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872B1 -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872B1
KR101860872B1 KR1020170124079A KR20170124079A KR101860872B1 KR 101860872 B1 KR101860872 B1 KR 101860872B1 KR 1020170124079 A KR1020170124079 A KR 1020170124079A KR 20170124079 A KR20170124079 A KR 20170124079A KR 101860872 B1 KR101860872 B1 KR 101860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warning
water
level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경
임민정
Original Assignee
덕산메카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산메카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산메카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4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8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persons in a body of water, e.g. a swimming pool; responsive to an abnormal condition of a body of wa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을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 설비가 설치된 장소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위에 따라 침수 여부를 판단하여 설비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시스템은 침수 예고 수위일 경우 1차 경고를 발생하고, 수위의 변화 추이를 바탕으로 설비의 설치 당시에 입력된 제어부의 높이까지 도달될 시간이 예측되는 상태에서 설비 가동을 중단시켜야 할 수위일 경우 2차 경고를 발생하여 관리중인 설비의 가동을 중단하고 제어부의 전원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침수로 인한 재난상황을 다단계로 분류하여 해석함으로써 섣부른 침수 판단에 따른 설비 동작 중지 등으로 인한 건물의 효용성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고, 건물내부에서의 침수를 야기한 주체의 흐름을 추적하여 재난상황의 변화추이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물 관리가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Building flood disaster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건물 관리에 있어서 예를 들어, 홍수, 수도관 파괴 등 다양한 형태의 원인으로부터 야기되는 건물 침수로부터 설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행정안전부는 재난 및 안전사고 예방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공공기관이 준수해야 할 『재난관리기준』과 『안전관리기준』을 제정고시 하였다.
재난관리기준은 재난예방 및 경감을 위한 재난경감계획, 재난관리조직의 운영, 재난운영 연속성 관리, 재난관리 모니터링, 재난 예경보, 상황전파 및 지휘체계, 체계적인 상황관리와 자원관리 등에 관한 기준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각기 다르게 사용되거나 명확한 정의가 없는 재난관련 용어를 통일적으로 정의했으며, 안전관리기준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계획 수립, 실행 및 운영, 운영상황 평가, 안전관리대책의 개선 등에 관한 안전관리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2004년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제정으로 재난 및 안전에 관한 범 정부적 대응체계의 골격을 마련한 이후, '07년부터 '09년까지(3개년간) 관계전문가 등이 참여한 가운데 재난안전에 관한 세부기준을 마련함으로써 "통합적 안전관리체계"의 기본 틀을 정립했다.
국가차원에서 재난 및 안전에 대한 표준화를 이룸에 따라 재난 및 안전사고에 각급 기관에서 동일한 기준으로 대응하고 협력하는 시스템을 갖추게 되어 신속하고 체계적인 재난관리가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처럼 국가차원에서도 재난 및 안전에 대해 신속하고 체계적인 재난관리에 관심을 기울이는 바와 같이, 재난 및 응급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재난 중에 하나인 침수 관련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6524호가 있다.
이 기술은, 개방형 데이터 스키마를 이용하여 3차원 지형 정보에 기초한 지형 모델과 건물 개체마다 3차원 외형 및 건물 속성 항목들을 포함하도록 구축된 복수의 건물 모델들을 결합한 도시 모델을 저장하는 도시 모델 데이터베이스, 사용자가 지형 모델 및 건물 모델들의 각각을 생성 및 편집하기 위한 편집 인터페이스, 사용자가 도시 모델에 적용할 침수 조건 및 피해 예측 쿼리를 입력하고, 산출된 물적 피해 또는 인적 피해를 표시하는 쿼리 인터페이스 및 도시 모델에 관하여 입력 된 침수 조건 및 피해 예측 쿼리에 기초하여 물적 피해 또는 인적 피해를 산출하는 피해 예측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개방형 정보 모델을 이용한 도시 침수 피해 정보 관리가 가능하고, 지형과 구조물의 속성 및 형상 정보를 함께 다룰 수 있는 개방형 정보 모델을 이용한 도시 침수 피해 정보 관리 시스템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652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관련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침수로 인한 재난상황을 다단계로 분류하여 해석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건물보호가 가능하도록 하는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물내부에서의 침수를 야기한 주체의 흐름을 추적하여 설비 제어 불능상태까지의 도달시간을 예측하고, 해제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에 따라 유추 가능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내부에 설비가 설치된 장소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위에 따라 침수 여부를 판단하여 설비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시스템은 침수 예고 수위일 경우 1차 경고를 발생하고, 수위의 변화 추이를 바탕으로 설비의 설치 당시에 입력된 제어부의 높이까지 도달될 시간이 예측되는 상태에서 설비 가동을 중단시켜야 할 수위일 경우 2차 경고를 발생하여 관리중인 설비의 가동을 중단하고 제어부의 전원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비가 설치된 장소의 수위 판단은 제어 불능상태까지 남은 시간에 대한 판단으로서 수위 변화량을 적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1차 경고는 수위가 10cm 일 경우 발생하고, 2차 경고는 수위가 80cm일 때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침수 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특정 설비의 가동 중단 등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특정 설비 가동 중단을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건물 및 그 건물의 침수 관련 정보를 관제센터로 송신하는 송신부;
건물의 침수 여부를 판단하도록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
제어부에서 판단된 수위 및 제어 불능상태까지의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제어부에서 판단된 수위의 수준에 따라 다단계로 경보를 발생하되, 침수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소정시간 간격으로 침수 예고단계인 1단계 및 침수 발생단계인 2단계로 구분되어 각각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는 높이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단으로 설치되어, 가장 낮은 단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수위가 먼저 감지되면, 이 감지신호가 처리되어 침수의 가능성이 있음을 알리도록 1차 경고하고, 높은 단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지속적으로 수위를 감지하면서 제어부가 완전 침수되어 제어 불능상태까지 남은 시간을 계산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설비의 가동을 제어하도록 2차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1차 경고와 2차 경고 사이에 2차 경고 예상 시간을 예측하여 제어부의 통제 불능시간까지 남은 시간을 관리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설비의 가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1차 경고와 2차 경고 사이에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침수 경보 해제시간까지 남은 시간을 관리자에게 전달함으로써 1차 침수 이후 빠르게 재정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에 따르면, 건물의 침수로 인한 재난상황을 다단계로 분류하여 해석함으로써, 섣부른 침수 판단에 따른 설비 동작 중지 등으로 인한 건물의 효용성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수위가 10cm일 때 침수 예고로서 1차 경고, 80cm일 때 설비가동을 중단시키는 2차 경고를 발생하는 것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수위가 10cm에 도달하면 일단 1차 경고를 발생함과 동시에, 수위의 변화 추이를 바탕으로 설비의 설치 당시에 입력된 제어부의 높이까지 도달될 시간을 관리자가 예측하면서 경각심을 유지하도록 하고, 다음에 수위가 80cm에 도달하면 관리자에게 최종 경고를 발생하여 관리중인 설비의 가동을 중단하고 제어부의 전원도 차단하도록 하는 등, 침수 재난 상황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적절하게 대처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는 단지 관리자의 시각적인 확인에 의해 설비의 가동을 제어하여 자칫 설비의 고장을 유발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100% 해소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내부에서의 침수를 야기한 주체의 흐름을 추적하여 재난상황의 변화추이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물 관리가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물관리시스템에 구성되는 제어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침수가 다른 감지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의 설비보호동작에 관련되는 정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동작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하는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하는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형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건물 관리라 함은, 전력, 조명 등 주요 설비 동작 관리와, 보안 등 타인으로 인한 위험요소 배제용 관리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관점에서 더 나아가 건물 내부 요소가 아닌 외부 요인에 의해 건물의 관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을 점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본 발명이 궁극적으로 추구하고자 하는 바는 홍수, 수도관 파괴 등 다양한 요인(이를 외부 요인이라 칭한다)에 의해 건물, 더 구체적으로는 특정 설비 등이 정상적으로 사용되지 못할 상황이 도래할 예정이거나 도래하였을 경우, 이를 신속 정확하게 파악하여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특정 설비 등이 정상적으로 사용되지 못할 상황이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정도로 설비 제어부가 침수되는 상황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침수를 판단하기 위한 기본적인 장치로서 예를 들어 수위센서와, 수위센서의 감지값을 처리하고, 수위를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건물 관리를 위하여 어떠한 동작을 해야 하는지 등을 판단하는 제어시스템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센서는 건물 내 필요한 장소들마다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이 추구하는 바가 설비보호이므로 예를 들어, 배전반, 주차장 등 지대가 낮은 장소 등에 센서들을 설치하여 이들 장소들에 대한 수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복수 개 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위값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건물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단순히 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위값만 이용하여 침수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 장소에 대한 물의 흐름도 파악하여 이를 침수 판단에 이용하도록 한다. 물의 흐름은 시간에 따른 수위 변화량과 관련있다.
본 발명은, 침수 판단을 다단계로 행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설비 종류, 설비 위치, 수위 등을 모두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침수를 판단하되, 침수 상태의 지속 가능 여부를 파악하여 1단계로 경고하고, 1단계 경고 이후 지속적으로 수위를 감지하고 물의 흐름을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정보, 예를 들어 최종적으로 설비의 가동을 중단시키는 등의 2차 경고를 행하도록 설정한다. 이러한 동작은 섣부른 설비 가동 중단으로 인해 건물 관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감안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건물관리시스템에 구성되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건물관리시스템(100)은, 각 장소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위신호들을 토대로 건물 관리, 더 구체적으로는 특정 설비의 가동을 유지 또는 중단시키는 장치가 구성된다. 건물관리시스템(100)은 감지된 수위를 통해 다단계로 경고를 행하고, 침수로 인해 설비의 보호가 필요할 경우 설비의 가동을 중단시킨다.
이러한 동작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물관리시스템(10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멀티감지수단을 가지며, 이들 감지수단들에 의해 감지되는 수위신호들의 변화 추이를 데이터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관제센터(200)는, 복수 개의 건물을 관리하는 서버가 구성된다. 관제센터(200)는 복수 개의 건물을 관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건물마다 고유의 ID를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ID는 후술하는 단말기(300)가 관제센터(200)에 소속된 단말기일 경우, 함께 공유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300)는,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기로써, 인터넷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 PC, 노트북 등이며,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단말기(300)는 건물관리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수위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적합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조작된다. 단말기(300)는 네트워크를 통해 관제센터(200)에 소속된 장치일 수도 있고, 건물과 일대일로 구성되어 특정된 어느 하나의 건물만 관리하는 단말기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건물관리시스템(100)에 의해 건물의 침수에 관련된 신호가 처리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이들 신호들이 관제센터(200) 및 단말기(300)에도 전송되어 원격지에서 건물 침수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건물의 침수 상태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특정 설비의 가동 중단 등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이다. 가동 중단은, 관리되는 설비 모두를 중단시키는 것과 일부만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부 구성의 동작을 중단시킬 경우 건물의 본래 기능을 달성하지 못하게 되면, 이는 곧 전체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과 마찬가지 결과이므로, 본 발명에서 일부 구성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것은, 건물의 본래 기능을 위한 동작 이외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 해당하는 것으로는, 주차장 출입통제를 들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제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신부(12)는, 상기 관제센터(200)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특정 설비 가동 중단을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송신부(13)는, 건물 및 그 건물의 침수 관련 정보를 관제센터(200)로 송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140)는, 건물의 침수 여부를 판단하도록 수위를 감지하는 수단이다. 여기서 각 설비들이 위치하는 장소들마다 센서가 구비되어 각각의 장소들마다의 수위를 감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센서(140)에 의해 감지되는 수위의 정상 또는 이상은, 각 장소에서의 수위에 의해서만 분리되어 판단될 수도 있다. 또하는 물이 특정 장소를 통과하면서 본래 이 특정장소에 고여있던 물과 합쳐져서 더 상승된 수위에 의해서 판단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140)는 다른 실시예로서, 높이가 서로 다른 2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1단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수위가 먼저 감지되면, 이 감지신호가 처리되어 침수의 가능성이 있음을 알리도록 1차 경고하고, 1단의 위치를 넘어서면 2단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지속적으로 수위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수위정보로부터 제어부의 불능상태까지 남은 시간을 예측하여 관리자에게 일정시간마다 경고하여 빠른 시간내에 관리자로 하여금 설비의 가동을 제어하도록 2차 경고한다. 2차 경고가 행해지면, 관리자는 예를 들어 설비의 가동을 중단하고 제어부 또는 전원을 차단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의 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위가 침수 예고상황인 1차 경고를 발생시킬 정도의 수위라면 이를 처리하여 1차 경고하고, 침수로 인해 설비의 가동을 중단시키거나 하는 등의 제어를 할 수준인 2차 경고를 발생시킬 정도의 수위라면 이를 처리하여 2차 경고함으로써 관리자로 하여금 설비의 가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센서는 각각의 설비마다 설치되어 있되,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설비들마다 설치된 복수 개 센서의 감지값 조합처리에 의해 침수를 판단하는 동작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센서 1 내지 5는 각각 설비 1 내지 5가 위치한 장소에 대한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서, 이들 센서들이 모두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만일 설비들이 설치된 장소들의 수위가 비슷하지만, 실시간 센서 감지에 의해 일부 장소의 수위가 낮아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즉 도 3을 참조로 하면 물이 설비 1 및 설비 2를 거쳐서 설비 3에 근접하여 흐를 경우, 예를 들어, 배수로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요소 등이 근접장소에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배수로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물의 흐름을 분석하여 그 이동 경로상에 위치한 특정 설비들의 가동을 중단시키거나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의 흐름을 참조하면, 단순하게 보아 설비 1 및 2가 위치한 장소로부터 설비 3이 위치한 장소를 인접하여 물이 흐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우선은 물이 설비 3에 인접하여 흐르는 것으로 분석되므로 설비 3에 대해서는 관리자에게 1차 경고를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하는 설비 1 및 2로부터는 일단 물이 빠져나감을 알 수 있으므로 만일 설비 1 및 2에 대하여 관리자에게 1차 경고를 발생한 상태라면, 이를 해지하도록 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160)는, 제어부(110)에서 판단된 수위를 표시하는 수단이다. 표시부(160)는 실시간으로 예측된 통제 불능까지의 남은 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경보부(170)는, 제어부(110)에서 판단된 수위의 수준에 따라 다단계로 경보음을 발생하는 수단이다. 여기서, 다단계는 침수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소정시간 간격으로 1단계 및 2단계로 구분되어 각각 경보를 발생함을 의미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물 침수 판단은, 설비 종류, 설비 위치, 이들 설비들이 위치한 장소의 수위, 배수로에 따른 배수상태, 및 기타 외부 요인들을 모두 고려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요인은, 만일 홍수로 인해 건물이 침수되는 상황일 경우, 실시간 강우량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간 강우량은 건물의 물 유입통로에 가장 근접한 장소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수위에 적용되어 다른 값으로 환산될 수 있다. 즉 현재의 수위를 판단하고, 이에 강우량 정보를 적용하여 가중치를 주는 방법으로 감지된 수위값을 더 높일 수 있다.
또하는 설비 종류에 따라 가중치를 두어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수위를 달리 적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흐름을 설명한다.
스텝 S10은, 건물에 설치된 설비가 위치한 장소의 수위를 판단하는 동작이다. 스텝 S10에서의 침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40)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그 감지신호가 제어부(110)에서 처리된다.
이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특정 설비가 설치된 장소의 수위가 10cm 일 때 침수 예고인 1차 경고를 발생하고, 80cm 일 때 설비의 가동을 중단시키는 2차 경고를 발생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일단 수위가 10cm에 도달하면 1차 경고를 발생시킨다. 이후, 주기적으로 수위를 체크하여 실치 당시에 입력된 제어부의 높이까지 도달될 시간을 예측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주기적으로 통보한다. 이후 수위가 2차 센서에 도달하면 관리자에게 최종 경고를 발생한다. 그리고 관리중인 설비의 가동을 중단하고 제어부의 전원도 차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위가 10cm에 도달하면 일단 1차 경고를 발생함과 동시에, 수위의 변화 추이를 바탕으로 설비의 설치 당시에 입력된 제어부의 높이까지 도달될 시간을 관리자가 예측하면서 경각심을 유지하도록 하고, 다음에 수위가 80cm에 도달하면 관리자에게 최종 경고를 발생하여 관리중인 설비의 가동을 중단하고 제어부의 전원도 차단하도록 하는 등, 침수 재난 상황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적절하게 대처 가능하도록 한다.
스텝 S20은, 상기 제어부(110)에서 처리된 바를 바탕으로 제어부(110)가 각 설비들의 상황을 파악하여 침수 예고를 해야할지를 판단하는 동작으로써, 센서(140)에 의해 감지되는 장소의 수위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바 있지만,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또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는 예시들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140)에 의해 감지되는 장소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판단하되, 수위 변화량을 분석한다. 이 분석결과, 단위 시간당 수위의 변화량을 계측할 수 있다. 즉 단위 시간당 수위가 증가하는 경우 제어부가 침수되어 제어가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이 예측된 시간은 주기적으로 갱신한다. 반면, 시간당 수위가 감소하는 경우 물이 빠져나가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를 바탕으로 침수 경보에 대한 해제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스텝 S20에서의 판단결과, 침수 예고 수준이라면 표시부(160)를 통해 이를 표시하고, 경보부(170)를 통해 경보를 발생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대비하도록 한다(S30).
이러한 상태에서 계속 물의 흐름이 센서에 의해 실시간 감지되는 수위를 토대로 이루어진다(S40).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설비가 위치한 장소에서의 수위가 낮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계속 상승할 경우, 이를 침수 임박으로 판단하여(S50), 2차 경고를 한다(S60).
스텝 S70은, 상기 스텝 S60에서의 2차 경고에 따라 설비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이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의 실시예가 기술되었다. 위에 기술된 실시예는 본원발명에 기술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많은 구체적 실시예 중에서 일부분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함에 따라 당업자들이 본원발명의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범위 내에서 많은 다른 배열들을 쉽게 구현해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건물관리시스템 110 : 제어부
120 : 수신부 130 : 송신부
140 : 센서 150 : 메모리
160 : 표시부 170 : 경보부
200 : 관제센터 300 : 단말기

Claims (8)

  1. 건물 내부에 설비가 설치된 장소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높이가 서로 다르게 1단 및 2단으로 구성된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위에 따라 물의 흐름을 분석하여 그 이동 경로상에 위치한 설비들의 가동을 중단시키거나 유지시키는 제어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시스템은 1단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감지된 침수 수위가 침수 예고 수위일 경우 1차 경고를 발생하고, 1단의 위치를 넘어서면 2단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지속적으로 수위를 감지하면서 그 감지된 수위정보로부터 제어부의 불능상태까지 남은 시간을 예측하여 관리자에게 일정시간마다 경고하며, 설비 가동을 중단시켜야 할 수위일 경우 2차 경고를 발생하여 관리중인 설비의 가동을 중단하고 제어부의 전원도 차단하며,
    상기 설비가 설치된 장소의 수위 판단은 물의 흐름을 적용하여 수행하되, 제1 설비가 위치한 장소로부터 제2 설비가 위치한 장소를 인접하여 물이 흐르는 경우, 물이 상기 제1 설비에 인접하여 흐르는 것으로 분석하여 상기 제1 설비를 위한 1차 경고를 하고, 상기 제1 설비로부터 제2 설비로 물이 빠져나감이 판단되면 상기 제1 설비에 대해 발생되었던 1차 경고를 해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설비들이 설치된 장소들의 수위가 비슷하지만, 실시간 센서 감지에 의해 일부 장소의 수위가 낮아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물이 제1 설비 및 인접한 제2 설비를 거쳐서 제3 설비에 근접하여 흐를 경우, 배수로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요소가 근접장소에 있다고 가정하고 상기 제3 설비에 대하여 관리자에게 1차 경고를 하고,
    상기 제1 설비 및 제2 설비로부터는 물이 빠져나가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설비 및 제2 설비에 대하여 발생한 1차 경고는 해지하는 것;
    상기 1차 경고와 2차 경고 사이에 2차 경고 예상 시간을 예측하여 제어부의 통제 불능시간까지 남은 시간을 관리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설비의 가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
    상기 1차 경고와 2차 경고 사이에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침수 경보 해제시간까지 남은 시간을 관리자에게 전달함으로써 1차 침수 이후 재정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경고는 수위가 10cm 일 경우 발생하고, 2차 경고는 수위가 80cm일 때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
  4. 삭제
  5. 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위에 따라 물의 흐름을 분석하여 그 이동 경로상에 위치한 설비들의 가동을 중단시키거나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1단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감지된 침수 수위가 침수 예고 수위일 경우 1차 경고를 발생하고, 1단의 위치를 넘어서면 2단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지속적으로 수위를 감지하면서 그 감지된 수위정보로부터 제어부의 불능상태까지 남은 시간을 예측하여 관리자에게 일정시간마다 경고하며, 설비 가동을 중단시켜야 할 수위일 경우 2차 경고를 발생하여 관리중인 설비의 가동을 중단하고 제어부의 전원도 차단하며,
    상기 설비가 설치된 장소의 수위 판단은 물의 흐름을 적용하여 수행하되, 제1 설비가 위치한 장소로부터 제2 설비가 위치한 장소를 인접하여 물이 흐르는 경우, 물이 상기 제1 설비에 인접하여 흐르는 것으로 분석하여 상기 제1 설비를 위한 1차 경고를 하고, 상기 제1 설비로부터 제2 설비로 물이 빠져나감이 판단되면 상기 제1 설비에 대해 발생되었던 1차 경고를 해지하며,
    상기 설비들이 설치된 장소들의 수위가 비슷하지만, 실시간 센서 감지에 의해 일부 장소의 수위가 낮아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물이 제1 설비 및 제2 설비를 거쳐서 제3 설비에 근접하여 흐를 경우, 배수로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요소가 근접장소에 있다고 가정하고 제3 설비에 대하여 관리자에게 1차 경고를 하고,
    제1 설비 및 제2 설비로부터는 물이 빠져나가는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설비 및 제2 설비에 대하여 발생한 1차 경고는 해지하는 제어부:
    상기 1차 경고와 2차 경고 사이에 2차 경고 예상 시간을 예측하여 제어부의 통제 불능시간까지 남은 시간을 관리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설비의 가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
    상기 1차 경고와 2차 경고 사이에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침수 경보 해제시간까지 남은 시간을 관리자에게 전달함으로써 1차 침수 이후 재정비하도록 하는 것;
    관제센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특정 설비 가동 중단을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건물 및 그 건물의 침수 관련 정보를 관제센터로 송신하는 송신부;
    건물의 침수 여부를 판단하도록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
    제어부에서 판단된 수위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제어부에서 판단된 수위의 수준에 따라 다단계로 경보를 발생하되, 침수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소정시간 간격으로 침수 예고단계인 1단계 및 침수 발생단계인 2단계로 구분되어 각각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높이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단으로 설치되어, 가장 낮은 단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수위가 먼저 감지되면, 이 감지신호가 처리되어 침수의 가능성이 있음을 알리도록 1차 경고하고, 높은 단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수위가 감지되면, 이 감지신호가 처리되어 침수가 확실함을 알리도록 2차 경고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설비의 가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24079A 2017-09-26 2017-09-26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 KR101860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079A KR101860872B1 (ko) 2017-09-26 2017-09-26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079A KR101860872B1 (ko) 2017-09-26 2017-09-26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872B1 true KR101860872B1 (ko) 2018-05-28

Family

ID=6245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079A KR101860872B1 (ko) 2017-09-26 2017-09-26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8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92975A (zh) * 2021-08-13 2021-12-14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水工程联合调度防洪减灾效益评估方法
KR102524788B1 (ko) * 2022-12-22 2023-04-26 주식회사 에이이 차수판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CN116580536A (zh) * 2023-05-17 2023-08-11 广东省地质建设工程勘察院 一种用于建筑物地下结构抗浮水位的预警方法及装置
KR102600127B1 (ko) * 2023-03-29 2023-11-07 김현일 침수감지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4524A (ja) * 2001-06-28 2003-01-15 Showa Kiki Kogyo Co Ltd 水位監視装置
KR101673768B1 (ko) * 2015-05-11 2016-11-07 김면갑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4524A (ja) * 2001-06-28 2003-01-15 Showa Kiki Kogyo Co Ltd 水位監視装置
KR101673768B1 (ko) * 2015-05-11 2016-11-07 김면갑 침수 감지 경보기 및 경보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92975A (zh) * 2021-08-13 2021-12-14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水工程联合调度防洪减灾效益评估方法
CN113792975B (zh) * 2021-08-13 2023-09-12 长江勘测规划设计研究有限责任公司 水工程联合调度防洪减灾效益评估方法
KR102524788B1 (ko) * 2022-12-22 2023-04-26 주식회사 에이이 차수판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600127B1 (ko) * 2023-03-29 2023-11-07 김현일 침수감지 시스템
CN116580536A (zh) * 2023-05-17 2023-08-11 广东省地质建设工程勘察院 一种用于建筑物地下结构抗浮水位的预警方法及装置
CN116580536B (zh) * 2023-05-17 2024-01-30 广东省地质建设工程勘察院 一种用于建筑物地下结构抗浮水位的预警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872B1 (ko) 건물 침수 재난 예방시스템
US111641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process safety in an industrial environment
KR101712563B1 (ko) 시설물 안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10337B1 (ko) 홍수 예경보 서버, 홍수 예경보 방법 및 홍수 예경보 수신 방법
JP6082597B2 (ja) 損傷状況報知システム及び地震防災システム
KR102053619B1 (ko) 산업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
Subramaniam et al. Flood level indicator and risk warning system for remote location monitoring using Flood Observatory System
CN112185050B (zh) 安全等级确认方法、装置和消防系统
CN109686025A (zh) 消防救援引导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N109564423B (zh) 监测和控制工业过程的方法以及过程控制系统
KR101775489B1 (ko) 소방 전원공급장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977582B1 (ko) 유해화학물질의 수환경 유출방지 및 모니터링을 위한 수환경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KR101622891B1 (ko) 조기경보 알림용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JP2009281924A (ja) 地盤崩壊予測警報システム及び地盤崩壊予測警報方法
EP3149721A1 (en) Crowdsourcing and active learning to support evacuation of a building
EP2592606A1 (en) Building alarm system with occupants evavuation method
JP6455356B2 (ja) エレベータ監視システム
WO2017051574A1 (ja) 異常予兆監視システム
KR101879943B1 (ko) 터널 교통안전방재 통합관리 장치 및 방법
CN116310521A (zh) 异常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及系统
CN114564859A (zh) 基于智能设备控制的地震预警系统
KR20190078671A (ko) 물리적 재해발생 예방을 위한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기반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KR20180070024A (ko) 맨홀 침수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CN110675604A (zh) 安全生产智能预警系统及方法
JP6491827B2 (ja) 構造物検証システム、構造物検証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