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892B1 -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892B1
KR101858892B1 KR1020170010523A KR20170010523A KR101858892B1 KR 101858892 B1 KR101858892 B1 KR 101858892B1 KR 1020170010523 A KR1020170010523 A KR 1020170010523A KR 20170010523 A KR20170010523 A KR 20170010523A KR 101858892 B1 KR101858892 B1 KR 101858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decoupler
mode
drivin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훈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70010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3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auxiliary equipment, e.g. air-conditioning compressors or oi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V(Electric Vehicle) 주행모드, 일반 주행모드, 4WD(four Wheel Drive) 주행모드의 변경 시, 디커플러(Decoupler)에 압력을 가하는 모터(BLDC/BLAC)의 구동을 제어하여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에 인가되는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 및 펌프 어셈블러를 포함하는 모터 유닛과,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디커플러에 인가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속도에 기초하여 EV(Electric Vehicle) 주행모드, 일반 주행모드, 4WD(four Wheel Drive) 주행모드의 전환 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coupler Pressure Control Of Hybrid Vehicl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EV(Electric Vehicle) 주행모드, 일반 주행모드, 4WD(four Wheel Drive) 주행모드의 변경 시 디커플러(Decoupler)에 압력을 가하는 모터(BLDC/BLAC)의 구동을 제어하여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연비 달성과 배기가스를 절감시기키 위한 방안으로 엔진과 모터의 동력을 효율적으로 조합하여 주행하는 하이브리드 차량(HEV: hybrid Electric Vehicle)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차량은 모터의 출력으로만 주행하는 EV(electric vehicle) 주행모드, 엔진의 출력으로만 주행하는 일반 주행모드 및 모터와 엔진의 출력을 모두 이용하여 주행하는 4WD(four Wheel Drive) 주행모드를 효율적으로 조합하여 주행하게 된다.
EV 주행모드, 일반 주행모드 및 4WD 주행모드 간의 변경 시 디커플러(Decoupler)의 동작의 응답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압력 유닛의 모터를 상시 구동하여 디커플러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고 있다. 이러한, 모터의 상시 구동으로 인해 전력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146907(2014. 12. 29)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커플러에 상시 압력을 인가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EV 주행모드, 일반 주행모드 및 4WD 주행모드의 변경 시 차량 속도에 기초하여 디커플러에 인가되는 유압을 조절함으로써, 모터의 구동에 의한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에 인가되는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 및 펌프 어셈블러를 포함하는 모터 유닛과,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디커플러에 인가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속도에 기초하여 EV(Electric Vehicle) 주행모드, 일반 주행모드, 4WD(four Wheel Drive) 주행모드의 전환 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속도가 상기 일반 주행모드의 최저속도+3 Km/h 내지 +10Km/h를 초과 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반 주행모드와 상기 4WD 주행모드 간의 주행모드 전환 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속도가 상기 일반 주행모드의 최저속도 이상이면서 상기 일반 주행모드의 최저속도+3 Km/h 내지 +10Km/h 이하일 때,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디커플러에 2 내지 4바(Bar)의 압력을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EV 주행모드와 상기 4WD 주행모드 간의 주행모드 전환 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디커플러에 2내지 4바(Bar)의 압력을 유지시킨다.
앞에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방법은, 차량의 주행속도 정보, 주행모드 정보 및 주행모드 전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에 기초하여 EV(Electric Vehicle) 주행모드, 일반 주행모드, 4WD(four Wheel Drive) 주행모드의 전환 시 상기 압력을 생성시키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방법은, 상기 차량의 속도가 상기 일반 주행모드의 최저속도+3 Km/h 내지 +10Km/h를 초과 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방법은, 상기 일반 주행모드와 상기 4WD 주행모드 간의 주행모드 전환 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방법은, 상기 차량의 속도가 상기 일반 주행모드의 최저속도 이상이면서 상기 일반 주행모드의 최저속도+3 Km/h 내지 +10Km/h 이하일 때,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디커플러에 2 내지 4바(Bar)의 압력을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방법은, 상기 EV 주행모드와 상기 4WD 주행모드 간의 주행모드 전환 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디커플러에 2내지 4바(Bar)의 압력을 유지시킨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은 EV 주행모드, 일반 주행모드 및 4WD 주행모드의 변경 시 차량 속도에 기초하여 디커플러에 인가되는 유압을 조절함으로써, 모터의 구동에 의한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은 고속 일반 주행모드 구간에서 모터의 구동을 중지시켜 디커플러에 압력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시간당 5W의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일반 주행모드와 4WD 주행모드 간의 주행모드 전환이 이루어질 때, 모터의 구동을 중지시켜 디커플러에 압력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시간당 5W의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EV 주행모드, 일반 주행모드 및 4WD 주행모드에 따른 차량의 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EV 주행모와 4WD 주행모드 간의 주행모드 전환 시 디커플러에 인가되는 압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반 주행모드와 4WD 주행모드 간의 주행모드 전환 시 디커플러에 인가되는 압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적용을 통해 전력 손실이 감소하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 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가 적용된 하이브리드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차량은 엔진, 인휠 모터(구동 모터), 디커플러(엔진클러치), 변속기, 차동기어 장치, 배터리, 시동 모터, 발전 모터, 리어액슬 및 차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차량은 차량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제어기(HCU; hybrid control unit), 배터리를 관리 및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기(BCU; battery control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100)는 제어부(110) 및 모터 유닛(120)을 포함한다. 모터 유닛(120)은 모터(122, BLDC(Brushless Direct Current) 모터 또는 BLAC 모터) 및 펌프 어셈블러(124)를 포함하며, 모터(122)의 구동에 의해서 디커플러에 인가되는 압력을 조절한다.
도 1에서는 전륜 휠에 인휠 모터가 배치되어 EV 주행모두로 주행하고, 엔진의 출력이 후륜 휠에 전달되어 일반 주행모드로 주행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일 예로 도시하였다.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EV 주행모드, 일반 주행모드 및 4WD 주행모드 간의 주행모드 전환에 따라서 디커플러에 인가되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차량의 속도(차속)에 기초하여 모터 유닛(120)의 모터(122)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서, 차속을 제어하는 제1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 차량의 현재 속도에 대한 정보가 제어부(110)에 수신되고, 제어부(110)는 수신된 차속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 유닛(120)의 모터(12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10)는 EV 주행모드, 일반 주행모드 및 4WD 주행모드 간의 주행모드 전환 시 디커플러에 인가되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차량의 속도(차속)에 기초하여 모터 유닛(120)의 모터(122)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차량의 주행모드 상태 및 주행모드 전환을 제어하는 제2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부터 차량의 현재 주행모드 및 주행모드의 전환에 대한 정보가 제어부(110)에 수신되고, 제어부(110)는 수신된 주행모드 정보 및 주행모드 전환 정보에 기초하여 모터 유닛(120)의 모터(12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EV 주행모드, 일반 주행모드 및 4WD 주행모드에 따른 차량의 속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의 표 1과 도 3을 참조하여 차량의 속도(차속)에 기초하여 제어부(110)가 모터 유닛(120)의 모터(122)의 구동을 제어하는 여러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디커플러는 압력이 인가될 때 클러치가 해제(Disengage)되고 디커플러에 압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클러치가 연결(engage)된다.
EV 주행모드 구간에서 제어부(110)는 모터 유닛(120)의 모터(122)를 구동시키고, 모터 유닛(120)은 17바(Bar)의 압력을 디커플러에 인가하여 디커플러를 클러치 해제(Disengage) 상태로 유지시킨다. 여기서, EV 주행모드에서 반드시 모터 유닛(120)이 디커플러에 17Bar의 압력을 인가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디커플러의 클러치를 해제시킬 수 있는 압력을 디커플러에 인가하는 것으로 15Bar~20Bar의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일반 주행모는 저속 일반 주행모드(제1 일반 주행모드)와 고속 일반 주행모드(제2 일반 주행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저속 일반 주행모드는 EV 주행모드의 최대 속도 이상이면서 일반 주행모드의 최저속도 +5Km/h(EV 주행모드의 최대 속도 +5Km/h) 이하의 속도로 차량이 주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고속 일반 주행모드는 일반 주행모드의 최저속도 +5Km/h를 초과하는 속도로 차량이 주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저속 일반 주행모드의 상한이 반드시 일반 주행모드의 최저속도 +5Km/h(EV 주행모드의 최대 속도 +5Km/h)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 저속 주행모드의 최저속도 +3 Km/h 내지 +10Km/h(EV 주행모드의 최대 속도 +3 Km/h 내지 +10Km/h)의 범위에서 저속 주행모드의 상한이 설정될 수 있다.
저속 일반 주행모드 구간에서 제어부(110)는 모터 유닛(120)의 모터(122)를 구동시키고, 모터 유닛(120)은 3바(Bar)의 압력을 디커플러에 인가하여 디커플러를 클러치 연결(engage) 상태로 유지시킨다. 즉, 저속 일반 주행모드 구간에서는 모터(122)를 상시 구동시켜 3Bar의 압력을 유지시킨다. 여기서, 저속 일반 주행모드에서 반드시 모터 유닛(120)이 디커플러에 3Bar의 압력을 인가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디커플러의 클러치를 연결시킬 수 있는 압력을 디커플러에 인가하는 것으로 2Bar~4Bar의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고속 일반 주행모드에서 EV 주행모드로 전환이 일어나지 않음으로 디커플러의 응답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모터(122)를 상시 구동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고속 일반 주행모드 구간에서 제어부(110)는 모터 유닛(120)의 모터(122)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모터 유닛(120)은 0바(Bar)의 압력을 유지한다. 즉, 디커플러에 압력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여 디커플러를 클러치 연결(engage)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고속 일반 주행모드 구간에서는 모터(122)의 구동을 중지시켜 시간당 5W의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Figure 112017007927412-pat00001
도 4는 EV 주행모와 4WD 주행모드 간의 주행모드 전환 시 디커플러에 인가되는 압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의 속도 또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서 EV 주행모드와 4WD 주행모드 간의 주행모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EV 주행모드에서 제어부(110)는 모터(122)의 구동을 제어하여 17Bar의 압력을 디커플러에 유지시키고, 디커플러는 클러치 해제 상태를 유지한다.
EV 주행모드에서 4WD 주행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질 때, 제어부(110)는 모터(122)의 구동을 제어하여 3Bar의 압력을 디커플러에 유지시키고, 디커플러는 클러치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통해, 인휠 모터에 의해서 전류 휠에 출력이 전달되어 전류 휠이 회전하고, 엔진의 출력이 후륜 휠에 전달되어 후륜 휠이 회전하여 4WD 주행모드로 차량이 주행하게 된다.
반대로, 4WD 주행모드에서 제어부(110)는 모터(122)를 구동을 제어하여 3Bar의 압력을 디커플러에 유지시키고, 디커플러는 클러치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4WD 주행모드에서 EV 주행모드로 전화이 이루어질 때, 제어부(110)는 모터(122)의 구동을 제어하여 17Bar의 압력을 디커플러에 유지시키고, 디커플러는 클러치 해제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통해, 인휠 모터에 의해서 전류 휠에 출력이 전달되어 전류 휠이 회전하여 EV 주행모드로 차량이 주행하게 된다.
도 5는 일반 주행모드와 4WD 주행모드 간의 주행모드 전환 시 디커플러에 인가되는 압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의 속도 또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서 일반 주행모드와 4WD 주행모드 간의 주행모드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 주행모드에서 제어부(110)는 모터(122)의 구동을 중지시켜 0Bar의 압력을 유지시킨다. 즉, 일반 주행모드에서는 디커플러에 압력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여 디커플러는 클러치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일반 주행모드에서 4WD 주행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질 때, 제어부(110)는 모터(122)의 구동을 중지시켜 0Bar의 압력을 유지시킨다. 즉, 4WD 주행모드에서는 디커플러에 압력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여 디커플러는 클러치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통해, 인휠 모터에 의해서 전류 휠에 출력이 전달되어 전류 휠이 회전하고, 엔진의 출력이 후륜 휠에 전달되어 후륜 휠이 회전하여 4WD 주행모드로 차량이 주행하게 된다.
반대로, 4WD 주행모드에서 제어부(110)는 모터(122)의 구동을 중지시켜 0Bar의 압력을 유지시킨다. 즉, 4WD 주행모드에서는 디커플러에 압력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여 디커플러는 클러치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4WD 주행모드에서 일반 주행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질 때, 제어부(110)는 모터(122)의 구동을 중지시켜 0Bar의 압력을 유지시킨다. 즉, 일반 주행모드에서는 디커플러에 압력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여 디커플러는 클러치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인휠 모터는 구동하지 않아 전륜 휠에 출력이 전달되지 않고, 엔진의 출력이 후륜 휠에 전달되어 후륜 휠이 회전하여 일반 주행모드로 차량이 주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반 주행모드와 4WD 주행모드 간의 전환 시 모터(122)의 구동을 중지시켜 시간당 5W의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의 적용을 통해 전력 손실이 감소하는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은 고속 일반 주행모드 구간에서 제어부(110)는 모터(122)의 구동을 중지시켜 디커플러에 압력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전력 손질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를 상시 구동시켜 3bar의 압력을 유지시키는 것과 대비할 때, 고속 일반 주행모드 구간에서는 모터(122)의 구동을 중지시켜 시간당 5W의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일반 주행모드와 4WD 주행모드 간의 주행모드 전환이 이루어질 때, 제어부(110)는 모터(122)의 구동을 중지시켜 디커플러에 압력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전력 손질을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를 상시 구동시켜 3bar의 압력을 유지시키는 것과 대비할 때, 일반 주행모드와 4WD 주행모드 간의 주행모드 전환 시 모터(122)의 구동을 중지시켜 시간당 5W의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것은 하나 이상의 실시 예의 실례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실시 예들을 설명할 목적으로 컴포넌트들 또는 방법들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기술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당 업자들은 다양한 실시 예의 많은 추가 조합 및 치환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한 실시 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진의 및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대안, 변형 및 개조를 포함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서 "포함한다"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범위에 대해, 이러한 용어는 "구성되는"이라는 용어가 청구범위에서 과도적인 단어로 사용될 때 해석되는 것과 같이 "구성되는"과 비슷한 식으로 포함되는 것이다.
100: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110: 제어부
120: 모터 유닛
122: 모터
124: 펌프 어셈블러

Claims (10)

  1.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에 인가되는 압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 및 펌프 어셈블러를 포함하는 모터 유닛; 및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디커플러에 인가되는 압력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주행속도에 기초하여 EV(Electric Vehicle) 주행모드, 일반 주행모드, 4WD(four Wheel Drive) 주행모드의 전환 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속도가 상기 일반 주행모드의 최저속도+3 Km/h 내지 +10Km/h를 초과 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반 주행모드와 상기 4WD 주행모드 간의 주행모드 전환 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속도가 상기 일반 주행모드의 최저속도 이상이면서 상기 일반 주행모드의 최저속도+3 Km/h 내지 +10Km/h 이하일 때,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디커플러에 2 내지 4바(Bar)의 압력을 유지시키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EV 주행모드와 상기 4WD 주행모드 간의 주행모드 전환 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디커플러에 2내지 4바(Bar)의 압력을 유지시키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6.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에 인가되는 압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속도 정보, 주행모드 정보 및 주행모드 전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주행속도에 기초하여 EV(Electric Vehicle) 주행모드, 일반 주행모드, 4WD(four Wheel Drive) 주행모드의 전환 시 상기 압력을 생성시키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상기 일반 주행모드의 최저속도+3 Km/h 내지 +10Km/h를 초과 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주행모드와 상기 4WD 주행모드 간의 주행모드 전환 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중지시키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속도가 상기 일반 주행모드의 최저속도 이상이면서 상기 일반 주행모드의 최저속도+3 Km/h 내지 +10Km/h 이하일 때,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디커플러에 2 내지 4바(Bar)의 압력을 유지시키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방법.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EV 주행모드와 상기 4WD 주행모드 간의 주행모드 전환 시,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디커플러에 2내지 4바(Bar)의 압력을 유지시키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방법.
KR1020170010523A 2017-01-23 2017-01-23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58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523A KR101858892B1 (ko) 2017-01-23 2017-01-23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523A KR101858892B1 (ko) 2017-01-23 2017-01-23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892B1 true KR101858892B1 (ko) 2018-05-17

Family

ID=6248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523A KR101858892B1 (ko) 2017-01-23 2017-01-23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8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3050B1 (ko) 2009-12-04 2012-08-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오일펌프의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5075177B2 (ja) 2009-10-13 2012-11-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油圧式走行車両
KR101266602B1 (ko) 2005-02-03 2013-05-22 리텐스 오토모티브 파트너쉽 토크 제한 디커플러
JP2015174602A (ja) 2014-03-18 2015-10-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602B1 (ko) 2005-02-03 2013-05-22 리텐스 오토모티브 파트너쉽 토크 제한 디커플러
JP5075177B2 (ja) 2009-10-13 2012-11-1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油圧式走行車両
KR101173050B1 (ko) 2009-12-04 2012-08-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동식 오일펌프의 구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5174602A (ja) 2014-03-18 2015-10-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13891B (zh) 用于运行驱动机构的方法和装置
CN104955697B (zh) 用于运行机动车的混合动力驱动传动系的方法、相应的混合动力驱动传动系以及机动车
JP5373371B2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制御装置
CN103946603B (zh) 用于控制机动车传动系的装置
JP6008425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オートクルーズ制御装置
JP5912136B2 (ja) 自動車、自動車の動力伝達経路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1508693A (ja) ハイブリッド駆動部を備えた車両のクリープモードの制御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3183024B (zh) 一种混合动力车辆模式切换扭矩控制方法
CN104936846A (zh) 控制系统及方法
CN101240848A (zh) 车辆驱动装置
JP4760756B2 (ja) 車両用回生制動装置
KR101631118B1 (ko) 차량의 하이브리드 구동장치
KR100992721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토크 저감 방법
CN104875742A (zh) 双模混合动力汽车的坡起控制方法、系统及混合动力汽车
JP2015058783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US10300910B2 (en) Apparatus for driving rear-wheels of environment-friendly vehicle
JP2014111413A (ja)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走行制御装置
JP4760757B2 (ja) 車両用駆動装置
KR101858892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디커플러 압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7054043B (zh) 动力传动系统和具有该动力传动系统的车辆及控制该车辆的方法
JP2011031698A (ja) ハイブリッド四輪駆動車の回生制動力制御装置
CN112672941A (zh) 在车轮打滑的情况下用于驱动机动车辆的动力总成的方法
JP7042757B2 (ja) ハイブリッドパワートレインの電気トラクションチェーンで利用可能な電力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CN204870527U (zh) 一种车辆及其混合动力系统
CN105564417A (zh) 电动汽车的动力系统、电动汽车和电动汽车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