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144B1 - 시인성이 향상된 cctv - Google Patents

시인성이 향상된 cctv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144B1
KR101888144B1 KR1020160136162A KR20160136162A KR101888144B1 KR 101888144 B1 KR101888144 B1 KR 101888144B1 KR 1020160136162 A KR1020160136162 A KR 1020160136162A KR 20160136162 A KR20160136162 A KR 20160136162A KR 101888144 B1 KR101888144 B1 KR 101888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information
cctv
humidit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469A (ko
Inventor
반영훈
노현기
Original Assignee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6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14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H04N5/2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인성이 향상된 CCTV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부에 투명재질의 글래스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고, 감시대상영역을 촬상하여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하우징의 글래스 일측에 설치되고, 발열하는 발열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부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여 외부온도정보 및 습도정보를 포함한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부 및 상기 환경정보에 포함된 상기 외부온도정보 또는 습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부는 상기 하우징의 글래스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부착되는 제1 열선 및 상기 하우징의 글래스 표면에 수평방향으로 부착되는 제2 열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온도정보가 미리 설정된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열선이 동작되도록 상기 발열부를 제어하고, 상기 습도정보가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열선이 동작되도록 상기 발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CCTV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CCTV에 적용가능하여 기존 CCTV의 구조변경을 요하지 않으면서도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포함한 복합센서를 이용하여 겨울철 뿐 아니라 안개, 우천을 포함한 사계절 환경요인에 대응함으로써 하우징 전면부에 형성된 습기 또는 물방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시인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인성이 향상된 CCTV{CCTV enhanced visibility}
본 발명은 시인성이 향상된 CCTV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CCTV에 적용가능하여 기존 CCTV의 구조변경을 요하지 않으면서도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포함한 복합센서를 이용하여 겨울철 뿐 아니라 안개, 우천을 포함한 사계절 환경요인에 대응함으로써 하우징 전면부에 형성된 습기 또는 물방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시인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시인성이 향상된 CCTV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Television) 시스템은 폐회로시스템(Closed Circuit System) 및 개회로시스템(Open Circuit System)으로 분류된다. 개회로시스템은 화상 정보를 불특정 다수에게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화상 정보를 획득하는 시스템으로, 예를 들어 TV 방송 등을 말한다. 폐회로시스템은 화상 정보를 특정의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시스템으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라고도 한다.
이러한 CCTV는 교통 관제용 감시, 방재용 및 사내의 화상정보 전달, 방범이나 주,정차 위반단속 또는 차량의 신호 및 규정속도 위반 단속등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CCTV용 카메라는 감시카메라의 용도특성상 외부환경에서 24시간 안정적인 상태로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 내에 외부의 먼지는 물론 비나 눈에 의한 습기로부터 보호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CCTV는 외부 촬영을 위해 카메라 렌즈와 대응되는 하우징의 전면부가 투명재질의 글래스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CCTV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열에 의해 하우징 내외부 온도차가 발생하면서 하우징 전면부에 습기 또는 물방울이 맺히면서 시인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하우징 일측에 온도센서 및 열선을 구비하고, 외부 온도에 따라 열선을 작동함으로써 하우징 전면부에 형성된 습기 또는 물방울을 제거하고자 하는 CCTV가 개발된 바 있다.
도1은 종래의 CCTV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CCTV(100)는 내부에 수용공간(111)이 형성되고 카메라 렌즈와 대응되는 위치에 투명한 글래스(112)가 설치된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카메라(120)와, 하우징(110)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30)와, 하우징(110)의 글래스(112)에 설치되는 열선(140) 및 온도센서(130)로부터 검출된 온도정보에 따라 열선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로 구성된다.
상기한 종래의 CCTV(100)는 온도센서(130)에 의해 검출된 외부온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 미만인 경우 제어부(150)에서 하우징(110)의 글래스(112)에 설치된 열선(140)을 제어하여 열선(140)이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열선(140)에서 발열되는 열에 의해 하우징(110) 전면부에 형성된 습기 또는 물방울을 제거하여 카메라(120)의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CCTV(100)는 온도센서(130)에서 온도정보만 취득하고, 이에 근거하여 열선(140)이 작동되는 것으로서, 외부온도가 낮은 겨울철에는 습기 또는 물방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나, 외부온도가 높은 여름철 우천시에는 열선(140)이 작동되지 않아 습기 또는 물방울 제거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CCTV에 적용가능하여 기존 CCTV의 구조변경을 요하지 않으면서도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포함한 복합센서를 이용하여 겨울철 뿐 아니라 안개, 우천을 포함한 사계절 환경요인에 대응함으로써 하우징 전면부에 형성된 습기 또는 물방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시인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시인성이 향상된 CCTV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경요인에 따라 제1 열선 및 제2 열선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발열부의 수명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시인성이 향상된 CCTV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부에 투명재질의 글래스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고, 감시대상영역을 촬상하여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하우징의 글래스 일측에 설치되고, 발열하는 발열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부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여 외부온도정보 및 습도정보를 포함한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부 및 상기 환경정보에 포함된 상기 외부온도정보 또는 습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부는 상기 하우징의 글래스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부착되는 제1 열선 및 상기 하우징의 글래스 표면에 수평방향으로 부착되는 제2 열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온도정보가 미리 설정된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열선이 동작되도록 상기 발열부를 제어하고, 상기 습도정보가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열선이 동작되도록 상기 발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CCTV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CCTV에 적용가능하여 기존 CCTV의 구조변경을 요하지 않으면서도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포함한 복합센서를 이용하여 겨울철 뿐 아니라 안개, 우천을 포함한 사계절 환경요인에 대응함으로써 하우징 전면부에 형성된 습기 또는 물방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시인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환경요인에 따라 제1 열선 및 제2 열선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발열부의 수명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CCTV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향상된 CCTV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향상된 CCTV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향상된 CCTV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열선 및 제2 열선이 동시에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열선이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향상된 CCTV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향상된 CCTV의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향상된 CCTV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2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향상된 CCTV는 하우징(10)과, 카메라(20)와, 발열부(30)와, 센서부(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11)와, 본체(11)의 전면부 상부에 설치되는 보호플레이트(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후술하는 카메라(20)와, 센서부(40) 및 제어부(50)를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본체(11)는 내부에 카메라(20)와, 센서부(40) 및 제어부(5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a)이 형성되며, 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개방된 전면부에 글래스(G)가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된 카메라(20)가 글래스(G)를 통해 감시대상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한다.
보호플레이트(1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1)의 전면부 상부에 설치되어 우천(雨天)시 또는 설천(雪天)시 하우징(10)의 전면부로 낙하하는 비나 눈을 차폐하여 비 또는 눈이 하우징(10)의 글래스(G) 표면에 점착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20)는 하우징(10)의 수용공간(11a) 내에 설치되고, 하우징(10)의 글래스(G)를 통해 감시대상영역을 촬상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카메라(2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이 자명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발열부(30)는 하우징(10)의 글래스(G) 표면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부착설치되는 제1 열선(31)과, 하우징(10)의 글래스(G) 표면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부착설치되는 제2 열선(3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발열하면서 하우징(10)의 글래스(G)에 형성된 습기 또는 물방울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센서부(40)는 하우징(10)의 일측에 각각 외부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41)와, 외부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4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외부온도정보 및 습도정보를 포함한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50)는 하우징(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센서부(40) 및 발열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환경정보에 포함된 외부온도정보 또는 습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발열부(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열선 및 제2 열선이 동시에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열선이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향상된 CCTV의 동작을 첨부된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향상된 CCTV는 센서부(40)에서 외부온도정보 및 외부습도를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제공하는데, 여름철 우천시 외부온도가 높은 상태에서 습도가 높은 경우 제어부(50)에서는 습도정보에 근거하여 발열부(30)를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50)에서 취득한 외부습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습도를 초과하는 경우 현재 우천 또는 안개발생환경으로 판단하고, 발열부(30)를 제어하여 제2 열선(32)만 발열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10)의 글래스(G)에 형성된 습기 또는 물방울이 제거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50)에서 취득한 외부온도가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 미만인 경우 하우징(10) 내외부 온도차에 의해 습기가 발생하거나 눈이 오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발열부(30)를 제어하여 제1 열선(31)만 발열하도록 하여 하우징(10)의 글래스(G)에 형성된 습기 또는 눈이 제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 열선(31)만 발열되도록 하는 이유는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글래스(G) 표면에 눈이 점착되어 있을 경우 수직으로 배치된 제1 열선(31)이 작동되도록 하여 글래스(G) 표면의 눈이 세로방향으로 녹도록 유도함으로써 녹은 눈이 제1 열선(31)을 따라 하방으로 빠르게 낙하되도록 하여 글래스(G) 표면의 눈을 보다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인성이 향상된 CCTV는 환경요인에 따라 제1 열선 및 제2 열선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각 열선의 동작시간이 단축되도록 하여 발열부의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하우징 11 : 본체
11a : 수용공간 12 : 보호플레이트
20 : 카메라 30 : 발열부
31 : 제1 열선 32 : 제2 열선
40 : 센서부 41 : 온도센서
42 : 습도센서 50 : 제어부

Claims (3)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부에 투명재질의 글래스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고, 감시대상영역을 촬상하여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카메라와;
    상기 하우징의 글래스 일측에 설치되고, 발열하는 발열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부온도 및 습도를 검출하여 외부온도정보 및 습도정보를 포함한 환경정보를 제공하는 센서부; 및
    상기 환경정보에 포함된 상기 외부온도정보 또는 습도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열부는
    상기 하우징의 글래스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부착되는 제1 열선; 및
    상기 하우징의 글래스 표면에 수평방향으로 부착되는 제2 열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온도정보가 미리 설정된 설정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열선이 동작되도록 상기 발열부를 제어하고, 상기 습도정보가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열선이 동작되도록 상기 발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향상된 CCTV.
  2. 삭제
  3. 삭제
KR1020160136162A 2016-10-20 2016-10-20 시인성이 향상된 cctv KR101888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162A KR101888144B1 (ko) 2016-10-20 2016-10-20 시인성이 향상된 cctv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162A KR101888144B1 (ko) 2016-10-20 2016-10-20 시인성이 향상된 cctv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469A KR20180043469A (ko) 2018-04-30
KR101888144B1 true KR101888144B1 (ko) 2018-08-13

Family

ID=62081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162A KR101888144B1 (ko) 2016-10-20 2016-10-20 시인성이 향상된 cctv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1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124B1 (ko) 2019-08-19 2020-01-22 이정훈 옥외 노출형 cctv 카메라의 항온 항습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0798A (ja) * 2002-06-14 2004-01-22 Ricoh Co Ltd 防水型デジタルカメラ
JP2005215463A (ja) * 2004-01-30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装置および結露防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688B1 (ko) * 2004-12-02 2006-12-01 황의남 전방향 감시카메라 장치
KR101610824B1 (ko) * 2014-07-11 2016-04-21 (주)선인유니텍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일체형 카메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0798A (ja) * 2002-06-14 2004-01-22 Ricoh Co Ltd 防水型デジタルカメラ
JP2005215463A (ja) * 2004-01-30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装置および結露防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124B1 (ko) 2019-08-19 2020-01-22 이정훈 옥외 노출형 cctv 카메라의 항온 항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469A (ko) 201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289B1 (ko) Cctv 카메라 전면부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576434B1 (ko) 이물질 제거 및 하우징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cctv 카메라 장치 및 제어방법
KR101957794B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결로방지 시스템
JP5949490B2 (ja) 車両用センサ搭載構造及びシステム連携方法
US11454806B2 (en) Monitoring camera having a heater
WO2017179331A1 (ja) 車載光学装置および車載光学システム
KR102277896B1 (ko) 기능성 cctv 카메라 장치
US11509800B2 (en) On-board camera device
KR101291932B1 (ko) 가변식 보조광원이 설치된 cctv 카메라
EP2888627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clearing misting of the bubble in a security camera
KR101888144B1 (ko) 시인성이 향상된 cctv
KR102069124B1 (ko) 옥외 노출형 cctv 카메라의 항온 항습 장치
CN101384141B (zh) 具有防凝露功能的电子装置
KR101676444B1 (ko) 노측 설치식 다차로 구간 정보 수집 장치 및 방법
KR20110136536A (ko) 영상보정 시스템
CN107135342A (zh) 一种智能监控摄像机
KR20200001840A (ko) 김서림 방지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장치
KR101969054B1 (ko) 보안 카메라용 습기 제거 장치 및 습기 방지용 보안 카메라
KR101407549B1 (ko) 씨씨티브이
KR101667350B1 (ko) Cctv 카메라와 조명이 연동 가능한 보안 시스템
KR200474039Y1 (ko) 감시 카메라 하우징
RU52226U1 (ru) Устройство наблюдения
CN207939597U (zh) 一种网络设备用多功能监控设备
KR20100094838A (ko) 습기방지용 카메라
JP3075351U (ja) 監視用カメラの防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