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434B1 - 초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첨단부 이물질 및 결빙 감시 장치 - Google Patents

초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첨단부 이물질 및 결빙 감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9434B1
KR101859434B1 KR1020170002071A KR20170002071A KR101859434B1 KR 101859434 B1 KR101859434 B1 KR 101859434B1 KR 1020170002071 A KR1020170002071 A KR 1020170002071A KR 20170002071 A KR20170002071 A KR 20170002071A KR 101859434 B1 KR101859434 B1 KR 101859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rail
micro
snow
mp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미
Original Assignee
김현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미 filed Critical 김현미
Priority to KR1020170002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4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monitoring the mechanical state of the route
    • B61L27/008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50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 B61L27/53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for trackside elements or systems, e.g. trackside supervision of trackside control system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2
    • H04N5/22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첨단부 이물질 및 결빙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선로 외곽 부분에 설치되었던 카메라를 대체하기 위해 기본 레일과 첨단 레일 사이를 감시하도록, 양측 기본 레일의 안쪽 내부 영역에 설치되어 영상 검지 회로부를 통해 영상을 수집하는 초소형 카메라;와 상기 영상을 분석하는 MPU;로 구성되되, 상기 MPU는 상기 영상 검지 회로부를 통해 수집한 영상을 이용하여 기본 레일과 첨단 레일 사이의 폭설 및 이물질 혼입을 판단할 수 있는 초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첨단부 이물질 및 결빙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에 선로 밖에서 기둥에 설치되어 내부를 전체적으로 관찰하던 방식을 바꿔 기본 레일의 내부 영역 양측에 초소형 카메라 모듈을 밀착되게 설치하여 폭설 감지 및 이물질 혼입 감지를 용이하게 하였다.

Description

초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첨단부 이물질 및 결빙 감시 장치{A super small size camera for monitoring blade icing and foreign body in rail}
본 발명은 초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첨단부 이물질 및 결빙 감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선로 외곽 부분에 설치되었던 카메라를 대체하기 위해 기본 레일과 첨단 레일 사이를 감시하도록, 양측 기본 레일의 안쪽 내부 영역에 설치되어 영상 검지 회로부를 통해 영상을 수집하는 초소형 카메라;와 상기 영상을 분석하는 MPU;로 구성되되, 상기 MPU는 상기 영상 검지 회로부를 통해 수집한 영상을 이용하여 기본 레일과 첨단 레일 사이의 폭설 및 이물질 혼입을 판단할 수 있는 초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첨단부 이물질 및 결빙 감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로전환기는 선로의 분기기에 설치되어 선로를 변환하는 장치로서 열차 안전 운행에 매우 중요한 설비이다.
선로 전환기 히팅 장치는 강설로 선로전환기 기본 레일과 첨단레일 사이에 눈이 쌓여 있거나, 상판 부위가 빗물 등이 동결되면 첨단 레일이 좌우로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밀착과 쇄정이 불가능해져 장애 및 탈선사고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장애를 예방하기 위하여 선로전환기 기본 레일과 첨단 레일 사이에 쌓인 눈이나 얼음을 녹이는 장치를 말한다.
종래에 운영 중인 선로 전환기 히팅 장치는 결빙 또는 눈감지 센서 및 온도/습도 센서를 이용하여 폭설 및 결빙을 감지하고, 감지된 경우 히터를 동작시켜 눈 또는 결빙을 녹이는 시스템이나, 대다수 현장에서는 눈 감지 센서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고, 촬영 위치가 일정 높이에서 바라보는 용도여서 눈이나 결빙을 정확히 감지하지 못하고, 이에 따른 선로 전환기의 오동작을 감지할 수 없어 관리자가 자주 출동하여 수동으로 히터를 동작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눈 또는 결빙을 녹이는 히터를 동작시키는 과정에서도 과도한 전력을 사용하는 바 이를 유지/보수 하는 비용이 과도하게 지불되어, 효과적으로 히터를 보급하는 데 장애물로 작용 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새로운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0040633호 한국등록특허 제1456532호 한국등록특허 제0694513호 한국등록특허 제2016-00899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포인트 부분 또는 크로싱 부분을 감시할 수 있도록 양측 기본 레일의 안쪽 내부 영역에 설치할 수 있어, 폭설 감지 및 이물질 혼입을 감지하기 용이하게 한 초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첨단부 이물질 및 결빙 감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초소형 카메라를 몰딩 처리하고, 초소형 카메라 하우징을 레일에 탈부착하는 볼트와 진동에 풀림이 없도록 하는 폴딩 와셔를 이용하여 최소형 카메라가 현재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초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첨단부 이물질 및 결빙 감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주야간 변함없는 선로 전환기 감시를 위한 초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첨단부 이물질 및 결빙 감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본 레일과 첨단 레일 사이를 감시하도록, 양측 기본 레일의 안쪽 내부 영역에 설치되어 영상 검지 회로부를 통해 영상을 수집하는 초소형 카메라;와 상기 영상을 분석하는 MPU;로 구성되되, 상기 MPU는 상기 영상 검지 회로부를 통해 수집한 영상을 이용하여 기본 레일과 첨단 레일 사이의 폭설 및 이물질 혼입을 판단한다.
상기 초소형 카메라는 상기 기본 레일의 포인트 부분 또는 크로싱 부분의 안쪽 내부 영역의 관통홀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상기 초소형 카메라를 수용하여 몰딩 처리하는 초소형 카메라 하우징; 상기 초소형 카메라 하우징의 앞단에 형성되어, 상기 초소형 카메라의 렌즈를 외부 환경에서 보호하는 보호렌즈; 상기 보호렌즈의 상측부에 연장 형성되어 관통공을 통한 시야를 확보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초소형 카메라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커버; 상기 초소형 카메라 하우징을 기본 레일에 고정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를 폴딩하여 진동에 풀림이 없도록 하는 폴딩 와셔;를 더 포함한다.
동절기에 적설이나 결빙으로 인한 상기 선로전환기의 전환불능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로를 예열하는 히팅 장치;를 더 포함한다.
상기 히팅 장치를 이용하여 눈이나 결빙을 녹일 때 항시 온 상태를 유지하고, 눈이 녹은 후 물이 많은 경우에는 단속적인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종래에 선로 밖에서 기둥에 설치되어 침입자나 분기기 부분을 전체적으로 관찰하던 CCTV방식을 바꿔 기본 레일의 내부 영역 양측에 초소형 카메라 모듈을 밀착되게 설치하여 폭설 감지 및 이물질 혼입 감지를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동작 상황별 이미지 저장 기능과 동작 상태 및 상황 모니터링 기능이 있어, 원격지에서도 선로 전환기를 상시 감시할 수 있고, 다양한 이미지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주야간 변함없는 선로 전환기 감시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결빙 감지 및 결빙 예측이 가능하여 정확한 시점에서 히터를 사용하여 강설에 의한 텅레일 밀착 불량으로 인한 열차의 탈선을 방지하고, 주기적으로 전력을 단속하여 공급하도록 하여 전력 소모를 극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눈검지 센서에 이물질이 생길 경우 눈이 온 것으로 판단 오동작을 하거나, 물이나 먼지에 취약하여 쉽게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탈부착 가능한 초소형 카메라를 몰딩 처리하고, 안전 커버를 씌우고 폴딩 와셔를 이용하여 외부 진동 및 노출된 환경에 강하고 A/S가 편리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라 선로 전환기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초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첨단부 이물질 및 결빙 감시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2의 카메라 위치에 대한 구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폴딩 와셔를 설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초소형 카메라 캡쳐한 영상을 분석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속적인 전력 공급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선로에 설치된 카메라의 위치와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초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첨단부 이물질 및 결빙 감시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영상을 검지하는 영상 검지 회로부(110), 온도와 습도를 검지하는 온도/습도 검지 회로부(120), 히터를 동작시키는 히터 동작 회로부(130), 영상 신호(310), 온도/습도 상태 신호(320) 수신을 위한 MPU(200; microprocessing unit)로 구성되고, 상기 MPU(200)는 전원 신호를 받아 전원 회로(330)를 구동하여 히터동작회로(130)로 히터를 동작시킨다.
영상 검지 회로부(110)는 겨울철 선로전환기의 정확한 동작에 외부환경적인 영향으로 인한 장애 및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수집한 영상을 이용하여 기본 레일과 첨단 레일 사이의 폭설 및 이물질 혼입을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MPU(200)에 상기 영상을 전송한다.
상기 영상 검지 회로부(110)는 초소형 카메라(101) 내부에 실장되며, 상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몰딩 수지로 상기 초소형 카메라(101)와 연결선(102) 등의 주변을 몰딩하여 소정 형태의 몰딩 형태를 형성하고, 경화 공정을 거쳐 완성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초소형 카메라(101)를 수용하여 몰딩 처리하는 초소형 카메라 하우징(100); 상기 초소형 카메라 하우징(100) 내부에서 상기 초소형 카메라(1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MPU(200)까지 연장되도록 상기 기본 레일(1)를 관통하는 연결선(102); 상기 초소형 카메라 하우징(100)의 앞단에 형성되어, 상기 초소형 카메라의 렌즈를 외부 환경에서 보호하는 보호렌즈(109); 상기 초소형 카메라 하우징(100)의 보호렌즈의 상측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시야를 확보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초소형 카메라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커버(미도시); 상기 초소형 카메라 하우징(100)을 기본 레일에 고정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104)를 폴딩하여 진동에 풀림이 없도록 하는 폴딩 와셔(103; folding wash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레일(1)의 배부분(1-2)에는 상기 초소형 카메라 하우징(100)이 관통하여 고정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 연결선(102)이 외부와 연결된다.
상기 폴딩 와셔(103)는 상기 볼트(104)를 대상으로 사방에서 접혀져 기존의 와셔를 사용하는 것 보다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강하다.
또한 상기 폴딩 와셔(103)와 볼트(104)를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고, 계절에 따라 탈부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겨울철에만 부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 하우징(100) 내에서 초소형 카메라(101)와 연결되는 연결선(102)을 커넥터 방식이나 소켓방식으로 분리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철도 선로 자갈치기 또는 자갈 다지기 등의 작업시에 간단히 탈부착하여 유지보수에 편리하게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2의 카메라 위치에 대한 구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폴딩 와셔를 설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소형 카메라 하우징(100)에 몰딩된 초소형 카메라(101)는 포인트 부분 또는 크로싱 부분을 감시할 수 있도록, 양측 기본 레일(1)의 안쪽 내부 영역 배부분(1-2)(S 부분; 선로의 머리 부분(1-1)과 밑부분이 아닌 배 부분)에 수평 또는 일정 각도로 틸팅되어 설치될 수 있는 데, 텅레일이 있는 포인트 부분이 열차 사고에 취약한 부분으로 집중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초소형 카메라(101)는 예를 들어 포인트 부분에서 야간의 경우 적외선 LED를 이용하여 촬영한 후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감시 대상의 주변 환경 및 상황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전송하는 영상 검지 회로부(110)로부터 전송된 영상을 이용하여 감시 대상의 주변 환경 및 상황에 대한 변화 여부 및 패턴 변화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감시 대상의 주변 환경 및 상황의 이상 여부를 상기 MPU(200)에 전송하고, 상기 MPU(200)가 분석한 영상신호(310)과 상태신호(320)를 역조작반(400)에 전송한 후, 최종 적으로 사령실(500)에 전송하여 현재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초소형 카메라가 캡쳐한 영상을 분석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소형 카메라(101)는 주야간 구별로 또는 조도 감지로 조도 미약 시에는 기본 레일과 첨단 레일 사이(텅레일 부분)를 감지할 때 적외선 LED를 구동하여 야간 영상 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영상 검지 회로부(110)의 영상 감지 규격은 표면 1cm 이상 물체를 감지할 수 있는 해상도를 갖고, 온도/습도 각각 3 % 범위내로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조명 변화에 둔한 HSI color model과 이를 정규화한 qualified HSI model을 이용하여 영상차를 적용하여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HSI color model은 주로 주/야간 차선을 분석할 때 사용하나 본 발명에서는 RGB(Red, Green, Blue) 형태로 입력된 일반적인 컬러 영상을 HSI(Hue, Saturation, Intensity) 색모델로 변환하여 처리함으로써, 이물질을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함과 아울러, 이물질 인식을 위한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HSI 색정보의 통계적 모델을 이용한다.
또는 본 발명은 이물질의 기하학 정보 특징을 추출하기 위해 HOG을 이용하여 대상 영역을 일정 크기의 셀로 분할하고, 각 셀마다 에지 픽셀들의 방향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구한 후 그 값들을 일렬로 연결한 벡터를 생성하여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폭설/결빙 감지를 위한 눈감지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이미지로 판단이 어려운 경우를 대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도/습도 검지 회로부는 온도/습도/이슬점을 포함하는 상태신호를 통해 결빙을 예측할 수 있다. 이때 대기 온도 및 선로 온도를 동시 검지하여 이를 활용하여 선로상태를 예측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기온도와 습도로 계산된 이슬점으로 선로의 온도와 비교하여 결빙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이슬점의 온도가 0℃이하이고, 선로 온도가 이슬점보다 낮을 때 결빙될 수 있다는 것을 MPU(200)에 통보하여 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단속적인 전력 공급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선로에 설치된 카메라의 위치와 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 사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선로 전환기의 고장을 막기 위해 겨울철 선로전환기의 정확한 동작에 외부환경적인 영향으로 인한 장애 및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눈을 녹여주는 히터를 포함하는 융설장치를 사용하는데, 이를 위한 히터 동작 회로부(130)는 종래 운영 중인 선로 전환기 히팅 장치의 사용 전력의 30% 절감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히터를 이용하여 눈이나 결빙을 녹일 때 항시 온 상태(b1)를 유지하지만 눈 등이 녹은 후 물이 많은 경우에는 단속적인 온/오프 상태(b2)를 유지하고, 히터 동작 시 인버터 방식을 채택하여 전력 소모를 극소화할 수 있고, 히터 과열 방지 기능으로 히터의 과열 시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눈이나 결빙은 눈/결빙 감지 센서를 이용하고, 물의 감지는 물 감지 센서를 이용한다.
또는 상기 영상 검지 회로부(110)의 영상 감지 알고리즘을 통해 눈/결빙 또는 물의 존재를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히터는 기본 레일(1)에 결합 부착되고, 히터에서 발생할 열이 기본 레일에 전도되어 눈 또는 결빙을 녹이는 장치로서, 영하의 날씨에서도 작동이 원활하도록 히트 파이프 등에 내장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소형 카메라(101)는 선로(1, 2)의 포인트 부분 또는 크로싱 부분에 양측 기본 레일의 안쪽 내부 영역에 설치될 수 있는 데, 텅레일이 있는 포인트 부분이 열차 사고에 취약한 부분으로 집중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1-2 : 배부분
1-1 : 머리 부분
100 : 초소형 카메라 하우징
101 : 초소형 카메라
102 : 연결선
103 : 폴딩 와셔
104 : 볼트
109 : 보호렌즈
110 : 영상 검지 회로부
120 : 온도/습도 검지 회로부
130 : 히터 동작 회로부
200 : MPU

Claims (5)

  1. 기본 레일과 첨단 레일 사이를 감시하도록, 상기 기본 레일의 안쪽 내부 영역에 설치되어 영상 검지 회로부를 통해 영상을 수집하는 초소형 카메라;와 상기 영상을 분석하는 MPU;로 구성되되,
    상기 MPU는 상기 영상 검지 회로부를 통해 수집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기본 레일과 첨단 레일 사이의 폭설 및 이물질 혼입을 판단하고,
    상기 초소형 카메라는 상기 기본 레일의 포인트 부분 또는 크로싱 부분의 안쪽 내부 영역의 관통홀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첨단부 이물질 및 결빙 감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소형 카메라를 수용하여 몰딩 처리하는 초소형 카메라 하우징;
    상기 초소형 카메라 하우징의 앞단에 형성되어, 상기 초소형 카메라의 렌즈를 외부 환경에서 보호하는 보호렌즈;
    상기 보호렌즈의 상측부에 연장 형성되어 시야를 확보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초소형 카메라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커버;
    상기 초소형 카메라 하우징을 기본 레일에 고정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를 폴딩하여 진동에 풀림이 없도록 하는 폴딩 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첨단부 이물질 및 결빙 감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동절기에 적설이나 결빙으로 인한 선로전환기의 전환불능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로를 예열하는 히팅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첨단부 이물질 및 결빙 감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 장치를 이용하여 눈이나 결빙을 녹일 때 항시 온 상태를 유지하고, 눈이 녹은 후 물이 일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단속적인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첨단부 이물질 및 결빙 감시 장치.
KR1020170002071A 2017-01-05 2017-01-05 초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첨단부 이물질 및 결빙 감시 장치 KR101859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071A KR101859434B1 (ko) 2017-01-05 2017-01-05 초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첨단부 이물질 및 결빙 감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071A KR101859434B1 (ko) 2017-01-05 2017-01-05 초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첨단부 이물질 및 결빙 감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434B1 true KR101859434B1 (ko) 2018-05-21

Family

ID=6245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071A KR101859434B1 (ko) 2017-01-05 2017-01-05 초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첨단부 이물질 및 결빙 감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4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110A (ko) 2021-11-10 2023-05-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매립형 궤도용 선로전환기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4936A (ja) * 2001-11-22 2003-05-27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鎖錠かん監視カメラシステム
JP2013049972A (ja) * 2011-08-31 2013-03-14 Hokkaido Railway Co 分岐器電気融雪器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分岐器電気融雪器遠隔制御方法
US20140183278A1 (en) 2013-01-03 2014-07-03 Clive Sofus Michelsen Perforated fluid dispensing hose or tube for the purpose of applying liquids and/or gases to railroad tracks including railroad switches, railroad crossings, bridge overheads and tunnel walls
JP2016084076A (ja) 2014-10-28 2016-05-19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転てつ機の動作状態の監視方法および監視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54936A (ja) * 2001-11-22 2003-05-27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鎖錠かん監視カメラシステム
JP2013049972A (ja) * 2011-08-31 2013-03-14 Hokkaido Railway Co 分岐器電気融雪器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分岐器電気融雪器遠隔制御方法
US20140183278A1 (en) 2013-01-03 2014-07-03 Clive Sofus Michelsen Perforated fluid dispensing hose or tube for the purpose of applying liquids and/or gases to railroad tracks including railroad switches, railroad crossings, bridge overheads and tunnel walls
JP2016084076A (ja) 2014-10-28 2016-05-19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転てつ機の動作状態の監視方法および監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8110A (ko) 2021-11-10 2023-05-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매립형 궤도용 선로전환기의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825B1 (ko) 지능형 교통 시스템
CN110545380B (zh) 用于数据通信的视频系统和方法
CN206646863U (zh) 一种具有安防功能的多媒体信息亭
KR101859434B1 (ko) 초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첨단부 이물질 및 결빙 감시 장치
CN111075508A (zh) 应用于隧道的机器人
CN104243909A (zh) 弓网监测装置及系统
KR20090019434A (ko) Cctv 카메라 전면부의 이물질 제거 장치
CN211087009U (zh) 一种基于飞行器的接触网巡检装置
CN205564027U (zh) 移动式违法占用应急车道抓拍系统
KR102160991B1 (ko) 태양광 불법쓰레기 투기 cctv 감시시스템
CN106128093A (zh) 一种人行道安全闸机
CN107135342A (zh) 一种智能监控摄像机
CN206542501U (zh) 一种收费站抓拍摄像头
CN204305214U (zh) 铁路货车装载状态高清图像系统
CN202217178U (zh) 一种基于物联网的可视化温度监控装置
CN204044383U (zh) 曲线地铁站台屏蔽门与列车间异物自动检测装置
KR101676444B1 (ko)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CN207340005U (zh) 一种智能监控摄像机
CN105667549A (zh) 一种铁路道口自动控制系统
CN102645924B (zh) 一种用于轨道交通车辆车底安全检查的控制系统
CN105306875A (zh) 一种具有方向识别功能的智能监控设备
CN206573496U (zh) 一种机车受电弓滑板监测装置
CN205212930U (zh) 一种防冻交通摄像头
KR101888144B1 (ko) 시인성이 향상된 cctv
CN103985214A (zh) 基于ccd与rfid电子标签的飞机防护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