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122B1 - 오일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오일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122B1
KR101860122B1 KR1020170003645A KR20170003645A KR101860122B1 KR 101860122 B1 KR101860122 B1 KR 101860122B1 KR 1020170003645 A KR1020170003645 A KR 1020170003645A KR 20170003645 A KR20170003645 A KR 20170003645A KR 101860122 B1 KR101860122 B1 KR 101860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llecting
fluid
chamb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영
김종인
Original Assignee
(주)거도
김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도, 김윤영 filed Critical (주)거도
Priority to KR1020170003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5Separating means for recovering oil floating on a surface of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에는 물과 오일이 혼합된 유체가 유입될 수 있게 개방된 유입부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게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하측에는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배출부가 형성된 집유부와; 집유부를 부상시키기 위한 복수의 부구를 포함하는 보조부력부;를 구비하고, 집유부의 유입부에는 유입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깊이 절개되고, 유입부를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노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집유부의 높이 조절 및 노치부의 개폐 면적을 조정함으로써 오일에 오염된 물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뿐 아니라 동시에 오염된 물로부터 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해 낼 수 있으며, 집유부의 바닥이 중앙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번 유입된 오일이 배출부로 용이하게 흘러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오일회수장치{Oil retriev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오일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면에 부상한 상태로 수면에 부유하는 오일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오일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일이 누출되면 환경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오일이 확산되기 전에 신속하게 제거해야 한다. 특히, 오일이 강, 호수 또는 바다와 같은 수중으로 유입될 경우 확산속도가 빨라지므로 오일을 신속하게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수중에 확산된 오일을 제거해야 하기 위해 물과 오일의 비중 차이를 이용한 오일 제거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종래의 오일 제거장치의 일 예로, 국내 등록특허 제10-0777324호에는 수면 부상식 스키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수면 부상식 스키머는 하부에 형성된 물유입부를 통하여 오일과 물의 혼합물이 유입되고 일 측에 배출부가 형성되어 여과기로 물을 배출하는 집수통, 집수통의 내부로 유입되는 혼합물의 수위에 연동되어 상승 및 하강하며 하부에 물유입부를 개폐하는 패킹장치가 형성된 볼탑, 자체의 부력으로 집수통을 수중의 특정한 위치에 부유시키는 복수의 부위 및 복수의 부위를 집수통에 고정시키는 부위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수면 부상식 스키머는 볼탑의 승강에 의해 패킹장치가 물유입부를 펌핑하여 물이 집수통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물이 배출부를 통해 여과기로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면 부상식 스키머는 오염된 물과 오일의 혼합물이 집수통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므로 혼합물 중 제거해야 하는 오일의 비율이 낮아 오일 제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20-2000-0011528 U KR 10-2001-0019491 A KR 10-1321389 B1 KR 10-0777324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집유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오일에 오염된 물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뿐 아니라 동시에 오염된 물로부터 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해 낼 수 있는 오일회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집유부의 바닥이 중앙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번 유입된 오일이 배출부로 용이하게 흘러갈 수 있는 오일회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상측에는 물과 오일이 혼합된 유체가 유입될 수 있게 개방된 유입부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게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하측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배출부가 형성되고, 부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집유부와; 상기 집유부에는 상기 유입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깊이 절개되고, 상기 유입부를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노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상기 노치홈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집유부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유량조절부는 상기 집유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커버와, 일 측이 상기 슬라이딩커버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집유부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커버를 상기 집유부를 따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상기 집유부에 부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집유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부구를 포함하는 보조부력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상기 보조부력부에 대해 상기 집유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집유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고정프레임과, 일 측이 상기 부구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고정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상기 이동프레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상기 집유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보조 부구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상기 집유부 또는 상기 보조부력부에 상기 집유부의 수평을 조정하기 위한 수평조정부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상기 배출부의 단부에 일 단이 결합되고,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저장탱크로 이송하기 위한 배수관에 타 단이 결합되며, 상기 배수관에 대해 상기 배출부를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승강지지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물과 오일이 혼합된 유체를 수용 및 상기 집유부가 투입되는 메인챔버와; 상기 배출부의 단부에 일 단이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메인챔버에 고정되어 상기 배출부를 직립된 상태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내부에는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게 유로가 형성된 승강지지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물과 오일이 혼합된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메인챔버와; 상기 메인챔버의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서브챔버와; 상기 서브챔버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집유부의 배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부를 직립된 상태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내부에는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가 상기 서브챔버 내부로 이동할 수 있게 유로가 형성된 지지파이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상기 서브챔버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메인챔버 외부로 연장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서브챔버 내부의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펌프;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물과 오일이 혼합된 유체가 투입 및 수용되는 메인챔버와; 상기 집유부의 배출부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메인챔버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집유부를 통해 분리된 유체를 이송하는 오일이송관과; 상기 오일이송관에 의해 이송된 유체가 투입되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투입된 유체를 비중 차에 의해 물과 오일로 각각 분리하여 배출하는 서브챔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물과 오일이 혼합된 유체가 투입 및 수용되는 메인챔버와; 상기 메인챔버에 투입 및 수용된 유체에서 오일을 1차 분리하기 위한 상기 집유부가 배치되는 제1챔버와, 상기 집유부에 의해 분리된 오일을 제1챔버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제2챔버로 각각 구획하도록 상기 메인챔버 내부에 설치되는 구획벽과; 상기 집유부의 배출부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구획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2챔버 측으로 연장된 오일이송관과; 상기 제2챔버내에 설치되고, 상기 집유부를 통해 분리된 유체가 투입되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투입된 유체를 비중 차에 의해 물과 오일로 각각 분리하여 배출하는 서브챔버와; 상기 서브챔버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펌핑하여 상기 메인챔버의 제1챔버로 공급하는 환수부와; 상기 제2챔버의 수위가 설정된 기준수위에 도달시 상기 환수부를 작동시키는 구동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집유부의 높이 조절 및 노치부의 개폐 면적을 조정함으로써 오일에 오염된 물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뿐 아니라 동시에 오염된 물로부터 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해 낼 수 있으며, 집유부의 바닥이 중앙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번 유입된 오일이 배출부로 용이하게 흘러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회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일회수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유량조절부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일회수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오일회수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오일회수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일회수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집유부(10)와, 보조부력부(20)와, 유량조절부(30)와, 높이조절부(40)와, 승강지지부(50)를 구비한다.
상기 집유부(10)는 상측에 물과 오일이 혼합된 유체가 유입될 수 있게 개방된 유입부(11)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유입부(11)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게 수용공간(12)이 형성되며, 하측에는 수용공간(12)으로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파이프 형상의 배출부(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유부(10)는 유체 상에서 부유 및 부상할 수 있도록 부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집유부(10)는 상부가 내측에 수용공간(12)이 형성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원뿔이나 깔때기, 삼각 플라스크 등과 같이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된 구조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집유부(10)는 상측 유입부(11)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깊이 절개 형성되고, 유입부(11)를 따라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노치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치홈(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고, 이와 다르게 사각 형상 또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유입부(11)에 노치홈(13)이 형성된 집유부(10)는 유입부(11)의 상단 높이를 강이나 바다의 수위에 동일하게 맞추지 않고 약간 낮게 위치시키더라도 노치홈(13)을 통해 소량의 물과 오일을 지속적으로 집유부(1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어 오일 회수 효율이 좋고, 집유부(10)의 유입부(11) 상단 높이를 강이나 호수, 바다 등의 설치대상지역의 수위에 거의 동등하게 맞추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 및 관리가 편하며, 파랑이나 물결에 의해 대량의 물이 유입부(11)의 상단을 월류(overflow)하여 집유부(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부(15)의 외주면 일부분에는 후술하는 유량조절부(3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승강지지부(50)에 의해 배수관(17)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보조부력부(20)는 집유부(10)가 유체 위에서 부상 또는 부유할 수 있게 보조적으로 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일정 부력을 가지며 집유부(10)의 가장자리 측에 집유부(10)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부구(21)를 포함한다. 복수의 부구(21)는 각각 후술하는 높이조절부(40)에 의해 집유부(10)에 연결된다.
상기 보조부력부(20)의 부구(21)는 내부에 공기가 충전될 수 있게 내부에 충전공간이 형성된 부이 또는 내부에 발포체가 충전 또는 발포체 자체로 형성된 부이를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공기나 물을 넣거나 빼냄으로써 자체의 부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내부에 충전공간이 형성된 부이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부력부(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유부(10)의 부력을 높이면서 집유부(10) 내부의 수위 유지를 위해 집유부(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보조 부구(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부구(25)는 집유부(10)와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연결링크(26)에 의해 집유부(10) 내측에 집유부(10)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보조 부구(25) 또한 앞서 설명한 복수의 부구(21)와 같이 내측에 물이나 공기를 충진하여 부력을 조정할 수 있게 내부에 충전공간이 형성된 부이(buoy)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상기의 보조부력부(20)를 생략하고, 집유부(10) 자체를 부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수상에 부유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집유부(10)는 물과 비중이 거의 동등하거나 약간 작은 소재 일 예로, PE와 같은 소재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량조절부(30)는 상기 노치홈(13)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집유부(10)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집유부(1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집유부(1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슬라이딩커버(31)와, 일 측이 슬라이딩커버(31)에 결합되고 타 측은 집유부(1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커버(31)를 집유부(10)를 따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부(35)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커버(31)는 집유부(10)를 따라 이동시 집유부(1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하며, 유입부(11)에 형성된 노치홈(13)의 위치와 엇갈린 위치에는 집유부(10)의 상측으로 이동시 집유부(10)의 형상과 대응되게 벌어지면서 이동할 할 수 있게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절개부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부(35)는 집유부(10)의 배출부(15)에 구비된 나사결합부에 나사결합 가능하게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배출부(15)에 대해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회전시 배출부(15)를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단에는 슬라이딩커버(31)의 하단을 구속되게 결합시키는 구속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부(35)는 배출부(15)에 대해 일 측 방향(일 예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배출부(15)를 따라 상승하면서 구속홈부에 구속된 슬라이딩커버(31)의 하단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며, 이를 통해 슬라이딩커버(31)를 집유부(10)의 외주면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승강부(35)는 배출부(15)에 대해 타 측 방향(일 예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배출부(15)를 따라 하강하면서 구속홈부에 구속된 슬라이딩커버(31)의 하단을 하방으로 끌어내리며, 이를 통해 슬라이딩커버(31)를 집유부(10)의 외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승강부(35)의 동작에 따라 슬라이딩커버(31)가 집유부(10)를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며, 이때 슬라이딩커버(31)에 의해 집유부(10)에 형성된 노치홈(13)의 개방된 부분을 원하는 만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40)는 상기 보조부력부(20)에 대해 상기 집유부(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집유부(10)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방사상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제1고정프레임(41)와, 제1고정프레임(41)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고정프레임(43)와, 일 측이 부구(21)에 고정되고 타 측은 제2고정프레임(43)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프레임(45) 및 제2고정프레임(43)에 대해 이동프레임(45)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47)를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프레임(43)에는 이동프레임(45)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42)이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제2고정프레임(4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프레임(45)에는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폭 방향 양측으로 각각 소정길이 돌출되어 안내레일(42) 내부로 삽입되는 삽입돌기부(4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고정프레임(43)과 이동프레임(45)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구멍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체결구멍에는 제2고정프레임(43)에 대해 이동프레임(45)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가 체결구멍을 관통하도록 설치 및 고정볼트의 단부에 고정너트가 체결됨으로써 제2고정프레임(43)에 이동프레임(45)이 고정된다.
상기 승강지지부(50)는 배수관(17)에 대해 배출부(15)를 유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배출부(15)의 단부에 일 단이 결합되고, 배출부(15)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오일+물)를 저장탱크(미도시)로 이송하기 위한 배수관(17)에 타 단이 결합된다. 상기 승강지지부(5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배출부(15)의 단부에 결합되는 상단측에는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된 제1단턱부(51)가 형성되며, 배수관(17)의 단부에 결합되는 하단측에는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된 제2단턱부(52)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지지부(50)는 배수관(17)이 물결이나 파랑 또는 배수관(17)에 연결되는 모터의 흡입작용에 의해 배출부(15)에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이 작용할 때, 배출부(15) 및 집유부(10) 전체가 상하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승강지지부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배출부의 단부 측이 내측으로 인입되고, 배출부가 직립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배출부를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지지부는 배출부를 삽입 및 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파이프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은 배출부 및 집유부가 좌우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설정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집유부(10) 또는 보조부력부(20)에 집유부(10)의 수평을 조정하기 위한 수평조정부(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수평조정부(60)는 집유부(10)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집유부(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로드(61)와, 상기 로드(61)가 통과할 수 있게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웨이트링(62)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수평조정부(60)는 보조부력부(20)의 부력차에 의해 집유부(10)가 일 측으로 기울어질 때, 기울어진 측과 대향되는 측에 설치된 로드(61)에 웨이트링(62)을 추가함으로써 집유부(10)의 수평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정부(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집유부(10)에 설치한 것을 적용하였으나, 보조부력부(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집유부(10)와 보조부력부(20)에 모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유부(10)의 상부를 일정부분 폐쇄하도록 집유부(10)의 가장자리 측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보조 부구(25) 또는 흡입유도부(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부구(25) 또는 흡입유도부는 집유부(10)와의 사이에 간격이 좁은 통로나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흡입펌프(120)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집유부(10) 외측으로부터 집유부(10) 내측으로 공기가 이동할 때, 이 공기의 흐름에 의해 집유부(10) 가장자리 측의 유체 즉, 오일이 집유부(10) 내측으로 용이하게 흡입 및 유입되도록 한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일회수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집유부(10) 및 보조부력부(20)와, 메인챔버(70)와, 베이스플레이트(80)와, 서브챔버(90)와, 지지파이프(100)와, 배출관(110)과, 흡입펌프(120)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챔버(70)는 앞서 설명한 물과 오일이 혼합된 유체를 수용 및 유체로부터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집유부(10)가 유체 상에 부상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80)는 메인챔버(70)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서브챔버(90) 및 지지파이프(100)를 통해 집유부(10)가 유체의 유동에 따라 메인챔버(70) 내에서 유도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80)는 유체에 투입할 시 메인챔버(70)의 바닥으로 자체적으로 가라앉을 수 있게 물보다 비중이 높은 금속재로 형성할 수 있으며, 메인챔버(70)를 자성체로 형성하는 경우, 메인챔버(70)에 대해 베이스플레이트(80)를 구속시킬 수 있게 베이스플레이트(80)의 저면에 영구자석(81)을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서브챔버(90)는 베이스플레이트(80) 상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는 집유부(10)에서 분리된 오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서브챔버(90)에는 상부로 연장되고, 집유부(10)의 배출부(15)가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 및 결합되어 집유부(10)를 배출되는 오일을 서브챔버(90)로 이동시키기 위한 지지파이프(10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파이프(100)는 서브챔버(90)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집유부(10)가 수직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챔버(90)의 일 측에는 메인챔버(70) 외부로 연장된 배출관(110)이 설치되며, 배출관(110)의 단부에는 서브챔버(90) 내부에 수용된 오일을 강제로 흡입하여 메인챔버(70)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흡입펌프(120)가 구비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상술한 베이스플레이트(80)와, 서브챔버(90)와, 지지파이프(100), 배출관(110)과, 흡입펌프(120)가 생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메인챔버(70)는 물과 오일이 혼합된 유체를 수용 및 집유부(10)가 투입되게 형성되고, 집유부(10)의 하단 즉, 배출부(15)에는 승강지지부가 결합된다. 상기 승강지지부는 배출부(10)의 단부에 일 단이 결합되고, 타 단은 메인챔버(70) 외부로 연장 및 메인챔버(70)에 고정되어 배출부(15)를 직립된 상태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내부에는 배출부(15)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가 통과 및 배출부(15)가 내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유로가 형성된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일회수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집유부(10) 및 보조부력부(20)와, 메인챔버(70)와, 구획벽(75)과, 오일이송관(76)과, 서브챔버(90)와, 환수부(140)와, 구동제어부(150) 및 수위감지부(160)를 구비한다.
상기 집유부(10) 및 보조부력부(2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성 및 구조를 적용하였으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메인챔버(70)는 물과 오일이 혼합된 유체가 투입 및 수용되게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폐쇄 형성된다.
상기 메인챔버(70)는 내부에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구획벽(75)에 의해 메인챔버(70)에 투입 및 수용된 유체에서 오일을 1차 분리하기 위한 집유부(10)가 배치되는 제1챔버(71)와, 집유부(10)에 의해 분리된 오일을 제1챔버(71)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제2챔버(72)로 각각 구획된다. 상기 구획벽(75)은 제1챔버(71)의 공간과 제2챔버(72)의 공간이 격리될 수 있게 하단이 메인챔버(70)의 바닥까지 연장된다.
상기 오일이송관(76)은 집유부(10)의 하단에 마련된 배출부(15)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구획벽(75)을 관통하여 제2챔버(72) 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오일이송관(76)은 제1챔버(71) 내의 수위에 따라 집유부(10)를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구획벽(75)에 고정되는 고정파이프와, 집유부(10)의 배출부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파이프(100)를 포함한다. 고정파이프의 단부는 제2챔버(72) 측으로 돌출되게 연장된다.
상기 서브챔버(90)는 제2챔버(72)내에 설치되고, 집유부(10)를 통해 분리된 유체(제1챔버(71)에서 집유부(10)에 의해 1차 분리된 오일)가 투입되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투입된 유체를 비중 차에 의해 물과 오일로 각각 분리하여 배출한다. 서브챔버(9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하단이 서브챔버(9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단은 서브챔버(90)의 개방된 상부와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는 분리벽(95)이 설치된다.
그리고 서브챔버(90)에는 분리벽(95)을 기준으로 일 측에는 오일을 배출시키기 위한 오일배출구(91)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제2챔버(72) 내부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배출구(92)가 형성된다. 오일이송관(76)을 통해 서브챔버(90)내부로 유입되는 1차 분리된 오일은 서브챔버(90) 내의 수위가 분리벽(95)의 하단보다 높아지는 시점에서부터 분리벽(95)을 넘어갈 수 없게 되며, 수위가 높아지면 오일배출구(9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환수부(140)는 서브챔버(90)로부터 메인챔버(70)의 제2챔버(72)로 배출되는 물을 펌핑하여 메인챔버(70)의 제1챔버(71)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펌핑부(141)와, 펌핑부(141)의 일 측에 연결되어 제2챔버(72)내에 수용되는 물을 흡입하는 흡입관(142), 펌핑부(141)의 타 측에 연결되어 흡입관(142)을 통해 흡입된 물을 제2챔버(72)로 공급하는 공급관(143)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제어부(150)는 제2챔버(72)의 수위가 설정된 기준수위에 도달시 환수부(14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제2챔버(72)의 수위가 설정된 기준수위에 도달하면 제2챔버(72) 내부에 설치된 수위감지부(160)로부터 수위감지정보를 받아 펌핑부(141)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오일회수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집유부
11 : 유입부
12 : 수용공간
13 : 노치홈
20 : 보조부력부
21 : 부구
30 : 유량조절부
31 : 슬라이딩커버
35 : 승강부
40 : 높이조절부
41 : 제1고정프레임
43 : 제2고정프레임
45 : 이동프레임
50 : 승강지지부
51 : 제1단턱부
52 : 제2단턱부

Claims (13)

  1. 상측에는 물과 오일이 혼합된 유체가 유입될 수 있게 개방된 유입부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게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하측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배출부가 형성되고, 부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집유부와;
    상기 집유부의 상부를 일정부분 폐쇄하도록 상기 집유부의 가장자리 측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흡입펌프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상기 집유부 외측으로부터 상기 집유부 내측으로 공기가 이동할 때,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기 집유부 가장자리 측의 오일이 상기 집유부 내측으로 흡입 및 유입되게 하는 흡입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집유부에는 상기 유입부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깊이 절개되고, 상기 유입부를 따라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노치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홈을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집유부에 설치되는 유량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부는 상기 집유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커버와, 일 측이 상기 슬라이딩커버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집유부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커버를 상기 집유부를 따라 승강 이동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유부에 부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집유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부구를 포함하는 보조부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력부에 대해 상기 집유부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집유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고정프레임과, 일 측이 상기 부구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고정프레임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프레임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해 상기 이동프레임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유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보조 부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유부에는 상기 집유부의 수평을 조정하기 위한 수평조정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단부에 일 단이 결합되고,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저장탱크로 이송하기 위한 배수관에 타 단이 결합되며, 상기 배수관에 대해 상기 배출부를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승강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물과 오일이 혼합된 유체를 수용 및 상기 집유부가 투입되는 메인챔버와;
    상기 배출부의 단부에 일 단이 결합되고, 타 단은 상기 메인챔버에 고정되어 상기 배출부를 직립된 상태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내부에는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게 유로가 형성된 승강지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물과 오일이 혼합된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메인챔버와;
    상기 메인챔버의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서브챔버와;
    상기 서브챔버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단은 상기 집유부의 배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부를 직립된 상태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내부에는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가 상기 서브챔버 내부로 이동할 수 있게 유로가 형성된 지지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챔버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메인챔버 외부로 연장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서브챔버 내부의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펌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물과 오일이 혼합된 유체가 투입 및 수용되는 메인챔버와;
    상기 집유부의 배출부에 일 단이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메인챔버 외부로 연장되며, 상기 집유부를 통해 분리된 유체를 이송하는 오일이송관과;
    상기 오일이송관에 의해 이송된 유체가 투입되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투입된 유체를 비중 차에 의해 물과 오일로 각각 분리하여 배출하는 서브챔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회수장치.
KR1020170003645A 2017-01-10 2017-01-10 오일회수장치 KR101860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645A KR101860122B1 (ko) 2017-01-10 2017-01-10 오일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645A KR101860122B1 (ko) 2017-01-10 2017-01-10 오일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122B1 true KR101860122B1 (ko) 2018-05-21

Family

ID=62453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645A KR101860122B1 (ko) 2017-01-10 2017-01-10 오일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1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4486A (ja) * 2001-03-21 2002-09-25 Hokkaido Regional Development Bureau フロート搭載型渦流式油回収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4486A (ja) * 2001-03-21 2002-09-25 Hokkaido Regional Development Bureau フロート搭載型渦流式油回収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786B1 (ko) 해양 유출 기름 분리 회수 장치
KR101202889B1 (ko) 오일스키머
CN211445149U (zh) 一种市政水利工程用水面浮油抽取装置
KR101098650B1 (ko) 유수분리장치
CN111494993A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环形多级沉降池
KR20180137284A (ko) 부유물 제거장치
KR101860122B1 (ko) 오일회수장치
PT1815900E (pt) Aparelho de separação e método
KR20090058159A (ko) 부유물 흡입기
EP1869327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raising a liquid
CN215480344U (zh) 一种高cod盐水mvr蒸发系统自动排油装置
KR101321389B1 (ko) 부유식 오일 방제장치
KR20010019491A (ko) 수면에 유출된 기름 수거장치
JP2019187318A (ja) 藻類培養装置
AU2007215163B2 (en) Air activated decanter
KR100599992B1 (ko) 수문부상형 유수분리시스템
MX2007002949A (es) Descantador activado por aire.
CN112854156A (zh) 水面浮油自动化无人船舶收集系统及收集浮油的方法
US7357860B1 (en) Skimmer system
CN220694158U (zh) 一种便于排走悬浮物的鱼缸
JP2003039066A (ja) 浮上油回収装置
CN213698909U (zh) 一种高效气泡除油装置
US11478729B2 (en) Sepa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180043286A1 (en) Method for draining water from a tank
CN109761247B (zh) 一种隔离式盐湖卤水蒸发池及其运营模式选择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