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324B1 -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 및 블레이드 적재 기초구조물 - Google Patents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 및 블레이드 적재 기초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324B1
KR101599324B1 KR1020140096699A KR20140096699A KR101599324B1 KR 101599324 B1 KR101599324 B1 KR 101599324B1 KR 1020140096699 A KR1020140096699 A KR 1020140096699A KR 20140096699 A KR20140096699 A KR 20140096699A KR 101599324 B1 KR101599324 B1 KR 101599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ub
height
blade
mai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4867A (ko
Inventor
이한용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6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324B1/ko
Publication of KR20160014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ind Motor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 및 블레이드 적재 기초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는, 메인 지지판과, 상기 메인 지지판의 양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1 및 제2 서브 지지판을 포함하는 상부 지지판; 상기 메인 지지판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지지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대; 및 일단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판의 하면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높이 조절대의 측면에 힌지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 및 제2 각도 조절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 및 블레이드 적재 기초구조물{Shape adjustable jig for blade loading and blade loading foundation}
본 발명은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 및 블레이드 적재 기초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풍력 발전은 무공해 에너지원으로 현재의 대체에너지 중 유지보수비용이 가장 저렴하여 경제성이 매우 높다. 또한, 풍력 발전기는 구조나 설치가 간단하고 운영 및 관리가 용이하며 무인화 및 자동화 운전이 가능하다.
현재 개발되어 있는 풍력 발전기는 그 발전용량에 따라 블레이드 직경(blade diameter)이 업체 모델별로 상이하게 개발되어 있다.
따라서, 해상 풍력 발전기의 설치를 위해 혹은 타 지역으로의 운송을 위해 풍력 발전기 설치선(WTIV,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혹은 잭업 바지(Jack-up barge) 위에 블레이드를 적재할 경우 블레이드 직경에 따라 상이한 구조의 설치용 기초구조물(foundation) 및 지그(jig)를 설치해야 하는 바 기존에 설치된 장치의 탈부착이 잦은 편이며, 화물 고박(sea-fastening) 방법 또한 직경별로 달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추가 인력 및 비용이 발생하게 되고, 설치용 기초구조물 및 지그의 탈부착으로 인한 메인 갑판의 페인트 손상과 같은 부수적인 문제점들도 발생하고 있다.
풍력 발전기 블레이드 운송을 위한 적재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10-2013-0096784호(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는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를 운반하기 위한 블레이드 적재 기술이 개시되어 있기도 하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10-2013-0096784호
본 발명은 하나의 적재 기초구조물 내에 지지판 사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형상 변경이 가능한 지그를 이용하여 블레이드 직경에 상관없이 블레이드의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 및 적재 기초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높이 조정이 가능한 지그를 다수 설치하여 위치별 블레이드 곡률에 적합한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블레이드의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 및 적재 기초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메인 지지판과, 상기 메인 지지판의 양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1 및 제2 서브 지지판을 포함하는 상부 지지판; 상기 메인 지지판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지지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대; 및 일단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판의 하면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높이 조절대의 측면에 힌지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 및 제2 각도 조절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가 제공된다.
블레이드의 지지점의 단면 형상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각도 조절대의 길이가 개별 조절되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판이 각각 상기 메인 지지판에 대해 회동함으로써 상기 상부 지지판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로 이격 설치되는 복수의 서브 지지판을 포함하는 상부 지지판; 및 상기 복수의 서브 지지판의 하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서브 지지판의 높이를 개별 조절하는 복수의 높이 조절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가 제공된다.
블레이드의 지지점의 단면 형상에 따라 상기 복수의 높이 조절대의 길이가 개별 조절되어 상기 상부 지지판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메인 지지판과, 상기 메인 지지판의 양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1 및 제2 서브 지지판을 포함하는 상부 지지판; 상기 메인 지지판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지지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메인 높이 조절대; 및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판의 하면에 힌지 연결되고, 개별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제1 및 제2 서브 높이 조절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서브 지지판과 상기 제1 서브 높이 조절대, 상기 제2 서브 지지판과 상기 제2 서브 높이 조절대는 슬라이딩 힌지부에 의해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힌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판의 하면 각각에 상기 메인 지지판과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판 사이의 힌지 연결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레일 혹은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블레이드의 지지점의 단면 형상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높이 조절대의 길이가 개별 조절되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판이 각각 상기 메인 지지판에 대해 회동함으로써 상기 상부 지지판의 형상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 복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있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블레이드 적재 기초구조물이 제공된다.
상기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는 적재 대상이 되는 블레이드의 허브 연결부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기본 높이 및 상기 상부 지지판의 형상이 가변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설치 기초구조물 내에 지지판 사이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형상 변경이 가능한 지그를 이용하여 블레이드 직경에 상관없이 블레이드의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높이 조정이 가능한 지그를 다수 설치하여 위치별 블레이드 곡률에 적합한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블레이드의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를 포함하는 적재 기초구조물의 측면도,
도 2는 적재 기초구조물에 적재되는 블레이드의 위치별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의 기본 형상 및 변경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 지그의 기본 형상 및 변경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c는 슬라이딩 힌지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 지그의 기본 형상 및 변경 형상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를 포함하는 적재 기초구조물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적재 기초구조물에 적재되는 블레이드의 위치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적재 기초구조물(10), 바닥판(12a, 12b, 이하 '12'로 통칭함), 기둥(14), 형상 가변 지그(20-1, 20-2, 20-3, 이하 '20'으로 통칭함), 블레이드(1a, 1b, 이하 '1'로 통칭함)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 지그(20)는 블레이드 적재용으로서, 적재 기초구조물(10)의 각 층마다 블레이드(1)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점에서의 블레이드(1)의 단면 형상에 맞춰 그 형상이 변경 가능하여 블레이드(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재 기초구조물(10)은 다층 구조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각 층은 바닥판(12) 및 기둥(14)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14)은 현재 층과 다음 층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수단일 수 있다.
바닥판(12)의 미리 설정된 지점에는 형상 가변 지그(20)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각 층마다 형상 가변 지그(20-1~20-3)는 둘 이상이 블레이드(1)의 길이 방향으로 임의의 간격 만큼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형상 가변 지그(20)는 설치된 지점에 놓이는 블레이드(1)의 단면 형상에 따라 상부 지지판이 블레이드(1)를 최적으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변경되어 블레이드(1)가 안정적으로 적재되도록 한다.
즉, 제1 위치의 형상 가변 지그(20-1)과 제2 위치의 형상 가변 지그(20-2)와 제3 위치의 형상 가변 지그(20-3)는 그 높이 및 상부 지지판의 형상이 각 지점에서의 블레이드(1b)의 크기 및 단면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형상 가변 지그(20) 상에 블레이드(1)가 안정적으로 적재되면, 블레이드(1)를 감싸면서 형상 가변 지그(20)의 상부 지지판의 양 끝단에 연결되도록 래싱(lashing)을 설치하여 블레이드(1)의 고박이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블레이드(1)는 바람에 대해 최대한의 양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바람을 맞는 앞면은 바람에 대하여 경사를 유지하고 그 각도는 허브에 가까운 중심부가 크고 끝부분은 작으면서 비틀려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길이 방향으로의 블레이드(1)의 단면은 허브 연결부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그 하측 높이 및 형상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허브 연결부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블레이드(1)의 각 지점의 단면(2a, 2b, 2c)이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형상 가변 지그(20)는 블레이드(1)를 지지한다 하더라도 그 형상이 동일한 것이 아니라 지지점의 위치, 즉 허브 연결부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단면 형상에 적합하도록 상부 지지판의 형상이 자유로이 변경될 필요가 있다.
또한, 블레이드(1)는 발전용량에 따라 그 직경이 상이하여 허브 연결부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하다 할지라도 블레이드의 종류에 따라 그 단면 형상이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새로운 종류의 블레이드를 운송하기 위해 적재할 경우에도 기존과 같이 기 설치된 지그를 탈착하고 새로운 지그를 부착할 필요 없이 본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 지그(20)를 이용하여 상부 지지판의 형상을 적응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블레이드의 직경 혹은 종류, 혹은 지지점의 위치에 무관하게 블레이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형상 가변 지그(20)의 구조 및 그 형상 변경에 대해서는 이하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의 기본 형상 및 변경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에는 형상 가변 지그(20a), 상부 지지판(30), 메인 지지판(32), 서브 지지판(34a, 34b), 높이 조절대(40), 각도 조절대(50a, 50b), 힌지부(60a, 60b, 62a, 62b)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 지그(20a)는 상부 지지판(30)과 높이 조절대(40)를 기본 골격으로 한다.
상부 지지판(30)은 메인 지지판(32)과, 메인 지지판(32)의 양측에 힌지 결합된 두 개의 서브 지지판(34a, 34b)으로 포함한다.
서브 지지판(34a, 34b)은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메인 지지판(32)에 대해 회동 가능하여 지지판 사이의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지지판(30)의 상부면이 블레이드의 단면 형상에 따라 임의의 곡률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높이 조절대(40)는 메인 지지판(32)의 하면에 연결되며, 제어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메인 지지판(32)의 높이(즉, 기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 조절대(40)는 예를 들어 실린더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도 조절대(50a, 50b)는 일단이 서브 지지판(34a, 34b)의 하면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높이 조절대(40)에 힌지 연결되며, 그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각도 조절대(50a, 50b) 역시 예를 들어 실린더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지지판(30)이 제1 서브 지지판(34a), 메인 지지판(32), 제2 서브 지지판(34b) 순서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제1 서브 지지판(34a)을 지지하는 제1 각도 조절대(50a)의 일단과, 메인 지지판(32)을 지지하는 높이 조절대(40)의 상단과, 제2 서브 지지판(34b)을 지지하는 제2 각도 조절대(50b)의 일단이 그 높이가 동일할 때 상부 지지판(30)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3a 참조).
지지하고자 하는 블레이드의 단면 형상에 따라 제1 각도 조절대(50a)의 길이를 조절하면, 제1 각도 조절대(50a)의 양단에 연결되는 힌지부(60a, 62a)에 의해 제1 서브 지지판(34a)이 힘을 전달받아 메인 지지판(32)과 임의의 각도를 가지도록 메인 지지판(32)과의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제2 각도 조절대(50b)에 대해서도 동일한 원리로 그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제2 각도 조절대(50b)의 양단에 연결되는 힌지부(60b, 62b)에 의해 제2 서브 지지판(34b)이 힘을 전달받아 제2 서브 지지판(34b)메인 지지판(32)과 임의의 각도를 가지도록 제2 서브 지지판(34b)을 메인 지지판(32)과의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도 3b에서는 제1 각도 조절대(50a)의 길이가 줄어들어 제1 서브 지지판(34a)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제2 각도 조절대(50b)의 길이가 줄어들어 제2 서브 지지판(34b)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는데, 지지하고자 하는 블레이드의 단면 형상에 따라 제1 각도 조절대(50a)의 길이가 늘어나 제1 서브 지지판(34a)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도 있고, 제2 각도 조절대(50b)의 길이가 늘어나 제2 서브 지지판(34b)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 지그의 기본 형상 및 변경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c는 슬라이딩 힌지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4c는 도 4a에서 A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View A)이다.
도 4a 내지 4c에는 형상 가변 지그(20b), 상부 지지판(70), 메인 지지판(72), 서브 지지판(74a, 74b), 메인 높이 조절대(80a), 서브 높이 조절대(80b, 80c), 슬라이딩 힌지부(90a, 90b), 레일(92a)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 지그(20b)는 상부 지지판(70)과 높이 조절대(80a~80c)를 기본 골격으로 한다.
상부 지지판(70)은 메인 지지판(72)과, 메인 지지판(72)의 양측에 힌지 결합된 두 개의 서브 지지판(74a, 74b)으로 포함한다.
서브 지지판(74a, 74b)은 메인 지지판(72)에 대해 회동 가능하여 지지판 사이의 각도가 조정될 수 있어 상부 지지판(70)의 상부면이 블레이드의 단면 형상에 따라 임의의 곡률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메인 높이 조절대(80a), 제1 및 제2 서브 높이 조절대(80b, 80c)는 메인 지지판(72), 제1 및 제2 서브 지지판(74b)의 하면에 각각 연결되며, 제어에 따라 그 높이가 개별 조절될 수 있다. 높이 조절대(80a~80c)는 예를 들어 실린더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제1 서브 높이 조절대(80b)는 제1 서브 지지판(74a)의 하면에 설치된 슬라이딩 힌지부(90a, 90b)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제2 서브 높이 조절대(80c)는 제2 서브 지지판(74b)의 하면에 설치된 슬라이딩 힌지부(90a, 90b)에 의해 힌지 연결된다.
슬라이딩 힌지부(90a, 90b)는 제1 서브 지지판(74a) 및 제2 서브 지지판(74b)의 하면에서 메인 지지판(72)과의 힌지 연결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딩 힌지부(90a)는 제1 서브 지지판(74a)의 하면에 부착된 레일(92a)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일 수 있다(도 4c 참조).
레일(92a)은 힌지 연결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슬라이딩 힌지부(90a)의 상부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어 레일(92a)의 끝단 플랜지에 걸림으로써 하방향으로는 떨어지지 않으면서 레일(92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는 슬라이딩 힌지부(90a)는 레일(92a) 대신에 제1 서브 지지판(74a) 또는 제2 서브 지지판(74b)의 하면에 오목하여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 홈(미도시) 내에서 이동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슬라이딩 힌지부(90a)와 제1 서브 지지판(74a)의 연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슬라이딩 힌지부(90b)와 제2 서브 지지판(74b) 사이의 연결 구조에서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슬라이딩 힌지부(90a)에 의해 제1 서브 높이 조절대(80b)의 높이가 가변될 때, 슬라이딩 힌지부(90a)가 슬라이딩하여 제1 서브 지지판(74a)이 메인 지지판(72)에 대해 임의의 각도를 가지도록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제2 서브 높이 조절대(80c)와 제2 서브 지지판(74b) 사이의 연결 관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상부 지지판(70)이 제1 서브 지지판(74a), 메인 지지판(72), 제2 서브 지지판(74b) 순서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
메인 지지판(72), 제1 서브 지지판(74a), 제2 서브 지지판(74b)을 각각 지지하는 높이 조절대(80a~80c)의 높이가 동일할 때 상부 지지판(70)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4a 참조).
지지하고자 하는 블레이드의 단면 형상에 따라 제1 서브 높이 조절대(80b)의 높이를 조절하면, 슬라이딩 힌지부(90a)가 슬라이딩함과 동시에 제1 서브 지지판(74a)이 힘을 전달받아 메인 지지판(72)과 임의의 각도를 가지도록 메인 지지판(72)과의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제2 서브 높이 조절대(80c)에 대해서도 동일한 원리로 그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제2 서브 지지판(74b)이 메인 지지판(72)과 임의의 각도를 가지도록 제2 서브 지지판(74b)을 메인 지지판(72)과의 힌지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슬라이딩 힌지부(90b)가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도 4b에서는 제1 서브 높이 조절대(80b)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제1 서브 지지판(74a)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제2 서브 높이 조절대(80c)의 높이가 낮아짐에 따라 제2 서브 지지판(74b)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는데, 지지하고자 하는 블레이드의 단면 형상에 따라 제1 서브 높이 조절대(80b)가 상승하여 제1 서브 지지판(74a)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도 있고, 제2 서브 높이 조절대(80c)가 상승하여 제2 서브 지지판(74b)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 지그의 기본 형상 및 변경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는 형상 가변 지그(20c), 상부 지지판(100), 서브 지지판(100a~100c), 높이 조절대(110a~110c)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형상 가변 지그(20c)는 상부 지지판(100)과 높이 조절대(110a~110c)를 기본 골격으로 한다.
상부 지지판(100)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서브 지지판(100a~100c)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서브 지지판이 3개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여, 필요에 따라 하나 혹은 둘, 또는 4 이상의 서브 지지판이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다양한 블레이드 단면 형상에 대해 안정적 지지가 가능하도록 서브 지지판(100a~100c)의 상면에 패킹 부재가 부착되거나 서브 지지판(100a~100c) 자체가 패킹 부재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높이 조절대(110a~110c)는 각 서브 지지판(100a~100c)의 하면에 각각 연결되며, 제어에 따라 그 높이가 개별 조절될 수 있다. 높이 조절대(110a~110c)는 예를 들어 실린더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적재하고자 하는 블레이드의 지지점에서의 크기, 단면 형상에 따라 각 높이 조절대(110a~110c)의 높이가 독립적으로 조절되어 블레이드가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a, 1b: 블레이드 10: 적재 기초구조물
12a, 12b: 바닥판 14: 기둥
20-1, 20-2, 20-3, 20a, 20b, 20c: 형상 가변 지그
30, 70, 100: 상부 지지판 32, 72: 메인 지지판
34a, 34b, 74a, 74b, 100a, 100b, 100c: 서브 지지판
40, 80a, 80b, 80c, 110a, 110b, 110c: 높이 조절대
50a, 50b: 각도 조절대 60a, 60b, 62a, 62b: 힌지부
90a, 90b: 슬라이딩 힌지부 92a: 레일

Claims (10)

  1. 메인 지지판과, 상기 메인 지지판의 양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1 및 제2 서브 지지판을 포함하는 상부 지지판;
    상기 메인 지지판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지지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대; 및
    일단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판의 하면에 각각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높이 조절대의 측면에 힌지 연결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 및 제2 각도 조절대를 포함하되,
    블레이드의 지지점의 단면 형상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각도 조절대의 길이가 개별 조절되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판이 각각 상기 메인 지지판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상부 지지판의 형상이 변경되는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메인 지지판과, 상기 메인 지지판의 양측에 힌지 결합하는 제1 및 제2 서브 지지판을 포함하는 상부 지지판;
    상기 메인 지지판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지지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메인 높이 조절대; 및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판의 하면에 힌지 연결되고, 개별적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제1 및 제2 서브 높이 조절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서브 지지판과 상기 제1 서브 높이 조절대, 상기 제2 서브 지지판과 상기 제2 서브 높이 조절대는 슬라이딩 힌지부에 의해 힌지 연결되며,
    블레이드의 지지점의 단면 형상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서브 높이 조절대의 길이가 개별 조절되어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판이 각각 상기 메인 지지판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상부 지지판의 형상이 변경되는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힌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판의 하면 각각에 상기 메인 지지판과 상기 제1 및 제2 서브 지지판 사이의 힌지 연결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레일 혹은 슬라이딩 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
  8. 삭제
  9. 제1항,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 복수 개가 서로 임의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 설치되어 있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블레이드 적재 기초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는 적재 대상이 되는 블레이드의 허브 연결부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기본 높이 및 상기 상부 지지판의 형상이 가변되는 블레이드 적재 기초구조물.
KR1020140096699A 2014-07-29 2014-07-29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 및 블레이드 적재 기초구조물 KR101599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699A KR101599324B1 (ko) 2014-07-29 2014-07-29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 및 블레이드 적재 기초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699A KR101599324B1 (ko) 2014-07-29 2014-07-29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 및 블레이드 적재 기초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867A KR20160014867A (ko) 2016-02-12
KR101599324B1 true KR101599324B1 (ko) 2016-03-07

Family

ID=55354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699A KR101599324B1 (ko) 2014-07-29 2014-07-29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 및 블레이드 적재 기초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93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6157B1 (en) 2014-11-06 2016-04-26 Intel IP Corporation Subframe aligned listen-before-talk for cellular in unlicensed band
CN113775881B (zh) * 2021-11-12 2022-02-22 山东紫东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活动式城市桥梁架设水准仪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523Y1 (ko) 2006-02-06 2006-04-21 오수건 골프연습시스템의 그린 굴곡조절판
KR200469363Y1 (ko) 2013-07-01 2013-10-15 이현우 이동식 선반이 구비된 책장
KR101376803B1 (ko) 2013-01-28 2014-03-25 주식회사 대창스틸 내진 액세스 플로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940U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자동차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KR20130096784A (ko) 2012-02-23 2013-09-02 김문겸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523Y1 (ko) 2006-02-06 2006-04-21 오수건 골프연습시스템의 그린 굴곡조절판
KR101376803B1 (ko) 2013-01-28 2014-03-25 주식회사 대창스틸 내진 액세스 플로어
KR200469363Y1 (ko) 2013-07-01 2013-10-15 이현우 이동식 선반이 구비된 책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867A (ko) 2016-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7621A2 (en) A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and an adjustment device of its center of gravity
US9617751B2 (en) Wind turbine tower section, a wind turbine having such tower section and method for forming such tower section
EP2908000B1 (en) Lifting device for installing and removing components of a wind turbine
KR101599324B1 (ko) 블레이드 적재용 형상 가변 지그 및 블레이드 적재 기초구조물
CN103753083B (zh) 法兰组对平台
US20200001409A1 (en) Apparatus for reconditioning a heavy workpiece and method
US201102394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vertical axis wind turbine
CN102945999A (zh) 雷达/天线支架
HRP20161430T1 (hr) Sustav za pregradnju lokalnih energijskih modula u željezničkim mrežama
KR101511174B1 (ko) 해상 풍력발전기 설치장치
NL2027591B1 (en) Blade installation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de-installation or maintenance of a blade of an offshore wind structure
WO2014140305A1 (en) Tool for mounting rotor blades on a rotor hub, offshore construction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a wind generator
CN208396869U (zh) 升降平台及风力发电机组
CN209579302U (zh) 一种盖板支架的折叠式定位工装
CN202454715U (zh) 便携式雷达天线支撑架
CN104002133B (zh) 海上风叶快速定位固定装置
CN207788803U (zh) 轴类零部件装卸装置
RU2007122489A (ru) Ветряной двигатель с вертикальной осью вращения
CN202493417U (zh) 一种用于钻井泵的底座支撑结构
CN104300886A (zh) 太阳能发电站双轴追日系统装置
KR102176566B1 (ko) 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 설치 장치
EP3967872B1 (en) Mounting structure for supporting a tower sector
KR101411600B1 (ko) 풍력 발전기 설치선용 레그의 제조 장치
US20180058428A1 (en) Wind sensor support assembly for a wind turbine
EP3967874A1 (en) Mounting structure for supporting a tower s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