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672B1 - 통전스위치를 구비하는 직물 - Google Patents

통전스위치를 구비하는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672B1
KR100746672B1 KR1020060005631A KR20060005631A KR100746672B1 KR 100746672 B1 KR100746672 B1 KR 100746672B1 KR 1020060005631 A KR1020060005631 A KR 1020060005631A KR 20060005631 A KR20060005631 A KR 20060005631A KR 100746672 B1 KR100746672 B1 KR 100746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fabric
conductive
weft
energ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6598A (ko
Inventor
조길수
정기삼
김정래
Original Assignee
(주)조이앤조이
김정래
정기삼
조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이앤조이, 김정래, 정기삼, 조길수 filed Critical (주)조이앤조이
Priority to KR1020060005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672B1/ko
Publication of KR20070076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antistatic; electrically conductiv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12Threads containing metallic filaments or strip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1Yarns or threads with antistatic, conductive or radiation-shiel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88Fabrics having an electronic functi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5Met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8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Abstract

본 발명은 통전스위치를 포함하는 직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전기가 흐르는 섬유로 이루어진 원사와 통전스위치를 포함하여 직조되어 있으며, 그 직물의 원하는 위치에 있는 통전 스위치를 온/오프함으로써 그 직물의 원하는 위치에서 전기가 흐를 수 있게 한 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직물은 전도성 위사(150)를 포함하는 제1직물; 전도성 경사(250)를 포함하는 제2직물; 상기 전도성 위사(150)와 상기 전도성 경사(250)가 교차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다수의 통전스위치(500);를 적어도 구비하여, 상기 통전스위치(500)는 눌러지지 않은 상태(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전도성 위사(150)에 접속되고 전도성 경사(250)는 비접속되며, 상기 통전스위치(500)는 눌러진 상태(압력을 가한 상태)에서는 상기 전도성 위사(150) 뿐만 아니라 전도성 경사(250)에도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전스위치, 직물, 전도성 섬유, 경사, 위사

Description

통전스위치를 구비하는 직물{Fabric with switch}
도 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통전스위치를 구비한 직물의 앞면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전스위치를 구비한 직물의 뒷면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는 도 1의 통전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의 통전스위치가 눌러지지 않을 때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통전스위치가 눌러질 때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통전스위치 수납부의 제1직물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
도 7은 도 2의 통전스위치 수납부의 제2직물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
도 8은 도 3의 통전스위치와 제1직물 및 제2직물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전도성 위사를 설명하기 위한 통전스위치를 구비한 직물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전도성 경사를 설명하기 위한 통전스위치를 구비한 직물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통전스위치가 눌러질 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직물 100: 위사
130: 제1직물 150: 전도성 위사
200: 경사 230: 제2직물
250: 전도성 경사 300: 통전스위치 수납부
350: 통전스위치 수납 테두리부 500: 통전스위치
510: 스위치 볼록부 520: 접촉부
530: 스위치 지지부
본 발명은 통전스위치를 포함하는 직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전기가 흐르는 섬유로 이루어진 원사와 통전스위치를 포함하여 직조되어 있으며, 그 직물의 원하는 위치에 있는 통전 스위치를 온/오프함으로써 그 직물의 원하는 위치에서 전기가 흐를 수 있게 한 직물에 관한 것이다.
직물이란 경사와 위사가 직각으로 교차한 피륙을 말하는데 경사(날실)는 직물의 길이 방향의 실이고 위사(씨실)는 경사에 대하여 직각으로 교차되어 있는 길이다. 직물에서는 위사쪽이 경사 쪽에 비해서 약하지만 신축성이 크다.
직물은 직조방법에 의해 크게 평직,능직,수자직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평직은 경사와 위사가 한 가닥씩 교차하는 가장 기본적인 직물 조직으로 경 사와 위사가 짜여지는 방법 중 가장 간단하고 촘촘하며 경사와 위사가 한가닥씩 교차한다. 안팎의 모양이 같고 두께가 얇다.
능직은 경사와 위사를 각각 2올씩 건너뛰어 사선이 나타나게 하는 직조로서 평직보다 조직점이 적어 강도는 약하나 부드럽고 구김이 덜 생긴다.
수자직은 경사와 위사가 4올 이상 길게 떠 있어 교차시킨 조직으로 조직점이 분산되어 있어 표면에 경사 또는 위사만 돋보이는 조직으로 표면이 매끄럽고 광택이 우수하다.
이러한 종래의 직물은 그 기능이 다양하지 못하며, 최근에는 특수 소재나 데이터를 전송가능하거나 전류를 흘릴 수 있는 특수한 직물에 대한 연구가 행하여 지고 있다. 이러한 특수한 직물의 섬유를 스마트 섬유라한다.
스마트섬유는 특수 소재나 컴퓨터칩을 사용해 전기신호나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외부 디지털 기기와 연결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섬유로, 초소형 컴퓨터 칩이 내장되어 각종 디지털기기와 연결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섬유를 말한다. 이를 이용하여 옷이 휴대전화, MP3 음악듣기, 신체상태 감지, 이동중 인터넷 사용, 위치확인등에 활용할 수 있다. 이에 원사에 전기를 흐르게 하는 전원공급 및 신호전달성 섬유가 필요하게 된다. 아직 이러한 섬유들에 대한 연구는 초기 단계로서, 이러한 섬유를 이용한 직물 또한 현재로는 그다지 연구가 진척되어 있지 않다.
최근들어 디지털 기기를 의류에 장착하거나 접목시키려는 많은 시도가 있어 왔다. 이를 위해서는 디지털 기기를 컨트롤할 수 있는 스위치나 키패드를 의복에 내장시킬 필요가 있다. 기존의 디지털 기기용 키패드는 딱딱하고 세탁을 할 수 없 는 등 의류 환경에 적합하지가 않기 때문에 의류 친화적인 스위칭 소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가 흐르는 섬유로 이루어진 원사와 통전스위치를 포함하여 직조되어 있으며, 그 직물의 원하는 위치에 있는 통전스위치를 온/오프함으로써 그 직물의 원하는 위치에서 전기가 흐를 수 있게 한 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기가 흐르는 섬유로 이루어진 원사와 통전스위치를 포함하여 직조되어 있는 직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원하는 위치를 선택하여 통전시킬 수 있는 직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통전스위치를 구비하는 직물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통전스위치를 구비한 직물의 앞면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2는 도 1의 통전스위치를 구비한 직물의 뒷면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직물(1)은 위사(씨실)(100), 경사(날실)(200), 통전스위치(500)로 구성된다. 상기 위사(100) 및 경사(200)에는 전류가 흐르는 섬유로 만들어진 전도성 위사(150) 및 전도성 경사(250)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통전스위치(500)가 위치되는 부분에서는 직물(100)이 제1직물(130)과 제2직물(230)로 구성되는 주머니, 즉 통전스위치 수납부(300)를 형성하며, 그 안에 통전스위치(500)가 수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전스위치 수납 테두리부(350)는 제1직물(130)과 제2직물(230)로 나뉘지 않고 하나의 직물을 이루며, 즉 제1직물(130)의 위사와 제2직물(230)의 위사가 혼합되고, 제1직물(130)의 경사와 제2직물(230)의 경사가 혼합되어 직조된다. 통전스위치(500)가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전도성 위사(150)에 접속되고 전도성 경사(250)는 비접속되어 있다가, 통전스위치(500)가 눌러지면 통전스위치(500)는 전도성 경사(250) 및 전도성 위사(150)에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위사(100)는 가로로 간 실로서, 위사(100) 중 소정의 간격마다 전도성 위사(150)가 위치된다.
전도성 위사(150)는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통전스위치 수납부에서는 제1직물(130)에만 전도성 위사(150)가 위치되며, 여기서 전도성 위사(150)는 제1직물에서 통전스위치 수납부의 중앙을 가로로 지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들어 전도성 위사(150)로 스테인레스 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도성 위사(150)가 위치되는 간격은 약 3.5cm로 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위사(150)가 경사(200)와 직조될때, 전도성 위사(150)는 경사(200) 하나씩을 위, 아래로 교차시켜가며 직조할 수 있다. 스테인레스 실은 생체적합성이 좋고 물리적인 특성이 우수하며 경제성과 가공용이성을 갖춘 스테인리스스틸을 가공하여 만든 실로서 몸에 닿는 직물을 만드는데 적합하며 전기가 흐르는 매개체가 된다. 또한 전도성 섬유는 여러개의 스테인리스실을 꼬아서 형성하는데 이는 하나의 실이 끊어져도 단락되지 않게 해주며 실자체를 유연하게 한다.
경사(200)는 세로로 간 실로서, 경사(200) 중 소정의 간격마다 전도성 경사(250)가 위치된다.
전도성 경사(250)는 전도성 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통전스위치 수납부에서는 제2직물에만 전도성 경사(250)가 위치되며, 여기서 전도성 경사(250)는 제2직물(230)에서 통전스위치 수납부의 중앙을 세로로 지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도성 경사(250)는 통전스위치 수납 테두리부(350)와 소정간격의 위치부터 위사(100)와 같이 직조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게 하여 불필요하게 통전스위치(500)와 접촉되지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들어 전도성 경사(250)는 스테인레스 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도성 경사(250)가 위치되는 간격은 약 3cm로 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경사(250)가 위사(100)와 직조될때, 전도성 경사(250)가 위사(100) 두개씩을 건너서 직조되어지며, 위사(100) 두개씩 건너띤 전도성 경사(250)는 제2직물(230)의 외측, 즉, 통전스위치(500)와 접촉되는 부분과 반대쪽에 위치하며, 위사(100) 두개씩을 건너띠어 위사(100)하나와 직조된 전도성 경사(250)는 제2직물(230)의 내측, 즉, 통전스위치(500)와 접촉되는 부분에 위치된다.
통전스위치(500)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며, 스위치 볼록부(510), 스위치 지지부(530)를 구비한다. 통전스위치(500)는 원형의 스위치 볼록부(510)를 4개의 스위치 지지부(530)가 지지하고 있다. 통전스위치(510)의 재료로 스테인레스스틸 또는 동(銅)을 쓸 수 있으며, 통전스위치(500)는 가로 약1cm, 세로 약1cm로 구성할 수 있다. 통전스위치(500)가 위치하는 곳에 제1직물(130)의 전도성 위사(150)와 제2직물(230)의 전도성 경사(250)가 지나가야 하므로, 전도성 위사(150) 및 전도성 경사(250)의 위치는 통전스위치(500)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스위치 볼록부(510)는 통전스위치(500)의 가운데 위치하여 눌러지는 스위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스위치 볼록부(510)의 중앙, 즉 통전스위치(500)의 중앙에는 접촉부(520)을 구비한다.
접촉부(520)는 통전스위치(500)의 스위치 볼록부(510) 위의 중앙에 원형의 오목부를 이룬다. 즉, 통전스위치 수납부(300)에서 제1직물(130)은 전도성 위사(150)가 통전스위치 수납부(300)의 중앙을 가로로 지나가며, 제2직물(230)은 전도성 경사(250)가 통전스위치 수납부(300)의 중앙을 세로로 지나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통전스위치(500)의 스위치 볼록부(510)가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위치 볼록부(510)가 제1직물(130)에 접촉되어 있으며, 통전스위치(500)의 스위치 볼록부(510)가 눌러진 상태에서는 접촉부(520)가 제2직물(230)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다시말해, 접촉부(520)에서는 전도성 위사(150)와 전도성 경사(250)가 직교하며, 통전스위치(500)의 스위치 볼록부(510)가 눌러지지 않을 때는 스위치 볼록부(510)가 전도성 위사(150)에 접속되고 전도성 경사(250)에는 비접속되며, 스위치 볼록부(510)가 눌러질 때는 스위치 볼록부(510)는 전도성 위사(150)에 접속되어 있으며, 스위치 볼록부(510)의 접촉부(520)가 전도성 경사(250)에 접속된다. 따라서 전도성 경사(250)과 전도성 위사(150)이 통전스위치(500)을 매개로 접촉된다.
스위치 지지부(530)는 통전스위치(500)의 스위치 볼록부(510)를 지지하여, 통전스위치(500)가 눌러지지 않을 때 스위치 볼록부(510)와 제2직물(230)이 이격되어 있도록 스위치 볼록부(510)를 지지한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통전스위치(500)는 4개의 스위치 지지부(530)를 구비하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한 것은 아니다.
통전스위치(500)가 수납하기 위해 적어도 통전스위치(500)가 위치하는 부분의 테두리 부분인 통전스위치 수납 테두리부(350)는 2개의 직물이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하나의 직물을 이루고 있다. 즉 제1직물(130)의 위사와 제2직물(230)의 위사가 혼합되고, 제1직물(130)의 경사와 제2직물(230)의 경사가 혼합되어 직조된다. 또한 통전스위치 수납부(300)는 통전스위치(500)의 크기에 맞추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의 직물(1)은 통전스위치 수납부(300)의 테두리 부를 제외한 부분을 제1직물(130)과 제2직물(230)으로 되어 있는 이중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직물(1)에 있어서 통전스위치 수납부(300) 및 통전스위치 수납부(300)의 테두리 부를 제외한 부분은 제1직물(130)과 제2직물(230)로 나뉘는 2중직이라도 좋고, 나뉘지 않는 직물이라도 좋다.
다시말해 통전스위치(500)의 스위치 볼록부(51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는 스위치 볼록부(510)가 제1직물(130)의 전도성 위사(150)에 접속되고, 통전스위치(500)의 스위치 볼록부(510)에 압력을 아래로 가해 스위치 볼록부(510)가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 스위치 볼록부(510)의 가운데 있는 접촉부가 제2직물(230)의 전도성 경사(250)와 닿게 된다. 여기서, 제1직물(130)은 통전스위치(500) 상면에 위치하는 직물로서 전도성 위사(150)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2직물(230)은 통전스위치(500) 하면에 위치하는 직물로서 전도성 경사(250)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전스위치(500)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대신 전극, 반도체소자, 섬유로된 층구조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통전스위치(500)를 동 또 는 스테인레스스틸로도 구성할 수 있지만, 섬유로된 층구조물로도 구성할 수 있다.
도 3는 도 1의 통전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4는 도 3의 통전스위치가 눌러지지 않을 때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통전스위치가 눌러질 때의 측면도이다.
통전스위치(500)는 원형의 스위치 볼록부(510)를 4개의 스위치 지지부(530)가 지지하고 있다. 스위치 볼록부(510)는 통전스위치(500)의 가운데 위치하여 눌러지는 스위치의 역할을 하며, 스위치 볼록부(510)의 중앙, 즉 통전스위치(500)의 중앙에는 접촉부(520)을 구비한다. 접촉부(520)는 통전스위치(500)가 눌러지지 않은 상태일때 스위치 볼록부(510)위의 중앙에 오목부를 이룬다. 접촉부(520)의 지름을 약1mm로 할 수 있다.
통전스위치(500)의 스위치 볼록부(510)가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촉부(520)을 제외한 스위치 볼록부(510)가 제1직물(130)의 전도성 위사(150)에 접촉되어 있다.
통전스위치(500)의 스위치 볼록부(510)가 눌러진 상태에서는 제1직물(130)의 전도성 위사(150)와 접촉된 스위치 볼록부(510)의 접촉부(520)가 제2직물(230)의 전도성 경사(250)에 접촉되어 진다.
스위치 지지부(530)는 통전스위치(500)의 스위치 볼록부(510)를 지지하여, 통전스위치(500)가 눌러지지 않을 때 스위치 볼록부(510)와 제2직물(230)이 이격되어 있도록 스위치 볼록부(510)를 지지한다.
도 6는 도 1의 통전스위치 수납부의 제1직물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 도 6은 제1직물(130)의 위에서 내려다 본 것으로, 제1직물(130) 밑에 통전스위치(500)가 위치하고 있다.
제1직물(130)은 경사(날실)와 위사(씨실)가 한 가닥씩 교차하는 평직으로 이루어지며, 통전스위치(500)의 위에 위치하고, 전도성 위사(150)를 포함하고 있다. 전도성 위사(150)는 통전스위치 수납부의 중앙을 가로로 지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도성 위사(150)가 경사(200)와 직조될때, 전도성 위사(150)는 경사(200) 하나씩을 위, 아래로 교차시켜가며 직조된다. 따라서 제1직물(130)의 내측, 즉 통전스위치(500)와 접촉되는 제1직물(130)의 면에서, 전도성 위사(150)는 경사(200) 하나씩을 건너 띠어 위치된다. 통전스위치(500)의 스위치 볼록부(510)가 눌러지지 않을 때는 스위치 볼록부(510)가 전도성 위사(150)에 접속된다. 전도성 위사(150)를 접지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시말해, 제1직물(130)은 경사와 위사가 한 가닥씩 교차하므로, 전도성 위사(150)와 경사(A 내지 A')가 교차한다. 여기서 경사(A, C, E, G, I, K, M, O, M', K', I', G', E', C', A')와 교차된 전도성 위사(150)는 위쪽으로 드러나게 되어, 제1직물(130)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경사(B, D, F, H, J, L, N, N', L', J', H', F', D', B')와 교차된 전도성 위사(150)는 아래쪽으로 가게 되어, 제1직물(130)의 내측에 위치하여, 통전스위치(500)와 접촉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통전스위치 수납부의 제2직물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 도 7은 직물(1)의 뒷면에서 본 것으로, 제2직물(230)의 뒷면을 나타낸다.
제2직물(230)은 통전스위치(500)의 아래에 위치하는 직물로서 전도성 경사(250)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도성 경사(250)는 통전스위치 수납부(300)의 중앙을 세로로 지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도성 경사(250)는 통전스위치 수납부(300)에서 통전스위치(500)의 접촉부(520)의 상하로 소정의 간격만큼만 직조되어 있다. 즉, 통전스위치 수납 테두리부(350)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소정간격만큼 떨어진 위치까지 전도성 경사(250)는 위사(100)와 같이 직조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불필요하게 통전스위치(500)와 접촉되지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통전스위치 수납부(300)에서 통전스위치(500)의 접촉부(520)의 상하로 소정의 간격만큼만 전도성 경사(250)가 위사(100)와 직조되는 부분에서, 전도성 경사(250)가 위사(100) 두개씩을 건너서 직조되어지며, 위사(100) 두개씩 건너띤 전도성 경사(250)는 제2직물(230)의 외측, 즉, 통전스위치(500)와 접촉되는 부분과 반대쪽에 위치하며, 위사(100) 두개씩을 건너띠어 위사(100)하나와 직조된 전도성 경사(250)는 제2직물(230)의 내측, 즉, 통전스위치(500)와 접촉되는 부분에 위치된다. 즉, 제2직물(230)의 내측, 즉, 통전스위치(500)와 접촉되는 부분에서는 위사(100) 두개씩을 건너띠어 위사(100)하나와 교차된 전도성 경사(250)가 나타난다. 통전스위치(500)의 스위치 볼록부(510)에 압력을 아래로 가해 스위치 볼록부(510)가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 스위치 볼록부(510)의 가운데 있는 접촉부(520)가 제2직물(230)의 전도성 경사(250)와 접촉된다.
다시말해, 제2직물(230)은 전도성 경사(250)를 제외하고는 경사와 위사가 한 가닥씩 교차하는 평직으로 구성되며, 제2직물(230)의 통전스위치 수납부(300)에서 전도성 경사(250)는 위사(100) 두개씩을 건너서 직조되어지며, 통전스위치 수납 테두리부(350) 위에서 소정간격 떨어진 위치부터 통전스위치 수납 테두리부(350) 아래에서 소정간격 떨어진 위치까지 전도성 경사(250)는 위사(100)와 같이 직조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즉, 통전스위치 수납 테두리부(350)의 전 소정 간격부터 수납 테두리부(350)의 후의 소정간격까지 전도성 경사(250)가 노출되어, 전도성 경사(250)는 위사(a, b, c, d, e, f, g, h, i, j)(j', i', h', g', f', e', d', c', b', a')와 직조되지 않고 밖으로 노출되어지며, 이 부분에서는 전도성 경사(250)가 제2직물(230)의 안쪽에는 위치되지 않으므로 통전스위치(500)와 접촉될 염려가 없다. 제2직물(230)의 통전스위치 수납부(300)에서 상기 부분을 제외하고 전도성 경사(250)는 두개씩을 건너서 위사와 교차된다. 여기서 위사 (l, m), (o', m'), (l', k')와 교차된 전도성 경사(250)는 제2직물(230)의 밖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경사(k, n, m', j')와 교차된 전도성 경사(250)는 제2직물(230)의 안쪽에 위치되어 통전스위치(500)가 눌러질때 통전스위치(500)와 접촉될 수 있다. 전도성 경사(250)는 신호선 또는 전원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8는 도 3의 통전스위치와 제1직물 및 제2직물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에는 통전스위치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전도성 위사(150)과 전도성 경사(250)를 나타내고 있다.
통전스위치(500)의 볼록부(510)의 중앙에서 전도성 위사(150)과 전도성 경 사(250)가 직교된다.
전도성 위사(150)에서 통전스위치(500)와의 접촉면은 경사(200) 하나씩을 건너 띠어 위치된다. 제1직물(130)에서 경사(B, D, F, H, J, L, N, N', L', J', H', F', D', B')와 교차된 전도성 위사(150)는 아래쪽으로 가게 되어, 즉 제1직물(130)의 내측에 위치하여, 통전스위치(500)와 접촉될 수 있다.
전도성 경사(250)는 통전스위치 수납 테두리부(350) 전의 소정 간격부터 수납 테두리부(350) 후의 소정간격까지 전도성 경사(250)가 노출되어, 전도성 경사(250)는 위사(a, b, c, d, e, f, g, h, i, j)(j', i', h', g', f', e', d', c', b', a')와 직조되지 않고 밖으로 노출되어지며, 통전스위치 수납부(300)에서 이 부분을 제외하고 전도성 경사(250)는 두개씩을 건너서 경사와 교차된다. 여기서 위사(k, n, m', j')와 교차된 전도성 경사(250)는 제2직물(230)의 안쪽에 위치되어 통전스위치(500)가 눌러질때 통전스위치(500)와 접촉된다.
도 9는 도 6의 전도성 위사를 설명하기 위한 통전스위치를 구비한 직물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전도성 위사의 양단(A-A')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로, 통전스위치가 눌러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제1직물(130)에서 전도성 위사(150)는 경사(200) 하나씩을 위, 아래로 교차하며, 경사(200) 아래에 위치된 전도성 위사(150)는 통전스위치(500)의 스위치 볼록부(510)와 접촉된다.
도 10은 도 7의 전도성 경사를 설명하기 위한 통전스위치를 구비한 직물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전도성 경사의 양단(B-B')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로, 통전스위치가 눌러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제2직물(230)에서 전도성 경사(250)는 통전스위치 수납 테두리부(350) 전의 소정 간격부터 수납 테두리부(350) 후의 소정간격까지 위사와 교차되지 않고 밖에 위치하여, 이 부분은 전도성 경사(250)와 통전스위치(500)가 접촉될 염려가 없다. 통전스위치 수납부(300)에서 이 부분을 제외하고 전도성 경사(250)는 두개씩을 건너서 경사와 교차된다. 제2직물(230)의 통전스위치 수납부(300)에서 위사 두개씩을 건너띠어 위사(100)하나와 교차된 전도성 경사(250)는 제2직물(230)의 내측에 위치하여, 즉 통전스위치(500)의 스위치 볼록부(510)의 밑에 위치하여, 통전스위치(500)가 눌러질때 통전스위치(500)와 접촉된다. 다시말해 위사(k, n, m', j')와 교차된 전도성 경사(250)는 제2직물(230)의 안쪽에 위치되어 통전스위치(500)가 눌러질때 통전스위치(500)와 접촉된다.
도 11은 도 10에서 통전스위치가 눌러질 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통전스위치(500)가 눌러짐에 따라 통전스위치(500)의 스위치 볼록부(510)가 아래로 내려가고 따라서 스위치 볼록부(510)의 중앙에 있는 접촉부(520)가 내려가게 되며, 제2직물(230)에서 위사(100) 두개씩을 건너띠어 위사(100)하나와 교차된 전도성 경사(250)와 접촉부(520)가 접촉하게 된다. 도 11에서는 통전스위치(500)가 눌러짐에 따라, 전도성 위사(250)는 접촉부(520)를 제외한 부분에서 통전스위치(500)와 접촉되어 있으며, 이 상태에서 통전스위치(500)는 전도성 경사(150)(m')와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직물은 경위사물 뿐만 아니라 경편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원단 을 말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전스위치를 구비한 직물은 전기가 흐르는 섬유로 이루어진 원사와 통전스위치를 포함하여 직조되어 있기 때문에 섬유자체내에 전기를 흘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전스위치를 구비한 직물은 직물안 원하는 위치를 선택하여 통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통전스위치를 구비한 직물은 의료기기, 생체신호 계측기기, 키보드 등등 그 사용분야가 무궁무진하다.
특히 본 발명의 통전스위치를 구비한 직물로 의복을 만들어 의복에 MP3나 초소형 컴퓨터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적인 치료나 검사,예방 등에 무한한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25)

  1. 전도성 위사(150)를 포함하는 제1직물;
    전도성 경사(250)를 포함하는 제2직물;
    상기 전도성 위사(150)와 상기 전도성 경사(250)가 교차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다수의 통전스위치(500);를 포함하고,
    상기 통전스위치(500)는 상기 제1직물(130)과 상기 제2직물(230)로 이루어진 통전스위치 수납부(300)에 수납되고,
    상기 통전스위치 수납부(300)는 상기 통전스위치 수납부(300)의 테두리를 제1직물의 위사와 제2직물의 위사가 혼합되고, 제1직물의 경사와 제2직물의 경사가 혼합되어 함께 직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스위치(500)는 압력을 가하여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전도성 위사(150)에 접속되고 전도성 경사(250)는 비접속되며,
    상기 통전스위치(500)는 압력을 가하여 눌러진 상태에서는 상기 전도성 위사(150) 뿐만 아니라 전도성 경사(250)에도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직물에서 위사(100) 중 소정의 간격마다 상기 전도성 위사(150)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위사(150)는 경사(200) 하나씩을 위, 아래로 교차시켜가며 직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위사(150)는 스테인레스 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경사(250)는 스테인레스 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 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직물에서 경사(200) 중 소정의 간격마다 상기 전도성 경사(250)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경사(250)는 상기 제2직물에서 통전스위치 수납부의 테두리 위의 소정간격으로부터 통전스위치 수납부의 테두리 아래의 소정간격까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경사(250)는, 통전스위치 수납부의 제2직물에서, 통전스위치 수납부의 테두리 위의 소정간격으로 부터 통전스위치 수납부의 테두리 아래의 소정간격까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서 상기 전도성 경사(250)가 위사 두개씩을 건너서 위사 하나와 교차되며, 이렇게 위사 하나와 교차된 전도성 경사는 제2직물(230)의 내측, 즉 통전스위치(500)와 접촉될 수 있는 부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스위치(500)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며, 스위치 볼록부(510), 스위치 지지부(5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볼록부(510)는 통전스위치(500)의 가운데 위치하여 눌러지는 스위치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형의 볼록부를 이루며,
    상기 스위치 볼록부(510)의 중앙에 원형의 오목부로 이루어진 접촉부(5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스위치(500)의 스위치 볼록부(510)가 눌러지지 않을 때는 스위치 볼록부(510)는 전도성 위사(150)에 접속되고 전도성 경사(250)에는 비접속되며,
    상기 통전스위치(500)의 스위치 볼록부(510)가 눌러질 때는 스위치 볼록부(510)는 전도성 위사(150)에 접속되어 있으며, 스위치 볼록부(510)의 접촉부(520)가 전도성 경사(250)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지지부(530)는 통전스위치(500)가 눌러지지 않을 때 스위치 볼록부(510)와 제2직물(230)이 이격되어 있도록 스위치 볼록부(51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9. 제18항에 있어서,
    하나의 통전스위치(500)는 4개의 스위치 지지부(5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520)의 지름이 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21. 삭제
  22. 삭제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스위치(500)의 볼록부(510)의 중앙에서 상기 전도성 위사(150)와 상기 전도성 경사(250)의 직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스위치는 동(桐) 또는 스테인레스스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25. 삭제
KR1020060005631A 2006-01-19 2006-01-19 통전스위치를 구비하는 직물 KR100746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631A KR100746672B1 (ko) 2006-01-19 2006-01-19 통전스위치를 구비하는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631A KR100746672B1 (ko) 2006-01-19 2006-01-19 통전스위치를 구비하는 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598A KR20070076598A (ko) 2007-07-25
KR100746672B1 true KR100746672B1 (ko) 2007-08-06

Family

ID=38501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631A KR100746672B1 (ko) 2006-01-19 2006-01-19 통전스위치를 구비하는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343B1 (ko) * 2016-05-26 2018-05-24 주식회사 델타폴 통전직물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682A (ko) * 2002-04-30 2004-12-10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682A (ko) * 2002-04-30 2004-12-10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343B1 (ko) * 2016-05-26 2018-05-24 주식회사 델타폴 통전직물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598A (ko) 200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14403T3 (es) Textil conductor sensible a la presion.
US8116898B2 (en) Digital garment using knitting technolog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Post et al. Smart fabric, or" wearable clothing"
KR100966842B1 (ko) 자수 기술을 이용한 디지털 가먼트 및 그 제조 방법
CN107109723A (zh) 具备电阻的可变特性的导电性伸缩针织物以及导电配件
KR20110052515A (ko) 습기 센서를 구비한 편물 물품
CN107429443A (zh) 织造织物中的导电信号路径
KR20060020682A (ko) 직물 인터커넥트
KR101326796B1 (ko) 텍스타일 터치 센서
JP2006332647A (ja) 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103823A (ko) 전도성 직물, 전도성 직물 직조방법 및 이에 관한 장치
JP2013522818A (ja) 光拡散部材を有する発光電子織物
JP6949320B2 (ja) 導電性ストレッチ連続状体
JP4755797B2 (ja) 感圧導電性布地
KR101911911B1 (ko) 신축성 도전성 원단
KR100746672B1 (ko) 통전스위치를 구비하는 직물
ATE221737T1 (de) Elektromagnetisches feld ablenkende bekleidung
CN101358400A (zh) 具有通电开关的织物
CN114041244A (zh) 可连接到织物导电带的电气设备
CN109725028A (zh) 湿度传感器及具有其的可穿戴设备
TWM568271U (zh) 溫控記憶織物及使用其製成的穿戴物
CN207396401U (zh) 湿度传感器及具有其的可穿戴设备
ES2669196T3 (es) Producto de tejido y tejido de detección fabricado del mismo
KR102136257B1 (ko) 전기신호의 왜곡 없이 전달 가능한 신축성 전기전도 직물밴드
KR20180103481A (ko) 복합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