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176B1 - 양말 편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양말 편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176B1
KR101858176B1 KR1020160086938A KR20160086938A KR101858176B1 KR 101858176 B1 KR101858176 B1 KR 101858176B1 KR 1020160086938 A KR1020160086938 A KR 1020160086938A KR 20160086938 A KR20160086938 A KR 20160086938A KR 101858176 B1 KR101858176 B1 KR 101858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knitting
jack
lifting
nee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6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6162A (ko
Inventor
최종화
Original Assignee
최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화 filed Critical 최종화
Priority to KR1020160086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176B1/ko
Publication of KR20180006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6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0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Abstract

양말 편직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양말 편직 장치는, 양말 편직 작업을 수행할 바늘들을 선택하기 위해 마련되는 캠 구조의 선택적 바늘 승강부와, 캠 구조의 전체 바늘 하강부와, 캠 구조의 선택적 바늘 하강부와, 지정된 숫자의 바늘을 선택적으로 하강시키는 암 구조의 바늘 정량 하강부가 순차적으로 마련된 평판; 전체 바늘 하강부와 바늘 정량 하강부 사이의 평판 하단부에 위치하며 실린더에 배치된 복수의 편직 바늘 각각의 하단에 구성된 니들 잭의 리프팅 돌기를 개별 선택하여 선택된 편직 바늘을 일정 위치로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 실린더를 원형으로 둘러싸는 니들 잭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복수의 편직 바늘 중 선택된 바늘이 승강 되도록 가이드 하는 승강 가이드 자크부; 및 평판에 마련되어 승강 가이드 자크부를 승강시키는 자크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말 편직 장치 및 방법{SOCKS KNITTING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양말 편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말 예를 들어 덧신의 앞 부분에 밴드 부분을 부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양말 편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패션과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다양화됨에 따라 여러 종류의 양말들이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패턴이 포함되거나 캐릭터가 정밀하게 표현되거나, 부위 마다 소재나 두께가 달라지는 등 그 심미적인 형태의 다양화와 기능적인 다양화에 따라 수 많은 종류의 양말들이 생산 및 소비되고 있다.
이러한 양말 중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양말에 통기구를 형성한 제품들이 있으며, 이러한 통기구에 의한 효과에 따라 만족도와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통기구를 구비한 기존 양말의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미세한 통기구들이 망사 형태로 편직된 영역을 구비한 여름 양말이 있으며, 원하는 영역을 잘라낸 후 봉제 처리하여 통기구를 구성한 기능성 양말이 있다.
기본적으로, 망사 형태로 편직된 영역을 구비한 여름 양말의 경우 완전한 구멍이 아닌 밑실(얽힘사)이 잔류하는 형태로서, 편직이 성긴 패턴을 반복한 것으로, 완전한 통기가 용이하지 않고 편직 두께가 얇아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원하는 영역을 잘라낸 후 봉제 처리하여 통기구를 형성하는 방식의 경우 후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되고, 잘라낸 통기구 테두리를 봉제 처리하기 때문에 해당 영역의 두께가 두꺼워져 착용감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두께의 증가 없이 완전한 구멍 형태의 통기구를 형성하고자 하는 노력은 많았으나 효과적으로 이를 달성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한국 공개특허 제10-1987-005605호 통기성 양말 및 그 제조 방법과 같이 면사와 나일론사로 편직한 양말의 필요 부위 면사를 황산알루미늄 제제로 탈락 제거하여 나일론사 만의 망상조직만 잔류하는 통기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었다. 하지만, 이 역시 완전한 구멍이 아닌 나일론사가 잔류하는 형태이며, 황산알루미늄 처리와 같은 후속 공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를 처리하는 과정이 위험하여 수율이 낮은 문제도 있었다.
그 외에도 편직기의 편직 부분 구조를 변경하여 일부 영역에 통기구를 형성하는 방식도 소개된 적이 있었으나, 이는 편직기를 재설계해야 하는 부담이 있어 현실적으로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편직기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필요한 경우 부가 구성을 적용하고 편직 방식을 달리하는 것만으로 편직 과정에서 완전한 구멍 형태의 통기구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과 심미성을 높이면서도 수율 하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의 양말 중 덧신을 착용하는 경우 반복적인 착용과 세탁 등에 의해 전방에 배치되며 개방된 상측부의 개구부가 늘어나거나 찢어져 내구성이 약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623078호(백문흠) 2016. 05. 16.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양말 예를 들어 덧신의 앞 부분에 밴드 부분을 부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킨 양말 편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말 편직 작업을 수행할 바늘들을 선택하기 위해 마련되는 캠 구조의 선택적 바늘 승강부와, 캠 구조의 전체 바늘 하강부와, 캠 구조의 선택적 바늘 하강부와, 지정된 숫자의 바늘을 선택적으로 하강시키는 암 구조의 바늘 정량 하강부가 순차적으로 마련된 평판; 상기 전체 바늘 하강부와 바늘 정량 하강부 사이의 평판 하단부에 위치하며 실린더에 배치된 복수의 편직 바늘 각각의 하단에 구성된 니들 잭의 리프팅 돌기를 개별 선택하여 선택된 편직 바늘을 일정 위치로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실린더를 원형으로 둘러싸는 상기 니들 잭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편직 바늘 중 선택된 바늘이 승강 되도록 가이드 하는 승강 가이드 자크부; 및 상기 평판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 가이드 자크부를 승강시키는 자크 승강부를 포함하는 양말 편직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 자크부는, 상기 니들 잭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자크; 상기 니들 잭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자크 보다 길이가 짧은 복수의 제2 자크; 및 상기 니들 잭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자크와 상기 복수의 제2 자크의 사이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제3 자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자크와 상기 복수의 제2 자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실린더를 원형으로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제3 자크는 특정 영역에 일부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크 승강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자크와 상기 복수의 제3 자크의 공간부으로 삽입되는 승강 블레이드; 및 상기 평판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 블레이드가 상기 공간부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정역방향 편직 작업 과정으로 고무사만 반원형으로 편직하거나 발목 부분을 원통으로 편직하는 단계; 편직 장치의 편직 바늘들 중 연속되는 일부에 해당하는 제 1군을 선택하고 연속되는 나머지인 제 2군은 작업에서 배제되도록 편직 바늘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선택된 제 1군의 편직 바늘들을 이용하여 뒷꿈치를 편직하는 단계; 상기 제 1군의 바늘을 이용하여 반원형 영역을 편직하는 단계; 편직 장치의 편직 바늘들 중 작업에서 배제되었던 제 2군을 선택하고 기존에 작업했던 제 1군을 배제하도록 편직 바늘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제 2군 바늘을 선택하여 반대편 고무 영역을 편직하는 단계; 및 제1 군과 제2 군을 선택하여 발의 앞부분을 편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말 편직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반대편 고무 영역을 편직하는 단계는 상기 제 1군의 바늘을 1:1 형태로 준비하여 편직될 수 있다.
선택된 특정 위치에 통기홀 및 밴드 중 적어도 하나를 마련하는 단계 및 양말의 특정 부분에 고무 밴드와 봉조 라인을 마련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덧신의 개방된 뒷 부분은 물론 앞 부분에도 고무 재질의 밴드를 마련하여 덧신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편직 장치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추가적인 승강 가이드 자크부와 자크 승강부의 부설만으로 덧신의 개방된 앞 부분에 고무 재질의 밴드 형성이 가능하므로 호환성을 높이고 도입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양말 편직 장치의 편직 작업 순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양말 편직 장치를 통한 양말 편직 과정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의 양말 편직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양말 편직 장치의 개략적인 저면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실린더와 액추에이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말 편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편직 작업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통기구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양말의 편직 과정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3 통기구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양말의 편직 과정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직 바늘의 작업 및 작업 배체 바늘 군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편직된 양말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양말 편직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실시 예와 본 실시 예의 승강 가이드 자크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A" 영역의 확대도와 편직 바늘의 배치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덧신의 편직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실시 예에 의해 편직된 덧신과 종래의 덧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실시 예에 의해 편직된 다른 덧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실시 예의 의해 편직된 또 다른 덧신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실시 예의 의해 편직된 또 다른 덧신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반적인 양말 편직 장치의 편직 작업 순서도를 보인 것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양말 편직 장치를 통한 양말 편직 과정을 보인 개념도로서, 통상적인 양말 편직 장치는 실린더에 구성되는 수십 내지 수백개의 편직 바늘이 사도를 통해 제공되는 원사를 편직하여 관 형상의 편직물을 형성하는 과정과, 인체의 발 형태에 맞추어 발의 뒤꿈치와 발가락 부분을 형성하는 과정 및 탄성사를 추가 편직하여 밴드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과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수십 내지 수백개의 편직 바늘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탄성사와 일반 원사를 편직하여 밴드 부분(10)을 편직하는 단계(S10)와, 밴드 부분이 편직되면 이어서 편직 바늘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일반 원사를 편직하여 관 형상으로 발목 부분(11)을 편직하는 단계(S11)와, 뒤꿈치를 형성하기 위해 편직 바늘 중 일부만 선택하여 정방향/역방향 회전을 반복하면서 뒤꿈치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편직 작업을 진행하면서 가장 자리 부분을 서로 재봉하여 볼록한 뒤꿈치 형상을 편직하는 단계(S12)와, 재봉선(12a)을 포함하는 뒤꿈치 부분(12)이 편직되면 다시 전체 편직 바늘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체 영역에 대하여 편직하여 관 형상의 발 부분(13)을 편직하는 단계(S13)와, 뒤꿈치를 형성하는 단계(S12)를 동일하게 다시 수행하여 발가락 부분(14)을 재봉선(14a)과 함께 형성하는 단계(S14)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재봉선(14a)을 가진 발가락 부(14)분까지 편직이 완료된 양말 편직물은 양말 편직 장치로부터 배출되고, 이렇게 배출된 양말 편직물은 발가락 부분의 개구부가 별도의 재봉 과정으로 봉합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본적인 양말을 완성하게 된다. 이후, 필요한 경우 자수 공정이 별도로 추가될 수 있다.
이렇게, 기존 양말 편직 장치는 양말의 전체적인 형상을 대부분 완성하게 되며, 대부분의 경우 수분 이내에 편직이 완료됨과 아울러 연속 공정이 수행되므로 비교적 수율이 높다.
하지만, 기존 양말 편직 장치는 양말의 형상에 맞추어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현재의 기존 구성과 공정으로는 완전히 개방된 통기구를 편직 과정 중 형성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직 과정 중 양말에 통기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존 양말 편직 장치의 구조를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말 편직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로서, 양말 편직을 위한 원사(겉실, 속실)들을 작업 영역에 제공하는 사도(yarn guide) 어셈블리(110)와, 이를 고정하는 고정구(100)와, 싱커(145)가 결합되는 내부 싱커링(130) 및 외부 싱커링(140)과, 하단부에 높이 조절을 위한 돌기가 형성된 편직 바늘(160) 및, 각 편직 바늘(160) 하단에 위치하여 편직 바늘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는 니들 잭(170)과, 덧신을 편직할 때 사용되는 자크 승강부(400)와, 실린더를 원형으로 둘러싸는 니들 잭(170)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복수의 편직 바늘(160) 중 선택된 바늘이 승강 되도록 가이드 하는 승강 가이드 자크부(600)를 포함한다.
즉, 기본적으로 실린더(150)에 수십 내지 수백개에 이르는 편직 바늘(160)과 그에 대응되는 니들 잭(170)이 결합 되고, 해당 실린더가 회전하면서 필요한 편직 바늘(160)을 선택하여 사도 어셈블리(110)를 통해 배출되는 실을 편직하여 관 형상의 편직물을 빠르게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실질적으로 각 편직 바늘(160)은 그 하단에 위치한 니들 잭(170)에 형성된 리프팅 돌기를 밀어 올림에 따라 특정한 설정 위치로 승강하며, 이를 평판(120)에 구성되는 다양한 바늘 승강 및 하강부가 작업 종류에 따라 해당 바늘을 밀어 올리거나 끌어 내려 작업 위치를 설정한 후 편직 작업이 진행되는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양말 편직 장치의 작업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평판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120)에 형성된 중앙 개구부를 통해서 편직 바늘들이 설치된 실린더부(200) 상단이 돌출되며, 평판(120)에 배치된 다양한 용도의 바늘 승강 혹은 하강부를 통해서 바늘의 하단 돌기가 승하강되어 바늘의 위치가 설정된다.
사도 어셈블리가 형성되는 영역을 기준으로 그 좌우에는 설정된 수의 바늘을 실린더 회전 시 승강시키는 바늘 정량 승강부(123, 124)와, 설정된 수의 바늘을 실린더 회전 시 하강시키는 바늘 정량 하강부(121, 122)가 대칭 구성되어 작업 중 편직에 사용될 바늘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거나 배제한다.
또한 밴드 구성을 위한 탄성사를 제공하기 위한 탄성사 작업부(125)가 구성되며, 단계별 작업을 위해 편직 바늘의 연속되는 일정 영역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정방향 회전 방향으로 순차 배치된 복수의 캠들이 구성된다.
이들을 살펴보면 선택적으로 연속되는 일부 바늘을 승강시키는 캠 구조의 선택적 바늘 승강부(126)와, 전체 바늘을 하강시키는 캠 구조의 전체 바늘 하강부(127)와, 선택적으로 연속되는 일부 바늘을 하강시키는 캠 구조의 선택적 바늘 하강부(128)로 구성된다.
이러한 바늘의 승강 및 하강을 위한 구성을 좀 더 종류별로 살펴보도록 한다.
부분 확대도와 같이 바늘 정량 하강부(122)는 하강 암(122a)이 회전 축을 따라 회전하면서 설정된 수의 바늘을 하강시키는데, 바늘(160)의 하단부에 위치한 돌기(160a)를 하강 암(122a)이 일정 숫자로 밀어 내리면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어 실린더가 한 번 회전 할 때 일정 수의 바늘을 하강시킬 수 있고, 바늘을 하강시키지 않을 경우 공압 실린더의 동작에 의해 하강 암(122a)이 회전 상태로 고정되어 하강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대칭 위치에 구성되는 바늘 정량 하강부(121) 역시 동일한 구조이며, 바늘 정량 승강부(123, 124) 역시 유사한 구조와 방식으로 동작한다.
한편, 일련의 바늘을 밀어 올리는 선택적 바늘 승강부(126)는 부분 확대도와 같이 캠 구조로 되어 있으며, 연속되는 일련의 바늘들을 슬라이드 회전에 따라 승강 블레이드(126a)로 승강시키는데, 이러한 승강 블레이드(126a)는 공압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실린더에 밀착 또는 이격된다. 다만, 이렇게 승강 블레이드(126a)를 따라 승강되는 바늘의 돌기(160a)는 승강 블레이드(126a)를 모두 지나야 하기 때문에 원하는 바늘들 만을 정밀하게 선택하여 승강시킬 수 없다.
연속되는 일정한 수의 바늘을 하강시키는 선택적 바늘 하강부(128) 역시 부분 확대도와 같이 캠 구조로 되어 있으며, 연속되는 일련의 바늘들을 슬라이드 회전에 따라 하강 블레이드(128a)로 하강시킨다. 이 또한 공압 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실린더에 밀착 또는 이격되며, 하강 블레이드(128a)를 따라 하강되는 바늘의 돌기(160a)는 하강 블레이드를 모두 지나야 하기 때문에 원하는 바늘들 만을 정밀하게 선택하여 하강시킬 수 없다.
결국, 일반적인 양말 편직 장치에서 작업할 바늘을 선택하기 위해 평판(120) 상에는 실린더의 정회전 및 역회전 시 연속되는 작업을 위해 설정된 수의 바늘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바늘 정량 승강부(123, 124) 및 바늘 정량 하강부(121, 122)를 구비하고 있으며, 단계별 작업을 위한 바늘 선택을 위해 캠 구조의 바늘 승강 및 하강부들을 구비하고 있는데, 뒤꿈치와 발가락 부분을 위한 일측의 부분 편직을 위한 하나의 선택적 바늘 승강부(126) 외에는 전체 바늘을 하강시키는 전체 바늘 하강부(127)와 선택적 바늘 하강부(128) 만을 구비하고 있다.
도 5는 본 실시 예의 실린더와 액추에이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앞서 설명했던 평판(120) 상에서 승강 및 하강시킬 바늘을 정밀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120) 하부에 위치한 실린더부(200)를 보면, 실린더(150)의 홈마다 니들 잭이 결합되므로 각 니들 잭마다 형성된 리프팅 돌기(170a)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리프팅 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액추에이터 블레이드(251)를 구비한 액추에이터(250)가 편직 프로그램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로 선택된 바늘을 일정한 위치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동작한다.
즉 선택된 리프팅 돌기(170a)의 회전 방향에 액추에이터 블레이드(251)를 밀착시켜 선택된 니들 잭이 일정한 위치로 승강되도록 하며, 그에 따라 상부의 편직 바늘이 일정한 위치로 승강하게 된다. 예컨대, 승강 블레이드가 실린더에 밀착되면 해당 위치로 승강된 바늘 만 선택적으로 더 승강되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액추에이터는 모든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 작업이 이루어지는 사도 위치에 밀집 배치되며, 캠 구조의 바늘 승강 및 하강부가 설치된 영역에는 실린더 정회전 방향으로 볼 때 전체 바늘 하강부(127) 후단에서 바늘 정량 하강부(122) 사이에 1개가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밴드-발목-뒤꿈치-발-발가락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일반 양말의 편직에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 구성과 편직 방식으로는 원하는 위치에 완전한 구멍 형태의 통기구를 형성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말의 편직 과정 중에 원하는 위치에 통기구를 형성하기 위해서, 통기구 형성 위치를 발목 영역이나 발 영역과 같은 관형 편직 영역 사이에 형성하는 경우와 뒤꿈치나 발가락 부분에 형성하는 경우로 구분하며, 각각 적합한 통기구 형성 방식 및 장치를 이용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말 편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편직 작업 순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직 바늘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탄성사와 일반 원사를 편직하여 밴드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S20)와, 밴드 부분이 편직되면 이어서 편직 바늘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일반 원사를 편직하여 관 형상으로 발목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S30)와, 뒤꿈치를 형성하기 위해 편직 바늘 중 일부(예컨데, 절반 혹은 일정 비율)만 선택하여 해당 선택된 영역만 정방향/역방향 회전을 반복하면서 뒤꿈치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편직 작업을 진행하되, 기존의 일반적인 양말 뒤꿈치와 달리 가장 자리 부분의 재봉 없이 반원형의 편직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S40)와, 이렇게 반원형의 편직물을 편직한 후 해당 편직물의 하단과 이전 작업되었던 관 형상 편직 영역을 시작위치로 하여 전체 편직 바늘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체 영역에 대하여 편직(관 형상)하여 통기구가 형성된 뒤꿈치를 형성하는 단계(S51)와, 관 형상의 발 부분을 일부 편직하다가 통기구 형성이 필요할 경우 편직 바늘의 일부(절반이나 일정 비율(예를 들어, 200개 바늘 중 80개)) 만을 선택하여 관 형상 편직물의 일부 영역에 이어지는 반원형 편직물을 형성하고, 다시 편직 바늘 중 사용하지 않았던 바늘의 나머지 일부(나머지 절반이나 나머지 비율(예를 들어, 200개 바늘 중 120개)) 만을 선택하여 관 형상 편직물의 다른 영역에 이어지며 기 구성된 반원형 편직물에 대응되는 반원형 편직물을 형성하여 해당 반원형 편직물의 측면으로 정의되는 구멍 영역을 구성하는 단계(S52)와, 기 편직된 반원형 편직물의 하단들을 시작 위치로 하여 발 부분의 정방향 편직이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통기구 구멍이 완성되는 단계(S53)와, 앞서 뒤꿈치를 형성하는 단계(S40)를 동일하게 다시 수행하여 통기구를 포함하는 발가락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S60)로 이루어진다.
관 형상 편직물에 통기구를 형성하는 단계(S50)는 발 부분 뿐만 아니라 발목 부분을 편직하면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복수 회 반복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할 경우 편직 장치의 일반적인 편직 과정 중에 완전한 구멍 형상의 통기구를 형성할 수 있으며, 두께의 증가나 후작업 필요성이 없어 높은 수율로 복수의 통기구를 가진 양말을 양산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6을 통해 설명했던 뒤꿈치 부분의 제 1 통기구와 발가락 부분의 제 2 통기구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영역(310)을 형성하고, 발목 부분(320)을 정방향 편직을 통해 관 형상 편직물로 형성한 후 편직 바늘의 일부(예컨대, 절반이나 소정 비율에 따른 일부)를 선택하고 나머지는 작업에서 배제시켜 선택된 편직 바늘 만을 작업 영역으로 하여 실린더를 정회전, 역회전 교번하면서 편직하여 반원형 편직물(371)을 형성한다. 이를 원하는 영역만큼 편직한 후 해당 반원형 편직물(372)의 하단 부분과 관 형상 편직물 중 작업이 중단되었던 영역을 시작 위치로 하여 정방향 편직을 시작하면 상기 반원형 편직물(372)이 동그랗게 말려 뒤꿈치 영역이 되며 그 측면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통기구(375)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통기구는 양말의 양측에 각각 생기므로 한 쌍의 동일한 크기의 통기구가 만들어지게 된다.
한편, 반원형 편직물(372)을 편직하는 과정에서 작업 영역의 좌측이나 우측의 바늘 정량 승강부 및 바늘 정량 하강부를 동작시키면 재봉선이 형성되면서 해당 부분의 통기구가 재봉선으로 재봉되어 기존의 뒤꿈치 편직물과 같아지게 된다. 이는 필요에 따라 뒤꿈치 영역의 통기구를 양말의 양측 또는 일측에만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방향 편직을 지속하면 발 영역(380)이 관 형상으로 편직되며, 발가락 부분은 뒤꿈치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서 반원형 편직물(391)로 형성하면, 그 측면이 통기구(395)가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제 1 및 제 2 통기구의 둘레 길이는 반원형 편직물의 측면 길이와 같다.
도 8은 도 6을 통해 설명했던 관형 편직물에 제 3통기구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로서, 발목 부분에 통기구를 형성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보인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영역(310)을 형성하고, 발목 부분의 일부(320)를 정방향 편직을 통해 관 형상 편직물로 형성한 후 편직 바늘의 일부(예컨대 절반)를 선택하고 나머지는 작업에서 배제시켜 선택된 편직 바늘 만을 작업 영역으로 하여 실린더를 정회전, 역회전 교번하면서 편직하여 반원형 편직물(330)을 형성 한다. 이 때 반원형 편직물(330)의 측면 길이는 이후 형성되는 통기구 둘레 길이의 절반에 해당된다. 이후, 선택되었던 편직 바늘을 배제하고 선택되지 않았던 편직 바늘을 선택하여 관 형상 편직물의 영역 중 반원형 편직물(33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다시 반원형 편직물(340)을 이어서 형성한다. 이렇게 되면 한쌍의 반원형 편직물(330, 340)의 측면이 절개 영역(350)이 된다.
이후 한쌍의 반원형 편직물(330, 340)의 하단을 시작 위치로 하여 다시 전체 편직 바늘을 이용하여 발목 부분의 나머지 영역(360)을 정방향 편직을 통해 관 형상 편직물을 형성하면 앞서의 절개 영역(350)이 봉합되면서 통기구(355)가 형성된다. 이러한 통기구(355) 역시 한쌍이 동시에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통기구 형성을 위해, 관 형상 편직물 중간에 통기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발 뒤꿈치나 발가락 부분의 작업을 위해 한 방향에 대해서만 작업이 실시되는 부분 편직 과정이 양 방향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뒤꿈치나 발가락 부분 편직시 자동으로 동작하는 재봉선 형성을 배제해야 하므로 기존 편직 방식과 장치 만으로는 대응이 쉽지 않다.
도 9는 도 8을 통해 설명했던 관 형상 편직물에 통기구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각 반원형 편직물을 형성하기 위한 편직 바늘의 선택 형태를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구성은 편직 장치의 편직 바늘들(160) 중 연속되는 절반에 해당하는 제 1군(161)을 선택하고 나머지 절반인 제 2군(162)은 작업에서 배제되도록 편직 바늘의 위치를 조절한다. 작업에서 배제되는 편직 바늘들인 제 2 군(162)은 작업 위치보다 높은 위치로 승강시켜 사도를 통해 제공되는 실과 얽히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선택된 제 1군(161)의 편직 바늘들을 이용하여 정방향 및 역방향 교번 작업을 수행하여 기 편직된 관 형상 편직물의 절반 영역을 대상으로 반원형 편직물을 이어서 형성하게 된다.
이후, 도시된 우측 구성과 같이 편직 장치의 편직 바늘들 중 작업에서 배제되었던 제 2군(162)을 선택하고 기존에 작업했던 제 1군(161)을 배제하도록 편직 바늘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 경우 정확하게 작업했던 바늘은 배제되고, 작업하지 않았던 바늘이 선택되어야 하며 하나의 바늘이라도 잘못 선택될 경우 정상적인 통기구 형성이 어려워진다. 이렇게 정확하게 교대 방식으로 바늘을 선택하여 통기구를 기준으로 각 측면 영역에 대한 편직이 이루어지면 전체 바늘이 선택되어 관 형상 편직이 후속 수행된다.
도 10은 앞서 설명했던 방법과 구성을 통해서 실시할 수 있는 양말의 예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구가 형성된 양말(500)은 뒤꿈치 부분의 제1 통기구(510), 발가락 부분의 제 2 통기구(520), 관 형상 편직 부분에 형성된 제 3 및 제 4 통기구(530, 540)를 포함하며, 이러한 통기구는 반대쪽에도 동일하게 존재한다. 혹은 반대쪽은 2군 선택 바늘의 영역을 조절하여 1군에 의해 편직된 부분의 일측면과 2군에 의한 편직의 대향되는 일측면이 이어지도록 함으로써 홀이 없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양말 편직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종래의 실시 예와 본 실시 예의 승강 가이드 자크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A" 영역의 확대도와 편직 바늘의 배치도이다.
본 실시 예의 양말 편직 장치는 덧신의 앞 부분에 고무 밴드를 마련하기 위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크 승강부(400)와, 승강 가이드 자크부(600)를 구비한다.
자크 승강부(400)는, 덧신의 앞 부분에 배치되는 고무 밴드를 고무사로 처음으로 엮기 위해서 제 1군(161)의 바늘을 1:1 형태로 준비하기 위해 승강 가이드 자크부(600)를 작동시킨다.
본 실시 예에서 자크 승강부(400)는, 도 4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120)의 저면부에 배치되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크(610)와 제3 자크(630)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부로 삽입 되는 승강 블레이드(410)와, 평판(120)에 결합 되며 승강 블레이드(410)가 공간부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본체(420)를 포함한다.
자크 승강부(400)의 본체(420)에는 승강 블레이드(410)를 공압으로 전후 이동 시키기 위해 공압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블레이드(410)는 제1 자크(610)와 제3 자크(630)에 의해 마련된 공간부로 삽입 되고, 실린더의 회전에 의해 제1 자크(610)를 사도 어셈블리(110) 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승강 가이드 자크부(600)는, 니들 잭(170)의 상단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덧신의 앞 부분 고무 밴드 부분을 편직 시 승강 블레이드(410)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승 되어 바늘이 1:1 즉 긴 바늘과 짧은 바늘이 연속적으로 1:1로 배치(도 13의 우측 그림 참고)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승강 가이드 자크부(600)는,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 잭(170)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자크(610)와, 니들 잭(170)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복수의 제1 자크(610) 보다 길이가 짧은 복수의 제2 자크(620)와, 니들 잭(170)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복수의 제1 자크(610)와 복수의 제2 자크(620)의 사이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제3 자크(630)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1 자크(610)와 복수의 제2 자크(620)는 일정 간격을 두고 실린더(150)를 원형으로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복수의 제3 자크(630)는 특정 영역에 일부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제3 자크(630)를 특정 영역에 일부만 마련한 것은,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블레이드(410)가 복수의 제1 자크(610)와 복수의 제3 자크(63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다.
덧신의 개방된 앞 부분에도 고무사로 된 밴드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고무사를 서로 엮이도록 마련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바늘과 짧은 바늘을 1:1로 배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긴 바늘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자크(610)에 해당되는 바늘을 상승시키면 되고, 본 실시예는 복수의 제3 자크(630)에 의해 복수의 제1 자크(610)의 사이에 공간부가 마련되므로 도 13의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승강 블레이드(410)가 삽입되어 복수의 제1 자크(610)를 상승시킬 수 있다.
하지만 복수의 제3 자크(630)가 없는 경우 도 13의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승강 블레이드(410)가 삽입될 수 없어 복수의 제1 자크(610)를 상승시킬 수 없다.
도 1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덧신의 편직 순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의 덧신의 편직 순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① 내지 ⑥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①번과 같이 정역방향 편직 작업 과정으로 고무사만 반원형으로 편직하고, 편직 장치의 편직 바늘들 중 연속되는 일부에 해당하는 제 1군을 선택하고 연속되는 나머지인 제 2군은 작업에서 배제되도록 편직 바늘의 위치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선택된 제 1군의 편직 바늘들을 이용하여 ② 번과 같이 뒷꿈치를 편직하고, ③번과 같이 덧신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 편직한다. 이때의 편직 방향은 정역 방향일 수 있다.
그 다음으로 편직 장치의 편직 바늘들 중 작업에서 배제되었던 제 2군을 선택하고 기존에 작업했던 제 1군을 배제하도록 편직 바늘의 위치를 조절한 후 덧신의 전방 부분의 고무 영역을 고무사로 편직한다.
이후 ④번과 같이 편직하는 데 이때 제 1군의 바늘을 1:1 형태 즉 긴 바늘과 짧은 바늘을 1:1 형태(도 13의 우측 그림 참고)로 준비하여 편직을 하고, 편직의 방향은 정역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자크 승강부(400)에 의해 승강 가이드 자크부(600)가 작동되어 긴 바늘과 짧은 바늘을 1: 1 형태로 이룰 수 있다.
이후 고무 실이 엮어지면 제 1군과 제2 군 전체를 선택하여 편직 후 1:1 또는 전체를 선택하여 편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체 바늘을 선택한 후 ⑤번과 같이 덧신의 앞부분을 편직하고, 그 이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③번과 ④번의 작업 시 내구성을 위해 양자의 접합 부분이 일부 겹쳐지게 바느질 될 수 있다.
도 15는 본 실시 예에 의해 편직된 덧신과 종래의 덧신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실시 예에 의해 편직된 다른 덧신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와 같이 덧신의 개방된 앞 부분을,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사로 밴드 부분을 마련하면,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의 덧신에서 발생되는 늘어짐이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공을 마련할 수도 있고, 이 통기공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부분에도 마련될 수 있다.
도 17은 본 실시 예의 의해 편직된 또 다른 덧신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덧신의 중앙 부분에 고무 밴드를 마련하고, 이 고무 밴드를 결합시키기 위해 봉조 라인을 마련할 수 있다. 이 경우의 편직은 도 17에 도시된 ① 내지 ⑦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8은 도 17의 과정을 통해 얻은 덧신을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 예는 덧신을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고정구 110: 사도 어셈블리
120: 평판 121: 바늘 정량 하강부
122: 바늘 정량 하강부 123: 바늘 정량 승강부
124: 바늘 정량 승강부 125: 탄성사 작업부
126: 선택적 바늘 승강부 127: 전체 바늘 하강부
128: 선택적 바늘 하강부 129: 바늘 교체 홈
130: 내부 싱커링 140: 외부 싱커링
145: 싱커 150: 실린더
160: 바늘 170: 니들 잭
200: 실린더부 250: 액추에이터
251: 액추에이터 블레이드 400: 자크 승강부
410 : 승강 블레이드 420 : 본체
500 : 통기구가 형성된 양말 600 : 승강 가이드 자크부
610 : 제1 자크 620 : 제2 자크
630 : 제3 자크

Claims (6)

  1. 양말 편직 작업을 수행할 바늘들을 선택하기 위해 마련되는 캠 구조의 선택적 바늘 승강부와, 캠 구조의 전체 바늘 하강부와, 캠 구조의 선택적 바늘 하강부와, 지정된 숫자의 바늘을 선택적으로 하강시키는 암 구조의 바늘 정량 하강부가 순차적으로 마련된 평판;
    상기 전체 바늘 하강부와 바늘 정량 하강부 사이의 평판 하단부에 위치하며 실린더에 배치된 복수의 편직 바늘 각각의 하단에 구성된 니들 잭의 리프팅 돌기를 개별 선택하여 선택된 편직 바늘을 일정 위치로 승강시키는 액추에이터;
    상기 실린더를 원형으로 둘러싸는 상기 니들 잭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편직 바늘 중 선택된 바늘이 승강 되도록 가이드 하는 승강 가이드 자크부; 및
    상기 평판에 마련되어 상기 승강 가이드 자크부를 승강시키는 자크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가이드 자크부는 상기 니들 잭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 자크, 상기 니들 잭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자크 보다 길이가 짧은 복수의 제2 자크 및 상기 니들 잭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자크와 상기 복수의 제2 자크의 사이의 길이를 갖는 복수의 제3 자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자크와 상기 복수의 제2 자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실린더를 원형으로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제3 자크는 특정 영역에 일부만 마련되고,
    상기 자크 승강부는 상기 복수의 제1 자크와 상기 복수의 제3 자크의 공간부으로 삽입되는 승강 블레이드 및 상기 평판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 블레이드가 상기 공간부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평판에 마련되어 실린더의 회전 시 설정된 수의 바늘을 승강시키는 바늘 정량 승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판에 마련되어 밴드 구성을 위한 탄성사를 제공하는 탄성사 작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리프팅 돌기에 대응되는 복수의 액추에이터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선택된 상기 리프팅 돌기의 회전 방향에 액추에이터 블레이드를 밀착시켜 선택된 상기 니들 잭을 일정한 위치로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말 편직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86938A 2016-07-08 2016-07-08 양말 편직 장치 및 방법 KR101858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938A KR101858176B1 (ko) 2016-07-08 2016-07-08 양말 편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6938A KR101858176B1 (ko) 2016-07-08 2016-07-08 양말 편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162A KR20180006162A (ko) 2018-01-17
KR101858176B1 true KR101858176B1 (ko) 2018-05-15

Family

ID=6102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6938A KR101858176B1 (ko) 2016-07-08 2016-07-08 양말 편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147B1 (ko) * 2019-01-22 2021-04-02 이승종 통풍양말 제조방법
KR102434844B1 (ko) * 2020-10-29 2022-08-19 김육진 망사형 통풍양말 편직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망사형 통풍양말
KR102408102B1 (ko) * 2020-10-29 2022-06-10 김육진 망사형 통풍양말 편직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망사형 통풍양말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873B1 (ko) * 2012-01-30 2013-06-05 주식회사매스트 양말 편직방법
KR101459260B1 (ko) * 2014-03-06 2014-11-20 박철환 쟈크를 이용한 덧버선의 밴드부 편직방법과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873B1 (ko) * 2012-01-30 2013-06-05 주식회사매스트 양말 편직방법
KR101459260B1 (ko) * 2014-03-06 2014-11-20 박철환 쟈크를 이용한 덧버선의 밴드부 편직방법과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6162A (ko)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176B1 (ko) 양말 편직 장치 및 방법
KR20160114484A (ko) 양말의 통기구 편직 방법 및 장치
US200601690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sock having a looped tab
KR200452389Y1 (ko) 덧버선 편직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덧버선
CZ129290A3 (en) Process for producing a half-finished product o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CN105247125A (zh) 编织鞋类元件的方法以及用该方法所获得的鞋类元件
JP2002526665A5 (ko)
EP2578733A1 (en) Knitting needle-guiding member, knitting needle, knitting method, knit fabric and gloves
EP0935684B1 (en) Reinforced glov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the same
CN1336971A (zh) 用于制造三维针织品的方法和装置以及由此获得的产品
WO2016006012A1 (en) Hosiery machine head
KR20230161797A (ko) 양말 편직 장치 및 방법
WO2002004727A1 (en) Method for transferring a loop for creating a decorative open-work pattern
KR20110071365A (ko) 환편기의 파일편성장치
JPH04228658A (ja) 丸編機
JPH07189090A (ja) 踵等の編成方法
KR101691734B1 (ko) 연속 공정으로 편직물에 홀을 형성하는 편직방법과 이를 통해 제작된 편직물
KR101324866B1 (ko) 양말 편성용 환편기
WO2006075380A1 (ja) 靴下編機
KR101155205B1 (ko) 색상 무늬 메쉬를 형성하는 직물 편직기
KR102049237B1 (ko) 보강부를 구비한 발착용용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469357Y1 (ko) 발가락 양말
KR102146144B1 (ko) 연속 공정으로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편직물
EP0828018A2 (en) Modified sub-needle with associated elements for circular knitters, in particular for sock and stocking knitters
KR20190123668A (ko) 보강부를 구비한 발착용용 편직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