
The front and rear detection sensors 77 and 78 use ultrasonic proximity sensors for sensing the reservoir 1 rai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73a by using ultrasonic waves.

이와 같이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가 근접되면 이를 감지하는 초음파근접센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ultrasonic proximity sensor that senses the proximity of an object using ultrasonic waves is widely use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어유닛(79)은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조작스위치(79a)를 이용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control unit 79 is configured to be able to input a control command using the operation switch 79a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

이때, 상기 조작스위치(79a)는 상기 리프트(70)를 이용하여 저장통(1)을 들어올리는 상승명령과, 상기 수납부(11)에 수납된 저장통(1)을 바닥면으로 내리는 하강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t this time, the operation switch 79a inputs an up command for lifting the reservoir 1 by using the lift 70 and a down command for lowering the reservoir 1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 to the floor surface .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79a)를 조작하여 상승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유닛(79)은 상기 회동구동수단(74)을 구동시켜 상기 회동아암(72)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패널(73)이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76)를 정회전시켜 상기 이송로울러(75)가 정방향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switch 79a to input a rising command, the control unit 79 drives the rotation driving means 74 to rotate the rotation arm 72 downward As shown in FIG. 5, the lift panel 73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the drive motor 76 is rotated forward to drive the transport roller 75 in the forward direction.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저장통(1)을 상기 승강패널(73)의 상면에 올려놓으면, 상기 저장통(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로울러(75)에 의해 후방쪽으로 이송된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places the storage container 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 panel 73, the storage container 1 is transported toward the rear side by the transport roller 75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제어유닛(79)은 상기 후방 감지센서(78)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저장통(1)의 후측 둘레부가 상기 후방 감지센서(78)의 상부 위치까지 이송되면, 상기 구동모터(76)를 정지시킨 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구동수단(74)을 구동시켜 상기 회동아암(72)과 승강패널(73)이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79 monitors the signal of the rear sensing sensor 78, and when the rear periphery of the reservoir 1 is transferred to the upper position of the rear sensing sensor 78, the driving motor 76 The pivot arm 74 is driven to rotate the pivot arm 72 and the lift panel 73 upward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승강패널(73)이 완전히 상승되면, 상기 제어유닛(79)은 상기 구동모터(76)를 구동시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로울러(75)에 올려진 저장통(1)이 개구부(12)를 통해 수납부(11)의 내부로 이송되도록 한다.
8, the control unit 79 drives the drive motor 76 to move the storage container 1, which is lifted up to the transport roller 75, And is transferred to the interior of the storage portion (11) through the opening (12).

이때, 상기 제어유닛(79)은 상기 후방 감지센서(78)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통(1)이 상기 후방 감지센서(78)의 후방으로 이송되면, 상기 구동모터(76)를 정지시키고 작업을 완료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79 receives the signal of the rear sensing sensor 78 and stops the driving motor 76 when the storage container 1 is conveyed to the rear of the rear sensing sensor 78 The operation is completed.

한편, 상기 수납부(11)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순환기구(80)의 회전판(82)이 구비됨으로, 상기 승강패널(73)에서 수납부(11)로 이송된 저장통(1)은 상기 순환기구(80)의 회전판(82) 상면에 올려진다.
The storage box 11 is provided with a rotation plate 82 of a circulation mechanism 8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reservoir 1 transferred from the lifting panel 73 to the storage compartment 11 is rotated by the circulation mechanism (82) of the rotating plate (80).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79a)를 조작하여 하강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유닛(79)은 상기 회동구동수단(74)을 구동시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아암(72)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승강패널(73)이 상승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76)를 역회전시켜 상기 이송로울러(75)를 역방향으로 구동되도록 한다.
9, when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switch 79a to input a down command, the control unit 79 drives the rotation driving means 74 to rotate the rotation arm 72, So that the lift panel 73 is lifted and the drive motor 76 is reversely rotated to drive the transport roller 75 in the reverse direction.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수납부(11)에 수납된 저장통(1)을 전방으로 당겨 상기 승강패널(73)의 상면에 올려놓으면, 상기 저장통(1)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로울러(75)에 의해 전방쪽으로 이송된다.
Therefore, when the user pulls the storage container 1 housed in the storage portion 11 forward and places i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 panel 73, as shown in FIG. 10, the storage container 1, (Not shown).

이때, 상기 제어유닛(79)은 상기 전방 감지센서(77)의 신호를 감시하여, 상기 저장통(1)의 전방 둘레부가 상기 전방 감지센서(77)의 상부 위치까지 이송되면, 상기 구동모터(76)를 정지시킨 후,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구동수단(74)을 구동시켜 상기 회동아암(72)과 승강패널(73)이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79 monitors the signal of the front sensing sensor 77, and when the front edge of the storage container 1 is transferred to the upper position of the front sensing sensor 77, the driving motor 76 , The pivot arm 74 is driven to rotate the pivot arm 72 and the lift panel 73 downward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승강패널(73)이 완전히 하강되면, 상기 제어유닛(79)은 상기 구동모터(76)를 구동시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로울러(75)에 올려진 저장통(1)이 승강패널(73)의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When the lift panel 73 is completely lowered, the control unit 79 drives the drive motor 76 to move the storage container 1, which is lifted up to the transport roller 75, To be moved forward of the lifting panel (73).

이때, 상기 제어유닛(79)은 상기 전방 감지센서(77)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통(1)이 상기 후방 감지센서(78)의 전방으로 이송되면, 상기 구동모터(76)를 정지시키고 작업을 완료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79 receives the signal of the front sensing sensor 77 and stops the driving motor 76 when the storage container 1 is transported forward of the rear sensing sensor 78 The operation is completed.

상기 순환기구(8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하단이 상기 수납부(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81)과, 상기 회전축(8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면 둘레부에 복수개의 저장통(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회전판(82)과, 상기 회전축(81)에 연결되어 회전축(8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83)로 구성된다.
1 and 2, the circulation mechanism 80 includes a rotation shaft 81 configured to extend in the up-and-down direction and having upper and lower ends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1, And a drive motor 83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81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81. The rotation shaft 81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shaft 81, .

상기 회전판(82)은 상면에 4개의 저장통(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rotary plate 82 may be configured to mount four storage tanks 1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상기 구동모터(83)는 상기 제어유닛(79)의 조작스위치(79a)를 이용하여 작동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drive motor 83 is configured to be able to perform an operation control using an operation switch 79a of the control unit 79. [

따라서, 상기 리프트(70)에 의해 상기 수납부(11)의 내부로 이송된 저장통(1)이 상기 회전판(82)의 상면 일측에 올려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79a)를 조작하여 상기 구동모터(83)를 구동시키면, 상기 회전축(81)과 회전판(82)이 90°씩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판(82)에 올려진 저장통(1)의 위치가 바뀌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storage container 1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part 11 by the lift 70 is rais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plate 82,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switch 79a When the driving motor 83 is driven, the rotation shaft 81 and the rotation plate 82 are rotated by 90 degrees, and the position of the reservoir 1 loaded on the rotation plate 82 is changed.

이와 같이 구성된 생맥주용 냉장고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상기 저장통(1)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리프트(70)가 구비된다.
In the refrigerator for draft beer draft,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lift 70 for lifting the reservoir 1 upward.

특히, 상기 리프트(70)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된 지지대(71)와, 상기 지지대(7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동아암(72)과, 상기 회동아암(72)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상면에 상기 저장통(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승강패널(73)과, 상기 회동아암(72)에 연결되어 회동아암(72)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74)으로 구성된다.
In particular, the lift 70 includes a support 71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 pivot arm 72 pivotally coupled to the support 71 in a vertical direction, A lifting panel 73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swing arm 72 and capable of placing the reservoir 1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rotation drive means connected to the swing arm 72 to rotate the swing arm 72 in a vertical direction 74).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승강패널(73)에 저장통(1)을 올려놓으면, 상기 리프트(70)에 의해 자동으로 저장통(1)이 상승되어 손쉽게 저장통(1)을 수납부(11)에 수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when the user places the storage container 1 on the lifting panel 73, the storage container 1 is automatically lifted by the lift 70, and the storage container 1 can be easily stored in the storage part 11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상기 승강패널(73)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이송로울러(75)와, 상기 이송로울러(75)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76)와, 상기 승강패널(73)의 전후단에 구비되어 승강패널(73)에 올려진 저장통(1)의 위치를 감지하는 전, 후방 감지센서(77,78)와, 상기 전, 후방 감지센서(77,78)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회동구동수단(74)과 구동모터(7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9)이 더 구비됨으로, 상기 제어유닛(79)의 조작스위치(79a)를 이용하여 상승명령 또는 하강명령을 입력한 후, 상기 저장통(1)을 승강패널(73)에 올려놓으면, 상기 이송로울러(75)에 의해 저장통(1)이 승강패널(73)의 상면 중앙부로 옮겨지고, 상기 저장통(1)이 승강된 후, 상기 이송로울러(75)에 의해 수납부(11)로 이송되거나 전방으로 배출된다.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75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anel 73; a driving motor 76 for driving the conveying roller 75; Front and rear detection sensors 77 and 78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 mounted on the lift panel 73 and the front and rear detection sensors 77 and 78, A control unit 79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driving means 74 and the driving motor 76 is further provided so that an up command or a down command is input by using the operation switch 79a of the control unit 79 The storage container 1 is mov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 panel 73 by the feed roller 75 and the storage container 1 is lifted And is conveyed to the storage unit 11 by the conveying roller 75 or discharged forward.

따라서, 상기 리프트(70)를 이용하여 저장통(1)을 수납부(11)로 공급하거나, 수납부(11)에 수납된 저장통(1)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This makes it easier to supply the storage container 1 to the storage compartment 1 by using the lift 70 or to discharge the storage container 1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11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수납부(11)의 내부에는 구비되어 상기 저장통(1)의 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된 순환기구(80)가 구비되며, 상기 순환기구(8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하단이 상기 수납부(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81)과, 상기 회전축(8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면 둘레부에 복수개의 저장통(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회전판(82)과, 상기 회전축(81)에 연결되어 회전축(8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83)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판(82)의 상면 둘레부에 복수개의 저장통(1)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83)로 회전축(81)과 회전판(82)을 회전시켜 상기 저장통(1)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The circulation mechanism 80 is provided inside the storage part 11 and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reservoir 1. The circulation mechanism 80 is configur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rotary shaft 82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81 and capable of placing a plurality of storage tubes 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shaft 81, And a drive motor 83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81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81. The plurality of storage tanks 1 ar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on plate 82, The rotary shaft 81 and the rotary plate 82 are rotated by the rotary shaft 83 so that the position of the reservoir 1 can be changed.

따라서, 상기 수납부(11)의 내부 깊은 곳에 위치된 저장통(1)을 꺼낼 경우, 상기 구동모터(83)로 회전축(81)과 회전판(82)을 회전시키면, 저장통(1)이 상기 개구부(12)에 가까운 곳으로 위치 조절됨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When the rotary shaft 81 and the rotary plate 82 are rotated by the drive motor 83 when the storage container 1 located deep inside the storage part 11 is taken out, 12), so that it is more convenient to us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 본체 20 : 도어
30 : 냉각수단 40 : 공급관
50 : 디스펜서 60 : 탄산가스탱크
70 : 리프트 80 : 순환기구
10: Body 20: Door
30: cooling means 40: supply pipe
50: dispenser 60: carbon dioxide gas tank
70: Lift 80: Circulation mechanism

Claims (6)

저장통(1)이 수납되는 수납부(11)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개구부(12)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12)를 개폐하는 도어(2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부(11)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30)과, 상기 저장통(1)에 결합되는 커넥터(41)가 기단부에 구비된 공급관(40)과,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관(40)에 연결되며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된 배출밸브(51)가 구비된 디스펜서(50)와, 급기관(61)을 통해 상기 커넥터(41)에 연결되어 커넥터(41)가 결합된 저장통(1)에 탄산가스를 공급하는 탄산가스탱크(60)를 포함하는 생맥주용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생맥주용 냉장고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상기 개구부(1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저장통(1)을 상측에서 들어올리는 리프트(70)와,
상기 수납부(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통(1)의 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된 순환기구(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70)는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된 지지대(71)와, 상기 지지대(7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하 한 쌍으로 구성된 회동아암(72)과, 상기 회동아암(72)의 선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통(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승강패널(73)과, 상기 회동아암(72)에 연결되어 회동아암(72)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구동수단(74)과, 상기 승강패널(73)의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이송로울러(75)와, 상기 이송로울러(75)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76)와, 상기 승강패널(73)의 전후단에 구비되어 승강패널(73)에 올려진 저장통(1)의 위치를 감지하는 전, 후방 감지센서(77,78)와, 상기 전, 후방 감지센서(77,78)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회동구동수단(74)과 구동모터(76)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본체(10)에 구비된 조작스위치(79a)를 이용하여 제어명령을 입력시키는 제어유닛(79)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아암(72)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승강패널(73)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승강되되,
상기 승강패널(73)은 상면에 상기 저장통(1)이 올려지는 지지판(73a)과, 상기 지지판(73a)의 양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회동아암(72)의 선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연장판(73b)과, 상측 둘레부가 상기 지지판(73a)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판(73a) 상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이송로울러(7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오목홈(73c)으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아암(72)과 승강패널(73)은 상기 회동아암(72)이 하강되면 상기 지지판(73a)의 하측면에 바닥면이 밀착되고, 상기 회동아암(72)이 상승되면 상기 지지판(73a)의 상면이 순환기구(80)의 회전판(82)의 상면과 같은 높이로 상승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용 냉장고.
A main body 10 having a storage portion 11 in which a storage container 1 is stored and an opening 12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door 2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12, A cooling unit 30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o cool the storage unit 11 and a connector 40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1 at a base end thereof, A dispenser 5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40 and having a discharge valve 51 that can be operated by a user, And a carbonic acid gas tank (60) for supplying carbonic acid gas to the storage container (1) to which the connector (41) is coupled, the draft beer refrigerator
A lift 70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 to be positioned below the opening 12 to lift the reservoir 1 from above,
And a circulation mechanism (80) provided inside the storage part (11) and capable of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
The lift 70 includes a support 71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 pivoting arm 72 pivotally coupled to the support 71 in a vertical direction, A lifting panel 73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arm 72 and capable of placing the storage container 1 thereon and a pivoting drive means 75 connected to the pivoting arm 72 to rotate the pivoting arm 72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75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 panel 73; a driving motor 76 for driving the conveying rollers 75; Front and rear detection sensors 77 and 78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ront and rear sensing sensors 77 and 78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 mounted on the lifting panel 73, And uses an operation switch 79a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otation driving means 74 and the driving motor 76 Consists of a control unit (79) to type in the control command,
When the pivoting arm 72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ift panel 73 is moved up and down in a horizontal state,
The lifting panel 73 includes a supporting plate 73a on which the reservoir 1 is mounted and an extension plate 73 exten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supporting plate 73a and hinged to the tip of the pivoting arm 72 And a concave groove 73c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73a and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conveying roller 75 is rotatably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73a, When the pivot arm 72 is lowered, the bottom surface of the pivot arm 7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73a. When the pivot arm 72 is rais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73a) is raised to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plate (82) of the circulation mechanism (8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스위치(79a)를 조작하여 상기 리프트(70)를 이용해 저장통(1)을 들어올리는 상승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상기 제어유닛(79)은 회동구동수단(74)을 구동시켜 상기 회동아암(72)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승강패널(73)이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76)를 정회전시켜 상기 이송로울러(75)가 정방향으로 구동되어지며, 상기 승강패널(73)의 상면에 올려진 저장통(1)은 상기 이송로울러(75)에 의해 후방쪽으로 이송되되,
상기 제어유닛(79)은 상기 후방 감지센서(78)의 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저장통(1)의 후측 둘레부가 상기 후방 감지센서(78)의 상부 위치까지 이송되면, 상기 구동모터(76)를 정지시킨 후, 상기 회동 구동수단(74)을 구동시켜 상기 회동아암(72)과 승강패널(73)이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며,
상기 승강패널(73)이 완전히 상승되면 상기 제어유닛(79)은 상기 구동모터(76)를 구동시켜, 상기 이송로울러(75)에 올려진 저장통(1)이 개구부(12)를 통해 수납부(11)의 내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용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79 drives the tilting drive means 74 to drive the tilting arm 74 to rotate the tilting arm 74 by operating the operation switch 79a to input a lift command to lift the storage container 1 using the lift 70. [ 72 are rotated downward so that the lift panel 73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the feed roller 75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by forward rotation of the drive motor 76, 73 are transported rearward by the transport rollers 75,
The control unit 79 senses a signal of the rear sensing sensor 78. When the rear edge of the storage container 1 is transferred to the upper position of the rear sensing sensor 78, The pivot arm 74 is driven to rotate the pivot arm 72 and the lift panel 73 upward,
The control unit 79 drives the drive motor 76 to cause the storage container 1 loaded on the transport roller 75 to be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11).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에 수납된 저장통(1)을 바닥면으로 내리는 하강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상기 제어유닛(79)은 상기 회동구동수단(74)을 구동시켜 상기 회동아암(72)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승강패널(73)이 상승되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76)를 역회전시켜 상기 이송로울러(75)가 역방향으로 구동되어지며, 상기 수납부(11)에 수납된 저장통(1)이 상기 승강패널(73)의 상면에 올려지면, 상기 저장통(1)은 상기 이송로울러(75)에 의해 전방쪽으로 이송되되,
상기 제어유닛(79)은 상기 전방 감지센서(77)의 신호를 감지하며, 상기 저장통(1)의 전방 둘레부가 상기 전방 감지센서(77)의 상부 위치까지 이송되면, 상기 구동모터(76)를 정지시킨 후, 상기 회동구동수단(74)을 구동시켜 상기 회동아암(72)과 승가패널(73)이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며,
상기 승강패널(73)이 완전히 하강하게 되면 상기 제어유닛(79)은 상기 구동모터(76)를 구동시켜, 상기 이송로울러(75)에 올려진 저장통(1)이 승강패널(73)의 정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용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79 drives the rotation driving means 74 to cause the rotation arm 72 to move upwar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the conveying roller 75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by rotating the drive motor 76 in the reverse direction to rotate the drive motor 76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storage container 1 is transported forward by the transport roller 75 when the storage container 1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panel 73,
The control unit 79 senses a signal of the front sensing sensor 77 and when the front edge of the storage container 1 is transported to the upper position of the front sensing sensor 77, The pivot arm 74 is driven to rotate the pivot arm 72 and the pivot panel 73 downward,
The control unit 79 drives the drive motor 76 so that the reservoir 1 loaded on the transport roller 75 is moved to the front of the lift panel 73 So as to feed the be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기구(8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하단이 상기 수납부(1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81)과, 상기 회전축(8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면 둘레부에 복수개의 저장통(1)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회전판(82)과, 제어유닛(79)의 조작스위치(79a)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상기 회전축(81)에 연결되어 회전축(8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83)로 구성되어,
상기 리프트(70)에 의해 상기 수납부(11)의 내부로 이송된 저장통(1)이 상기 회전판(82)의 상면 일측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조작스위치(79a)에 의해 구동모터(83)가 구동되어지면, 회전축(81)과 회전판(82)이 90°씩 회전되어 상기 저장통(1)의 위치가 바뀌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맥주용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irculation mechanism 80 includes a rotation shaft 81 configur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upper and lower ends rotatably coupled to the interior of the storage unit 11 and a rotation shaft 81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shaft 81, A rotation plate 82 that is capable of placing a plurality of storage containers 1 and a control unit 79 that is operated by an operation switch 79a of the control unit 79 and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81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81 And a motor 83,
The driving motor 83 is driven by the operation switch 79a in a state in which the storage container 1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part 11 by the lift 7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on plate 82 The rotation shaft (81) and the rotation plate (82) are rotated by 90 degrees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reservoir (1).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37509A 2015-10-29 2016-03-29 Refrigerator for draft beer KR10186112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51061 2015-10-29
KR1020150151061 2015-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436A KR20170052436A (en) 2017-05-12
KR101861126B1 true KR101861126B1 (en) 2018-05-30

Family

ID=5874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509A KR101861126B1 (en) 2015-10-29 2016-03-29 Refrigerator for draft be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12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2667A (en) * 2008-02-26 2009-09-10 Shin Meiwa Ind Co Ltd Storage type cargo receiving platform elevating device
KR101557634B1 (en) * 2014-09-15 2015-10-06 김환수 Beer sale and managenent system with improved precise beer drinking amount measure function and improved convenience fun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2667A (en) * 2008-02-26 2009-09-10 Shin Meiwa Ind Co Ltd Storage type cargo receiving platform elevating device
KR101557634B1 (en) * 2014-09-15 2015-10-06 김환수 Beer sale and managenent system with improved precise beer drinking amount measure function and improved convenience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2436A (en) 2017-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11224A (en) Refrigerator with basket lifting function
JP4953010B2 (en) Storage container for substrate storage
CN109399043B (en) Biological sample transferring and storing mechanism
CN209291249U (en) A kind of biological sample transhipment stocking mechanism
KR20060019123A (en) Refrigerator with basket lifting function
JP5278698B2 (en) Cassette transfer device
KR101861126B1 (en) Refrigerator for draft beer
JP2006296459A (en) Dishwasher
JP2011046526A (en) Agriculture container reversal discharging and lifting device
CN219192973U (en) Stem cell storage device
JP3140405B2 (en) Container tilting mechanism in liquid medicine suction and discharge device in drum can
KR200391178Y1 (en) A meat processing device
KR100565249B1 (en) Refrigerator with basket lifting function
CN104495712B (en) Medical treatment lifting device
KR101212050B1 (en) Strawberry cleaning up system, strawberry washing/sterizing apparatus utilized to the same and strawberry drying apparatus utilized to the same
JP2001000252A (en) Computer desk
CN218463674U (en) Warehouse liquid medicine handling device that medicine was used
CN204474268U (en) Medical treatment bont
KR20090013103U (en) The Water Cooling And Heating Unit which is contained the bucket internally
CN216188174U (en) Cigarette exhibition stores up all-in-one machine and puts in storage device
KR101607544B1 (en) Automatic power-saving refrigerator double doors opening
CN214550381U (en) Cell molecular biology is with experimental utensil disinfection save set
CN211383513U (en) Source box supporting device and source box control system
KR200407362Y1 (en) Product box automatic emptying device
CN211049046U (en) Self-ejection delivery port letter bag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