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597B1 -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597B1
KR101857597B1 KR1020160066783A KR20160066783A KR101857597B1 KR 101857597 B1 KR101857597 B1 KR 101857597B1 KR 1020160066783 A KR1020160066783 A KR 1020160066783A KR 20160066783 A KR20160066783 A KR 20160066783A KR 101857597 B1 KR101857597 B1 KR 101857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addle
vertical
horizontal
sadd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5225A (ko
Inventor
윤병화
Original Assignee
수원시
주식회사 정원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원시, 주식회사 정원주철 filed Critical 수원시
Priority to KR1020160066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597B1/ko
Publication of KR20170135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2Arrangement of flow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이다. 그 구체적인 수단은, 상수도관(70)에서 외주면의 저부에는 하부새들부(40)가 위치되고, 상수도관(70)에서 외주면의 상부에는 상부새들부(41)가 위치되어 안착볼트(44)로 결합되되, 상기 안착볼트(44)는 상부새들부(41)와 하부새들부(40)의 사이에 끼워지는 볼트보호구(50)의 관통부(51)를 관통하면서 장착되고, 상기 상부새들부(41)의 상부에는 안착부(42)가 돌출 형성되며, 안착부(42)의 중앙에는 통수부(43)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새들부(41)의 안착부(42)에는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의 대면부(12)가 면대면으로 맞닿으면서 결합볼트(13)로 체결되며,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의 몸체부(11)에는 표면으로 세개의 개구부(32)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끼움홈(31)이 형성된 삼방볼(30)이 내장되고,
상기 몸체부(11)에서 일측방에는 기어박스(20)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박스(20)의 대면쪽 몸체부(11)의 타측방에는 분기관(71)을 연결하기 위한 수평통수부(1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1)의 직상방에는 상기 수평통수부(14)와 수직하게 수직통수부(15)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박스(20)의 수평측에는 중앙에 제1기어(23)가 형성된 수평조작대(22)가 설치되되, 상기 제1기어(23)의 선단에는 끼움구(24)가 형성되어 상기 삼방볼(30)의 끼움홈(31)에 끼워지고, 상기 기어박스(20)의 수직측으로는 선단에 제2기어(26)가 형성된 수직조작대(25)가 장착되어, 상기 수평조작대(22)의 제1기어(23)와 수직조작대(25)의 제2기어(26)가 교차 방식으로 치합되며, 상기 기어박스(20)의 상부에는 수직조작대(25)를 관통하면서 박스덮개(21)가 결합되고, 상기 수직조작대(25)에는 수직조작연장부(81)가 끼워지며, 상기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는 새들장치부보호통(90)으로 둘러 싸이고, 상기 새들장치부보호통(90)의 상부에는 수직조작연장부(81)가 내장되도록 철개부보호통(83)이 입설되며, 상기 철개부보호통(83)의 상부에는 지수철개(84)가 안착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The multifunctional saddle apparatus for water pipe}
본 발명은 상수도관용 새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에 매설되는 상수도관에서 수돗물 사용처의 신설로 인해 분기관을 추가 설치하기 위한 분기관 새들장치에 있어서, 밸브의 개폐 조작을 새들장치의 직상방 지면에서 직접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새들장치의 매립과정에서 토사가 새들장치를 바로 덮지 않도록 새들장치의 주변으로 보호통을 설치하여 새들장치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과 사무실 등에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대형의 상수도관이 지중에 매설된다. 상기 상수도관에서 용수처의 위치에 따라 분기관이 추가적으로 설치되면서,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 수돗물이 공급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돗물의 신규 공급을 위해 분기관이 새롭게 설치되는 바, 상기 분기관의 설치를 위해 대형의 상수도관에는 새들장치가 장착된다. 상기 새들장치는 분기관 연결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단수 없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문제는 새들장치의 매립방식과 지수전의 추가 설치에 있다. 즉, 새들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수 방식으로 분기관을 설치한 이후, 최종 용수처의 유지 보수를 위해 새들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장소에 지수전을 설치하고, 새들장치는 그대로 지중으로 매설하게 된다.
따라서, 지중에서 토사와 직접 맞닿으면서 매설되는 새들장치에 누수 현상이 발생되면, 지표면으로 누수의 현상이 드러날 때까지 장시간 동안 보수 작업을 진행할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새들장치의 누수현상이 지표면으로 드러나는 시점에서도 정확한 매립 위치를 알 수 없으므로, 불필요하게 많은 범위의 도로를 굴착한 다음, 누수되는 새들장치를 강제적으로 잠금 조작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작업과 번거로움의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새들장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장소에 지수전이 설치되는바, 상기 지수전은 지수밸브의 양쪽에 분기관이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누수 방지의 관점으로 볼때, 지수전의 추가 설치는 누수 지점의 증가로 해석된다.
이는 지수밸브와 분기관이 접속되는 지점에서 누수가 많이 발생한다는 의미로써, 용수처의 신설로 인해 분기관이 추가 설치된다는 것은 동시에 누수 지점의 증가 문제로 이어진다. 따라서, 새들장치를 이용한 분기관의 추가 설치시 지수전의 추가 설치가 동반되는 문제점을 해결해야 한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실제적인 요구를 수용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새들장치를 이용한 분기관의 설치시 분기관의 개폐를 관장하는 지수전을 별도로 추가 설치하지 않고, 지중에 매설되는 새들장치의 개폐작동을 지상에서 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누수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및 추후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의 구체적인 수단은, 상수도관(70)에서 외주면의 저부에는 하부새들부(40)가 위치되고, 상수도관(70)에서 외주면의 상부에는 상부새들부(41)가 위치되어 안착볼트(44)로 결합되되, 상기 안착볼트(44)는 상부새들부(41)와 하부새들부(40)의 사이에 끼워지는 볼트보호구(50)의 관통부(51)를 관통하면서 장착되고, 상기 상부새들부(41)의 상부에는 안착부(42)가 돌출 형성되며, 안착부(42)의 중앙에는 통수부(43)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새들부(41)의 안착부(42)에는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의 대면부(12)가 면대면으로 맞닿으면서 결합볼트(13)로 체결되며,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의 몸체부(11)에는 표면으로 세개의 개구부(32)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끼움홈(31)이 형성된 삼방볼(30)이 내장되고,
상기 몸체부(11)에서 일측방에는 기어박스(20)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박스(20)의 대면쪽 몸체부(11)의 타측방에는 분기관(71)을 연결하기 위한 수평통수부(1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1)의 직상방에는 상기 수평통수부(14)와 수직하게 수직통수부(15)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박스(20)의 수평측에는 중앙에 제1기어(23)가 형성된 수평조작대(22)가 설치되되, 상기 제1기어(23)의 선단에는 끼움구(24)가 형성되어 상기 삼방볼(30)의 끼움홈(31)에 끼워지고, 상기 기어박스(20)의 수직측으로는 선단에 제2기어(26)가 형성된 수직조작대(25)가 장착되어, 상기 수평조작대(22)의 제1기어(23)와 수직조작대(25)의 제2기어(26)가 교차 방식으로 치합되며, 상기 기어박스(20)의 상부에는 수직조작대(25)를 관통하면서 박스덮개(21)가 결합되고, 상기 수직조작대(25)에는 수직조작연장부(81)가 끼워지며, 상기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는 새들장치부보호통(90)으로 둘러 싸이고, 상기 새들장치부보호통(90)의 상부에는 수직조작연장부(81)가 내장되도록 철개부보호통(83)이 입설되며, 상기 철개부보호통(83)의 상부에는 지수철개(84)가 안착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분기관(71)의 설치시 분기관(71)의 개폐를 관장하는 별도의 지수밸브(80)와 지수철개(84), 철개부보호통(83) 등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설비 비용의 절약은 물론 공사 시간이 단축될 뿐 아니라, 누수 지점이 감소됨으로써, 누수율이 저하되는 현저한 효과가 발생된다.
한편,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새들장치의 직상방 즉, 지상의 표면으로 지수철개(84)가 설치됨에 따라, 누수 사고가 발생하거나, 기타 사유로 인해 분기관(71)을 단수해야 하는 상황에서, 지중에 매설된 새들장치의 위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지중에 매설된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는 새들장치부보호통(90)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형태로 보호됨으로써, 토사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원천 봉쇄됨에 따라, 녹이 발생하는 등의 노후 관련 문제를 감소시키게 된다.
도 1은 종래 새들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중 상부 새들부, 하부 새들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 5는 본 발명중 수직조작형 새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중 수직조작형 새들장치의 보호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되, 종래의 문제점과 비교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새들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새들장치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설 및 증설되는 각종 급수공사시에 상수도관(70)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수도관(70)을 단수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수도관(70)을 타공한 다음, 분기관(71)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종래에는 분기관(71)을 설치하기 위한 수평조작형새들장치(60)가 상수도관(70)의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 수평조작형새들장치(60)는 일측방으로 수평조작대(22)가 수평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며, 작업 완료시에는 토사와 맞닿으면서 땅속으로 완전하게 매립된다.
그러므로, 지중으로 매립된 수평조작형새들장치(60)는 토사와의 접촉에 의하여 신속하게 노후화 되면서, 조립 볼트와 이음매 등에 녹이 발생함에 따라 잦은 누수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또한, 지중으로 매립된 수평조작형새들장치(60)에 누수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유지 보수를 위해 터파기 공사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설치 지점이 지상에 표시되지 않은 관계로 불필요하게 넓은 면적을 터파기 함으로써, 공사시간과 비용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수평조작형새들장치(6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지점에 최종 용수처의 유지 보수를 위해 지수철개(84)가 설치되고, 지수철개(84)의 지수밸브(80)에 접속된 분기관(71)을 따라 흐르는 상수는 가정이나 사무실의 수도계량함(72)을 지나 수전(73)을 통해 최종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상기 지수철개(84)는 지상에서 지수밸브(8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지표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수철개(84)의 직하방 지하에는 지수밸브(80)가 설치되고, 지수밸브(80)의 주변으로 철개부보호통(83)이 쒸어지며, 철개부보호통(83)의 내부에는 지수밸브(80)를 개폐하기 위한 수직조작연장부(81)가 설치되고, 수직조작연장부(81)의 상단에는 개폐구(82)가 장착되며, 철개부보호통(83)의 상부에는 지수철개(84)가 설치되는 것이다.
종래 지수철개(84)의 문제점은 상기 수평조작형새들장치(60)에 분기관(71)의 단수와 통수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평조작형새들장치(60)는 땅속으로 매몰시킨 다음, 분기관(71)의 개폐를 관장하는 지수철개(84)를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시공비와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또한, 지수철개(84)의 직하방 지하에 설치된 지수밸브(80)는 그 양쪽으로 분기관(71)이 접속되는 구성임을 고려할 때, 분기관(71)과 지수밸브(80)의 접속부위가 잠정적으로 누수 지점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누수 방지의 관점으로 볼 때, 분기관(71)의 접속부위는 적을수록 좋다. 실제로 지수밸브(80)와 분기관(71)의 접속지점에서 누수가 많이 발생하여 유수보수를 위한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 아니라, 가정이나 사무실 등 용수처의 불편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요소는 상수도관(70)에서 무단수 방식으로 분기관(71)을 설치할 수 있는 새들장치의 개폐조작 구성을 지상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수직조작대(25)와 수직조작연장부(81) 등이 부설된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로 구성함으로써, 분기관(71)의 개폐를 위한 별도의 지수철개(84)가 필요없는 구성이다.
도 3은 본 발명중 상부 새들부, 하부 새들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3에서와 같이 상수도관(70)에서 외주면의 저부에는 하부새들부(40)가 위치되고, 상수도관(70)에서 외주면의 상부에는 상부새들부(41)가 위치되되, 상기 상부새들부(41)의 상부에는 안착부(42)가 돌출 형성되고, 안착부(42)의 중앙에는 통수부(43)가 형성된다. 이후 안착볼트(44)를 통해 상기 상수도관(70)을 중앙에 두고 상부새들부(41)와 하부새들부(40)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안착볼트(44)는 상부새들부(41)와 하부새들부(40)의 사이에 끼워지는 볼트보호구(50)의 관통부(51)를 관통하면서 장착되는바, 상기 연질의 고무재질에 해당하는 볼트보호구(50)로 인해 안착볼트(44)의 나사산에는 이물질이 끼지 않게 되어, 안착볼트(44)의 고착과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초기의 결합강도가 장시간동안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4, 5는 본 발명중 수직조작형 새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상부새들부(41)의 안착부(42)에는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의 대면부(12)가 면대면으로 맞닿은 다음, 결합볼트(13)를 통해 견고하게 위치되고,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의 몸체부(11)에는 삼방볼(30)이 내장된다.
상기 삼방볼(30)은 도 4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세방향 또는 두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통상적인 구성으로서, 표면에는 세개의 개구부(32)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삼방볼(30)을 회전시키기 위한 수평조작대(22)를 끼울 수 있도록 끼움홈(31)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의 몸체부(11)에서 일측방에는 기어박스(20)가 형성되고, 상기 기어박스(20)의 대면쪽 타측방에는 분기관(71)을 연결하기 위한 수평통수부(14)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의 직상방에는 상기 수평통수부(14)와 수직하게 수직통수부(15)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에서는 상기 수직통수부(15)에는 마개(16)를 끼워 폐쇄하고, 수평통수부(14)에는 분기관(71)을 결합하여 상수도관(70)으로 흐르는 수돗물이 측방으로 분기되도록 도시하였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기어박스(20)의 수평측에는 중앙에 제1기어(23)가 형성된 수평조작대(22)가 설치되되, 상기 제1기어(23)의 선단에는 끼움구(24)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1)에 내장된 삼방볼(30)의 끼움홈(31)에 끼워지면서, 수평조작대(22)의 회전에 의하여 삼방볼(30)의 통수위치가 결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20)의 수직측으로는 선단에 제2기어(26)가 형성된 수직조작대(25)가 장착되면서, 상기 수평조작대(22)의 제1기어(23)와 수직조작대(25)의 제2기어(26)가 두 축이 교차되는 방식으로 치합되고, 상기 기어박스(20)의 상부에는 수직조작대(25)를 관통하면서 박스덮개(21)가 결합된다.
따라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박스덮개(21)의 상부로 돌출된 수직조작대(25)에 수직조작연장부(81)를 끼운 다음, 수직조작연장부(81)를 작업자가 회전시키면, 수직조작대(25)의 제2기어(26)와 수직하게 치합된 수평조작대(22)의 제1기어(23)가 작동되면서, 결국에는 삼방볼(30)의 통수위치가 변경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평상시의 물의 흐름은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에서 ⓑ방향으로 상수도관(70)을 따라 흐르면서, 동시에서 용수처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즉, 평상시에는 세개의 방향으로 흐르도록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의 삼방볼(30)의 통수위치를 설정한다.
이후, 누수를 비롯한 용수처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분기관(71)을 단수해야 하는 유지 보수 상황에서는 물의 흐름을 ⓐ에서 ⓑ방향으로만 가능하도록 작업자가 지상에서 수직조작연장부(81)를 회전시켜서,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의 삼방볼(30)의 통수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중 수직조작형 새들장치의 보호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보듯이,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는 새들장치부보호통(90)에 의하여 보호되도록 함으로써,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에 토사가 직접 맞닿지 않음에 따라, 새들장치의 노후속도가 현저하게 감소되는 장점이 발생한다.
또한, 용수처의 수도 폐전으로 인해 해당 새들장치의 기능이 상실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를 둘러싸고 있는 새들장치부보호통(90)의 내부로 발포식 우레탄을 충진함으로써, 혹여 발생할 수 있는 누수의 위험을 제거하여 누수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새들장치부보호통(90)의 상부에는 수직조작연장부(81)가 내장되도록 철개부보호통(83)이 입설되고, 상기 철개부보호통(83)의 상부에는 지수철개(84)를 안착시킴으로써, 지상에서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의 위치가 용이하게 파악될 뿐 아니라, 개폐 작업이 수월해 지는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분기관(71)의 설치시 분기관(71)의 개폐를 관장하는 별도의 지수밸브(80)와 지수철개(84), 철개부보호통(83) 등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설비 비용의 절약은 물론 공사 시간이 단축될 뿐 아니라, 누수 지점이 감소됨으로써, 누수율이 저하되는 현저한 효과가 발생된다.
한편,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새들장치의 직상방 즉, 지상의 표면으로 지수철개(84)가 설치됨에 따라, 누수 사고가 발생하거나, 기타 사유로 인해 분기관(71)을 단수해야 하는 상황에서, 지중에 매설된 새들장치의 위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지중에 매설된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는 새들장치부보호통(90)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형태로 보호됨으로써, 토사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원천 봉쇄됨에 따라, 녹이 발생하는 등의 노후 관련 문제를 감소시키게 된다.
10 : 수직조작형새들장치
11 : 몸체부
12 : 대면부
13 : 결합볼트
14 : 수평통수부
15 : 수직통수부
16 : 마개
20 : 기어박스
21 : 박스덮개
22 : 수평조작대
23 : 제1기어
24 : 끼움구
25 : 수직조작대
26 : 제2기어
30 : 삼방볼
31 : 끼움홈
32 : 개구부
40 : 하부새들부
41 : 상부새들부
42 : 안착부
43 : 통수부
44 : 안착볼트
50 : 볼트보호구
51 : 관통부
60 : 수평조작형새들장치
70 : 상수도관
71 : 분기관
72 : 수도계량함
73 : 수전
80 : 지수밸브
81 : 수직조작연장부
82 : 개폐구
83 : 철개부보호통
84 : 지수철개
90 : 새들장치부보호통

Claims (1)

  1. 상수도관(70)에서 외주면의 저부에는 하부새들부(40)가 위치되고, 상수도관(70)에서 외주면의 상부에는 상부새들부(41)가 위치되어 안착볼트(44)로 결합되되, 상기 안착볼트(44)는 상부새들부(41)와 하부새들부(40)의 사이에 끼워지는 볼트보호구(50)의 관통부(51)를 관통하면서 장착되고, 상기 상부새들부(41)의 상부에는 안착부(42)가 돌출 형성되며, 안착부(42)의 중앙에는 통수부(43)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새들부(41)의 안착부(42)에는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의 대면부(12)가 면대면으로 맞닿으면서 결합볼트(13)로 체결되며,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의 몸체부(11)에는 표면으로 세개의 개구부(32)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끼움홈(31)이 형성된 삼방볼(30)이 내장되고,
    상기 몸체부(11)에서 일측방에는 기어박스(20)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박스(20)의 대면쪽 몸체부(11)의 타측방에는 분기관(71)을 연결하기 위한 수평통수부(1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1)의 직상방에는 상기 수평통수부(14)와 수직하게 수직통수부(15)가 형성되며,
    상기 기어박스(20)의 수평측에는 중앙에 제1기어(23)가 형성된 수평조작대(22)가 설치되되, 상기 제1기어(23)의 선단에는 끼움구(24)가 형성되어 상기 삼방볼(30)의 끼움홈(31)에 끼워지고, 상기 기어박스(20)의 수직측으로는 선단에 제2기어(26)가 형성된 수직조작대(25)가 장착되어, 상기 수평조작대(22)의 제1기어(23)와 수직조작대(25)의 제2기어(26)가 교차 방식으로 치합되며, 상기 기어박스(20)의 상부에는 수직조작대(25)를 관통하면서 박스덮개(21)가 결합되고, 상기 수직조작대(25)에는 수직조작연장부(81)가 끼워지며,
    상기 수직조작형새들장치(10)는 새들장치부보호통(90)으로 둘러 싸이고, 상기 새들장치부보호통(90)의 상부에는 수직조작연장부(81)가 내장되도록 철개부보호통(83)이 입설되며, 상기 철개부보호통(83)의 상부에는 지수철개(84)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
KR1020160066783A 2016-05-30 2016-05-30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 KR101857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783A KR101857597B1 (ko) 2016-05-30 2016-05-30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783A KR101857597B1 (ko) 2016-05-30 2016-05-30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225A KR20170135225A (ko) 2017-12-08
KR101857597B1 true KR101857597B1 (ko) 2018-05-14

Family

ID=60919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783A KR101857597B1 (ko) 2016-05-30 2016-05-30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5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398B1 (ko) * 2019-09-11 2020-03-16 김규학 상수도관 무단수 보수공사 방법
KR200491291Y1 (ko) * 2019-09-11 2020-03-16 김규학 상수도관 무단수 보수공사용 누수차단장치
KR102438528B1 (ko) * 2020-11-04 2022-09-01 부덕실업 주식회사 새들붙이 관 점검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048B1 (ko) * 2014-11-10 2015-11-16 이동헌 자동 배수 기능을 갖는 제수변 보호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048B1 (ko) * 2014-11-10 2015-11-16 이동헌 자동 배수 기능을 갖는 제수변 보호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225A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597B1 (ko)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
JP6397940B2 (ja) 高水圧対応のマッドバランス管推進機の到達部装置及び工法
US2187324A (en) Method of and means for repairing masonry structures
KR20210000431U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급수전
KR101928263B1 (ko) 직관을 이용한 비굴착식 도관보수장치 및 시공방법
DE2900960A1 (de) Verfahren zum einbau einer leckschutzeinrichtung fuer eine rohrleitung zwischen einem brennstofftank und einem verbraucher, z.b. einem oelbrenner
KR101748380B1 (ko)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
KR101599464B1 (ko) 개폐장치 일체형 부단수 할정자관
US6068019A (en) Branch apparatus for pipe and a branch method using the same
EP2920501A1 (en) Device for inserting a tool into a water pipe
KR101709287B1 (ko) 상수관 정보 표시기능을 갖는 제수밸브
US7350533B1 (en) Method for accessing a pipe and apparatus therefor
KR101744152B1 (ko) 핸들식 급수조절장치
KR101729734B1 (ko) 차집관거 물돌리기 공법
KR20210051130A (ko) 지하수 관정의 상부보호공
JP4293623B2 (ja) 止水栓と給水配管系とその埋設方法とその工事方法
KR101449897B1 (ko) 엘보형 절수장치
KR101029526B1 (ko) 유체 차단용 분기 티이 장치
CN219316961U (zh) 相贯结构体的止水注浆管路结构
US20170254462A1 (en) Improved Valve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10239687B1 (en) Above ground water tank fill/drain system
US201601463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ot-tap tie in for large diameter pipes
KR101613360B1 (ko)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
JP2022085334A (ja) 仮設水栓及びその水道仮設工法
JP2022134850A (ja) 管口止水工法並びに止水用リング及び管口止水具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