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914B1 - 4방향 전동 대차 - Google Patents

4방향 전동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914B1
KR101857914B1 KR1020170068199A KR20170068199A KR101857914B1 KR 101857914 B1 KR101857914 B1 KR 101857914B1 KR 1020170068199 A KR1020170068199 A KR 1020170068199A KR 20170068199 A KR20170068199 A KR 20170068199A KR 101857914 B1 KR101857914 B1 KR 101857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teering wheel
stacking frame
steer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윤재
Original Assignee
(주)대성티엠씨
노윤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티엠씨, 노윤재 filed Critical (주)대성티엠씨
Priority to KR1020170068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1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9/00Steering deflectable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방향 전동 대차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판 형상을 갖는 적재프레임;과, 상기 적재프레임의 전·후방 하부에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적재프레임의 이송을 안내하되, 상기 적재프레임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바퀴;와, 상기 적재프레임의 중심 하부 양측에 수평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적재프레임의 이송 방향을 제어하는 조향바퀴;와, 상기 조향바퀴로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적재프레임을 이송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조향바퀴의 각도를 설정하여 상기 조향바퀴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적재프레임의 이송방향을 제어하는 조향수단;과, 상기 구동수단 및 조향수단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적재프레임의 이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적재프레임에 설치되어 조향바퀴을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조향바퀴의 각도를 설정하는 조향수단의 제어를 통한 조향바퀴 2개의 회전력과 회전방향 및 각도의 조절을 통해 적재프레임의 이동 방향을 매우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으므로, 가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장애물 등이 존재하더라도 장애물의 간섭없이 매우 용이하게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전동 대차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재프레임에 설치된 안전수단을 통해 적재프레임이 이동되거나 고정시에 지면에 의지하여 적재프레임의 안정적인 이송 및 고정을 유도할 수 있어 종래의 전동 대차가 이동이나 고정시 발생하는 흔들림으로 인한 불편함과 전복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4방향 전동 대차{4-way moving cart}
본 발명은 4방향 전동 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프레임에 설치되어 조향바퀴을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조향바퀴의 각도를 설정하는 조향수단의 제어를 통한 조향바퀴 2개의 회전력과 회전방향 및 각도의 조절을 통해 적재프레임의 이동 방향을 매우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으므로, 가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장애물 등이 존재하더라도 장애물의 간섭없이 매우 용이하게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전동 대차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4방향 전동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항공기 등 각 분야의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작업용 전동 대차(이하, "전동 대차"라 칭함)는 선박, 항공기의 수리 등을 위한 작업위치로의 이동 또는 화물의 운반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종래의 전동 대차는 화물이나 작업용 물품 등이 적재되는 적재프레임과 상기 적재프레임의 이송을 위한 다수의 바퀴로 구성되어 가고자 하는 목적지로 간편히 이동되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의 전동 대차는 원활한 방향 전환이 곤란하여 가고자 하는 목적지에 장애물이 있거나 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방향 전환이 요구되는 경우에 목적지로 진입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동 대차는 이동하는 과정이나 목적지에 위치되어 정지시 적재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별도의 수단이 없어 이동하는 과정과 적재프레임에서 작업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 발생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에 의한 적재프레임의 전복 위험이 존재하여 장치의 안전성이 다소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적재프레임에 설치되어 조향바퀴을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조향바퀴의 각도를 설정하는 조향수단의 제어를 통한 조향바퀴 2개의 회전력과 회전방향 및 각도의 조절을 통해 적재프레임의 이동 방향을 매우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으므로, 가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장애물 등이 존재하더라도 장애물의 간섭없이 매우 용이하게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전동 대차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4방향 전동 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적재프레임에 설치된 안전수단을 통해 적재프레임이 이동되거나 고정시에 지면에 의지하여 적재프레임의 안정적인 이송 및 고정을 유도할 수 있어 종래의 전동 대차가 이동이나 고정시 발생하는 흔들림으로 인한 불편함과 전복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4방향 전동 대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4방향 전동 대차는 판 형상을 갖는 적재프레임;과, 상기 적재프레임의 전·후방 하부에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적재프레임의 이송을 안내하되, 상기 적재프레임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바퀴;와, 상기 적재프레임의 중심 하부 양측에 수평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적재프레임의 이송 방향을 제어하는 조향바퀴;와, 상기 조향바퀴로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조향바퀴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적재프레임을 이송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조향바퀴의 각도를 설정하여 상기 조향바퀴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적재프레임의 이송방향을 제어하는 조향수단;과, 상기 구동수단 및 조향수단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적재프레임의 이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상기 적재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적재프레임이 이송되거나 고정시에 지면에 의지하여 상기 적재프레임의 안정적인 이송 및 고정을 유도하는 안전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안전수단은 일단은 상기 적재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전봉과, 상기 안전봉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일측에는 지면에 접촉되는 안전바퀴가 형성되고, 일측과 인접하는 다른 측면에는 지면에 밀착되는 지지대가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안전바퀴 또는 지지대가 지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안전체와, 상기 안전봉의 타단에 관통 형성되는 고정공과, 상기 안전체에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전체의 안전바퀴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배치시 상기 고정공과 연통되는 제1설정공과, 상기 안전체에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전체의 지지대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배치시 상기 고정공과 연통되는 제2설정공과, 상기 고정공과 설정공을 관통하여 상기 안전체를 견고히 결속 고정하는 안전볼트와, 상기 안전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안전볼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너트와, 상기 적재프레임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안전봉을 당겨 승강시키거나 밀어 하강시키는 안전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4방향 전동 대차에 의하면, 적재프레임에 설치되어 조향바퀴을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조향바퀴의 각도를 설정하는 조향수단의 제어를 통한 조향바퀴 2개의 회전력과 회전방향 및 각도의 조절을 통해 적재프레임의 이동 방향을 매우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으므로, 가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장애물 등이 존재하더라도 장애물의 간섭없이 매우 용이하게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전동 대차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재프레임에 설치된 안전수단을 통해 적재프레임이 이동되거나 고정시에 지면에 의지하여 적재프레임의 안정적인 이송 및 고정을 유도할 수 있어 종래의 전동 대차가 이동이나 고정시 발생하는 흔들림으로 인한 불편함과 전복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방향 전동 대차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4방향 전동 대차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4방향 전동 대차의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4방향 전동 대차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4방향 전동 대차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방향 전동 대차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방향 전동 대차의 정면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4방향 전동 대차의 측면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4방향 전동 대차의 평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4방향 전동 대차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방향 전동 대차(100)는 적재프레임(10)과, 이송바퀴(20)와, 조향바퀴(30)와, 구동수단(40)과, 조향수단(50)과, 컨트롤러(6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프레임(10)은 화물이나 작업용 물품이 용이하게 적재될 수 있도록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바퀴(20)는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전·후방 하부에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이송을 안내하되, 상기 적재프레임(10)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적재프레임(10)은 후설될 상기 조향바퀴(30)와 구동수단(40) 및 조향수단(50)을 통해 여러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상기 이송바퀴(20)는 상기 적재프레임(10)을 지지하여 안정적인 이송을 안내하되, 상기 적재프레임(10)이 이송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안정적인 이송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4방향 전동 대차(100)에서 이송바퀴는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전방에 2개 후방에 2개 총 4개로 이루어지나, 이러한 개수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바퀴(30)는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중심 하부 양측에 수평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이송 방향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수단(40) 및 조향수단(50)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조향바퀴(30)로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조향바퀴(3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적재프레임(10)을 이송시키는 것으로,
상기 조향바퀴(30)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조향바퀴(30)와 함께 회전되는 구동축(41)과, 상기 구동축(41)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41)의 위치를 고정하는 커버(42)와, 상기 커버(42) 상에 형성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3)와, 상기 구동모터(43)의 축(43a)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43)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되는 제1기어(44)와, 상기 구동축(41) 상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41)과 함께 회전되는 제2기어(45)와, 상기 제1기어(44)와 제2기어(45)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43)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축(41)으로 전달하여 상기 조향바퀴(30)를 회전시키는 구동체인(46)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후설될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구동모터(43)의 작동을 제어하여 양측의 상기 조향바퀴(30)를 모두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조향바퀴(30)의 회전속도를 서로 다르게 제어하거나, 상기 조향바퀴(3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이송방향을 제어하도록 한다.
즉,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43)의 회전력은 제1기어(44)와 제2기어(45) 및 구동체인(46)을 통해 상기 구동축(41)으로 제공되어 상기 구동축(41) 상에 형성되는 상기 조향바퀴(30)가 회전되게 하며, 이때 상기 조향바퀴(30)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조향바퀴(30)에 각각 형성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60)를 통해 상기 구동수단(40)의 구동모터(43)를 제어하여 상기 적재프레임(10) 전·후 방향의 이송을 제어할 수 있는데, 그 과정을 살펴보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40)을 통해 각각의 상기 조향바퀴(3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적재프레임(10)은 전방으로 곧게 전진하고, 상기 구동수단(40)을 통해 각각이 상기 조향바퀴(3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적재프레임(10)은 후방으로 곧게 후진하게 된다.
또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40)을 통해 상기 조향바퀴(3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되, 좌측의 상기 조향바퀴(30)를 우측의 상기 조향바퀴(30)보다 빠르게 회전시키면 상기 적재프레임(10)은 전방으로 우회전하며, 반대로 우측의 상기 조향바퀴(30)를 좌측의 상기 조향바퀴(30)보다 빠르게 회전시키면 상기 적재프레임(10)은 전방으로 좌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40)을 통해 상기 조향바퀴(3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좌측 및 우측 상기 조향바퀴(30)의 회전력을 달리하여 상기 적재프레임(10)이 후방으로 좌회전이나 우회전 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극단적으로 상기 구동수단(40)을 통해 좌측의 상기 조향바퀴(30)와 우측의 상기 조향바퀴(30)의 회전방향을 서로 달리하여 상기 적재프레임(10)을 제자리에서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수단(50)은 상기 조향바퀴(30)의 각도를 설정하여 상기 조향바퀴(3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이송방향을 제어하는 것으로,
하부는 상기 커버(42)에 결합 고정되고, 상부는 상기 적재프레임(10)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조향축(51)과, 상기 조향축(5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조향축(51)과 함께 회전되는 조향기어(52)와, 상기 조향기어(52)와 치합되어 상기 조향기어(52)와 함께 회전되는 조절기어(53)와, 상기 적재프레임(10)에 형성되어 상기 조절기어(53)로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조향기어(52)와 함께 상기 조향축(51)을 회전시키는 조향모터(54)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조향모터(54)의 작동을 제어하여 양측 상기 조향바퀴(30)의 각도를 함께 또는 각각 제어하여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이송방향을 제어하도록 한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모터(54)의 회전력은 상기 조절기어(53)와 조향기어(52)를 통해 상기 조향축(51)으로 전달되어 상기 조향축(51)을 회전시키는데, 이때 상기 조향축(51)과 연결되는 상기 커버(42)와 함께 회전되므로 상기 조향바퀴(30)의 각도가 설정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60)를 통해 상기 조향수단(50)의 조향모터(54)를 제어하여 상기 적재프레임(10) 전·후 또는 좌우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설정 제어할 수 있는데, 그 과정을 살펴보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프레임(10)이 전·후 방향으로 이송이 요구되면 상기 조향모터(54)의 제어를 통해 상기 조향바퀴(30) 모두를 전·후 방향을 바라보도록 각도를 설정하여 상기 조향바퀴(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적재프레임(10)이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적재프레임(10)이 전·후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과 같은 방향전환은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수단(40)을 통해 수행됨은 물론이다.
또한,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프레임(10)이 좌우 방향으로 이송이 요구되면 상기 조향모터(54)의 제어를 통해 상기 조향바퀴(30) 모두를 좌우 방향을 바라보도록 각도를 설정하여 상기 조향바퀴(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적재프레임(10)이 좌우 방향으로 이송되게 한다.
이때,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60)를 통해 어느 하나의 상기 조향모터(54)의 제어로 상기 조향바퀴(30)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적재프레임(10)이 좌우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전방측 또는 후방측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프레임(10)이 대각선(사선) 방향으로 이송이 요구되면 상기 조향모터(54)의 제어를 통해 상기 조향바퀴(30) 모두를 사선 방향을 바라보도록 각도를 설정하여 상기 조향바퀴(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적재프레임(10)의 대각선 방향으로 이송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조향모터(54)의 작동을 제어하여 양측 상기 조향바퀴(30)의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조향바퀴(3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적재프레임(10)이 전·후진 또는 좌우 방향 또는 대각선으로 이송되도록 간편히 설정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60)는 상기 구동수단(40) 및 조향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적재프레임(10)이 이송되거나 고정시에 지면에 의지하여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안정적인 이송 및 고정을 유도하는 안전수단(7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안전수단(70)은 일단은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전봉(71)과, 상기 안전봉(71)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일측에는 지면에 접촉되는 안전바퀴(72a)가 형성되고, 일측과 인접하는 다른 측면에는 지면에 밀착되는 지지대(72b)가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안전바퀴(72a) 또는 지지대(72b)가 지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안전체(72)와, 상기 안전봉(71)의 타단에 관통 형성되는 고정공(73)과, 상기 안전체(72)에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전체(72)의 안전바퀴(72a)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배치시 상기 고정공(73)과 연통되는 제1설정공(74)과, 상기 안전체(72)에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전체(72)의 지지대(72b)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배치시 상기 고정공(73)과 연통되는 제2설정공(75)과, 상기 고정공(73)과 설정공(74,75)을 관통하여 상기 안전체(72)를 견고히 결속 고정하는 안전볼트(76)와, 상기 안전볼트(76)에 체결되어 상기 안전볼트(76)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너트(77)와, 상기 적재프레임(10)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안전봉(71)을 당겨 승강시키거나 밀어 하강시키는 안전실린더(7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4방향 전동 대차(100)의 이송이 요구되어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안정적인 이송을 위해 상기 안전수단(70)의 안전체(72) 안전바퀴(72b)를 지면에 배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실린더(78)를 통해 상기 안전봉(71)을 승강시켜 상기 안전체(72)와 지면을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안전볼트(76)와 안전너트(77)의 체결을 해제한 후, 상기 고정공(73)과 설정공(74,75)에 관통 위치된 상기 안전볼트(76)를 회수하여 상기 안전체(72)의 결속을 해제한다.
여기서, 상기 안전실린더(78)를 통해 상기 안전봉(71)을 승강시키는 이유는 상기 안전체(72)를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지면과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서이다.
그런 후, 상기 안전체(72)를 회동시켜 상기 안전체(72)의 안전바퀴(72a)가 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배치한 후에 상기 고정공(73)과 제1설정공(74)으로 상기 안전볼트(76)를 관통시킨 후, 상기 안전볼트(76)에 안전너트(77)를 체결하여 상기 안전체(72)를 견고히 결속한 상태에서 상기 안전실린더(78)를 통해 상기 안전봉(71)을 하강 복귀시켜 상기 안전체(72)의 안전바퀴(72a)가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안정적인 이송을 유도한다.
한편, 본 발명의 4방향 전동 대차(100)의 이송이 완료되어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안정적인 고정이 요구되면, 도 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상기 안전볼트(76)를 통해 상기 안전체(72)의 결속을 해제한 상태에서 상기 안전체(72)의 지지대(72b)가 지면에 밀착되도록 배치한 후, 상기 안전볼트(76)를 통해 상기 안전체(72)를 결속 고정하여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유도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4방향 전동 대차(100)는 적재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조향바퀴(30)을 구동하는 상기 구동수단(40)과 상기 조향바퀴(30)의 각도를 설정하는 상기 조향수단(50)의 제어를 통한 상기 조향바퀴(30) 2개의 회전력과 회전방향 및 각도의 조절을 통해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이동 방향을 매우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으므로, 가고자 하는 목적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장애물 등이 존재하더라도 장애물의 간섭없이 매우 용이하게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전동 대차의 사용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적재프레임(10)에 설치된 상기 안전수단(70)을 통해 상기 적재프레임(10)이 이동되거나 고정시에 지면에 의지하여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안정적인 이송 및 고정을 유도할 수 있어 종래의 전동 대차가 이동이나 고정시 발생하는 흔들림으로 인한 불편함과 전복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장치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4방향 전동 대차(100)는 다음과 같이 목적지로 이동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4방향 전동 대차(100)의 이동이 요구되면 안전수단(70)의 안전바퀴(72a)가 지면에 위치 접촉되도록 상기 안전바퀴(72a)의 위치를 설정한다.
그런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4방향 전동 대차(10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이 요구되면 조향수단(50)을 통해 조향바퀴(30)가 전·후 방향을 바라보도록 각도를 설정한다.
그런 후,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수단(40)을 통해 상기 조향바퀴(30) 모두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적재프레임(1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때,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전·후방으로 이송되면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이 요구되면 2개의 상기 조향바퀴(30)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수행하며,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상기 조향바퀴(30)를 각각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제자리 회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4방향 전동 대차(10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요구되면 상기 조향수단(50)을 통해 상기 조향바퀴(30)가 좌우 방향을 바라보게 각도를 설정하여 상기 구동수단(40)을 통해 상기 조향바퀴(30)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적재프레임(10)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송되게 한다.
이때,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수단(50)을 통해 어느 하나의 상기 조향바퀴(30)의 각도를 조절하여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적재프레임(10)이 전방측 또는 후방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동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수단(50)을 통해 상기 조향바퀴(30)를 모두 경사지게 각도를 설정하여 상기 적재프레임(10)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런 후, 도 4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4방향 전동 대차(100)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안전수단(70)의 지지대(72b)가 지면에 위치 접촉되도록 상기 지지대(72b)의 위치를 설정하여 본 발명의 4방향 전동 대차(10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유도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0. 적재프레임 20. 이송바퀴
30. 조향바퀴 40. 구동수단
41. 구동축 42. 커버
43. 구동모터 44. 제1기어
45. 제2기어 46. 구동체인
50. 조향수단 51. 조향축
52. 조향기어 53. 조절기어
54. 조향모터 60. 컨트롤러
70. 안전수단 71. 안전봉
72. 안전체 73. 고정공
74. 제1설정공 75. 제2설정공
76. 안전볼트 77. 안전너트
78. 안전실린더
100. 4방향 전동 대차

Claims (4)

  1. 판 형상을 갖는 적재프레임(10);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전·후방 하부에 각각 하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이송을 안내하되, 상기 적재프레임(10)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바퀴(20);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중심 하부 양측에 수평으로 이격 형성되어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이송 방향을 제어하는 조향바퀴(30);
    상기 조향바퀴(30)로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조향바퀴(30)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적재프레임(10)을 이송시키는 구동수단(40);
    상기 조향바퀴(30)의 각도를 설정하여 상기 조향바퀴(3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이송방향을 제어하는 조향수단(50); 및
    상기 구동수단(40) 및 조향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이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양측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되어 상기 적재프레임(10)이 이송되거나 고정시에 지면에 의지하여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안정적인 이송 및 고정을 유도하는 안전수단(7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안전수단(70)은 일단은 상기 적재프레임(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전봉(71)과, 상기 안전봉(71)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일측에는 지면에 접촉되는 안전바퀴(72a)가 형성되고, 일측과 인접하는 다른 측면에는 지면에 밀착되는 지지대(72b)가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안전바퀴(72a) 또는 지지대(72b)가 지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안전체(72)와, 상기 안전봉(71)의 타단에 관통 형성되는 고정공(73)과, 상기 안전체(72)에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전체(72)의 안전바퀴(72a)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배치시 상기 고정공(73)과 연통되는 제1설정공(74)과, 상기 안전체(72)에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전체(72)의 지지대(72b)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배치시 상기 고정공(73)과 연통되는 제2설정공(75)과, 상기 고정공(73)과 설정공(74,75)을 관통하여 상기 안전체(72)를 견고히 결속 고정하는 안전볼트(76)와, 상기 안전볼트(76)에 체결되어 상기 안전볼트(76)의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너트(77)와, 상기 적재프레임(10)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안전봉(71)을 당겨 승강시키거나 밀어 하강시키는 안전실린더(7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향 전동 대차.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68199A 2017-06-01 2017-06-01 4방향 전동 대차 KR101857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199A KR101857914B1 (ko) 2017-06-01 2017-06-01 4방향 전동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199A KR101857914B1 (ko) 2017-06-01 2017-06-01 4방향 전동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914B1 true KR101857914B1 (ko) 2018-05-21

Family

ID=62453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199A KR101857914B1 (ko) 2017-06-01 2017-06-01 4방향 전동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9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16603A1 (en) * 2018-09-21 2021-01-21 Nsk Ltd. Driving wheel, carriage, and apparatus
KR20230030174A (ko) * 2021-08-25 2023-03-06 주식회사 에스엠코어 4방향 주행셔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21B1 (ko) * 2008-01-03 2010-05-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유이동 대차와 거꾸로 고정된 로봇으로 이루어진 러그전용 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21B1 (ko) * 2008-01-03 2010-05-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유이동 대차와 거꾸로 고정된 로봇으로 이루어진 러그전용 용접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16603A1 (en) * 2018-09-21 2021-01-21 Nsk Ltd. Driving wheel, carriage, and apparatus
US11701920B2 (en) * 2018-09-21 2023-07-18 Nsk Ltd. Driving wheel, carriage, and apparatus
KR20230030174A (ko) * 2021-08-25 2023-03-06 주식회사 에스엠코어 4방향 주행셔틀
KR102654603B1 (ko) * 2021-08-25 2024-04-03 주식회사 에스엠코어 4방향 주행셔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4815B2 (en) Climbing robot for travelling over adhesive surfaces
US8459384B2 (en) Climbing robot for travelling over adhesive surfaces
JP5993608B2 (ja) 車両搬送装置
JPH0534190B2 (ko)
US5478190A (en) Roll-off trailer with cargo controlling mechanism
JP5827833B2 (ja) 車両搬送装置
KR101857914B1 (ko) 4방향 전동 대차
EP3538406B1 (en) A carriage for moving a wheeled object
KR20140135891A (ko) 무인반송대차
US4620629A (en) Side guide for aircraft belt loader
JP5483022B2 (ja) 牽引車利用の台車式搬送装置
JP2766479B2 (ja) コンベヤ装置
JP6282211B2 (ja) パネル施工機及びパネル施工方法
JP2009012510A (ja) 台車
JP2012121441A (ja) 台車式搬送装置とその操向制御方法
US11701920B2 (en) Driving wheel, carriage, and apparatus
JP3610412B2 (ja) 自走式台車
KR102467754B1 (ko) 경량레일형 호이스트의 동력전달장치
JP2019014323A (ja) 電動式軌道台車
CN210760902U (zh) 一种转运小车
KR20120055115A (ko) 프로펠러 샤프트용 너트 체결 작업 장치
JPH06144783A (ja) 重量物取扱装置
JP3108751B2 (ja) 搬送車
CN114538092A (zh) 一种基于搬运设备的多向调节机构
JP2016112983A (ja) 搬送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