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820B1 - 진공펌프 - Google Patents

진공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820B1
KR101858820B1 KR1020160103478A KR20160103478A KR101858820B1 KR 101858820 B1 KR101858820 B1 KR 101858820B1 KR 1020160103478 A KR1020160103478 A KR 1020160103478A KR 20160103478 A KR20160103478 A KR 20160103478A KR 101858820 B1 KR101858820 B1 KR 101858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inlet
air
wall
vacuum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9305A (ko
Inventor
김초원
황양호
나성준
Original Assignee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비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3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8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19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9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6Centrifugal pumps for displacing without appreciable compression
    • F04D17/168Pumps specially adapted to produce a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083Sealing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펌프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진공펌프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는 펌프수단 및 캡을 포함한다. 상기 펌프수단은 펌프프레임과 로터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펌프프레임은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하면에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수용부의 상면에 제1유출구와 상기 제1수용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1수용부를 감싸는 제2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의 상면에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수용부의 하면에 제2유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로터부재는 상기 제1유입구로 공기를 흡입시키고 상기 제1유출구로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수용부에 수용된다. 상기 캡은 상기 제1유출구로 유출된 공기를 상기 제2수용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2유입구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파티션이 돌기되어 상기 펌프프레임의 상부를 감싼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는 상기 제2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수용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흘러서 상기 제2유출구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유출구는 반경방향으로 서로 반대의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프레임은 캠링부재 및 플레이트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링부재는 내벽부와 외벽부를 구비한다. 상기 내벽부는 상기 제1수용부의 외벽을 형성하는 링 형상이다. 상기 외벽부는 상기 제2수용부의 외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벽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내벽부를 링 형상으로 감싼다. 상기 플레이트부재는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2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캠링부재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캠링부재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는 상기 제2수용부를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도록 상기 내벽부의 길이방향으로 중간에서 연장되며, 상기 상부와 상기 하부가 연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유로의 길이를 길게 하기 위하여 상기 파티션이 교대로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복수 개가 돌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에 있어서, 하우징수단 및 커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수단은 흡입관 및 배출관을 구비하여 상기 펌프수단의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 흡입관은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유입구로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입구에 연결된다. 상기 배출관은 상기 제2유출구로 배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유출구와 연결된다. 상기 커버수단은 상기 펌프수단 및 상기 캡을 수용하여 감싸서 상기 하우징수단에 결합된 커버와 상기 로터부재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와 상기 캡 사이에 위치한 오링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터부재에 의해서 제1유출구로 배출된 공기는 파티션이 형성된 캡을 따라 유동한 후 로터부재를 감싸는 캠링부재를 따라 유동하여 배출된다. 그래서 고압의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가 길어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로터부재를 감싸는 캠링부재의 내부로 공기가 유동된다. 그래서 캠링부재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가 로터부재의 고속회전에 의하여 발생된 열을 식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와 캡 사이에 위치한 오링을 구비함으로 인하여 로터부재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펌프{Vacuum pump}
본 발명은 진공펌프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진공펌프에 대한 것이다.
차량에 설치된 진공펌프는 로터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진공을 형성하고, 압축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종래의 진공펌프는 로터부재의 고속 회전에 의하여 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진공펌프는 로터부재에서 발생된 고압의 공기가 배출되면서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307912호(등록일자 2013년09월06일) 등록특허 제10-1238762호(등록일자 2013년02월25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음을 저감 시킬 수 있는 진공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터부재에 의하여 발생한 열을 식힐 수 있는 진공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는 펌프수단 및 캡을 포함한다. 상기 펌프수단은 펌프프레임과 로터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펌프프레임은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하면에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수용부의 상면에 제1유출구와 상기 제1수용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1수용부를 감싸는 제2수용부와 상기 제2수용부의 상면에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수용부의 하면에 제2유출구가 형성된다. 상기 로터부재는 상기 제1유입구로 공기를 흡입시키고 상기 제1유출구로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수용부에 수용된다. 상기 캡은 상기 제1유출구로 유출된 공기를 상기 제2수용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2유입구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파티션이 돌기되어 상기 펌프프레임의 상부를 감싼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는 상기 제2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수용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흘러서 상기 제2유출구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유출구는 반경방향으로 서로 반대의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프레임은 캠링부재 및 플레이트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링부재는 내벽부와 외벽부를 구비한다. 상기 내벽부는 상기 제1수용부의 외벽을 형성하는 링 형상이다. 상기 외벽부는 상기 제2수용부의 외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벽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내벽부를 링 형상으로 감싼다. 상기 플레이트부재는 상기 제1유출구와 상기 제2유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캠링부재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유출구가 형성되어 상기 캠링부재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는 상기 제2수용부를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도록 상기 내벽부의 길이방향으로 중간에서 연장되며, 상기 상부와 상기 하부가 연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유로의 길이를 길게 하기 위하여 상기 파티션이 교대로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복수 개가 돌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에 있어서, 하우징수단 및 커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수단은 흡입관 및 배출관을 구비하여 상기 펌프수단의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 흡입관은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유입구로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입구에 연결된다. 상기 배출관은 상기 제2유출구로 배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유출구와 연결된다. 상기 커버수단은 상기 펌프수단 및 상기 캡을 수용하여 감싸서 상기 하우징수단에 결합된 커버와 상기 로터부재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와 상기 캡 사이에 위치한 오링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터부재에 의해서 제1유출구로 배출된 공기는 파티션이 형성된 캡을 따라 유동한 후 로터부재를 감싸는 캠링부재를 따라 유동하여 배출된다. 그래서 고압의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가 길어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로터부재를 감싸는 캠링부재의 내부로 공기가 유동된다. 그래서 캠링부재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가 로터부재의 고속회전에 의하여 발생된 열을 식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와 캡 사이에 위치한 오링을 구비함으로 인하여 로터부재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펌프프레임의 단면의 개념도,
도 4는 도 1의 캡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커버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차량에 설치되는 진공펌프는 로터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내부에 진공을 형성하고, 압축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종래에는 로터부재의 고속 회전에 의하여 열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고압의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는 하우징수단(100), 펌프수단(200), 캡(300) 및 커버수단(400)을 포함한다.
하우징수단(100)은 흡입관(110) 및 배출관(130)을 구비한다. 흡입관(110)은 외부의 공기를 진공펌프의 내부로 안내하며, 제1유입구(218a)에 연결된다. 배출관(130)은 진공펌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제2유출구(218b)와 연결된다.
펌프수단(200)은 펌프프레임(210) 및 로터부재(230)를 구비한다. 펌프프레임(210)은 로터부재(230)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214)와 로터부재(230)의 외부에서 공기를 유동시키는 제2수용부(215)가 형성되며, 제1수용부(214) 및 제2수용부(215)를 형성하기 위하여 캠링부재(211) 및 플레이트부재(216)를 구비한다.
캠링부재는(211)는 내벽부(212) 및 외벽부(213)를 구비한다. 내벽부(212)는 링 형상으로 제1수용부(214)의 외벽을 형성한다. 외벽부(213)는 내벽부(21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제2수용부(215)가 형성될 수 있도록 내벽부(212)에서 연장되어 제2수용부(215)의 외벽을 형성한다. 이때 외벽부(213)는 제2수용부(215)가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도록 내벽부(212)의 길이 방향의 중간에서 연장된다. 그리고 외벽부(213)는 일측에 상부와 하부가 연통되도록 관통공(213a)이 형성되고, 타측(213b)이 상부와 하부로 유동된 공기가 합쳐져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2유입구(217a)로 유입된 공기는 일부는 제2수용부(215)의 상부를 따라 흐르고, 나머지는 관통공(213a)을 통하여 제2수용부(215)의 하부로 안내되어 하부를 따라 흐른다. 캠링부재(211)는 로터부재(230)를 수용하고, 로터부재(230)의 외부에 위치한 제2수용부(215)의 내부로 공기를 유동시키므로 로터부재(230)의 고속회전으로 인하여 발생된 열을 식힐 수 있다.
플레이트부재(216)는 상부플레이트(217) 및 하부플레이트(218)를 구비한다. 상부플레이트(217)는 제1수용부(214)의 공기를 캡(300)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1유출구(217b)와 캡(300)의 공기를 제2수용부(215)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2유입구(217a)가 형성되어 캠링부재(211)의 상부에 결합된다. 하부플레이트(218)는 흡입관(110)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제1수용부(214)로 유입시키기 위한 제1유입구(218a)와 캠링부재(21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2유출구(218b)가 형성되어 캠링부재(211)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때, 제2유입구(217a)로 유입된 공기는 일부가 관통공(213a)을 통하여 제2수용부(215)의 하부로 안내되어야 하므로 제2유입구(217a)는 관통공(213a)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제2유출구(218b)는 제2수용부(215)를 따라 유동한 공기가 외벽부(213)의 절개된 타측(213b)을 통하여 배출되어야 하므로 제2유입구(217a)와 반경방향으로 서로 반대에 위치한 타측(213b)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그래서 제2수용부(215)로 유입된 공기는 제1수용부(21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흘러서 제2유출구(218b)로 배출된다.
로터부재(23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관(110)을 통해 제1유입구(217a)로 흡입시키고 흡입된 공기를 제1유출구(217b)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1수용부(214)에 수용된다.
캡(300)은 제1유출구(217b)로 유출된 공기를 제2수용부(215)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캡(300)은 복수 개의 돌기된 파티션(310)이 교대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그래서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캡(300)은 플라스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가 짧게 형성되어 있어 고압의 공기가 그대로 배출되므로 소음이 크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고압의 공기가 우회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유로를 길게 형성하여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커버수단(400)은 커버(410) 및 오링(430)을 구비한다. 커버(410)는 펌프수단(200) 및 캡(300)을 수용하여 감싸고 하우징수단(100)에 결합된다. 오링(430)은 로터부재(23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커버(410)와 캡(300) 사이에 위치한다.
외부의 공기는 로터부재(211)에 의하여 흡입관(110)을 통하여 제1유입구(218a)로 유입되어 제1유출구(217b)로 배출되어 캡(300)으로 유입된다. 상기 공기는 파티션(31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파티션(310)은 복수 개가 교대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로가 길게 형성되어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파티션(310)을 따라 이동한 공기는 제2유입구(217a)를 통하여 캠링부재(211)로 유입된다. 캠링부재(211)로 유입된 공기는 캠링부재(211)에 형성된 관통공(213a)에 의하여 제2수용부(215)의 원주를 따라 상하로 나누어져 흐르게 된다. 그리고 나면 상기 공기는 제2유출구(218b)로 유출되어 배출관(13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펌프는 고압의 공기가 배출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100 : 하우징수단 110 : 흡입관
130 : 배출관 200 : 펌프수단
210 : 펌프프레임 211 : 캠링부재
212 : 내벽부 213 : 외벽부
213a : 관통공 213b : 외벽부의 타측
214 : 제1수용부 215 : 제2수용부
216 : 플레이트부재 217 : 상부플레이트
217a : 제2유입구 217b : 제1유출구
218 : 하부플레이트 218a : 제1유입구
218b : 제2유출구 230 : 로터부재
300 : 캡 310 : 파티션
400 : 커버수단 410 : 커버
430 : 오링

Claims (5)

  1. 내부에 제1수용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수용부의 외벽을 형성하는 링 형상의 내벽부와 상기 제1수용부를 감싸는 제2수용부의 외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벽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내벽부를 링 형상으로 감싸는 외벽부를 구비하는 캠링부재와, 상기 제1수용부의 상면에 제1유출구와 상기 제2수용부의 상면에 제2유입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캠링부재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제1수용부의 하면에 제1유입구와 상기 제2수용부의 하면에 제2유출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캠링부재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플레이트부재를 구비하는 펌프프레임과, 상기 제1유입구로 공기를 흡입시키고 상기 제1유출구로 흡입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수용부에 수용된 로터부재를 구비하는 펌프수단과,
    상기 제1유출구로 유출된 공기를 상기 제2수용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2유입구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파티션이 돌기되어 상기 펌프프레임의 상부를 감싸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제2유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수용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흘러서 상기 제2유출구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유출구는 반경방향으로 서로 반대의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는 상기 제2수용부를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도록 상기 내벽부의 길이방향으로 중간에서 연장되며, 상기 상부와 상기 하부가 연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유로의 길이를 길게 하기 위하여 상기 파티션이 교대로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복수 개가 돌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유입구로 흡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유입구에 연결된 흡입관과, 상기 제2유출구로 배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유출구와 연결된 배출관을 구비하여 상기 펌프수단의 하부에 장착된 하우징수단과,
    상기 펌프수단 및 상기 캡을 수용하여 감싸서 상기 하우징수단에 결합된 커버와, 상기 로터부재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와 상기 캡 사이에 위치한 오링을 구비하는 커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펌프.
  5. 삭제
KR1020160103478A 2016-08-16 2016-08-16 진공펌프 KR101858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478A KR101858820B1 (ko) 2016-08-16 2016-08-16 진공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478A KR101858820B1 (ko) 2016-08-16 2016-08-16 진공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305A KR20180019305A (ko) 2018-02-26
KR101858820B1 true KR101858820B1 (ko) 2018-05-16

Family

ID=6153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478A KR101858820B1 (ko) 2016-08-16 2016-08-16 진공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8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626B1 (ko) * 2009-06-18 2010-04-20 캄텍주식회사 차량용 진공펌프
KR101530568B1 (ko) * 2013-12-10 2015-06-22 영신정공 주식회사 소음 감소를 위한 전동 진공 펌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626B1 (ko) * 2009-06-18 2010-04-20 캄텍주식회사 차량용 진공펌프
KR101530568B1 (ko) * 2013-12-10 2015-06-22 영신정공 주식회사 소음 감소를 위한 전동 진공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9305A (ko) 2018-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96460B (zh) 电动力单元
US10350615B2 (en) Centrifuge with gaseous coolant channel
US10514037B2 (en) Liquid feeding type screw compressor
US20170149307A1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CN109419446A (zh) 马达模块以及吸尘器
US10570900B2 (en) Oil separation barrel, screw compressor and air conditioning unit
US20190290081A1 (en) Blower and vacuum cleaner
US20190069741A1 (en) Motor module and vacuum cleaner
US20180110384A1 (en) Motor module and vacuum cleaner
US11033163B2 (en) Motor module and vacuum cleaner
JP2013137004A (ja) 圧縮機
KR101858820B1 (ko) 진공펌프
US11283330B2 (en) Integrated apparatus of water-cooled motor and driver
KR101205327B1 (ko) 멀티관을 구비한 수중펌프
US9818392B2 (en) Suction unit
KR101926474B1 (ko) 워터 펌프
JP6234906B2 (ja) パッケージ型流体機械
US20220034328A1 (en) Radial ventilator
CN114645830B (zh) 弹性体及包括其的线性压缩机
KR20220029441A (ko) 유체 전달 회로를 위한 와류 분리 장치
JP2019065708A (ja) ポンプ
CN210043847U (zh) 用于料理机的静音罩以及料理机
JP2019161736A (ja) 冷却器付き電動機
JP2023035696A (ja) 放熱装置及び冷却装置
JP6405625B2 (ja) 液体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