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8380B1 -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 - Google Patents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380B1
KR101748380B1 KR1020160104884A KR20160104884A KR101748380B1 KR 101748380 B1 KR101748380 B1 KR 101748380B1 KR 1020160104884 A KR1020160104884 A KR 1020160104884A KR 20160104884 A KR20160104884 A KR 20160104884A KR 101748380 B1 KR101748380 B1 KR 101748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pair
gasket
water
saddl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석근
이승헌
유연환
유병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준엔지니어링
(주)건양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준엔지니어링, (주)건양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준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104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8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out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로서, 내측에 작업공간이 확보되는 상측 비닐부가 구비되는 상측 개스킷 새들; 및 내측에 작업공간이 확보되는 하측 비닐부가 구비되는 하측 개스킷 새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개스킷 새들과 상기 하측 개스킷 새들은 메인관의 상하측에서 상기 메인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수밀하게 체결되며, 상기 상측 비닐부 및 상기 하측 비닐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작업자가 팔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 이상의 팔 삽입부가 구비되는 구성을 마련함으로써, 분기관이나 새들 분수전, 누수 방지 새들 등이 노후되거나 파손된 경우 이를 무단수 상태에서 수선하면서도 작업자가 물을 맞지 않고 작업할 수 있고 수요가에서 단수되는 불편을 방지하며 메인관 주변의 굴착구간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여 현장 작업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Water Pipe Renovation Device for work under water supply}
본 발명은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내측에 작업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는 경질 비닐이 구비된 상측 개스킷 새들과 하측 개스킷 새들을 메인관의 상하측에서 메인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수밀하게 체결시킴으로써 경질 비닐에 작업자가 팔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 이상의 팔 삽입부를 통해 경질 비닐 내측의 공간에서 작업공구 등을 이용하여 수선 작업을 할 수 있게 한,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상수도관과 같은 파이프라인의 본관에 지관을 연결해야 할 경우 시공자는 상수도 본관 전후의 제수밸브를 잠가 단수작업을 한 후 지관을 분기 연결하거나 무단수 천공 작업 공법으로 새들 분수전을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무단수 천공 작업 공법에 사용되는 누수 방지 새들에 관한 기술의 일 예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서는 '관 접속용 무단수(無斷水) 가지새들의 지관(支管) 연결장치'가 제안된 바 있고, 하기의 특허문헌 2에서는 '무단수 작업을 위한 제수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하기의 특허문헌 3에서는 '수도용 수직조작형 새들분수전'이 제안된 바 있고, 하기의 특허문헌 4에서는 '부단수 천공 방법 및 부단수 천공 방법을 이용하는 새들분수전'이 제안된 바 있으며, 하기의 특허문헌 5에서는 '새들분수전용커버를 사용한 천공파이프'가 제안된 바 있고, 하기의 특허문헌 6에서는 '각도 조절이 간편한 새들 분수전'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무단수 천공 공사 공법은, 상수도관, 공업용수관, 냉각수, 온수, 오일라인, 공장설비라인, 배수관, 하수관 등과 같이 유체가 흐르고 있는 본관에 분기관 설치, 노후된 관의 교체, 본관 또는 지관의 연결라인 증설 또는 소화전 설치 등의 작업을 본관의 단수 없이 시행하는 공사 공법인데, 처음에 본관에 분기관 또는 지관을 연결할 경우에는 새들 분수전 등을 이용하여 단수되지 않은 상태로 작업이 가능하나, 분기관이나 새들 분수전 등이 노후되거나 파손된 경우 이를 단수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선하게 되면 누수가 불가피하여 작업자가 물을 맞으면서 작업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무단수 상태에서 노후 또는 파손된 분기관이나 새들 분수전 등을 수선하게 되면 수선작업을 위해 메인관 주변의 흙을 제거하여 굴착한 구간에 물이 고이게 되는바 이를 펌프로 퍼내어 제거하면서 작업을 해야 하며, 작업자가 흙탕물 속에서 정비작업을 하는 도중에 미끄러지거나 공구 등이 물에 빠져 찾기 어려워지고 수중 작업으로 인한 불편함이 생기게 된다.
이를 피하기 위하여 단수작업을 행할 경우, 직접적인 배관공사보다는 물빼기 작업 및 작업 후 관로에 물을 채우는 통수작업에 대부분의 시간이 소비되는 단수작업의 특성상 급수중단에 따른 시민불편과 경제적 손실 및 대규모 민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996-0001363호(공고일자 1996년 02월 13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36350호(공개일자 2001년 05월 07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9385호(공고일자 2010년 07월 07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3640호(공고일자 2010년 09월 24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00361호(공개일자 2010년 05월 15일)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4375호(공개일자 2016년 04월 25일)
상기한 바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관의 상하측에서 메인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수밀하게 체결되는 상측 개스킷 새들과 하측 개스킷 새들 각각에 구비된 경질 비닐 내측의 작업공간으로 누출되는 물을 배출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작업자가 경질비닐에 구비된 팔 삽입부를 통해 작업공간 내부에서 수선작업을 할 수 있는,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기관이나 새들 분수전, 누수 방지 새들 등이 노후되거나 파손된 경우 이를 무단수 상태에서 정비하면서도 작업자가 물을 맞지 않고 작업할 수 있고 메인관 주변의 굴착구간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로서, 내측에 작업공간이 확보되는 상측 비닐부가 구비되는 상측 개스킷 새들; 내측에 작업공간이 확보되는 하측 비닐부가 구비되는 하측 개스킷 새들; 상기 상측 비닐부 및 상기 하측 비닐부 내측의 작업공간 내부의 물 또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호스; 및 상기 작업공간 내부에서 사용되는 공구나 부품 등을 보관하기 위한 공구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개스킷 새들과 상기 하측 개스킷 새들은 메인관의 상하측에서 상기 메인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수밀하게 체결되며, 상기 상측 비닐부 및 상기 하측 비닐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작업자가 팔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 이상의 팔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 개스킷 새들은, 중앙부는 상기 메인관의 외면에 부합되도록 형성되고 양측부는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인관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상측 폭 방향 새들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상측 폭 방향 새들 부재의 측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관에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상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 개스킷 새들은, 중앙부는 상기 메인관의 외면에 부합되도록 형성되고 양측부는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인관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하측 폭 방향 새들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하측 폭 방향 새들 부재의 측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관에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하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상측 폭 방향 새들 부재의 양측부 및 상기 한 쌍의 하측 폭 방향 새들 부재의 양측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상측 폭 방향 새들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하측 폭 방향 새들 부재는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상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하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핑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상측 비닐부 및 상기 하측 비닐부는 투명한 경질 합성수지재이고, 상기 한 쌍 이상의 팔 삽입부는 연질 합성수지재이며, 상기 배출호스는 상기 작업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상측 비닐부 또는 상기 하측 비닐부의 일측에 결합 연결되고, 상기 하측 비닐부의 하면부 일측에는 개폐 가능한 퇴수구가 설치되며, 상기 공구보관부는 상기 상측 개스킷 새들 또는 상기 하측 개스킷 새들의 일측에서 상기 작업공간 내측 방향 좌측 또는 우측에 이동식으로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에 의하면, 메인관의 상하측에서 메인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수밀하게 체결되는 상측 개스킷 새들과 하측 개스킷 새들 각각에 구비된 경질 비닐 내측의 작업공간으로 누출되는 물을 배출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작업자가 경질비닐에 구비된 팔 삽입부를 통해 작업공간 내부에서 정비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분기관이나 새들 분수전, 누수 방지 새들 등이 노후되거나 파손된 경우 이를 무단수 상태에서 정비하면서도 작업자가 물을 맞지 않고 작업할 수 있고 메인관 주변의 굴착구간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가 메인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상측 개스킷 새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하측 개스킷 새들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가 메인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가 메인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가 메인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측 개스킷 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하측 개스킷 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1)는, 내측에 작업공간이 확보되는 상측 비닐부(21)가 구비되는 상측 개스킷 새들(20); 및 내측에 작업공간이 확보되는 하측 비닐부(31)가 구비되는 하측 개스킷 새들(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측 개스킷 새들(20)은 메인관(10)의 상측에 고정되어 메인관(10) 상측의 작업공간을 상측 비닐부(21)로 폐쇄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서, 한 쌍의 상측 폭 방향 새들 부재(22) 및 한 쌍의 상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상측 폭 방향 새들 부재(22)는 메인관(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부재로서, 중앙부는 메인관(10)의 외면에 부합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양측부는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다.
한 쌍의 상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23)는 메인관(10)에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부재로서, 상기 한 쌍의 상측 폭 방향 새들 부재(22)의 측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상측 폭 방향 새들 부재(22) 및 한 쌍의 상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23)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재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양자가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양자는 전체적으로 장방형 프레임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경 100 mm인 메인관(10)의 외경이 118 mm인 경우 상측 폭 방향 새들 부재(22)의 길이는 약 358 mm로 형성되고 상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23)의 길이는 약 400 mm 정도로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상측 폭 방향 새들 부재(22) 및 한 쌍의 상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23)가 이루는 장방형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측 비닐부(21)가 수밀하게 결합된다.
상측 비닐부(21)는 메인관(10) 상측의 작업공간을 둘러싸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서, 작업공간 내에 물이 차더라도 외형에 급격한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투명한 경질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PVC 등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하측 개스킷 새들(30)은 메인관(10)의 하측에 고정되어 메인관(10) 하측의 작업공간을 하측 비닐부(31)로 폐쇄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서, 한 쌍의 하측 폭 방향 새들 부재(32) 및 한 쌍의 하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하측 폭 방향 새들 부재(32)는 메인관(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부재로서, 중앙부는 메인관(10)의 외면에 부합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양측부는 수평하게 연장 형성된다.
한 쌍의 하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33)는 메인관(10)에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부재로서, 상기 한 쌍의 하측 폭 방향 새들 부재(32)의 측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하측 폭 방향 새들 부재(32) 및 한 쌍의 하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33)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재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양자가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양자는 전체적으로 장방형 프레임의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경 100 mm인 메인관(10)의 외경이 118 mm인 경우 하측 폭 방향 새들 부재(32)의 길이는 약 358 mm로 형성되고 하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33)의 길이는 약 400 mm 정도로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하측 폭 방향 새들 부재(32) 및 하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33)가 이루는 장방형 프레임의 내측에는 하측 비닐부(31)가 수밀하게 결합된다.
하측 비닐부(31)는 메인관(10) 하측의 작업공간을 둘러싸는 기능을 하는 부분으로서, 작업공간 내에 물이 차더라도 외형에 급격한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투명한 경질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PVC 등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하측 비닐부(31)의 하면부 일측에는 작업 완료시 작업공간 내의 물을 빼내기 위한 개폐 가능한 퇴수구(31a)가 설치된다.
상측 개스킷 새들(20)과 하측 개스킷 새들(30)은 메인관(10)의 상하측에서 메인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수밀하게 체결된다.
이를 위하여, 한 쌍의 상측 폭 방향 새들 부재(22)의 양측부 및 한 쌍의 하측 폭 방향 새들 부재(32)의 양측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22a, 32a)이 형성되고, 한 쌍의 상측 폭 방향 새들 부재(22)의 양측부 및 한 쌍의 하측 폭 방향 새들 부재(32)는 결합공(22a, 32a)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 등에 의해 체결되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상측 폭 방향 새들 부재(22)의 하면부와 한 쌍의 하측 폭 방향 새들 부재(32)의 상면부에는 패킹부재를 설치하여 양자의 결합시에 확실한 수밀기능이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 쌍의 상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23) 및 한 쌍의 하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3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핑 수단(50)에 의해 서로 밀착되게 결합되게 되며, 한 쌍의 상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23)의 하면부와 한 쌍의 하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33)의 상면부에도 패킹부재를 설치하여 양자의 결합시에 확실한 수밀기능이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핑 수단(50)으로는 일반적인 나사식 클램프뿐만 아니라 볼트와 너트, 탄성 클립 등의 공지된 다양한 결합도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측 개스킷 새들(20) 및 하측 개스킷 새들(30)이 메인관(10)의 상하측에서 메인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수밀하게 체결되면, 상측 비닐부(21) 및 하측 비닐부(31)는 메인관(10)의 주위를 둘러싸게 되며, 상측 비닐부(21) 및 하측 비닐부(31)의 내측 공간이 작업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1)의 외부에 있는 작업자가 이러한 작업공간 내부에 위치한 메인관(10)의 작업 지점(80)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팔 삽입부(40)가 상측 비닐부(21) 또는 하측 비닐부(3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한 쌍 이상 구비되게 된다.
또한, 팔 삽입부(40) 각각의 일단부에는 작업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장갑부가 구비되는바, 작업자는 팔 삽입부(40)로 팔을 넣은 후 손을 장갑부 내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공구 등을 잡고 노후되거나 파손된 분기관이나 새들 분수전을 제거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팔 삽입부(40)는 투명한 연질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3에는 팔 삽입부(40)가 상측 비닐부(21)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팔 삽입부(40)는 필요에 따라 하측 비닐부(31)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팔 삽입부(40)는 작업자의 양 팔이 동시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1)에는, 작업공간 내부의 물 또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호스(60)가 더 구비된다.
배출호스(60)는 상측 비닐부(21) 및 하측 비닐부(31) 내부의 작업공간과 연통되도록 상측 비닐부(21)의 일측 또는 하측 비닐부(31)의 일측에 결합 연결되며, 작업공간 내부의 물 또는 공기를 메인관(10) 주변의 굴착구간 밖으로 유도하여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배출호스(60)에는 밸브(61)가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물 또는 공기의 배출을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61)는 볼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호스(60)가 상측 비닐부(21)의 일측에 결합 연결되면 작업공간 내로 물이 차오름에 따라 작업공간 내의 공기가 배출호스(60)을 따라 배출되게 되는바 메인관(10)의 작업 지점(80)도 물에 잠기게 되므로, 작업자는 팔 삽입부(40)를 통해 물 속에서 정비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1)에는 작업공간 내부에서 사용되는 공구나 부품 등을 보관하기 위한 공구 보관부(70)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공구 보관부(70)는 상측 개스킷 새들(20) 또는 하측 개스킷 새들(30)의 일측에서 작업공간 내측 방향 좌측 또는 우측에 이동식으로 결합 설치되며, 상측 개스킷 새들(20) 또는 하측 개스킷 새들(30)의 코너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메인관(10)에 설치된 분기관이나 새들 분수전, 누수 방지 새들 등이 노후되거나 파손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1)를 이용하여 이를 무단수 상태에서 정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가 메인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가 메인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공구 보관부(70)에 작업시 필요한 공구나 부품을 넣은 상태로 상측 개스킷 새들(20)과 하측 개스킷 새들(30)을 메인관(10)의 상하측에서 메인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수밀하게 체결한다.
이때, 상측 개스킷 새들(20)과 하측 개스킷 새들(30)은 메인관(10)의 작업 지점(80)을 둘러싸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며, 메인관(10)에 설치된 노후되거나 파손된 분기관이나 새들 분수전, 누수 방지 새들 등을 신품으로 교체하고자 할 경우 상측 개스킷 새들(20)과 하측 개스킷 새들(30)의 설치 전에 신품 누수 방지 새들(90)을 메인관(10)에 느슨하게 결합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메인관(10)의 작업 지점(80)에 인접한 위치에 신품 누수 방지 새들(90)을 메인관(10)의 길이 방향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을 정도로 느슨하게 체결하여 두면 신품 누수 방지 새들(90)의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바, 노후되거나 파손된 분기관이나 새들 분수전, 누수 방지 새들 등을 제거한 후 신품 누수 방지 새들(90)을 설치 완료하는 시간이 단축되므로, 메인관(10)으로부터 물이 방출되는 시간을 짧게 하고 낭비되는 물의 양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측 개스킷 새들(20)과 하측 개스킷 새들(30)의 설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밸브(61)를 개방한 상태로 팔 삽입부(40)로 팔을 넣어 공구 보관부(70) 내의 공구 등을 잡은 후 노후되거나 파손된 분기관이나 새들 분수전 등을 제거한 후 신품 누수 방지 새들(90)을 설치한다.
만약,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관(10)의 작업 지점(80)에 목침이 박혀 있는 경우라면, 목침을 제거한 후 메인관(10)에 느슨하게 결합되어 있는 신품 누수 방지 새들(90)을 작업 지점(80)으로 이동시킨 후 설치를 완료하면 된다.
정비작업이 완료되면, 배출호스(60) 또는 퇴수구(31a)를 통해 작업공간 내부의 물을 모두 외부로 배출시킨 후 상측 개스킷 새들(20)과 하측 개스킷 새들(30)을 분해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는, 메인관의 상하측에서 메인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수밀하게 체결되는 상측 개스킷 새들과 하측 개스킷 새들 각각에 구비된 경질 비닐 내측의 작업공간으로 누출되는 물을 배출호스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작업자가 경질비닐에 구비된 팔 삽입부를 통해 작업공간 내부에서 수선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분기관이나 새들 분수전 등이 노후되거나 파손된 경우 이를 무단수 상태에서 정비하면서도 작업자가 물을 맞지 않고 작업할 수 있고 메인관 주변의 굴착구간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
10: 메인관
20: 상측 개스킷 새들 21: 상측 비닐부
22: 상측 폭 방향 새들 부재 22a: 결합공
23: 상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
30: 하측 개스킷 새들
31: 하측 비닐부 31a: 퇴수구
32: 하측 폭 방향 새들 부재 32a: 결합공
33: 하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
40: 팔 삽입부 50: 클램핑 수단
60: 배출호스 61: 밸브
70: 공구 보관부
80: 작업 지점
90: 신품 누수 방지 새들

Claims (1)

  1. 내측에 작업공간이 확보되는 상측 비닐부가 구비되는 상측 개스킷 새들;
    내측에 작업공간이 확보되는 하측 비닐부가 구비되는 하측 개스킷 새들;
    상기 상측 비닐부 및 상기 하측 비닐부 내측의 작업공간 내부의 물 또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호스; 및
    상기 작업공간 내부에서 사용되는 공구나 부품 등을 보관하기 위한 공구보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개스킷 새들과 상기 하측 개스킷 새들은 메인관의 상하측에서 상기 메인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수밀하게 체결되고,
    상기 상측 비닐부 및 상기 하측 비닐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작업자가 팔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비된 한 쌍 이상의 팔 삽입부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 이상의 팔 삽입부 각각의 일단부에는 작업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는 장갑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측 개스킷 새들은,
    중앙부는 상기 메인관의 외면에 부합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양측부는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인관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상측 폭 방향 새들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상측 폭 방향 새들 부재의 측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관에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상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를 포함하여 장방형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측 개스킷 새들은,
    중앙부는 상기 메인관의 외면에 부합되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양측부는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인관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하측 폭 방향 새들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하측 폭 방향 새들 부재의 측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관에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하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를 포함하여 장방형 프레임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상측 폭 방향 새들 부재의 양측부 및 상기 한 쌍의 하측 폭 방향 새들 부재의 양측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상측 폭 방향 새들 부재의 하면부와 상기 한 쌍의 하측 폭 방향 새들 부재의 상면부에는 수밀기능을 위한 패킹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상측 폭 방향 새들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하측 폭 방향 새들 부재는 상기 결합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한 쌍의 상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의 하면부와 상기 한 쌍의 하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의 상면부에는 수밀기능을 위한 패킹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상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하측 길이 방향 새들 부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램핑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며,
    상기 상측 비닐부 및 상기 하측 비닐부는 투명한 경질 합성수지재이고,
    상기 한 쌍 이상의 팔 삽입부는 연질 합성수지재이며,
    상기 배출호스는 상기 작업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상측 비닐부 또는 상기 하측 비닐부의 일측에 결합 연결되고,
    상기 배출호스에는 물 또는 공기의 배출을 차단하거나 허용하기 위한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하측 비닐부의 하면부 일측에는 개폐 가능한 퇴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공구보관부는 상기 상측 개스킷 새들 또는 상기 하측 개스킷 새들의 일측에서 상기 작업공간 내측 방향 좌측 또는 우측에 이동식으로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
KR1020160104884A 2016-08-18 2016-08-18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 KR101748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884A KR101748380B1 (ko) 2016-08-18 2016-08-18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884A KR101748380B1 (ko) 2016-08-18 2016-08-18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8380B1 true KR101748380B1 (ko) 2017-06-16

Family

ID=59278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884A KR101748380B1 (ko) 2016-08-18 2016-08-18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83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75189A1 (en) * 2018-08-30 2020-03-05 Saudi Arabian Oil Company Containment Design to Handle Low Temperature Systems
JP2021105411A (ja) * 2019-12-26 2021-07-26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流体機器の取替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870B1 (ko) * 2014-01-15 2014-08-12 정원찬 커트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870B1 (ko) * 2014-01-15 2014-08-12 정원찬 커트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75189A1 (en) * 2018-08-30 2020-03-05 Saudi Arabian Oil Company Containment Design to Handle Low Temperature Systems
US10910122B2 (en) * 2018-08-30 2021-02-02 Saudi Arabian Oil Company Containment design to handle low temperature systems
JP2021105411A (ja) * 2019-12-26 2021-07-26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流体機器の取替方法
JP7371909B2 (ja) 2019-12-26 2023-10-31 株式会社水道技術開発機構 流体機器の取替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4571B2 (ja) 排水ます及びこれを備えた排水設備
US8439060B1 (en) Attachable drain collar for plumbing system couplings
KR100981985B1 (ko) 유량계 착탈이 용이한 지하수 상부 밀폐장치
KR101748380B1 (ko) 수도관의 무단수 작업용 장치
KR101026568B1 (ko) 노후 수도관의 무단수 비굴착 관개량 공사 공법
US7093608B2 (en) Vacuum pressure breaker and freeze protection for a water flushing system
KR101963941B1 (ko) 벌룬셔터 및 그를 포함하는 원격 배관설비 관리 시스템
KR101857597B1 (ko) 다기능 상수도관용 새들장치
KR100749550B1 (ko) 수도관의 누수차단 보수방법 및 그 구조
CN215172919U (zh) 一种建筑给排水用防泄漏管道
WO2014075900A1 (en) Device for inserting a tool into a water pipe
KR101045111B1 (ko) 수계전환용 관세척점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 관로 교체 시공방법
JP4499400B2 (ja) 配管工事ツ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てパイプを修理する方法
US20120049515A1 (en) Boltless Pipe Joint Assembly
JP4660186B2 (ja) 継手保持部材及び継手保持部材と継手部材とからなる器具
JP2012152673A (ja) 洗管ピグの挿入方法、及び、洗管ピグの挿入ガイド
KR101029526B1 (ko) 유체 차단용 분기 티이 장치
KR101530519B1 (ko) 분리형 방수맨홀
KR200470187Y1 (ko) 배관의 볼밸브 파손방지구조
JP2015034604A (ja) 仕切弁
KR200479377Y1 (ko) 수직배관 플랜지의 누출비산 방지기구
JP2014009778A (ja) スイベルジョイント
CN210398017U (zh) 一种管道用防护装置
KR20230103151A (ko) 배관 계통 경년 열화 관리용 보호 자켓
US20170254462A1 (en) Improved Valve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