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195B1 -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195B1
KR101858195B1 KR1020160058983A KR20160058983A KR101858195B1 KR 101858195 B1 KR101858195 B1 KR 101858195B1 KR 1020160058983 A KR1020160058983 A KR 1020160058983A KR 20160058983 A KR20160058983 A KR 20160058983A KR 101858195 B1 KR101858195 B1 KR 101858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axis
gear
subassembly
planetar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5663A (ko
Inventor
바튼 에버렛 칸
Original Assignee
베이징웨스트 인더스트리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웨스트 인더스트리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웨스트 인더스트리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35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5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being associated with master cylinders, e.g. integrally form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Abstract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는 랙을 포함하고, 랙은 랙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랙 톱니를 포함하며, 제1 축을 따라 연장하고 제1 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랙의 힘과 축 방향 변위를 감지하여, 감지된 힘과 축 방향 변위에 비례하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센서가 랙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1 축을 가로지르는 제2 축 주위에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가 배치되어 있고, 제2 축 주위의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회전에 따라 랙을 제1 축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랙에 결합되어 있다.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를 회전시키고, 랙을 제1 축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한 쌍의 모터가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에 체결되어 있다. 센서로부터 나온 신호에 응답하여 회전하는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컨트롤러가 센서 및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 {BRAKE BOOSTER ASSEMBLY}
본 발명은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보조력을 제공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형태의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음에 따라 제공되는 힘보다 큰 힘이 마스터 실린더에 입력되도록 보조력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는 브레이크 페달과 마스터 실린더에 부착되어 있다. 많은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들은 중공형 하우징과, 해당 하우징 내에 압력실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다이어프램을 사용한다. 압력실들은 제어 밸브들을 사용하여 (예컨대 엔진 흡기) 진공 공급원(vacuum source)에 연결되어 있다. 다이어프램은 마스터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에 결합되어 있고, 진공 압력은 브레이크 페달이 눌릴 때 마스터 실린더 내에 도입되되는 힘에 보조력을 제공한다.
배기 사양, 소형 엔진 및 슈퍼차지가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에서 이용될 수 있는 진공 압력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진공 펌프들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혹은 오로지 전기만으로 운행되는 전기 차량은 일정한 진공 압력을 제공할 수 없을 수 있다. 통상적인 부스터 어셈블리는, 어셈블리가 복잡하고 큰 부품들을 사용함에 따라 차량의 무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량의 부품을 사용하여 브레이크 시스템에 보조력을 제공하며, 활용 가능한 진공 압력이 거의 없거나 아예 없이 차량에 사용될 수 있는 해법에 대한 수요가 상당히 있다.
본 발명은, 제1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랙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랙의 힘과 축 방향 변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힘과 감지된 변위에 비례하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랙에 결합되어 있다. 제1 축을 가로지르는 제2 축 주위에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가 배치되어 있으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는 제2 축 주위를 회전하는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회전에 응답하여 랙을 제1 축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랙에 체결되어 있다. 랙을 제1 축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를 제2 축 주위로 회전시키도록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에 제1 모터가 체결되어 있다. 랙을 제1 축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를 제2 축 주위로 회전시키도록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에 제2 모터가 결합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회전과 랙의 축 방향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제1 모터 및 제2 모터에 컨트롤러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제1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랙과, 상기 랙의 힘과 축 방향 변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힘과 감지된 변위에 비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랙에 결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제1 축을 가로지르는 제2 축 주위에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가 배치되어 있으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는 제2 축 주위에서의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회전에 응답하여 랙을 제1 축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랙에 결합되어 있다. 랙을 제1 축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를 제2 축 주위로 회전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모터가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있다.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로부터 토크를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랙을 이동시키기 위해, 클러치 서브어셈블리가 랙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와 랙 사이에 결합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컨트롤러가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적어도 하나의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단계와, 브레이크 페달의 이동에 의해 랙을 이동시키고 랙에 힘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 작동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계속해서 센서로 랙의 이동에 대응되는 힘과 변위를 감지하는 단계와 센서로 감지된 변위와 힘에 비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이어서, 센서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다음 단계는, 제1 모터 및 제2 모터로 랙에 결합되어 있는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단계이다. 이 방법은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회전에 의해 랙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로 종료된다.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이 갖는 여러 이점들은,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가 하이브리드 혹은 전기 차량뿐만 아니라 소형 엔진, 디젤 엔진, 슈퍼차지 엔진 차량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가 상당히 크고 복잡한 진공 압력 기반의 브레이크 부스터를 대체하기 때문에,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는 차량 총 중량을 줄여준다.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과는 달리, 전력 손실이 있는 경우에도,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에 부착되어 있는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힘이 여전히 마스터 실린더에도 가해진다. 또한,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는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백-구동(즉 후퇴)될 수 있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참고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이점들이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구성된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의 평면도로,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의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의 실시형태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의 실시형태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설명하는 추가의 흐름도이다.
여러 도면들에서 유사한 도면부호들이 대응 부분들을 지시하고 있는 도면들을 참고하면,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20)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4)을 밟음에 따라 제공되는 제동력보다 큰 힘을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2)에 입력되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지상의 차량들에 사용되는 것으로 의도되어 있기는 하지만, 기재되어 있는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20)는 다른 많은 분야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다른 브레이크 시스템이나 시스템에 선형 힘 입력을 보조하거나 조장하는 것이 바람직한 분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20)는 제1 축(A)을 따라 연장하고 있으며, 이동가능한 랙(26)을 포함한다. 랙(26)은 제1 단부(28)와 제2 단부(30) 그리고 외면을 포함한다. 랙(26)을 브레이크 페달(24)에 연결하기 위해, 페달 링키지(32)가 랙(26)의 제1 단부(28)에 부착되어 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페달 링키지(32)의 힘과 축 방향 이동을 감지하고, 감지된 힘과 축 방향 이동에 비례하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센서(34)가 페달 링키지(32)에 부착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센서(34)가 이동 그리고 힘 또는 변형(strain)의 변화를 감지하지만,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20)가 다른 센서들(34)을 포함하거나 사용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작동하는 중에 다른 다양한 관련 기계적 혹은 전기적 특성들을 감지하도록 구성될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2)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푸시로드(36)가 랙(26)의 제2 단부(30)에 부착되어 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랙(26)에 대한 힘을 페달 링키지(32)를 향해 가하기 위해(즉,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2)를 향하는 랙(26)의 이동에 저항하는), 리턴 스프링(38)이 푸시로드(36) 주위에 고리모양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랙(26)의 제2 단부(30)와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2)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한다. 랙(26)은 외면에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며, 랙(26)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랙 톱니(tooth)(40)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페달 링키지(32), 푸시로드(36) 및 리턴 스프링(38)을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형태들은 이들 부재들을 모두 다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랙(26)이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2)에 직접 체결될 수 있고, 랙(26)이 브레이크 페달(24)에 직접 체결되어 페달 링키지(32) 혹은 푸시로드(36)가 필요하지 않게 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지시되어 있듯이, 클러치 서브어셈블리(42)가 랙(26) 주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드럼(44)과 허브(46)를 포함한다. 드럼(44)이 제1 축(A)을 가로지르는 제2 축(B) 주위에 배치되어 있고, 그 제2 축(B)을 따라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제2 축(B)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드럼(44)과 체결하고 드럼(44)으로부터 토크를 허브(46)에 전달하기 위해, 허브(46)가 드럼(44)에 인접하게, 제2 축(B) 주위에 배치되어 있고, 그 제2 축(B)을 따라 그리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으며, 제2 축(B)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클러치 서브어셈블리(42)를 포함하고 있지만,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20)가 클러치 서브어셈블리(42)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작동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클러치 서브어셈블리(42)는 필요에 따라 채용할 수 있는 선택사항이다. 또한, 클러치 서브어셈블리(42)는 다판식 혹은 자기-유변식 같은 다른 임의의 형태의 클러치로부터 선택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원통형이고, 외부를 구비하며, 제2 축(B)을 따라 중심부를 관통하는 보어가 형성되어 있는 슬리브(48)가 허브(46)에 체결되어 있다. 슬리브(48)의 외부는 상기 외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슬리브 톱니(50)를 획정하고 있다. 제2 축(B) 주위에서의 슬리브(48)와 허브(46)의 회전에 응답하여 랙(26)을 제1 축(A)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슬리브 톱니(50)가 랙 톱니(40)와 맞물림 체결되어 있다. 제2 축(B)을 따라 클러치 서브어셈블리(42)와 슬리브(48)를 관통하며 주축(52)이 연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시되어 있듯이, 제2 축(B) 주위에서의 클러치 서브어셈블리(42)와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54)의 회전에 응답하여, 슬리브(48)를 회전시키고 랙(26)을 제1 축(A)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54)가 제2 축(B) 주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클러치 서브어셈블리(42)의 드럼(44)에 체결되어 있다.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54)는 주축(52) 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드럼(44)에 인접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제2 축(B)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며 회전할 수 있는 유성 캐리어(56)를 포함한다. 유성 캐리어(56)는 제2 축(B)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유성 샤프트(58)를 포함한다. 복수의 유성 기어(60)(도 3)가 유성 샤프트(58)에 부착되어 있으며, 유성 샤프트(58) 주위를 회전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한 쌍의 유성 기어(60)가 사용되고 있지만,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54)가 더 많은 수 혹은 더 적은 수의 유성 기어(60)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유성 기어(60) 각각은 복수의 유성 기어(60)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유성 톱니(62)를 포함한다.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54)는 썬 기어(64)도 포함하며, 썬 기어(64)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복수의 썬 톱니(66)(도 2 및 도 3)가 연장하고 있다. 썬 기어(64)는 주축(52) 상에서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축(B)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54)는 또한 유성 기어(60) 주위에 고리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는 링 기어(68)를 포함한다. 링 기어(68)는 해당 링 기어로부터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내부 링 톱니(70)(도 2 및 도 3)와, 링 기어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외부 링 톱니(72)를 구비한다. 링 기어(68)는 제2 축(B) 주위를 회전할 수 있다. 링 기어(68)가 제2 축(B) 주위를 회전하는 것에 응답하여, 유성 기어(60)를 이동시키기 위해, 링 기어(68)의 내부 링 톱니(70)가 유성 톱니(62)와 맞물림 체결되어 있다.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54)는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54)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구동 톱니(76)를 구비하는 구동 기어(74)를 추가로 포함한다. 썬 기어(64)를 제2 축(B)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구동하기 위해, 구동 기어(74)가 썬 기어(64)에 체결되어 있으며, 주축(52) 상에서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모터(78)가 링 기어(68)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있고, 제2 축(B)과 거의 평행한 제3 축(C)을 따라 연장하며 제3 축(C)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제1 액슬(80)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3 축(C)이 제2 축(B)과 전반적으로 평행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제1 모터(78), 드럼(44), 허브(46), 슬리브(48) 및 랙(26)의 다른 구성에서는 이와 다르게 사용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제1 피니언 기어(82)가 제1 모터(78)의 제1 액슬(80)에 부착되어 있고, 제3 축(C) 주위의 제1 액슬(80)과 제1 피니언 기어(82)의 회전에 응답하여, 링 기어(68)를 제2 축(B) 주위에서 회전시키기 위해, 외부 링 톱니(72)와 맞물림 체결하는 복수의 제1 피니언 톱니(84)를 구비한다.
제2 모터(86)가 구동 기어(74)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있고, 제2 축(B)과 거의 평행한 제4 축(D)을 따라 연장하며 제4 축(D)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제2 액슬(88)을 구비한다. 제2 피니언 기어(90)가 제2 모터(86)의 제2 액슬(88)에 부착되어 있고, 제4 축(D) 주위의 제2 액슬(88)과 제2 피니언 기어(90)의 회전에 응답하여, 썬 기어(64)를 제2 축(B) 주위에서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 톱니(76)와 맞물려 있는 복수의 제2 피니언 톱니(92)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제4 축(D)이 제2 축(B)과 전반적으로 평행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제1 모터(78), 드럼(44), 허브(46), 슬리브(48) 및 랙(26)의 다른 구성에서는 이와 다르게 사용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제2 피니언 기어(90)가 웜 기어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모터(86)와 제4 축(D)이 전반적으로 제1 축(A)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썬 기어(64)에 체결되어 있으며, 제2 모터(86)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기어(74)를 포함하고 있지만,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54)가 다른 방식으로 예컨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의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기어비와 다른 기어비를 얻기 위해 드럼(44)에 썬 기어(64)를 연결하고 유성 캐리어(56)를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유사하게,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2개의 모터(78, 86)를 활용하고 있지만,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20)가 하나의 제1 모터(78)와, 하나의 제2 모터(86)와 혹은 2개보다 많은 모터와 작동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썬 기어(64), 링 기어(68), 유성 기어(60), 구동 기어(74) 및 피니언 기어들(82, 90)이, 모터들(78, 86)의 액슬들(80, 88)의 이동에 의해 랙(26)이 적당한 양만큼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더 많은 혹은 더 적은 톱니 기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도록 혹은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54)가 추가의 기어 비를 달성하기 위해, 썬 기어(64), 링 기어(68) 혹은 유성 기어(60) 중 어느 하나는 정지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센서(34)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2 모터(86)의 제2 액슬(88)의 회전을 제어하고, 제1 모터(78)의 제1 액슬(8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컨트롤러(94)가 센서(34)에, 제1 모터(78) 및 제2 모터(8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컨트롤러(94)가 클러치 서브어셈블리(42)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하나 혹은 2개의 모터(78, 86)가 적정 속도로 구동될 수 있으며, 이때 랙(26)을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컨트롤러(94)가 클러치 서브어셈블리(42)를 제어할 수 있다.
기존의 전기 부스터들은, 부스터가 변위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클러치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기어 구동장치와 관련하여 전기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기어 구동장치의 본질 때문에,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전원을 사용하지 않고서는 백-구동(즉 후퇴)하기가 어렵다. 운전자의 발이 브레이크 페달(24)로부터 떨어져서 후퇴하기 위해, 고율의 압축 스프링들이 이들 부스터들에 부가될 수 있다.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백-구동력 외에, 푸시로드(36)가 후퇴할 때마다 전기 모터는 웜 구동 회전이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구동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구성은 부스터에 전원이 사용될 수 없는 경우에는 제동이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랙(26)을 거쳐 브레이크 페달(24)이 푸시로드(36)에 직접 기계식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20)의 본 실시형태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계속해서 작동할 수 있다. 모터들(78, 86)에 에너지가 인가되지 않거나 혹은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20)가 전력을 상실하는 상황에서,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20)는 여전히 "부스트되지 않은(non-boosted)" 매뉴얼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 페달(24)을 통해 가해진 힘이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2)에 적용되게 된다. 브레이크를 해제하거나 파워-오프 상태로 작동하는 중에, 푸시로드(36)가 힘을 덜 받아 후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클러치 서브어셈블리(42)는 랙(26)을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54)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20)는 전원이 없더라도 진공 압력이 상실될 때 부스터에 기초하는 브레이크 진공 압력의 기능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페일-세이프 작동을 지시하는 기존의 차량 안전 표준 사양을 만족시킴에 따라,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20)는 순수한 전자제어식 브레이크(brake-by-wire) 시스템에 비해 이점이 있다.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20)의 컨트롤러(94)는 계속해서 센서(34)로부터 신호(예컨대 힘 및/또는 변이 및/또는 변형)를 검출하고 해석하여, 각 모터(78, 86)에 개별적으로 전압 및 전류 출력을 제공하고, 이는 궁극적으로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54)의 양쪽 측면을 구동하여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과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2)에 적당 양의 부스트 혹은 부스트 레이트(rate)를 제공하게 된다. 각 모터들(78, 86)을 특정 속도 혹은 RPM 및 방향으로 제어함으로서,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54) 출력의 속도(즉, RPM)가 제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힘을 받는 상태에서, 푸시로드(36)가 특정의 그리고 일정한 변위에서 유지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4)을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해제하면, 클러치 서브어셈블리(42)와 모터들(78, 86)이, 리턴 스프링(38)의 힘에 의해 푸시로드(36)를 후퇴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클러치 서브어셈블리(42)와 모터들(78, 86)이 푸시로드(36)가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2)로부터 후퇴하는 것을 능동적으로 보조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모터들(78, 86)의 방향이 역회전하고 기어들(60, 64, 68, 74, 82, 90)을 통해 전달되는 토크가 능동적으로 랙(26)이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2)로부터 페달 링키지(32)를 향해 이동하게 한다.
기재되어 있는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20)는 1초의 몇 분의 1 동안에 반응할 수 있으며, 부스트 혹은 브레이크 보조력(assist)을 제공한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20)는 ABS가 각 휠의 브레이크에 압력 펄스를 전달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22)와 브레이크 시스템의 나머지 부분에 변화하는 압력 펄스를 가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20)의 컨트롤러(94)를 사용하여 모터들(78, 86)에 고속(예컨대 약 20ms의 기간)으로 전력을 절환하거나 혹은 클러치 서브어셈블리(42)를 신속하게 체결 및 해제함으로써, 이러한 압력 펄스가 얻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ABS 펌프 같이 ABS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브레이크 시스템 부품들을 대체함으로써,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20)가 브레이크 시스템의 중량을 줄이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20)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24)을 통해 입력하지 않더라도 브레이크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20)는 이미 존재하는 차량 내의 다른 시스템 예컨대 오브젝트 근접 시스템(예컨대 적응식 크루즈 컨트롤), 계정도용 검출 시스템, 주차 브레이크 또는 힐-홀드(hill-hold)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들 시스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운전자의 조작 없이도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20)는 이들 시스템들의 부품들을 대체하거나 혹은 동작을 보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20)의 작동 방법을 또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 방법은 브레이크 페달(24)을 밟는 단계(100), 브레이크 페달(24)의 이동에 따라 랙(26)을 이동시키고 힘을 가하는 단계(102)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페달(24)의 이동에 따라 페달 링키지(32)를 이동시키고 페달 링키지(32)에 힘을 가한다(104). 이어서, 센서(34)로 랙(26)의 변위와 힘을 감지하는 단계(106)를 수행한다. 실제로 센서(34)가 페달 링키지(32)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 단계는 센서(34)로 페달 링키지(32)의 변위와 힘을 감지하는 단계(108)로 규정될 수도 있다. 다음 단계는, 센서(34)로 감지한 변위와 힘에 비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110)이다. 이어서, 센서(34)에서 나온 신호에 따라 제1 모터(78)와 제2 모터(86)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단계(112) 및 제1 모터(78)와 제2 모터(86)로 랙(26)에 결합되어 있는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54)를 회전시키는 단계(114)이다. 특히, 제1 모터(78)와 제2 모터(86)로 랙(26)에 결합되어 있는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54)를 회전시키는 단계(114)는,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54)의 링 기어(68)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1 모터(78)로 제1 피니언 기어(82)를 회전시키는 단계(116)와,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54)의 구동 기어(74)와 썬 기어(64)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2 모터(86)로 제2 피니언 기어(90)를 회전시키는 단계(1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78)와 제2 모터(86)로 랙(26)에 결합되어 있는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54)를 회전시키는 단계(114)는,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54)의 유성 캐리어(56)를 회전시키기 위해 링 기어(68)와 썬 기어(64)로 복수의 유성 기어(60)를 회전시키는 단계(12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54)의 회전에 의해 랙(26)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122)로 이어진다. 상세하게는,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54)의 회전에 의해 랙(26)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122)는, 클러치 서브어셈블리(42)의 드럼(44)으로부터 토크를 클러치 서브어셈블리(42)의 허브(46)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단계(124) 및 허브(46)의 회전에 따라 랙(26)(그리고 푸시로드(36))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교시들에 비추어서 본 발명에 대해 많은 변형 및 변조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명확하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전술한 것과는 다르게 실시될 수 있음은 명확하다. 이들 전술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신규함이 그 유용성을 실행하는 범위 내에서 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장치 청구항에서 "상기(said)"라는 단어는 청구항 내에 이전에 명백하게 기재되어 있는 선행사를 지칭하는 것이고, "그(the)"는 청구항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전술 단어를 지칭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Claims (15)

  1.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로,
    제1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랙,
    상기 랙의 힘과 축 방향 변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힘과 감지된 변위에 비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랙에 결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제1 축을 가로지르는 제2 축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로, 상기 제2 축 주위에서의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랙을 상기 제1 축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랙에 결합되어 있는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
    상기 랙을 상기 제1 축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를 상기 제2 축 주위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있는 제1 모터,
    상기 랙을 상기 제1 축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를 상기 제2 축 주위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있는 제2 모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회전과 상기 랙의 축 방향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상기 제1 모터 및 상기 제2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랙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유성 캐리어, 상기 유성 캐리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유성 기어들, 상기 유성 기어들과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축 주위를 회전하는 썬 기어, 상기 유성 기어들 주위에 고리모양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성 기어들과 체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축 주위를 회전하는 링 기어, 상기 썬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썬 기어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랙은 랙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랙 톱니를 포함하고,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상기 유성 캐리어에 결합되어 있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유성 캐리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축을 따라 상기 랙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랙과 맞물림 체결되어 있는 복수의 슬리브 톱니를 획정하는 외부를 구비하며,
    제1 피니언 기어와 제2 피니언 기어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썬 기어와 상기 링 기어 각각을 상기 제2 축 주위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1 피니언 기어는 상기 제1 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상기 링 기어와 체결되어 있고, 상기 제2 피니언 기어는 상기 제2 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상기 구동 기어와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는 한 쌍의 유성 기어이고,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축을 따라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주축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
  3.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로,
    제1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랙,
    상기 랙의 힘과 축 방향 변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힘과 감지된 변위에 비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랙에 결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상기 제1 축을 가로지르는 제2 축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로, 상기 제2 축 주위에서의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랙을 상기 제1 축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랙에 결합되어 있는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
    상기 랙을 상기 제1 축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를 상기 제2 축 주위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로부터 토크를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랙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랙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와 상기 랙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클러치 서브어셈블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랙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랙 톱니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는 상기 클러치 서브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있는 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축을 따라 상기 랙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랙 톱니와 맞물림 체결되어 있는 복수의 슬리브 톱니를 획정하는 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제2 축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축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있는 드럼, 상기 제2 축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축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가 상기 드럼과 선택적으로 체결하여 상기 드럼으로부터 상기 허브로 토크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는 상기 클러치 서브어셈블리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유성 캐리어, 상기 유성 캐리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복수의 유성 기어, 상기 유성 기어에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축 주위를 회전하는 썬 기어, 상기 유성 기어 주위에 고리모양으로 배치되며 상기 유성 기어와 체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축 주위를 회전하는 링 기어, 상기 썬 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구동하기 위해 상기 썬 기어에 결합되어 있는 구동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모터는 제1 모터와 제2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는 제1 피니언 기어와 제2 피니언 기어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썬 기어와 상기 링 기어 각각을 상기 제2 축 주위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1 피니언 기어는 상기 제1 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상기 링 기어와 체결되어 있고, 상기 제2 피니언 기어는 상기 제2 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상기 구동 기어와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제1 피니언 기어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축과 전반적으로 평행한 제3 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제1 액슬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모터는 상기 제2 피니언 기어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축과 전반적으로 평행한 제4 축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제2 액슬을 포함하며, 상기 링 기어는 링 기어로부터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내부 링 톱니와, 링 기어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외부 링 톱니를 포함하며, 상기 썬 기어는 썬 기어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썬 톱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유성 기어는 상기 내부 링 톱니 및 상기 썬 톱니와 맞물림 체결되어 있는 유성 톱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피니언 기어는 상기 외부 링 톱니와 맞물림 체결하는 복수의 제1 피니언 톱니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피니언 기어는 복수의 제2 피니언 톱니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기어는 상기 제2 피니언 톱니와 맞물림 체결하는 복수의 구동 톱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
  9.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단계,
    브레이크 페달의 이동에 의해 랙을 이동시키고 랙에 힘을 가하는 단계,
    센서로 랙의 이동에 대응되는 힘과 변위를 감지하는 단계,
    센서로 감지된 변위와 힘에 비례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센서로부터 나온 신호에 따라 제1 모터 및 제2 모터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단계,
    제1 모터 및 제2 모터로 랙에 결합되어 있는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단계, 및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회전에 의해 랙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모터 및 제2 모터로 랙에 결합되어 있는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단계는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링 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제1 모터로 제1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썬 기어와 구동 기어를 구동시키기 위해 제2 모터로 제2 피니언 기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 작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 작동 방법은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유성 캐리어를 회전시키기 위해 링 기어와 썬 기어로 복수의 유성 기어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 작동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유성 기어 서브어셈블리의 회전에 의해 랙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클러치 서브어셈블리의 드럼으로부터 클러치 서브어셈블리의 허브로 토크를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허브의 회전에 따라 랙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 작동 방법.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의 이동에 의해 랙을 이동시키고 랙에 힘을 가하는 단계는 브레이크 페달의 이동에 의해 페달 링키지를 이동시키고 페달 링키지에 힘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센서로 랙의 이동에 대응되는 힘과 변위를 감지하는 단계는 센서로 페달 링키지의 이동에 대응되는 힘과 변위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 작동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058983A 2015-05-18 2016-05-13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 KR101858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62993P 2015-05-18 2015-05-18
US62/162,993 2015-05-18
US15/070,030 2016-03-15
US15/070,030 US9925968B2 (en) 2015-05-18 2016-03-15 Brake booste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663A KR20160135663A (ko) 2016-11-28
KR101858195B1 true KR101858195B1 (ko) 2018-06-28

Family

ID=57325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983A KR101858195B1 (ko) 2015-05-18 2016-05-13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25968B2 (ko)
JP (1) JP6232469B2 (ko)
KR (1) KR1018581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7876B2 (en) * 2016-09-30 2018-11-27 Advics Co., Ltd. Brak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US10099670B2 (en) * 2016-12-14 2018-10-16 Robert Bosch Gmbh Vehicle braking system and method
US11498538B2 (en) * 2017-01-19 2022-11-15 Advics Co., Ltd. Brak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JP6652101B2 (ja) * 2017-04-05 2020-02-19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の制動制御装置
CN107496089B (zh) * 2017-09-30 2023-12-01 安徽未易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轮椅的可调控蜗杆传动机构
JP7067127B2 (ja) * 2018-03-06 2022-05-16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の制動制御装置
CN108415475B (zh) * 2018-05-02 2023-05-12 吉林大学 行星齿轮式磁流变液双转筒力感反馈装置及其使用方法
IT201800005888A1 (it) * 2018-05-31 2019-12-01 Attuatore elettroidraulico perfezionato per freno
CN112224190B (zh) * 2019-06-30 2023-01-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制动助力系统及制动方法、电动汽车
US11415197B2 (en) * 2019-10-28 2022-08-16 Woodward, Inc. Star worm gear
KR20210142793A (ko) * 2020-05-18 2021-11-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듀얼 엑츄에이터로 구성된 자율 주행 차량용 전동식 부스터
US11821479B2 (en) * 2022-01-11 2023-11-21 ZF Active Safety US Inc. Electric brake for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3472A (ja) * 2009-10-30 2011-05-12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電動倍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5883A (en) * 1980-12-22 1983-08-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 brake booster
JP2003097612A (ja) 2001-09-25 2003-04-03 Aisin Seiki Co Ltd 電動駐車ブレーキ装置
CN2923453Y (zh) 2006-05-15 2007-07-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助力制动系统
DE102007018469A1 (de) 2007-04-19 2008-10-23 Robert Bosch Gmbh Elektromechanischer Bremskraftverstärker
US8069662B1 (en) * 2008-10-30 2011-12-06 Robert Bosch Gmbh Eccentric cam brake booster
DE102009028034A1 (de) 2009-07-27 2011-02-03 Robert Bosch Gmbh Hydraulischer Hauptbremszylinder
CN201882069U (zh) 2010-11-04 2011-06-29 上海华普汽车有限公司 汽车电动助力制动装置
CN102039885A (zh) 2010-12-06 2011-05-0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的制动系统
CN103802813B (zh) 2012-11-12 2018-11-06 博世汽车部件(苏州)有限公司 助力器及制动系统
CN103231706B (zh) 2013-05-14 2014-12-24 湖南湖大艾盛汽车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电动制动助力器
US9815445B2 (en) * 2014-10-29 2017-11-14 Bwi (Shanghai) Co., Ltd. Brake booste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93472A (ja) * 2009-10-30 2011-05-12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電動倍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663A (ko) 2016-11-28
US20160339890A1 (en) 2016-11-24
JP6232469B2 (ja) 2017-11-15
US9925968B2 (en) 2018-03-27
JP2016216037A (ja)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195B1 (ko) 브레이크 부스터 어셈블리
EP3212478B1 (en) Brake booster assembly
US8069662B1 (en) Eccentric cam brake booster
JP4692837B2 (ja) 電動倍力装置
CN100417559C (zh) 一种制动助力系统
EP2896541B1 (en) Electric actuator and vehicle brake system
KR20160009506A (ko) 배력 장치, 스트로크 시뮬레이터 및 저항력 부여 장치
US10005441B2 (en) Electric booster
CN107804308A (zh) 一种兼顾驻车和行车制动的制动主缸及其制动方法
CN105857283B (zh) 制动助力器组件
JP2014046853A (ja) 電動倍力装置
JPH07144636A (ja) 電気作動ブレーキ装置
CN109878475A (zh) 一种制动助力器
JP2011079525A (ja) 電動倍力装置
JP4859047B2 (ja) 電動倍力装置
JP6865822B2 (ja) 電動倍力装置及び倍力装置
JP6238647B2 (ja) 電動倍力装置
CN112145582B (zh) 盘式制动器、线控制动系统以及车辆
JPH11301461A (ja) ブレーキ装置
CN115217870A (zh) 一种制动钳、制动系统、汽车和设计方法
JP4941836B2 (ja) 電動倍力装置
CN209700628U (zh) 一种制动助力器
CN210852420U (zh) 电动助力制动系统
JP2014008891A (ja) 制動装置
CN113119934A (zh) 解耦型电动制动助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