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549B1 - 비허가된 대역에서의 셀룰러를 위한 서브프레임 정렬된 리슨-비포-토크 - Google Patents

비허가된 대역에서의 셀룰러를 위한 서브프레임 정렬된 리슨-비포-토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549B1
KR101857549B1 KR1020177010766A KR20177010766A KR101857549B1 KR 101857549 B1 KR101857549 B1 KR 101857549B1 KR 1020177010766 A KR1020177010766 A KR 1020177010766A KR 20177010766 A KR20177010766 A KR 20177010766A KR 101857549 B1 KR101857549 B1 KR 101857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enodeb
subframe
cellular
backo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0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080A (ko
Inventor
아비지트 보르카
환준 권
크리스천 이바르스 카사스
Original Assignee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87012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632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Abstract

비허가된 채널에서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리슨-비포-토크(LBT) 액세스 방식을 구현하는 시스템들, 머신 판독가능 매체, 방법들, 및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들이 일부 예들에서 개시된다.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는 LBT 액세스 방식이 비허가된 채널 내의 채널(정의된 범위의 주파수들)이 특정한 기간 동안 유휴라는 것을 결정한 후에 비허가된 채널에서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허가된 대역에서의 셀룰러를 위한 서브프레임 정렬된 리슨-비포-토크{SUBFRAME ALIGNED LISTEN-BEFORE-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우선권 주장
본 특허 출원은 모두 본원에 전체적으로 참조로 포함된, 2014년 11월 6일자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번호 62/076,083을 우선권 주장하는, 2015년 5월 13일자 출원된 미국 출원 번호 14/711,278을 우선권 주장한다.
기술분야
실시예들은 셀룰러 무선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은 비허가된 통신 대역들에서 동작하는 셀룰러 무선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저작권 공고
본 특허 문서의 개시내용의 부분은 저작권 보호 대상인 자료를 포함한다. 저작권 소유자는 그것이 특허청 특허 파일들 또는 기록들에서 나타남에 따라, 특허 문서 또는 특허 개시내용을 누군가가 팩시밀리 재생하는 것에 이의가 없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 어떤 것이든 간에 모든 저작권을 갖는다. 다음의 통지는 아래 및 본 문서의 부분을 형성하는 도면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에 적용된다. 모든 저작권은 인텔(Intel)이 가지고 있다.
셀룰러 무선 기술들은 전형적으로 허가된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한다. 허가된 주파수 스펙트럼은 사용하기 위해 특정 엔티티(예를 들어, 특정한 무선 캐리어)에 할당된 주파수들의 범위이다. 이용가능한 허가된 주파수 스펙트럼들이 제한됨에 따라 그리고 셀룰러 무선 서비스들에 대한 요구가 생김에 따라, 사용을 위해 이용가능한 자유로운 스펙트럼의 양은 제한된다.
허가된 주파수 스펙트럼들과 대조적으로, 엔티티가 법적 동의를 획득하지 않고 특정 주파수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비허가된 주파수 스펙트럼들이 있다. 이들 주파수는 그들을 사용하기를 원하는 디바이스들 간에 공유되고, 이들 스펙트럼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은 그들이 다른 디바이스들과 스펙트럼을 공유하게 하는 프로토콜들을 갖는다. 보통 이들 비허가된 스펙트럼은 셀룰러 무선 사용들을 위해 주로 허가되지 않고 보통 이들 스펙트럼은 다른 디바이스들에 의한 경합 또는 사용의 대상이다.
반드시 축척에 맞게 도시되지 않은 도면에서, 유사한 번호들은 상이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소자들을 설명한다. 상이한 문자 첨자들을 갖는 유사한 번호들은 유사한 소자들의 상이한 예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면은 일반적으로 예로서 도시한 것이지,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본 문서에서 논의된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동기 리슨-비포-토크(Listen-Before-Talk)(LBT) 방법의 타임라인이다.
도 2a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심볼 정렬된 슬릿들의 슬릿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고르게 나누어진 슬릿들의 슬릿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LBT 감지 및 백오프를 위한 제1 옵션의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LBT 감지 및 백오프를 위한 제2 옵션의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LBT 감지 및 백오프를 위한 제3 옵션의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SDL의 예상 스케줄링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SDL의 예상 스케줄링의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서브프레임의 심볼들을 펑처링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가 심볼들을 펑처링하는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무선 환경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여기에 논의된 기술들(예를 들어, 방법론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머신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롱텀 에볼루션(LTE)과 같은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들을 위한 허가된 스펙트럼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LTE 시스템들의 설계자들은 비허가된 주파수들에서의 이들 허가된 프로토콜의 사용을 탐구하기 시작하였다. 비허가된 주파수들에서의 셀룰러 및 다른 허가된 프로토콜들의 사용은 어떤 도전들을 제시한다. 비허가된 주파수들은 산업, 과학, 및 의료(ISM) 대역, 예를 들어, 2.4㎓, 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허가된 주파수들은 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FCC)와 같은, 하나 이상의 관리 엔티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디바이스)은 이들 디바이스가 특정한 무선 채널의 독점적 사용권을 갖는 것을 보장하는 허가된 채널들을 이용한다. "채널"은 무선 통신들을 위해 사용되는 (보통 그러나 항상 연속적이지 않은) 주파수들의 대역이다. 결과적으로, 이들 셀룰러 프로토콜의 설계 가정은 그들이 동작하는 주파수들에 그들이 독점적 액세스를 한다는 것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네트워크에 참여한 다른 디바이스들 간에 조정하는 것과 관련된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들에서, 기지국(eNodeB)은 전형적으로 eNodeB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들(UE들)로부터의 송신 및 수신을 조정한다. eNodeB는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계획할 때 다른 네트워크들 내의 다른 사용자들을 고려하지 않는다.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가 수정 없이 비허가된 채널에서 송신하기를 시작했다면,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들은 연속적으로 송신 및 수신할 것이다. 이것은 다른 디바이스들이 채널을 이용하지 못하게 할 것이다.
반면에, 비허가된 채널들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은 단일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예를 들어, 단일 조작자에 의해 제어되는) 디바이스들뿐만 아니라, 많은 상이한 네트워크들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들 및 다른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전기 전자 통신 학회(IEEE)에 의해 정의된 802.11 표준과 같은 무선 프로토콜들(와이파이)에 따라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은 그들 자신의 네트워크(즉, 기본 서비스 세트 - BSS) 내의 디바이스들뿐만 아니라, 다른 BSS들 내의 디바이스들 및 실제로 그들이 무선 매체를 사용할 수 있는 지를 결정하기 전에 다른 프로토콜들을 실행하는 디바이스들을 고려한다.
그러므로 필요한 것은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을 효율적인 방식으로 비허가된 채널에서 동작하도록 적응시키는 방법들이다. 일부 예들에서 개시된 것은 비허가된 대역에서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기 위한 수정들을 구현하는 시스템들, 머신 판독가능 매체, 방법들, 및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들이다. 이러한 수정들은 비허가된 채널들에서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가 이용하는 리슨-비포-토크(LBT) 액세스 방식을 구현하고, 스케줄링을 최적화하고, 채널 감지를 최적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된 것과 같은,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는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임의의 디바이스이다.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은 셀들이라고 하는 지상 영역들에 걸쳐 분배되는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를 정하는 무선 프로토콜이고, 각각의 셀은 셀 사이트 또는 기지국이라고 알려진,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위치 트랜시버에 의해 서비스된다. 이들 셀 사이트는 넓은 지리적 영역에 걸쳐 무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상호접속된다. 비허가된 채널들에서의 송신을 위해 적응될 수 있는 예시적인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들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공포된 LTE 표준 계열(LTE 어드밴스드(LTE-A) 표준 계열을 포함함), 3GPP에 의해 공포된 유니버설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UMTS) 표준 계열, 이동 통신들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표준 계열 중 하나에 따른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들을 포함한다.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는 NodeB 또는 eNodeB와 같은 기지국일 수 있거나, 또는 UE와 같은 이동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는 비허가된 대역 상에서의 송신들을 제어하기 위해 (예를 들어, 채널 상태 정보(CSI) 피드백을 획득하고,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상에서 스케줄링하는 것 등) 허가된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비허가된 채널에서의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들의 예시적인 송신들은 이들 셀룰러 프로토콜의 계층 1, 계층 2, 계층 3, 및 다른 계층들(예를 들어, 물리(PHY) 계층, 미디어 액세스 채널(MAC) 계층, 무선 링크 제어(RLC) 계층,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및 무선 리소스 제어(RRC) 계층들) 중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송신들을 포함한다. 비허가된 주파수에서 송신된 채널들은 임의의 업링크 데이터 채널들, 업링크 제어 채널들, 다운링크 데이터 채널들, 및 다운링크 제어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은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 PDCCH, 및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셀룰러 기지국(예를 들어, eNodeB)과 같은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는 허가된 스펙트럼에서 셀에 업링크 및 다운링크 능력들을 제공하고 또한 비허가된 스펙트럼에서 보충 다운링크(SDL)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SDL 채널은 PDSCH와 같은 하나 이상의 LTE 채널을 가질 수 있다. 비허가된 채널들이 유휴(idle) 및 간섭이 없게 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LBT 기술들이 SDL 채널에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비허가된 스펙트럼 상의 업링크 채널들에 대해, UE는 LBT 메커니즘들을 구현하는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SDL은 주(허가된) 주파수들 상에서 PDCCH 상에 스케줄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는 비허가된 주파수 상에서(즉,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을 사용하여) SDL PDSCH 상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허가된 주파수의 PDCCH 상에 스케줄링될 수 있다.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들의 양태들은 비허가된 주파수 스펙트럼 내에서 동작하기 위해 여기에 개시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BT 액세스 방식이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에서 구현될 수 있다.
LBT , 채널 감지, 및 백오프 설계들
일부 예들에서, 비허가된 대역을 위한 LBT 액세스 모드를 구현하는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는 채널 리슨 시간(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채널을 리슨할 수 있다. 채널이 채널 리슨 시간 동안 유휴이면,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는 채널이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 1은 LBT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비허가된 채널에서 동기하여 동작하는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의 타임라인(1000)을 도시한다. 스테이지 1010에서,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의 트랜시버는 W㎲의 기간 동안 비허가된 대역에서 채널에 대한 캐리어 감지(CS)를 행하고 수신된 평균 전력을 결정한다. 수신된 전력이 임계 T dBm 미만이면, 채널은 유휴인 것으로 고려된다. 그렇지 않고, 수신된 전력이 임계보다 크면, 채널은 비지(busy)인 것으로 고려된다. 스테이지 1020에서, 채널이 유휴인 것으로 결정되면, 트랜시버는 백오프 상태로 들어간다. 백오프 상태에서, 트랜시버는 백오프 기간(backoff time period)을 선택한다. 이 기간은 정당한 값들의 선택으로부터 랜덤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이 기간은 LTE 심볼들의 배수일 수 있다. 이 백오프 기간 동안, 트랜시버는 채널을 감지한다. 채널이 이 기간 동안 비지이면, 트랜시버는 스테이지 1010에서의 캐리어 감지 상태로 다시 간다. 채널이 유휴이면, 트랜시버는 스테이지 1030으로 들어간다. 스테이지 1020의 백오프 기간은 스테이지 1010의 고정된 지속기간 캐리어 감지 상태의 랜덤 지속기간 연장(random duration extension)으로 고려될 수 있다. 백오프 기간은 동일한 값을 갖는 많은 무선 디바이스가 W 동안 동시에 모두 매체에 액세스하기를 시도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테이지 1030 동안, 트랜시버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다음 서브프레임 경계까지 또는 다음 서브프레임 경계 플러스 서브프레임과 정렬하기 위해 다음 서브프레임을 송신하는 데 필요한 시간량까지 채널을 예약하기 위한 예약 메시지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인 예약 신호들은 와이파이 전송 요구(Request to Send)(RTS) 또는 전송 가능(Clear to Send)(CTS)일 수 있다. 서브프레임 경계가 지나면, 트랜시버는 스테이지 1040에서 송신할 수 있다.
비허가된 채널 상의 다운링크 동작을 위해, LTE 네트워크에 대해, eNodeB는 LBT 결정을 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고, 업링크 상에 있는 동안, eNodeB는 LBT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지만, 스테이지 1040 동안 UE가 송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해 UE에 정보를 전달한다.
LTE와 같은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의 맥락 내에서, 캐리어 감지 또는 백오프 감지할 때 채널을 얼마나 자주 샘플링하는지를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채널을 너무 자주 샘플링하면 제조 비용이 증가하고 트랜시버 상의 워크로드가 증가한다. 채널을 너무 드물게 샘플링하면 채널이 유휴라고 잘못 보고되고 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
LTE 서브프레임 내에 14개의 심볼이 있다. 일부 예들에서, 채널은 심볼 당 한번 샘플링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샘플링 입상도(sampling granularity)의 레벨은 각각의 프레임이 1밀리초일 때 너무 드물 수 있고, 1밀리초의 1/14는 약 70마이크로초이다.
일부 예들에서, 샘플에 대해 보다 적은 입상도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심볼은 2개 이상의 "슬릿들"로 세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된 것과 같은, 슬릿은 채널을 감지하기 위한 입상도의 기본 단위로서 정의될 수 있고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의 타이밍 정보를 참조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심볼은 4개의 슬릿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들 예에서, 슬릿들은 심볼 경계를 교차하지 않는다. 이것은 LTE 서브프레임에서 제1 및 제8 심볼들이 다른 심볼들에서와 같은 2192개의 샘플에 비해 2208의 샘플을 갖는 것으로, 약간 더 많기 때문에 딜레마에 빠지게 한다. 이들 예에서, 제1 및 제8 심볼들의 슬릿들은 552개의 샘플일 수 있고 나머지 슬릿들은 548개의 샘플일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제1 및 제8 심볼들에 대해, 여분의 심볼들(16)은 다른 방식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심볼의 슬릿들 중 3개는 548개의 샘플일 수 있고, 나머지 슬릿은 564개의 샘플일 수 있다. 도 2a는 심볼 정렬된 슬릿들의 한 예시적인 슬릿도(2000)를 도시한다. 도시한 것과 같이, 슬릿(2010)은 (심볼 8은 또한 2208개의 샘플을 포함함에 따라) 심볼 8 내의 하나 이상의 슬릿은 예외로 하고, 심볼 1의 슬릿들(2020-2040) 및 심볼들 2-14의 슬릿들의 나머지보다 약간 크다.
다른 예들에서, 슬릿들을 생성하기 위해 심볼들을 나누기보다는, 서브프레임 자체가 동일한 고정된 크기의 슬릿들로 세분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슬릿은 2개의 연속하는 심볼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슬릿은 심볼 경계를 교차할 수 있다. 도 2b는 고르게 나누어진 슬릿들의 한 예시적인 슬릿도(2100)를 도시한다. 일부 예들에서, 제1 슬릿(2110)은 서브프레임의 개시에서 시작하고 마지막 슬릿(2120)은 서브프레임이 끝나는 경계에서 끝난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릿들은 심볼들 1 및 2를 교차하는, 슬릿(2130)과 같은 심볼 경계들을 교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N이 하나의 슬릿 내의 샘플들의 수이면, 슬릿 경계는 (30720개의 샘플을 갖는) 서브프레임 경계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기 때문에, N은 307200의 인수이도록 N이 선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슬릿들의 수는 30720/N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이 지속기간(103㎲)에서 1밀리초(㎳)일 때, 그리고 서브프레임 내에 30720개의 샘플이 있기 때문에, 1마이크로초 내에 30.72개의 샘플이 있다. LTE 규격이 20마이크로초(㎲)로서 비허가된 채널에 대한 최소 감지 기간을 정할 때, 20으로 곱해서, 우리는 감지할 샘플들의 최소 수로서 20마이크로초 내에 614.4개의 샘플을 얻는다.
샘플은 LTE에서 최소 입상도이기 때문에, 0.4개의 샘플을 갖는다는 것은 (614는 2마이크로초 미만의 감지 시간을 발생함에 따라) 적어도 615로 라운드 업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슬릿들이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에 맞도록 N은 30720의 인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나의 옵션은 각각의 슬릿에 대해 640개의 샘플로 계산되는, 서브프레임 내에 48개의 슬릿일 수 있다. 640개의 샘플/슬릿을 갖는 것은 각각의 슬릿이 20마이크로초의 최소보다 약간 위인 약 20.83마이크로초 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예들에서, 서브프레임 당 더 많은 슬릿이 이용될 수 있지만,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는 LTE 규격에서 명시된 최소에 부합하기 위해 단일 슬릿보다 많이 감지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감지 및 백오프를 구현하기 위해, 여기에 3개의 예시적인 설계가 개시된다. 이들 옵션은 모두 LTE와 같은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과 와이파이와 같은 비허가된 채널 상에서 동작하는 무선 프로토콜들 간에 공존하기에 적합하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LBT 감지 및 백오프를 위한 제1 옵션의 방법(3000)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제1 옵션에서, 경합 윈도우(CW)는 채널이 언제 클리어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의 트랜시버는 동작 3010에서 1과 q 사이에서 랜덤 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q는 일부 경우들에서,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의 제조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4와 32 사이의 미리 결정된 값으로서 정의된다. 다른 예들에서, q는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동작 3020에서,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의 트랜시버는 클리어 채널 어세스먼트(Clear Channel Assessment)(CCA) 지속기간(Duration)(CD)(CD는 마이크로초 단위임)으로 곱해진 CW인 (또는 거의 그 값인) 기간 동안 채널을 감지할 수 있다. CD는 하나 이상의 전체 슬릿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채널이 유휴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일부 예들에서, 특정한 CD 동안의 채널의 수신된 전력은 미리 결정된 임계(예를 들어, -62dBm의 임계)와 비교될 수 있다. 전력이 임계 미만이면, 채널은 그 슬릿 동안 유휴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전력이 임계 위이면, 채널은 그 슬릿 동안 비지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단일 슬릿이 비지인 것으로 간주되면, 전체 기간이 비지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미리 결정된 양의 슬릿들이 비지인 것으로 간주되면, 전체 CW*CD 기간이 비지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들에서, 수신된 전력은 각각의 슬릿에서 샘플링되고 나서 전체 CW*CD 기간에 걸쳐 평균화될 수 있고 그 기간에 걸친 평균 전력이 임계와 비교될 수 있다. 평균 전력이 임계 위이면, 채널은 비지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평균 전력이 임계 아래이면, 채널은 유휴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채널이 유휴인 것으로 간주되면,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는 동작 3030에서 SDL을 송신하는 것으로 진행할 수 있다. 채널이 비지인 것으로 간주되면,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는 동작 3010으로 복귀하여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매체가 유휴라는 것을 탐지하는 이 방법은 와이파이 캐리어 감지의 것과 상이하다. 와이파이 캐리어 감지에서,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에너지 검출 메커니즘과 신호 검출 메커니즘 둘 다를 사용한다. 와이파이 디바이스가 신호 검출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와이파이 신호를 검출하면, 와이파이 디바이스는 채널이 차지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일부 예들에서, 여기에 개시된 LBT 방법은 에너지 검출 메커니즘만을 사용하고 와이파이 신호 검출 메커니즘들을 사용하지 않는다. 도 3에서, CD는 슬릿 지속기간 또는 그 배수일 수 있는 클리어 채널 어세스먼트(CCA)의 ㎲ 단위의 지속기간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도 4는 감지 및 백오프 LBT 구현을 위한 제2 옵션의 방법(4000)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동작 4010에서, 트랜시버는 W㎲ 동안 채널을 감지한다. W는 하나 이상의 슬릿과 동일한 기간일 수 있다. 동작 4020에서, 비교가 이루어지고 수신된 전력이 W 기간 동안 임계 T 위이면, 트랜시버는 동작 4010으로 복귀한다. 수신된 전력이 W 기간 동안 임계 T 아래이면, 트랜시버는 동작 4030으로 간다. W가 단일 슬릿보다 많은 것을 포함하면, 전력 비교는 모든 슬릿들에 걸친 평균 전력일 수 있거나, 또는 동작 4020에서의 비교는 슬릿 마다(per slit) 이루어질 수 있다. 슬릿 마다의 경우(per slit case)에, 미리 결정된 수(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슬릿보다 많은 슬릿이 비교를 실패하면(예를 들어, 전력 레벨이 임계보다 크면) 동작 4020에서의 비교는 실패하고 흐름은 동작 4010으로 다시 진행한다.
동작 4030에서 트랜시버는 1과 q 사이에서 랜덤 수 CW를 발생할 수 있고, 여기서 q(앞서 언급됨)는 4와 32 사이의 수이다. 동작 4040에서 CW는 감소될 수 있다(예를 들어, CW=CW-1). 동작 4050에서 비교는 CW가 0 이하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이루어진다. CW가 0 이하이면, 채널은 클리어이고 트랜시버는 동작 4060에서 송신할 수 있다. CW>0이면, 동작 4070에서, 트랜시버는 슬릿 기간 동안 채널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4080에서 비교가 이루어지고 관찰된 전력 레벨이 임계 미만이면, 채널은 그 슬릿 동안 유휴인 것으로 결정되고 동작들은 CW가 다시 감소되는 4040으로 진행한다. 채널이 유휴가 아니면, 동작은 4010으로 돌아간다. 도 4에서, CD는 슬릿 지속기간 또는 그 배수일 수 있는 클리어 채널 어세스먼트(CCA)의 ㎲ 단위의 지속기간이라는 점에 주목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LBT 감지 및 백오프 구현을 위한 제3 옵션의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동작 5010에서, 트랜시버는 W㎲ 동안 채널을 감지한다. W는 하나 이상의 슬릿과 동일한 기간일 수 있다. 동작 5020에서, 비교가 이루어지고 수신된 전력이 W 기간 동안 임계 T 위이면, 트랜시버는 동작 5010으로 복귀한다. 수신된 전력이 W 기간 동안 임계 T 아래이면, 트랜시버는 동작 5030으로 간다. W가 단일 슬릿보다 많은 것을 포함하면, 전력 비교는 모든 슬릿들에 걸친 평균 전력일 수 있거나, 또는 동작 5020에서의 비교는 슬릿 마다 이루어질 수 있다. 슬릿 마다의 경우에, 미리 결정된 수(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슬릿보다 많은 슬릿이 비교를 실패하면(예를 들어, 전력 레벨이 임계보다 크면), 동작 5020에서의 비교는 실패하고 흐름은 동작 5010으로 다시 진행한다.
동작 5030에서 트랜시버는 채널이 혼잡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가 미리 결정된 수보다 많은 횟수로 동작 5010에서 W㎲ 동안 채널을 감지하여야 했다면 트랜시버는 채널이 혼잡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트랜시버는 채널이 이전의 송신들에서의 에러에 기초하여 - 예를 들어, 트랜스포트 블록 에러(TBE) 레벨을 이용하여 혼잡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TBE가 미리 결정된 임계 위이면, 채널은 혼잡한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동작 5050에서, 채널이 혼잡하면, 파라미터 CWT는 최종 CWT의 2배와 최대 경합 윈도우(CWMAX) 중 최대로 설정될 수 있다. CWT, CWMIN, 및 CWMAX는 미리 정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CWT는 초기에 1일 수 있고, CWMIN은 1일 수 있고, CWMAX는 1024일 수 있다. 동작 5040에서, 채널이 혼잡하지 않으면, CWT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동작 5070에서 트랜시버는 CMIN과 CWT 사이에서 선택된 랜덤 수에 D를 가산함으로써 랜덤 수 CW를 발생할 수 있다. D는 하나 이상의 LTE 심볼을 송신하는 데 걸리는 슬릿의 수의 시간과 동일할 수 있다. 동작 5080에서, CW는 D만큼 감소될 수 있다(예를 들어, CW=CW-D). 동작 5090에서 CW가 0 이하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비교가 이루어진다. CW가 0 이하이면, 채널은 클리어이고 트랜시버는 동작 5100에서 송신할 수 있다. CW>0이면, 동작 5110에서, 트랜시버는 (하나 이상의 슬릿일 수 있는) D 기간 동안 채널을 감지할 수 있다. 동작 5120에서 채널이 유휴라고 결정되면, 동작은 CW가 다시 감소되는 동작 5080으로 진행한다. 채널이 유휴가 아니면, 동작은 동작 5010으로 돌아간다. 채널은 옵션들 1 및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유휴인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즉, 각각의 슬릿 내의 관찰된 전력은 임계 아래일 수 있고, 각각의 슬릿에서 관찰된 평균 전력은 임계 아래일 수 있고, 또는 CD 기간 내의 미리 결정된 수의 슬릿들이 임계 아래일 수 있다).
스케줄링 최적화들
일부 예들에서, SDL은 허가된 채널(즉, 주 채널) 상의 제어 채널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에서, SDL은 허가된 채널 상의 PDCCH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PDCCH는 전형적으로 현재 서브프레임의 첫번째 3개의 심볼 상에서 전달되고 현재 서브프레임을 스케줄링한다. 백오프 기간이 다음 서브프레임의 시작 전에 완료하면 eNodeB는 비허가된 채널 상에서 채널 예약 메시지(예를 들어, 전송 요구(Request-to-Send) - RTS, 또는 전송 가능(Clear-to-Send) - CTS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채널을 예약하고 다음 서브프레임의 PDCCH를 사용하여 SDL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백오프 기간이 다음 서브프레임의 PDCCH 송신 중에 끝나면, 다른 스케줄링 및 PDCCH의 대역폭에 따라 SDL을 스케줄링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SDL이 허가된 채널의 PDCCH 상에서 스케줄링될 수 있기 전에 백오프 기간이 끝나면, SDL 송신 기회는 놓쳐 질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백오프 기간이 서브프레임의 시작 후에까지 끝나지 않더라도, eNodeB는 SDL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NodeB는 백오프 기간이 성공적으로 완료할 수 있고(채널은 전체 기간 유휴로 남고) 백오프 절차가 완료를 위해 스케줄링된 후에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부분 동안 SDL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고 예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오프 절차가 서브프레임을 통해 절반 완료되면, eNodeB는 백오프 프로세스가 성공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는 기대에서 서브프레임의 절반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백오프 기간이 성공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고 예상하는 것은 백오프 기간이 성공적으로 완료한다고 가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채널의 과거 이력이 백오프 기간이 성공적으로 완료할 것이라고 예상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예에서, eNodeB가 이 채널 상에서 과거의 시간의 임계 퍼센티지보다 높게 백오프 프로세스를 성공적으로 완료하였다면, eNodeB는 백오프 프로세스가 이때 성공적일 수 있다고 예상할 수 있다. 다른 알고리즘들은 액세스의 시간, 채널의 이력, 과거 에러율 등 중 하나 이상을 고려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알고리즘들은 이들 인자들을 미리 결정된 임계들과 비교하는 조건문들(if-then statements)을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백오프 중첩이 (PDCCH가 정상적으로 송신되는) 현재 서브프레임의 첫번째 3개의 심볼로 제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백오프가 현재 서브프레임의 첫번째 3개의 심볼에서 완료할 것이면, eNodeB는 SDL PDSCH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백오프가 현재 서브프레임의 첫번째 3개의 심볼 내에 완료되는 것으로 스케줄링되지 않으면, eNodeB는 현재 서브프레임에서 SDL PDSCH를 스케줄링하지 않을 것이다.
eNodeB가 SDL PDSCH를 예측하여 스케줄링하는 경우들에서, UE는 백오프 기간이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eNodeB가 SDL을 송신할 수 있다면 SDL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한다. 채널이 백오프 기간이 끝나기 전에 비지로 되고 eNodeB가 비허가된 채널에 액세스하지 못하면, UE는 이것을 알지 못할 수 있고 유효하지 않은 데이터(예를 들어, 잡음)를 수신할 것이다. UE는 SDL 상에서 PDSCH를 성공적으로 디코드할 수 없을 것이다. 이상화된 상황에서, UE는 이 서브프레임 동안 SDL 상의 PDSCH를 간단히 폐기할 것이다. 그것이 그것에 송신된 데이터를 미스했다고 생각하는 UE는 미스된 데이터의 재송신을 요구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구(HARQ) 기능성을 이용할 것이다. 이 경우에, eNodeB는 이 데이터에 대한 임의의 HARQ 요구들을 무시할 수 있고 그것의 HARQ 버퍼들로부터 이 데이터를 제거하라고 UE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DL이 비허가된 채널을 통해 실제로 전송되지 않았다는 표시를 운반하도록 새로운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포맷이 정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일부 예들에서, 새로운 물리적 신호 또는 채널이 새로운 표시 메시지를 전달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SDL의 예상 스케줄링의 도면(6000)이 도시된다. LBT 및 백오프는 서브프레임(6020)의 심볼(6010)에서 시작한다. 백오프가 심볼(6030)(서브프레임 2(6040)의 3번째 심볼)까지 완료되는 것으로 예상되면, eNodeB는 서브프레임 2(6040) 상에서 SDL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NodeB는 심볼(6050)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UE을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SDL의 예상 스케줄링의 방법(7000)의 플로우차트가 도시된다. 동작 7010에서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eNodeB)는 LBT 및 백오프 프로세스(예를 들어, 도 3-5)에 참여할 수 있다. 동작 7020에서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는 LBT 및 백오프 프로세스가 시간 내에 완료할 것인지를 예상한다. 일부 예들에서, 이것은 간단히 백오프 프로세스가 비지 채널에 복귀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고 SDL의 어떤 부분을 스케줄링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백오프 프로세스가 특정한 서브프레임의 첫번째 3개의 심볼 내에 완료했더라면, 그 서브프레임이 스케줄링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이전 채널 사용 이력 또는 이전 LBT 및 백오프 성공율들과 같은 다른 기준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동작 7030에서 백오프가 시간 내에 완료되는 것으로 예상되지 않으면, 흐름은 동작 7040으로 진행한다. 동작 7040에서, 서브프레임이 스케줄링되어 SDL 상에서 송신될 수 있을 때까지 백오프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채널이 예약될 수 있다. 백오프 프로세스가 시간 내에 완료되는 것으로 스케줄링되면, 동작 7050에서, 서브프레임은 적절할 때 허가된 채널의 PDCCH 상에서 스케줄링될 수 있다. 동작 7070에서,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는 LBT 및 백오프가 시간 내에 완료하였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렇다면, 동작 7080에서,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는 정상으로서 비허가된 채널 상에서 SDL을 송신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동작 7090에서,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는 보내지지 않은 SDL 서브프레임에 대해 SDL 상에 스케줄링된 어떤 UE들로부터의 임의의 HARQ 재송신 요구들을 무시할 수 있다. 동작 7100에서,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는 그들의 HARQ 버퍼들을 클리어하고 이 데이터에 대한 재송신 시도들을 종료하기 위해 SDL 상에 스케줄링된 UE들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채널 감지 최적화들
일부 예들에서, 다수의 서브프레임을 보내기 위해,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는 데이터가 또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요건들에 부합하기 위해 감지 및 백오프를 수행하기 위해 송신되지 않은 현재 서브프레임 내의 하나 이상의 심볼을 이용할 수 있다. 감지 및 백오프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 현재 서브프레임의 심볼들은 "펑처링"된다. 일부 예들에서, 현재 프레임의 마지막 K개의 심볼이 펑처링된다. 일부 예들에서 K=2이다. 일부 예들에서, 서브프레임마다 K개의 심볼이 펑처링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들에서, L개의 서브프레임마다 펑처링될 수 있다(예를 들어, 하나 걸러 하나의 서브프레임마다, 또는 3개의 서브프레임마다 등). K는 정적일 수 있지만(즉, L번째 서브프레임마다, K개의 심볼이 펑처링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K는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의 K가 다른 서브프레임 내의 K와 상이하도록 변화할 수 있다.
eNodeB와 관련된 UE들에는 이들 심볼 동안 임의의 수신된 데이터를 폐기하기 위해 심볼 펑처링이 통지될 수 있다. UE에의 통지들은 펑처링된 심볼들의 정확한 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통지들은 새로운 DCI를 포함할 수 있다. DCI는 서브프레임 내의 펑처링된 심볼들의 위치들을 표시하는, B(14까지) 비트들의 비트-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DCI는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 상의 트랜시버가 펑처링에 대응하기 위해 상당히 (더 낮은 코드율을 갖는) 더 높은 중복 MCS 송신들을 사용하는 경우에 피해질 수 있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2개의 심볼(8020 및 8030)을 펑처링하는 도면(8000)이 도시된다. 서브프레임 1의 3개의 심볼(8040)은 와이파이 트래픽에 의해 차지되거나 또는 유휴이다. 3개의 심볼(8050)은 감지 및 백오프이고, 8개의 심볼(8060)은 서브프레임 2의 시작 전에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예약된다. 서브프레임 2가 시작될 때,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는 SDL PDSCH(8070)를 송신할 수 있다. 심볼들(8030 및 8020)은 다음 서브프레임(도시되지 않음)을 위한 감지 및 백오프를 시작하기 위해 펑처링된다.
일부 예들에서, 구현된 백오프는 이전에 설명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채널 감지 최적화들은 스케줄링 최적화들과 조합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채널 감지 및 백오프에 대한 다양한 옵션이 모두 호환성이 있고 채널 감지 최적화들과 스케줄링 최적화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가 K개의 심볼을 펑처링하는 방법(9000)이 일부 예들에 따라 도시된다. 동작 9010에서,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는 또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SDL 송신을 위해 요구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NodeB는 하나 이상의 UE를 위한 추가적인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동작 9020에서, eNodeB는 K를 결정할 수 있다. K는 미리 결정될 수 있거나, 또는 가변일 수 있다. 동작 9030에서, 펑처링 파라미터들은 현재 서브프레임 상에 스케줄링된 하나 이상의 UE에 전달될 수 있다. 펑처링 파라미터들은 펑처링될 심볼들 또는 UE가 펑처링될 심볼들(예를 들어, K)을 추론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9040에서,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는 현재 서브프레임의 펑처링된 심볼들에서 LBT 및 백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제 도 10을 참조하면,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10000)의 개략도가 일부 예들에 따라 도시된다.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10000)는 허가된 셀룰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10000)는 nodeB, eNodeB, UE, 기지 송수신국(BTS),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이동 전화, 스마트폰,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 의료용 디바이스(예를 들어, 심박수 모니터, 혈압 모니터 등),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안경, 스마트 워치) 등일 수 있다.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10000)는 제1 무선 트랜시버(10030), 제2 무선 트랜시버(10040), 및 제1 및 제2 무선 트랜시버들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100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선 트랜시버(10030)는 비허가된 채널 상에서 동작할 수 있고, 일부 예들에서,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이 아닌 무선 프로토콜을 구현한다. 일부 예들에서, 제1 무선 트랜시버(10030)는 IEEE 802.11 무선 프로토콜, 블루투스 무선 프로토콜, 저전력 블루투스(BLE) 무선 프로토콜, 지그비 무선 프로토콜 등과 같은, 비허가된 채널들에서 동작하는 무선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 무선 트랜시버(10030)는 비허가된 채널이 다른 트래픽으로 차지되어 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1 트랜시버(10030)는 비허가된 채널 상의 전력 레벨을 검출할 수 있고 평균 전력 레벨이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특정한 임계 아래이면, 제어 회로(10020)는 채널이 도 3-5의 방법들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차지되지 않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제어 회로(10020)는 채널이 차지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될 때 백오프 프로세스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회로(10020)는 제1 트랜시버(10030)와 협력하여, 랜덤 경합 윈도우를 선택하고, 경합 윈도우를 감소시키고, 제1 트랜시버(10030)를 사용하여 W㎲ 동안 채널을 감지하고, 백오프 기간이 끝났는지를, 또는 활동이 백오프 기간 동안 채널 상에서 검출되는지를 결정하고, 매체가 채널 리슨 기간 동안 비허가된 채널 상에서 전력 레벨을 검출함으로써 매체가 자유로운지를 한번 다시 결정하기 위해 제1 트랜시버(10030)에 시그널링하는 것과 같은, 도 3-5의 동작들이 이 구현되게 할 수 있다. 제어 회로(10020) 및 제1 트랜시버(10030)가 채널이 한번 다시 자유롭다고 결정했을 때, 제어 회로(10020)는 다시 시작하여 백오프 절차를 한번 다시 구현할 것이다.
제어 회로(10020)는 또한 스케줄링 및 채널 감지 최적화들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10020)는 LBT 및 백오프가 서브프레임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시간 내에 완료되는지를 예측할 수 있다. LBT/백오프가 시간 내에 완료되는 것으로 예측되지 않으면, 제어 회로(10020)는 LBT 및 백오프가 다음의 이용가능한 서브프레임에 대해 완료되고 나서 예약 메시지들을 보내라고 제1 또는 제2 트랜시버들(10030, 10040)에 지시할 수 있다. LBT/백오프가 현재 서브프레임에서 SDL PDSCH를 송신하기 위해 시간 내에 완료되는 것으로 예측되면, 제어 회로는 제2 트랜시버(10040)에 의해 송신된 PDCCH를 통해 SDL PDSCH 상에서 하나 이상의 UE를 스케줄링할 것이다. UE들이 스케줄링되지만 LBT/백오프 절차가 성공적으로 완료하지 못하면, 제어 회로는 서브프레임과 관련된 임의의 HARQ 송신들을 무시할 수 있다. 제어 회로는 또한 제2 트랜시버(10040) 또는 제1 트랜시버(10030)를 통해(예를 들어, 허가된 또는 비허가된 채널들을 통해) 임의의 수신기들(예를 들어, UE들)에 그들의 HARQ 큐들로부터 이들 아이템을 제거하라고 지시할 수 있고 그래서 그들은 더 이상 재송신을 요구하지 않을 것이다.
제어 회로(10020)는 또한 하나 이상의 채널 감지 최적화를 구현할 수 있다. 제어 회로(10020)는 K 및 L을 결정할 수 있고, 펑처링 파라미터들에 관해 제2 트랜시버(10040) 또는 제1 트랜시버(10030)를 통해(예를 들어, 허가된 또는 비허가된 채널들을 통해) 임의의 수신기들(예를 들어, UE들)과 통신한다. 부가적으로 제어 회로(10020)는 제1 트랜시버를 통해 이 펑처링을 구현할 수 있다.
제2 무선 트랜시버(10040)는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허가된 주파수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들은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공포된 롱텀 에볼루션(LTE) 표준 계열, 3GPP에 의해 공포된 유니버설 이동 원거리 통신 시스템(UMTS), 마이크로웨이브 액세스를 위한 월드와이드 상호운용성(WiMAX)이라고 알려진 전기 전자 통신 학회(IEEE) 802.16 표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트랜시버(10040)는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의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계층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10000)가 eNodeB이면, 제2 트랜시버(10040)는 eNodeB를 구현하는 기능성을 제공한다.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10000)가 UE이면, 제2 트랜시버(10040)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데이터를 그 네트워크를 가로질러 전달하는 기능성을 제공한다. 제2 트랜시버(10040)는 허가된 대역폭을 이용할 수 있지만, 또한 회로가 비허가된 대역폭을 가로질러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게 할 수 있다.
제어 회로(10020)는 제2 트랜시버(10040)뿐만 아니라, 제1 트랜시버(100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회로(10020)가 비허가된 채널들이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고 결정할 때, 제어 회로(10020)는 채널이 제1 트랜시버(10030)를 사용하여 언제 자유로운지를 결정할 수 있고, 일부 예들에서, 제1 트랜시버(10030)를 통해 채널 예약 메시지를 사용하여 채널을 예약한다. 채널이 자유로울 때, 제어 회로(10020)는 제1 또는 제2 트랜시버들(10030 및 10040)에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비허가된 대역 상에서 송신하라고 지시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10000)는 비허가된 채널들 상에서 예약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예약 메시지는 셀룰러 데이터 전달의 지속기간(예를 들어,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될 수 있는 지속기간 필드를 갖는다. 일부 예들에서,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10000)는 서브프레임 경계까지는 송신하기를 시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들 예에서, 예약 메시지가 보내지면, 예약 메시지는 셀룰러 데이터 전달의 지속기간 플러스 다음 서브프레임 경계까지의 시간의 양과 같은 지속기간을 가질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환경(11000)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eNodeB(11010)의 형태로 된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는 UE들(11030)의 형태로 된 하나 이상의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에 셀룰러 무선 통신들을 제공한다. 일부 예들에서, UE들(11030)은 인터넷(11060)과 같은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 eNodeB(11010)에 의해 제공된 셀룰러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셀룰러 무선 통신들은 LTE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표준에 따를 수 있다.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들(11010 및 11030)은 도 1-9에 도시한 방법들 또는 타임라인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것뿐만 아니라, 도 10 및 도 12의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들(11010 및 11030)은 허가된 또는 비허가된 주파수들 상에서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50)(예를 들어, 랩탑 컴퓨터)는 비허가된 주파수들에서 동작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11040)(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제공된 하나 이상의 근거리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50)는 무선 디바이스(11040)와의 무선 접속을 통해 인터넷(11060)과 같은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12는 여기에 논의된 기술들(예를 들어, 방법론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 예시적인 머신(120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대안적 실시예들에서, 머신(12000)은 스탠드얼론 디바이스로서 동작할 수 있거나 다른 머신들과 접속(예를 들어, 네트워크)될 수 있다. 네트워크된 구축에서, 머신(12000)은 서버 머신, 클라이언트 머신, 또는 서버-클라이언트 네트워크 환경들 둘 다의 능력에서 동작할 수 있다. 한 예에서, 머신(12000)은 피어-투-피어(P2P)(또는 다른 분배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피어 머신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머신(12000)은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예시적인 셀룰러 무선 디바이스는 eNodeB, UE, 퍼스널 컴퓨터(PC), 태블릿 PC, 셋톱 박스(STB), 개인 휴대 단말기(PDA), 이동 전화, 웹 기기, 네트워크 라우터, 스위치, 또는 브리지, 또는 그 머신에 의해 취해질 동작들을 명시하는 명령어들(순차적 또는 다른 방식)을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머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지 단일 머신이 도시되지만, 용어 "머신"은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소프트웨어 애즈 서비스(SaaS), 또는 다른 컴퓨터 클러스터 구성들과 같이, 여기에 논의된 방법론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해 명령어들의 세트(또는 다수 세트)를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실행하는 머신들의 임의의 집합을 포함하도록 취해질 것이다.
여기에 설명된 것과 같은 예들은 논리 또는 다수의 소자, 모듈들, 회로, 또는 메커니즘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그 위에서 동작할 수 있다. 모듈들 및 회로는 특정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유형 엔티티들(예를 들어, 하드웨어)이고 특정 방식으로 구성 또는 배열될 수 있다. 한 예에서, 회로들은 회로로서 특정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내부적으로 또는 다른 회로들과 같은 외부 엔티티들에 대해) 배열될 수 있다. 한 예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예를 들어, 스탠드얼론,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 컴퓨터 시스템) 또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의 전부 또는 일부가 특정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회로로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명령어들, 애플리케이션 부분,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어 "회로"는 특정된 방식으로 동작하거나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동작의 일부 또는 모두를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성되고, 특정하게 구성(예를 들어, 하드와이어되고), 또는 임시로(예를 들어, 일시적으로) 구성된(예를 들어 프로그램된) 엔티티인 유형 엔티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회로가 임시로 구성된 예들을 고려하면, 회로들 각각은 어느 한 순간에 인스턴스화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회로들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성된 범용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에, 범용 하드웨어 프로세서는 상이한 시간들에서 각각의 상이한 회로로서 구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그에 따라 예를 들어, 한 순간에 특정한 회로를 구성하고 상이한 순간에 상이한 회로를 구성하기 위해,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구성할 수 있다.
머신(예를 들어, 컴퓨터 시스템)(12000)은 하드웨어 프로세서(12002)(예를 들어, 중앙 처리 장치(CPU), 그래픽 처리 장치(GPU), 하드웨어 프로세서 코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메인 메모리(12001), 및 정적 메모리(12006)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의 일부 또는 모두는 인터링크(예를 들어, 버스)(12008)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머신(12000)은 디스플레이 유닛(12010), 영숫자 입력 디바이스(12012)(예를 들어, 키보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2014)(예를 들어, 마우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예에서, 디스플레이 유닛(12010), 영숫자 입력 디바이스(12012), 및 UI 내비게이션 디바이스(12014)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머신(12000)은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어, 구동 유닛)(12016), 신호 발생 디바이스(12018)(예를 들어, 스피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020), 및 전지구 위치 파악 시스템(GPS) 센서, 나침반, 가속도계, 또는 다른 센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12021)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머신(12000)은 하나 이상의 주변 디바이스와 통신하거나 그들을 제어하기 위해 시리얼(예를 들어,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패러렐, 또는 다른 유선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IR), 근거리 통신(NFC) 등) 접속과 같은 출력 제어기(12028)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12016)는 여기에 설명된 기술들 또는 기능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실시하거나 이용되는 데이터 구조 또는 명령어들(12024)(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하나 이상의 세트가 저장되어 있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12022)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들(12024)은 또한 메인 메모리(12001) 내에, 정적 메모리(12006) 내에, 또는 머신(12000)에 의한 그것의 실행 동안 하드웨어 프로세서(12002) 내에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주할 수 있다. 한 예에서, 하드웨어 프로세서(12002), 메인 메모리(12001), 정적 메모리(12006), 또는 저장 디바이스(12016)의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은 머신 판독가능 매체를 구성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12022)가 단일 매체로서 예시되지만, 용어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단일 매체 또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12024)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매체(예를 들어, 집중된 또는 분배된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관련된 캐시들 및 서버들)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머신(12000)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 인코드, 또는 전달할 수 있고 머신(12000)으로 하여금 본 개시내용의 기술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하고, 또는 이러한 명령어들에 의해 사용되거나 또는 그와 관련된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 인코드, 또는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일시적 전파 신호가 아니다. 비제한적인 머신 판독가능 매체 예들은 고상 메모리들, 및 광학 및 자기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의 특정한 예들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프로그램가능한 리드 온리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하고 프로그램가능한 리드 온리 메모리(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내부 하드 디스크들 및 착탈가능한 디스크들과 같은 자기 디스크들; 자기-광 디스크들;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CD-ROM 및 DVD-ROM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들(12024)은 많은 트랜스퍼 프로토콜들(예를 들어, 프레임 릴레이, 인터넷 프로토콜(IP), 송신 제어 프로토콜(TCP),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DP), 하이퍼텍스트 트랜스퍼 프로토콜(HTTP) 등)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020)를 통해 송신 매체를 사용하여 통신 네트워크(12026)를 통해 더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예시적인 통신 네트워크들은 다른 것들 중에서, 근거리 네트워크(LAN), 광역 네트워크(WAN),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예를 들어, 인터넷), 이동 전화 네트워크들(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들), 기존 전화(POTS) 네트워크들, 및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들(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라고 알려진 IEEE 802.11 표준 계열, WiMax®라고 알려진 IEEE 802.16 표준 계열), IEEE 802.15.4 표준 계열 및 피어-투 피어(P2P)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020)는 통신 네트워크(12026)와 접속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물리적 잭(예를 들어, 이더넷, 동축, 또는 전화 잭들) 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12020)는 단일-입력 다중-출력(SIMO) 다중-입력 다중 출력(MIMO), 또는 다중-입력 단일-출력(MISO) 기술들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무선 통신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송신 매체"는 머신(12000)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 인코드, 또는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무형 매체를 포함하고, 이러한 소프트웨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통신 신호들 또는 다른 무형 매체를 포함하도록 취해질 것이다.
다른 노트들 및 예들
예 1은 비허가된 채널에서 송신 및 수신하는 제1 트랜시버;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허가된 채널에서 및 상기 비허가된 채널에서 송신 및 수신하는 제2 트랜시버; 및 상기 제1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비허가된 채널이 차지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수의 하나 이상의 슬릿에 걸쳐 상기 비허가된 채널의 에너지를 감지하고, 상기 슬릿들은 상기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의 타이밍 정보를 참조하여 정의됨 -, 상기 채널이 차지되어 있지 않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허가된 채널 상에서 송신되는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비허가된 채널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eNodeB에 의해 서비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제2 트랜시버를 통해 셀룰러 서브프레임 경계에서 시작하는 상기 비허가된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장치, 또는 머신과 같은) 주제를 포함한다.
예 2는 예 1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시버가 비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비허가된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는 보충 다운링크(SDL)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이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비허가된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한 상기 비허가된 채널을 예약하기 위해 상기 제1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비허가된 채널 상에서 무선 예약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예 3은 예들 1 내지 2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슬릿이 현재 셀룰러 서브프레임에서의 심볼 경계를 교차하지 않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슬릿이 현재 셀룰러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샘플을 세분하도록 구성된다.
예 4는 예들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슬릿 중 적어도 하나는 현재 셀룰러 서브프레임의 심볼 경계를 교차하도록 구성된다.
예 5는 예들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슬릿은 현재 셀룰러 서브프레임으로부터 펑처링된다.
예 6은 예들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은 3세대 파트너쉽(3GPP)에 의해 정의된 롱텀 에볼루션(LTE) 또는 롱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LTE-A) 표준 계열이다.
예 7은 예들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시버는 전기 전자 통신 학회(IEEE) 802.11 프로토콜에 따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예 8은 예들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백오프 프로세스를 구현하고, 상기 백오프 프로세스가 성공적일 때까지 상기 비허가된 채널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억제한다.
예 9는 예들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이고, 상기 제어기는 백오프 프로세스가 상기 PDCCH의 송신의 종료 전에 완료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응답하여, 상기 eNodeB에 의해 서비스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를 상기 백오프 프로세스의 완료 전에 상기 제2 트랜시버에 의해 송신된 상기 허가된 채널 상의 상기 PDCCH를 통해 비허가된 채널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한다.
예 10은 예들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백오프 프로세스가 상기 PDCCH의 상기 송신의 상기 종료 전에 완료하지 않았다고 결정하고, 응답하여, 상기 비허가된 채널 상에 스케줄링된 데이터에 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구들(HARQ)을 무시하고; 상기 비허가된 채널 상에 스케줄링된 데이터에 대한 HARQ 버퍼를 클리어하라고 상기 UE에 통지한다.
예 11은 예들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시버는 허가된 채널에서 PDSCH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 12는 하나 이상의 슬릿에 걸쳐 셀룰러 무선 통신들을 위해 독점적으로 허가되지 않은 보조 채널을 감지하고; 상기 보조 채널의 수신된 전력이 상기 보조 채널이 상기 하나 이상의 슬릿 동안 유휴라는 것을 표시한다고 결정하고; 응답하여, 상기 보조 채널 상에서 예약 메시지를 보내고; 상기 보조 채널 상에서 송신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를 스케줄링하고; 셀룰러 무선 통신들에 대해 허가된 주 채널 상에서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UE에 상기 스케줄을 전달하고; 서브프레임 경계에서 시작하는 상기 보조 채널을 통해 상기 PDSCH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장치, 또는 머신과 같은) 주제를 포함한다.
예 13은 예 12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슬릿은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의 타이밍 정보를 참조하여 정의된다.
예 14는 예들 12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명령어들은 백오프 프로세스가 현재 서브프레임 이후에 그리고 다음 서브프레임 동안 완료할 것이라고 결정하고 - 상기 다음 서브프레임은 상기 서브프레임 경계에서 시작함 -; 상기 백오프 프로세스가 상기 현재 서브프레임 이후에 그리고 상기 다음 서브프레임 동안 완료할 것이라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주 채널 상에 송신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상에서 상기 백오프 프로세스의 완료 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를 스케줄링하도록, 상기 eNodeB를 구성한다.
예 15는 예들 12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주 채널을 통해 상기 PDSCH를 송신하기 전에 백오프 절차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도록 상기 eNodeB를 더 구성한다.
예 16은 예들 12 내지 15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절차를 위한 상기 명령어들은 랜덤 경합 윈도우를 발생하고; 각각의 경합 윈도우에 대한 슬릿과 동일한 제2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채널 감지하고; 각각의 특정한 경합 윈도우에 대해, 그 특정한 경합 윈도우 동안 수신된 전력이 미리 결정된 임계 아래이었다고 결정함으로써 상기 백오프 절차가 성공적이었다고 결정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예 17은 예들 12 내지 16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절차를 위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보조 채널이 혼잡하다고 결정하고, 응답하여, 상기 경합 윈도우를 배가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예 18은 하나 이상의 슬릿에 걸친 제1 채널의 전력 레벨이 제1 미리 결정된 임계 아래라고 결정하고 - 상기 제1 채널은 셀룰러 무선에 대해 독점적으로 허가되지 않은 무선 채널임 -, 응답하여, 랜덤 백오프 윈도우를 선택하고; 상기 백오프 윈도우에 대한 상기 제1 채널의 전력 레벨이 제2 미리 결정된 임계 아래라고 결정하고; 제2의 허가된 채널 상에서 제어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채널 상의 보충 다운링크(SDL)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사용자 장비(UE)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랜덤 백오프 윈도우에 대한 상기 제1 채널의 전력 레벨이 상기 제2 임계 아래인 것에 응답하여 셀룰러 서브프레임 경계에서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SDL PDSCH를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장치, 또는 머신과 같은) 주제를 포함한다.
예 19는 예 18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채널 상에 PDSCH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 20은 예들 18 내지 19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슬릿은 롱텀 에볼루션(LTE) 또는 롱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LTE-A) 심볼에 대해 정렬된다.
예 21은 예들 18 내지 20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슬릿의 심볼들 내의 지속기간은 일관된 수의 샘플들이고 롱텀 에볼루션(LTE) 또는 롱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LTE-A) 서브프레임 내의 샘플들의 수의 인수이다.
예 22는 예들 18 내지 21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백오프 윈도우에 대한 상기 제1 채널의 전력 레벨이 상기 제2 임계 아래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무선 예약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예 23은 예들 18 내지 22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무선 예약 메시지는 전송 가능(Clear to Send)(CTS) 메시지이고 상기 CTS 메시지는 적어도 상기 셀룰러 서브프레임 경계까지의 시간 플러스 PDSCH 서브프레임을 송신할 시간인 값으로 설정되는 지속기간 필드를 갖는다.
예 24는 예들 18 내지 23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랜덤 백오프 윈도우의 각각의 감소에 대해 수신된 전력이 상기 제2 임계 아래라고 결정하도록 적어도 구성됨으로써 상기 랜덤 백오프 윈도우에 대한 상기 제1 채널의 전력 레벨이 상기 제2 임계 아래라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예 25는 예들 18 내지 24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안테나를 포함한다.
예 26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슬릿에 걸친 제1 채널의 전력 레벨이 제1 미리 결정된 임계 아래라고 결정하고 - 상기 제1 채널은 셀룰러 무선에 대해 독점적으로 허가되지 않은 무선 채널임 -, 응답하여, 랜덤 백오프 윈도우를 선택하고; 상기 백오프 윈도우에 대한 상기 제1 채널의 전력 레벨이 제2 미리 결정된 임계 아래라고 결정하고; 제2의 허가된 채널 상에서 제어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채널 상의 보충 다운링크(SDL)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사용자 장비(UE)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랜덤 백오프 윈도우에 대한 상기 제1 채널의 전력 레벨이 상기 제2 임계 아래인 것에 응답하여 셀룰러 서브프레임 경계에서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SDL PDSCH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동작들을 수행하는 수단, 머신에 의해 수행될 때 상기 머신으로 하여금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또는 수행하는 장치와 같은) 주제를 포함한다.
예 27은 예 26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채널 상에 PDSCH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 28은 예들 26 내지 27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슬릿은 롱텀 에볼루션(LTE) 또는 롱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LTE-A) 심볼에 대해 정렬된다.
예 29는 예들 26 내지 28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슬릿의 심볼들 내의 지속기간은 일관된 수의 샘플들이고 롱텀 에볼루션(LTE) 또는 롱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LTE-A) 서브프레임 내의 샘플들의 수의 인수이다.
예 30은 예들 26 내지 29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백오프 윈도우에 대한 상기 제1 채널의 전력 레벨이 상기 제2 임계 아래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무선 예약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예 31은 예들 26 내지 30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무선 예약 메시지는 전송 가능(Clear to Send)(CTS) 메시지이고 상기 CTS 메시지는 적어도 상기 셀룰러 서브프레임 경계까지의 시간 플러스 PDSCH 서브프레임을 송신할 시간인 값으로 설정되는 지속기간 필드를 갖는다.
예 32는 예들 26 내지 31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랜덤 백오프 윈도우의 각각의 감소에 대해 수신된 전력이 상기 제2 임계 아래라고 결정하도록 적어도 구성됨으로써 상기 랜덤 백오프 윈도우에 대한 상기 제1 채널의 전력 레벨이 상기 제2 임계 아래라고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예 33은 하나 이상의 슬릿에 걸친 제1 채널의 전력 레벨이 제1 미리 결정된 임계 아래라고 결정하고 - 상기 제1 채널은 셀룰러 무선에 대해 독점적으로 허가되지 않은 무선 채널임 -, 응답하여, 랜덤 백오프 윈도우를 선택하는 수단; 상기 백오프 윈도우에 대한 상기 제1 채널의 전력 레벨이 제2 미리 결정된 임계 아래라고 결정하는 수단; 제2의 허가된 채널 상에서 제어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채널 상의 보충 다운링크(SDL)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사용자 장비(UE)를 스케줄링하는 수단; 및 상기 랜덤 백오프 윈도우에 대한 상기 제1 채널의 전력 레벨이 상기 제2 임계 아래인 것에 응답하여 셀룰러 서브프레임 경계에서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SDL PDSCH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장치, 또는 머신과 같은) 주제를 포함한다.
예 34는 예 33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제2 채널 상에 PDSCH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예 35는 예들 33 내지 34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슬릿은 롱텀 에볼루션(LTE) 또는 롱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LTE-A) 심볼에 대해 정렬된다.
예 36은 예들 33 내지 35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슬릿의 심볼들 내의 지속기간은 일관된 수의 샘플들이고 롱텀 에볼루션(LTE) 또는 롱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LTE-A) 서브프레임 내의 샘플들의 수의 인수이다.
예 37은 예들 33 내지 36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윈도우에 대한 상기 제1 채널의 전력 레벨이 상기 제2 임계 아래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무선 예약 메시지를 보내는 수단을 포함한다.
예 38은 예들 33 내지 37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무선 예약 메시지는 전송 가능(Clear to Send)(CTS) 메시지이고 상기 CTS 메시지는 적어도 상기 셀룰러 서브프레임 경계까지의 시간 플러스 PDSCH 서브프레임을 송신할 시간인 값으로 설정되는 지속기간 필드를 갖는다.
예 39는 예들 33 내지 38 중 어느 하나의 주제에 있어서, 상기 랜덤 백오프 윈도우에 대한 상기 제1 채널의 전력 레벨이 상기 제2 임계 아래라고 결정하는 수단은 상기 랜덤 백오프 윈도우의 각각의 감소에 대해 수신된 전력이 상기 제2 임계 아래라고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Claims (25)

  1. eNodeB로서,
    비허가된 채널에서 송신 및 수신하는 제1 트랜시버;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허가된 채널에서 및 상기 비허가된 채널에서 송신 및 수신하는 제2 트랜시버; 및
    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트랜시버를 통해, 미리 결정된 수의 하나 이상의 슬릿에 걸쳐 상기 비허가된 채널의 에너지를 감지하여, 상기 비허가된 채널이 차지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결정하고 - 상기 슬릿들은 상기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의 타이밍 정보를 참조하여 정의됨 -, 상기 채널이 차지되어 있지 않다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허가된 채널 상에서 송신되는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비허가된 채널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eNodeB에 의해 서비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제2 트랜시버를 통해 셀룰러 서브프레임 경계에서 시작하는 상기 비허가된 채널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송신하는 eNodeB.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시버가 비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에 따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비허가된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는 보충 다운링크(Supplemental Downlink)(SDL)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이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비허가된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에 대한 상기 비허가된 채널을 예약하기 위해 상기 제1 트랜시버를 통해 상기 비허가된 채널 상에서 무선 예약 메시지(wireless reservation message)를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eNodeB.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슬릿이 현재 셀룰러 서브프레임에서의 심볼 경계를 교차(cross)하지 않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슬릿이 상기 현재 셀룰러 서브프레임에서 복수의 샘플을 세분하도록 구성되는 eNodeB.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슬릿 중 적어도 하나는 현재 셀룰러 서브프레임의 심볼 경계를 교차하도록 구성되는 eNodeB.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슬릿은 현재 셀룰러 서브프레임으로부터 펑처링되는(punctured) eNodeB.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은 3세대 파트너쉽(Third Generation Partnership)(3GPP)에 의해 정의된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 또는 롱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Long Term Evolution- Advanced)(LTE-A) 표준 계열인 eNodeB.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랜시버는 IEEE(Institute for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프로토콜에 따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eNodeB.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백오프 프로세스를 구현하고, 상기 백오프 프로세스가 성공적일 때까지 상기 비허가된 채널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억제하는 eNodeB.
  9. 제8항에 있어서, 제어 채널은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이고, 상기 제어기는 백오프 프로세스가 상기 PDCCH의 송신의 종료 전에 완료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응답하여, 상기 백오프 프로세스의 완료 전에 상기 제2 트랜시버에 의해 송신된 상기 허가된 채널 상의 상기 PDCCH를 통해 비허가된 채널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eNodeB에 의해 서비스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를 스케줄링하는 eNodeB.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백오프 프로세스가 상기 PDCCH의 송신의 종료 전에 완료하지 않았다고 결정하고, 응답하여:
    상기 비허가된 채널 상에 스케줄링된 데이터에 대한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구들(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s)(HARQ)을 무시하고;
    상기 비허가된 채널 상에 스케줄링된 데이터에 대한 HARQ 버퍼를 클리어(clear)하라고 상기 UE에 통지하는 eNodeB.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랜시버는 허가된 채널에서 PDSCH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eNodeB.
  12. eNodeB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에 걸쳐 셀룰러 무선 통신들을 위해 독점적으로 허가되지 않은 보조 채널을 감지하고;
    상기 보조 채널의 수신된 전력이 상기 보조 채널이 상기 하나 이상의 슬릿 동안 유휴라는 것을 표시한다고 결정하고; 응답하여:
    상기 보조 채널 상에서 예약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보조 채널 상에서 송신된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를 스케줄링하고;
    셀룰러 무선 통신들에 대해 허가되는 주 채널 상에서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UE에 스케줄(schedule)을 전달하고;
    서브프레임 경계에서 시작하는 상기 보조 채널을 통해 상기 PDSCH를 송신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상기 eNodeB를 구성하는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매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슬릿은 셀룰러 무선 프로토콜의 타이밍 정보를 참조하여 정의되는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매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백오프 프로세스가 현재 서브프레임 이후에 그리고 다음 서브프레임 동안 완료할 것이라고 결정하고 - 상기 다음 서브프레임은 상기 서브프레임 경계에서 시작함 -;
    상기 백오프 프로세스가 상기 현재 서브프레임 이후에 그리고 상기 다음 서브프레임 동안 완료할 것이라고 결정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주 채널 상에 송신된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 상에서 상기 백오프 프로세스의 완료 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UE를 스케줄링하도록
    상기 eNodeB를 구성하는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매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주 채널을 통해 상기 PDSCH를 송신하기 전에 백오프 절차를 성공적으로 완료하도록 상기 eNodeB를 더 구성하는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절차를 위한 상기 명령어들은
    랜덤 경합 윈도우(random contention window)를 발생하고;
    각각의 경합 윈도우에 대해 슬릿과 동일한 제2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채널 감지하고;
    각각의 특정한 경합 윈도우에 대해, 그 특정한 경합 윈도우 동안 수신된 전력이 미리 결정된 임계 아래이었다고 결정함으로써 상기 백오프 절차가 성공적이었다고 결정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매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 절차를 위한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보조 채널이 혼잡하다고 결정하고, 응답하여, 상기 경합 윈도우를 배가(doubling)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매체.
  18. 디바이스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슬릿에 걸친 제1 채널의 전력 레벨이 제1 미리 결정된 임계 아래라고 결정하고 - 상기 제1 채널은 셀룰러 무선에 대해 독점적으로 허가되지 않은 무선 채널임 -, 응답하여:
    랜덤 백오프 윈도우(random backoff window)를 선택하고;
    상기 백오프 윈도우에 대한 상기 제1 채널의 전력 레벨이 제2 미리 결정된 임계 아래라고 결정하고;
    제2의 허가된 채널 상에서 제어 채널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채널 상의 보충 다운링크(SDL)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사용자 장비(UE)를 스케줄링하고;
    상기 랜덤 백오프 윈도우에 대한 상기 제1 채널의 전력 레벨이 상기 제2 임계 아래인 것에 응답하여 셀룰러 서브프레임 경계에서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SDL PDSCH를 송신하는 디바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채널 상에 PDSCH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슬릿은 롱텀 에볼루션(LTE) 또는 롱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LTE-A) 심볼에 대해 정렬되는 디바이스.
  21. 제1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슬릿의 심볼들 내의 지속기간은 일관된 수의 샘플들(a consistent number of samples)이고 롱텀 에볼루션(LTE) 또는 롱텀 에볼루션-어드밴스드(LTE-A) 서브프레임 내의 샘플들의 수의 인수인 디바이스.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백오프 윈도우에 대한 상기 제1 채널의 전력 레벨이 상기 제2 임계 아래라는 결정에 응답하여 무선 예약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예약 메시지는 전송 가능(Clear to Send)(CTS) 메시지이고 상기 CTS 메시지는 적어도 상기 셀룰러 서브프레임 경계까지의 시간 플러스 PDSCH 서브프레임을 송신할 시간인 값으로 설정되는 지속기간 필드를 갖는 디바이스.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랜덤 백오프 윈도우의 각각의 감소에 대해 수신된 전력이 상기 제2 임계 아래라고 결정하도록 적어도 구성됨으로써 상기 랜덤 백오프 윈도우에 대한 상기 제1 채널의 전력 레벨이 상기 제2 임계 아래라고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eNodeB의 일부인 디바이스.
KR1020177010766A 2014-11-06 2015-11-04 비허가된 대역에서의 셀룰러를 위한 서브프레임 정렬된 리슨-비포-토크 KR101857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7012820A KR102293632B1 (ko) 2014-11-06 2015-11-04 비허가된 대역에서의 셀룰러를 위한 서브프레임 정렬된 리슨-비포-토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76083P 2014-11-06 2014-11-06
US62/076,083 2014-11-06
US14/711,278 2015-05-13
US14/711,278 US9326157B1 (en) 2014-11-06 2015-05-13 Subframe aligned listen-before-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PCT/US2015/059051 WO2016073616A1 (en) 2014-11-06 2015-11-04 Subframe aligned listen-before-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820A Division KR102293632B1 (ko) 2014-11-06 2015-11-04 비허가된 대역에서의 셀룰러를 위한 서브프레임 정렬된 리슨-비포-토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080A KR20170060080A (ko) 2017-05-31
KR101857549B1 true KR101857549B1 (ko) 2018-05-14

Family

ID=557548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766A KR101857549B1 (ko) 2014-11-06 2015-11-04 비허가된 대역에서의 셀룰러를 위한 서브프레임 정렬된 리슨-비포-토크
KR1020187012820A KR102293632B1 (ko) 2014-11-06 2015-11-04 비허가된 대역에서의 셀룰러를 위한 서브프레임 정렬된 리슨-비포-토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820A KR102293632B1 (ko) 2014-11-06 2015-11-04 비허가된 대역에서의 셀룰러를 위한 서브프레임 정렬된 리슨-비포-토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9326157B1 (ko)
EP (2) EP3216304B1 (ko)
JP (2) JP6680778B2 (ko)
KR (2) KR101857549B1 (ko)
CN (1) CN106797572B (ko)
WO (1) WO201607361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9164B2 (en) 2014-11-06 2019-02-26 Intel IP Corporation Subframe aligned listen-before-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US10568097B2 (en) 2014-06-30 2020-02-18 Intel IP Corporation Listen before 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26662B2 (en) 2013-06-26 2016-08-23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Capacity sharing between wireless systems
US9730196B2 (en) 2014-07-29 2017-08-08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LTE control channel reservation in RF bands with competing communication systems
US20180115983A1 (en) * 2014-11-06 2018-04-26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9615279B2 (en) * 2015-01-27 2017-04-04 Intel Corporation Enhanced listen-before-talk (LBT) for unlicensed band operation with cell splitting
ES2763379T3 (es) 2015-01-30 2020-05-28 Nec Corp Método y aparato para realizar transmisión de subtrama fraccional
US10136452B2 (en) * 2015-02-24 2018-11-20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PRACH for standalone contention based communications including unlicensed spectrum
US20160278088A1 (en) * 2015-03-17 2016-09-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LBT Operation Based on Channel Activity and/or Traffic Load
WO2016148622A1 (en) * 2015-03-17 2016-09-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therein for determining a contention window size in a communication network
CA2984453C (en) * 2015-05-14 2022-01-25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in listen before talk systems
KR102068553B1 (ko) * 2015-08-13 2020-01-21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다중-반송파 LBT(listen-before-talk) 프로토콜의 경쟁 윈도우 적응
EP3391699B1 (en) * 2015-12-18 2019-10-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cheduling of subframes at protocol layer l1
KR102540856B1 (ko) 2016-01-13 2023-06-08 레노보 이노베이션스 리미티드 (홍콩)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확인응답
CN109076482B (zh) * 2016-03-17 2021-05-04 索尼移动通讯有限公司 在通信网络中执行至少一个定位功能的装置、方法、介质
CN109565700A (zh) * 2016-08-16 2019-04-0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控制定向通信设备
US11350449B2 (en) * 2016-09-29 2022-05-31 Apple Inc. Frequency hopping for unlicensed internet of things
TWI616111B (zh) 2016-12-23 2018-02-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在未授權頻譜中的無線電資源排程方法及使用其之基地台
US10849077B2 (en) * 2017-01-27 2020-11-24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for new radio-spectrum sharing (NR-SS)
EP3579435B1 (en) * 2017-02-07 2021-08-0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CN108738153B (zh) * 2017-04-17 2023-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发射端设备
US10925055B2 (en) 2017-05-01 2021-02-16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channel access procedure
CN109150425B (zh) * 2017-06-15 2020-04-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121198A (zh) * 2017-06-23 2019-01-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非授权频段下的信息传输方法及网络设备
CN109495226B (zh) * 2017-09-11 2021-05-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控制信号的方法、用户终端及网络侧设备
US11032717B2 (en) 2017-10-03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coexistence performance by measurement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210018899A (ko) 2018-06-11 2021-02-18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비면허 스펙트럼에서의 채널 송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GB2575816A (en) * 2018-07-23 2020-01-29 Tcl Communication Ltd Transmission techniques in a cellular network
CN109314614B (zh) * 2018-08-23 2022-03-0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混合自动重传请求反馈方法及装置、用户设备和基站
CN114041320A (zh) * 2019-05-02 2022-02-11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EP3994826A4 (en) * 2019-07-04 2022-07-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A WIRELESS NETWORK
CN111183703B (zh) * 2019-11-29 2023-09-2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帧传输方法及装置、通信端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3448A1 (en) 2005-04-05 2006-10-05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radio resources in unlicensed frequency bands
US20070026868A1 (en) 2005-07-26 2007-02-01 Schulz Gary D Licensed/unlicensed frequency management in a wireless wide-area network
WO2012078565A1 (en) 2010-12-06 2012-06-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to enable wireless operation in license exempt spectrum
US20130337821A1 (en) 2012-06-14 2013-12-19 Netgear, Inc. Dual Band LTE Small Cell
US20140036818A1 (en) 2011-02-11 2014-02-06 Renesas Mobile Corporation Signaling Method To Enable Controlled TX Deferring In Mixed License and Unlicensed Spectrum In Carrier Aggregation In Future LTE-A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60115B (zh) * 2010-04-23 2016-06-01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传递无线电资源分配的方法和装置
US9750019B2 (en) 2010-09-23 2017-08-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hannel access systems and methods for cognitive relaying for cellular systems
US8792900B2 (en) 2010-09-23 2014-07-29 Nokia Corporation Autonomous unlicensed band reuse in mixed cellular and device-to-device network
WO2012141462A2 (ko) 2011-04-11 2012-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수신확인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9113483B2 (en) * 2011-04-12 2015-08-18 Broadcom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of spectrum sharing for cellular-controlled offloading using unlicensed band
KR101600487B1 (ko) 2011-04-18 2016-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US9854446B2 (en) * 2011-07-07 2017-12-26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sig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30990B2 (en) * 2011-09-15 2014-05-20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quiet period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for coexistence
GB2497556B (en) 2011-12-14 2014-02-12 Broadcom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on an unlicensed band
US9467866B2 (en) 2011-12-15 2016-10-11 Broadcom Corporation Centralized control sharing of spectrum for coexistence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in unlicensed bands
JP5677280B2 (ja) 2011-12-20 2015-02-25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GB2498988B (en) * 2012-02-02 2014-08-06 Broadcom Corp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US9320062B2 (en) 2012-04-17 2016-04-19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with carrier aggregation
EP2862384A1 (en) 2012-06-15 2015-04-2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Scanning secondary cells i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20140001045A (ko) 2012-06-27 2014-01-06 정경필 정량복용이 가능한 약병 뚜껑
CN107580333B (zh) * 2013-03-22 2022-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Ofdma竞争方法及接入点
US10314077B2 (en) 2013-05-20 2019-06-04 Qualcomm Incorporated Gating scheme for wireless communication over unlicensed spectrum
US9949292B2 (en) * 2013-09-11 2018-04-17 Qualcomm Incorporated Coupling uplink and downlink CCA in LTE-U
US10356623B2 (en) 2013-09-24 2019-07-1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erforming carrier sense adaptive transmission in unlicensed spectrum
US20150131516A1 (en) * 2013-11-12 2015-05-14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time interval extension for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US9635559B2 (en) 2013-12-11 2017-04-25 Qualcomm Incorporated Load balancing in network deployments using unlicensed spectrum
US9681325B2 (en) 2013-12-19 2017-06-13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and interference measurement in LTE/LTE-A networks including unlicensed spectrum
US9491777B2 (en) 2014-01-10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rioritizing the reporting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for cells utilizing contention based radio frequency spectrum
US9549080B2 (en) * 2014-02-05 2017-01-17 Apple Inc. Wi-Fi signaling by cellular devices for coexistence in unlicensed frequency bands
EP3108629B1 (en) 2014-02-18 2020-10-28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selection in lte/lte-a networks with unlicensed spectrum
US9392614B2 (en) 2014-06-30 2016-07-12 Intel IP Corporation Listen before 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KR20160004626A (ko) * 2014-07-03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인가 대역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1599324B1 (ko) 2014-07-29 2016-03-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 및 블레이드 적재 기초구조물
US9516640B2 (en) * 2014-08-01 2016-12-06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a media access control scheduler for a long term evolution unlicensed network environment
PL3641210T3 (pl) * 2014-09-10 2022-03-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adiowy węzeł dostępowy, terminal komunikacyjny i sposoby w nich wykonywane
US10637619B2 (en) * 2014-11-03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access for LTE on unlicensed spectrum
US9326157B1 (en) 2014-11-06 2016-04-26 Intel IP Corporation Subframe aligned listen-before-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23448A1 (en) 2005-04-05 2006-10-05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coordinating radio resources in unlicensed frequency bands
US20070026868A1 (en) 2005-07-26 2007-02-01 Schulz Gary D Licensed/unlicensed frequency management in a wireless wide-area network
WO2012078565A1 (en) 2010-12-06 2012-06-1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to enable wireless operation in license exempt spectrum
US20140036818A1 (en) 2011-02-11 2014-02-06 Renesas Mobile Corporation Signaling Method To Enable Controlled TX Deferring In Mixed License and Unlicensed Spectrum In Carrier Aggregation In Future LTE-A Networks
US20130337821A1 (en) 2012-06-14 2013-12-19 Netgear, Inc. Dual Band LTE Small Ce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68097B2 (en) 2014-06-30 2020-02-18 Intel IP Corporation Listen before 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US10219164B2 (en) 2014-11-06 2019-02-26 Intel IP Corporation Subframe aligned listen-before-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16304A4 (en) 2018-06-20
KR102293632B1 (ko) 2021-08-26
KR20180052774A (ko) 2018-05-18
CN106797572A (zh) 2017-05-31
EP3216304B1 (en) 2020-12-09
BR112017009174A2 (pt) 2017-12-19
JP6680778B2 (ja) 2020-04-15
US9326157B1 (en) 2016-04-26
US10219164B2 (en) 2019-02-26
US9788212B2 (en) 2017-10-10
JP7110262B2 (ja) 2022-08-01
US20160135055A1 (en) 2016-05-12
JP2017539145A (ja) 2017-12-28
US20160309334A1 (en) 2016-10-20
WO2016073616A1 (en) 2016-05-12
KR20170060080A (ko) 2017-05-31
EP3216304A1 (en) 2017-09-13
JP2020108171A (ja) 2020-07-09
US20180035303A1 (en) 2018-02-01
CN106797572B (zh) 2020-10-16
EP3869902A1 (en)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549B1 (ko) 비허가된 대역에서의 셀룰러를 위한 서브프레임 정렬된 리슨-비포-토크
JP6513838B2 (ja) 免許不要の帯域におけるセルラ方式のためのリッスン・ビフォア・トーク
CN107872818B (zh) 数据处理方法、节点及终端
US111021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ntention window size in clear channel assessment
US20170118765A1 (en) Communication resource scheduling for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in an unlicensed frequency band
KR20170104468A (ko) 공유된 또는 비허가된 스펙트럼에 대한 매체 액세스
EP3687258B1 (en) Collision avoidance with synchronized transmission
JP6390789B2 (ja) 基地局、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の制御方法および端末の制御方法
BR112017009174B1 (pt) Nó b evoluído e método para escutar antes de falar alinhado por subquadro para celular em banda não licencia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