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108B1 -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108B1
KR101860108B1 KR1020170089453A KR20170089453A KR101860108B1 KR 101860108 B1 KR101860108 B1 KR 101860108B1 KR 1020170089453 A KR1020170089453 A KR 1020170089453A KR 20170089453 A KR20170089453 A KR 20170089453A KR 101860108 B1 KR101860108 B1 KR 101860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cylinder
vacuum glass
conveyor
pressing
molte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두호
Original Assignee
(주)원일유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일유압 filed Critical (주)원일유압
Priority to KR102017008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5/00Melting in furnaces; Furnaces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glass manufacture
    • C03B5/16Special features of the melting process; Auxilia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lass-melting furnaces
    • C03B5/235Heating the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3/00Rolling molten glass, i.e. where the molten glass is shaped by rolling
    • C03B13/16Construction of the glass ro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7/00Distributors for the molten glass; Means for taking-off charges of molten glass; Producing the gob, e.g. controlling the gob shape, weight or delivery ta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크류실린더의 상부에 설치되고, 작은 덩어리 형태의 펠릿을 용융하여 스크류실린더로 공급하는 용융호퍼;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용융된 재료를 이송하여 컨베이어로 낙하하는 스크류실린더; 스크류실린더의 선단에 설치되고, 스크류실린더에서 토출되는 용융된 재료를 가압하여 토출압력 및 토출량을 조절하고 용융된 재료에 포함된 가스를 제거하는 가압유니트; 스크류실린더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고, 스크류실린더의 토출가이드에서 낙하하는 용융된 재료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한 쌍의 유리를 접착하는 데에 사용되는 얇고 기다란 막대 형태의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되므로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의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DHESION FRIT BAR OF VACUUM GLASS }
본 발명은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작은 덩어리 형태의 펠릿 재료를 용해하여 얇은 막대형의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를 성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진공유리는 2장의 유리 사이에 진공층을 형성하여 전도, 대류에 의한 열전달 및 소리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고성능 유리를 말한다.
상기 진공유리는 상부 유리판과 하부 유리판 사이에 다수의 스페이서가 설치되고, 플릿 실링부재(Frit Seal)로 상부 유리판과 하부 유리판을 접합한 형태를 가진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고진공을 갖는 진공유리패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고진공을 갖는 진공유리패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은 진공유리패널의 제조 시 상,하부유리판에 배기홀을 형성하지 않아도 각 유리판 사이를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는 진공유리패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진공유리패널 제조장치는 배기홀이 형성되지 않는 상부유리판과, 가장자리에 프릿 실링부재가 도포된 배기홀이 형성되지 않는 하부유리판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내부에 배치되는 진공 챔버와, 프릿 실링부재를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가열장치에 의한 프릿 실링부재의 가열 후 배기홀이 형성되지 않는 상부유리판을 배기홀이 형성되지 않는 하부유리판 측으로 하강시켜 가압하게 하는 수직 이동장치와, 가열장치에 의해 프릿 실링부재를 가열 시 발생되는 아웃가스의 소진된 후 수직 이동장치를 작동시키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진공유리패널 제조방법은 배기홀이 형성되지 않는 상부유리판과, 배기홀이 형성되지 않는 하부유리판을 상호 이격된 상태로 진공 챔버의 내부에 배치하는 제1단계와, 배기홀이 형성되지 않는 하부유리판의 프릿 실링부재를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제2단계와, 제어부를 통해 프릿 실링부재의 가열 후 설정시간에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제3단계에서 설정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면 배기홀이 형성되지 않는 상부유리판을 배기홀이 형성되지 않는 하부유리판 측으로 하강시켜 가압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지속적으로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밀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진공유리용 친환경 실링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진공유리용 친환경 실링재는 중량%로, P2O5 : 17~23%, V2O5 : 45~55%, Sb2O3 : 15~20%, Fe2O3 : 4~8%를 포함하고, BaO, Al2O3, Na2O, TiO2, ZrO2 및 CuO 중에서 1종 이상의 합계로 6%이하를 포함하며, PbO 및 Bi2O3를 의도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에서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는 특허문헌 1, 2의 프릿 실링부재와 같이 한 쌍의 유리를 접착하는 데에 사용되는 막대형 부재를 말한다.
상기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는 분말상의 원재료를 녹여서 일정크기를 가지는 덩어리 형태의 펠릿(Pellet)을 만들고, 다시 덩어리 형태의 펠릿을 녹여서 일정 폭과 두께를 가지는 막대 형태의 플릿바로 성형한 다음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는 방법으로 제작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8043호 (2014년 03월 19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29668호 (2017년 04월 18일 등록)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는 덩어리 형태의 펠릿을 용해하는 구조나 용해된 원료를 얇고 기다란 형태로 성형하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소요부품이 많아 제작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는 용해된 재료에 포함된 가스를 제거하기가 어렵게 되고, 그에 따라 완성된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에 가스가 포함되고, 한 쌍의 유리 사이에 설치된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가 다시 용해되는 과정에서 그에 포함된 가스가 진공유리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어 진공유리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한 쌍의 진공유리를 견고하게 접착하는 데에 사용되는 얇고 긴 막대 형태의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다른 목적이 용해된 재료에 포함된 가스를 제거하여 고품질의 진공유리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는 스크류실린더의 상부에 설치되고, 작은 덩어리 형태의 펠릿을 용융하여 스크류실린더로 공급하는 용융호퍼;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용융된 재료를 이송하여 컨베이어로 낙하하는 스크류실린더; 스크류실린더의 선단에 설치되고, 스크류실린더에서 토출되는 용융된 재료를 가압하여 토출압력 및 토출량을 조절하고 용융된 재료에 포함된 가스를 제거하는 가압유니트; 스크류실린더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고, 스크류실린더의 토출가이드에서 낙하하는 용융된 재료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는 스크류실린더의 일측에 설치되고, 컨베이어에서 이동되는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를 압축하여 납작하게 만드는 압축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는 용융호퍼가 용융부의 하부에 주입부가 마련된 형태로, 용융부의 외부 및 주입부의 외부 둘레에 재료를 용융할 수 있도록 하는 전열히터가 설치되고, 용융부의 내부 중앙에 카트리지히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에서 스크류실린더는 용융호퍼가 접속되는 실린더튜브; 실린더튜브의 내부에 용융된 재료를 토출헤드 쪽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 실린더튜브의 선단에 설치되고, 용융된 재료를 토출가이드로 토출하는 토출헤드; 토출헤드의 선단에 설치되고, 용융된 재료가 컨베이어로 낙하하도록 하는 토출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는 실린더튜브의 상단 후방에 가스배출구멍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에서 가압유니트는 토출가이드에 삽입 결합되는 이송가이드; 이송가이드에 좌우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봉; 가압봉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압봉을 가압하는 가압부재; 가압부재와 이격되고, 다수의 체결볼트를 통해 토출가이드에 고정 설치되는 조절부재; 조절부재와 가압부재의 사이에 설치되 스프링케이스; 스프링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는 가압유니트의 스프링케이스는 원통형으로, 외주에 다수의 방열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에서 압축유니트는 스크류실린더의 토출가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레버; 지지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브라켓트; 롤러브라켓트의 스크류실린더 쪽에 설치되고, 컨베이어에 착지되는 제1압축롤러; 롤러브라켓트의 스크류실린더 반대쪽에 설치되고, 컨베이어에 착지되는 제2압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는 제1압축롤러의 외주 중앙부 및 제2압축롤러의 외주 중앙부에 컨베이어로 낙하한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를 눌러주는 압축홈이 마련되고, 제1압축롤러의 압축홈의 깊이가 제2압축롤러의 압축홈의 깊이보다 크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에 의하면, 한 쌍의 유리를 접착하는 데에 사용되는 얇고 기다란 막대 형태의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되므로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의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에 의하면, 덩어리 형태의 펠릿을 용해하는 과정 및 용해된 재료를 컨베이어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가스를 제거할 수 있게 되므로 고품질의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를 제조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진공유리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에 의하면, 가압유니트를 통해 용융 재료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압착유니트를 통해 컨베이어로 낙하한 용융 재료의 형태를 납작하게 성형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를 설정된 두께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의 일부 절제 정면도,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의 용융호퍼의 요부 종단면도,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의 토출가이드 및 가압유니트의 종단면도,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의 압착유니트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의 일부 절제 정면도이고,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100)는 용융호퍼(120), 스크류실린더(130), 가압유니트(140), 컨베이어(150), 압축유니트(160)를 포함한다.
도 3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용융호퍼(120)는 작은 덩어리 형태의 펠릿을 용융하여 스크류실린더(130)로 공급하는 것으로, 스크류실린더(130)의 상부에 설치된다.
용융호퍼(120)는 용융부(121)의 하부에 주입부(122)가 마련된 형태로, 용융부(121)의 외부 및 주입부(122)의 외부 둘레에는 재료를 용융할 수 있도록 하는 전열히터(H1)가 설치된다.
용융호퍼(120)의 용융부(121)의 내부는 상부 직경이 크고 하부 직경이 큰 테이퍼 형태를 가지며, 용융부(121)의 상부는 개방된다.
용융부(121)의 내부 중앙에는 카트리지히터(H2)가 설치된다.
이처럼 용융부(121)의 외부 및 내부에서 덩어리 형태의 펠릿 재료를 가열함으로써 용융부(121)의 재료 용융효율이 높게 되고, 용융부(121)의 상부가 개방되어 재료의 용융과정에서 가스가 자연스럽게 용융부(12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용융호퍼(120)의 주입부(122)의 하단부는 스크류실린더(130)에 접속된다.
스크류실린더(130)는 용융된 재료를 이송하여 컨베이어(150)로 낙하하는 것으로,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스크류실린더(130)는 실린더튜브(131)의 내부에 용융된 재료를 토출헤드(133) 쪽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132)가 설치되고, 실린더튜브(131)의 선단에 용융된 재료를 토출가이드(134)로 토출하는 토출헤드(133)가 설치되고, 토출헤드(133)의 선단에 용융된 재료를 컨베이어(150)로 토출하는 토출가이드(134)가 설치된 형태이다.
실린더튜브(131)의 상단 중앙에는 용융호퍼(120)의 주입부(122)가 접속되는 주입구멍(131a)이 마련되고, 실린더튜브(131)의 상단 후방에는 가스배출구멍(131b)이 마련된다.
토출헤드(133)의 내부에는 용융된 재료를 토출가이드(134)로 토출하는 토출구멍(133a)이 마련된다.
토출가이드(134)의 내부에는 토출헤드(133)의 토출구멍(133a)과 접속되는 수평방향의 유입구멍(134a)과 상부가 유입구멍(134a)과 연결되는 수직방향의 배출구멍(134b)이 마련된다.
실린더튜브(131)의 외주 및 토출헤드(133)의 외주, 그리고 토출가이드(134)의 외주에는 용융된 재료의 용융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열히터(H3)가 설치된다.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의 토출가이드 및 가압유니트의 종단면도이다.
가압유니트(140)는 스크류실린더(130)에서 토출되는 용융된 재료를 가압하여 토출압력 및 토출량을 조절하고 용융된 재료에 포함된 가스를 제거하는 것으로, 스크류실린더(130)의 선단에 설치된다.
가압유니트(140)는 토출가이드(134)에 삽입 결합되는 이송가이드(141); 이송가이드(141)에 좌우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봉(142); 가압봉(142)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압봉(142)을 가압하는 가압부재(143); 가압부재(143)와 이격되고, 다수의 체결볼트(147)를 통해 토출가이드(134)에 고정 설치되는 조절부재(144); 조절부재(144)와 가압부재(143)의 사이에 설치되 스프링케이스(145); 스프링케이스(145)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압스프링(146);을 포함한다.
가압유니트(140)의 스프링케이스(145)는 원통형으로, 외주에 다수의 방열구멍(145a)이 형성되며, 그에 따라 스프링케이스(145)의 내부에 설치된 가압스프링(146)이 자연스럽게 공기 냉각될 수 있게 된다.
즉, 용융된 재료의 용융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위해 토출가이드(134)의 외주에는 전열히터(H3)가 설치되고, 이 전열히터(H3)에 의해 토출가이드(134)가 일정온도(예를 들면 500℃)로 가열된다.
이에 고온으로 가열된 토출가이드(134)에 삽입된 이송가이드(141) 및 가압봉(142), 가압부재(143)를 통해 가압스프링(146)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스프링케이스(135)의 방열구멍(135a)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의해 가압스프링(146)이 냉각되어 가압스프링(146)의 성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컨베이어(150)는 스크류실린더(130)의 토출가이드(134)에서 낙하하는 용융된 재료를 이송하는 것으로, 스크류실린더(13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된다.
컨베이어(150)의 상부에는 스크류실린더(130) 반대쪽으로 이송되는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B)를 냉각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유니트(170)가 설치된다.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의 압착유니트의 정면도이다.
압축유니트(160)는 컨베이어(150)에서 이동되는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B)를 압축하여 납작하게 만들고, 설정된 두께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스크류실린더(130)의 일측에 설치된다.
압축유니트(160)는 스크류실린더(130)의 토출가이드(13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레버(161); 지지레버(16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브라켓트(162); 롤러브라켓트(162)의 스크류실린더 쪽에 설치되고, 컨베이어(150)에 착지되는 제1압축롤러(163); 롤러브라켓트(162)의 스크류실린더 반대쪽에 설치되고, 컨베이어(150)에 착지되는 제2압축롤러(164);를 포함한다.
압축유니트(160)의 제1압축롤러(163)의 외주 전방부와 외주 후방부, 제2압축롤러(164)의 외주 전방부와 외주 후방부는 컨베이어(150)에 착지되며, 그에 따라 컨베이어(150)의 작동과정에서 컨베이어(150)의 이동 마찰을 통해 제1압축롤러(163)와 제2압축롤러(164)가 회전된다.
제1압축롤러(163)의 외주 중앙부 및 제2압축롤러(164)의 외주 중앙부에는 컨베이어(150)로 낙하한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B)를 눌러주는 압축홈(163a)(164a)이 마련되고, 제1압축롤러(163)의 압축홈(163a)의 깊이가 제2압축롤러(164)의 압축홈(164a)의 깊이보다 크게 설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100)는 작은 덩어리 형태의 펠릿 재료를 용융호퍼(120)에서 용융하고, 용융된 재료를 스크류실린더(120)로 이송하여 컨베이어(150)로 낙하하고, 압축유니트(160)로 압축하여 얇고 긴 막대 형태의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B)를 간편하게 제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융호퍼(120)는 용융부(121)의 외부 및 내부에서 전열히터(H1) 및 카트리지히터(H2)를 통해 덩어리 형태의 펠릿 재료를 가열함으로써 용융부(121)의 재료 용융효율이 매우 높게 되고, 용융부(121)의 상부가 개방되어 재료의 용융과정에서 가스가 자연스럽게 용융부(12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용융호퍼(120)로부터 스크류실린더(120)로 낙하한 용융 재료는 회전하는 스크류(132)의 홈을 따라 토출헤드(133) 쪽으로 이송되고, 토출헤드(133)의 토출구멍(133a)을 통해 토출가이드(134)의 유입구멍(134a)으로 공급된다.
토출가이드(134)의 유입구멍(134a)으로 유입된 용융 재료는 가압스프링(136)을 통해 탄성지지되는 가압봉(142)를 밀고 배출구멍(134b)을 통해 컨베이어(150)로 낙하한다.
상기 용융 재료의 토출과정에서 가압유니트(140)의 가압봉(142)은 토출가이드(134)의 유입구멍(134a)으로 유입되는 용융 재료를 가압하게 되고, 이러한 가압봉(142)의 가압력에 의해 용융 재료에 포함된 가스가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고, 후방으로 밀려나는 가스가 실린더튜브(131)의 외주 후방에 마련된 가스배출구멍(131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100)에서는 가압유니트(140)를 통해 스크류실린더(130)에서 배출되는 용융 재료를 가압하여 그에 포함된 가스를 제거함으로써 컨베이어(150)로 낙하하는 진공유리 플릿바(B)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가압유니트(140)에서 가압봉(142)에 가압 탄성력을 제공하는 가압스프링(146)은 통기구멍(145a)이 형성된 스프링케이스(145)에 설치되어 자연스럽게 공기 냉각되므로 열로 인한 기능저하나 변형이 없게 된다.
가압유니트(140)의 조절부재(144)는 다수의 체결볼트(147)를 통해 토출가이드(134)에 고정 설치되는데, 체결볼트(147)를 조이게 되면 조절부재(144)가 가압스프링(146) 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가압스프링(146)이 압축되면서 가압봉(142)에 대한 가압탄성력이 강해지게 된다.
상기에서 가압스프링(146)의 가압력이 강해지게 되면 토출가이드(134)의 유입구멍(134)으로 유입되는 용융 재료의 유입압력 및 유입량이 감소되어 용융 재료의 배출량이 적어지게 된다.
반대로 조절부재(144)를 고정하는 체결볼트(147)를 풀게 되면 조절부재(144)가 가압스프링(146) 반대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가압스프링(146)이 팽창되면서 가압봉(142)에 대한 가압탄성력이 약해지게 되고, 이때 토출가이드(134)의 유입구멍(134)으로 유입되는 용융 재료의 유입압력 및 유입량이 증가되어 용융 재료의 배출량이 많아지게 된다.
이처럼 가압유니트(140)의 조절부재(144)의 체결볼트(147)를 풀거나 조이는 것에 의해 일정범위 내에서 용융 재료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크류실린더(130)의 토출가이드(134)의 배출구멍(134b)를 통해 컨베이어(150)로 낙하하는 용융 재료는 컨베이어(150)에 의해 스크류실린더(130)의 반대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압축유니트(160)의 제1압축롤러(163)의 압축홈(163a)과 제2압축롤러(164)의 압축홈(164a)를 통과하게 된다.
용융 재료가 제1압축롤러(163)의 압축홈(163a)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볼록한 상단부가 평평하게 성형되고, 제1압축롤러(163)의 압축홈(163a)의 깊이보다 낮은 깊이를 가지는 제2압축롤러(164)의 압축홈(164a)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용융 재료가 더 납작해지면서 설정된 두께로 성형된다.
예를 들어 용융 재료는 제1압축롤러(163)의 압축홈(163a)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2mm의 두께로 성형되고, 제2압축롤러(164)의 압축홈(164a)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1mm의 두께로 성형된다.
압축유니트(160)의 제1압축롤러(163)의 압축홈(163a)과 제2압축롤러(164)의 압축홈(164a)를 통과한 후 일정 두께 및 폭을 가지는 납작한 형태로 성형된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B)는 이동경로상에 설치된 냉각유니트(170)를 거치는 동안 냉각되어 굳어지게 되며, 필요한 길이(예를 들면 500mm, 1000mm)로 절단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100)는 덩어리 형태의 펠릿을 용융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얇고 긴 길이의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B)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되며, 그 제조과정에서 용융 재료에 포함된 가스를 제거하여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B)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
120 : 용융호퍼
130) : 스크류실린더
140 : 가압유니트
150 : 컨베이어
160 : 압축유니트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스크류실린더(130)의 상부에 설치되고, 작은 덩어리 형태의 펠릿을 용융하여 스크류실린더(130)로 공급하는 용융호퍼(120);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용융된 재료를 이송하여 컨베이어(150)로 낙하하는 스크류실린더(130);
    스크류실린더(130)의 선단에 설치되고, 스크류실린더(130)에서 토출되는 용융된 재료를 가압하여 토출압력 및 토출량을 조절하고 용융된 재료에 포함된 가스를 제거하는 가압유니트(140);
    스크류실린더(13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고, 스크류실린더(130)의 토출가이드(134)에서 낙하하는 용융된 재료를 이송하는 컨베이어(150);를 포함하고,
    가압유니트(140)는
    토출가이드(134)에 삽입 결합되는 이송가이드(141);
    이송가이드(141)에 좌우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봉(142);
    가압봉(142)의 일측에 설치되어 가압봉(142)을 가압하는 가압부재(143);
    가압부재(143)와 이격되고, 다수의 체결볼트(147)를 통해 토출가이드(134)에 고정 설치되는 조절부재(144);
    조절부재(144)와 가압부재(143)의 사이에 설치되 스프링케이스(145); 스프링케이스(145)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압스프링(1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가압유니트(140)의 스프링케이스(145)는 원통형으로, 외주에 다수의 방열구멍(145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
  8. 스크류실린더(130)의 상부에 설치되고, 작은 덩어리 형태의 펠릿을 용융하여 스크류실린더(130)로 공급하는 용융호퍼(120);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용융된 재료를 이송하여 컨베이어(150)로 낙하하는 스크류실린더(130);
    스크류실린더(130)의 선단에 설치되고, 스크류실린더(130)에서 토출되는 용융된 재료를 가압하여 토출압력 및 토출량을 조절하고 용융된 재료에 포함된 가스를 제거하는 가압유니트(140);
    스크류실린더(13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고, 스크류실린더(130)의 토출가이드(134)에서 낙하하는 용융된 재료를 이송하는 컨베이어(150);를 포함하고,
    압축유니트(160)는
    스크류실린더(130)의 토출가이드(13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레버(161);
    지지레버(16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브라켓트(162);
    롤러브라켓트(162)의 스크류실린더 쪽에 설치되고, 컨베이어(150)에 착지되는 제1압축롤러(163);
    롤러브라켓트(162)의 스크류실린더 반대쪽에 설치되고, 컨베이어(150)에 착지되는 제2압축롤러(1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제1압축롤러(163)의 외주 중앙부 및 제2압축롤러(164)의 외주 중앙부에 컨베이어(150)로 낙하한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B)를 눌러주는 압축홈(163a)(164a)이 마련되고, 제1압축롤러(163)의 압축홈(163a)의 깊이가 제2압축롤러(164)의 압축홈(164a)의 깊이보다 크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
KR1020170089453A 2017-07-14 2017-07-14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 KR101860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453A KR101860108B1 (ko) 2017-07-14 2017-07-14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453A KR101860108B1 (ko) 2017-07-14 2017-07-14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108B1 true KR101860108B1 (ko) 2018-05-21

Family

ID=62453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453A KR101860108B1 (ko) 2017-07-14 2017-07-14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1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2361A (ja) * 2001-12-27 2003-07-09 Asahi Techno Glass Corp 板状ガラス成形装置及び板状ガラスの成形方法
JP2007331304A (ja) 2006-06-16 2007-12-27 Nippon Steel Corp 廃プラスチック高密度減容成形機及びその排気方法
KR101661062B1 (ko) * 2014-03-29 2016-09-28 아반스트레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의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2361A (ja) * 2001-12-27 2003-07-09 Asahi Techno Glass Corp 板状ガラス成形装置及び板状ガラスの成形方法
JP2007331304A (ja) 2006-06-16 2007-12-27 Nippon Steel Corp 廃プラスチック高密度減容成形機及びその排気方法
KR101661062B1 (ko) * 2014-03-29 2016-09-28 아반스트레이트 가부시키가이샤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판의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972B1 (ko) 2d 유리-함유 시트로부터 3d 물품을 대량 생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40283555A1 (en) Molding apparatus and molding method of glass casings
TW2007342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awing a low liquidus viscosity glass
WO2020162467A1 (ja) ガラス板の成形装置
KR20170068592A (ko) 가열된 유리 시트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60108B1 (ko) 진공유리 접착 플릿바 제조장치
KR100295234B1 (ko) 장식용판유리의제조방법
EP3686164B1 (en) Mold for glass-made optical component molding us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made optical component using said mold
JP2010162710A (ja) 樹脂封止装置及び樹脂封止方法
CN101842324A (zh) 浮法玻璃的制造方法
KR102094686B1 (ko) 유리 용융 증착형 3d 프린터용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유리 용융 증착형 3d 프린터
JP4563942B2 (ja) 熱可塑性素材の成形方法
WO2020162468A1 (ja) ガラス板の成形方法
TW201731777A (zh) 玻璃成型爐
JP2007186358A (ja) ガラス物品の製造装置
KR101826053B1 (ko) 양초 자동 제조 장치
WO2013011853A1 (ja) ガラス筐体の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US20210254398A1 (en) Manufacturing of glass sheet assemblies by means of preheated edge sealing material
JP2836230B2 (ja) レンズ成形装置
TWI667207B (zh) Heating and heating field device for molding stereoscopic glass continuous forming device
KR102177122B1 (ko) 금속제 파이프의 코팅 및 외관 성형의 동시 수행 방법
CN207942601U (zh) 一种空心管状塑料颗粒
JP5197398B2 (ja) 樹脂封止に用いられる予備的融着樹脂
JP2009227536A (ja) ガラスレンズの製造方法
JP3720677B2 (ja) ガラスブロ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同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