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343B1 - 통전직물 구조체 - Google Patents
통전직물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8343B1 KR101858343B1 KR1020160064836A KR20160064836A KR101858343B1 KR 101858343 B1 KR101858343 B1 KR 101858343B1 KR 1020160064836 A KR1020160064836 A KR 1020160064836A KR 20160064836 A KR20160064836 A KR 20160064836A KR 101858343 B1 KR101858343 B1 KR 1018583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clination
- slope
- weft yarn
- weft
- fabric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antistatic; electrically conductive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6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warp or weft elements other than yarns or threads
- D03D15/67—Metal wire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20—Metallic fibre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 D10B2503/062—Fitted bed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는, 소정의 외력이 인가되면, 전기적으로 연결된 통전감지장치에 의해 통전반응의 결과가 획득되도록 하는 통전직물 구조체 - 상기 통전직물 구조체는, 위사와 경사가 교착되어 형성됨 - 에 있어서, 상기 경사는, 제1 경사와 제2 경사 및 상기 제1 경사와 상기 제2 경사 사이에 배치되는 제3 경사를 구비하고, 상기 위사는, 상기 제1 경사, 상기 제2 경사 및 상기 제3 경사를 부출(浮出, float, raise) 또는 침입(沈入, Sink)하여 상기 통전직물 구조체가 직조되도록 하며, 상기 제1 경사와 상기 제2 경사는, 상기 통전감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통전직물 구조체에 인가된 상기 소정의 외력에 의해 상기 통전감지장치가 통전반응의 결과가 획득되도록, 전도성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3 경사는, 상기 제1 경사와 상기 제2 경사가 상기 통전감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외력이 상기 통전직물 구조체에 인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경사와 상기 제2 경사의 접촉을 방지하여 상기 접촉에 의한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비전도성의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전직물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통전반응 목적으로 제조되어 센서모듈, 전자호구 및 각종 텍스타일 센서모듈에 활용되는 통전직물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직물(원단 또는 텍스타일)은 의류, 침구류 등으로 우리의 일상 생활에 밀접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직물에 전자기술이 접목되면 발열 의류, 전자호구 등의 새로운 기능을 갖는 스마트 직물이 가능해진다.
전자기술이 접목된 직물 중 직물을 터치하면 즉, 직물에 외력이 가해지면 그 터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 기능을 갖는 직물이 있다.
직물 터치 센서에 관한 종래기술은 전도성의 감압성 직물(한국공개특허 제2003-0032932호)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직물을 구성하는 원단으로서 서로 위아래로 엇갈려 지나가 교차하면서 직조되는 위사들과 경사들에서 일부의 위사와 경사를 전도체로 하여, 외부에서 압력이 가해진 때에 접촉된 위사와 경사가 발하는 전기적 신호로 외력이 가해진 부위(즉, 터치된 위치)를 센싱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서로 교차하면서 직조되는 전도체의 위사와 경사가 평상시(즉, 외력이 없는 상태)에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도체의 위사와 경사 외주연에 얇은 절연성의 야안(이하 '절연사'라고 한다.)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센싱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직물의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센싱 기능을 하는 전도체를 위사와 경사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직물에서 위사는 경사들을 하나씩 위아래로 엇갈려 지나가면서 횡방향으로 짜이고, 경사는 위사들을 하나씩 위아래로 엇갈려 지나가면서 종방향으로 짜이는 것으로서, 위사와 경사는 직조되어 짜이기에 서로 긴밀하고 강하게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전도체의 위사와 경사가 외력이 없어도 텍스타일 자체의 성질상 서로 접촉되기 쉽고,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접촉되어 있는 때에는 센서(또는 스위치)로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그래서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전도체의 위사와 경사가 서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도체 위사와 경사의 외주연에 절연사가 나선형 또는 일자형으로 둘러싸도록 하여,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전도체 위사의 절연사와 전도체 경사의 절연사가 접촉되어 위사와 경사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외력이 가해지면 전도체 위사와 경사가 절연사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서로 접촉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절연사가 전도체 위사와 경사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하더라도, 위사와 경사는 서로 위아래서 지나가면서 교차 직교하여 짜이는 관계로 서로 간의 밀착력이 강해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전도체 위사와 경사가 접촉될 소지가 크고,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전도체 위사와 경사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즉, 전도체 위사와 경사 표면과 절연사 표면 간의 이격거리를 늘림) 두꺼운 절연사를 사용하게 되면 작은 힘의 외력이 가해지는 때에 전도체 위사와 경사가 접촉되지 아니하기 쉽고, 강한 외력이 가해지는 때에는 전도체 위사와 경사의 변형 범위가 커 전도체 위사와 경사가 단선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전도체 위사와 경사가 서로 위아래를 엇갈려 지나가 직조되는 꼬인 구조로 이루어져, 외력이 가해지는 때에 경위사 모두에 부하가 걸리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부위의 위사와 경사도 장력을 받게 되어 전도체 위사와 경사의 단선이 발생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사와 경사로 직조되는 직물이 통전 가능하도록 하며, 기 설정된 크기로 직물을 제단 시, 제단이 용이한 통전직물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는, 소정의 외력이 인가되면, 전기적으로 연결된 통전감지장치에 의해 통전반응의 결과가 획득되도록 하는 통전직물 구조체 - 상기 통전직물 구조체는, 위사와 경사가 교착되어 형성됨 - 에 있어서, 상기 경사는, 제1 경사와 제2 경사 및 상기 제1 경사와 상기 제2 경사 사이에 배치되는 제3 경사를 구비하고, 상기 위사는, 상기 제1 경사, 상기 제2 경사 및 상기 제3 경사를 부출(浮出, float, raise) 또는 침입(沈入, Sink)하여 상기 통전직물 구조체가 직조되도록 하며, 상기 제1 경사와 상기 제2 경사는, 상기 통전감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통전직물 구조체에 인가된 상기 소정의 외력에 의해 상기 통전감지장치가 통전반응의 결과가 획득되도록, 전도성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3 경사는, 상기 제1 경사와 상기 제2 경사가 상기 통전감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외력이 상기 통전직물 구조체에 인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경사와 상기 제2 경사의 접촉을 방지하여 상기 접촉에 의한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비전도성의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의 상기 제3 경사는, 상기 제1 경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1 경사 및 상기 제2 경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2 경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의 상기 위사는, 상기 제1 경사가 침입하고 상기 제2 경사가 부출되는 제1 위사 및 상기 제1 경사가 부출되고 상기 제2 경사가 침입하는 제2 위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의 상기 제3-1 경사는, 상기 제1 위사에 부출되고, 상기 제2 위사에 침입하며, 상기 제3-2 경사는, 상기 제1 위사에 침입하고, 상기 제2 위사에 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의 상기 경사는, 상기 제2 경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경사 및 상기 제2 경사와 상기 제4 경사 사이에 배치되는 제5 경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5 경사는, 상기 제2 경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5-1 경사 및 상기 제4 경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5-2 경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의 상기 제1 위사는, 상기 제5-1 경사가 침입하고 상기 제5-2 경사가 부출되며 상기 제4 경사가 침입하고, 상기 제2 위사는, 상기 제5-1 경사가 부출되고 상기 제5-2 경사가 침입하며 상기 제4 경사가 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는, 상기 제1 경사의 전기적 극성과 상기 제2 경사의 전기적 극성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는, 상기 제1 경사는, 상기 위사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위사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외면을 따라 돌출된 나선형의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의 상기 제1 경사 및 상기 제2 경사 중 적어도 하나는,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의 상기 제3 경사는, 나일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에 의하면, 통전반응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전도성 섬유를 경사로 배치하여 커터기에 의한 제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을 구성하는 위사와 경사의 직조구조가 치밀하여 외력에 의한 직물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통전반응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전도성 섬유 간의 접촉을 방지하여 통전반응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정확하게 통전감지장치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위사와 경사가 형성하는 직물의 외관이 수려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은 도 3의 경사 및 위사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의 위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은 도 3의 경사 및 위사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의 위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의 평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1)(이하 구조체)는 통전감지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조체(1)와 상기 통전감지장치의 전기적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통전반응 센서모듈, 전자호구 및 각종 텍스타일 센서모듈에 적용되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구조체(1)와 상기 통전감지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구조체(1)에 소정의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구조체(1)의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제1 경사(110)와 제2 경사(120) 사이에 축적된 정전용량(전기 도체 또는 도체들의 집합의 성질로서 단위 전압의 변화로 이 도체에 충전될 수 있는 서로 분리된 전하의 양)이 변화되며, 상기 통전감지장치는 상기 구조체(1)의 통전반응의 결과 즉, 상기 제1 경사(110)와 제2 경사(120) 사이에 변화된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계측하여 상기 구조체(1)에 인가된 외력의 유/무 또는 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경사(110)의 전기적 성질(극성)은 상기 제2 경사(120)의 전기적 성질(극성)과 상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경사(110)가 양의 전극이라면 상기 제2 경사(120)는 음의 전극일 수 있다.
또한, 통전감지장치에 의한 구조체(1)에 인가된 외력을 감지하기 위해, 각각 상이한 전기적 성질을 띄는 상기 제1 경사(110)와 상기 제2 경사(120) 사이에 도체를 접촉하여 상기 도체가 상기 제1 경사(110)와 상기 제2 경사(120)의 브릿지 역할을 하여 전류의 유/무를 감지함으로써, 구조체(1)에 인가된 외력의 유/무를 계측할 수도 있다.
즉, 인체는 도체이므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상기 제1 경사(110)와 상기 제2 경사(120)에 인체의 일부가 동시에 접촉하면, 상기 제1 경사(110), 상기 제2 경사(120) 및 접촉한 인체의 일부는 일종의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여 상기 제1 경사(110)와 상기 제2 경사(120)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통전감지장치는 이러한 전류를 감지하여 구조체(1)에 인가된 외력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통전감지장치에 의해 감지되는 구조체(1)의 통전반응은, 상기 제1 경사(110)와 제2 경사(120) 사이에 형성된 정전용량의 변화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구조체(1)는 위사(20)와 경사(10)가 서로 직교하도록 교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위사란 일 원단을 구성하는 섬유로 상기 원단의 가로로 배열되는 섬유를 의미하며, 경사란 상기 원단의 세로로 배열되는 섬유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1)는 상기 통전감지장치가 계측할 수 있도록 통전반응을 발생시키는 전도성 부재 즉, 상기 제1 경사(110)와 제2 경사(120)를 구조체(1)를 구성하는 경사로 배치하여, 상기 구조체(1)를 기 설정된 길이로 제단하는 경우 제단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경사(110)와 제2 경사(120)는 통전이 가능하도록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금속재질을 절단하기 위한 커터기(위프트 커터)는 상기 금속재질보다 강한 재질로 형성되나, 반복된 절단작업에 의한 마모 및 손상에 과도한 교체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조체(1)는 전도성 있는 재질로 형성된 제1 경사(110)와 제2 경사(120)를 통전직물의 경사로 배치하여, 절단 작업을 최소화함으로써, 커터기의 교체 비용을 절감하고 교체 시기를 늦추어 공정의 연속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조체(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조체(1)는 위사(20)와 경사(10)가 교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10)는 제1 경사(110), 제2 경사(120) 및 상기 제1 경사(110)와 상기 제2 경사(120) 사이에 배치되는 제3 경사(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110)는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경사(120)는 상기 제1 경사(110)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 경사(110)와 동일한 재질 즉,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경사(110) 및 상기 제2 경사(120) 중 적어도 하나는,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경사(110) 및 상기 제2 경사(120)의 직경은 0.5mm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경사(110)와 상기 제2 경사(120)가 배치된 구조체(1)의 일부분에 소정의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경사(110)와 상기 제2 경사(120) 사이에 형성된 정전용량은 변화되며, 상기 통전감지장치는 이러한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상기 구조체(1)에 인가된 외력의 유/무 또는 외력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할 제3 경사(130)는 상기 제1 경사(110)와 상기 제2 경사(120)의 이격된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경사(110)와 상기 제2 경사(120) 사이에 정전용량이 발생하도록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경사(130)는 상기 제1 경사(110)와 상기 제2 경사(120)가 상기 통전감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외력이 상기 구조체(1)에 인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경사(110)와 상기 제2 경사(120)의 접촉을 방지하여 상기 접촉에 의한 상기 제1 경사(110)와 상기 제2 경사(1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비전도성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어 정전용량을 생성하는 제1 경사(110)와 제2 경사(120)는, 비 전도성 재질의 상기 제3 경사(130)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사이에 정전용량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경사(1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비전도성 재질 즉,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일례로, 나일론 등의 섬유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위사(20)는 상기 제1 경사(110), 상기 제2 경사(120) 및 상기 제3 경사(130)가 부출(浮出, float, raise) 또는 침입(沈入, Sink)되어 상기 구조체(1)가 직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부출이란, 경사가 위사상에 올라가도록 배치되는 것을 의미하며, 침입이란 경사가 위사 아래로 배치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제1 경사(110) 또는 제2 경사(120)는 상기 위사(20)에 부출 및 침입되어 상기 위사(20) 상으로 출현하거나 상기 위사(20)의 하부측으로 은닉될 수 있다.
도 4은 도 3의 경사 및 위사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의 위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직물 구조체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3 경사(130)는 상기 제1 경사(11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1 경사(131) 및 상기 제2 경사(12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2 경사(13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사(20)는 상기 제1 경사(110)가 침입하고 상기 제2 경사(120)가 부출되는 제1 위사(210) 및 상기 제1 경사(110)가 부출되고 상기 제2 경사(120)가 침입하는 제2 위사(220)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1 경사(131)는, 상기 제1 위사(210)에 부출되고, 상기 제2 위사(220)에 침입하며, 상기 제3-2 경사(132)는, 상기 제1 위사(210)에 침입하고, 상기 제2 위사(220)에 부출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을, 상기 제1 위사(210)를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위사(210)는 상기 제1 경사(110)가 부출되고 상기 제3-1 경사(131)가 침입하며 상기 제3-2 경사(132)가 부출되고 상기 제2 경사(120)가 침입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위사(210)는 상기 제1 경사(11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위치한 채 상기 제1 경사(110)의 하측을 에둘러 상기 제3-1 경사(131)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1 경사(131)의 상측을 에둘러 상기 제3-2 경사(132)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2 경사(132)의 하측을 에둘러 상기 제2 경사(12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위사(220)는, 상기 제1 경사(110)가 침입하고 상기 제3-1 경사(131)가 부출되며 상기 제3-2 경사(132)가 침입하고 상기 제2 경사(120)가 부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위사(220)는, 상기 제1 경사(110)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위치한 채 상기 제1 경사(110)의 상측을 에둘러 상기 제3-1 경사(131)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1 경사(131)의 하측을 에둘러 상기 제3-2 경사(132)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3-2 경사(132)의 상측을 에둘러 상기 제2 경사(12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10)는 상기 제2 경사(12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경사(140) 및 상기 제2 경사(120)와 상기 제4 경사(140) 사이에 배치되는 제5 경사(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5 경사(150)는 상기 제2 경사(12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5-1 경사(151) 및 상기 제4 경사(14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5-2 경사(15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4 경사(140)는, 상기 제1 경사(110) 및 상기 제2 경사(120)와 마찬가지로 전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5 경사(150)와 상기 제5 경사(150)를 구성하는 제5-1 경사(151) 및 제5-2 경사(152)는 상기 제3-1 경사(131) 및 제3-2 경사(132)와 그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 위사(210)는 상기 제5-1 경사(151)가 침입하고 상기 제5-2 경사(152)가 부출되며 상기 제4 경사(140)가 침입할 수 있다.
상기 제2 위사(220)는 상기 제5-1 경사(151)가 부출되고 상기 제5-2 경사(152)가 침입하며 상기 제4 경사(140)가 부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경사(110)는 상기 위사(20)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위사(20)와의 마찰력을 높기기 위해 외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출된 돌출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12)는, 상기 제1 경사(110)의 외면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제1 경사(1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섬유가닥을 나선형으로 꼬아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돌출부(112)는 상기 제1 경사(110)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의 섬유가닥들 각각의 구분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일 수 있다.
또한, 돌출부에 대한 구성은 상기 제2 경사(120) 및 제4 경사(14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상기 제1 경사(110), 제2 경사(120) 및 제4 경사(140)는 비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상기 제3 경사(130) 및 제5 경사(150)는 인장 강신도 값의 차이가 나므로 별도의 이징모션(easing motion)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경사(110), 제2 경사(120), 제3 경사(130), 제4 경사(140) 및 제5 경사(150)와 상기 경사를 연결하는 제1 위사(210) 및 제2 위사(220)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제1 경사(110) 내지 제5 경사(150), 제1 위사(210) 및 제2 위사(220)는 통전직물을 구성하는 일 유닛에 대한 설명이므로, 이러한 유닛 구성이 나타나도록 통전직물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구조체(1)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n 경사(n은 자연수) 및 제m 위사(m은 자연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통전직물 구조체
10: 경사
20: 위사
210: 제1 위사
220: 제2 위사
10: 경사
20: 위사
210: 제1 위사
220: 제2 위사
Claims (10)
- 소정의 외력이 인가되면, 전기적으로 연결된 통전감지장치에 의해 통전반응의 결과가 획득되도록 하는 통전직물 구조체 - 상기 통전직물 구조체는, 위사와 경사가 교착되어 형성됨 - 에 있어서,
상기 경사는, 제1 경사와 제2 경사 및 상기 제1 경사와 상기 제2 경사 사이에 배치되는 제3 경사를 구비하고,
상기 위사는,
상기 제1 경사, 상기 제2 경사 및 상기 제3 경사가 부출(浮出, float, raise) 또는 침입(沈入, Sink)되어 상기 통전직물 구조체가 직조되도록 하며,
상기 제1 경사와 상기 제2 경사는,
상기 통전감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통전직물 구조체에 인가된 상기 소정의 외력에 의해 상기 통전감지장치가 통전반응의 결과가 획득되도록, 전도성의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3 경사는,
상기 제1 경사와 상기 제2 경사가 상기 통전감지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외력이 상기 통전직물 구조체에 인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경사와 상기 제2 경사의 접촉을 방지하여 상기 접촉에 의한 상기 제1 경사와 상기 제2 경사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비전도성의 재질로 구현되며,
상기 제1 경사와 상기 제2 경사는,
인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경사와 상기 제2 경사에 동시에 접촉되는 경우 상기 인체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전기적 회로를 형성하여 통전반응의 결과 획득을 구현하고,
상기 인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경사와 상기 제2 경사에 동시에 접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경사와 상기 제2 경사 간의 전기적 회로가 형성되지 않아 통전반응의 결과 획득을 구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직물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경사는,
상기 제1 경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1 경사 및 상기 제2 경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2 경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직물 구조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상기 제1 경사가 침입하고 상기 제2 경사가 부출되는 제1 위사 및 상기 제1 경사가 부출되고 상기 제2 경사가 침입하는 제2 위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직물 구조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1 경사는,
상기 제1 위사에 부출되고, 상기 제2 위사에 침입하며,
상기 제3-2 경사는,
상기 제1 위사에 침입하고, 상기 제2 위사에 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직물 구조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는,
상기 제2 경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경사 및 상기 제2 경사와 상기 제4 경사 사이에 배치되는 제5 경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5 경사는,
상기 제2 경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5-1 경사 및 상기 제4 경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5-2 경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직물 구조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사는,
상기 제5-1 경사가 침입하고 상기 제5-2 경사가 부출되며 상기 제4 경사가 침입하고,
상기 제2 위사는,
상기 제5-1 경사가 부출되고 상기 제5-2 경사가 침입하며 상기 제4 경사가 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직물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의 전기적 극성과 상기 제2 경사의 전기적 극성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직물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는,
상기 위사와 접촉되는 경우, 상기 위사와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외면을 따라 돌출된 나선형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직물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 및 상기 제2 경사 중 적어도 하나는,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직물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경사는,
나일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직물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4836A KR101858343B1 (ko) | 2016-05-26 | 2016-05-26 | 통전직물 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4836A KR101858343B1 (ko) | 2016-05-26 | 2016-05-26 | 통전직물 구조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3704A KR20170133704A (ko) | 2017-12-06 |
KR101858343B1 true KR101858343B1 (ko) | 2018-05-24 |
Family
ID=60922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4836A KR101858343B1 (ko) | 2016-05-26 | 2016-05-26 | 통전직물 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834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6672B1 (ko) * | 2006-01-19 | 2007-08-06 | (주)조이앤조이 | 통전스위치를 구비하는 직물 |
JP2015200036A (ja) * | 2014-04-08 | 2015-11-12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布帛、布帛を有するシートベルトウェビング、及び布帛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
-
2016
- 2016-05-26 KR KR1020160064836A patent/KR1018583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6672B1 (ko) * | 2006-01-19 | 2007-08-06 | (주)조이앤조이 | 통전스위치를 구비하는 직물 |
JP2015200036A (ja) * | 2014-04-08 | 2015-11-12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布帛、布帛を有するシートベルトウェビング、及び布帛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3704A (ko) | 2017-1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65031B2 (en) | Conductive pressure sensitive textile | |
JP5493070B2 (ja) | 導電性織物 | |
KR101326796B1 (ko) | 텍스타일 터치 센서 | |
US9048013B2 (en) | Pressure sensible textile and pressure sensible device thereof | |
JP7033063B2 (ja) | 容量性グリッドを実装したテキスタイル構造体 | |
CN107385621B (zh) | 乘员约束带用织带、座椅安全带及座椅安全带装置 | |
KR20110052515A (ko) | 습기 센서를 구비한 편물 물품 | |
US11255030B2 (en) | Knitted fabric and use of a knitted fabric | |
JP4755797B2 (ja) | 感圧導電性布地 | |
KR20160118110A (ko) | 복합센서 | |
EP1927825A1 (en) | Textile capacitive sensor electrode | |
KR101858343B1 (ko) | 통전직물 구조체 | |
CN112304477A (zh) | 压力传感器、压力传感系统和织物件 | |
EP1870293A1 (en) | Capacitive occupant classification system operating method | |
JP5137659B2 (ja) | カ−ペットセンサ | |
EP1870292A1 (en) | Capacitive occupant classification system | |
JP2010133791A (ja) | シート状センサ装置 | |
KR20170093655A (ko) | 촉각센서 | |
CN111044083A (zh) | 可穿戴式传感器及其形成方法、传感器模组 | |
JP2010176467A (ja) | カーテンセンサ | |
JP2010100198A (ja) | 車両用シートのセンサ | |
KR102502929B1 (ko) | 압력 감지 센서 | |
KR100746672B1 (ko) | 통전스위치를 구비하는 직물 | |
KR102185565B1 (ko) | 수평방향 인장력 및 수직방향 압력 측정이 가능한 전도성 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직물센서 | |
KR20180103481A (ko) | 복합센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